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기관의 복리후생제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조혜선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South Korea, an environment on welfare service and a worker’s desire for welfare have changed, which causes necessities of change of traditional welfare systems. There has been a shift in generations in the public sector including civil service and advanced welfare is required with an increase in the MZ generation showing individualism. 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work life balance, related welfare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in the public sector, welfare systems have not reflected the changes and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terms of welfare systems in the public sector. Welfare systems in the public sector are categorized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work life balance and according to the category, welfare systems in the public sector are reviewed and compared. In particular, welfare systems that are autonomously implemented by public agencies are focused are focused. Methodologically, in terms of research design, this study is based on both case and comparative study. Research method i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elfare systems in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orea Airport Corporation,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are reviewed. As a result,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new welfar systems is suggest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types and components of welfare systems and related literature are reviewed. In addition, theoretical framework is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welfare systems, characteristics of public agencies need to be identified and public policy need to be reflected. The theoretical framework is designed in terms of types and components of welfare systems as well as 「Guidelines on Innovation in Public Institutions」. Second, welfare systems in public agencies are reviewed in terms of categories and limitations are reviewed. In terms of recreational facilities, housing, support of student loan, selective welfare, welfare systems in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orea Airport Corporation,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are reviewed and compared and limitations are analyzed. ① In terms of recreational facilities, restrictions on the use of all employees, insufficient rooms and days and lack of diverse facilities are reviewed as limitations. ② As for housing, changes in the real estate market and housing instability, moving expense and vacation for moving and insufficient company housing are mentioned as main issues. ③In terms of support of student loan, the financial burden by abolition of the free support of student loan, possiblities for outstanding individuals to avoid public agencies, a uniform scholarship payment method and expansion to beneficiaries are reviewed. ④ As to selective welfare, suspension of welfare fund projects, reduction in welfare benefits by structural change and possiblities of passive selection of basic elements are reviewed as limtiations Third,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welfare systems in public agencies is anlayzed. ① In terms of recreational facilities, diversification of operation methods of recreational facilites, efficient operation reflection trends and the formation of a network through welfare governance are suggested. ② As for housing, new housing systems reflecting changes in the real estate market, stable support for employees who relocate the place of work and diversification of company housing are reviewed. ③ n terms of support of student loan, development of diverse student loan systems, expansion of student loan beneficiaries and differential payment of scholarships are mentioned. ④ s to selective welfare, strategic goals, financial stabilties and diversities, expansion of welfare benefits for families and expansion of medical examination and medical expense are suggested.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급변하고 있는 복지 서비스의 환경과 근로자의 복지에 대한 욕구가 변화되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방식의 복리 후생 제도의 변화 필요성을 야기하고 있다. 최근 공무원을 비롯한 공직사회에서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있으며, 개인적 성향이 강한 MZ세대의 유입으로 보편화된 일방적인 복지보다 필요에 따른 고차원적인 복지를 원하게 되었고, 일과 삶의 균형 있는 삶을 원하는 워라밸(WLB)의 등장으로 그에 상응하는 신종 복지제도들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공공기관에서는 복지제도에 대해 미흡한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일과 삶의 양립을 이루고자 하는 개인들의 시대적 특성에 맞추어 공공기관의 복리후생 제도를 범주화하여 그 영역에 따라 공공기관들의 복리후생 제도를 비교·검토하여 공공기관의 복리후생제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복리후생제도의 유형 중에서도 기관별로 자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법정 외 복리후생제도를 중심으로 하부 구성요소를 범주화 하고,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의 복리후생 제도의 운영실태를 문헌조사와 경험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비교·검토하고 향후 공공기관의 새로운 형태의 복리후생제도 설계에 기여할 수 있는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적 접근에 기초한 복리후생의 개념, 유형, 구성요소, 선행연구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이론적 접근과 틀을 검토하였다. 우선 복리후생제도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특성을 파악하고 정부 정책에 부합되게 검토해야 한다는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접근의 틀은 공공기관의 복리후생제도에 대한 유형별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종합적 검토와 「공공기관의 혁신에 관한 지침」 등 정부의 지침을 반영하여 복리후생제도의 한계 및 발전 방향을 위한 틀을 완성하였다. 둘째, 공공기관의 복리후생제도를 범주별로 검토하고 각각의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의 휴양시설 및 여가 제도, 주택 및 주거제도, 학자금 지원제도, 선택적복지제도로 나누어 비교·검토하여 종합적인 한계점을 검토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휴양시설 및 여가 제도의 한계로는 전 직원 이용의 제한, 이용 객실 및 이용 일수의 부족, 시설의 다양성 부족 등 제한된 자원으로 인한 한계점이 나타났다. ②주택 및 주거제도의 한계는 부동산 시장변화에 따른 직원의 주거 불안정, 근무지 이동에 따른 가재 이전비용 및 이사휴가 제도 미비, 사택 수량 부족으로 인해 일부 직원만 혜택을 받는 보편적 복지 실현의 위배 등의 한계가 있었다. ③학자금 지원제도의 한계로는 대학교 학자금 무상지원 폐지에 따른 가계부담 증가와 우수 인재의 공공기관 기피 가능성, 일률적인 장학금 지급방식, 학자금 수혜자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한계점이 나타났다. ④선택적복지제도의 한계점은 사내근로복지기금 사업중단으로 인한 혜택 중단, 급여성 예산으로 편성되어 구조적인 확대가 어려워 실질적 복지혜택 실현의 위배, 기본항목의 소극적 선택 가능성 등의 한계점이 발생하였다. 셋째, 각 공공기관의 복리후생제도 운영 현황을 토대로 공공기관의 복리후생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①휴양시설 및 여가 제도의 발전 방향으로는 휴양시설 운영방식의 다변화, 트렌드에 맞는 효율적 운영, 복리후생 협의체를 통한 네트워크 형성하는 방향을 제시하였고 ②주택 및 주거제도의 발전 방향은 부동산 시장변화에 따른 제도 마련, 근무지 이동자에 대한 안정적 지원, 단신 부임자를 위한 사택의 다양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③학자금 지원제도에서는 다양한 학자금 제도의 개발, 교육을 위한 학자금 수혜자 확대, 장학금 차등 지급을 통한 인재양성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④선택적복지제도는 전략적 운영목표 설정, 재원의 안정성·다양성 확보, 가족에 대한 복지혜택 확대, 건강검진 및 의료비 선택권의 확대를 통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 청소년 문제의 심각성과 사회복지 서비스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조혜선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 나라의 학교 교육기능은 입시위주의 지식편중교육과 처벌위주의 생활지도로 인해 학생들의 욕구와 능력개발을 충족시켜주는 본래의 교육 목적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청소년의 학교 부적응이나 비행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크게 대두되면서 정부단체는 청소년에 대한 건전한 지도와 육성방안을 위해 고심하고 있으나 청소년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이나 사회제도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인지하고 있는 교육환경의 변화와 그에 따라 청소년들이 심각하게 생각하는 문제를 알아보고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청소년들이 필요로 하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들이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는 문제는 생활습관 문제로서 적절한 용돈사용과 적절한 시간활용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문화공간 부족문제와 교과외 문제 순으로 나타났다. 2. 청소년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영역은 문화공간 지원이 가장 높았으며 이것은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공간과 문화프로그램이 시급하게 요구되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은 교과외 지원과 생활습관개선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3. 청소년 문제의 전체 심각성과 사회복지서비스의 전체 필요성을 통하여, 청소년들이 제공해주기를 원하는 사회복지서비스는 문화공간부족에 따른 문화공간 ·시설확충이 가장 절실히 요구되어졌으며, 다음은 생활 습관 개선 프로그램과 교과외 지원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프로그램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은 문화공간 ·시설확충으로 문화공간제공 및 써클활동, 취미활동을 포함한 청소년 문화프로그램의 활성화로 청소년들의 욕구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생활개선 프로그램은 시간활용과 용돈관리 중심으로 집단활동이나 개인 상담으로 실시할 수 있고, 교과외 문제인 진로정보 및 상담 프로그램, 성적 향상 프로그램, 특별활동 프로그램, 자원봉사활동지원 프로그램은 필요한 정보를 개인상담이나 집단활동을 통해서 또는 특강을 실시하거나 관련된 지역센타와 연계시켜 해결해 나갈 수 있다. 끝으로 청소년 관련기관이나 학교에서 청소년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공급자 입장이 아닌 수혜자입장에서 욕구를 파악하여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며 학교, 가정, 지역사회복지관이 유기적으로 협력체계를 갖추고 협동하여 청소년들의 욕구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프로그램에 대한 충분한 홍보로 참여를 유도하고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후속연구가 요구되어진다. At present, the function of school education haves not justly carried out by the original purpose of education and its role to satisfy the student's desire and development of capacity owing to knowledge-biased education for entrance exam and guidance of life centering around punishment. As the youth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t problems come to the fore as serious social problems,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struggling to improve the sound guidance toward the youth, but the social strategy or system for the youths are in an insufficient situation. Accordingly, this thesis aims at fording out the change of education environment of which the youths are aware and the resultant problems of which the youths think serious, and searching for the program for social welfare which may be substantially helpful to them by identifying the required service in the concre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of which the youths think most serious were that time and pocket money were not properly used as a problem of life habit. Next, the problems included the lack of the cultural space and extracurricular. Second, assistance of the cultural space was required highest by the youths in the realm of social welfare service, which revealed the most urgent demand for a space to utilize leisure time and a cultural program. Then, assistance of extracurricular and life habit appeared the next demand. Third, the social welfare service was required most urgently by the youths for amplification of cultural facilities and space, and the next preferences including improvement of life habit and extracurricular were in order. Based on these results of study, the service program of social welfare for the youth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The most required program by the youths was amplification of cultural space and facilities, which their desire could be solved by revitalizing the culture program such as provision of cultural space, circle activities, and dilettante activities. The program for improving life could be carried out by group activities and face-to-face counseling centering around use of time and management of pocket money, while the program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cluding information for academic and carer counseling, improvement of school record, special activities, and assistance of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could be solved out by delivering a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face-to-face counseling or group activities, or by putting special lecture into effect or connecting it with the relevant regional center. Finally, the youths' desire for the required service in the relevant institute or school should be identified not from a provider's viewpoint but from a receiver's viewpoint, while the juveniles' participation through sufficient public relations for the program in order to solve out their desires by incorporating an organic system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 family, and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that region should be induced and a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vitalize these programs.

      • 한국 노동시장 내 여성의 선택과 적응 : 기회와 조건의 불평등

        조혜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노동시장에서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여성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조적 기회의 특성을 성별직업분리라는 구조적 현실을 통해 확인하고 여성들의 노동경험이 구조적 불평등으로 인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단계적으로 탐색하는 경험적 실증연구이다. 노동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선택과 적응양식으로 경제활동참여선택과 유형, 직업특성에 따른 보상체계, 경력의 동태적 궤적, 노동태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제적 결과 중심의 단편적인 연구들을 보완하고 여성들의 독특한 노동경험을 조명할 수 있는 요인들을 드러내어 여성노동에 관한 일련의 논쟁에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노동시장에서 여성들의 위치를 다르게 하는 구조적 차별현상은 할당적 차별과 가치적 차별이라는 두 가지 차별이 병행되는 과정이다. 첫째, 남녀의 직업분포의 양상을 나타내는 성별 격리지수와 직업내 성 비율을 통해 성에 따른 구조적 할당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동자들의 다양한 취업주기에 대하여 동태적 변화를 추적한 사건사 분석에서도 직업종류가 지속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노동경험을 다르게 하는 조건으로서 여성들에게 부여된 직업이 중요한 효과를 가진다고 할 때 직업에 따라 할당되는 성별로 분리된 업무구조는 여성들의 노동경험을 다르게 하는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구조적 할당 현상은 가치 차별이라는 평가구조로 연결되는 의미를 가진다. ‘직업간 차이’와 ‘직업내 차이’를 동시에 다루고 있는 위계선형분석결과는 직업이 평가차별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인이었고 직업 내 여성비율은 다른 요소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노동에 대한 보상이 평가절하되는 원인으로 나타나 성에 따른 업무분리가 임금차별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주었다. 이 밖에 구체적으로 업무특성을 나타내는 변인인 기술수준이나 업무순환성도 임금차이를 설명하는 구조적 요인들로 나타났다. 불평등한 노동시장의 조건에서 여성들이 취업을 하는 데에는 여성 개인들이 가진 가족상황이 또 다른 구조적 조건으로서 여성들의 노동경험을 다르게 하는 요인이 된다. 여성의 일차적 위치를 가정(family)으로 규정하는 사회적 성별 분업하에서 가족으로 인한 제약은 여성들의 노동경험을 다르게 구성하는 요건이 된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는 여성들은 노동시장 참여여부, 참여형태, 노동태도의 형성에 있어서 가족상황적 요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여성들의 취업주기에 대한 동태적 분석에서 결혼이라는 생애사건은 직업을 더 이상 지속할 수 없게 하는 중요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차적으로 양육의 책임이 있는 여성들에게 어린 자녀의 존재는 대부분의 경제활동참여에 부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피고용부문 내에서도 노동 조건이 다른 공기업과 사기업에서 여성들의 참여를 설명하는 기제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노동상황에 따라 여성들의 노동참여형태가 달라질 하나의 가능성을 보인다. 생애단계로 인한 제약효과와 이를 극복할 조건으로서 조력자의 존재여부는 사기업에 피고용되는 경우에 크게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노동시간이 장시간이고 유동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사기업은 가족으로 인한 여성들의 조건을 가장 수용하기 힘든 상황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공기업에서는 여성들이 가족구조적 제약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고학력의 여성인력이 활용되고 있어서 다른 참여형태와는 특징들 달리한다. 공기업의 짧은 근무시간, 부가급부, 고용안정성 등의 노동조건으로 인해 여성노동참여를 설명하는 요인들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남편의 경제적 지위는 기혼여성들의 경제활동참여를 다르게 하는 또 다른 조건이다. 남편이 자영업을 하는 경우는 아내가 가족종사자로 경제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고 남편의 수입이 높을 때 아내가 경제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가족내의 종속적 위치와 가족단위의 경제적 전략이 중요한 결정요인이 되는 여성들의 경우는 기존의 경제학적 이론에서 가정하는 개인단위의 계산과는 다른 분석시각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가족상황과 노동상황이 맺고 있는 유기적인 연관관계는 경제적 결과뿐만 아니라 노동자들의 주관적인 노동태도를 구성하는 데에도 나타난다. 노동태도에 대한 분석은 노동태도를 나타내는 변인들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개념화한 직업만족, 노동몰입, 조직몰입과 같은 노동태도에 관하여 행해졌다. 예상했던 바대로 여성들의 경우 가족상황변인들이 주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남성들의 경우는 인적자본, 노동조건, 조직특성들이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는 데 반해 여성들의 경우는 업무순환성, 방식자율성, 시간유동성과 같은 업무특성요인들이 노동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다르게 업무가 분배된다고 할 때 여성들의 노동태도는 성향적 특징을 반영한 것이라기보다는 업무분리라는 구조적 요인에서 기인한 것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기존의 노동시장이론에서 활발하게 논의되는 인적 자본론에 입각한 경제학적 분석시각으로는 사회구조적으로 불평등한 위치에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여성들의 독특한 노동경험을 설명할 수 없다. 그들의 경험을 특징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는 여성들이 처한 구체적인 상황들에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업무분리, 시공간적 제약, 가족단위의 전략, 노동의 지속기간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은 여성의 다른 경험들이 노동공간에서 복합적으로 드러나는 영역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sex segregation of occupation structure and its effect on the work experiences of women in the labor market. While a considerable research on Korean labor market concentrated on the economic result of the wag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is study ranges over various work situations and hilights the structurally unequal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upon women by analyzing their decisions on the economic participation and the employment status, the career trajectory, the work attitudes as well as the wage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men. The sex segregation of the occupation structure has two kinds of meaning in the analytical sense, the allocative discrimination and the valuative discrimination. First, the allocative discrimination is certified in terms of the index of segregation and the proportion of women in each occupation. In the dynamic analysis of career mobility, the occupation a worker belongs to has an impact on labor market behavior as a structural constraint in two ways: by discouraging career interruptions or by facilitating the balance between motherhood and work. Workers with the professional occupation maintain their career longer than those with the elementary occupation. Therefore the allocative discrimination could prescribe not only physical space but also job characteristics that may induce to discontinue the occupation. Secondly, the valuative discrimination is certified in the analysis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that the variation between occupations explained 45.11% of the variations of hourly wage. The analysis showed the proportion of women in each occupation had negative effect on the wage in the control of the other effects. In addition job characteristics as the skill level and the job ro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age. The unequal opportunities of the women in the labor market are again exacerbated by the family constraints of them. Women are responsible for their family according to the social stereotyping of sex. Their life stages have a great effect on their economic participation. In the analysis of the career mobility, marriage as a life event, was an important factor to stop their career. The existence of the young children under six years old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women. The difference of the work conditions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firms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women depends on organizational conditions. While the existence of helpers was an important condition for married women to continue to work in the private firms with the longer hours of working time, married women in the public firms were relatively free of their family constraints and those with the high educational level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public firms with the shorter working hours and the institutional guarantees such as the fringe benefits and the employment stability. The husbands' economic status is other important condition for the married women to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A wife was more likely to be a family worker when her husband was a employer. A wife was less likely to be a paid worker when the wage of her husband was so high. The choices of women in the labor market were affected by the economically dependent status of women in the family and the economic strategy of family.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workers must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ir family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he human capital theory with the individual level of analysis. The systematic connectedness between the family and the work conditions exerts an influence not only on the economic results but also on the work attitudes. The variables of work attitudes were factor analyzed and three factors were produced: job satisfaction, work commitment, and organization commitment. Evidence was found for the idea that work-family interface is more significant for women than men. In addition job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job rotation, the autonomy of the way of work, and the time flexibil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omen, while other variables including human capital, work condition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for men. Therefore, the work attitudes of women could reflect not simply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but job characteristics due to the sex segregation of occupation.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concrete situations which female workers confront in the labor market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women's labor market behavior in the various aspects. The job segregation,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e family strategy, the discontinuous work experiences and work attitudes were considered to compare the work experiences of women with those of men.

      • 위암 환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혜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symptom experience, anxiety, depression, intended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sleep. Method: A total of 15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operative,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in a cancer hospital in Gyeonggi-do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Research tools include the sleep quality i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orea version), gastric cancer symptoms experienced MD anderson symptom inventory (MDASI-GI Korea),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LSD, Scheffe post hoc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 SPSS WIN 20.0 program. Result: Subject's quality of sleep was 7.81±3.521 point on average and quality of sleep domain among 7 sub-domains scored the highest presenting 1.49 poin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104 subjects in group with low quality of sleep (69.3%) and 46 subjects in group with fair quality of sleep (30.7%). In regards to symptom experience, 62% of total gastric cancer patients was presented to experience moderate fatigue or higher followed by distressed (upset) (58.0%), loss of appetite (55.3%), and sleepiness (drowsiness) (54.7%). Among daily life associated items influenced by the symptom, it was revealed that 48.6% of total gastric cancer patients was receiving moderate or higher influence on mood followed by enjoyment of life (42.7%), general activity (41.3%), and work (40.0%). Anxiety rating was 6.66±3.766 point on average and 78 among total gastric cancer patients (51.9%) were under clinically significant anxiety. The depression rating was 7.89±3.173 point on average and 109 among total gastric cancer patients (72.7%) was under depression. In regards to quality of sleep based on general trai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economic burden (F=2.449, p=.049). For the quality of sleep based on illness associated trai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diagnosis of gastric cancer (F=-2.116, p=.036), staging of gastric cancer (F=2.795, p=.043), and treatment status (F=3.686, p=.027).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fy of sleep and symptom experience (r=.455, p<.001), anxiety (r=.259, p<.001), and depression (r=.354, p<.00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symptom experience with anxiety (r=573, p<.001) and depression (r=.522, p=<.001). In regards to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 based on sleeping disorder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ed accordingly with the quality of sleep (F=-18.865, p=.001), degree of symptom (F=-3.535, p=.001), hindrance to daily life (F=-5.712, p=.001), total symptom points (F=-3.859, p= .001), anxiety (F=-2.249, p=.026), and depression (F=-3.476, p=.001). In regards to the factor that has influence on gastric cancer patients' quality of sleep,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symptom experience (β=.449, p<.001). In other word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quality of sleep will be lowered with the increase in degree of symptom experience. As a result of conducting regression model analysis, it was revealed to be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2.763, p<.001) and explanatory power of model (Adj R2) was revealed to be .191. Conclus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is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symptom experience is a variable to be considered for enhancement in gastric cancer patients' quality of sleep. In order to enhance the gastric cancer patients' quality of sleep in the future, it wa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symptom experience such as fatigue, distressed, loss of appetite, sleepiness, etc. The significance of such result lies in the fact that it can be provided as a foundation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the gastric cancer patients' quality of sleep in the future. 목적: 본 연구는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증상 경험, 불안과 우울, 수면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암 전문 병원에 내원하여 위암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 중이거나, 위암 수술을 시행 받은 자, 또는 내시경 점막 절제술을 받은 환자 1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수면의 질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Korea version), 위암환자의 증상 경험은 M. D. anderson symptom inventory (MDASI-GI Korea), 병원 불안과 우울은 병원-불안 우울 척도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ANOVA, Scheff's test와 LSD사후 검정,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수면의 질은 평균 7.81±3.521점으로 7개의 하위영역 중 수면의질 영역이 1.49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다. 수면의 질이 낮은 군은 104명(69.3%)이었으며, 수면의 질이 양호한 군은 46명(30.7%)으로 나타났다. 증상 경험은 전체 위암환자의 62.0%가 중등도 이상의 피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괴로움(58.0%), 식욕부진(55.3%), 졸음(54.7%)순으로 나타났다. 증상으로 인해 지장을 받는 일상생활에 관한 항목 중 전체 위암환자의 48.6%가 기분에 대해 중등도 이상의 영향을 받고 있었고 다음으로 인생 즐김(42.7%), 일상적인 활동(41.3%), 일(40.0%)의 순으로 영향을 받고 있었다. 불안 점수는 평균 6.66±3.766점으로 전체 위암환자 중 78명(51.9%)이 임상적으로 유의한 불안이 있는 상태였고, 우울 점수는 평균 7.89±3.173점으로 전체 위암환자 중 109명(72.7%)이 우울이 있는 상태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PSQI)은 경제적 부담(F=2.449, p=.04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PSQI)은 위암의 진단명(F=-2.116, p=.036), 위암의 병기(F=2.795, p=.043), 치료 상태(F=3.686, p=.02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면의 질과 증상경험(r=.455, p<.001), 불안(r=.259, p<.001), 우울(r=.354,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증상 경험과 불안(r=573, p<.001), 우울(r=.522,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면장애군에 따른 연구 변수의 차이는 수면의 질(F=-18.865, p=.001), 증상정도(F=-3.535, p=.001), 일상생활방해정도(F=-5.712, p=.001), 증상 총점(F=-3.859, p=.001), 불안(F=-2.249, p=.026), 우울(F=-3.476,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암 환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증상경험(β=.449, p<.001)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증상경험 정도가 높아지면 수면의 질은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회귀모형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2.763, p<.001), 모형의 설명력(Adj R2)은 19%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위암환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증상 경험이 반드시 고려되어야할 변수임을 파악하였으며, 향후 위암환자의 수면의 질의 향상을 위해 피로, 괴로움, 식욕부진, 졸음 등의 증상경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위암 환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전자주민카드의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조혜선 成均館大學校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자주민카드의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 형성에 관한연구

      • 초등학교 컴퓨터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에 관한 연구

        조혜선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human beings are advanced, the quanti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ncreases by geometric progression, and now we can't deal well with the stupendous information because it exceeds the human's capacity. The peerless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is to develope the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iques by using computer. Gradually, the synesthesia, that the ability to use computer is an essential factor to lead on life at information society and thus computer education must be done earlier if possible, is magnified to the base of society. For this reas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upply an opportunity, to loam the computer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computer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is done by the method that the students can choose the computer class by themselves' will after regular school and the school offer only the environments. However, this system includes a great deal of problems for the starting time. In this study, we intend to grip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omputer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to exhibit the problems and the solving methods. To begin with, we attend the questionnaire research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in Mokpo area.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 quality of teachers is not enough to satisfy the educational purpose. Second, the computer education has many restrict for lack of support. Finally, th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 are changeable. To solve these problems, we firstly must establish the phase of computer education on a curriculum. We assent to the importance of the computer education, thus we must make a selection of computer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as an essential subject. We can say that with the opening of the our proposal, the problems, discussed at present, maybe will be solved. Based on this study, the problems and supplementation of the computer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must be clarified and tile succeeding study is needed to grope for remedy to manage properly the comput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