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객실승무원의 LMX, TMX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 직업존중감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조효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객실 승무원의 LMX, TMX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직업 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객실 승무원의 리더와 멤버의 구성원 간 교환관계의 질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직업존중감에 따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밝혀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인적자원관리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구성개념(LMX, TMX, 직업존중감, 직무만족)을 선정하고, 현재 국제선을 타는 객실 승무원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246부를 회수하였고, 부적절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하여 240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문항들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타당성과 신뢰성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고, 객실 승무원의 LMX와 직무만족, TMX와 직무만족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직업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가설검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객실 승무원의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LMX)의 하위요인 중에서 정서적 애착, 충성도, 공헌의욕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객실 승무원의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LMX)에서 정서적 애착, 충성도, 공헌의욕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질 것이다. 둘째, 객실 승무원의 팀-구성원의 교환관계(TMX)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객실 승무원의 팀-구성원의 교환관계(TMX)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질 것이다. 셋째,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LMX)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 존중감에 의해 조절될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직업존중감은 조절변수가 아닌 독립변수로 나타났다. 즉, 객실 승무원의 직업존중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질 것이다. 넷째, 팀-구성원의 교환관계(TMX)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존중감에 의해 조절될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직업존중감은 조절변수가 아닌 독립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객실 승무원의 리더와 팀 멤버 구성원 간 교환 관계의 질이 높아지면 직무만족이 향상되는 유의적인 효과가 발생하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와 객실승무조직의 활성화로 인하여 객실 승무원들의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bin crew 's LMX, TMX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ccupational 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how the quality of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cabin crew leader and the members of the cabin crew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And suggest some possible implic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our construction concept (LMX, TMX, occupational esteem, job satisfaction) were selected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50 cabin crew members currently on international flights. Of these, 246 were retrieved and 240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ept for 6 inappropriate questionnaire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se respondent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item before testing the hypothesis of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all the items were found to have sufficient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job satisfaction, TMX and job satisfaction of the cabin crew.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 related esteem. Therefore,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attachment, loyalty, and desire for contribu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ch are sub - factors of LMX. That is, the higher the emotional attachment, loyalty, and the desire to contribut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will be in the LMX of the cabin crew leader. Second, TMX of cabin crew memb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at is, the higher the TMX of the cabin crew member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ird, it was verified whether the influence of leader - member exchange (LMX) on job satisfaction could be controlled by job - esteem. As a result, occupational esteem was not an adjustment variable but an independent variabl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occupational esteem of the cabin crew,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Fourth, the effect of team-member exchange (TMX) on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by job-esteem. As a result, occupational esteem was not an adjustment variable but an in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igher the quality of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cabin crew leader and the members of the cabin crew, the more positi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better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rew due to the more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activation of the organization .
가축분뇨에 의한 수계영향 분석을 위한 SWAT Model 적용
조효진 又松大學校 공학·디자인大學院 2009 국내석사
2003, 2004, 2006년의 3개년에 대하여 강우-유출 모의를 실시하였다. 3개년의 모의와 관측결과의 비교는 다음과 같다. 모의결과 2006년의 모의결과가 관측치와 비교적 잘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OC(LW)지점이 G강의 본류이기 때문에 이 지점의 상류에서 발생한 모든 유출을 대표하고 있어서 YD천에 의한 유량의 변화가 크지 않는 점을 감안할 때 ArcSWAT에 의한 적절한 모의결과로 판단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즉, 상류에서 발생한 유출의 크기에 비해 YD천만에서 발생한 유출량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OC가 위치한 지점이 G강의 본류지역이기 때문에 태생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BC천 유역은 G강의 최상류 지역이기 때문에 상류지역의 영향없이 해당 소유역의 유출을 모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모델인자 검정이 가능하고 수문인자 검정 후 수질인자 검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Untreated livestock wastes have a great effect on the water system because they include high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erials and nutritive substances. The generating rate of livestock wastes is only 0.6% of all wastewater and sewage, however it is inferred that the pollution load is 25.8% because they have a much high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Therefore, the treatment of livestock wastes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water in the river. Swine wastes among livestock wastes are more than 60% of the entire generating rate. The volume of resources that resolve to manure and liquid manure isexpected to influence a river environment. After fertilizing the soil, livestock wastes resources cause to increase the pollution load in the river because of the spill of rain and underground water. Therefore the investigation on the generating and discharging livestock wastes resources indicates how much to influence water pollution of the river. In this study the simulation tests of the discharging patterns of livestock wastes pollutants for a long time enable to estimate the generating rate at the main points in the river waters. Moreover the various generating scenarios based on these patterns enable to simulate the changes of the pollution load in river. These data are applicable to the establishment of counterplans for the treatment of livestock wastes.
대학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종단적 변화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조효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본 연구는 새로운 삶을 시작하며 자신과 삶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하는 대학생들에게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확인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경험하는 삶의 의미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며 변화하는지,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에 따라 구분된 집단의 정신건강 상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종단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권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6개월마다 3번에 걸쳐 삶의 의미 및 개인의 특성 및 정신건강 변인이 포함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총 1,087명(남자 606명, 여자 48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각각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잠재성장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학생들의 의미추구는 13개월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의미발견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둘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어떠한 순서로 변해가는지 확인하기 위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진행하여 두 변인 간 인과관계를 확인한 결과, 1차 시점의 의미발견이 2차 시점의 의미추구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2차 시점의 의미발견이 3차 시점에 의미추구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삶의 의미추구 및 발견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요인이 아닌 자율성, 유능성, 반추와 같은 긍정적 개인특성 요인이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개인차에 따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변화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하여 집단을 구분한 결과, 5개의 집단이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변화에 따른 개인차를 잘 설명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집단을 ‘부적응적 의미추구형(높은 추구-낮은 발견)’, ‘의미성취형(낮은 추구-높은 발견)’, ‘중간형(중간 추구-중간 발견)’, ‘적응적 의미추구형(높은 추구-높은 발견)’, ‘무관심형(낮은 추구-낮은 발견)’으로 명명하였다. 5개의 집단의 정신건강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의미성취형(낮은 추구-높은 발견)’과 ‘적응적 의미추구형(높은 추구-높은 발견)’이 긍정적 정신건강 특성 및 개인적 자원을 가장 많이 가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부적응적 의미추구형(높은 추구-낮은 발견)’과 ‘무관심형(낮은 추구-낮은 발견)’이 정신건강 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여 상담 및 교육적 개입이 필요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들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하고, 의미발견이 의미추구를 이끄는 자원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개인의 특성에 따라 의미를 추구하고 발견해가는 과정은 상이 할 수 있다는 점과 집단에 따라 정신건강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how finding a meaning of life effects on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who generally start thinking about who they are and how to live a new way of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oth ‘presence of meaning’, a feeling of having a meaning, and ‘search for meaning’, a effort to find the meaning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However,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the influence on mental health have not been consistent.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eaning of life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which factors impact on change, and how the mental health effect on process in the longitudinal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ree times every six months. Out of the collected data, the data of a total of 1,087 students(606 male and 481 female students) was analyzed. The proces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change over time through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Second, a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how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change in which order to see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prediction factor affecting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this study examined factors facilitating the meaning in life. Fourth, groups were divided through change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depending on individuals, and this study examined which characteristics each group has in terms of mental health(stress, emo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individual factors(basic psychological need, self-compassion, and reflection). The main results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search for meaning was found to be a stable factor which does not change over time, and presence of meaning showed the trend of increase. Second, the analysis of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found that the presence of meaning at the 1st tim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arch for meaning at the 2nd time, and the presence of meaning at the 2nd tim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arch for meaning at the 3rd time. Third, the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found that rather than negative factors such as stress, positive factors such as autonomy, competency, and reflection had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Fourth, the analysis led to the finding that five groups explains well the individual differences depending on change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and each group was named, ‘maladaptive meaning-seeking type(high search-low presence)’, ‘meaning achievement type(low search-high presence)’, ‘middle type(middle search-middle presence)’, ‘adaptive meaning-search type(high search-high presence)’, and ‘indifferent type(low search-low presence)’. In addition, identifying the metal health of each group found that ‘meaning achievement type(low search-high presence)’ and ‘adaptive meaning-search type(high search-high presence)’ had the most positive mental health and resources, and ‘maladaptive meaning-seeking type(high search-low presence)’ and ‘indifferent type(low search-low presence)’ had difficulties in terms of mental health and needed counseling and clinical interven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value of the meaning in life which help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 and grow through the search for meaning in their lives and the presence of meaning can be a resource which leads to search for meaning. The group the has mental issues needs clinical intervention with counseling and implication.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y and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중독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효진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운동중독과 생활만족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통계학적특성과 운동참여수준에 따라 운동중독과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배드민턴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자기평가 기입법을 이용하여 30대에서 50대까지 400명의 표본을 추출한 결과 남자 182명, 여자 182명, 총 364명을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운동중독, 운동참여수준, 인구통계학적 특성, 생활만족도 등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절차와 자료처리는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eted quest ionnaire)으로 응답하도록 한 후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회수한 자료는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 14.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목적에 따라 전산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통계기법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따르고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초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나타난 운동중독결과 차이에서 보면, 세 가지 하부 요인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운동중독 결과를 보였고, 연령별로는 긍정적 중독요인에서는 연령별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정적 중독요인에서는 40대가 다른 연령대 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였고, 연령대 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였고, 금단현상요인에서는 30대가 가장 높은 운동중독 결과를 보였다. 2) 운동참여수준에 따른 운동중독은 차이가 있었다. 참여기간별 운동중독에서 긍정적 중독은 2년 이상이 높게 나타났고, 부정적 중독에서도 2년 이상이 높게 나타났다. 또 금단현상에서는 2년 이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참여빈도별 운동중독에서 긍정적 중독과 부정적 중독, 금단현상에서 모두 거의 매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여시간별 운동중독에서는 긍정적 중독과 부정적 중독, 금단 현상에서 모두 2시간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특성변인요인들에 따라 나타난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보면, 신체·환경적 생활만족도와 사회적 생활만족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심리적 생활만족도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별로는 신체적 만족도 요인에서는 40대와 50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만족도에서는 3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만족도에서도 3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운동참여수준에 따른 생활만족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참여기간별 생활만족도에서 신체적 만족도와 심리적 만족도에서 2년 이상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만족도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빈도별 생활만족도에서는 신체적 만족도와 사회적 만족도에서 주1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만족도에서는 주2-3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여시간별 생활만족도에서는 신체·환경적 만족도와 사회적 만족도에서 2시간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만족도에서는 1시간 30분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운동중독 3개 요인들을 예측변인으로, 신체·환경적 만족도 종속변인으로 놓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중독과 금단현상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중독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운동중독 3개 요인들을 예측변인으로, 사회적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놓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중독과 금단현상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중독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심리적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한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부정적중독과 금단현상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긍정적중독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health nu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amateur badminton club's participants. In addition, this was to promote more healthy amateur badminton clubs through analyzing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the exercise addic tiun and life satisfaction of amateur badminton club's participants. In order to analyze the correlation by using a basic statistical method, a total of 364 amateur badminton Club's participants in Busan were selected: a total of 182 males and 182 females, aged from in their thirties to in their fifties. The survey procedures and data processing were done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computerized by SPSS window 14.0 Version. All data were administered by using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respect of gender, males showed their high exercise-holic phenomen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Regarding withdraw symptom, those in their thirties showed higher exercise-holic phenomenon. 2) In exercise participation, there were big differences: those with over two years experience amateurs showed significantly their positive exercise-holic phenomenon and negative withdraw symptom was higher than other amateurs. More interestingly, everyday particioants showed their positive and negative withdraw symptom were higher. In addition, those playing more two hours a day showed significantly their highest negative exercise-holic in every part. 3) In the respect of their life satisfaction, female participants showed their higher satisfaction in every part than males. Even in the psychological part, fema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ife satisfaction. 4) In the exercise particip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subjects. 5) By administering regression analysis for physical satisfaction, interestingly positive intoxication and withdraw symptom were positively influenced. In addition, regarding social satisfaction, positive intoxica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and negative intoxicat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In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area, negative intoxication and withdraw symptom were positively influenced and positive intoxicat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 비교 연구
조효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본 연구는‘PPCF’의 목표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 그리고 배경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 각각의 체육목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경기도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총 465명과 광주교대, 서울교대, 공주교대, 전주교대에 재학 중인 교육대학생 총 1071명, 계 1536명을 표집 하였다. 측정 도구는 “체육목표 인식 검사 설문지”로서 Jewett & Mullan(1997) 등이 체계화한 목표·과정 중심 교육과정 개념틀(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 : PPCF)을 조미혜(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남자의 경우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 있어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과별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과에서는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 목표 인식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예능 교과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과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인문 교과에서는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연 교과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운동 기능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는 자신의 운동 기능이 상이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자신의 운동 기능이 중이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은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서, 자신의 운동 기능이 하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은 심리적 안정성 개념 인식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을 좋아하는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과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 있어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고 보통인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과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을 좋아하지 않는 집단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교과의 중요성 인식 정도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집단에서는 의사소통,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집단 상호 작용 개념을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고, 보통이라고 생각한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 물체 조작, 의사소통의 개념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 교직 경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공간적 정향, 생리적 효율성, 물체 조작 개념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교과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체육과를 이수한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왔고, 대체적으로 인문 교과를 이수한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가 가장 낮게 나왔다. 운동 기능의 수준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운동 기능이 상, 중, 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좋아함, 보통, 좋아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공간적 정향,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생리적 효율성 개념에서 체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집단이 보통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중요하지 않다고 답한 초등교사는 없었다. 경력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에서 대체적으로 경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학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개념에 있어 3학년, 4학년, 2학년, 1학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과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체육과의 체육목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운동 기능의 수준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운동 기능이 상, 중, 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에서 모두 좋아함, 보통, 좋아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수준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중요함, 보통, 중요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An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y of the purpose that Jewett and Mullan(1977) evolve of 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PPCF).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46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Gyeonggido and Jeonlanamdo and 1071 student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wang-Ju, Seoul, Kong-Ju and Jeon-Ju were participated in this work. The research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Joe, Mi Hye's the questionnaire of physical education object recogni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subprogram with T-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f the SPSS/PC.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1.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by sex,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and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 2.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ed on sex,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and teaching career. 3.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depended on sex, grade,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and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고든의 이론에 의한 유아음악 교육방법이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usic play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든(Edwin E. Gordon)의 음악학습이론에 근거한 뮤직플레이(Music Play) 활동을 함으로써 유아의 음악적성이 향상되는지를 알아보고, 뮤직플레이 활동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면, 그것의 객관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 유아음악교육에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이용한 교수법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2곳의 유치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가’는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에 기초한 뮤직플레이를 중심으로 수업하는 A유치원 a반 18명으로 하였다. 통제집단 ‘나’는 전통적 음악수업을 진행하는 A유치원 b반 18명으로 하고, 통제집단 ‘다’는 음악수업이 없는 B유치원 a반 17명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본 연구자가 뮤직플레이를 바탕으로 구안한 수업지도안을 사용하여 직접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12주 동안 주 2회 40분씩 실시하였다. 사전?사후에 집단별로 고든의 음악적성검사 PMMA(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별 음감과 리듬 및 총점의 사전-사후 점수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개략적으로 확인하고, 보다 구체적인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음감적성과 리듬적성 및 전체음악적성에 대한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변량분석이 유의할 때 집단간 개별 비교인 Turkey의 HSD방법으로 유의차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음감적성은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도가 .43으로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음감적성의 경우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도가 .00으로 0.1% 수준 이상의 매우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며, 고든의 유아음악 교육방법과 전통적 음악 교육방법이 대상 집단의 음감발달에 확실히 효과를 가져왔다고 통계적으로 말할 수 있다. 둘째. 사전 리듬적성은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도가 .79로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리듬적성의 경우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도가 .02로 5% 수준 이상의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며, 고든의 유아음악교육방법이 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은 물론이며, 전통음악 교육방법 보다도 효과적으로 리듬적성을 발달시켰다고 통계적으로 말할 수 있다. 셋째. 사전 전체음악적성은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도가 .52로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전체음악적성의 경우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도가 .00으로 0.1% 수준 이상의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며, 고든의 유아음악 교육방법과 전통적 음악 교육방법 모두 전체음악적성을 발달시켰다고 통계적으로 말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고든의 유아음악교육방법과 전통적 음악교육방법 모두 음감적성과 전체음악적성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리듬적성발달은 고든의 유아음악교육방법이 음악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은 물론이며 전통적 음악 교육방법보다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수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교육을 진행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오디에이션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국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한국 유아음악교육의 발전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whether the Music Play activities that are based on the music learning theories of Edwin E. Gordon actually enhanced the musical aptitude of young children. And in the case of observing positive effects, this study will provide objective data that can be used in enhancing the adoption of Gordon’s music learning theories in the pedagogy of children’s music education of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 kindergartens in Seoul. The study group1, composed of 18 childrenin class a of Kindergarten A, was exposed to music play courses that were based on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Control group 2 was exposed to traditional music classes, comprising 18children in class b of Kindergarten A, while control group3 consisted of 17children in class a of Kindergarten B were not exposed to any music classes. The study author myself conducted the classes for the study group, with a class module I created based on Music Play. The classe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12weeks. Each class lasted 40minutes. Each group was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period using Gordon’s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as the main research tool. The study was first able to roughly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by calculating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re and post study scores for tonal, rhythm and a composite score combining tonal and rhythm aptitude levels for each group. Then, the study went on to further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y conducting ANOVA analysis of each group’s tonal, rhythm and composite aptitude. When ANOVA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 verification was conducted by the HSD method of Turkey.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n’t much significant difference for tonal aptitude between the study group and the two control groups prior to the study period, with only .43 variance.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s after the 12 weeks was 0.1%, showing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we can statistically say that both Gordon’s music education methods an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ere effective in developing the tonal aptitude of the study population. Secondly, for rhythm aptitude prior to the study, there wasn’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of .79. However, after the 12 week perio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tudy group, not only against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music classes but also against the group receiving traditional music classes, proving that the study group had developed rhythm aptitude much more effectively than the other two groups. Thirdly, for the composite musical aptitude, there was only a .52 difference between the study group and the two control groups prior to the study period, but the post study evaluation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variance of 0.1% between the groups, statistically showing that both the Gordon an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groups developed the composite musical aptitude in the group populations. In conclusion, both the Gord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methodology and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ethodology were effective in developing tonal aptitude and the composite aptitude, while the Gordon methodology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the rhythm aptitude compared to both the non-music education group as well as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group. To further develop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inued mus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a larger group of children. Also, it is my hope that with increased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more Korean programs can be developed to foster the Audiation capability,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 music education in Korea.
섬망교육이 일 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지식과 섬망간호 실천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섬망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지식과 섬망간호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011년 2월 7일부터 3월 20일까지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일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30명이었다. 그중 15명을 실험군, 15명을 대조군으로 편의 할당하여 2011년 2월 7일부터 2월 11일까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설문지를 배부해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가 끝난 후 바로 실험군에게는 섬망교육을 중재하고 대조군에게는 중재하지 않은 채 2011년 3월 16일부터 3월 20일까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30부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조귀래가 개발한 섬망지식 측정도구(2001)와 섬망간호 실천 측정도구(2001)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6.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χ²-test와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로, 두 집단간의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과 섬망 교육 후 효과검증은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정은 Cronbach's α 계수로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20대가 전체의 5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30대로서 약 37%였다. 교육정도는 전문대졸이 50%를 차지했고 대졸이 40%, 대학원졸이 10%였다. 성별은 약 97%가 여성이었고, 결혼상태는 미혼이 60%, 기혼이 40%였다. 중환자실 경력은 약 80%가 1-10년에 속했고, 섬망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이 90%나 되었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에서 두 군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ρ>.05)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에서도 섬망지식(z=- .584, p= .567)과 섬망간호 실천(z=-1.330, p= .187)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제 1가설인 ‘섬망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섬망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섬망지식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지지되었다(z=-4.283, p< .001). 4. 제 2가설인 ‘섬망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섬망간호 실천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섬망간호 실천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지지되었다(z=-3.138, p< .001). 결론적으로 섬망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지식과 섬망간호 실천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수치심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효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수치심 경험과 인지적 대처전략 및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수치심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적 대처전략이 매개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의 대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총 510부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수치심 경험척도(ESS),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질문지(CERQ), 우울척도(BDI)를 소책자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수치심 경험은 적응적인 대처전략과는 부적인 상관을 가졌고, 부적응적인 대처전략과 우울의 관계에서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수치심 경험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서 적응적인 대처전략과 부적응적인 대처전략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적응적인 전략들에서는 조망확대와 수용을 제외하고 계획을 다시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전략에서 모두 유의미했다. 부적응적 대처전략들 중 자기비난, 타인비난, 반추, 파국화 대처전략과 유의미 했으며, 파국화 대처전략이 수치심 경험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심 경험이 인지적 대처전략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적응적 대처전략과 부적응적 대처전략 모두 유의미한 부분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들이 언급되었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shame experience, cognitive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on, and tested whether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coping strategies between shame experience and depression. A survey was done for this research. We received 510 copies from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in age of over eighteen. In order to measure each variable, we construc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Experience of Shame Scale (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I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shame experience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adaptive coping strategies,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er shame group and the lower shame group on adaptive coping strategies and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Particularly, refocus-on-planing, positive refocusing, and positive reappraisal, in adaptive coping strateg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putting-into-perspective and acceptance was not. In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self blame, other blame, rumination and catastrophiz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shame groups. Especially, the difference on catastrophizing coping strategy between two groups was the biggest.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coping between shame experience and depression. The result showed that both adaptive and maladaptive cop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Finally, the limit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질문의 유형에 따른 청소년 목격자의 오정보 연구 : 개방형 질문과 암시적 질문을 중심으로
조효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ment of youth witness comparing open-ended and suggestive questions. And it is to examine the wrong answers in suggestive questions. For this purpose, the statements were analyzed into the contents, amount, and ratio of both the correct information and misinforma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questions. 119 middle school students (15-year-old) watched a magic show video including person, object, action, and background information. They described contents of the video from open-ended or suggestive questions that handed out randomly. When they were free description from the open-ended questions, the ratio of the incorrect information in the total information was lower(3.29%), and action information occupied almost half of the total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y responded to suggestive questions, they reported less information and the ratio of the incorrect information was higher(22.26%) than open-ended questions(3.29%). Suggestive questionnaire included the 5 types of questions(20 items) which were 4 types of suggestive questions(14 items) and 4 types of non-suggestive question(6 items). False alternative type in suggestive questions considerably misleaded participants to the incorrect answers. Furthermore, when they responded to non-suggestive question(“Please describe if you remember more about the video.”) in the suggestive questionnaire, they almost did not report additional information nor misinform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목격자가 진술을 하게 되는 경우, 조사자의 질문의 유형에 따라서 진술의 양과 정확성에 차이가 있는지, 진술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청소년 목격자들의 진술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청소년들은 질문의 유형(개방형 질문, 암시적 질문)에 따라 정확정보와 오정보의 양과 비율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암시적인 질문에 의해 얼마나 오정보를 보고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의 모 중학교 2학년 학생들 119명(남 61명, 여 58명)을 대상으로 중립적인 마술 동영상을 관람하게 한 후에 개방형 질문과 암시적 질문 유형의 질문지를 무선으로 배포하여 관람한 동영상에 대하여 서술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목격한 상황을 개방형 질문에 의해 자유 서술을 할 때에는 전체 내용 중 오정보의 비율은 3.29%로 매우 적었고, 범인을 특정할 수 있는 사물이나 인물에 대한 정보보다는 행동이라는 동적인 정보가 전체 정보량의 거의 절반가량을 차지하였다. 반면에, 암시적 질문을 받았을 때는 질문에 긍정 혹은 부정하는 것(예: 네, 아니오)으로 응답하는 것 이외에는 많은 추가 정보를 보고하지는 않았으며, 답변에서 나온 추가 정보들 중 22.26%는 오정보로 개방형 질문(3.29%)에 비해 전체 정보 대비 오정보의 비율이 높았다. 암시적 질문을 세부 유형으로 구분하고 차이가 있는지 비교한 결과 ‘거짓 양자택일 질문’의 경우 상당히 유도되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암시적 질문 이후에 개방형으로 “기억나는 것이 있으면 서술하라”는 지시를 하는 경우 추가 정보를 보고하지 않거나, 인출한다고 해도 오정보를 보고하는 특징도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