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 혁명전통의 상징화 연구

        조은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North Korea (N.K) has reaffirmed the fact they are still persisting in socialist regime for decades, even though there has been the anticipation of the collapse of N.K after the middle of 1990's. N.K had finished the preparation for power succession that had started around 1970's in 1990, and Kim Jong Il naturally seized the power passing by the shock-absorbing period after the death of Kim Il Sung. The power succession has been completed stably through the form that has him as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ttee again and has never seen before in other socialism nations. Of course N.K is experiencing a crisis caused by aggravation of its economy generated by the conflict between N.K and U.S and these problems are being discussed seriously. However it's not connected to the discussion of the collapse of N.K. Moreover, N.K is seeking changes by making many movements one of which is to study China's economic opening model keeping in mind China' reform and opening in order to cope with these crises. The 7.1 economic measures for improving economic administration and the visiting China of Kim Jong Il in January 2006 are seen as efforts to manage these crises and show its will for reform and opening. What are the driving forces that have maintained its regime stably in spite of the economical and political difficulties and the fact that threats to its regime springing from their choice for reform and opening are coexisting with it. This treatise has inquired what roles the symbolization of the revolution tradition of N.K has played as a mechanismof unifying the regime for the passed fifty years by analyzing it. For this, ithas arranged the political history of N.K placing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s the center, and it has driven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dividing the times. Also, it has studied how the intentions of the political power holdersare applied to people's daily life and have the force of unifying society through inquiring the process of presenting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s its symbol in N.K by analyzing symbolization. The summary of the treatise is as follow. 'The period of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revolution is the period that the power of Kim Il Sung and the partisan party was superior but there were some critical situations at the same time.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of that time had to establish the fact that it was Kim Il Sung's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It, therefore, emphasized the history of supporting the legitimacy of Kim Il Sung party through symbols of place and sculpture which directly express it. Although the 'Hyeok-myeong-jeon-jeok-ji-dal-ri-gi' which is an event that people run around places which the revolution was occurred was performed, it was not the type of exploration marching like the present. 'The period of institutionalizing and constructing ideology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is a great conversion period that Kim Il Sung monopolized the political power.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deepened the childhood story of Kim Il Sung and the contents of revolutionary songs in order to emphasize that his natural disposition as a leader and ability of revolution had been continuing long before the period of the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Thus, the tradition of revolution was symbolized through all symbols such as symbol of place, symbol of sculpture, symbol of language, symbol of art and symbol of deification and so on in order to express the tradition of revolution of the victor at this time. After all symbols started being built, the contents and symbols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was brought into play, then the 'Bae-um-ui-cheon-ri-gil' exploration marching begun to be organized after 1973. 'The period of accession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is theperiod at which the change generated by appearance of a new figure as a man of political power was emphasized. The contents of the established tradition of revolution transformed into the contents on Kim Jung Il among which the fact of the succession was emphasized at this time. The political situations and the changes of the contents were reflected on symbols. And the fact of the succession and the changes of contents were explained by symbols of language and art and deification more than by symbols of place and sculpture. The symbol of the period, therefore, was intensively expressed through symbols of them. Also, it is the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that after all symbols of the period of institutionalizing and constructing ideology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were presented as contents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nd institutionalized, it tried to emphasize the disposition and ability of Kim Jung Il as the successorby using synthetically symbols through the process of formalization. So to speak, the form and content of the exploration marching was established as performed now, what we must pay attention here is that the exploration marching was retroactively applied up to the achievement of Kim Jung Il's childhood (June 1956, the Pyongyang first high class middle school years). From that time on, the exploration marching has been institutionalized being actively used as a tool of justifying the political power of Kim Jung Il who is a new political power holder. To cope with the crisis caused by the death of Kim Il Sung, the existing contents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was emphasized at 'the period of preservation and re-creation'. This was renewedly presented as an achievement of Kim Jung Il later. Reflecting this, the continuity of the regime was emphasized through routinizing each symbol. It had been re-creating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s the military-first policy placing language symbol as the center later. It, however, is propositioning that the new invented military-first policy came from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gainst the empire of Japan, it always emphasizes that the regime of Kim Jung Il is on the line of continuity of the regime of Kim Il Sung. It could affirm the fact the tradition of revolution is consolidating the legitimacy of the regime as being built through the process of restoration and re-creation of the tradition by analyzingthe symbolization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nd the exploration marching which is a concrete case. The exploration marching is a ceremony established with the national plan and apolitical intentions, it is composed of size, time, participants and so on. It motivates people from young age to adult to participate regularly in various ways. This has the symbols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bsorbed in people's daily life through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and people naturally receive the political intentions of the government by making people participate in the exploration marching regularly or periodically. N.K has been strengthening the education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nd this is emphasized especially when it is experiencing conversion and has threats to its regime. After the nuclear problem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volving relation between N.K and U.S became worse, Kim Jung Il visited 'Baekdusan hyeok-myeong-jeon-jeok-ji' and he pointed out that the exploration marching had not been normalized except for the periodical national exploration and told that the exploration must be normalized. The directreference of the leader on normalizing the exploration marching which is being emphasized as an education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means that internal or external threats to its regime are existing and he again stresses it as a method to overcome them. This could be conversely an important base data to predicatethe changes of the society and the regime if the changes of symbols which symbolized the tradition of revolution and formalization which is the process managing institutionally are detected. In the sense, that it emphasizes the established tradition of revolution of Kim Il Sung as the military-first policy while the conversion to the regime of Kim Jung Il has been maintained stably is shown as an effort to have the originality of Kim Jung Il's regime being maintained stability of the regime switchover. On the other hand, to emphasize that the achievement and the military-first policy of Kim Jung Il is the result of succeeding the existing the tradition of revolution without modifications reflects the facts that it is experiencing economical difficulties and national isolation caused by conflicts one of which involves the N.K nuclear problem between N.K and U.S and international society. It emphasize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by strengtheningthe marching spirit of the partisan, military spirit, that is, the tradition of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It will emphasize concentration through changes when its regime is stabilized, and it will promote unification of society through strategy preserving and stressing the tradition and symbols when it is unstable due to threats to its regime. Also, as long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threats to its regime such as the nuclear problem and conflict between N.K and U.S by which economical difficulties were caused and so on exist, it would keep emphasizing that it maintains the tradition of revolution which begun from Kim Il Sung. The efforts of inventing the tradition and consolidating the legitimacy of its regime through symbolization of it for a long time has become the cultural basis for maintaining unification of society and stability of political authority. Namely, the symbolization of the tradition of revolution develops a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 and system of humanity of socialism and makes people adaptive to the system and has them assess positivelyon the leader. Thus, N.K society is being maintained even in a worst situation like economical difficulties contrary to expectations. 북한은 1990년대 중반이후 ‘붕괴론’에 대한 예상에도 불구하고 지난 수년 동안 북한은 사회주의체제 고수를 재확인 하였다. 북한에서는 1970년대를 전후로 해서 준비하기 시작한 권력승계에 대한 준비를 1990년에 마무리 하였고, 김일성의 사망이후 3년간의 완충기를 거쳐, 김정일이 자연스럽게 권력을 장악하였다. 1998년에는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추대 하는 형식 등을 통해 다른 사회주의 국가에서 찾아 볼 수 없었던 권력승계가 안정적으로 완성되었다. 물론 최근 북한은 북ㆍ미 갈등과 그것으로 인한 경제의 악화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이 심각히 논의되고 있지만 그것이 ‘북한 붕괴론’ 논의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또한 최근 북한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중국식 개혁ㆍ개방을 염두해 두고 중국식 경제개방 모델을 연구하는 등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2002년의 7.1경제관리 개선조치와 2006년 1월 전격적인 김정일의 중국방문은 개혁ㆍ개방에 대한 의지와 위기를 관리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여 진다. 이렇듯 경제적, 정치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또한 개혁ㆍ개방을 선택해 체제의 위협요인이 혼재한 가운데서도 체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온 원동력은 무엇인가? 본 논문은 북한 혁명전통의 상징화 분석을 통해 지난 50년간 이것이 체제통합의 기제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북한 정치사를 혁명전통의 역사 중심으로 정리하였고, 시기구분을 통하여 각 시기마다 특징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또한 그를 바탕으로 북한에서 ‘혁명전통’을 상징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상징화 분석을 통해 정치 권력자들의 의도가 인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적용되어 사회통합의 힘을 갖게 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혁명전통의 확립기’에는 정치적인 상황이 김일성과 빨치산파가 권력이 우세하면서도 위기가 혼재했던 시기로 이때의 혁명전통의 내용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임을 확립해야 했다. 때문에 김일성 권력집단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역사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공간 상징과 조형물 상징을 통해 강조하였다. 이 당시 <혁명전적지달리기>라는 행사가 진행되었지만, 현재와 같은 답사행군의 형식은 아니었다. ‘혁명전통의 이념정립ㆍ제도화기’에는 권력투쟁에서의 승리와 함께 김일성으로 정치권력이 독점되는 대전환의 시기로 이때의 혁명전통의 내용은 김일성의 혁명능력과 지도자로서의 자질은 이미 항일무장투쟁시기 보다 훨씬 전부터 계속되어온 것임을 강조하기 위하여 김일성의 어린시절과 革命家에 대한 내용으로 심화되었다. 때문에 이 시기에는 승리자의 혁명전통을 심화하여 표현하고 강조하기 위해 공간상징, 조형물상징, 언어상징, 예술상징, 신격화상징 등 모든 상징을 통해 혁명전통이 상징화되었다. 모든 상징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이후 혁명전통의 내용과 상징이 동원되어 1973년 이후 <배움의 천리길>답사행군이 조직되어지기 시작하였다. ‘혁명전통의 계승기’에는 정치권력자로서 새로운 인물의 등장으로 인한 변화가 강조되었던 시기로 혁명전통의 내용에 있어서도 기존 혁명전통의 내용이 김정일의 내용으로 변화하여 강조되었고 그 중에서도 계승성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과 내용의 변화가 상징에서도 반영되었는데 공간과 조형물상징 보다 언어, 예술, 신격화 상징을 통해 계승성과 내용의 변화를 설명하였다. 그래서 이시기 상징은 언어, 예술, 신격화 상징을 통해 집중적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혁명전통의 이념정립ㆍ제도화기’에 모든 상징들이 혁명전통의 내용으로 표현되어 제도화된 이후, 의례화 과정을 통해 상징을 종합적으로 동원하여 새로운 인물인 김정일의 후계자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강조하려고 한 것이 특징이다. 즉 답사행군의 형식과 내용이 현재 유지되고 있는 답사행군의 형식으로 만들어진 것인데, 여기서 주목해야할 것은 답사행군이 김정일의 어린시절 업적(1956년 6월, 평양제1고등중학교 학생시절)으로 소급되어 적용된 것이다. 이 시기부터 답사행군은 정치권력자로서 새로운 인물인 김정일의 정치권력을 정당화하는 도구로 적극 활용되면서 제도화되어 정착되었다. ‘혁명전통의 유지ㆍ신창출기’에는 김일성의 사망으로 인한 체제전환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혁명전통의 내용에 있어서 기존내용의 유지가 강조되었다. 이후 이것은 김정일의 업적으로 새롭게 되어진다. 이를 반영하여 상징에 있어서도 각 상징의 일상화 및 관례화를 통해 체제의 연속성을 강조하였다. 이후 언어상징을 중심으로 혁명전통을 ‘선군전통’으로 새롭게 창출하고 있다. 하지만 새롭게 창출된 ‘선군전통’이라는 것도 항일의 혁명전통에서 비롯된 것임을 항상 전제하고 있어 김정일 정권이 김일성 정권의 연속선상에 있음을 항상 강조한다. 이렇게 혁명전통은 전통의 복원과 재창조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면서 정치권력의 정당성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을 혁명전통의 상징화 분석과 구체적인 사례인 답사행군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답사행군은 정치적 의도와 국가적인 계획에 의해 만들어진 의례로서 그 대상과 시기, 규모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되며 모든 인민들이 어린 학생에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정기적으로 또는 다양한 동기부여와 함께 참여하고 동원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각각의 ‘혁명전통’의 상징들이 인민들의 일상 생활속에서 교육 및 문화 활동들을 통해 인지하게 하고 답사행군이라는 정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참여하게 하여 국가의 정치적 의도를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혁명전통교양을 계속해서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이것은 국가 또는 체제의 변화와 위협요소 등 전환의 시기에 더욱 강조된다. 핵문제와 북미관계 등 국제정세가 악화된 이후 김정일은 2000년 3월 <백두산혁명전적지>를 방문하고, 최근 국가정기답사 이외에 정상화되지 못했던 답사행군에 대해 지적하고 답사행군을 정상화할 것에 대해 강조하여 언급하였다. 이렇게 ‘혁명전통’의 교양방법으로서 가장 강조하고 있는 답사행군을 정상화시킬 것에 대해 지도자가 직접 언급한다는 것은 북한 내부 또는 외부적으로 위협요소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시금 강조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것은 반대로 혁명전통을 상징화한 상징과 그것을 제도적으로 운영하는 과정인 의례화에 변화가 감지된다면 북한의 사회와 정치권력에 대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최근 북한에서는 김정일 체제로의 전환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기존의 김일성의 혁명전통을 선군전통으로 강조한다는 것은 체제전환에 대한 안정성이 유지되는 가운데 김정일 체제의 독자성을 갖기 위한 노력으로 보여진다. 또 한편 김정일의 선군사상과 위업은 김일성의 혁명전통을 그대로 계승한 결과이며 같은 의미임을 재차 강조하는 것은 현재의 북한 핵 문제 등 미국과 국제사회와의 갈등으로 인한 국가적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들은 항일빨치산들의 고난의 행군정신, 군사 정신 즉 항일무장투쟁의 전통을 더 강화하여 극복할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체제가 안정되었을 때는 변화를 통합 집중 강조를, 체제위협 등으로 불안정할 때는 전통과 상징의 유지를 고수하며 강조하는 전략을 통해 사회의 통합을 유도할 것이다. 또한 현재 북한 핵과 북미관계의 갈등, 그로인한 경제난 등의 국내외적 체제위협의 요소가 계속 존재하는 한 김일성부터 시작된 혁명전통을 계속하여 유지하고 있음을 계속해서 강조할 것이다. 북한의 오랜 기간에 걸친 전통의 창출과 그것의 상징화를 통한 정치권력의 정당성 강화노력은 이렇게 북한 정치권력의 안정성과 사회통합을 유지할 수 있는 문화적 바탕이 되었다. 즉 북한 혁명전통의 상징화는 사회주의의 고유한 또는 독특한 문화적 특성과 인성체계를 발달시켜 일반인민들을 체제 순응적이고, 수령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하게 만든다. 때문에 북한사회가 경제적 위기 등의 최악의 상황에서도 예상과는 다르게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가는 것이다.

      • 자폐성 장애 아동의 대립어 의미 이해

        조은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자폐성 장애 아동 15명과 일반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대립어의 유형에 대한 이해, 대립어의 극성에 대한 이해, 대립어의 극성에 대한 선호도와 대립어의 유형별 극성에 대한 자폐성 장애 아동의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립어 유형별로 살펴본 이해 정도는 일반아동이 자폐성 장애 아동보다 모든 유형에서 높게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대립어 유형별 이해 차이는 척도반의어와 정감반의어, 역동어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역의어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대립어 극성별로 살펴본 이해 정도는, 일반아동이 정적(positive)인 극성의 어휘와 부적(negative)인 극성의 어휘 모두 자폐성 장애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고, 그 차이는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대립어의 선호도를 대립어 극성별로 살펴보았을 때, 자폐성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정적인 극성의 어휘를 선호한다고 답하는 경우가 부적인 극성의 어휘를 선호한다고 답하는 경우보다 많았다. 하지만 자폐성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선호도 차이를 비교하면, 일반아동은 자폐성 장애 아동에 비해 정적인 극성의 어휘를 더 많이 선호한 반면, 자폐성 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부적인 극성의 어휘를 더 많이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자폐성 장애 아동의 대립어 유형별 극성에 따른 선호도는, 정적 어휘에 대해서는 정감반의어, 역의어, 척도반의어, 역동어 순으로 나타났으며, 부적 어휘에 대해서는 역동어, 척도반의어, 정감반의어, 역의어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척도반의어와 정감반의어, 역의어에서는 정적인 극성의 어휘를, 역동어에서만 부적인 극성의 어휘를 조금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자폐성 장애 아동의 대립어 이해는 수용어휘연령을 맞춘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편이고 대립어의 선호도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 자폐성 장애 아동의 대립어 이해 정도와 선호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지도 방법 연구와 언어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컴퓨터 교과 운영의 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중학교를 중심으로

        조은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adays computers become necessaries of life in information society. But recently computer education in school, which is mainly focused to the use of tools, is little by little looked away from educational parties as an optional subject. In these situation, we need to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computer education to figure out and improve its conditions. This paper grasps the current status of computer education by making up surveys to teachers and students who teach and select computer subject in middle schools of Jeollabuk-do. - ⅵ - Also, we submit ameliorative plans for collecting computer-majored teachers, class assignment,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eacher's research study based on the considerations of surveyed educational conditions and realistic limitations. 컴퓨터 교과 운영의 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중학교를 중심으로- 조 은 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지도교수 이완권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서 컴퓨터는 하나의 필수품이 되었다. 하지만 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은 도구중심의 사용법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고 최근에는 선택과목으로 교육당사자들로부터 점점 외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컴퓨터 교육여건을 전달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현황의 실태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컴퓨터 과목을 선택한 중학교에 컴퓨터 과목 담당교사와 컴퓨터 과목을 선택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 컴퓨터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조사된 컴퓨터 교육현황과 현실적인 한계점을 고려하여 전문교사의 확보, 수업시수 배정, 교육과정 편성, 교원연수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블로그'를 활용한 기행문 쓰기 지도 연구

        조은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communicates with others in various ways. People express their thoughts in language or in action. Writing is another way to express one’s thought or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Writing was considered as a tool to represent knowledge or to keep memory in old days. However, writing today is believed as a social skill to communicate with others today. Whereas the importance of writing is stressed, teaching of writing is not performed well in active classes. Although Korean students learn how to write for twelve years at their schools, experts point out that they cannot even introduce themselves well in writing. Some indicate the curriculum or the condition of classes as a problem. This study is to show the educational problems of teaching of writing. Moreover, this study will suggest detailed methods for better teaching of writing. Chapter 2 will observ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of writing and its problems. This chapter will propose the internet media as a means to solve the problems of teaching of writing. Chapter 3 will introduce characteristics of travels and blogs as a practical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teaching of writing. A teaching-learning model of writing travels using blogs will be provided. Finally, based on the contents of chapter 2 and chapter 3, chapter 4 will present a teaching-learning plan with process of writing travels using blogs. This plan will be helpful for active teachers. This study is designed to help students to write a traveler’s journal, which is a practical writing, using blogs, which is familiar to them. This experience will make students feel familiar with the writing activity itself. Writing activity should be continued even after classes. Writing classes at school should be connected to writing in daily life, and students should form the writing habit. This study is important for designing ways to have students improve their writing ability. 우리는 사람들과 다양한 의사소통을 한다. 말로써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기도 하고, 행동을 통해 표현하기도 한다.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또 다른 매개체로 쓰기가 있다. 예전의 쓰기는 남기고 싶은 추억이나 지식 등은 표현하는 수단으로 많이 인식되었지만 지금은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사회적 기능으로써 쓰기가 중요시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쓰기의 중요성에 비해 쓰기 교육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로인해 초·중·고 12년 동안 쓰기를 배웠지만 자기소개서 하나도 제대로 쓰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 이유로는 교육 과정 자체가 문제점으로 꼽히기도 하고, 쓰기 교육을 진행하는 학교 여건상의 문제나 수업 형태가 문제점으로 꼽히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쓰기 교육이 제대로 실현되려면 과연 어떻게 해야 할지, 그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쓰기 교육의 성격과 문제점을 연결하여 제시하였고, Ⅲ장에서는 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기행문과 블로그의 성격을 살펴본 후, 블로그를 활용한 기행문 쓰기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블로그를 활용한 기행문 쓰기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여 학교 현장에서 쓰일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어렵게만 느끼는 쓰기 교육을 학생들에게 친숙한 매체인 블로그를 활용하여 실생활 글쓰기인 기행문을 쓰도록 지도함으로써 쓰기 교육에 좀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교 쓰기 교육이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을 지양하기 위하여 학교에서 배운 쓰기 교육과 실생활 글쓰기를 연관 짓고, 그를 통해 학생들이 쓰기의 습관을 형성하고, 일상적인 글쓰기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도 의의가 있다고 본다.

      • 통일독일의 의료보장통합과정에 관한 연구

        조은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남북한은 오래전부터 통일을 염원해 왔다. 1990년 동서독이 통일을 이루면서 한반도는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 속에서 대치하는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로 남아 통일을 위한 노력들을 결실로 이루어나가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통일독일의 예는 통일을 준비하는 우리에게 연구가치가 높은 선례로서 분단 체제를 유지하면서 장기적으로 통합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국가로 급진적 통일방식을 통해 사회주의 국가가 자본주의 국가로 편입되는 흡수통합모형이며 이는 곧 우리가 염원에 마지않는 평화통일인 것이다. 상이한 체제의 두 분단국가가 통일을 이루었다는 것만으로 남북한의 상황과 동일시하는 것에는 한계성을 갖고 있지만, 북핵문제로 인한 국제적 고립과 식량난으로 인한 경제위기의 현 북한상황을 고려해 볼 때 남북한도 독일의 경우처럼 북한체제의 붕괴에 의한 급속한 통일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다각도적인 통합방안중 독일의 통일사례를 연구함으로써 흡수통합의 가능성에 대해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통일독일의 의료보장통합과정에 관한 연구로서 독일의 흡수통합모형에 의한 의료보장제도의 통합과정을 살펴보고, 독일의 통합사례가 남북한 의료보장제도의 통합에 주는 함의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흡수통합에 의한 자본주의 의료보장제도의 사회주의로의 이식과정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독일식 통합모델의 방법과 원칙, 통합모델에 따른 제도의 이식을 기준으로 통일독일의 의료보장제도 통합과정을 분석하고 독일식 통합모델을 평가함으로써 그 시사점을 토대로 남북한 통일에 있어 독일사례의 함의점을 도출해 내었다. 통일 독일의 의료보장 통합은 첫째, 동독의 통합사회보장제도를 독립적 분산관리의 정신에 입각하여 서독의 분야별 사회보장체제로 분리되었다. 둘째, 대상과 급여에서 서독의 제도를 확대? 적용하였지만 경과조치를 두어 서독의 제도로 인해 동독주민들이 볼 수 있는 피해에 대해 보완하도록 하였다. 셋째, 동서독 양 제도의 소득격차와 동독지역의 낙후된 의료체계로 인해 두 지역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막대한 재정이 소요되었다. 넷째, 전달체계에 있어 서독의 조합을 동독지역에 확대·적용하고 새로운 조합 신설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통일독일의 의료보장 통합과정에서 흡수통합의 원칙에 따라 서독의 제도가 동독지역으로 확대, 적용되면서 동서독 경재수준의 격차로 인한 재정악화와 상이한 체제의 충돌에서 오는 혼란, 기존 제도의 개혁에 대한 논의연기 등을 문제점으로 갖지만, 이러한 문제점에 의한 일방적인 비판적 평가는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서독의 제도에 의해 급여의 범위가 확대되었고, 서독의 높은 수준의 의료기술과 의료체계에 의해 동독지역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므로써, 소득격차와 체제전환의 혼란에서 오는 충격을 흡수·완화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이는 곧 의료보장제도가 사회복지제도로서 통일 독일의 사회통합에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독일의 의료보장 통합에서 발생했던 문제들은 남북한도 경험하게 될 것이며 오히려 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할 수 있으므로 독일모형으로의 남북한 의료보장제도 통합시 문제점을 최소화 하고, 빠른 시일 내에 의료보장제도를 정착시킬 수 있는 장기적이고 일괄성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주장이다. 이러한 과제수행을 위해 선결과제를 제시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 의료보장제도의 체계확립. 둘째, 의료서비스 접근성에서의 보편성 강화. 셋째, 통합에 필요한 재원조달의 준비와 재원의 출처 개발, 필요한 재원의 책임처를 분명하게 해야한다. 넷째, 남북한 보건의료분야의 적극적인 교류가 필요. 앞으로도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의료보장제도를 포함한 사회보장제도의 통합과정과 통일독일의 사회통합에 기여한 역할 등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되며, 이를 바탕으로 남북한의 통일시 충격과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자원동원 및 활용방안의 마련과 남북한 양제도의 이질성 극복을 위한 구체적 방법제시가 필요하다. 나아가 본 논문이 이러한 과정들의 밑거름이 되어 통일한국의 의료보장통합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South and North Koreas have sought unification from since long ago. As East and West Germany achieved unification in 1990, the Korean peninsula, remaining as the only divided country in the world pitting against each other through different ideologies and systems, is preparing to fulfill unification as the fruits of its efforts. The example of the unified Germany is a case with high research value to us who are preparing for unification. It is an absorptive merging model in which the Communism country is admitted into the Capitalism one through a radical method of unification into one country rather than a long term unification that maintains a segmentation system; this is precisely the peaceful unification that we heartily dream about. Even though there are limitations in mirroring it to the South and North Korean situation simply on the fact that two segmented countries with different systems achieved unification, it can be expected that a rapid unification can be established in Korea 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North’s system-just like with Germany-considering the current internationally solitary situation of the North caused by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its economic crisis of food shortage.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unification, we need to prepare for the possibilities of an absorptive merge by studying the unification of Germany among multilateral unification methods. This research examined the merging process of medical security systems through Germany’s absorptive merging model and investigated the implications of Germany’s merging on the merging of medical security systems in South and North Korea. For this, the merging process of medical security systems in unified Germany was analyzed with methods and principles of the Germanic merging model along with the transplantation of th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merging model as the standard by utilizing the transplantation process of a Capitalism medical security system to Communism one through the absorptive merge as the framce of analysis. Based on these points, the implications of the Germany case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as induced by evaluating the Germanic merging model. Unified Germany’s medical security merge is; first, a separation of East Germany’s integrated social security system into West Germany’s social security system by regions, grounded on the spirit of independent distribution management. Second, even though West Germany’s system was expanded and applied to the targets and grants, interim measures were placed so that damages East German citizens may receive from West Germany’s system would be supplemented. Third,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income between the two systems of both East and West Germany and the lagging medical system of East Germany, enormous finances were consumed to reduce the gap between those two counties. Fourth, in the conveyance system, West Germany’s associations were expanded and applied to East Germany while they were formed through the course of establishing new associations. Even though, as West Germany’s system becomes expanded and applied to East German area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absorptive merge, the financial downturn caused from the economic gap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confusion resulting from the collision of different systems, and delayed discussions on the reformation of the previous system are considered problems in the merging process of medical security in Unified Germany; one-sided, critical evaluation of such problems is seen to be require a careful approach. The range of supply was expanded by West Germany’s system, and it contributed to absorbing and/or alleviating the shock from the confusion of income differences and systemic conversion by developing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in East Germany through West Germany’s high level of medical technology and system.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medical security system contributed to the social integration of unified Germany as a social security system. This research will claim that long-term, constant preparations are needed which can minimize problems when merging the medical security systems of South and North Korea after the German model and establish the medical security system within a short time because South and North Korea will experience the problems generated during Germany’s medical security merge or face even more serious problem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prerequisite tasks for such task accomplishments. First, establishing organization of North Korea’s medical security system. Second, intensifying universalization in approaching medical services. Third, elucidating the preparations for the supply of necessary resources for the merge, development of resource origins, and the responsible areas for necessary resources. Fourth, necessitating active interactions in the public medical health fields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uture, further studies on the merging process of social security systems including medical security systems and unified Germany’s contribution roles on social integration in its unification process are required, while based on this, specific suggestions about methods for providing resource mobilizations and utilization ways and overcoming the difference of those two systems in South and North Korea are necessary in order to minimize the shock and aftereffects of unifying the South and North Koreas. Further, this research hopes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medical security merging in unified Korea by becoming the groundwork of such processes.

      • 취학 전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준비도 사이의 관계

        조은희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들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준비도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당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첫째, 취학 전 유아의 자아탄력성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취학 전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준비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화성시, 용인시, 수원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만5세 아동 총 229명을 대상으로 각 학급의 담임교사가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취학 전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준비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 유아의 교육기관 재원 기간, 재원 시간에 따라서는 자아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수준은 유아의 부모유형, 교육기관 재원 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취학 전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준비도의 상관분석 결과 주도성은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사회정서적 유능성, 일상생활을 위한 기초지식,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 모두 높은 정(+)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자기 통제력과 애착은 일상생활을 위찬 기초지식과 상대적으로 낮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으로 유아의 학교준비도 향상프로그램 구축에 이들 변인들을 구체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향후 취학 전 초등학교 학습 준비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취학 후 유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자료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독후 활동에 대한 반성적 실천 연구

        조은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질적 접근의 반성적 실천연구로서 아동들로 하여금 다양한 독후 활동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 세 가지의 연구 내용을 설정하고 실천해 보았다. 첫째, 책 내용의 줄거리를 아이들이 어떻게 찾아가면서 배우는지 이해한다. 둘째, 책 내용에 대한 토의.토론을 통해 아이들이 어떻게 생각을 비교하면서 배우는지 이해한다. 셋째,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통해 아이들이 어떻게 창의적으로 사고하면서 배우는지 이해한다. 연구 결과 나타난 변화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글의 줄거리를 찾는 마인드맵, 독해활동 자료를 이용한 독해 학습, 만화로 표현하기 등을 통하여 글의 줄거리를 쉽게 파악하고 즐기면서 요약하는 능력이 생기게 되었다. 둘째, 독서 후 토의.토론학습을 통하여 책의 내용에 대한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고 나서 자기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발표함으로써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게 되고 자기와 다른 사람의 생각을 비교함으로써 사고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 셋째, 이야기 꾸미기활동으로 자신의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스스로 꾸민 이야기로 극본을 만들어 연극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협동적인 관계 속에 자신의 창의적인 생각을 당당하게 표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독서를 통해 책 속의 지식과 지혜를 배우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키워 나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독서 후의 활동이 의도적으로 이루어 질 때 생각하는 힘이 길러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reflective, qualitative approach toward after-reading activities in a bid to improve the creative thinking faculty of children. It's specifically attempted to (1) examine how children grasped the plots of stories, (2) find out how they shared their ideas in the course of discussing books they read, and (3) let them make their own stories in order to see in which way they learned to think creativel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y became able to figure out the plots of stories more easily and summarize them with delight, when they studied with mind map and reading comprehension materials and made cartoons to describe what the books they read were about. Second, after-reading discussion activities served as opportunities for them to listen to how other children felt and compare mutual impressions. Meanwhile, they became no longer be egocentric, and their thinking faculty made a great improvement. Third, story-making activities enabled them to express their ideas diversely, dramatize the stories created by themselves and play them. And they learned to present their creative ideas with confidence in a cooperative way.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a wide variety of intentional post-reading activities allowed the children to acquire knowledge, wisdom and creative thinking facu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