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조세전략 : 외국인직접투자기업과 국내기업간의 조세회피차이에 관한 연구

        주순옥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이 국내기업과 비교하여 차별적인 조세전략을 구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정부는 2018년 7월 외국인투자기업에 대한 법인세와 소득세 감면제도를 폐지한다는 내용이 담긴 '투자유치지원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하였다. 외국인직접투자자를 유치하는데 조세지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법인세 감면을 폐지하는 방안은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는데 많은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이 국내기업과 비교하여 차별적인 조세전략을 구사하고 있는지 그리고 법인세 감면혜택이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조세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기업의 조세전략이 조세비용과 비조세비용간의 선택의 문제라고 봤을 때 외국인직접투자자의 조세전략은 일반국내기업과 비교하여 두 가지 측면에서 차별적인 행태를 보일 수 있다. 첫 번째로 외국인투자촉진법상 명시된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기업 가치를 중요시하는 동반자적 투자자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은 단기 차익을 추구하기 보다는 직접적인 반대급부가 없는 조세비용의 절감을 통해 기업에 부가 축적되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투자를 하거나 사내에 유보되는 것을 추구할 것이다. 반면, 정부정책상 외국인투자자 유인책으로서 사업개시일부터 일정기간동안 전액 혹은 50%의 조세감면을 받게 되는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경우는 최저세율 10%에서 최고세율 25%까지 적용되는 일반국내기업과 달리 조세부담이 없기 때문에 조세회피유인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증분석결과, 외국인직접투자기업과 국내일반기업 간의 조세회피정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세감면을 받은 기간에는 조세회피의 유인이 없으므로 세액감면을 받은 기간 이후로 한정하여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이 일반국내기업과 비교하여 차별적인 조세전략을 구사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외국인 직접투자기업이 국내일반기업 보다 조세회피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차입 및 경영참가 등을 통해 사업수익을 추구하는 외국인 직접투자기업의 특성에 따라 반대급부 없는 조세비용을 감소시키려는 유인이 일반 국내기업보다 훨씬 큰 것으로 해석된다. 외환위기를 계기로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수가 급증하여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영향력은 계속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우리 경제에 외국인직접투자자가 어떤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냉철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이 동반자적 투자자로서 국내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외국인직접투자자의 각종 지원정책은 타당성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법 개정도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s are using differentiated tax strategies compared to domestic firms. The government announced in July 2018 that it would abolish the corporate tax and income tax exemption system for foreign-invested enterprises. In the situation where the tax suppor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ttracting foreign direct investors, the abolition of corporate tax exemption gives rise to concern that it may reduce attrac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is study, we examine whether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s have differentiated tax strategies compared to domestic firms and whether the corporate tax exemption benefits are affecting the tax strategie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s. If the corporate tax strategy is a matter of choice between tax costs and non-tax costs, the tax strategy of foreign direct investors can show different behaviors in two ways compared to general domestic companies. First, foreign direct investment companies specified in the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 have characteristics as companion investors who value the enterprise valu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refore, foreign direct investment companies will seek to accumulate additional profits in the corporation by investing to create more profits or to be reserved in the company, rather than seeking short-term profits. On the other h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companies that are subject to tax exemption are expected to have a low incentive to avoid tax because they do not have tax burden.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ax avoidance between foreign direct investment companies and domestic general companies. However, since there is no incentive for tax avoidance during the tax exemption period,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s have higher tax evasion than domestic firms. This is becaus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foreign direct investment companies seeking business profit through borrowing and management participation are more likely to incentive to reduce tax costs than domestic firms. As a result of the foreign exchange crisis, the propor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companies in the domestic economy has continued to incre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oreign direct investors on our economy. Considering that FDI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economy as a companion investor, various support policies of foreign direct investors are considered to be more feasible.

      • 우수초등영어교사의 교사인지, 교수실행, 전문성 신장에 대한 사례연구

        주순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eacher cognition, instructional practic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re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who are acknowledged as having expertise in teaching. Five to eight English lessons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per teacher, and three to five interviews with each teacher were conducted. Each teacher’s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ree to six students per teacher were interviewed. A school administrator of each teacher was interviewed as well. Other data include teaching journals, students’ learning logs, and the documents to certify teacher participation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teachers' prior experiences strongly influenced their teacher cognition. They had positive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and extensive English teaching experiences, which had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heir current instruction. As in-service English teachers and teacher learners, they also participated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voluntarily.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teacher cognition constructed through these experiences influenced their instructional practices. In addition, they were enthusiastic about teaching and took responsibility for their students' learning, which helped formulate their English teacher identities. Second, the teachers' instruc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and knowledge. They made efforts to apply what they had learned from English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their own classroom teaching. Based on their understandings of learners, they set appropriate lesson goals, selected whether to speak in English or Korean in order to achieve their goals effectively, reorganized lessons, and managed their classrooms depending on their students and the context. In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reflecting on their English lessons, they used their previous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and dealt with student response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In addition, the three teachers’ teaching effectiveness was increased by their consideration of learners' proficiency levels, the Englis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national and institutional policies o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Lastly, the teachers developed professionally as they reflected on their lessons continuously with open-mindedness and a sense of ownership about teaching, analyzed their students' responses and learning outcomes, and reconceptualized their own instruction. Furthermore, in order to develop their teaching abilities, they were willing to open their classrooms to colleagues and experts in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gain feedback on their instruction. In their efforts to improve their language and instructional skills,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s well. In conclusion, the three expert teachers' classroom practices were largely consistent with their teacher cognition. The teachers reflected on their teacher cognition and teaching practices by observing students’ performance as well as by observing themselves. Therefore, the utmost effort was made to fill the gap between their theories and classroom practices. The contexts of students, school, and curriculum were always considered and dealt with in a flexible manner. In doing this, the teachers actively contributed to students’ learning and their own learning. Elementary English teachers will be able to apply the findings about the three expert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o their own self-directed teacher development. The findings imply that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be undertaken from long-term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In addi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more experience-based and field-based. The programs should provide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consider their own previous lear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as well as their current instructional settings and to analyze and reflect on their classroom teaching. Using data from three expert elementary English teachers, their students, and the administrators of the schools where the teachers work, this study explored the teachers’ teacher cognition, classroom practic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research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lassroom lessons, research, and policies related to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본 연구는 초등영어교사 중에서 우수 교사로 인정받은 세 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인지를 살펴보고 실제수업의 특성을 분석하고 전문성 신장의 과정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세 교사의 수업을 각각 한 단원인 5차시에서 8차시의 수업을 관찰하고 비디오 녹화를 했으며, 교사별로 3회에서 5회의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각 교사의 학생들은 설문지를 작성했고, 교사 당 3-6명의 학생들이 인터뷰에 응했다. 학교 관리자인 교장, 교감 선생님의 인터뷰도 행해졌다. 교수일지, 학생들의 배움 일지, 연수 이력 자료 등의 자료도 수집되었다. 이처럼 다면화된 자료를 분석하고 범주화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우수 초등 영어 교사의 교사인지의 특성으로는 교사의 경험적 요소가 교사인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가 되기 이전에 긍정적인 영어 학습을 경험했고, 이는 풍부한 교수 경험과 상호작용하여 현재의 교수 경험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사가 된 이후에도 세 교사들은 능동적인 교사 학습자(teacher learner)로서 전문적 학업과정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이렇게 발전된 교사인지의 지식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들이 모두 실제 수업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수업에 대한 열정과 학생들의 학습에 책임감을 가지고 임하며 초등 영어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우수 초등 영어 교사의 실제 수업의 특징으로 교사의 경험과 지식이 교수실행과 연관되어 있었다. 그들은 영어 학습, 교수, 교사교육 경험에서 배운 것들을 실제 수업 현장에서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적절한 교수 언어를 선택하며, 학생과 맥락에 따라 단원을 재구성하고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다.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고 반성하는 과정에서 이전 경험들을 활용해 맥락에 따라 학생들의 반응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있었다. 또한, 우수 초등 영어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 교육과정, 여러 정책들을 감안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는 교수실행을 할 수 있었다. 셋째, 우수 초등 영어 교사의 전문성 신장의 과정을 살펴보면, 자신의 수업에 대한 열린 사고 및 교수에 대한 주체의식으로 본인의 실제 수업 현황을 성찰하고, 학습자들의 반응 및 학업성과를 분석하며, 자신의 수업을 재인식함으로써, 영어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발전시키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수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학생, 동료 교사 및 전문가 집단 등의 다양한 관점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었다. 우수 초등 영어 교사의 경우, 초등 영어와 초등 교사의 전문성을 모두 확보해야 하므로 전문성 계발 과정에서도 언어와 교수법에 대한 연수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세 교사의 교사인지는 교수실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수 초등 영어 교사는 학생들의 수행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수업에 대해서도 성찰함으로 그들의 교사인지와 실제수업을 점검하고 있었다. 우수 초등 영어 교사들은 교사인지와 수업실행 사이에서의 간극을 채우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학생, 학교, 교육과정을 고려해 유연하게 대처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과 그들 자신의 교사교육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었다. 초등 영어 교사들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초등 영어 교사의 전문성 제고의 사례와 핵심 요인을 자기 주도적이며 적극적인 전문성 개발의 계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 영어 교사의 전문성은 보다 장기적이고 통시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각 교사의 학습자 및 교사로서의 사전 경험을 중시하고, 현 교수맥락을 고려하며, 수업행동을 분석하고 이에 대해 성찰하게 하는 등 보다 경험과 현장 중심적인 교과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 명의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들과 학교 관리자의 관점도 살펴, 우수초등영어교사의 교사인지, 수업실행 및 전문성 신장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영어 교사교육 및 초등영어교육의 현장, 연구, 정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유아⋅보육교사의 일터영성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주순옥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place spirituality, happiness and teaching efficacy. Also, to examine the teaching efficac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happiness and workplace spirituality. U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ways of improving early childhood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will be suggested. Data required for this research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Ulsan metropolitan city for 4 months, from September 1st to December 31st of 2019. Random sampling method was selected for sample extraction. 382 responses were returned for further analysis, out of 400 questionnaires. However, 367 personnel were consider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15 inadequate responses. For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regarding workplace spirituality,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Inner, vocational, empathy, community and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were included as the sub-factors of workplace spirituality. And the sub-factors of teaching efficacy consisted of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teaching, discipline, connecting with home and local organizations, and creating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process the data, frequency,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were conducted. Significant level was set to .05 and SPSS 22.0 statistical technique was used. From this study,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ly,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place spirituality and teaching efficacy confirmed that 'vocational, empathy, community, and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the sub-factors of workplace spirituality, had a partial positive impact on teaching efficacy. Secondl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happin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factors of workplace spirituality, such as vocational, empathy, community, and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had a partial positive impact on inner, external and self-regulated happiness. Thirdly, an analysis regard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showed that the teaching, and creating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had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inner and self-regulated happiness. Finally, as a result of the teaching efficac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workplace spirituality and happin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factors of workplace spirituality, such as vocational, empathy, community and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have a partial or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inner and external happiness. In addition, vocational, empathy, and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which are sub-factors of workplace spirituality, were confirmed to have a partial or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self-regulated happiness. Following proposals were mad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kplace spiritua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eaching efficacy.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creases when they have a sense of vocation in their work and appreciate everything at work with a sense of community. Hence, to increase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centers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teachers could sympathiz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y also should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the teachers could work happily with pride and gratitud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kplace spirit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Early childhood teachers' inner, external and self-regulated happiness are affected by the vocational, empathy, transcendence and community consciousn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early childhood centers to provide opportunities in order for the teachers to love and encourage each other. Additionally, they also should create a work environment where the teachers could think that their workplace is the best and hence, for them to have a sense of pride and responsibility for what they do. Next,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happy through their teaching behaviour and the creation of a positive teaching environment. In order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ngage in teaching activities with confidence, the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offer several training sessions to improve their teaching behaviour. And the directors of the centers should not only let the teachers become the subject and participate in various forms of decision-making regarding their own teaching behaviors, but also need to trust and wait for the teachers to communicate with parents in confidence.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veral leadership training for the directors, so that they could create a positive and bright learning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Lastly, it was affirme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workplace spirituality and happiness. This means that working with a happy mind is affected by the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and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Therefor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need to provide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tools so that the teachers could work happily. It is also important for a mentor to be present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work happily, and the teachers should also have a sense of community in their workplace. Additionally,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s are required by the institutions, for the teachers to be mutually dependent on each other. Hence, in order for the teachers to heal each other through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a long-term plan to implement an annual curriculum is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보육교사의 일터영성, 교사효능감, 행복감 경향이 어떠한지, 일터영성이 행복감에 영향을 줄 때 교사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감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 유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19년 9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4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임의표집 방법에 따라 설문지를 나누어 주어 자기기재방법으로 설문 내용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82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되어진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지 15부를 제외하고, 367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일터영성, 교사효능감, 행복감의 설문을 측정도구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일터영성의 하위요인은 ‘소명의식, 공감의식, 내면의식, 공동체의식, 초월의식’으로, 교사효능감 하위요인은 ‘의사결정참여, 가정연계, 지역기관연계, 교수, 훈육,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등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행복감 하위요인은‘내적행복감, 외적행복감, 자기조절행복감’으로 구성하여 설계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분석, 빈도분석, 신뢰도와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05에서 검증하였으며,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내용과 같다. 첫째, 유아⋅보육교사의 일터영성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터영성의 하위요인인‘소명의식, 공감의식, 공동체의식, 초월의식’요인은 교사효능감에 부분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보육교사의 일터영성과 행복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터영성의 하위요인인‘소명의식, 공감의식, 공동체의식, 초월의식’요인은 ‘내적행복감, 외적행복감, 자기조절행복감’에 부분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중‘교수,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요인은 ‘내적행복감, 자기조절행복감’에 부분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보육교사의 일터영성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일터영성의 하위요인인‘소명의식, 공감의식, 공동체의식, 초월의식’요인은‘내적행복감, 외적행복감’에 부분 또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터영성의 하위요인인‘소명의식, 공감의식, 초월의식’요인은‘자기조절행복감’에 부분 또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논의 등을 토대로 하여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보육교사의 일터영성이 교사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자신의 일에 대한 소명감을 가지고 모든 일에 감사하며 공동체의식을 가질 교사효능감이 높아진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 원장은 유아⋅보육교사들이 서로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고, 유아⋅보육교사들이 자부심과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유아⋅보육교사의 일터영성이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아⋅보육교사들이 가지는‘소명의식, 공감의식, 초월의식, 공동체의식’에 의해 유아⋅보육교사들의‘내적행복감, 외적행복감, 자기조절행복감’은 영향을 받는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보육교사들 간에 서로 사랑하고 격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자신의 직장이 최고의 기관이며 자신이 하는 일에 자부심과 책임감을 가지고 즐거운 마음으로 출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유아⋅보육교사들은 자신의 교수활동과 긍정적인 학습 환경의 조성에 의해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보육교사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교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아⋅보육교사들에게 교수활동 향상을 위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 주고, 원장은 유아⋅보육교사들이 자신의 교수활동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과 관련된 여러 형태의 의사결정에 참여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부모님들과의 소통 시 자신감을 가지고 임할 수 있도록 유아⋅보육교사를 믿고 기다려 주어야한다. 또한, 유아⋅보육교사들에게 긍정적이고 밝은 학습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도록 원장 대상 다양한 리더십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유아⋅보육교사의 일터영성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아⋅보육교사의 교수활동과 긍정적 학습 환경은 유아교육기관에서 행복하게 일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보육교사들이 행복한 마음으로 일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위한 다양한 교재와 교구의 지원이 필요하다. 유아⋅보육교사들의 긍정적 교수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멘토의 지원이 필요하다. 한편, 유아⋅보육교사가 일터에서 공동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또한, 유아⋅보육교사들이 상호간 의지하며 함께 할 수 있도록 교육기관에서는 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의 제공이 필요하다. 유아⋅보육교사들이 서로 공감하고 힐링 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간 커리큘럼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중장기적인 계획의 제공이 필요하다.

      • 기업의 조세전략과 사회적책임활동(CSR)의 기회주의적 활용에 관한 연구

        주순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은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현대 사회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써 경영전략에 필수적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기업의 ESG에 대한 학계 및 정계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CSR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기업들은 막대한 비용이 소요됨에도 기업이 처한 고유의 경영환경에 의한 경영전략의 일환으로 CSR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기업 외부로 표현되는 윤리적 행위라 할 수 있는 CSR활동과 기업의 내부적 윤리 행위라 할 수 있는 조세회피와의 관련성 연구는 꾸준히 진행됐으나, 일관된 결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렇듯 CSR활동과 조세회피 간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혼재된 결과는 기업이 처한 환경적ㆍ경제적 상황에 따라 CSR활동을 기회주의적으로 사용할 유인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 우리나라는 1980년 이후 법인세율 인하만을 반복해 오다가 지난 2018년에 법인세율 과세표준 최고구간에 대한 세율을 22%에서 25%로 3%p를 인상하였다. 이와 같은 법인세율 변동은 기업이 통제할 수 없는 경제적 상황 변화로써 기업이 처한 고유의 경영환경에 따라 기업의 조세최소화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만약 기업이 처한 고유의 환경과 경제적 상황에 따라 조세최소화 전략을 수립한다면 세율인상 시, 조세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익은 최대한 세율인상 전 시점으로 조기 인식하고, 비용은 세율인상 후 시점으로 이연 인식하여 세율인상 시점의 과세소득을 낮추는 조세 전략을 수립할 유인이 있다. 반면, 세율 인하 시에는 비용은 최대한 세율 인하 전 시점으로 조기 인식하고, 수익은 인하 후 시점으로 이연 인식하여 인하 시점의 과세소득을 높이는 조세전략을 가질 유인이 있다. 이러한 조세전략 수립 과정에서 기업은 단기적으로 초기에 큰 비용이 수반된다는 CSR활동의 특징을 기회주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법인세율 변동에 따른 기업의 조세최소화 전략이 CSR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세율 인하와 인상 두 가지 측면에서 모두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8년까지 경제정의연구소의 KEJI지수 발표 리스트에 포함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법인세율 변동에 따라 기업의 CSR활동 수준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표본을 법인세율 인하 전·후 기간(2011년과 2012년)과 법인세율 인상 전·후 기간(2017년과 2018년)으로 구분하여 법인세율 변동에 따라 기업의 CSR활동이 유의미하게 달라지는지 변동세율 적용집단과 비적용집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검증 결과, 기업이 법인세율의 변동에 따라 CSR활동 수준을 달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추가적으로 KEJI 지수가 발표된 기업 표본만으로 법인세율 인하가 KEJI 지수 세부항목별 점수 수준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부 항목에는 유의한 음(-)의 값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일정 수준 이상의 CSR활동 수준을 유지하는 기업이라도 법인세율 인하 후 특정부분에 대한 CSR활동 수준을 낮추거나 유지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로써 기업이 단기적 관점에서 초기에 큰 비용이 수반되지만 비조세비용을 낮추면서 조세비용의 절감효과를 동시에 취할 수 있는 CSR활동의 특징을 인지하여 법인세율 변동에 따른 조세 전략 수립과정에서 CSR활동을 통한 비용 지출을 기회주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이 처한 환경적ㆍ경제적 상황에 따라 CSR활동이 조세 최소화 전략의 일환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질적 및 양적 확대가 지속적으로 권유되고 있는 기업의 CSR활동을 긍정적으로만 바라볼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기업의 조세전략 차원에서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법인세율 변동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법인세율 전ㆍ후 기간만을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법인세율 변동의 효과를 적용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 표본을 법인세율 인하와 인상에 따라 구분 선정하고 비적용 기업과의 차이를 비교 검증하여 구체화하였다는 공헌점이 있다. 하지만 법인세율 인상에 대한 표본 수가 작고, 해당 표본에서 KEJI지수가 공개된 기업도 한정되어 KEJI점수를 활용한 추가분석을 못 하였으며, 표본이 속할 세율 구간의 구분 시 추정 과세소득을 이용하여 실제 과세소득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과 CSR활동의 대용치로 JEJI지수를 사용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