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스트 모더니즘의 조형적 형태를 이용한 헤어디자인 연구

        주선화 남부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헤어 형태는 인간의 외적이미지인 외모만을 아름답게 변화시켜주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적 이미지 창출인 심신을 날로 아름다고 완전하게 만들어 전면적으로 발전적인 새로운 인간을 만들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의 양태의 재현적 학문분야가 그러하듯이 포스트모던한 헤어디자인도 탈구조적인 측면으로 이해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질감은 같으나 형태선이 다른 커트는 One length cut라 하며 보편적으로 무겁고 단발 Parallel cut 느낌을 연상한다. Pararel cut에는 정형적인 커트로만 모던한 감성을 창조의 개념에 접목하여 디자인한 결과 스타일링을 고전적인 안마름 보다는 겉마름으로 컬을 연출했을 때 발랄하고 산뜻한 느낌으로 표현되었다. 파팅 선에 의해 One length cut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었고, Spaniel cut 에는 포스트모던하고 시크해 보이는 부드러운 곡선적인 느낌의 뒷목선의 형태를 적용했고, Isadora cut는 무거운 느낌은 덜하고 페미니 스타일로 부드러운 느낌을 표현할 수 있었으며 커트기법은 형태선의 유연한 notching이나 질감으로 가벼움을 주면 훨씬 자연스럽고 우아한 느낌을 주었다. 또한 모던한 감성의 젊은 계층에 어필된 귀여운 Mushroom cut 는 무게감을 모발 끝에 주고 안마름으로 강하게 컬을 줄수록 큐티한 느낌이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One length cut가 더 많은 스타일로 다양하게 변화를 줄 수 있었다. 둘째, 질감과 angle에 따른 혼합형 커트에서는 Graduation cut 도 시술 각에 의해 연결되어 지고 미세한 층의 표현은 두피의 직각에 의한 각도에 따라 모발 표면에 디테일한 레이어를 만들어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파팅 선, 질감, 커트기법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게 표현되었다. 특히 메스 미디어의 사람들이 선호하는 헤어스타일에는 Graduation cut가 모던한 스타일로 빈번히 등장하고 있다. 셋째, 시술각의 변화에 따른 구조적 형태에 의한 선과 각의 조화로 Uniform layer cut에서는 두피의 어느 부분에서나 기준점을 설정하고 커트를 진행한다면 두상의 구조에 따른 자연스러운 길이매치를 이룰 수 있다. 이는 두상의 구조를 이용한 커트로 레이어를 이루는 부분이 중력의 힘에 의해 형태선이 이루어진다. 볼륨감을 원할 때 원하는 모근 부위에 tapering cut 해주면 볼륨감이 형성이 되고, 두상에 따라 층이 쌓여 자연스럽게 연출이 되었다. 구체적으로 과거의 헤어디자인을 그대로 차용하거나 복고화한 비독창적 헤어디자인이나 부조화나 미완성에 의한 몰개성성이 표현된 헤어디자인. 양성화된 디자인의 상호 텍스트성이 표현된 헤어디자인 등 탈구적 포스트모더니즘의 표현양상이 그러하다. 헤어 커트는 헤어스타일에 변화를 주고자 할 때 효과적인 방법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각도, 형태, 질감에 따른 스타일에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Increase layer cut 는 가벼움 느낌에 cut를 원하는 계층은 샤기커트, 울프커트 등에 사용하는데 Stroke cut 기법이나 Pointing 기법을 사용하면 더 가벼운 질감을 줄 수 있었다. Outward form of human hair only looks beautiful image, not stop, not from changes that help the human body and the date of the internal image changchulin completely made ​​that beautiful fully developed to produce new human beings can be seen as an important role. In addition, the representational aspect of postmodernism tend disciplines, as do one trillion aspects of postmodern dislocation of hair design is possible, you can understand. First, texture, form a line gateuna One length cut is another cut and commonly called Parallel cut heavy shot is reminiscent of the feeling. Pararel cut cuts only the formal concept of creating a modern sensibility designed by combining the classic styling of the results, rather than a massage Name when directed geotmareumeuro curls were expressed as a youthful freshness. One length cut by a parting line was able to apply a wide range, Spaniel cut sikeuhae the post-modern look and feel smooth, curved lines of the neck was applied in the form, Isadora cut heavy feeling your style, soft feel less feminist were able to express the form of cut-wire technique and texture of the flexible notching give light gave an elegant feel much more natural. In addition, younger layer of a modern sensibility eopildoen cute Mushroom cut the hair at the end of the weight and massage kyutihan Name to give, I feel strongly curls can be achieved. One length cut so the more varied in style and was able to give. Second, the texture and the angl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mixed cut Graduation cut the angle and connected by a layer of fine representation of the scalp hair, depending on the angl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by creating a detailed layer is giving. In addition to patingseon, texture, cut, depending on the variety of techniques to make changes to be expressed. Mass media, especially the Graduation cut hairstyles people prefer the modern style has been featured frequently. Third, due to changes in the structural form of each procedure by the lines and angles in harmony Uniform layer cut any part of the scalp eseona set the reference point and if the cuts go over the structure of the head matches the natural length can be achieved. This cuts to the head with the structure of the layers that make up part of the form line is made by the force of gravity. When you want a fuller tapering cut at the root that you want to become a fuller form, head, depending on the floor was piled up look natural. Specifically, hair design, as in the past, or retro car phones have unfinished bidokchangjeok Hair Design and co-expressed by the molgae seongseongyi Hair Design. Training highly qualified design, text representation of the cross-hair design aspects such talgujeok true representation of post-modernism. Hair cut hair style when you want to change through the effective way to study the angle, shape and textur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tyle showed. Increase layer cut also cut with a feeling of lightness to the desired layer syagikeoteu, Kurt Wolf, etc. Pointing to use Stroke cut technique or by using the technique was able to give a lighter texture.

      • 실상과 허상 이미지를 통한 자아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주선화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실에서 ‘있음’은 존재함을 말한다. 하지만 우리는 존재에 대해 정확히 정의 내릴 수는 없다. 존재란 우리가 ‘있다’는 것을 감각적으로 느끼며 알 수 있는 것이지만 언어로 표현하기에는 힘들다. 수세기 동안 철학자들은 이 존재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제각기 존재에 대하여 여러 가지 정의를 내려왔다. 하지만 아직도 존재에 대한 일치된 정의는 명확히 내리기가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존재란 무엇일까? 존재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존재란 있지만 손에 잡히지 않는다. 눈에 보이는 것일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보이는 것만을 존재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보이지 않는 내면 또한 존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런 존재에 대한 물음은 나라는 존재로부터 시작된다. 인간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은 각기 나라는 존재가 있어야 가능하다. 이것은 인간 전체 아니 존재하는 모든 존재자들에게도 해당되는 것이다. 나라는 존재자인 인간이 없다면 다른 존재의 ‘있음’에 대한 규정을 내릴 수 없을 것이다. 반대로 나라는 존재자만이 있고 다른 존재자들이 없다면 이것 또한 존재함을 입증할 수 없다. 그렇게 된다면 존재는 존재할 수 없게 되어버리게 된다. 본 논문의 연구는 이런 존재에 대한 물음을 시작으로 인간이라는 존재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그 중 가장 쉽게 접근하고 분석할 수 있는 대상인 ‘나’라는 인간에서부터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시작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존재의 실상과 허상의 이미지를 표현한 본인의 작품에 대한 연구 논문으로 대학원 연구기간 동안의 작업의 연구 배경 및 목적, 방법 등을 전개 및 서술한 것이다.

      • 학습코칭프로그램이 아동의 실행기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주선화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학습코칭프로그램이 아동의 실행기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저학년 학습코칭프로그램(박성옥 등, 2010)은 아동의 연령과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게임활동프로그램을 통한 주의력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시 유성구에 위치한 S초등학교 방과후 돌봄교실 아동 중 본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1, 2학년 아동 11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자기조절능력 척도에 의해 교사가 추천한 22명중 실험집단과 유사한 점수의 아동 11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학습코칭프로그램이 아동의 실행기능과 자기조절력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행기능의 검사는 스트룹검사, 유창성검사, 숫자거꾸로따라외우기, 미로검사를, 그리고 자기조절력은 자기조절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에 대한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코칭 프로그램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주의통제력 영역의 억제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아동의 주의통제 영역의 억제력 향상에 미치는 학습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면 단어점수에 대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5.89, p< .05). 또한 단어-색상점수에 대한 집단간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4.14, p< .05). 둘째, 학습코칭프로그램이 아동의 정보처리 영역의 유창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로서 정보처리 영역의 유창성 중 범주점수에 대한 집단간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4.46, p< .05). 셋째, 학습코칭프로그램이 아동의 작업기억 영역 향상에 미치는 효과로서 작업기억 영역 중 숫자바로외우기 점수에 대한 집단간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5.12, p< .05). 즉, 학습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M=11.18)이 통제집단(M=9.40)에 비해 작업기억 영역 중 숫자바로외우기 점수가 더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단, 작업기억영역 중 숫자거꾸로외우기는 유효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학습코칭프로그램이 아동의 실행기능 영역 중 목표설정 영역의 계획력을 향상시켰다.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목표설정 영역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서 목표설정 영역 중 미로점수에 대한 집단간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7.86, p< .05). 다섯째,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서프로그램 실시후 아동의 자기조절력 하위요인인 주의성에 대한 집단간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5.89, p< .05). 집중성에 대한 집단간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4.48, p< .05). 그러나,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중 침착성, 규범성, 대인관계 점수에 대한 집단간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학습코칭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실행기능을 향상시키고, 자기조절력의 주의성과 집중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노인장기요양보험 복지용구 공급과정 연구 : 복지용구사업소 중심으로

        주선화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구의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노인 장기요양 문제는 우리 사회가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2007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제정되면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입법 시행에 따라 재가급여로서 복지용구는 고령친화용품 산업의 발전에 많은 부분을 기여하였고 이는 노인의 삶의 질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평가 이면에는 복지용구의 비현실적 수가 적용 및 영세 사업소 운영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과도한 평가방식 등 복지용구사업소의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 사회에서 공공성을 위해 제도를 시행한 목적과는 달리 부정적인 결과들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에 따라 이루어지는 복지용구 공급과정에 대한 복지용구사업소의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복지용구 공급방안을 모색하여 정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는 그동안 복지용구 공급과정에 있어 밝혀지지 않았던 구조적 문제로 인한 복지용구사업소의 부담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정책의 질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에 따라 복지용구사업소를 운영하는 공급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복지용구사업소 관련자와의 인터뷰를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하였고 핵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유형화하였다. 주요 인식은 총 5가지로 함축되는데, 대여 및 위탁시장의 형성, 공급 불안정 문제, 타 사업과의 병행 구조, 비합리적인 평가구조의 개선, 사용 가능 햇수의 일괄적인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복지용구 사업소는 대부분의 현재의 복지용구 급여비용 책정이 비합리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복지용구사업소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관리운영기관인 공단이 규정하는 복지용구 공급과 관련한「복지용구 급여대상 품목 선정 및 급여비용 산정 등에 관한 세부사항」이 실제 운영환경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최근 몇 년 사이에 복지용구 공급과정의 생태계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치솟는 물가와는 달리 복지용구 급여비용은 점점 더 낮아지고 있으며, 다른 사업과 병행하지 않으면 복지용구사업소를 더 이상 운영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복지용구사업소는 복지용구 공급에 대한 정책 철학과 보람을 더는 찾기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복지용구 지원서비스에 관한 공급자 인식을 심도 있게 살펴보고, 면밀하게 분석하여 정책서비스의 공급조건을 제고 하기 위한 다음의 논의를 이어나가고자 한다. 첫째, 정책서비스의 질을 확보할 수 있는 현 복지용구 서비스 고시제도의 현실화 방안의 논의가 요구된다. 둘째, 수급자에게 적합하고 질 높은 복지용구를 추천하고, 원활하게 정책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문가의 양성에 관한 논의가 요구된다. 셋째, 수급자가 복지용구 지원서비스를 통해 생활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대여품목의 품질관리 강화방안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조사 진행 시기에 코로나-19가 재확산되어 직접 대면조사를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는 양적 연구를 통해 복지용구사업소의 고통이나 정책의 공급상 문제를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로 진행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제언은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며 관련 법 제정 및 개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균형적 언어 교수법을 적용한 웹기반 단계별 읽기 지도 모형 연구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주선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영어 교육의 열풍 속에서 독서 수준과 요구가 높아진 초등학교 4학년의 교실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호 보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써 균형적 언어교수 접근법(Balanced Language Approach)을 적용한 웹기반 단계별 읽기 지도 모형을 개발하여 효율적인 영어교육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생들에게 행해지고 있는 읽기학습에 대한 만족도와 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고 영어 전문서점의 판매율과 도서관의 대출율을 통해 학습자의 실제적인 독서 수준 파악과 흥미도 실태 조사를 하였다. 설문과 실태조사를 분석함으로써 초등 영어 읽기교육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는 효과적인 웹기반 단계별 읽기지도 모형을 제시하는 것에 개발의 기본 방향의 초점을 맞추었다. Web 기반 읽기지도 모형은 레벨 테스트를 통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읽기 단계를 선택해서 학습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읽기 전, 중, 후로 나누어 읽기 전 에는 Phonics, Spelling, Vocabulary로 구성하였고 읽기 중 활동으로는 Read Aloud와 보조적 읽기로 Chorus Reading, Shared Reading, Read alone 로 구성하였으며 읽기 후 활동으로는 Vocabulary, Grammar, Reading Comprehension과 간단한 쓰기를 포함하는 Think and Respond로 구성하여 점진적인 읽기능력향상을 유도하였다. EFL 환경에서 영어를 유창하게 말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EFL 교육환경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은 책을 비롯한 다양한 읽을거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학습자들은 다양한 장르의 영어 책 읽기를 통해서 언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독서를 함으로써 읽기능력 뿐 아니라 독해력, 문법 습득, 이해력, 쓰기 능력등 언어의 4가지기능을 균형적으로 학습 할 수 있다. 또한 이문화를 이해 할 수 있고 사고력을 신장 할 수 있다. 명작 동화, 창작동화, 소설, 추리소설, 과학, 공상과학, 유머, 시사 등의 읽기자료를 내용, 사용된 어휘의 쉽고 어려움, 어휘의 양, 문장의 길고 짧음 등에 의해 일정한 기준으로 분류하여 학습자들이 읽기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단계별로 제시하여준다면 학습자등을 흥미로우면서 유익한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정보화, 국제화, 지식기반사회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것이다. 읽기학습에 대한 효율적인 영어교육 방법으로써 균형적 언어교수 접근법( Balanced Language Approach)을 적용한 웹기반 단계별 읽기 지도 방안으로 Phonics 개념, 법칙, 기술등을 토대로 음소 인식(Phonemic Awareness), 단어인식(Word Recognition), 철자 이해를 위한 기술과 전략들을 명시적으로 다루되, 이야기 자료로부터 추출한 자료들을 사용하여 mini-book 만들기, 코믹 스트립 그리기, 작가에게 편지쓰기, 역할극 하기 등의 예술 활동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활동들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교사나 웹 운영자는 학습자들에게 읽기 즉 독서의 중요성을 인식시켜야하며 자기 주도적 읽기 학습을 지속 할 수 있도록 제시해 주어야한다. 또한 학습자가 흥미로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풍부한 읽기자료를 단계별로 제공하며 균형적 언어교수 접근법을 적용한 읽기지도를 시작함으로써 말하기, 듣기, 쓰기 능력 영어의 4가지 기능을 학습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부부 배려 척도개발 및 타당화

        주선화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maintain a satisfactory marriage life, solicitude between the couples is important. However, currently there is no development of a tool that allows for such solicitude to be measured, preventing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and therefore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he importance of solicitude in couples’ counseling or couples’ programs. Taking all this into account, now is truly the time when a new scale,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uples and is able to measure levels of solicitude between them, needs to be developed.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omponents that make up “solicitude” and develop a criterion that can measure those levels between married couples. In the research 1, The first steps taken to develop this criterion was to perform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studies based on Abstrac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arital Care Scale. Sun Hwa Joo Major in General Counseling Psychology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63 theoretical backgrounds on the topic. Then,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surveys of 10 married men and women using open questionnaires, 86 questions were formulated, an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se questions to confirm their validity by 7 professionals, a final list of 30 prompts was devised. In the preliminary research, answers to those final 30 prompts were collected from 304 married individuals, and after a series of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of reliability analysis, a result of 12 prompts and 2 main factors was deduced. In the research 2, data was first collected from 250 married individuals, then put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analysis, and finally, a test-retest reliability was conducted on 100 individuals over intervals of 2 weeks. The results of the main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 main factors and 12 prompts dealing with the “married couple solicitude criterion” were developed, and the factors were labeled “necessary sensitivity solicitude (6 prompts)” and “patience-related solicitude (6 prompts).” Each factor’s prompts proved to be satisfactory when it came to overall correlation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Second, aft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2 main factors deduced from the main research were deemed suitable. Third, in order to prov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riage 64 adjustment scale, marriage dissatisfaction scale, and life-satisfaction scale was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licitude in marriage and the marriage adjustment and life-satisfaction scales, whereas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licitude in marriage and the marriage dissatisfaction scale, securing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olicitude criterion among married couples. Lastly, the results of the test-retest reliability proved that this was a reliable method for measuring solicitude levels in married couples.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rried couple solicitude criterion developed in the main research have been proved to be satisfactory, and this criterion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sed in couples’ counseling or group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couples. La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skepticism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long with future research subjects. 부부 배려 척도개발 및 타당화 내적합치도는 양호하게 나타났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된 2요인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척도 의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부부적응 척도, 전반적 결혼불만족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간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부 배려는 부 부 적응척도, 삶의 만족도와 정적 상관, 결혼 전반적 불만척도와는 부적 상관이 나타나 부부 배려척도의 준거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부부 배려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부부배려척도는 안 정적으로 측정가능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부배려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척도는 부부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부부상담 및 집단 프로그램 개발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주요어 : 배려, 부부배려, 결혼적응, 결혼불만족, 삶의 만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