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 일부지역 중학생들의 가공식품 구매행동 및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 서울 일부지역 남, 여 중학생 대상

        조현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 일부지역 남, 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공식품 섭취유형과 빈도를 알아보고 구매행동 및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파악하여 청소년들이 건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고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서울 지역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중학생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는 SPSS 12.0v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rosstabs, Chi-square-test,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공식품 섭취실태는 다음과 같다. 가공식품군별 섭취횟수는 아이스크림류(주3,4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자류는 여자가, 면류는 남자의 섭취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 장소는 주로 동네 슈퍼마켓으로 나타났고 먹는 장소는 집, 구입시간은 방과 후, 구입이유는 간편하게 먹을 수 있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구입 시 맛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2. 중학생들의 가공식품 구매행동은 다음과 같다. 과반 수 이상이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것에 대해 좋아한다고 나타났고 남자가 여자 보다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정도의 학생들이 가공식품을 구입 할 때 식품표시를 확인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이유는 관심이 없어서, 식품첨가물의 표기사항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한다, 불만인 이유는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가공식품 구입 시 식품첨가물이 적게 든 것을 구입하려고 노력하는 편이 가장 높게 나왔다. 3.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및 지식은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식품첨가물의 필요성과 장점에 대한 인식은 높은 반면, 위험성에 관한 인식이 낮았다. 인공색소가 가장 관심 있는 식품첨가물로 나타났고 식품첨가물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이 높았다. 시판되는 간장이나 된장에 합성 보존료를 사용하면 안 된다는 문항과 아질산나트륨은 과실음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발색제이다라는 문항이 다른 문항보다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고 안전성과 관련된 문항들은 높게 나타났다. 4. 식품첨가물 교육은 다음과 같다. 식품첨가물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고 주로 대중매체를 통해서 정보를 얻으며 식품첨가물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로 나타났다. 교육 횟수는 2~4회, 교육시간은 30분~1시간미만, 배운 교과는 기술, 과정으로 나타났고 대체로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필요한 정보는 안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5. 인식이 높을수록 식품첨가물이 적게 든 식품을 구매하려고 노력했으며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지식의 정답률이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어머니가 식품성분표를 확인 할 때 학생도 노력하는 편이라는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공식품에 대한 부모님의 태도에 따른 학생의 가공식품 구입 시 노력 여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학생들이 바람직한 가공식품 구매행동을 하기 위해 올바른 지식과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학교 수업을 통해 정확한 지식을 제공하고 인식을 심어 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가정에서 부모님의 관심과 행동도 중요하여 학교수업과 가정교육이 병행한다면 학생의 가공식품 구매행동 개선에 더욱 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

      • 작은 오페라 를 활용한 지역문화 활성화방안 연구

        조현정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문화는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경제발전의 동력으로 작용할 만큼 그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지방분권제도의 확립과 함께 국가 균형발전을 목표로 한 정부의 시책에 힘입어, 지역사회에서도 지역의 다양성을 살린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지역문화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과 문화행사의 개최는 지역의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관광인프라를 구축하여 고용창출, 지역민의 소득증대, 지역 이미지 상승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이는 지역민들의 애향심과 정체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어 자발적인 지역문화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지역의 예산집행에 따라 우후죽순 격으로 생겨나는 비슷한 주제의 지역 축제와 지역민들의 참여 없이 관 주도로 이루어지는 형식적인 행사는 오히려 지역이미지를 저하시켜 지역발전의 부작용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에 관한 타 논문을 살펴보면, 국민소득의 증가와 여가시간의 확대는 지역민들의 문화 예술적 욕구를 증가시켰으나 이를 충족시켜 줄 특색 있는 문화콘텐츠와 문화시설이 부족하다는 점이 그 문제점으로 꾸준히 지적되고 있다. 한편 공연예술계의 동향을 살펴보면, 전반적인 국제 경기의 위축으로 인해 대형 공연보다는 소규모 공연을 지향하고 있으며 문화를 향수하는 세대 층의 확장으로 다양하고 창의성 있는 문화예술행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대형 공연에 치중되어 있던 오페라라는 순수예술장르를 새롭게 재탄생시킨 ‘작은 오페라’를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에 오페라가 도입된 지 60주년을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오페라는 순수예술이라는 부담감 때문에 다양한 관객층을 확보하고 대중화하는 데에 실패하였다. 다행히 최근 성악예술 부흥의 일환으로 다양하고 참신한 소재의 소극장용 오페라 공연이 많은 호평을 받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지역의 문예회관이나 중·소규모 공연장에서 작은 오페라를 다수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한 작은 오페라는 단순히 규모면에서의 크고 작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독특하고 참신한 대본과 연출 하에 오페라 본연의 성격을 해치지 않으면서 관객과의 호흡을 함께 할 수 있는 종합 예술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기에 앞서 지역문화의 개념과 기능, 현재 정부의 지역문화육성사업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지역문화 활성화방안으로 다수 거론되는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둘째, 공연계의 동향과 다양한 사례분석을 통해 지역문화 활성화방안으로서 작은 오페라를 제안하고, 그랜드 오페라와 차별화 된 작은 오페라의 필요성과 대중화 방안을 검토하였다. 셋째, 인천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인천지역의 문화예술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지역의 문화예술공간의 활용 면에서 최근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재건축된 인천아트플랫폼을 중심으로 작은 오페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대상지를 거점으로 한 작은 오페라를 예시로 기획하여 그 가능성을 점검하고 기획 및 분석을 통한 작은 오페라를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기대효과와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주요어: 작은 오페라, 지역문화육성사업, 소규모 공연, 도시재생사업, 인천아트플랫폼 ABSTRACT A Study on Measures to Vitalize Local Cultures Utilizing Operetta Cho, Hyeon Jeong Dept. of Public Performing Adminstration Graduate School of Urbo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The present culture has been expanded its boundary enough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 nation and work as a dynamic force behind economic development. Supported by the government policy of aiming a nationwide balanced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decentralization system, diverse measures to utilize local cultures with distinctive diversity in the community are being searched. Diverse businesses utilizing local cultures and hosting cultural activities vitalize the stagnant local economy and establish tourism infrastructure to create positive effects such as creating more jobs, increase in income for the local residents, and increase in local images. It serves to be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local residents' love for their town and identity and acts as the base for achieving a voluntary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s. However, local festivals spring up everywhere with similar themes according to the local budgeting and perfunctory events led by local governments lower local images instead and serve to be the side effects of local development.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on measures to vitalize local cultures, increase in national income and expansion of leisure time increased cultural and artistic desire of local residents, but the fact that there are not enough distinctive cultural contents and facilities is continuously being pointed out as a problem. On the other hand, when examined the trend of the performing arts world, small scale performances are aimed over large small performances due to the shrink of the global economy, the necessity for various and creative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are coming to the fore with an expansion of generations yearning for cultur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operetta' that recreated a pure art genre called opera which had been heavily focused on large scale performances as a content for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s. Although it has been sixty years since opera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opera has failed to secure a diverse audience and to popularize with the pressure of being a pure art. Fortunately, opera performances with diverse and original materials designed for small theaters as a part of the revival of the art of singing are favorably reviewed many times, numerous operetta are introduced at local art centers or small or medium scale theaters. Operetta suggested as a measure to vitalize local cultures does not simply mean large or small in size matter, but it means a composite art to share breathe with audiences not damaging its original characteristic with original scripts and under direction. Therefore, this study first organizes concept and function of local cultures, and the government's local culture promotion, and to suggest frequently raised measures to vitalize local cultures before suggesting direction for measures to vitalize local culture. Second, operetta is suggested as a measure to vitalize local cultures through the trend of performing arts fields and various case analyses, and the necessity of operetta differentiated from grand opera and measures to popularize operetta are proposed. Third, Incheon area is selected as the target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cultural arts is examined, and measures to vitalize operetta focusing on the Incheon Art Platform reconstructed as a part of the recent urban generation in the aspect of utilizing the local cultural arts space. Fourth, a plan is drew up exemplifying operetta using the target area as a base and its possibility is examined, and a strategy to vitalize operetta through planning and analysis,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expected effect and future study are proposed.

      •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조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eachers are central to education in every society. In North Korea, secondary school teachers also have the status of “professional revolutionaries”, central to a society where education is prioritized as a means of cultivating characteristics desired by the state and raising overall cultural standards. However, existing research about the role of North Korean teachers has predominantly taken a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approach, while limited studies have considered their actions from an insider perspective. This is primarily the result of environmental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access North Korean teachers in situ. A practical approach to North Korean education not only sheds light on the structure of the education system, but also helps us understand the reality of teachers activities and the attitudes and values of these actors who play such a pivotal role in the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se needs,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teaching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North Korea. It us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highlight the contradictions inherent in the uniform “truth” of North Korean education and portray things “as they are” to as great an extent as possible. This qualitative study of the teaching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North Korea also potentially offers a realistic and practical means of approaching the future integration of the North and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s. This study focuses on the teaching experiences of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based on oral accounts from North Korean defectors.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was your experience of the introductory teaching process as a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 Second, how did you experience North Korean “pedagogy”? Third, what was your experience of the teaching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search questions, I selected as participants five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d b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North Korea, and I conducted an interview-based study about their teaching experiences. An interview-based study can facilitat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while preserving the meaningfulness of various events occurring in these complex educational sites. All five participants had graduated from colleges of education in North Korea, had more than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middle schools, and had entered South Korea since 2010.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June 2019 and February 2020. Additional materials about the role of North Korean teachers were collected from sources including research journals, official literature, educational newspapers, and government-issued teaching handbooks. My analysis of the data is based on Giddens “structuration theory” and prioritizes a focus on the perspectives of the actors in question. Therefore, the research analysis framework is based on three areas: how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introduced to the teaching profession, the practice of pedagogy, and the teaching environment. The research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findings. The first research focus, on secondary school teachers introductory teaching experiences, highlighted a tension between strict rules and idealism, and there experiences centered around four areas. First, although they felt great pride at entering colleges of education, the first step into the teaching profession, in reality the formal admissions procedures masked various forms of illegality. Unlike in the past, when only those designated by the state were able to attend university, powerful parents (with economic power, a wide social network, etc.) were now actively involved in determining their child's career. Second,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olitical ideology within the college of education curriculum, such that they knew they should cover its content thoroughly. Although political thought was not an interesting subject, low grades could limit their prospects for promotion. Third, although “Educational Practice”, “Pedagogy”, and “Rural Mobilization” were essential university courses, they were affected by shortened training periods and indiscriminate mobilization depending on the economic state of the country. Fourth, competition was growing for placements after graduation. Graduates were happy to be assigned to their hometowns but, as the situation rapidly changed, there was growing competition to be assigned to a city school with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f learning pedagogy, which was the second research issue, highlighted feelings which veered between passion and confusion. First, teachers verified the basic stages of the teaching process through teaching mock lessons, focusing on the “Enlightenment Teaching Method” and continually improving their skills by subdividing the teaching content, for example. Second, teachers cared for and loved their students like “their own children”, cultivating a positive emotional environment that was used to guide and control the students. Third, teachers had absolute authority in the classroom and exercised this in class management. Fourth, the teachers authority, honor, and professionalism were directly related to how well they could control their classes. Finally, teachers tried to adhere to national teaching guidelines with their teaching methods, but they had difficulties due to in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and a heavy workload. The third research focus,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teaching activities, emphasized the need for compromise between their vocation and the realities of the work. After the state stopped investing in education, most financial support came from parents which led to widespread illegal practice within the educational sector. In the absence of state support for teachers livelihoods, parents became responsible for the survival of their children teachers. There was also rivalry between fellow teachers, while showing unconditional submission to the principal who held authority for assigning classes. Finally, their teaching careers were exhausting and difficult but, nevertheless, the respect they received from students and parents made them extremely proud of their profe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of North Korean teachers experiences has raised a number of significant points. First, perceptions of both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college admissions process have changed in North Korea. Rather than a good social background, good grades and having financial means have become more important for students entering colleges of education. Although students are not permitted any choice in their course of study, they benefit from immediate job placement after graduation without the need to obtain a separate teaching qualification. They also recognize the honor of being considered an elite from a young age. Moreover, the perception that teachers rise to a professional position relatively quickly and are viewed as “politically loyal” has contributed to the recent popularity of the profession. Second, at the same time as treating students like their own children, teachers prioritized their authority as their most effective means of properly educating students. The more control and authority teachers had over students, the more they believed students would respect and trust them. They believed that teachers should lead by example. Third, the social perception of their profession was an important component of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Due to nominal state investment, teachers relied on parents to provide them with food, oil, firewood and money, rather than receiving this from the government. Nevertheless, teachers took pride in their profession because they were viewed positively. The prestige they received as graduates of colleges of education, compared to other graduates, led them to pledge their lives to the teaching profession. As teachers, they received respect and deep affection from students they taught from enrolment until graduation. Sharing a deeper bond than usual student-teacher relations, North Korean teachers were proud to be considered more of a “parent” than simply an educator delivering knowledge. Fourth, teachers did not uncritically comply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but exerted autonomy over what they taught. While on the surface teachers did not reject or resist national educational policies, they reinterpreted and modified the curriculum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in their specific classrooms. Indeed, teachers focused more on developing the “individual abilities” of specific students than on “revolution” through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has several implications. First, teaching activities are intimately connected to wider society. In fact, the varying degree to which teachers implement national educational reform policies has produced unintended results. Although teachers are reliant on the state, they also exercise their own authority within the classroom. Second, North Korean teachers are evaluated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rather than their “intentions”. In order to be rated highly, teachers must ensure that any activities that can be visually identified are clearly demonstrated. However, much of their efforts go unacknowledged, as they struggle in competition against other classes and teachers, assessed on the basis of classroom learning, attendance, organization, class and student assignment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abilities” which are evaluated through teaching activities span the whole potential curriculum. As described abov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revealing the realities of North Korean teachers daily activities, including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they employed, the process of educating students, and the forms of interaction that took place with educational official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teaching experiences of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ommon early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embarking on a career in North Korea. However, while this research considered individuals on a case-by-case basis, it would also have been helpful to grasp the various contradictions that lie behind the appearance of a uniform North Korean education system. Second, there are concerns about whether conclusions drawn from the experiences of five participants can be generalized and applied to all teachers in North Korea. In future research,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electing participants suitable for qualitative research about North Korean education. Third, a large proportion of the teaching experience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in urban schools. However, the vast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n urban and rural educational environments mean further qualitative research is needed that explores teachers activities in different regions. Qualitative studies are need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objective data and to continue to promote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North Korean education system. Furthermor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sights for the discussion of all aspects of North-South Korean educational integration.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교사는 교육의 핵심적인 위치에 있다. 북한 사회 역시 중등교사는 국가가 원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사회의 전반적인 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의 일선에서 ‘직업적 혁명가’라는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교육을 통한 재생산의 순환 고리 중심에 서있다. 그러나 북한 교사와 관련된 연구는 구조적·제도적인 관점에서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왔으며, 그들이 실제로 수행하는 행위를 내부자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는 무엇보다 북한의 교사들에 대한 접근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북한 교육에 대한 실제적인 접근은 교육의 구조뿐만 아니라, 교육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교직활동의 실제와 행위자들의 의식이나 가치관, 태도 등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본 연구는 북한 중등교사의 교직활동 경험을 다루고자 하였다. 이는 교육의 획일적인 ‘진리’ 이면에 내재되어 있는 모순을 가급적 ‘있는 그대로’ 밝혀내기 위한 질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북한 중등교사의 교직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는 분단현실에서 남·북한의 교육통합을 위한 매우 현실적이면서도 실천적인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활동 경험에 주목하고, 교사출신 북한이탈주민들의 구술자료를 통해 교직경험에 대한 실제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북한 중등교사의 교직입문과정에 대한 경험은 어떠하였는가? 둘째, 북한 중등교사의 ‘교수교양’ 실천과정의 경험은 어떠하였는가? 셋째, 북한 중등교사의 교직환경에 대한 경험은 어떠하였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중등교사로 활동했던 다섯 명의 교사출신 북한이탈주민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교직경험에 대한 면담 연구를 진행하였다. 면담 연구는 복잡한 교육현장의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여러 사건들의 의미 있는 상황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그 경험 속에 존재하는 인간 행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이끌어 내는 데 적합한 연구방법이기 때문이다. 연구참여자는 북한에서 사범대학(비사범대학 포함)을 졸업하고, 중학교에 배치되어 3년 이상의 교직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2010년 이후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 전직 교사 다섯 명을 목적표본추출을 통해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심층면담은 2019년 6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심층면담 녹취자료와 함께 북한 교사와 관련한 연구 저널, 공식문헌, 교육신문, 인민교육, 교원선전수첩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에 기반하여 구조 안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자의 관점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북한 중등교사의 교직입문, ‘교수교양’ 실천, 교직환경의 세 영역을 중심으로 연구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북한 중등교사들의 입문과정에 대한 경험은 엄격한 규칙과 낭만사이에서 줄다리기하는 과정이었으며, 그 경험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교직입문과정의 기초단계인 사범대학에 입학하는 것은 교사들에게 큰 자부심이었지만 입학과정의 현실은 형식적인 원칙아래 여러 형태의 불법현상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국가에서 지정해준 대학으로만 갈 수 있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힘(권력, 경제력, 인맥 등)있는 학부모들이 자녀의 진로를 결정하는 데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었다. 둘째,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이들은 정치사상과목과 전공과목, 교직과목을 어느 것 하나 뺄 게 없을 정도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정치사상과목은 재미없지만 성적이 낮으면 진급에 지장이 있었고, 전공과목이나 교직과목은 앞으로 진로와 연관이 있기 때문이었다. 셋째, 대학 교육과정의 필수 과정인 ‘교육실습’, 군사교육인 ‘교도대’와 실천교육으로 활용되는 ‘농촌동원’의 과정은 국가의 경제사정에 따라 실습기간 축소, 무분별한 노력동원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범대학을 졸업하는 것에 대한 기쁨과 함께 배치 경쟁이 나타나고 있었다. 고향으로 배치 받는 것은 졸업생에게 기쁨이었지만, 시대 상황이 급변하면서 고향보다는 교육환경이 좋은 도시 학교에 배치 받으려는 경쟁이 암암리에 벌어지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수교양’ 실천 경험은 열정과 혼란 사이에서 변주하는 과정이었으며, 그 경험을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모의수업을 통해 교수과정에 대한 기초단계를 검증받았으며,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을 핵심으로 전공지식을 잘 가르치기 위한 분과별, 분기별 모의수업, ‘방식상학’ 등을 꾸준히 진행하면서 자질 향상을 지속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실제로 ‘어머니’와 같은 마음으로 담임한 학생들을 ‘내 자식’처럼 아끼고 사랑하면서 ‘긍정감화’ 교육을 생활화하고 있었다. ‘긍정감화’ 교육은 성적향상과 학생지도, 통제에 적절히 활용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담임학급에 대한 절대적인 책임과 함께 학급임원 선출과 학급운영에서 독자적인 권한을 행사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의 교과전문성은 수업을 통제하고 집중시키는 자질과 직결되었으며 그것을 교사의 권위와 명예로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국가의 ‘교수요강’을 교수법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현장의 부족한 교구재, 업무가중 등으로 많은 딜레마를 안고 있었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환경에 대한 경험은 천직과 현실 사이에서 타협하는 과정이었으며, 그 경험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교육사업에 대한 국가의 투자가 중단된 후 교사들은 대부분의 물질적 지원을 학부모들로부터 받게 되면서 교육현장의 불법 현상이 만연하고 있었다. 둘째, 국가가 교사들의 생활조건을 보장해주지 않게 되면서 담임교사의 생계는 학부모들이 감당하는 현상이 암묵적인 일상이 되었다. 셋째, 학급을 맡기 위해 동료교사들 사이에서 경쟁이 벌어지고 있었으며, 교사들은 학급 배정 권한을 가진 교장에게 무조건적으로 복종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에게 교직생활은 감당해야 할 무게로 인해 지치고 힘든 과정의 연속이었지만, 그럼에도 ‘선생님’을 존경하는 학생-학부모와 사회적 우대는 교직에 대한 높은 자긍심을 가지게 하였다. 이를 토대로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경험이 가지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사회에서 사범대학 입학과 교직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는 점이다. 사범대학을 진학 시 출신성분보다는 우수한 성적과 가정의 경제력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학의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선택권과 자율권이 허용되지 않지만, 졸업할 때 별도의 교사자격시험이 없이 바로 배치가 가능하고, 젊은 나이에 ‘간부과’ 대상이 되어 ‘민족간부’ 대열에 들어선다는 장점은 자부심과 명예로 인식되고 있다. 타 대학에 비해 ‘당의 신임’과 ‘전문직으로의 신분전환’이 상대적으로 빠르다는 인식은 교직을 선호하는 분위기로 바뀌었다. 둘째, 교사들은 학생과의 관계에서 ‘권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이다. 물론 이들이 ‘어머니’와 같은 마음으로 학생들을 ‘내 자식’처럼 여기고 있었지만, 학생들을 올바르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권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았다. 교사가 학생에 대한 통제력과 권위를 가질수록 학생들에게 더 많은 존경과 신뢰를 받을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때 교사의 이신작칙과 솔선수범의 모습은 학생들에게 거울이 된다고 믿었다. 셋째, 교사들이 교직에 헌신하는 데 있어서 사회적 인식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그들의 생활에 필요한 물질적 보상은 국가를 대신하여 학부모들이 발 벗고 나서 식량, 기름, 부식물, 땔나무, 돈 등을 마련해주고 있다. 그럼에도 이들이 교직에 대한 자부심을 갖는 이유는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긍정적이기 때문이다. 사범대학을 졸업할 때부터 타 대학의 졸업생들과는 차별화된 사회적 우대가 평생을 교사로 살 것을 다짐하게 만들었다. 여기에 ‘선생님’에 대한 애정과 존경은 ‘학급고정담당제’의 영향이 크다. 학급고정담당제로 학생과 교사 사이에는 사제지간 이상의 끈끈한 관계가 형성되면서, 교사가 단순히 교과 지식을 전달해주는 전달자 이상의 ‘어머니’와 같은 존재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넷째, 교사들은 국가의 교육과정에 무조건적으로 순응하지 않으며,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나름의 자율성을 발휘한다는 점이다. 이들은 표면적으로 볼 때, 국가의 교육강령이나 방침에 거부하거나 저항하지는 않지만, 교실 맥락에서 교육과정을 실행할 때는 나름의 전문성을 가지고 교육과정에 재해석과 변형을 가하고 있다. 실제로 교사들은 교육을 통한 ‘혁명’보다는 학생의 ‘개인의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실력향상에 무게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경험에 대한 논의를 종합해볼 때, 이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활동은 사회 구조와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면서 의존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실제로 북한 중등교사들의 실천행위는 국가의 교육개혁에 반해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교사들은 국가에 의존하면서도 교실이라는 시공간에서 독자적인 권위를 행사하면서 행위의 이중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북한 중등교사들이 교직을 통해 실천하는 행위는 그것의 ‘의도’보다 그 일을 해낼 수 있는 ‘능력’에 의해 평가된다는 점이다. ‘의도’가 ‘능력’이라는 결과로 인정이 되려면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행위가 뚜렷하게 나타나야 한다. 실제로 북한의 중등교사들은 학급의 학습실력, 출석률, 조직생활, 학급과제, 학생과제, 과외작업 등의 학급별, 교사별 경쟁으로 하루 24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바쁜 일상을 보내면서도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이들이 교직활동을 통해 평가 받는 ‘능력’은 그들이 잠재적으로 수행하는 교육과정의 전반에 해당되고 있으며 그들의 삶과도 직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북한 교육의 주 행위자였던 교사출신 북한이탈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그들이 수행했던 교육과정과 교수방법, 학생들을 교양하는 과정, 교육관계자들과의 상호작용 과정 등과 같은 교직활동의 실제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경험을 이해함에 있어서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경험 연구의 시작으로서 교직활동의 전반에 대한 공통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교직활동에 대한 개별 사례를 선정하여 사례별로 연구를 진행한다면, 획일적인 북한 교육의 이면에 자리 잡고 있는 모순들을 다양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둘째, 다섯 명의 연구참여자의 교직경험에 대한 논의가 북한의 모든 교사들의 활동처럼 일반화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북한 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를 설계함에 있어서 연구방법에 맞는 참여자 선정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도시 중심의 학교에서 교직을 수행한 비중이 높다. 그러나 북한의 도시와 농촌의 교육환경에 대한 격차가 눈에 띠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역별 교사들의 교직활동을 다각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질적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북한 교육의 실제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질적 연구들이 지속되어 객관적인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들이 남·북한 교육통합을 위한 제반 사항을 논의하는 데 유용한 통찰을 제공해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

      • 회복적 실천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문제행동, 공감 및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

        조현정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r restortive practice program on problem behavior, empathy, and conflict resolution of adolescents: First, how is the effect of the recovery practice program on the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Second, how is the effect of the recovery practice program on the empathy ability of adolescents? Third, how is the effect of the recovery practice program on the conflict resolution ability of adolesc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A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B group students as the control group. Based on ADDIE model,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 preliminary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with 20 sessions for 10 weeks. The measurement tool used the Problem Behavior Scale, Empathy Scale,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y Scale, and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problem behavior, empathy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y of adolescents. First, the test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recovery practice program on the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was verified by using the analysis of variance of the problem behavior scal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blem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the empathy scale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recovery practice program on the empathy of adolescents was statistically verified by using covariance analysis, and the expression empathy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f listening ability increases, the level of empathy will increase and it will help to form positive human relations. Third, the effect of the recovery practice program on the conflict resolution ability of adolescents was examined. The result of the test using covariance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recovery practice program on the conflict resolution abi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avera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decision­making ar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covery practice program can effectively improve empathy. However, it was found that it did not have an effect on problem behavior or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dolescence is the period when anxiety increases due to emotional and physical change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in problematic behaviors and conflicts is natura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apply the recovery practice program to help healthy growth of adolescence.

      • 영양사의 영양관리와 위생관리 수행 항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군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현정 세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요약 영양사의 영양관리와 위생관리 수행 항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군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현재 단체급식 시장의 성장과 식생활 양식등의 변화로 인해 학교, 산업체, 병원 등에서도 다양한 식사를 제공하고 이싸. 단체 급식은 단순히 식사를 한끼 제공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건강한 식단과 균형잡힌 영양 서비스등 다양하게 공급되어져야 한다. 급식 구성원의 건강 증진을 토대로 단체 급식을 관리하고 있는 영양사들의 업무가 중요시 되고 있으며 업무중 영양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식의 책임자인 영양사들의 영양관리 수행 항목과 위생관리 수행 항목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만족도에 따라 급식 관리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 할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양사의 영양관리와 위생관리 수행 항목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또한 직군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실증 분석을 위해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조사설계와 실증분석을 위하여 가설을 도출하였다. 본연구 연구 결과 과정 요약은 다음과 같다. 산업체, 병원, 학교 세 집단의 영양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하여 총 243부를 회수하여 spss22.0을 이용해 신뢰도 검증과 요인을 분석하여 기술통계를 하였고 영양사의 영양관리와 위생관리 항목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서열프로빗 모형(OPM)으로 검증하였고, 우도비율검정을 통해 영양사의 직군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조절효과를 살펴 보았다. 첫 번째로, 영양사의 영양관리, 위생관리 항목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생활 습관병 예방 관리 수행 항목’, ‘위생관리 수행 항목’, ‘당류저감화 관리 수행 항목’, ‘ 영양교육관리 수행 항목’, ‘메뉴관리 수행 항목’ 총 5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고 검정결과 ‘생활 습관병 예방 관리 수행 항목’과, ‘메뉴관리 수행 항목’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영양사의 영양관리와 위생관리 수행 항목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직군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학교 영양사 직군은 ‘샐활 습관병 예방 관리 수행 항목’과, ‘위생관리 수행항목’, ‘메뉴관리 수행 항목’에 영향을 미치었으며 ‘위생관리 수행 항목’ 은 계수값이 (-)값으로 HACCP등으로 인한 직무 량이 많을때 직무만족도가 떨어진다고 생각 할수 있겠다. 또한 ‘생활습관병 예방관리 수행 항목’과 ‘메뉴관리 수행 항목’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급식 제공시 초등비만과 관련된 메뉴 편성과 저염식등을 제공하고 영양관리를 함에 있어 직무에 보람을 느껴서 직무 만족도가 높다고 말할수 있겠다. 병원 영양사의 직군을 보면 ‘당류 저감화 관리 수행 항목’에 유의한 것으로 나왔는데 이는 병원영양사로서의 업무 수행시 식이 조절을 통해서 당뇨병 환자등 당류 조절 환자가 회복 되거나 환자의 병세의 차도가 나타나 영양사의 직업에 대해 보람을 느낌으로 직무에 만족할 수 있다고 하겠다. 산업체 영양사의 직군을 보면 ‘생활습관병 예방관리 수행 항목’과 ‘메뉴관리 수행 항목’, ‘영양교육 관리 수행 항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이 또한 현대인의 성인병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그로인해 영양사들은 양질의 영양 서비스를 제공하여 생활 습관병을 예방 할수 있으며, 피급식자의 선호도에 맞는 식단을 공급하고 영양 교육을 통해 양질의 영양관리를 함에 따라 전문인으로서 직무에 가치를 두고 직무에 만족한다고 할수 있겠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양사들의 직무 만족도는 직무에 보람을 느끼고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 할때에 직무에 만족함을 알수 있고 그에 따른 영양사의 자부심과 긍지를 느낄수 있는 직무 역량 교육이 필요 할것으로 사료 되어진다. 또한 영양사의 근무 만족이 높을수록 능률이 향상되고 즐겁게 일할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교와 병원과 산업체에서 근무하는 영양사들의 직무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직무 만족을 높이고 업무 능률을 향상 시킴으로 인해서 양질의 음식을 제공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국민 건강 관리에 이바지 할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양사의 직무 만족은 국민 건강에 이바지 할수 있기 때문에 영양사의 직무 만족을 위해서는 급식 및 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법적 제도적 개선이 요구되며 영양사 스스로도 끊임 없는 자기 계발과 직무 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 하다. 주제어: 단체급식, 영양관리, 위생관리, 직무만족, 건강한 식단 Abstract The Effect of Dietitians' Nutrition Management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n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ccupational group - Cho Hyun Jung Department of Hotel & Foodservic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Sejong University With the spread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at schools, industries, hospitals, etc. owing to the growth of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market, institutional foodservice is no longer limited to merely providing one meal but it has to provide healthy diet and nutritional service. As the interest toward health is increasing in the modern society, the health food fever toward menus has become a social issue. The tasks by the nutritionists who manage institutional foodservice are regarded as important and the interest toward nutritional management during duty is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basic materials which could effectively implement institutional foodservice management tasks according to satisfaction levels by researching the nutri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items by nutritionists and the effects of sanitary control performance items on job satisfaction.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nutritionists' nutritional management and sanitary control performance items on job satisfaction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 organized the study model for empirical analysis, and derived hypothesis for research design and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is the process outline of the study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have been derived by using the SPSS 2.0 after collecting 243 questionnaire surveys from the nutritionists working at industries, hospitals, and schools, the effects of nutritionists' nutritional management and sanitary control items on job satisfaction have been verified through the Ordered Probit Model (OPM), and the control effect according to the occupation group of nutritionists have been examined through likelihood ratio test. Firs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nutritionists' nutritional management and sanitary control items on job satisfaction, five factors have been extracted. A total of five factors - 'performance of lifestyle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item', 'sanitary control performance item', 'performance of sugars reduction management item', 'performance of nutritional education management item', and 'performance of menu management item' - have been extracted a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performance of lifestyle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item' and 'performance of menu management item' had significant effects. Second, whether the effects of nutritionists' nutritional management item and sanitary control performance item differed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school nutritionists group had an effect on 'performance of lifestyle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sanitary control item', and 'performance of menu management item'. Since the work amount was high due to the negative factor value of the 'performance of sanitary control item', their job satisfaction level was low. In addition, when it came to the 'performance of lifestyle prevention and management item' and the 'performance of menu management item', the job satisfaction level is high since the nutritionists were satisfied when organizing the menus related to elementary level obesity, offering low salt menus, and doing nutritional management. When it came to the hospital nutritionists group, the 'performance of sugars reduction management ite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nutritionist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 by being worthwhile when sugars control patient recovered after implementing dietary control or when patients' disease improved. The industries nutritionists group had an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lifestyle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item', the 'performance of menu management item, and the 'performance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management item'. This also proves that nutritionists place value on their job as a professional and are satisfied with what they do by conducting high quality nutritional management through the prevention of lifestyle diseases by offering high quality nutritional services, the provision of the menus suiting the tastes of the public, and nutritional education. When referring to the study results, nutritionists are satisfied with what they do when they think that their job is valuable and the corresponding job capability education which enables them to feel proud is necessary. Furthermore, since efficiency increases as the job satisfaction of nutritionists goes higher, high quality food and service can be provided by offering the materials which they can joyfully work with and improving work efficiency through the creation of good work environment at schools, hospitals, and industries and contribution toward the public health management is made. Since the job satisfaction of nutritionist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study results can contribute in the public health, transformation of the perception toward institutional foodservice and education and legal institutional improvement are required to guarantee job satisfaction and nutritionists themselves have to endlessly make self-improvements and efforts to enhance work performance. Keywords: institutional foodservice, job satisfaction, nutritionists nutritional management, sanitary control performance

      • 韓國 建造物 文化財 保存史에 關한 硏究 : 1910년 이후 수리된 목조건조물을 중심으로

        조현정 명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word 'Cultural property' is used in the Korea, it was about 50 years. Therefore, it is since the 1990 that begin to study with interest in field called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Recently, Con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is becoming subject of interest to investigators of various parts. This study aims to focus on investigating The law of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dministration, Conservation of woode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ir's adjusted change process since 1910. Age divided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nd important repair into basis. Chapter 2 investigated legislation regard to historic fabric from 1910 to 1960. And administration part studied chosun-chongdokbu and iwangjig. Also, investigated conservation works of Buseok-sa, Sudeok-sa, Chungpyung-sa etc. Chapter 3 investigated for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establishment of the law of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from 1961 to 1983, and investigated about repair and scientific conserv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hat was mainly at this time including Namdaemun. Chapter 4 studied until A begins to Establish in 1984 and ends in 1998. And this time, studied conservation of the village and reconstruction of royal palace that was main business. Chapter 5 studied about law of mordern building's protection and Law about historical city as period from 1999 to present. Conservation style is changed as is various and new. Thus, studied result is as following. I could know process that Cultural Properties Conservation changes. Conservation of fabric have changed from conservation of building to village conservation, by conservation of city and cultural area in village retention. Administration was atomized and became specialization. Conservation works changed to tendency that recognize additive in restoration putting first. Confirmed that study of various field for conservation of fabric. 한국에서 ‘문화재’라는 용어를 사용한 지는 불과 50여년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문화재보존’이라는 분야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고 학문적으로 자리를 잡기 시작한 것도 90년대 이후의 일이다. 최근의 건조물문화재보존은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구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通史적 관점에서 건조물문화재의 보존을 연구한 것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부터 전개되어온 한국의 건조물 문화유산의 보존 작업에 대하여 법규 ? 행정 ? 목조건조물의 보수를 중심으로 변화과정을 정리하여 보존의 역사를 연구하였다. 시대구분은 문화재보호법과 주요한 보수공사를 배경으로 나누었다. 2장은 일제강점기부터 광복이후 1960년대 까지 역사적 건조물과 관련한 법규로서 향교재산에 관한 규정부터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까지를 고찰하고, 행정적인 면으로서 조선총독부와 이왕직, 실제 보수공사로서 부석사 수덕사 청평사 성불사 무위사의 보수공사를 고찰하였다. 3장은 1961년부터 1983년까지의 시기로 이때 문화재보호법과 문화재연구소, 문화재관리국의 신설 및 전개과정에 대하여 고찰하고, 남대문을 비롯하여 이 시기에 주로 있었던 보수공사와 보존과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4장은 1984년부터 1998년까지의 시기로 전통건조물보존법이 제정되어 폐지되기 까지를 고찰하고, 이 당시 주로 나타났던 마을의 보존과 궁궐의 복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5장은 1999년부터 현재까지로 등록문화재제도와 고도보존을 위한 특별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 보수공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위의 같이 건조물문화재의 보존사를 고찰해본결과 문화재보호법은 1개 단위 건조물 보존에서 마을단위보존개념으로 다시, 도시 및 문화권 보존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행정기관은 세분화 전문화 되어갔다. 보수공사는 현상변경 위주에서 후보물을 인정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건물의 수명연장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유아의 동기 및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조현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동기와 자아개념이 창의적 인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동기 및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분석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본질을 규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유아의 창의성 발달 연구 및 창의성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해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공립 유치원 10곳 만 4~5세 유아 339명을 대상으로 동기 및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동기 검사는 진경희(2000)의 검사를, 창의적 인성 검사는 Rimm(1983)의 PRIDE를 참고하여 이영, 김수연, 신혜원(2002)이 제작한 ‘유아용 창의적 행동특성 검사’를 각각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공립유치원 담임 교사 15명이 각각 담당 학급의 유아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아개념 검사는 Harter와 Pike(1994)가 개발한 유아용 자아지각 척도를 김영숙(1997)이 수정하여 만든 5-6세용 자아개념 검사를 검사자가 수정 보완하여 그림 개별 검사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동기와 창의적 인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r=.207, p<.01)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창의적 인성은 특히 유아의 내적동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230, p<.01)를 보이나 외적동기와는 유의미한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와 창의적 인성 하위 영역간에도 유아의 내적 동기는 독특성-호기심, 개방성-유머, 민감성-다양한 흥미, 상상력-놀이성, 독립성-몰두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내적 동기와 독특성-호기심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외적 동기와는 모두 의미 있는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r=.266, p<.01)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창의적 인성은 유아의 인지능력(r=.246, p<.05)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체적 능력(r=.217, p<.01), 동료수용(r=.186, p<.01), 자기수용(r=-.176, p<.01) 등과도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 하위 영역간에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지능력과 개방성-유머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간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의 동기 변인만을 회귀모형에 투입했을 때보다 유아의 동기와 자아개념 변인을 함께 투입했을 때 창의적 인성과 관련이 증가하였다. 유아의 동기 변인 중에서는 내적동기가 자아개념 변인 중에서는 인지능력, 신체적 능력 등의 순으로 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내적동기 변인이 가장 관계가 밀접한 변인이며, 유아의 인지능력과 신체적 능력 등의 자아개념 변인 역시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창의적인 유아는 도전적인 과제를 선호하며, 문제 해결 과정 자체에서 보상을 받는 내적 동기가 더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혀졌으며, 내적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인적, 물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의 중요함을 설명해 주었다. 또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한 유아가 자신의 역할을 끈기 있게 수행하고, 창의적 인성이 더 잘 발현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창의성과 관련된 심리적 변인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새로운 산물을 생성하는 등의 인지적 사고 기능 훈련도 필요하다.하지만 본 연구 결과는 유아가 자신의 동기를 인식하고 일상생활에서 당면한 다양한 자신의 문제를 긍정적인 자신감으로 해결해 나가는 등의 다양한 정서교육 프로그램이 더 적극적으로 도입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children's motivation and self-concept to their creative personality. This study can help to find out the nature of creative personality, and can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9 (4-5 years old children) attending in 10 public kindergartens. Data were gathered for children's motivation, self-concept test, and creative characteristic. The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was analysed by 15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 For the children's motivation study, The Test by Jin Kyonghee(2000) was used, for the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study, The Rating Scale for Creativ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Lee young, Kim Suyeon & Shin Haewon 2002) was used. For the children's self-concept study, "Self-concept Measure for Children" developed by Harter and Pike(1994) and revised by Kim Youngsook(1997) was us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positive relation between children's motiv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While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and their creative personality,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outward motivation and their creative personality.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the sub area of their creative personality,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as significant moderator in these factors: Speciality-curiosity, openness-humor, sensitivity-various interests, imagination-pleasure ability, independence-absorption.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was between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and their speciality-curiosity. Secon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elf- concept and creative personality. There was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and their cognitive ability. In addition, children's physical ability, their peer acceptance and their self acceptance ability were found as significant factors. Also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elf-concept and sub area of creative personality. Especially, there was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cognitive ability and openness-humor. From these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elf-concept and their creative personality. Third, when children's motivation and self-concept factors were put into together to the regression model, the expectation about the creative personality was increasing than when only the children's motivation factor was put into. Intrinsic motivation had the most influence in the motivation factor. Cognitive ability had more influence than their physical ability in the self-concept factor. These analysis of this study revealed those findings.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working as an important factor of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 self-concept such as children's cognitive ability and their physical ability had good influence in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In the sub area of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concep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as significant moderator influencing children's speciality-curiosity in creative personality. Also children's cognitive factor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ildren's speciality -curiosity. Children's cognitive ability of self-concept was found as the most significant expectation factor in the children's openness-humor. Also children's physical ability and intrinsic motivation factor had good influence in the openness-humor.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factor had more influence than children's self-concept in the sensibility-various interests.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acceptance factor were found as an significant moderator in the imagination-pleasure ability. The peer acceptance had the most influence factor in the independence-absorption. Also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as an significant factor in the independence-absorption.

      • 국내 골프 유튜브 채널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운영 현황을 중심으로

        조현정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한 골프 인구의 확대와 함께 성장하고 있는 국내골프 유튜브 채널의 운영 현황과 특성을 체계화하고 구체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기존 미디어 스포츠 연구들이 이용자 중심에 치중되고 있는 데 반해 본 연구는 콘텐츠 생산자 입장에서 골프 유튜브 채널의 등장 및 발전 현황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골프 채널을 운영하는 현장의 유튜버 및 제작자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 채널 운영상의 특징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전자를 위해서는 문헌조사, 그리고 후자를 위해선 골프 유튜버 및 제작자 대상 심층면접 방법이 동원되었다. 여기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 골프 유튜브 채널의 외형상의 특징으로는 급속한 성장으로 귀결되는 데 첫째, 구독 자수 기준으로, 2021년 12월11일 현재 유튜브 채널 스포츠 카테고리 톱100 가운데 총 18개의 골프 채널이 포함돼 있고, 이 중 구독자 수 30만명 이상의 채널이 8개, 20만명 이상이 15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골프 채널은 전 세계 골프 채널 수의 10분의 1 수준이지만 제공하는 영상수는 3분의 1이 넘을 만큼 콘텐츠 제작과 유통이 활발한 것으로 집계됐 다. 셋째, 채널 운영자의 직업별 분포를 보면 골프 교습가, 개그맨을 비롯한 연예인, 프로선수, 미디어, 투어, 용품·의류 등 골프 브랜드, 캐디, 아마추어 골퍼, 기타 등으로 다양했고 이 가운데 교습가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넷째, 유튜브 골프 채널의 수익모델은 구독자 수와 영상 조회 수를 바탕으로 한 유튜브 광고수입, 기업협찬(광고)을 비롯해 슈퍼챗, 커머스 등으 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골프 유튜브 채널의 인기를 기반으로 기존 방송사들이 비슷한 포맷의 골프 예능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경향이 나타남으로써 유튜브 콘텐츠를 매개로 한 트랜스 미디어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현장의 유튜버 및 제작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에서 나타난 유튜브 골프 채널의 운영상 내재적인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유튜브 채널은 유튜버들이 자신의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골프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공유하고 레슨을 통해 골프 인구의 저변확대를 위해 시작하게 됐지만 최근 웹 예능 형식의 채널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정보전달과 교육 중심에서 오락 제공 중심으로 그 기능이 확대 또는 전환되고 있다. 둘째, 인기 연예인들이 전문제작사와 손잡고 골프 유튜브 채널을 잇달아 개설하면서 실내 스튜디오 중심의 제작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즉, 연예인 유튜버가 실외 골프장에서 9~18홀을 돌며 유명인 게스트와 대결하는 골프 예능 콘텐츠 제작이 늘어나면서 제작 시간이 늘어나고 많은 제작 인원과 장비가 투입되는 등 제작 규모와 방식의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셋째, 수익구조 측면에서 초창기 1인이나 소수 인원 중심의 채널 운영에서는 구독자 수와 영상 조회 수 중심의 수익구조가 지배적이었지만 최근 다수 출연의 야외 장시간 촬영이 일반화되면서 제작비 상승과 함께 수익원으로서 협찬 확보가 관건인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넷째, 그 결과 유튜브 본래의 1인 미디어로서 속성보다 일반 방송미디어적인 속성인 상업화, 기업화의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로 인해 채널간의 과당경쟁이 발생하고 엇비슷한 형식의 상업화된 콘텐츠 제작으로 쏠림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고 유튜브 골프 채널의 외형적인 성장에 걸맞게 내실을 다지려면 골프 채널의 근간인 골프 교습 등 정보전달 기능과 재미적인 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소위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된다. 아울러 차별화된 오리지널리티 콘텐츠 및 글로벌지향의 콘텐츠 개발 과 안정적인 채널 운영을 위한 보다 정교하고 예측가능한 수익모델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and materialize the operating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golf YouTube channel, which is growing along with the recent rapid expansion of the golf population. In particular, while existing media sports studies are focused on users, this study empirically grasps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the golf YouTube channel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producers, and further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YouTubers and producers in the field who operate golf channels. Through this, we focused on revealing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 that are not easily revealed on the surface. For the former, literature research, and for the latter, in-depth interviews with golf YouTubers and producers were mobilized. The study results obtained her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golf YouTube channel lead to rapid growth. First, based on the number of subscribers, as of December 11, 2021, a total of 18 golf channels among the top 100 YouTube channel sports categories are included. Eight channels with more than 300,000 or more and 15 channels with more than 200,000. Second, the number of domestic golf channels is one-tenth of the number of golf channels in the world, but the number of videos provided is more than one-third, so conte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re active. Third, the distribution of channel operators by occupation varied as golf instructors, entertainers including comedians, professional players, media, tours, golf brands such as supplies and clothing, caddies, amateur golfers, and other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revenue model of the YouTube golf channel consisted of YouTube ad revenue based on the number of subscribers and video views, corporate sponsorship advertising, Super Chat, and commerce. Fifth, based on the popularity of the Golf YouTube channel, existing broadcasters tend to produce golf entertainment programs in a similar format, demon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ns media through YouTube content. In addition,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of the YouTube golf channel shown in in-depth interviews with YouTubers and producers in the field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olf YouTube channel was started for YouTubers to share various information about golf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expertise and to expand the base of the golf population through lessons. Its functions are expanding or changing from the center of information delivery and education to the provision of entertainment. Second, as popular celebrities partnered with professional producers to open golf YouTube channels one after another, there was a change in the production method centered on indoor studios. In other words, as the number of golf entertainment content production in which celebrity YouTubers play 9 to 18 holes in outdoor golf courses and face off against celebrity guests increases, production time increases and a large number of production personnel and equipment are put into production. Third, in terms of revenue structure, in the early days of channel operation centered on one or a small number of people, the revenue structure centered on the number of subscribers and number of video views was dominant. The situation is developing. Fourth,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ization and corporateization, which are properties of general broadcasting media rather than the properties of YouTube's original one-person media, are emerging. As a result,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channels occurs, and the tendency to produce commercialized content in a similar format is prominent. In order to take these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and to strengthen the internal structure suitable for the external growth of the YouTube golf channel,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called edutainment content that harmonizes the information delivery function such as golf lessons, which is the basis of the golf channel, and fun elem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re sophisticated and predictable revenue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originality content and global-oriented content and stable channel operation.

      • 리튬 이온 전도성 고체 전해질용 Li7La3Zr2O12 가넷에 대한 실리콘, 티타늄의 첨가 효과 : Effect of Si and Ti doping on garnet type Li7La3Zr2O12 as lithium ion conducting solid electrolyte

        조현정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arnet type Li7-4xSixLa3Zr2O12 (x=0.07-0.02) and Li7-xLa3Zr2-xTixO12 (x=0.025-0.1) have been successfully synthesized via conventional solid state methods, and evaluated as lithium ion conducting solid electrolytes for all-solid batteries or lithium air batteries. The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scanning emissi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mong the investigated samples, 1.0 mol% Si doped (Li6.72Si0.07La3Zr2O12) sintered at 1,180℃ for 36 h shows a maximum conductivity of 6.416×10-4S/cm, which is almost double the value for pure Li7La3Zr2O12 at room temperatur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resence of a small percentage (2.5 mol%) of Ti helped stabilize the cubic phase at lower calcination temperature with improved sinter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