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기관 상설공연에 나타난 전통춤 종목에 관한 연구 -2015~2022년 국립국악원·한국문화재재단·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주연진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년 이상 상설공연을 운영해 온 국립국악원·한국문화재재단·국립민속박물관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2015년부터 2022년까지의 전통춤 상설공연의 현황과 특징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해 상설공연에서 공연된 춤 종목의 경향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립국악원·한국문화재재단·국립민속박물관의 전통춤 상설공연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 각 기관의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상설공연의 자료와 프로그램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 논문, 저서 등을 통한 문헌 조사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이와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상설공연에 나타난 전통춤 종목 분석을 정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첫째, 3개의 기관 상설공연은 운영하는 방식에 따라 공연내용의 차이에 대한 부분이다. 국립국악원의 경우는 기획단계부터 주제를 선정하여 공연 내용에 맞게 종목을 구성하거나 주제가 없을 경우는 각 참가 단체가 공연 종목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한국문화재재단 한국문화의 집 KOUS는 공모를 통해 출연진을 모집하여 하나의 회차에 중복되는 종목들이 무대에 오르지 않도록 하여 다양한 종목의 작품을 볼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국립민속박물관은 공모를 통해 각자의 단체가 공연 종목을 구성하여 진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3기관의 상설공연 성격에 따라 운영 방법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도별 특징을 통해 기관별 공연횟수에 대해 알 수 있다. 2015년에는 전통춤 총 57종목이 총 394번 공연되었다. 2016년은 전통춤 총 62종목이 총 300번 공연되었다. 2017년은 전통춤 총 50종목이 총 257번 공연되었으며 한국문화재재단 한국문화의 집 KOUS는 공연을 진행하지 않았다. 2018년에는 전통춤 총 50종목이 총 327번 공연되었다. 2019년은 전통춤 총 47종목이 총 266번 공연되었다. 2020년은 전통춤 총 27종목이 총 115번 공연되었으며 국립민속박물관은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공연을 진행하지 않았다. 2021년은 전통춤 총 21종목이 총 64번 공연되었으며 국립국악원·국립민속박물관은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공연을 진행하지 않았다. 2022년은 전통춤 총 43종목이 총 162번 공연되었으며 국립국악원은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공연을 진행하지 않았다. 셋째, 전통춤 종목의 다양성에 대해 알 수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우리민속한마당’은 매년 공연된 종목의 전체 수가 14종목으로 가장 다양하게 공연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국립국악원 ‘수요춤전’은 총 12종목으로 두 번째로 다양한 종목 매년 공연되었으며, 한국문화재재단 한국문화의 집 KOUS ‘팔일(八佾)’은 총 6종목으로 3기관 중 가장 적은 종목으로 공연되었다. 그 이유는 독무로만 무대에 오르는 ‘팔일(八佾)’때문이었다. 이에 비해 국립국악원과 국립민속박물관의 상설 공연은 독무뿐 아니라 듀엣, 군무가 무대에 함께 오르기 때문에 숫자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었다. 넷째, 상설 공연의 전통춤 종목 특징이다. 국립국악원은 정재 종목인 춘앵전, 무산향 등을 많이 추었다. 한국문화재재단 한국문화의 집 KOUS는 살풀이춤이 한해도 빠지지 않고 매년 공연되고 있어 다른 기관들에 비해 살풀이춤의 편중 현상이 더 뚜렷함을 알 수 있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진도북춤, 검무가 가장 많이 공연되었고, 국가무형문화재 종목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통춤 종목들이 추어지고 있었다. 다섯째, 상설공연의 대표적인 종목은 살풀이춤이다. 살풀이춤은 국립국악원 92회, 한국문화재재단 한국문화의 집 KOUS 77회, 국립민속박물관 91회로 모든 기관에서 가장 많이 공연된 종목이다. 살풀이춤 류파(계통)별 종류의 현황을 살펴보면, 국립국악원은 24종류, KOUS는 7종류, 국립민속박물관은 13종류의 살풀이춤이 공연되어 2015년~2022년까지 3기관에서는 총 29종류의 살풀이춤이 공연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3기관의 상설공연에서 나타난 춤 종목은 특정 종목들에 편중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이 연구는 3기관의 상설공연을 2015년부터 2022년까지로 제한하여 이루어졌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전통춤 상설공연에서의 전통춤 종목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 전통춤 상설공연에서의 전통춤 종목의 다양한 활성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has selected the National Gugak Center,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nd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which have been operating permanent performances for more than 20 years, as subjects of the study to organiz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ermanent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s from 2015 to 20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dance events performed in permanent performances.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ermanent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nd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data and programs of the permanent performances listed on the respective websites of each institution were the subjects of review. Furthermore,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previous studying previous research papers and book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dance events shown in permanent performances through the research method above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content below. First, it is the part about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content according to the way the three institutions operate their permanent performances. In the case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 theme was selected form the planning stage and the event was compos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In case there was no theme, each participating group would form a performance event. KOUS, Korean Culture House of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would recruit cast members through a contest and prevented overlapping events from appearing on stage in one episode to allow the exposure of various works.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each group organized and proceeded with a performance event through a public contest.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operation method would var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permanent performances of the three institutions. Secondly, it is possible to learn the number of performances by institution through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year. In 2015, a total of 57 traditional dance events were performed 394 times. In 2016, a total of 62 traditional dance events were performed 300 times. In 2017, a total of 50 traditional dance events were performed 257 times, and the Koran Culture House of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did not have a performance. In 2018, a total of 50 traditional dances events were performed 327 times. In 2019, a total of 47 traditional dance events were performed a total of 266 times. In 2020, a total of 27 traditional dance events were performed 115 times, and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did not hold a performance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In 2021, a total of 21 traditional dances were performed 64 times, and the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did not hold performances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In 2022, a total of 43 traditional dance events were performed 162 times, the National Gugak Center did not hold a performanc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COVID-19. Third, it allows people to learn about the diversity of traditional dance events. It can be seen that the total number of events performed every year by the ‘Our Folklore Hanmadang’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was 14, which was the most diverse. The ‘Wednesday Dance Exhibition’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was the second most diverse event with a total of 12 events and the Korea culture House KOUS of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had the least diverse events with a total of 6 events that was the fewest among the three institutions. The reason for this was because due to the ‘Pal-il’ in which the dancer would go on stage with a solo dance. In comparison, the permanent performance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were not only solo performances but also included duets, group dances, which provides an explanation for the numerical difference. Fourth, it i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ances in permanent performances. The National Gugak Center danced a lot of Jeongjae events such as Chunaengjeon and Musanhyang. The Korea Culture House KOUS of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shows Salpuri Dance every year, showing a more pronounced bias in Salpuri Dance compared to other institutions. Jindo drum dance and sword dance were performed the most, and various traditional dances as well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were performed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Fifth, the representative event of the permanent performance is the salpuri dance. Salpuri dance was found to be the most performed event at all institutions, with 92 performances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77 performances at the Korea Culture House KOUS of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nd 91 performances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types of salpuri dance by schools (system), the National Gugak Center has 24 types, KOUS has 7 types, and the National Folk Museum has 13 types of salpuri dance performe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ance events that appeared in the permanent performances of the three institutions were mainly concentrated on a number of specific events. However, 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miting the number of permanent performances of the three institutions within the period from year 2015 to 2022. However, it is hoped that there would be additional studies conducted to vitalize the variety of traditional dance events in permanent performances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s in order to achieve various activations of traditional dance events in permanent performances.

      •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나타난 놀이의 교육적 측면 분석

        주연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놀이 속의 교육’을 주장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이 놀이와 교육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에 따라 놀이의 교육적 측면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놀이 속의 교육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이론적인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나타난 ‘교육’의 의미는 무엇인가? 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나타난 교육의 주체는 어떠한가? 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나타난 교육 소재로서의 놀이의 의의와 놀이의 교육적 측면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놀이와 교육은 딜레마 관계’라는 인식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정말 놀이와 교육이 딜레마 관계라면, ‘놀이 속의 교육’은 어떠한 개념인가? 이러한 의문을 풀어가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이론이 아니라 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인 교육본위론을 근거로 하여 놀이와 교육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 가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과 누리과정 집필진의 학술지 문헌 2편을 함께 분석하였고, 그 결과 관습적, 용병 학문적, 결과 위주의 세 가지 잘못된 교육관과 관련된 내용을 찾을 수 있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던 것은 결과 위주의 교육관이었는데, 이에 따라 교육은 목적 달성을 위한 활동이며 놀이는 그 자체가 목적인 순수한 활동이기에 놀이와 교육이 딜레마 관계라는 도식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교육본위론의 관점에서 이는 잘못된 교육관으로 인해 형성된 교육에 대한 오해와 왜곡이다. 그렇다면 진정한 교육이란 무엇이고, 놀이는 진정한 교육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 문제 나와 다는 이와 같은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설정되었다. 교육본위론에서 정의하는 교육의 내재율에 근거하여 누리과정의 서술을 분석한 결과 크게 교육 주체, 교육 소재, 교육활동의 세 가지 분류를 통해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먼저 연구 문제 나는 교육 주체에 대한 부분이다. 기존의 관습적 교육관에서는 교육의 주체를 고정된 역할을 가진 두 개의 개념으로 나누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본위론에서는 교육의 주체는 고정된 역할을 가진 개념이 아닌, 능동성과 자발성을 가지고 무엇인가를 알고자 하며(상구) 혹은 다른 사람에게 어떤 것을 알아가는 과정을 설명하고자(하화)하는 존재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교육본위론의 교육 주체에 관한 설명은 놀이 속에서는 어느 유아든지 자유롭게 상호작용하며 교사 또한 이들의 놀이를 존중하며 공동 놀이자로서 상호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누리과정의 놀이 주체에 관한 내용과 유사한 측면이 많다. 또한 누리과정의 서술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측면에서 상구와 하화, 교사의 측면에서 상구와 하화에 대한 내용을 모두 찾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위와 같은 놀이 주체와 교육 주체에 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놀이가 교육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교육본위론에서는 교육을 수도계의 품위를 소재로 삼아 성립한다고 보고 있는데, 놀이 속에서는 세속계, 수도계, 교육계가 모두 공존하고, 자유롭게 상호작용하는 등 고유한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품위를 소재로 삼아 상호작용하는 교육의 소재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활동으로서 놀이는 어떠한 의의가 있는지 교육본위론에서 분류한 교육활동의 8가지 종류를 분석 틀로 설정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누리과정에서는 소재 선택, 교육적 교섭, 교육 열정 유발, 교육여건 조성, 교육평가의 5가지 교육활동의 종류에 해당하는 서술들을 찾을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놀이가 좋은 교육활동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나머지 3가지 교육활동(교육 요청, 교류 교육, 다단계 교육)에 관한 부분도 그 단서가 될 수 있는 서술은 찾을 수 있었으나, 그 의미상 구체적인 상황에서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라고 여겨져 문헌의 간단한 서술로는 정확한 파악이 어렵다는 판단하에 그와 관련된 부분은 생략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본위론에 근거하여 누리과정 해설서를 문헌 분석 함으로서 놀이와 교육이 서로 대립하는 개념이 아니라, 유사성이 많은 상호보완적 개념이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놀이와 교육 모두 실제적인 활동이기 때문에 문헌 분석만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는 측면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앞으로 본 연구를 토대로 추후 현장에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놀이 속의 교육이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지, 또 그 의미는 무엇인지 더욱 깊이 있는 탐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응급실 간호사의 에니어그램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주연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응급실 간호사의 성격유형을 파악하고 응급실 간호업무에 적합한 성격의 소유자인 간호사를 응급실에 배정함으로써 업무의 능률을 높이고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써 이직률을 낮추는 효과적인 간호인력 관리에 도움이 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의 A와 S소재에 위치한 종합병원이상 근무하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총 170부를 배부하였고 162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10월 13일부터 11월 3일까지 응급실 간호사 162명은 배포된 자기기입방식의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분석방법은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직무만족도, 이직의도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격유형별,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차이는 t-test, ANOVA, Scheffe test으로 분석 하였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ANOVA로 분석하였고,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급실 간호사의 에니어그램 9가지 성격유형 중 9유형(중재자)이 40.7%(66명)로 가장 많았으며, 힘 중심 유형별로는 장(본능)중심이 97명(59.9%)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격유형,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차이에서 성격유형은 남자가 9유형(중재자) 52.4%, 여자도 9유형(중재자)이 39.0%로 높게 나타났다(p<.05). 학력별로는 3년제 학사졸업과 4년제 학사 이상 모두 9유형(중재자)이 높게 나타났다(p<.001) 1년 이내 이직할 계획별로도 이직 계획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모두 9유형(중재자) 높게 나타났다(p<.05). 힘 중심 성격유형에서는 학력별로 장(본능)중심은 3년제 학사졸업이 61.8%, 머리(사고)중심은 4년제 학사이상이 36.7%, 가슴(감정)중심은 3년제 학사졸업이 22.5%로 높게 나타났다(p<.01). 응급실 근무경력별로는 장(본능)중심은 2년 이상의 75%, 가슴(감정)중심은 1년 미만이 27.9%로 높게 나타났으며, 머리(사고)중심은 응급실 근무경력이 없는 사람이 32.1%로 높게 나타났다(p<.05). 직무만족도에서 종교는 천주교보다 기독교가(p<.001), 학력은 4년제 학사이상이 (p<.05), 직무만족이 만족한 경우(p<.001), 이직할 계획이 없는 경우(p<.001)가 직무만족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직의도에서 종교는 천주교가 (p<.001), 임상 경력 별로 2년 이상-5년 미만이 (p<.01), 직무만족도는 ‘불만족하다’(p<.001), 1년 이내 이직할 계획에 대해서는 ‘그렇다’(p<.001)가 이직의도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에서 직무만족도는 1유형(개혁가), 2유형(조력가), 3유형(성취자), 5유형(사색가), 8유형(지도자)이 3점 이상으로 비교적 직무만족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힘 중심 유형별로는 가슴(감정)중심 3.08점, 머리(사고)중심 3.01점, 장(본능)중심 2.98점으로 직무만족 수준이 비슷하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직의도는 1유형(개혁가), 2유형(조력가), 4유형(예술가), 6유형(충성가), 7유형(낙천가), 8유형(지도자), 9유형(중재자)이 3점 이상으로 비교적 이직의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힘 중심 유형별로는 살펴본 결과 가슴(감정)중심 3.15점, 장(본능)중심 3.49점, 머리(사고)중심 3.34점으로 이직의도 수준이 비슷하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의 관계는 9가지 성격 유형 중 5유형(사색가) r=-.780(p<.01)이 부적인 상관이 가장 높았으며, 힘 중심 유형 중 머리(사고)중심 r=-.671(p<.01)이 부적인 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응급실 간호사를 배정할 때 성격유형을 고려하여 배정한 후 그에 따른 자신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발전시켜 건강하게 성장한 모습으로 환자를 간호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which help effective nursing resources management by improving nursing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figuring out emergency room nurses’ character type according the Enneagram types and allocating nurses suitable for nursing tasks of emergency room.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emergency room nurses who work at polyclinics in Gyeong-gi province, and data had been gathered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one hundred sixty two nurses by self-reporting method for three weeks since 13 October 2014 and had been analyzed.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for nurses’ demographic data, Enneagram type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s to change the job, and t-test, ANOVA, Scheffe test were used for testing the difference of Enneagram typ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demographic data. Therefore, ANOVA was used to figure out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Enneagram type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pplied to find out cor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Enneagram types This is the summary of the study. Firstly, associated with the Enneagram types, most emergency room nurses were type nine, The Peacemaker, as 40.7 percent (66people) and 59.9 percent (97people) of nurses were Gut (instinct) centered among the Strengths centered types. Secondly, in the difference among Enneagram types,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by emergency nurses’ demographic data, related with Enneagram types, most men were type nine, The Peacemaker, as 52.4 percent and most women also were type nine, The Peacemaker, as 39.0 percent (p<.05). Related with the level of education, most three-year college graduates and university graduates were type nine, The Peacemaker (p<.001). Also, the type nine were high both when they reported they change their jobs in a year and when they do not (p<.05). At the strengths centered types, when nurses were three-year college graduates, most of them were Gut (instinct) centered as 61.8 percent, and when they were university graduates, 56.7 percent, and 36.7 percent of university graduates were head (thinking) centered and 22.5 percent of three-year college graduates were heart (feeling) centered (p<.01). Related with experience of emergency room, when they had more than two years, 75 percent of nurses were Gut (instinct) centered and when they had under a year of experience, they were heart (feeling) centered as 27.9 percent high, and when they have no experience of emergency room, 32.1 percent of them were head (thinking) centered, and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5). The job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when their religion was Christianity than Catholicism (p<.001), and it was high when they graduated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p<.05), when they get satisfied with their job (p<.001) and when they did not have intention to turnover (p<.001). The turnover intention was relatively high, when their religion was Catholicism (p<.001), when they had experienced between two and five years (p<.01), when they chose ‘not satisfied’ for job satisfaction (p<.001), and when they reported ‘yes’ for turnover within one year (p<.001). Thirdly, for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according Enneagram types of emergency room nurse, when the nurses were type one, The Reformer, type two, The Mentor, type three, The Achiever, type five, The Investigator, or type eight, The Challenger, they were all over three points means high satisfaction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nd related with Strengths centered types, heart (feeling) centered scored 3.08, head (thinking) centered scored 3.01, and gut (instinct) centered scored 2.98, so tha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For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when the nurses were type one, The Reformer, type two, The Mentor, type four, The Designer, type six, The Troubleshooter, type seven, The Enthusiast, type eight, The Challenger, or type nine, The Peacemaker, all of them had high intention for changing jobs as over three points,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nd related with Strengths centered types, heart (feeling) centered scored 3.15, gut (instinct) centered scored 3.49 and head (thinking) centered scored 3.34. Therefore, they had almost same level of intentions to change their jobs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Fourthly, in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by Enneagram types of emergency room nurse, type five, the Investigator, showed most high negative correlation as r=-.780(p<.01) and for the Strengths centered types, head (thinking) centered reported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as r=-.671(p<.01). In conclusion, when allocating nurses to emergency ro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by appointing them through their Enneagram type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become healthily grown up to attend patients.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관련 변인

        주연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양육죄책감을 갖는 요인은 무엇이며, 양육죄책감에게 영향을 주는 변인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자녀가치관, 그리고 어머니와 관련한 변인(취업유무, 연령)과 자녀 관련 변인(월령, 출생순위)과의 차이 및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미치는 변인들 간의 영향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완벽주의 성향, 자녀가치관은 어머니 개인 변인(연령, 취업유무), 자녀 변인(월령, 출생순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완벽주의 성향, 자녀가치관, 어머니 개인 변인(연령, 취업유무), 자녀 변인(월령, 출생순위)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 개인 변인(연령, 취업유무), 자녀 변인(월령, 출생순위),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녀가치관이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7곳의 어린이집, 유치원에 다니는 영아(0~36개월 미만)와 유아(36~60개월 미만)를 둔 어머니 31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용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성정원(2011)이 수정,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은 조복희 외(2000)가 수정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자녀가치관은 이삼식 외(2005)가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상관분석, t-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중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의 경우 어머니의 연령에서 35세 이하인 경우, 36개월 미만인 자녀를 두고 자녀의 출생순위가 첫째인 경우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의 경우 어머니의 취업유무에서 미취업모와 자녀의 출생 순위에서는 첫째인 경우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의 경우 자녀의 출생 순위에서만 첫째인 경우에 차이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에서는 높은 기준 설정에 있어서만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차이가 났으나 자녀가치관에서는 아무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양육죄책감의 3가지 하위요인인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과 어머니․자녀 관련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은 자녀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높은 기준설정과 관련된 완벽성, 자녀의 가치관 중 정서적 가치관과 상관이 있었다. 즉, 자녀의 출생순위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높은 기준설정과 관련된 완벽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가치관이 정서적 가치관일수록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은 어머니의 연령, 자녀의 월령, 자녀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높은 기준설정과 관련된 완벽성, 자녀가치관의 두 하위변인인 정서적 가치 및 도구적 가치와 상관이 있었다. 즉,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자녀의 월령이 낮을수록, 자녀의 출생순위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높은 기준설정과 관련된 완벽성이 높을수록, 자녀가치관이 정서적 가치관과 도구적 가치관일수록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의 경우 자녀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실수 또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완벽성, 자녀가치관 중 도구적 가치관과 상관이 있었다. 즉, 자녀의 출생순위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실수 또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 완벽성이 높을수록, 자녀가치관 중 도구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어머니, 자녀 관련 변인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녀가치관 중 정서적 가치, 자녀의 출생순위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은 하위요인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달랐다. 특히 자녀의 출생순위와 자녀의 가치관은 양육죄책감에 영향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관한 이해에 이론적인 기여를 했다고 본다. 또한 어머니가 가진 자녀가치관 인식과 자녀의 출생순위가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임을 규명함으로써 어머니들이 갖는 양육죄책감을 비롯한 심리적인 부담감의 경감을 위한 방안을 시사하였다는데 실용적 의의가 있다. The main focus of the research study was to look at variables regarding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nd variables related to the mother,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xt-related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12 mothers of infants (0~36months) and toddlers (36~60 month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mother's parenting guilt, mother's perfectionism, mother's value of children.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Differences appeared in mother's parenting guilt in accordance with each subfactor. However, as for mother's perfectionism, there was differences in only choosing high standard and over whether they're employed or no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ther's value of children. Second,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mother's parenting guilt and mother-children related variable factor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y each subfactor. Third, Analyzing comparative influences that mother-children related variable factors affect mother's parenting guilt, emotional value and birth order influenced in order of children of mother's value of children. Fourth, As for mother's parenting guilt, variable factors that affect in accordance with subfactors differed. Particularly, children's birth order and children's value influenced mother's parenting guilt. This present research has identified that factors predictive of mother's parenting guilt differentiates depending on the mother's has further contribute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mother's parenting guilt. It also has established mother's recognition of their value of children, child's birth order as an important factor to predict parenting guilt, and therefore has practical significance to inform a plan to reduce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nd/or psychological burdens.

      • 아동이 지각한 부모기대, 자아개념, 성취동기와의 관계

        주연진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 기대와 아동의 자아개념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를 밝혀 봄으로써 부모 기대가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아동 52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아동의 자아개념의 경우 고진영(2004)이 개발한 초등학생용 자아개념 4점 척도로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성취동기는 주윤옹(2000)이 중앙교육평가원에서 출판한 ‘정의적 특성검사 편란’실려 있는 유창렬(1985), 조남두(1993), 박한규(1976) 등에서 성취동기와 관련된 것만 추출한 문항들을 초등학생에 맞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부모기대의 측정은 김호권(1979)에 의해서 사용된 자아개념 척도와 박경숙, 이혜선(1976)의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 척도를 참고하여 백영배(1985)가 제작한 부모기대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을 위해 t 검정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기대의 수준은 성별에 있어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부적상관을 보였다. 출생순위에 있어서는 첫째아가 둘째아 이상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아동이 지각한 자아개념의 수준은 성별에 있어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부적상관을 보였다. 출생순위에 있어서는 첫째아가 둘째아 이상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아동이 지각한 성취동기는 성별에 있어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출생순위에 있어서는 첫째아가 둘째아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상관은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기대와 아동의 자아개념은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기대와 아동의 성취동기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와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의 부모양육태도나 부모 중 어머니 측면, 교사만에 국한 되어 있던 것에서 부모 모두와 관련하여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 기대에 따른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기대의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 긍정적 형성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고 부모교육 자료의 기초가 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고장 장비의 효율적인 조치를 위한 작업일지 데이터 비정형 분석 사례연구

        주연진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비즈니스IT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의 데이터의 80%이상은 비정형 데이터라고 한다. 데이터의 양과 복잡도가 계속 증가하면서 대량의 비정형 데이터 수집과 분석 및 활용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렇기에 방대한 양의 비정형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분석이 용이하도록 비정형데이터를 정형화시키고 새로이 정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온톨로지와 같은 분류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온톨로지 구축으로 비정형 데이터의 정형화가 가능하고, 이는 데이터의 유지보수 관리 측면에서도 유용하다. 더불어 비정형데이터를 정형화할 때에 특정 키워드가 많이 출현한 경우, 키워드로 해당 문서를 분류한다. 하지만, 문맥상의 의미에 따라 키워드의 의미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키워드 빈도수 기반의 정형화 방법론이 아닌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N사의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키워드 빈도수 기반의 정형화가 아닌, 룰 기반으로 문장 단위의 분석을 통해 정형화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비정형데이터를 정형화하기 위해 IBM의 Watson Explorer를 활용하였다. 툴을 활용한 비정형데이터 정형화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이를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얻게 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More than 80% of enterprise data is unstructured data. As data volume and complexity continue to increas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large amounts of unstructured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util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use a large amount of unstructured data. In order to analyze unstructured data, unstructured data should be formalized and newly defined to facilitate analysis.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classification system like ontology. It is possible to formulate unstructured data by constructing an ontology, which is also useful in maintenance of data. In addition, when a large number of specific keywords appear at the time of stereotyping unstructured data, the document is classified by keywords. However, since the meaning of a keywor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context, a new methodology is requir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keyword frequency based formatting methodology. In this study, we used N project to formalize through rule - based sentence - level analysis rather than keyword frequency - based formalization. The researchers used IBM's Watson Explorer to format the unstructured data. This paper presents the process of unstructured data formatting using tools and present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that have been obtained through case studies.

      •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영어 수업이 학습자의 학업 수준에 따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주연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factors which is confidence, interest, anxiety and satisfaction from English classes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PBL). Especially,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students' affective filters can change from English classes applying the PBL in relation to their English levels. Students' original English levels were determined from 2 different exams conducted in school with a total of 46 learner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levels: A level, B level and C level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6 students who are 7th graders in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in 2019. The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for two weeks. The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the preliminary and post ones about affective domains which are evaluating confidence, interest, anxiety, satisfaction and students' opinions about studying English through the PBL. In this study, Changes in students' affective factors are analyzed by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After fully managing English classes applying PBL, this study is used and analyzed with Repeated Measured MANOVA in order to figure out the changes of affective domains in different English levels of learner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BL positively increased students' confidence, interest, and satisfaction and decreased anxiety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and post survey. Especially, Out of all the learners, B level students showed the biggest change than the other levels and A level students showed the least amount of change. This could be seen and explained from open ended questions and self reflection journal. When B-level students encountered difficult problems, they asked help to A-level students and when C-level students found difficult problems, both A and B level students had a chance to help them out and from that process, higher level students accidentally reviewed what they already knew. Due to this operation, B-level student improved the most. Second, students evaluated differently towards the english classes applying PBL depending on their English levels. A level student identified PBL as a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and expected to improve their English with it but found difficulties in time due to the fact that they had to work along with the other levels. B level students evaluated PBL positively attributable to the synergy effect from learning together but some claimed teacher centered class was more comfortable for them than PBL. C level student identified PBL as a positive problem solver with the learning experience but their dependency of friends and teachers and difficulty in application turns out to be the negative feedback in post surve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rovement of affective domains and the students’ performance in class did not show any meaningful result. The performance of students in class was not about the improvement of affective domains but about their original English levels. This needs to be studied more later. There were critical limitations in the study in terms of short-term period, small size of the collected subjects, and a limited location of the study. Consequently,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ir affective factors and students’ levels can lead up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nglish skills and developing well-planned and sophisticated teaching methods for EFL learners. Overall,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more concrete and practical pedagogical curriculum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signing an English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learners' English ability. 본 연구는 서울의 한 사립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영어 수업이 중학교 학습자의 학업 수준에 따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려고 한다. 이를 통하여 실제 중학교 수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문제중심학습이 사용 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약 2주간 중학교 1학년 학생 4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약 1년간 강의식 수업을 받아온 4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주당 3차시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해 영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교에서 두 차례 시행된 영어 시험 성적 평균을 기준으로 학습자를 상위, 중위, 하위집단으로 나눈 후, 문제중심학습을 하기 전과 후를 비교해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학습자의 학업 수준에 따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전 사전 설문을 실시해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에 대해 측정하였고, 약 2주간 6차시 문제중심학습을 실시한 후 사전에 실시한 설문지와 동일한 설문지 한 부와 문제중심학습을 통한 영어 수업에 관한 사후 평가를 측정하기 위해 개방형 설문지 한부를 함께 배포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업 수준(상,중,하)에 따라 문제중심학습을 통한 영어 수업 후 정의적 측면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학업 수준에 따라 문제중심학습을 통한 영어 수업에 관한 사후 평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의 향상이 학습결과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영어 수업은 모든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으며, 강의식 수업을 했던 사전에 비해 사후에 모든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있어 점수가 상승했다. 특히 상위권과 하위권 학습자에 비해 중위권 학습자의 상승이 가장 컸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사후에 실시한 개방형 설문지와 자기성찰일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중위권 학습자의 경우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는 상위권 학습자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고, 하위권 학습자에게는 모르는 부분을 가르쳐주면서 다시 한 번 복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됨으로써 정의적 측면의 상승이 가장 컸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학업 수준에 따라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영어 수업에 대한 사후 평가에는 차이가 있었다. 학습자들이 언급한 텍스트 요소 중 빈도수가 높은 공통요소를 분류한 결과 협동학습, 긍정적 학습경험, 영어능력향상, 친밀감, 책임감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협동학습에 있어, 중위학습자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한 반면 상위학습자들은 혼자 학습하는 것이 더 좋다는 의견이 많았다. 학습경험 부분에 있어, 상위학습자의 경우 PBL 수업을 긍정적 학습 경험으로 인식했지만 중위와 하위학습자의 경우 낯선 학습 방법과 학습 환경으로 인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영어능력향상에 대한 기대 부분에 있어, 상위학습자의 경우 영어능력 향상에 있어 긍정적 기대를 보였지만, 하위학습자의 경우 기존의 수업 방식을 더 선호했다. 친밀감 부분에 있어, 하위학습자의 경우 친한 동료 학습자와 함께 함으로써 긍정적 시너지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지만 일부 하위학습자의 경우 모둠 구성원과 유대관계 형성이 어려운 경우 부정적 의견을 보였다. 책임감 부분에 있어, 상위학습자와 일부 하위학습자의 경우 모둠의 규칙을 준수하기 위해 열심히 참여했지만, 하위학습자의 경우 자신의 학습 결손을 동료 학습자에게 의존함으로써 자신의 과업에 대한 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의 향상이 학습결과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학습 결과물은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의 향상의 문제라기보다는 학습자의 학업 성적에 따라 결과물이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이 부분에 있어서는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려 된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영어 수업은 영어 학습에 있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효과적임이 밝혀졌으며, 많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정의적 측면의 향상은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영어 수업은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학업 성취에 있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제중심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를 설계하는 교사는 여러 학업 수준이 섞여 있는 모둠 안에서 학습이 일어나는 문제중심학습을 설계할 때, 학습자의 학업 수준을 충분히 고려해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자 스스로가 만들어 낸 지식체를 통해 학습을 경험 하는 문제중심학습을 진행 할 때 교사는 학습자가 학습에 있어 주인의식을 발현시킬 수 있도록 성취 경험과 오류에 대한 격려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의 추진실태 및 개선방안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주연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이 추진중인 전라북도 13개 시군 총 55개 읍면을 대상으로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