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칠레의 에너지소비, CO2 배출량, 경제성장 사이의 인과관계 분석 :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nergy Consumption, CO2 Emission and Economic Growth: Evidence from Chile : 주영종

        주영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hort- and long-run causality issues among energy consumption, CO2 emission and economic growth in Chile by applying time-series techniques. It employs annual data covering the period 1965-2010. Tests for unit roots, co-integration, and Granger-causality based on error-correction model are presented. The results show that strong uni-directional causality runs from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 to economic growth. Moreover, uni-directional causality from CO2 emission to economic growth is found. The short-run dynamics indicate uni-directional causalities run from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 to economic growth. However, uni-directional causality from energy consumption to CO2 emission is not found in the long-run. No bi-directional causality is identified among energy consumption, CO2 emission and economic growth. This result implies that energy consumption lead to economic growth, while more economic growth did not need more energy consumption in the past. However, recent public report says that power demand is expected to grow significantly in the future. To achieve Chilean 20% carbon emission reduction target by 2020 while minimizing impact on economy by carbon emission reduction policy, Chile has to maintain current industrial structure and enhance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policy.

      •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주영종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행정환경이 개방과 경쟁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함에 따라 공공행정에 대한 재정적.정치적.행정적 지원은 줄어드는 반면에 보다 많은 서비스 분야에서 효율성을 증진시키라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조직이 단순하게 절차와 정책을 행위로 바꾸고 직무를 관리하는 데서 더 나아가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은 물론 최대의 효율성을 가지고 목표를 달성하는 조직이 될 것을 요구하는 공공관리가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도적․행정적인 장치의 보완과 함께 행정관료의 자발적인 참여와 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동안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혁신을 위한 행동연구는 많은 연구자의 관심대상이 되어 왔을 뿐 아니라 그 개념 또한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예컨대 친사회적 행동(prosocial behavior), 역할외 행동(extra-role behavior), 조직자발성(organizational spontaneity) 등이 그 예이다. 하지만 가장 대표적이고 지속적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개념은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이다. 이 개념은 최근 Organ을 비롯한 경영조직 행동연구가들에 의해 만족-성과 논쟁에서 발견이 되었으며, 이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사회적 교환관점에서 조직 연구가들은 구성원 개개인이 조직에 왜 충성심을 보이며, 공식적으로 보상을 해주지도 않고 계약적으로 강요하지도 않는 행동에 왜 전념하는가에 대해 관심을 보여왔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조직공정성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eader-Member Exchange; LMX)가 조직시민행동에 비교적 일관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조직이 구성원들에게 공정한 보상과 함께 리더와 구성원 간의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재량권의 부여, 협조 및 신뢰감을 나타내면 구성원은 조직에 스스로 직무에 해당하는 역할(in-role)이외에 조직에 이익이 되는 행위를 수행함으로써 이에 보답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즉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에 기여하는 행동으로서 공식적인 보상이 제공되지 않는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인 행동으로서 관리자의 직무를 수월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구성원 자신의 성과와 성공을 높이는 요인이기 때문에 관심을 갖고 고려해야만 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기 때문에, 기업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연구는 많이 축적되었지만 공무원과 같은 행정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조직과는 다른 문화를 가지게 되는 공공조직에서도 적실성을 가지게 되는지에 대해서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목적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시민행동의 차원을 공공의 현실에 적용하여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요인으로 밝혀진 조직공정성과 리더와의 관계가 공공조직에서도 깊은 관계를 갖는지 살펴본다. 둘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행정조직에 있어서의 조직유효성 증대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문의 구성요소인 조직공정성,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문헌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검증은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6개 구청에 근무하는 5급부터 9급까지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조사는 약 2주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설문지를 총180부 배포하였다. 이 중 141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기록내용이 누락되었거나 중심화 경향으로 일관된 응답내용을 보인 9부의 설문지는 분석에서 제외시킴으로서 132부만이 유용한 자료로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들의 공정성 지각은 조직시민행동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배공정성(distributive Justice)보다는 절차공정성(procedural justice)을 높게 지각할수록 조직시민행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에 의해 자신의 공헌을 가치 있게 인정받고, 자신의 목표나 의견이 고려된다고 지각한 구성원들은 미래의 조직의 처우에 대해 기대와 신뢰를 가지고 즉각적인 보상이 주어지지 않더라도 조직시민행동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둘째, 조직시민행동과 조직공정성을 매개하는 변수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를 설정하였는데, 조직공정성과의 관계에서 절차공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질을 결정하는데 더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행정조직에 주는 시사점으로 구성원에게 자신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가는 조직관리의 공정성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공정성이라는 측면에서 조직을 운영해 나가야 하는데 이러한 행동에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이 구성원들과의 관계이다. 즉, 구성원들이 믿고 따를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절차에 의한 공정한 인식이 그 첫 발걸음이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 리더-구성원 교환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성과의 차원을 보다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으로 이끌어 내었다. 이는 앞서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조직시민행동은 조직 장기적인 이익의 증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에 공공조직에서도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와 친밀한 관계를 구축하고 있는 구성원들은 자신이 속한 조직에 도움이 되고자 적극적인 활동을 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 수정된 모형을 적용한 화학공장 근로자의 인적오류 유발요인 분석

        주영종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적오류는 사고 발생 과정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기술의 발전으로 설비의 신뢰성이 향상되면서, 기술적인 요인보다는 인적오류로 인한 사고 비율은 상대적으로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적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크게 2가지의 연구가 있어 왔다. 첫째는 작업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Performance Shaping Factor, PSF)에 초점을 둔 미시적인 접근 연구이고, 둘째는 안전문화가 작업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거시적인 접근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인적오류에 대한 영향요인(PSF)은 서로 간에도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미시적인 접근에서의 인적오류 영향요인(PSF)과 거시적인 접근에서의 안전문화를 조합하여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화학업종 제조업체 직원 283명으로부터 설문 응답을 받아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모형은 기본모형, 대안모형, 통제변수 반영 모형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3가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기본모형에서 안전문화는 작업자의 컨디션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인인 작업조건, 작업환경, 작업장 배치, 작업절차, 자원지원에 유의성 있게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정된 대안모형에서는 안전문화가 자원지원과 작업조건, 작업절차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작업장 배치와 작업환경과 같은 물리적 조건은 안전문화와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없었다. 작업조건의 경우, 안전문화와 자원지원 모두로 부터 영향을 받았지만, 안전문화로부터는 부(-)의 영향을, 자원지원으로부터는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체적인 지원 없이 안전문화만 강조하면, 오히려 작업조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인적오류를 더욱 많이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인적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문화 향상과 함께 충분한 자원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기본모형에서는 자원지원이 작업자의 흥분·화남·답답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안모형에서는 자원지원이 작업자의 흥분·화남·답답함에 작업조건, 작업환경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업자가 화나거나 답답함을 느끼는 것은 주로 물리적인 작업환경 때문임을 말해준다. 작업자의 흥분·화남·답답함이 안전규정 위반의 직접적인 요인인 바, 안전규정 준수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작업장 소음, 조명, 온도와 같은 작업환경 개선이 필요하고, 작업 시행 전에 작업계획을 세밀히 세워 작업자들이 이에 적응할 시간을 줌으로써, 작업자들이 동시에 여러 가지 작업을 하거나 급하게 뭔가를 처리할 필요가 없도록 적절한 작업조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셋째, 작업자의 피로도는 인적오류 중 행동실수(Slip), 기억실수(Lapse), 착오(Mistake)에 영향을 준다. 즉, 작업자가 피로를 적게 느낄수록, 행동실수(Slip), 기억실수(Lapse), 착오(Mistake)를 적게 일으킨다. 기본모형에서는 작업조건, 작업환경이 작업자의 피로도에 주요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고, 대안모형에서는 이들 외에 작업절차도 작업자의 피로도에 대한 영향요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자의 피로로 인한 행동실수(Slip), 기억실수(Lapse), 착오(Mistake)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음, 조명, 온도·습도와 같은 작업환경을 개선해야 하고, 작업절차서가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작성되어, 작업자들이 직감적으로 작업절차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작업 시간 압박을 줄이고 작업 중에는 뭔가를 계산하거나 높은 수준의 사고(Thinking)를 할 필요가 없도록 작업조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 다음의 안전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기존의 미시적인 접근 중 하나인 HRA(Human Reliability Analysis)에서 활용되는 변수인 PSF(Performance Shaping Factor)와 POE (Portion Of Effect) 중 POE를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객관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작업에 대한 HEP(Human Error Probability)를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둘째, 만약 사고 조사 중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설비 요인이 아니라 인적인 요인이었다면,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작업자의 인적오류의 원인을 파악하거나 검증할 수 있다. 셋째, 많은 사업장에서 시행하고 있는 행동관찰 프로그램 (BBP, Behavior Based Performance 또는 BBS, Behavior Based Safety)에 본 연구에서 발견된 인적오류 유발요인별 영향관계를 적용하면,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BP를 통해 관찰자는 피관찰 작업자에게 해당 행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친절하게 일깨워 주고, 불안전한 행동을 왜 했는지와 그 당시 피관찰 작업자의 상태를 물어 봄으로써, 관찰자는 피관찰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은 작업자 상태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일깨워줄 수 있으며, 조직은 BBP 데이터와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작업자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조건, 작업 환경, 작업절차, 작업장 조건, 자원 지원을 개선함으로써,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 유발 조건을 저감할 수 있다. Human error is an important part in accident occurrence process. Moreover, as technology advances, equipment reliability has been improved. Therefore relative portion of accidents resulting from human factor rather than equipment factor is expected to increase. In human error, there have been 2 domains of study. The first one is a micro approach, focusing on influencing factor (PSF, Performance Shaping Factor) to the worker. The second one is a macro approach, studying the effect of safety culture on workers' behavior. Through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re is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human error influencing factors (PSF) as well. In this study, new model was developed through combination of micro & macro approach. For validation of hypothesis in the developed model, survey responses were received from 283 employees in chemical manufacturing company and it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3 different models (Basic model, Alternative Model, Basic model + Control variable)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three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the basic model, safety cultur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ll factors affecting the condition of workers: working conditions, working environment, work station, working procedures and resource support. However, in the modified alternative model, it was found that safety culture only affected resource support, working conditions, and working procedures, and physical conditions such as work station and working environment received no direct influence from safety culture. In case of working condition, both safety culture and resource support affected, but it was found that the safety culture had a negative (-) influence and the resource support had a positive (+) effect. This suggests that if only safety culture is emphasized without specific support, it can negatively affect working conditions and it can cause more human error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human error, sufficient resource support should be provided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safety culture. Second, in the basic model, it was found that resource support affects workers' upset, frustration indicating that the workers feel upset or frustrated mainly because of the physical work environment. Workers' upset, frustration are direct factors of safety rule violation. In order to improve compliance with safety rul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workplace noise, lighting, and temperature. Also, through detailed work plan in advance, organization should give workers enough time to get familiarized with work and create the right working conditions so that workers do not have to do multiple tasks at the same time or do something in a hurry. Third, worker's fatigue affects behavioral mistakes (Slip), memory errors (Lapse), and mistakes among human errors. In other words, the less fatigue the workers feel, the less slip, lapse and mistake occur. In the basic model, working conditions and working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major influencing factors on workers' fatigue, and in the alternative model, working procedures were also shown to be influencing factors on workers' fatigu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lip, lapse and mistake due to workers' fatigu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noise, ligh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o keep the working procedure as simple and clear as possible so that workers can intuitively understand an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ime pressure and improve working conditions so that there is no need to calculate something or think at a high level during work.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safety programs as follows. First, PSF (Performance Shaping Factor) and POE (Portion Of Effect), which are variables used in HRA (Human Reliability Analysis), one of the existing micro approaches, can be derived more obj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and objectively derive HEP (Human Error Probability) for a specific task. Second, If, during the accident investigation, the direct cause of the accident was found to be human factor rather than facility factor, the cause of human error can be identified or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rd, if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each human error-causing factor found in this study is applied to the behavior observation program (BBP, Behavior Based Performance, or BBS, Behavior Based Safety) which is widely implemented safety program in many compani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nsafe behavior of workers. During BBP, observer should kindly remind the observed worker of the possible negative consequence from his (or her) behavior. It is also necessary that observer should remind the observed worker that unsafe behavior and condition of worker is correlated by asking him (or her) why the unsafe action was taken and the condition of the worker at that time. And organization can reduce unsafe behavior of workers by improving working condition, working environment, working procedure, work station and resource support which influence workers' condition based on BBP data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 재난현장 위험의 결정요인 분석 연구 : 소방공무원의 재난현장 안전성 제고방안을 중심으로

        주영종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건축물은 고층화, 지하화, 대형화 되고 내부는 복잡화, 다양화 되어 재난발생시(화재, 폭발, 위험물누출 등) 인명 및 재산피해는 점점 커지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재난현장은 소방공무원의 생명을 위협하는 많은 위험요인이 발생하여 소방공무원은 실제로 순직과 부상을 당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안전사고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순직과 부상의 발생은 소방력(소방공무원, 소방용수, 소방장비)의 낭비를 초래하고 나아가 소방공무원 전체의 사기와 관련되어 있기에 더 이상의 안전사고 발생은 방지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재난현장 활동과 관련하여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의 결정요인을 요인 및 회귀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해 보았고,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재난현장 안전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1장은 연구의 목적․범위․연구의 흐름도․연구가설 등을 설정해 보았고, 제2장은 소방 현장업무의 특수성과 위험요인, 안전사고 발생요인 분석, 위험의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등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제3장과 제4장은 연구 설문을 통한 소방공무원의 재난 현장에서 위험의 결정요인을 설계하고 분석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제5장은 연구 설문 분석을 바탕으로 재난현장에서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효과적인 개선방안이 마련되었다고 할지라도 이를 실천하는 소방공무원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하는 평소 습관 및 의식이 개선되지 않는 한 재난 현장에서의 안전사고는 매년 반복될 뿐만 아니라 우리 소방조직에 아주 큰 절망을 가져올 것이다.

      • 파생금융상품 과세제도에 대한 연구

        주영종 忠南大學校 經營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rivative trading market is growing rapidly due to an internationalization. Many nations have tried to contain this phenomenon by applying taxation to the market stops at the profit or loss on foreign exchange from product trading. There is no other regulation being applied at the moment. Derivatives have become and essential means for compani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to survive in the world economy with ever-increasing uncertainty. The trades of derivative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twenty years. Stock-price and stock index options in July, 1997. Since its inception, the derivatives market has been growing rapidly and the transaction size of the market exceeded that of the spot market. It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nternational market for the derivatives. Derivatives are financial products whose value is determined by the other fundamental products. Typical derivatives are forward delivery, futures, swap and option. The derivatives are becoming more diverse as derivatives of a derivative product, such as unique options and credit derivatives, are introduces to the market. However, there are many tax issues related to these transactions that are difficult to address with traditional tax system as the derivative transaction has different generation method of generating profit and loss from the traditional transactions. The appearance of derivatives, however, has brought about many problems which could not be solved in traditional tax system because they have more peculiarities than other securities from every side. For example in the side of purpose, pattern of transaction, and payoff, etc. In regard to the those problems described above, this article points out the problems of pending tax system connected with the derivative transaction and propose the reasonable tax system. Related to derivatives, it is difficult to make sense of accounting and the lack of effective tax system could result in leakage of tax revenue. Therefore this article is of value on the side of being an alternative proposal for reasonable tax system.

      • 조직문화 연구에 대한 통합과 실증분석

        주영종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Quite a many studies are recently reported since organizational culture had been researched. However, although there have been attentions and efforts of academic circles and people in charge, it is said that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es for organizational culture are insufficient in academic circles. I think that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ose opinions, but it seems that those are related to problems and criticism for organizational culture. In other words, it is believed that some difficulties in disputes concerning focuses o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selecting and measuring variables necessary for verifying hypothesis and criticism for extracting common meaning from suitable elements having influence upon organizational culture make researches on organizational culture more difficult. For these reasons, this paper used meta analysis, which is to integrate existing research results systematically, and model of structural equation for verifying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variables to find solutions for the research. It intents to suggest empirical evidences for actual domestic organizations in a way that selects variables based on size of effectiveness through meta-analysis and uses structure equation model for the selected variables. In other words, it intends to find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through this research. Results for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of all, in order to provide answers to question for Meta-analysis in this research, variables in organizational structure which summarize variables among organizational structure related organizational culture shows that centralization and complexity is more than .4 of effect size on organizational culture along with rules, procedures, instructions and communications. Second from the results of Meta-analysis as to how much roles of leader affect organizational culture in research for leadership dealing with effective variables for organizational culture, expediting leadership is shown to be much more higher than other leadership variables. Selected variables are expediting leadership and arbitrational leadership, and productive leadership is analyzed to be more than .4. which is selected as sub variable of leadership. Lastly, variable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organizational productiv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with all of them more than .4 of sizes in effectiveness. Those are selected as sub variables. And this research first focuses organizational culture on surface of personal recognition in connection with recognizing asp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n verified model of structure equation. This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structure equation model prior to verifying it through analysis of coefficients. The results are that complexity fails to show meaningful result for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whereas elements for centralization affect group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negatively. And formulation is shown to affect all of group, rational and hierarchical culture in terms of statical meaning. For these results, especially formulation is reviewed more positively compared to that of existing overseas researches while it affects stabilization of organization, which means that members of our government organizations are importantly recognized. Second, for relations between leadership elements and organizational cultural factors, expeditor showed meaningful results in all types of culture, and arbitrator showed statistical meaningful results for group culture. And producer showd meaningful effects on advancement and rational culture. Third, for group culture in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group culture showed most effects on courtesy while it showed meaningful participatory factor and altruism, and rational culture showed meaningful effects on conscience, sportmanship and altruism. Hierarchical culture appears as order of courtesy and conscience. Especially characteristics of behaviors including unofficial role of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are believed to be article to be paid attentions, and issues to managed long-term basis inhibiting problems such as isolations of human-beings coming from corruption of officers and managing for enhancing job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s between organizations. Fourth, for relation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attitudes, group culture has statical meaningful effects while hierarchical culture showed nega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is is believed that group culture highlighting friendly relations between members in organizations rather than hierarchical control procedure can enhance absorption for organization or goals from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Lastly, this paper verified structure model which is ultimate goals. As the result of verification of suitability index showed that p-value of chi-square test is higher than .05, it is believed to be suitable for explaining the model from data of analyzing model, and it showed support for null hypothesi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roposed model and actual model. In the meantime, suitability indexes reviewed with chi-square test are reviewed together. As the result of analyzed research model, suitability indexes showed GFI=.866, AGFI=.807, CFI=.821, RMR=.086, NFI=.781, RMSEA= .054. As the result of suitability index, the proposed model is actually more likely to be a better model for analyzed data and suitability compared to general evaluation standards of covariance structure equation via suitability indexes excluding NFI suitability index. With these factors, relations of structural concepts are also reviewed.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howed statistical meaningful results. However, relations betwee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didn't show meaningful relations. In the meantime, non-cause & effect of leadership was show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attitudes. In other words, 21.1% of covariate between 2 variables is proven to be from spurious relationship with non cause & effects. This result is believ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in connection with leadership and job attitudes affects job attitudes In fact, as some researches for organizational culture independently set variables and discussion is progressing, set values appeared in each research are said to be important. Therefore, researchers start researches after they pre-set what they observed and discovered and then sometimes indicate that results are important effects elements. However, looking back, it's necessary to consider how these variables have relations with organizational culture and how large the effect size is. Especially,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limitation from method that a researcher selects relational factors at his or her discretion and explains behavior and attitude of members in organization. From these backgrounds, this research selected variables which have higher relations with organizational culture by integrating each factor and surveyed our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rough these activities, this research has its goal for extracting domestic organizational culture and attempting to widen base of understanding. 조직문화 연구가 시작된 이래 최근까지 상당히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학계와 실무자의 관심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계의 조직문화에 관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가 아직도 미진하다는 지적이 제시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장이 제기되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판단컨대, 조직문화와 관련된 문제점이나 비판과 관계가 있어 보인다. 즉, 조직문화의 연구에 있어 초점과 관련된 논란이나 가설검증에 필요한 변수의 선정과 측정의 어려움과 이에 따른 조직문화에 영향관계를 가지는 적절한 구성요소나 요인에 따른 함의 도출 등의 비판이 조직문화 연구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문제에 해답을 찾기 위해 기존 연구결과들을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방법인 메타분석과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성을 검증하는 방법인 구조방정식 모형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메타분석(meta-analysis)을 통해서는 효과크기를 기준으로 변수를 선정하고, 이렇게 선정된 변수들을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e equation model)을 통해서 실제 국내 조직을 대상으로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이를 통해 연구 문제에 해답을 찾고자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서 설정한 메타분석의 연구질문에 답을 내기위해 조직문화와 관련한 조직구조에 관한 연구들 중에서 변인들을 종합한 조직구조 변인을 살펴보면 조직문화에 규칙, 절차, 지시 및 의사소통의 명문화된 정도를 나타내는 공식화와 아울러 집권화와 복잡성이 조직문화에 .4 이상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한편 조직문화 연구에서 조직문화의 영향변수로 많이 다룬 리더십의 연구에 있어서 리더의 역할에 따라 조직문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촉진자적 리더십이 다른 리더십 관련변인보다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변수는 촉진자형 리더십과 조정자형리더십이며, 그리고 생산자형 리더십이 .4이상으로 분석되어 리더십의 하위변인으로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직효과성 변인에서는 조직생산성과 그리고 조직몰입,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시민행동 순으로 .4 이상의 효과크기가 나타나 4개의 하위변인이 선정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우선 조직문화의 인식적 측면과 관련해서 개인의 인식표면에 조직문화의 초점을 맞추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모형의 검증에 앞서 계수비교를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과는 먼저 복잡성 요인이 조직문화의 유형에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는 가운데, 집권화 요인은 집단문화와 합리문화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공식화는 집단, 발전, 합리, 위계문화 유형에 모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특히 공식화의 경우, 기존의 외국연구들에 비해 긍정적으로 검토됨으로써 조직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우리나라 정부조직의 구성원들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리더십 요인과 조직문화 요인 간 관계에서는 촉진자는 모든 문화 유형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조정자는 집단문화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생산자는 발전문화와 합리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집단문화는 예의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성과 이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전문화는 양심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리문화는 양심성, 스포츠맨십, 이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문화는 예의성, 양심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시민행동의 비공식적 역할외 행동이라는 특성은 관심을 기울여야할 사항으로 조직의 공식화에서 오는 인간에 대한 소외나, 관료의 부정부패 등 공식조직의 폐단을 억제하고 조직구성원의 업무이해도 증진과 조직 내 의사소통을 위해 장기적으로 시간을 두고 관리해야할 문제라고 보여진다. 넷째, 조직문화와 직무태도의 관계에서 집단문화는 조직몰입과 조직생산성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위계문화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계적인 통제절차 보다는 구성원간의 우호적인 관계유지를 강조하는 집단문화가 조직에 대한 몰입이나, 목표에 대한 몰입을 높일 수 있다는 구성원들의 인식결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궁극적 목적인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적합도지수의 검증결과 카이자승값의 유의도(p-value)가 .05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분석모형의 자료가 모형을 설명하는데에 적합한 것으로 인식되며 제안모델이 현실세계의 모델과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이 지지되었다. 한편 카이자승 값과 함께 검토된 적합도 지수들도 함께 검토하였다. 연구모형의 분석결과 적합도 지수는 GFI=.866, AGFI=.807, CFI=.821, RMR=.086, NFI=.781, RMSEA= .054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적합도지수의 결과는 공분산 구조방정식의 일반적 평가기준과 비교할 때 NFI적합지수를 제외한 적합지수들을 통해 실제로 제안 모델이 분석자료와 적합도가 좋은 모델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구성개념들의 관계도 검토되었는데, 조직문화와 리더십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조직구조와 조직문화의 관계는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 한편 조직문화와 직무태도 사이에 리더십의 비인과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두 변수 간의 공변량의 21.1%정도가 비인과적인 의사관계(spurious relationship)에 의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십과 직무태도의 관계에서 조직문화가 직무태도 관계에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실, 조직문화에 관한 몇몇의 연구들에서 독립적으로 변수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시키면서 각 연구에서 선정한 변수가 중요하다 언급하는 부분들을 찾아볼 수 있다. 그래서 연구자가 관찰·발견한 것을 ‘미리 결정’하고 나서 연구에 착수, 그 결과물을 중요한 영향요인이라고 공표하는 경우가 종종 발견된다. 하지만 돌이켜보건대, 이러한 변수들이 실제적으로 조직문화와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 및 효과크기를 가지느냐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관련 요인을 연구자 자의적으로 선택하여 조직 구성원의 행태 및 태도를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리라 판단되어진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각 요인들을 통합하여 조직문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변수를 선정하였고, 우리나라 정부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이를 통해 국내 조직문화 내용을 연구에 담아내고, 이해의 토대를 넓히려고 시도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각 코핑부의 비탄성 거동 해석

        주영종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ultimate goal is the completion of a fully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For that reason, we investigate the inelastic behavior and failure mechanism of prefabricated precast coping through former studies. In addition,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RCAHEST) were performed with experi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recast coping on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RCAHEST) has been proven to be reliable. Ultimately, we can find out application on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precast coping and inelastic behavior characterization. For the evaluation of precast coping's performance, the reinforced concrete coping and prestressed concrete coping were selected, and compared with prefabricated precast coping. After comparison and analysis, the prefabricated precast coping proved that it's performance efficiency compared with reinforced concrete coping or prestressed concrete coping. 본 연구는 완전 조립식 프리캐스트 하부구조의 완성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여, 이전 연구를 통해 그 소요성능이 입증된바 있는 프리캐스트 기초부를 갖는 조립식 PSC교각에서 더 나아가 프리캐스트화된 조립식 코핑부의 그 소요성능과 비탄성 거동 특성 및 파괴 메커니즘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코핑부의 실험과 더불어 비선형 유한요소해석(RCAHEST)을 수행하여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실험적, 해석적 거동특성 및 파괴 메커니즘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본 구조체에 대해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이 신뢰성이 있음을 입증하며 최종적으로는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설계 및 거동 특성 분석에 이러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소요성능에 대한 평가로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코핑부와 일반 PSC로 제작된 코핑부, 그리고 프리캐스트화 된 코핑부를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 소요성능을 비교 ·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프리캐스트화되어 제작된 코핑부 역시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나 PSC 공법을 사용한 코핑부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소요성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