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벽면녹화 적용에 따른 아파트 단지 옥외 공용공간의 음향성능 개선효과 분석

        조현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change of apartment residents' housing view and community consciousness has increased outdoor common space; accordingly, comfort in the outdoor community space in various aspects is required. Outdoor common space of apartment complex has relatively long reverberation time because of its extensive scale, building form and reflexible finishing materials, which consequently causes noise increase. Such effect for residents hinders comfort in acoustic environment aspect and exacerbates displeasure and somnipathy. Recently at home and abroad, instances of utilizing greening materials as a part of sound-scape such as green-wall to improve acoustic environment and related researches have increased. In spite of th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quantitative analysis of improvement in acoustic aspect on applying green-wall in accordance with domestic apartment complex building form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acoustic environmental aspect. Moreover, researches for efficient application guideline on green-wall installation are also lack.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domestic typical green-wall system and evaluated sound absorption properties by KS F 2805. Also, the study selected community space of representative domestic apartment complex and analyzed reverberat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efficient application of green-wall to improve acoustic environment through acoustical analysis simul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presentative domestic green-wall system showed high sound absorption properties above absorption coefficient 0.8 in mid-frequency band and NRC is analyzed as 0.83. 2) In outdoor common space of select typical apartment complex, the reverberation time is measured as 0.86 ~ 1.84 sec at 500 Hz. The reverberation time turned out to be increased as distance increased of receiver. 3) In the respect of reverberation characteristics, the reverberation time decreased by maximum 0.75 sec when green-wall was applied to outdoor common space of domestic apartment about 70% of whole wall area. Quadrangle type showed the highest reduction efficiency of reverberation time in regard of identical area application, which means green-wall has to be applied preferentially to Quadrangle type. Furthermore, the reverberation time reduction by application area increase was showed exponential tendency. Thu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reverberation time reduction rapidly decreases as green-wall area exceeds 30% of whole area. Moreover, efficiency of reverberation time reduction was much higher when green-wall is applied at lower part of wall than higher part, which has to be considered also by priority when planning green-wall. 4) Considering decay of sound pressure level, sound pressure attenuation of both inner source and external source is increased by maximum -5.0 dB when green-wall was applied to outdoor common space of domestic apartment about 70% of whole wall area. Proceeding from this fact, green-wall is considered to have high effect on noise control according to reverberation time reduction. Likewise, sound pressure attenuation, in regard of identical area application, was higher from -1.0 dB to -2.0 dB when green-wall is applied at lower part of wall than higher part. Therefore, lower part of wall is considered as prior application factor of green-wall. If henceforward the study over multiple cases of outdoor common spaces with various spatial characteristics is continued, this study result will be used as a representative case study to provide comfortable and restful sound environment to apartment complex. 최근 아파트 단지 거주 주민들의 주택관과 커뮤니티 의식 변화로 옥외 공용공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옥외 공용공간 내 다양한 측면에서의 쾌적성이 요구되고 있다. 공동주택의 옥외 공용공간은 공간 규모가 크고, 건물형태나 반사성 마감재료 등에 의해 상대적으로 긴 잔향시간을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영향은 음환경 측면에서의 쾌적성을 떨어뜨리고 거주자에게 불쾌감 및 수면장애 등의 악영향을 주게 된다. 최근 국내외에서는 이러한 옥외공간의 음환경 개선을 위해 Sound-scape의 일환으로 벽면녹화와 같은 녹화요소를 활용한 사례와 관련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외 연구 흐름에도 불구하고, 국내 아파트 단지 형태나 공간특성을 기준으로 벽면녹화 적용 시 음향적 측면에서의 정량적 개선 정도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음환경 개선에 있어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주로 이용되는 벽면녹화 시스템을 선정 후 잔향실법 흡음률 실험을 통해 흡음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국내 아파트 단지 중 대표적인 단지를 선정하여 공용공간에서의 음향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벽면녹화를 적용할 경우 음환경 측면에서의 개선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선정된 공용공간의 3D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적용변수(음원특성 및 위치, 단지 배치형태, 적용위치, 적용면적 등)에 따른 잔향시간 및 음압감쇠 변화를 음향분석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다양한 공간특성을 갖는 커뮤니티 공간 내에서 음환경 측면에서의 효율적인 벽면녹화 적용 가이드라인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에서 대표적인 벽면녹화를 선정하여 흡음성능을 실험한 결과 중주파수 대역에서 흡음계수 0.8 이상의 높은 흡음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RC는 0.83으로 분석되었다. 2) 옥외 공용공간의 잔향특성 측정 결과, 전체적으로 공간의 체적이 크기 때문에 잔향시간이 500 Hz 기준 0.86 ~ 1.84초로 상당히 높은 값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수음점의 이격 거리에 따라 잔향시간이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잔향특성 측면에서, 벽면녹화를 국내 공동주택 옥외 공용공간에 최대 적용가능한 면적인 전체 건물 벽면면적 대비 약 70%를 적용할 경우, 최대 0.75초의 잔향시간 감소량을 보였다. 동일 면적대비 잔향시간 감소 효율은 ㅁ Type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 ㄷ Type, 二 Type 순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벽면녹화 적용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사료된다. 또한 적용면적 증가에 따른 잔향시간 감소량은 지수함수적 경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따라 벽면녹화 면적이 전체면적 대비 30%이상 적용되면 잔향시간 감소량이 급격하게 감소하므로 실제 벽면녹화 설계 시 이를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저층부에서의 잔향시간 감소 효율이 고층부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벽면녹화 디자인 시 고려해야 한다. 4) 음압감쇠 측면에서, 벽면녹화를 국내 공동주택 옥외 공용공간에 최대 적용가능한 면적인 전체 건물 벽면면적 대비 약 70%를 적용할 경우, 음압감쇠량이 내부음원, 외부음원 모두 기존 대비 최대 -5.0 dB까지 증가하여 벽면녹화가 잔향시간 감소를 통한 소음제어 측면에서 영향이 매우 크다고 판단된다. 잔향시간 변화와 마찬가지로 동일면적 대비 저층부에서의 음압레벨 감쇠량이 고층부보다 -1.0 dB ~ -2.0 dB까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저층부가 우선적인 벽면녹화 적용 요소로 사료된다. 향후 좀 더 다양한 공간특성을 지닌 다수의 옥외 공용공간 사례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지속한다면, 본 연구의 결과는 아파트 단지에 정온하고 쾌적한 음환경을 제공하는데 있어 대표적인 사례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이해관계자 기반의 중소기업 ESG 도입 방법론에 관한 연구 및 지원시스템 개발

        조현민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Stakeholders of a company demand the expansion of the company's role from profit-seeking to quantified ESG management activities. The demand for ESG management activities for companies based in EU member countries has been expanded through the U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scope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demanded by stakeholders is broad and there are many ESG indicators for measuring ESG performance. Korean representative multinational companies such as Samsung, LG, SK are also engaging in ESG management activities that meet international demands and standard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which have a high dependency on large corporations, also need to prepare for ESG management in line with global trends and demand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limited resources should plan ESG management activities that meet the demands of stakeholders and prioritize execution of selected ESG sub-indicators according to priority.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ith limited resources, a six-step methodology for stakeholders-based decision-making on the introduction of SME ESG was proposed. Firstly, a survey is conducted among the company's management team, and stakeholder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salience model. The survey consists of 6 questions, including 1 question to confirm the presence of stakeholders and 5 questions to confirm the power, legitimacy, and urgency according to the salience model. Secondly, the priority of the 12 ESG items proposed in this study is determined through the AHP method for the identified stakeholders. The hierarchy composition for the AHP survey is established by setting ESG as the first priority objective and environment (E), society (S), and governance (G) as the second priority each, then composed of 12 third priority sub-items with 4 items each for the second priority. Third, determine the specific ESG indicators. Based on the K-ESG guidelines that have been reorganized, choose from the 22 specific indicators among the ESG items with prioritized ranking. Fourth, review the SME support project linkage plan. The company must link the support projects of the government and relevant organizations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selected specific indicators. Fifth, review the financial and human capacities within the company. Finally, establish and implement the ESG implementation plan for the company. The methodology for ESG integration decision-making presen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a case study of an environmentally-friendly specialty chemical company for precision industries. The case company identified ESG items for each stakeholder and selected ESG specific indicators. The most pressing indicators were then structured with government support projects to form an implementation roadmap. The case company was able to obtain meaningful results by setting realistic directions based on the prioritization of ESG integra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equipment. The usability of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was also evaluated. In this study, a decision support system prototype was develope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methodology proposed. The decision system prioritizes the ease of using the company's basic data, stakeholder analysis, and selection of ESG sub-indicators to enable the company to continuously revise and improve its ESG action plan. The study found that the adoption of ESG management by SMEs is important, with prioritization of ESG sub-indicators reflecting stakeholders' opinions and a step-by-step ESG adoption plan considering government support and corporate capability. The study scope was limited to the ESG adoption by the time of ESG management reporting disclosure by listed companies until 2030, thus not presenting the process leading to the final result of ESG management reporting. This will be a future research topic. 기업 이해관계자들은 기업의 역할을 이윤추구에서 수치화된 ESG 경영활동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EU 회원국 중심의 기업에 대한 ESG 경영활동 요구는 UN을 통해 국제사회로 확대되었다. 기업의 이해관계자가 요구하는 ESG 경영활동의 범위는 넓고 ESG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ESG 지표는 많다. 삼성, LG, SK 등 우리나라 대표적 다국적 기업들도 국제적 요구와 기준에 맞는 ESG 경영활동을 하고 있다. 대기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중소기업들도 세계적 흐름과 요구에 따라 ESG 경영활동을 준비해야 한다.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기업의 이해관계자 요구에 맞는 ESG 경영활동을 계획하고 선별된 ESG 세부지표를 우선순위에 따라 실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상황을 고려하여 이해관계자 기반 중소기업 ESG 도입 의사결정 방법론을 여섯 개 단계로 제시하였다. 첫째로 기업의 경영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고 현저성 모델에 따라 이해관계자를 식별한다. 설문은 이해관계자 유무의 명백성 확인을 위한 문항 1개와 현저성 모델에 따른 권력, 정당성 및 긴급성 확인을 위한 5문항으로 총 6개의 구성된다. 둘째로 식별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ESG 항목 12개에 대한 우선순위를 AHP 기법을 통해 정한다. AHP 설문을 위한 계층구성은 ESG를 1계위 목적으로 정하고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각 항목을 2계위로 정한 후에 2계위 항목당 4개씩 모두 12개의 3계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세 번째로 ESG 세부지표를 정한다. 우선순위가 선정된 ESG 항목별로 K-ESG 가이드라인으로 재구성한 바탕으로 22개 세부지표 중 선정한다. 넷째로 중소기업지원사업 연계방안을 검토한다. 기업은 선정된 세부지표의 효율적 실행을 위해 정부 및 유관기관의 지원사업을 연계하여야 한다. 다섯 번째로 기업 내부의 재무역량과 인적역량을 검토한다. 마지막 여섯 번째로 기업의 ESG 도입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ESG 도입 의사결정 방법론을 친환경 정밀 산업용 세정제 전문제조회사를 대상으로 사례 분석하였다. 사례기업은 이해관계자별 ESG 항목을 식별하고 ESG 세부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ESG 세부지표 중 가장 먼저 보완해야 할 지표를 정부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실행 로드맵까지 구성하였다. 사례기업은 ESG 도입의 우선순위 도출과 현재 설비 상태를 고려한 실제적 방향을 설정하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의사결정 시스템은 기업의 기초 데이터, 이해관계자 분석, ESG 세부지표 선정의 과정을 손쉽게 하여 기업이 ESG 실행계획을 지속해서 수정 보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은 이해관계자 의사를 반영하여 ESG 세부지표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정부 지원사업과 기업역량을 고려한 단계적 ESG 도입계획수립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장회사의 ESG 경영보고서 공시가 2030년까지임을 고려하여 ESG 세부지표의 도입까지를 연구범위로 정하였기 때문에 ESG 경영활동의 최종의 결과물인 기업의 ESG 경영보고서 공시까지의 프로세스를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이 부분은 향후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중학생의 교우관계, 사회성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조현민 부산외국어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er relationship, socializa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the total 802 subjects were sampled from middle school students in B city and Y city. They answered the given questionnaires. For the research tool, we used the questionnaires scales which modified peer relationship questionnaires used by Ahn(2006). We also revised and used scale of socialization from Baek's research(2005).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ool was used from Kim's research(2012). To process data, AMOS 21.0 and SPSS PC+21.0 Version statistical program for WINDOWS were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uch processes and method of the study as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middle school students's peer relationship, socializa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features was partially different. Second,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middle school students's peer relationship affected to their socialization. Third,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middle school students's peer relationship affected to thei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Fourth, school sports club activity participation middle school students's socialization had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 고등학생과 교사가 인식한 학생의 인권에 관한 연구

        조현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학생인권의 보장정도와 필요성정도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차이를 알아보고, 학생변인에 따라서 학생이 인식한 학생인권의 보장정도와 필요성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인권의 보장정도와 필요성정도에 대한 인식은 학생과 교사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생변인(성별, 학년, 학교유형, 학생의 인권교육 유무)에 따라 학생이 인식한 학생인권의 보장정도 차이와 필요성정도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 시내에 소재하는 인문계·실업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남, 여학생 466명과, 교사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처리는 평균, 표준편차, t -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 교사가 인식한 학생인권의 보장정도 차이와 필요성정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전체 6개의 영역(평등권, 신체적 자유권, 학습 및 문화에 관한 권리, 정신적 자유권, 사생활 자유권, 참정권)에서 학생인권은 교사가 학생보다 학생인권에 대해 더 많이 보장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생은 교사보다 학생인권에 대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알아본 결과, 평등권의 보장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는 교사가 학생보다 평등권에 대해 더 많이 보장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요성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도 교사가 학생보다 평등권에 대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유권의 보장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는 교사가 학생보다 신체적 자유권에 대해 더 많이 보장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반면, 필요성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 학생은 교사보다 신체적 자유권에 대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및 문화에 관한 권리의 보장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는 학생과 교사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필요성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 학생은 교사보다 학습 및 문화에 관한 권리에서 더 많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자유권의 보장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는 학생과 교사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필요성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 교사는 학생보다 정신적 자유권에 대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생활 자유권의 보장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교사는 학생보다 사생활 자유권에 대해 더 많이 보장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필요성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 학생은 교사보다 사생활 자유권에 대해 더 많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참정권의 보장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교사는 학생보다 참정권에 대해 더 많이 보장된다고 한 반면, 필요성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 학생은 교사보다 참정권에 대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변인에 따른 학생인권의 보장정도와 필요성정도의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 보장정도의 인식차이에서 성별에 따라 평등권, 신체적 자유권, 학습 및 문화에 관한 권리, 정신적 자유권, 사생활 자유권, 참정권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생인권에 대하여 더 많이 보장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1학년이 2학년보다 참정권에 대해 더 많이 보장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유형에 따라서는 인문계고등학교와 실업계고등학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학생의 인권교육 유무에 따라서 인권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학생이 인권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보다 학습 및 문화에 관한 권리와 참정권에서 더 많이 보장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성정도의 인식차이에서는 성별에 따라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평등권과 신체적 자유권에 대해 더 많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2학년이 1학년보다 정신적 자유권과 참정권에 대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유형별에 따라서는 인문계고등학생이 실업계고등학생보다 평등권에 대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교육 여부에 따라서는 인권교육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bout the assurance and need of students' human right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nd such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students'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ai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differences exist in perceptions about the assurance and need of students' human right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Second, what differences in perceptions about the assurance and need of students' human rights in accordance with students' characteristics(gender, grade, school type, whether educated about human rights or not)? To obtain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surveyed 466 male and female students of 1st and 2nd grades and 143 teachers from academic and vocational high schools. Data collected here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in order to obtai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and verified through t-test.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below. First, teachers surveyed here perceived that 6 areas of students' human rights were all being assured more than students did. While students perceived that their human rights were needed more than teachers did. In regard to the right of equality, teachers perceived that students' right of equality was being more warranted, but more needed than students themselves did. In terms of the right of physical freedom, teachers perceived that the right was being assured to students more than students themselves did. Students' right of physical freedom was perceived necessary by students more than by teache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s about rights of learning and cultur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ut students thought that the rights of learning and culture were needed more than teachers did. There was no differences in perceptions about the assurance of students' right of mental freedom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ut teachers thought the foresaid right was needed more than students did. In terms of students' right of the freedom of private lif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right was being more assured than students did. The right of the freedom of private life was perceived necessary by students more than by teachers. In terms of students' political right, teachers perceived that the right was being assured more than students did. With regard to students' political right, students perceived that the right was needed more than teachers did. Second, female students perceived that all areas of students' human rights were being warranted more than male ones did. In relation to students' grade, 1st-grade students thought that students' political right was being warranted more than 2nd-grade ones di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s about the assurance of the foresaid right among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school type, academic 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educated about their human rights perceived that their rights of learning and culture and political rights were being assured more than those who were not did. Male students surveyed here responded that out of students' human rights, the rights of equality and physical freedom are more needed than female ones did. In relation to students' grade, 2nd-grade students perceived that students' rights of mental freedom and politics were needed more than 1st-grade ones did. According to school typ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that the right of equality was needed to students more than vocational high school ones did. There no difference in perceptions about the need of the right of equality among students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educated about human rights or not.

      • 플라즈마 처리한 ZnO 나노막대의 광학적 특성

        조현민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소와 수소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ZnO nanorods의 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소와 산소의 분압을 같게 하고, 시간과 온도에 따른 플라즈마 처리를 하였다. PL 측정을 통해 산소와 수소 플라즈마에서 UV와 Green peak 의 변화를 측정 하였고, 수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UV peak이 시간과 온도에 따라 blue shift 되는 현상과 PL intensity가 증가하는 현상을 알 수 있었다.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Green peak이 시간과 온도에 따라 IGreen/IUV 가 커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고, red shift 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Hydrogen and Oxygen plasma treatments have been done on sonochemical grow ZnO nanorods by varying treatment temperature and time. The changes(position and intensity) in ultraviolet(UV) peaks and green peaks of photoluminescence(PL) spectroscopy have been measur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ⅰ) in the case of hydrogen plasma treatment, the blue shift of UV peak and the increase of PL intensity of the UV peak were observed as the increase of the process time and temperature , ⅱ) in the case of oxygen plasma treatment, the red shift of green peak was observed and the ratio of IGreen/IUV was also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the process time and the temperature.

      • 지적장애학생들의 플로어볼(floorball) 활동이 정서·행동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조현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학생들의 플로어볼 활동이 정서·행동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U광역시 S중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7명으로 선정하였다. 플로어볼 프로그램은 12주 동안 매주 3회 총 36회기로 45분씩 지적장애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정서·행동 검사는 CBCL 6-18, 사회성 검사는 KNISE-SAB의 사회성 적응행동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23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피검자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a<.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로어볼 프로그램 적용이 지적장애학생들의 정서·행동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에서는 위축/우울, 사회적 미성숙, 주의집중문제, 공격행동, 기타문제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증상, 불안/우울, 사고문제, 규칙과 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플로어볼 프로그램 적용이 지적장애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에서는 사회성 일반, 대인관계, 책임감, 자기보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활동, 자기존중, 규칙과 법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학생들의 대상으로 실시한 12주간의 플로어볼 활동이 정서·행동 및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학생들 외에도 다양한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 효과를 입증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학교 교육현장에 적용되어 장애학생들의 체육수업의 질이 향상되었으면 한다. 또한 장애인들 스스로 장애 극복의지를 함양하고, 장애인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들의 인식변화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칸딘스키의 추상예술의 사상적 배경과 교육적 영향에 관한 연구 : 신지학 등의 동양적 사상과 바우하우스의 활동을 중심으로

        조현민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기의 고찰을 통해 칸딘스키의 추상예술이 궁극적으로 ‘내적필연성(Inner necessity)’, ‘내면세계’, ‘정신세계’를 화면에 담아내는 것이 목표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칸딘스키는 이러한 자신의 예술적 의지를 성취하고자 추상의 이론을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법칙을 통해 체계화 시켰다. 그리고 그러한 예술적 의지와 사상은 1912년 <예술에 있어서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라는 책으로, 그리고 바우하우스에서 1926년 <점, 선, 면>이라는 저술로 출판되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저술과 특히 바우하우스에서의 교육을 통해 칸딘스키는 20세기 근대디자인과 건축공간에 있어서 커다란 변화를 가능케 한 단초를 마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칸딘스키의 예술론 형성에 많은 영향들 중에서도 가장 중심에 있었던 사상적 배경은 신지학과 같은 동양사상과의 융합으로 등장한 당시 서구의 보편주의 사상이었음을 고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그의 이론과 작품 그리고 교육을 통해 그러한 영향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칸딘스키 예술 사상에서 보여 지는 동양적 요소들과 그 영향, 그리고 그로 인한 바우하우스에서의 교육내용에 국한하여 고찰하였다. 그러나 칸딘스키와 더불어 동시대의 많은 예술가들, 예를 들어 몬드리안과 같은 사람들이 동양 사상의 영향을 받은 신지학과 같은 사상을 믿고 있었다. 따라서 소위 당시 근대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공유했던 사상을 그에 영향을 미쳤던 동양사상과 더불어 그 내용을 탐구하는 것은 근대성의 이해를 넓히는데 있어 필수불가결한 일일 것이다. 이러한 주제에 관해서는 향후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This study research on W. Kandinsky's artistic attempts to express a human's internal inevitability by forms and colors into Abstract Art. It is well known that his ideas on ‘Abstract’ was formed by the Influences of mystic music such as Scriabin and Theosophy. Furthermore, his belief on the Abstract in Modern arts had constantly been showed in his works and theories through his books. Particularly, his ‘Abstract Art’ activities in Bauhaus had influenced greatly in the realm of education, which finally made Modern Design as ‘Pure Form’ spread all over the world. Notably, it is fact that his artistic ideas and theories were made by Oriental thoughts such as Theosophy which was composed by and with Oriental thoughts and religions. Therefore, The influence of positive Orientalism was a significant source from which he brought out Essence of Abstract.

      • 이공계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구조 및 담화 표지 연구 : 재료공학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조현민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 structure and discourse markers of the research paper of science and engineering through the corpus to confirm the difference with the structure and discourse markers of the academic paper of the humanitie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ext and discourse markers in the field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were to be distinguished and used for academic writing education,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obtained. First, compared to academic papers of the humanities in which various research methods are used, research papers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use only experimentation as the research method. So, the text structure is composed of 'introduction', 'experimental method', 'results and discussions' and 'conclusions'. Second, the subject markers of the material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paper were different from humanities academic papers, and even if the form was similar, it showed a difference in the use of words for the subject markers due to differences in research methods.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linguistic difference between the academic papers of humanities and science and engineering. Third, the analysis of relation markers showed that while the listing markers, difference markers, and causative markers were mainly used for academic papers in the humanities, the listing markers, result markers, and detailed markers were mainly used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which shows the difference of text between humanities and science and engineering. Fourth, the functional expression markers used for the academic text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appeared variously in the entire tex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paper, and the pattern of its use could be identified. Finally, the discourse markers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papers analyzed through the corpus were selected and listed. Also, the writing frames for writing academic papers and experimental repor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were proposed, which could be effective tools for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 이중노동시장의 형성과 초기업 교섭의 발전에 관한 연구 : 한국 면방직업 사례를 중심으로 (해방 이후 ~ 1960년대)

        조현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이중노동시장의 형성과 초기업 교섭의 발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해방이후 부터 1960년대까지 기간 동안의 한국 면방직 업종(이하 면방직업) 사례를 통해 이중노동시장과 초기업 교섭이 외부환경과 노사의 전략적 선택의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났음을 밝혔다. 이를 위해, 이중노동시장의 형성과 초기업 교섭의 발전에 관한 역사적 경과를 서술하고 노사 주체가 당시 다양한 환경 요인 하에서 어떠한 전략적 선택을 하였는지를 KKM(1986)의 전략적 선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한국 면방직업은 일제강점기 시기 대규모 공장체제하에서 일본인 종업원을 대상으로 내부노동시장이 운영되었으나 해방 이후 미군정시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적산기업에서 내부노동시장은 해체 및 붕괴되었다. 대신 한국 면방직업에서 성별 직무분리와 결합된 이중노동시장이 발전되었다. 그리고 이는 이후 초기업 교섭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두 번째, 한국 면방직업에서 초기업 교섭은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 발전하였다. 해방 직후 미군정 시기 전평 산하 산별노조가 기업단위 노동조합과 함께 대각선교섭을 시도하는‘맹아기’모습이 나타났다. 이후 전평이 급격히 와해되었을 때 대한노총이 기업별교섭으로 초기업 교섭을 대체하는 대신 다른 모습으로 초기업교섭의 유산을 이었다. 이들은 섬유연맹과 기업별 노조가 함께 사용자에 대항하여 공동교섭을 진행하도록 하였고 950년대 후반에는 섬유 연맹이 초기업 교섭을 주도하여 이전과 다른 모습의‘시도기’를 구성하였다. 이후 1960년대 들어 한국노총체제가 등장하였고 초기업 교섭은‘강화기’에 접어들었다. 한국 노총은 산별노조 기업별 지부의 위임을 받아 사용자와 사용자 단체에 집단교섭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한국노총의 요구에 사용자들이 응하여 1966년 한국 면방직업에서 마침내‘중앙노사협정서’가 체결되며 초기업교섭이 ‘제도화’ 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성과는 한국 면방직업의 이중노동시장의 형성과 초기업 교섭의 발전이 외부환경 요인과 노사의 전략적 선택의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났다는 점을 밝혔다는 것이다. 우선 이중노동시장 형성을 분석하면, 사용자들은 생산과 판매가 모두 원조당국과 사용자단체를 중심으로 독과점 된 상황에서 여성노동자들의 인건비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생산상황에 따라 고용유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성노동자들을 외부노동시장에 남겨두고자 하였다. 반면, 협조적 노사관계를 통한 안정적 생산을 도모하기 위해 남성노동자들은 내부노동시장으로 편입시켰다. 이러한 사용자의 전략에 편승하며 남성노동자들은 내부노동시장에 진입하여 고용안정성과 연공임금을 보장받고자 하였다. 내부노동시장에서 배제된 여성노동자들은 외부노동시장에 남아 잦은 노동이동을 통해 처우를 개선하였다. 다음으로 초기업 교섭의 발전을 분석하면, 사용자들은 노사갈등을 최소화 하며 고용유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임금인상을 위해서라면 잦은 이동도 감수하는 여성노동자의 전략에 대응하기 위해 초기업 교섭을 선택하였다. 남성노동자들의 경우 산업 내에서 80% 이상을 차지하는 여성노동자들과 함께 초기업교섭을 추진함으로써 사용자에 대응 가능한 교섭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와 별개로 남성노동자들은 초기업교섭 이후 기업 내로 돌아와 보충교섭을 통해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충족할 수 있었다. 한편, 여성노동자들은 내부노동시장에서 배제된 상황에서 사용자들이 사업장 사이 자주 이동하는 여성노동자를 걸러내는 데 저항하여 산업 내 동질한 노동력을 규합하여 노동공급을 통제함으로써 근로조건을 개선하고자 초기업 교섭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적 관점을 통해 이중노동시장의 형성과 초기업 교섭의 발전과정에 대해 추적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이중노동시장의 형성과 초기업 교섭에 관한 기존 연구의 한계인 결정론적 시각을 극복하여 외부 환경적 맥락 하에서 노사의 전략적 선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초기업 교섭의 발전의 부의 영향으로 고려되었던 독과점 시장과 산업·직종별 노동시장이 미발달 환경에서도 노사의 전략적 선택을 통해 이중노동시장과 초기업 교섭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의 실용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한국의 기업별 노사관계의 대안으로 초기업 교섭 구조가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초기업 교섭의 발전 매커니즘과 요인을 밝힘으로서 향후 초기업 교섭의 발전 가능성을 제고하는데 도움을 준다. 둘째, 이중노동시장과 초기업교섭이 노사의 전략적 선택에 의해 나타났음을 밝힘으로서 노사 주체의 대안 마련과 전략 수립에 따라 노사관계 제도의 변화를 이끌 수 있다는데 큰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셋째, 이중노동시장의 형성이 초기업 교섭의 발전에 미친 영향에 주목함으로써, 향후 이중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바탕으로 나타날 수 있는 초기업 교섭의 발전에 현실적인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의 역사연구로 자료 수집 및 인터뷰 등의 한계로 일부 검증이 명확하고 풍부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가 있다. 둘째, 이중노동시장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요인 중 성별 직무 분리만을 중심으로 설명하여 향후 이를 확장하고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는 이중노동시장으로의 이론적 확장 및 추가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중 노동시장의 형성과 초기업 교섭의 발전간의 상호작용을 가정하여 제시하였음에도 그 요인이나 관계에 대한 치밀한 분석이 부족하였다.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