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방과후학교 피아노수업의 운영현황 및 활성화 방안: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조은희 조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iano less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fter school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improvement: Focusing on Gwang Ju Cho, Eun-Hee Advisor: Prof. Cho, Jung-Eun, Ph. D. Major in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ultimat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s to let students build up personal musical ability so that they could fully enjoy music and make it a way of life; music could assist a student in being a whole person by harmonizing himself or herself with music. It means that only concentrating on training for special musical abilities could not be the sol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n the Korean reality of music education, however, musical subjects or musical instruments education have been neglected because of the education for the entrance exam. For worse, high private education expenses have kept music education from becoming popular among students and it leads to the failure of music education which provides broader spectrum of education where the characteristic of each students is value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has been implementing the after-school system as an alternative since 2006 and more schools have participated in this policy(based on the data in April of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real condition of musical after-school piano programs and to suggest activation plans based on the current problems. To proceed this study, a thorough research was conducted on elementary level after-school piano program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below are the problems of current after-school programs. First, private instrument tutors play a key role in opening up the after-school class by consulting with school authorities. Second, meaningless administrative procedures are required when tutors renew their employment contracts with the school. Third, tutor participation for seminars or training is not enough except for the mandatory ones. Fourth, the content of after-school programs is quite comparable to that of private lessons but the tuition is much less compared to private lessons. Fifth, the parents of students should improve their recognition on after-school piano programs. Key Words: After-school program, piano education, extracurricular educational activities, the present condition

      • 취학 전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준비도 사이의 관계

        조은희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들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준비도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당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첫째, 취학 전 유아의 자아탄력성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취학 전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준비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화성시, 용인시, 수원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만5세 아동 총 229명을 대상으로 각 학급의 담임교사가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취학 전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준비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 유아의 교육기관 재원 기간, 재원 시간에 따라서는 자아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수준은 유아의 부모유형, 교육기관 재원 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취학 전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준비도의 상관분석 결과 주도성은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사회정서적 유능성, 일상생활을 위한 기초지식,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 모두 높은 정(+)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자기 통제력과 애착은 일상생활을 위찬 기초지식과 상대적으로 낮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으로 유아의 학교준비도 향상프로그램 구축에 이들 변인들을 구체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향후 취학 전 초등학교 학습 준비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취학 후 유아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자료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독후 활동에 대한 반성적 실천 연구

        조은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질적 접근의 반성적 실천연구로서 아동들로 하여금 다양한 독후 활동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 세 가지의 연구 내용을 설정하고 실천해 보았다. 첫째, 책 내용의 줄거리를 아이들이 어떻게 찾아가면서 배우는지 이해한다. 둘째, 책 내용에 대한 토의.토론을 통해 아이들이 어떻게 생각을 비교하면서 배우는지 이해한다. 셋째,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통해 아이들이 어떻게 창의적으로 사고하면서 배우는지 이해한다. 연구 결과 나타난 변화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글의 줄거리를 찾는 마인드맵, 독해활동 자료를 이용한 독해 학습, 만화로 표현하기 등을 통하여 글의 줄거리를 쉽게 파악하고 즐기면서 요약하는 능력이 생기게 되었다. 둘째, 독서 후 토의.토론학습을 통하여 책의 내용에 대한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고 나서 자기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발표함으로써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게 되고 자기와 다른 사람의 생각을 비교함으로써 사고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 셋째, 이야기 꾸미기활동으로 자신의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스스로 꾸민 이야기로 극본을 만들어 연극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협동적인 관계 속에 자신의 창의적인 생각을 당당하게 표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독서를 통해 책 속의 지식과 지혜를 배우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키워 나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독서 후의 활동이 의도적으로 이루어 질 때 생각하는 힘이 길러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reflective, qualitative approach toward after-reading activities in a bid to improve the creative thinking faculty of children. It's specifically attempted to (1) examine how children grasped the plots of stories, (2) find out how they shared their ideas in the course of discussing books they read, and (3) let them make their own stories in order to see in which way they learned to think creativel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y became able to figure out the plots of stories more easily and summarize them with delight, when they studied with mind map and reading comprehension materials and made cartoons to describe what the books they read were about. Second, after-reading discussion activities served as opportunities for them to listen to how other children felt and compare mutual impressions. Meanwhile, they became no longer be egocentric, and their thinking faculty made a great improvement. Third, story-making activities enabled them to express their ideas diversely, dramatize the stories created by themselves and play them. And they learned to present their creative ideas with confidence in a cooperative way.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a wide variety of intentional post-reading activities allowed the children to acquire knowledge, wisdom and creative thinking faculty.

      •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간헐적 단식과 운동이 백색 지방 갈변화에 미치는 영향

        조은희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마우스에게 비만을 유도하며 간헐적 단식 및 운동 중재를 처치함으로써 비만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하고 백색 지방 갈변화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생후 6주령 수컷 와일드 타입 C57BL/6J 마우스 40마리를 각 10마리씩 무작위로 통제 집단, 고지방식이 집단, 간헐적 단식 집단, 수영 운동 집단에 배정하였다. 간헐적 단식은 2일 급여 1일 단식으로 실행하였고, 수영 운동은 주 5회 90분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간헐적 단식과 수영 운동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되는 체중, 중성지방,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를 개선시켰으나 처치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백색 지방 갈변화 요인인 AMPK, PGC-1α, UCP1 단백질 발현을 비교한 결과, 간헐적 단식 집단에서 AMPK, UCP1 단백질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수영 운동 집단에서 AMPK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PGC-1α발현이 증가했다. 결과를 종합하면, 간헐적 단식과 운동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되는 비만 요인들을 개선시키며, 특히 간헐적 단식은 백색 지방의 갈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간헐적 단식과 운동은 다른 기전을 통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intermittent fasting and exercise on the metabolic biomarkers and factors related to white adipose tissue browning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Male wild type C57BL/6J mice aged 6 weeks(n=40) were us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CON, n=10), the high fat diet group(HFD, n=10), the intermittent fasting group(HFD+IF, n=10), and the swimming exercise group(HFD+SEG, n=10). intermittent fasting was performed on 48h feeding:24h fasting cycle, and swimming exercise was consisted of 5days/wk, 90mins/day.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ed body weight, triglyceride level and insulin resistance induced by high fat diet were reduced in HFD+IF and HFD+SEG compared to HFD. The protein expressions of AMPK and UCP1 protein were higher in HFD+IF, and the expression of PGC-1α was higher in HFD+SEG compared to HFD, respectively. In conclusion, intermittent fasting and swimming exercise improve metabolic biomarkers aggravated by high fat diet, and intermittent fasting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adipose tissue browning.

      • 직업기초역량교육과 현장실습 경험이 전문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공-직무 일치의 매개효과

        조은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자들의 재학 중 경험한 직업기초역량교육과 현장실습이 졸업 후 노동시장의 양적 성과인 임금과 질적 성과인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아울러 전공-직무 일치가 직업기초역량교육, 현장실습 경험과 노동시장 성과 간의 영향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장 성과 이론과 학교 효과성 이론을 유기적으로 적용하여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영향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의 중3 코호트 7차년도(2010)∼12차년도(2015)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노동시장 이행 경로에 차이가 있는 무급 종사자와 자영업자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3년제 전문대학 졸업자 중 임금근로자 505명을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졸업자들이 경험한 교육 내용 중 보다 보편적인 근무 역량이자 직장인으로서의 기본 소양 교육에 해당하는 직업기초역량교육(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상호협력능력, 자기 주도 학습능력, 분석방법 습득 능력)은 노동시장의 양적 성과인 임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질적 성과인 직장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대학 졸업자들이 경험한 교육 내용 중 전공 역량과의 연관성이 보다 중시되는 ‘전문·특수 역량’에 해당하는 현장실습 경험은 노동시장의 양적 성과인 임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질적 성과인 직장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일반적 영역인 직업기초역량교육과 전문·특수 영역인 현장실습 경험은 노동시장 성과에 각각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전문대학 졸업자들의 재학 중 경험한 현장실습은 전공-직무 일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업기초역량교육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직무 일치는 전문대학 졸업자의 임금과 직장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대학 졸업자들이 지각하는 전공-직무 일치는 현장실습 경험이 노동시장의 양적 성과인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를 통해 전문특수 역량에 가까운 현장실습 경험이 전공-직무 일치를 매개로 노동시장에서 높은 양적 성과를 거두는데 유효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전문대학에서 제공하는 직업기초역량교육과 현장실습을 충실하게 참여한 졸업자들은 노동시장에 보다 향상된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두 종류의 교육을 상호 보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일반 역량과 특수 역량이 이상적으로 조화된 ‘준비된’ 졸업자들을 배출하는 데 전문대학의 교육 목표와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에 특화된 관점에서 전문대학 졸업자들을 위한 교육 내용(즉, 일반적 역량과 전문적 역량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교육)과 그것이 노동시장에서 발휘하는 효과를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그를 기반으로 전문대학 직업 교육의 발전 방향성을 제언한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와 결론, 논의 등이 전문대학의 교육 발전과 질적 성장을 이끌고 전문대학 졸업자들의 노동시장 성과 향상에 도움을 주는 기초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and field placement experience of college graduates on wage level which is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and the job satisfaction which is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the labor market after graduation. Also, this study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major (mis)mat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placement experience and labor market perform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y i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Survey(KEEP), specifically from the 7th to 12th year (2010-2015) of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 panel. First,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mutual cooperation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bility of analysis method) did not affect the wage level, which is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labor market, bu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which is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the labor market. Second, field placement experience that corresponds to the 'professional and special competency' which is more related to major competencies of college graduat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age level which is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labor market, but had no affect on job satisfaction. From the results above, it is thought that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in the general areas, field placement experience and major competency education in the special areas have different effects on labor market performance. In other words, field placement experience, which focuses on cultivating professional and special competencies, has a positive effect on wage improvement, whereas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which emphasizes universal and general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educational goals and competencies of colleges should be focused on producing 'fully prepared' graduates who have the ideal balance of general competency and special competency by performing two types of education(that is special field placement experience and general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In the future, colleges should develop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education competency and system that is not focused on either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or field placement. Third, field placement experience of college graduat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major (mis)match, but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did not. While field placement experience focuses on fostering special major competencies,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focuses on reinforcing universal and general competencies, so this can be seen as a natural and rational result. Fourth, the degree of job-major (mis)match perceived by college graduates was verified to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field placement experience on wage level which is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labor market.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balanced and harmonious contents of education for colleges graduates(ie, education that organically combines universal competency and special competency) from the 'specialized point of view of colleges' and demonstrates the effect of this in the labor market.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future-oriented development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in colleg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mpirical results, conclusion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lines and basic reference materials that will lead the development and qualitative growth of colleges and help improve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college graduates.

      • 스마트폰 쇼핑 애플리케이션에서 탐험적 정보탐색을 위한 심리스(Seamless) 브라우징의 적용

        조은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 smartphone market is rapidly growing, as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s activated and the performance of mobile device is improv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is situation, smartphone which provides functions to search information and to help communication without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is considered as the necessaries of life. As the smart phone is popularize and the number of smartphone application quickly increases, smartphone users could download more various contents at any time, in any place. Especially, people could use smartphone more frequently because smartphone application can be accessed in spare time such as commuting time and any break time. The user interface of smartphone is getting important as the population of the people who use smartphone in spare time is increased. Basically, full touch screen smartphone is designed as the device which provides easy searching function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unction with other people. However, user interface of smartphone is still insufficient in terms of device specific and user friendly. For example, application for shopping is designed as goal-directed search, which provide shopping and buying function only. However, there are users who want exploratory search, through which they just want to spend pleasure times in the application. Still, these applications are very rare. In this research paper, I suggest the usefulness of exploratory searching type browsing function for the shopping application of smartphone. Specifically, I examined the usefulness of prototype using seamless browsing form. I expect seamless browsing function for the exploratory searching could be alternative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current shopping application. For the examination, I researched why people use smartphone more in spare time, and what is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when used in spare time. Then, I examined smartphone user trait and problem of current shopping application by researching shopping trend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Next, I examined the key characters of smartphone user interface and the benefits of seamless browsing which enhance the efficiency of exploratory search. Based on those researches, I select task scope and condition for prototype. I make interaction scenario using seamless browsing function which could help exploratory search, then, I apply this scenario to prototype.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무선인터넷이 활성화되고 기기의 성능 또한 개선되면서 현재 스마트폰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정보를 탐색하고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마트폰은 정보화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이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수 또한 급속히 증가하게 되면서 사용자들은 언제어디서나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동시간이 늘어난 현대인들이 바쁜 스케줄 속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틈틈이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그 활용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여가시간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또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풀터치스크린을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직접조작이 가능해져 보다 쉽고 편하게 정보를 탐색하고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게 되었지만, 현재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기의 특성이나 사용 의도에 대한 고려가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구매를 목적으로 한 목적지향적 탐색(Goal-Directed Search)활동에 적합하게 제공되고 있어, 여가시간에 탐험적 탐색(Exploratory Search)활동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몰입의 경험을 제공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쇼핑 애플리케이션에서 탐험적 정보탐색을 위한 브라우징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며, 그 방법으로 심리스(Seamless) 브라우징 방식을 채택하여 프로토타입에 적용하는 것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탐험적 정보탐색을 위한 심리스 브라우징 방식은 기존의 쇼핑 애플리케이션들이 획일적으로 가지고 있는 브라우징 방식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먼저 여가시간에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하게 된 배경과 여가시간에 적합한 스마트폰의 특성을 살펴본 후, 스마트폰에서의 쇼핑현황과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사례를 통해 사용자 특성 및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정보탐색의 문제점을 도출해보는 과정을 가졌다. 그리고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징과 더불어 탐험적 정보탐색에 대한 이해, 탐험적 정보탐색의 효과를 높여줄 수 있는 심리스(Seamless) 브라우징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 제작을 위한 사용 환경 및 Task 범위를 선정하였으며, 탐험적 정보탐색활동을 도와줄 수 있는 심리스 브라우징 방식의 구현을 위한 인터랙션 시나리오를 작성한 후, 이를 프로토타입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Scheme 언어에서 제어추상화를 위한 Matroshka 모델의 구현

        조은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Control of abstraction is a conceptual tool for capturing complexity of large software systems. It helps one to concentrate on the intent rather than the implementation of the required control structure. Control of abstraction in most of the programming languages is provided in the form of pre-defined set of control of structures, which is a major obstacle to performance tuning and hardware adaptability. Matroshka is a model for control abstraction that emphasizes this problem. An implementation of the Matroshka model for use with the Scheme programming language is presented in this paper. It strictly conforms to the model while providing robust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Primitives. It also has the effect of turning an essentially sequential language into a parallel one. A layer of higher-level control structure libraries is built on it. Programmers have the freedom of selecting a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intended control structure either by granularities or by architectures without modifying the algorithmic part of the program at all. The resulting system provides programming effectiveness in the extreme on account of the orthogonality of the underlying Scheme language.

      • 국내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만족,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연구

        조은희 韓國外國語大學校 經營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Even if there were a lot of studies about coffee shops in the past, but there were no sufficient research to investigat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ffee shop'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coffee shop's brand image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customers satisfaction on loyalty, too. In order to achieve these proposes, the data was selected including 100 university students and 100 workers in Seoul. But we exclude 11 data which are thought to be unreliable. Questionnaire was chosen as my research tool. La Sun Ah(2005) and Kang Jeong Su (2007) were recited to it. This result of this study was analysed with SPSS for WIN version 12.0. The conclusions are as belows: there is a difference in influence the power of coffee shop's brand image on behavioral loyalty and attitudinal loya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