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저산소 반응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항산화효소의 영향연구

        조은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세포의 대사 과정 중 생성되는 부산물로 세포 내 단계적 신호전달에 이차적 전달 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세포의 노화, 발암, 사멸 등을 야기하는 주 물질이다. 정상산소 상태뿐만 아니라 저산소 상태에서도 NADPH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oxidase subunits를 통해 활성산소종 (superoxide anion, .O2-)이 발생 하는데, 이때 발생된 .O2-은 superoxide dismutase (SOD)에 의해 H2O2 (hydrogen peroxide)로 전변된다. H2O2는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Px), peroxiredoxin (Prdx) 같은 항산화효소에 의해 H2O로 바뀌게 되어 세포내의 독성을 감소시킨다. 본 연구는 저산소 상태에서 발생하는 ROS를 중심으로 특이적 변화를 보이는 항산화효소와 저산소 자극에 의해 변화를 보이는 단백질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형질전환 마우스를 저산소 자극에 노출시켜 신장 조직을 채취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저산소 상태의 마우스로부터 정해진 시간에 신장 조직 (kidney)을 회수하고 NADPH oxidase 활성도를 측정하여 ROS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아울러 NADPH oxidase subunits의 mRNA와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여 본 결과 NOX1만 증가 발현되는 양상을 관찰하였으며 다른 subunits의 변화는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항산화효소의 발현 변화를 10개의 대표적인 항산화효소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EC-SOD와 PrdxⅡ, PrdxⅤ 단백질 발현이 보다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 이들 유전자를 변형시킨 마우스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산소 조건에 노출되었을 경우 마우스의 세뇨관 상피세포에서 PrdxⅤ 단백질이 세포질 내 증가뿐만 아니라 핵 내로 이동되는 것을 PrdxⅤ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 염색법 (Immunohistochemistry) 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저산소 상태에서 발현하는 대표적인 전사인자인 HIF-1α (hypoxia inducible factor-1α)와 이의 조절인자인 PHD (prolyl hydroxylase) 그리고 VHL (Von Hippel-Lindau protein)의 발현을 형질 전환된 EC-SOD 과발현 마우스와 PrdxⅡ, PrdxⅤ 저발현 마우스를 이용하여 확인하여 본 결과 PrdxⅤ 단백질을 저발현 시켰을 때 HIF-1α의 분해와 관련된 VHL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저산소 자극에 대한 HIF-1α의 발현에 PrdxⅤ가 특이적으로 관여함을 확인 하였다.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at are also produced as byproducts of cellular metabolism, are toxic, but at low concentrations they are known to function as messengers in signal transduction processes. Numerous studies have shown that ROS (.O2 -) was generated from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NADPH) oxidase in hypoxic condition. However, the precise mechanism mediated by the ROS remains poorly understood. Extracellular superoxide dismutase (EC-SOD), dismutate superoxide anion (.O2 -) to hydrogen peroxide (H2O2) and oxygen, is one of the major tissue defense enzymes that is highly expressed in the kidney. The antioxidant enzymes, such as catalase, glutathion peroxidase (Gpx), and peroxiredoxin (Prdx) reduces cellular toxicity through conversion of H2O2 into H2O. In this studi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ypoxic response protein and antioxidants specifically changed in mice kidney during hypoxia. NADPH oxidase activity assay showed .O2 - was increased during hypoxic condition in normal and EC-SOD transgenic mice. I also confirmed the expression of mRNA and protein of NADPH oxidase. The NOX1 protein was only increased but the others were not changed by hypoxia. I also confirmed the specific antioxidant enzyme expression during hypoxia. In these results, I showed the EC-SOD, PrdxⅡ and PrdxⅤ were more increased during hypoxia. In additionally, PrdxⅤ might be translocated to the nucleus during hypoxia in immunohistochemistry analysis. Our data shows that PHD2 and VHL were more increased in PrdxⅤ transgenic mice by hypoxia, but were not changed in EC-SOD over expression and PrdxⅡ knock out mice. These data suggested specific antioxidant enzyme, PrdxⅤ, is regulator to ROS levels and HIF-1 expression during hypoxic condition.

      • Anton von Webern의 <Variation for Piano>Op.27 제 1악장 분석연구

        조은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20세기에 접어들면서는 점차로 서양음악의 전통적인 조성 음악 체계가 무너지고 종래의 화성, 리듬, 선율, 음색 및 기법에 있어서의 음악관은 바뀌게 된다. 따라서 음악의 발전은 매우 다양해지고 음색과 그 방법에 있어서도 점차로 혁신적이고 파격적인 기법들을 추구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의 시기인 20세기 초반의 서양음악사에 있어 Anton Webern(1883~1945)은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작곡가이다. 그는 Anold Schoenberg(1874~1951)와 Alban Berg (1885~1935)와 함께 음악 작곡 기법에 있어서의 혁신적인 개혁을 통해 12음 모두에 각각의 동등한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어느 특정한 조성에 구속받지 않는 12음 기법 음악을 완성시키고 더 나아가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새롭게 발전시켜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음악에까지 매우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Webern의 음악은 축소와 간결, 점묘적인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의 이러한 음악적 특징이 잘 반영되어져 있는 <Variation for piano>Op.27의 제 1악장을 중심으로 형식과 음열 및 음정구조, 리듬, 다이나믹 등의 음악적 기법을 분석 연구하였다. Op.27에서 Webern은 전통적인 변주곡 양식에 근거하면서도 그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기법으로 새로운 변주곡 양식을 추구하였는데 이 작품의 연구 결과 첫째, 형식면에서는 A-B-A'의 대칭 구조적 형식을 취하여 점차 발전시켜 나가는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둘째, 음열에서는 치밀하게 계산된 12음 음열을 사용하였고 셋째, 음정에서는 장단2도, 장단7도, 장단9도 음정을 이용한 예리한 불협화 음정과 부드러운 불협화 음정이 특징적이며 넷째, 리듬에 있어서는 짧은 음표와 잦은 쉼표의 사용으로 인한 점묘주의적 리듬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형식 뿐 아니라 음열, 음정, 리듬과 다이나믹에서도 대칭 구조적 기법이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Op. 27에서 Webern이 대칭 구조적이고 점묘적인 자신만의 음악 어법을 추구하였으며 더 나아가서는 그의 이러한 예술성이 20세기 이후의 수많은 작곡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Since the 20th century, the traditional western music system has been remarkably changed in its harmony, rhythm, melody, tone, forms and techniques, which in turn, is naturally connected to pursue innovative and exceptional methods. In such fast changed period of the century, Anton von Webern (1883~1945), a composer, has placed his position in the history of the western music. Along with his teacher, Anold Sch&ouml;nberg (1874~1951) and Alban Berg (1885~1935), he developed Twelve-tone method which has the same value in each note through very progressive reforms, furthermore, even more developed it with his own unique technique, influencing a lot the western music since the second world war. The representative features of Webern's music style are reduction, simplicity and description and in this study, I analyzed musical techniques like forms, musical scales structure, rhythm, dynamic, centered on his work, the first movement of <Variation For Piano> Op.27, which shows his such features. In Op. 27, based on the traditional variation forms, Webern has pursued a new form of variation showing a symmetrical structure composition of A-B-A' with his unique techniques and the composition technique is equally applied to rhythm, musical interval, and dynamic. In addition, the precise Twelve-tone method, dissonances like Major·Minor 2nd, Major·Minor 7th, Major·Minor 9th and descriptive rhythm by short musical notes and frequent rest are used in this work. I confirmed that through this work, Webern pursued his style and greatly affected many composers since the 20th century with his unique, eccentric and innovative techniques.

      • 아츠 프로펠(Arts propel)을 적용한 고등학교 음악 감상수업 지도안 연구

        조은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sic appreciation clas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field by applying the Arts PROPEL arts program based on H. Gardner's multi-intelligence theory.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ed class design stage, the 2015 revision music and curriculum an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to select sanctions, and Jung Jae-eun, Choi Mi-young (2016)'s four-step music appreciation theory, was applied to develop a total of eight teaching plans. The results were derived after verifying the on-site suitability to current teachers and exper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sign a music class to which Arts props are applied, by first check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we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Arts props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based on this, design the learning goals for each class. Then, after distributing the four stages of music appreciation appropriately for each class, the domain project area is set up, and the art, cognition, and reflection of art propel are applied within the class to organize the activities of the class. The first chase of each domain project was set to the sensational appreciation stage, the second chase was set to the analytical appreciation stage, and the third and fourth chases were set to the aesthetic appreciation stage, and the main activities to be conducted in each project were set. This main activity was envisioned to devise and hold my own mini music exhibition and to produce ASMR, which plays a role as the final goal and reach point for the final development of the project, developing with organicity and connection between each time. Also, within each car, the activities of work, cognition, and reflection appear organically. The elements of the work include the production of copywriter phrases that introduce the sanctions, and the production of exhibition posters. Learning, etc., and reflection elements include portfolio creation and music journaling. Arts propel is an art program that emphasizes autonomous process-centered and activity-centered programs that can freely receive music education regardless of the student's musical ability or individual's advanced music learning progress. Through this, he continuously collects his musical results. In addition, the emphasis was placed on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own thinking and future development potential. Second, as a result of requesting the current teacher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in this study, Arts propel was educationally effective and highly applicable to the field. In addition, the 2015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and the Arts Propel Program repli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 will be more valuable with a connection in relation to the'musical creative and convergence thinking competency' and'self-management competency'. Furthermore, it was said that various activities envisioned in the map were new and novel, and that it was expected to induce learners' interest.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required part of the school site would be difficult for the developed instruction to properly manage the class time. In addition, students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vel of difficulty and supplement it because it may be difficult for students to repeatedly write their opinions in the music journal. In other opinions, it was suggested that detailed evaluation factors and measures should be presented because the subject of evaluation was expanded to learners themselves, teachers, and colleagues, so there was room for intervention by the evalu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 music appreciation class to which art propel has been applied, and to develop a music appreciation class tha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student-centered and process-centered course beyond the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class. Through this study,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to which Arts propel is applied is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his is a meaningful opportunity for students'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not only to stop in the classroom, but also to connect with their lives and lead to more subjective and valuable appreciation activities. I hope to be prepared. 본 연구는 H.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기반으로 한 아츠 프로펠 (Arts PROPEL) 예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음악 감상 수업을 개발하고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개발된 수업 설계단계에 따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및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여 제재곡을 선정하였고, 정재은 외(2016)의 음악 감상 4단계 이론을 적용하여 총 8차시의 지도안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현직 교사 및 전문가에게 현장 적합성을 검증한 뒤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음악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 먼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확인함으로써 아츠 프로펠과 성취기준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각 수업의 학습목표를 설계한다. 그리고 음악 감상 4단계를 각 차시에 적절히 분배한 뒤 도메인 프로젝트의 영역을 설정하고 차시 안에서 아츠 프로펠의 작품, 인지, 반성을 적용해 수업의 활동을 구성한다. 각 도메인 프로젝트의 첫 번째 차시는 감각적 감상 단계, 두 번째 차시는 분석적 감상 단계, 세 번째와 네 번째 차시는 심미적 감상 단계로 설정하였고 각 프로젝트에서 진행될 메인 활동을 설정하였다. 이 메인 활동은 미니 음악 전시회 구상 및 개최하기와 ASMR 제작하기로 각각 구상하였고 이는 각 차시 간에 유기성 및 연계성을 가지고 발전하여 프로젝트의 마지막 차시에 진행하는 최종 목표 및 도달점과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각 차시 내에서는 작품, 인지, 반성의 활동들이 유기적으로 나타나는데 작품 요소로는 제재곡 소개하는 카피라이터 문구 제작, 전시회 포스터 제작 등이 있으며 인지 요소로는 역사, 문화적 배경 속에서 제재곡 학습하기, 작곡가에 대한 학습 등이 있고 반성 요소로는 포트폴리오 작성, 음악일지 작성 등이 있다. 아츠 프로펠은 학생의 음악적 능력이나 개인이 선행한 음악 학습 진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음악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자율적인 과정중심, 활동중심을 강조하는 예술 프로그램인 점을 반영하여 반성 요소인 포트폴리오 작성을 통해 자신의 음악적 결과물을 연속적으로 수집한다. 그리고 이를 통한 학생 스스로의 반성적 사고와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중점을 두었다. 둘째, 현직 교사에게 본 연구의 교수-학습 지도안의 현장 적합성 검증을 의뢰한 결과 아츠 프로펠은 교육적으로 실효성이 있으며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답하였다. 또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아츠 프로펠 프로그램은‘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과 ‘자기관리 역량’과 관련하여 연계성을 가지고 그 교육적 효과가 더욱 가치 있게 발현될 것이라고 답하였다. 더 나아가 지도안에서 구상한 다양한 활동들이 새롭고 참신하다는 의견과 이로 인해 학습자의 흥미유발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답하였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부분은 개발된 지도안이 현장에서 적절하게 수업 시간을 운용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자신의 감상평을 음악일지에 반복적으로 서술하는 활동을 어려워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난이도 조절 및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다른 의견으로는 평가의 대상이 학습자 자신, 교사, 동료 등으로 확대 되었기에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자세한 평가 요소 및 척도 방법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효과적인 음악 감상 수업을 개발하여 전통적인 음악 감상수업 형태를 벗어나 학생중심 및 과정중심으로의 변환된 음악 감상 수업을 개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음악 감상 수업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이로 인해 학생들의 음악 감상 활동이 교실에서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개개인의 삶과 연결되어 더욱 주체적이며 가치 있는 감상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유의미한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

      •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에 관한 실행 연구

        조은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mplemente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t school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explore measures to solve the separated educ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class and general class. It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from the school and teacher level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 recruited 2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3 general education teachers from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s a researcher and a research participan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 organize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gathered on a regular basis, and they sometimes met in pai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3 phases of action plans-implementation-reflection. In the phase of action plans, the goal, period, place, and role as well as study topic were determined, and they were implemented at the school and class levels afte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ity in the phase of implementation. In the phase of reflection, the results of the implementation were discussed. They gathered once a month a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perform discussion, research, and self-training. The researcher recorded the details of the activity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wrote observation notes. A semi-structured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fter the 1st semester, and non-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aried out after the 2nd semest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changes in the process of the school education. Education for understanding disabilities were changed into activity considering not only exceptional children but also general children, and athletic meetings were changed from a program focused on individual’s performance to a program focused on group competitions. Additionally, unlike the past when plans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were established only for special education class, plans for integrated education were developed to prepare gain a foothold to reinforce integrated education even for general education. Second, cooperation among the teachers improved. In the past, there had been cooperation only among teachers in the same grade of classes, and it was rar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 to cooperate. However, they started communicating through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xperiencing cooperation and improving cooperation among them. Third, expertise of each teacher enhanced. Through the activity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ffective education measures for special education class and general education were explored in terms of support for teaching, life guidance, ways of playing, teaching with books for understanding disabilities, and access to general education process. Moreover, the teachers improved their expertise by experiencing and practicing them in their actual classes. Fourth, the teachers’ awareness changed. Before the researc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asking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cooperate or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fter the research, however, they no longer felt it difficult to ask for cooperation from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ir negative perception on general education teachers changed to a positive one. As for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y used to think that education of exceptional children would be on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sibility, but they got to have interest in exceptional children and think that it was also part of their role.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 provides implications on cooperation measure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교에서의 장애학생 교육이 특수학급과 통합학급에서 이원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실행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차원과 교사차원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인천 S초등학교 특수교사 2명, 통합학급교사 3명이다. 본 연구자는 연구자이자 연구 참여자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특수교사들과 통합학급교사들은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이루어 정기적으로는 전체로 모였고, 특수아동을 중심으로 짝을 이루어 수시로 모이기도 하였다. 연구는 실행계획-실행-반성 3단계로 진행되었고, 실행계획 단계에서는 목표, 시기, 장소, 역할과 더불어 학습주제를 정하였고, 실행단계에서는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후 학교차원, 학급차원에서 실천해보았으며, 반성단계에서는 실행결과에 대해 토의하였다. 월 1회 전문적학습공동체로 모여 토론, 연구, 자체연수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내용을 녹음하고 관찰노트를 작성하였다. 1학기가 끝났을 때는 반구조화된 집단면담을 실시하였고, 2학기 후에는 비구조화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교육과정에서의 변화가 있었다. 장애이해교육은 특수아동뿐만 아니라 일반아동까지 고려한 활동으로 변화하였고, 체육대회는 개인의 성과중심인 프로그램에서 단체경기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개별화교육계획을 세워 특수학급에서만 실천하였는데, 통합교육계획을 세워 통합학급에서도 통합교육을 내실 있게 실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둘째, 교사 간의 협력이 증진되었다. 기존에는 동학년 단위의 협의만 있었고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가 협력하는 기회가 없었다.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가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해 소통하면서 협력하는 경험을 하였고, 교사 간 협력이 증진되었다. 셋째, 교사 개인의 전문성이 신장되었다.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학습 지원, 생활 지도, 놀이 방법, 장애이해도서 수업, 일반교육과정 접근 측면에서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학급에 적용하고 실천하는 실행경험을 통해 교사들의 전문성이 신장되었다. 넷째, 교사들의 인식이 변화하였다. 특수교사들은 통합학급교사에게 협력을 요청하는 일을 어렵게 느끼거나 통합학급교사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데, 통합학급교사에게 협력을 요청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느끼게 되었고 통합학급교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통합학급교사들은 특수아동의 교육을 특수교사만의 몫으로 여겼는데, 특수아동에게 관심이 생기고 통합학급교사도 함께 교육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협력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만들어진 어머니”를 통한 섬유조형 연구

        조은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개의 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여성성이란 사회에서 그렇게 되도록 만들었을 뿐일 확률이 높다. 그러니까,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여성'에 대한 것은 사회에 의해서 학습되어 형상된 것일 뿐일지도 모른다는 이야기이다. 침팬지나 오랑우탄 등의 영장류에게 행동과 행동에 따른 결과를 학습시키는 것과, 여성에게 아직도 남성중심으로 움직이는 사회에 편리하게 행동하도록 학습시키는 것은 그다지 다르지 않다. 사람들은 인간의 개체로써 대상을 인식하기 이전에, 여성이라는 성별에 먼저 집중하는 일이 많다. 개체의 행동특성을 제한하는 이유에 성별이 사용되기도 한다. 스스로를 동물과는 다른, 사고할 줄 아는 고등 포유동물이라고 칭하기에는 사람들이 가진 이러한 '사회적인 특성'은 사람이 라기에는 동물에 더욱 가깝다. 예를 들어, 모든 여성에게 내재되어 있다고 하는 모성본능은 실제로 '모든' 여성에게 내재되어 있지는 않다. 사람이 가진 사고력의 한계치가 낮았고, 오히려 사람이 라기에는 금수에 더 가까웠던 원시적인 부족사회였더라면 모든 여성이 여타 동물들처럼 필요에 의해 모성본능을 가지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동물들이 가진 모성본능이 대개 그들 종의 보존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써 존재하기에. 그러나 사람은 그들과는 달리 종의 위협을 일상적으로 받는 일이 없기에 생존에 필요한 기능보다는 쓸모 없는 기능이 더 발달했으며, 두뇌의 용적에 따른 "문제 해결 능력"의 범위를 벗어난 고차원적인 사고력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사회를 이루고 살면서, 몇 천만년에 걸쳐 진화시켜온 고차원적인 사고력은 무의미한 것이나 마찬가지가 되었다. 동종 개체를 인식할 때 개체 자체의 특성보다 성별을 먼저 인식하고 그것을 자신과 동일선상에 두지 않는 것은 동물들의 특성이나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동물들의 암컷 개체들은 암컷으로써의 일, 그러니까 수컷이 새끼를 물어 죽인 직후 그 수컷과 짝짓기를 하는 행동에 대해서 비난 받지 않는다. 비난하는 것은 인간뿐이다. 인간은 인간의 필요에 의해서 도덕을 기준으로 삼는다. 필요한 부분에서만 도덕을 기준 삼아 자신의 "하위 요소"라고 인식한 대상의 행동하고 제약하며, 비난하고 그들의 사회에서 내몰아낸다. 생존의 필요에서 라는 이유조차 아니다. 대상을 인식할 때는 동물과 다르지 않은 행동을, 마음에 들지 않는 대상을 쫓아내기 위해서는 "인간적인" 요소를 이용하는 것이다. 비단 여성에게만 행해지는 "인간적인" 행동인 것은 아니나, 가장 일반적이고 사람들이 평범하게 인식조차 하지 못하는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In most cases of women, it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ir femininity is formed by the society, which means that what is generally known about “women” may be the product of learning in society. There is no much difference between making chimpanzees, orangutans, and other primates learn certain acts and their consequences and having women learn the convenient ways of action in the society that is still male dominant. People often focus on the gender of female when looking at women before recognizing them as individual human beings. Gender is also used as a ground for restric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Such “social characteristics” of people make them closer to animals than higher mammals capable of thinking and different from animals they consider themselves to be. Maternal instinct, for instance, which is thought to be inherent in every woman, is not inherent in “all” women, indeed. In a primitive tribal society where people had low limits in thinking abilities and were closer to animals than human beings, all women might have had maternal instinct by necessity like other animals since maternal instinct is an essential element to most animals for the preservation of their species. Human beings are not exposed to daily threats as a species unlike them, developing unnecessary functions more than necessary ones for survival and higher-level thinking abilities beyond the scope of “problem-solving abilities” according to the brain capacity. As they formed a society and lived in it, however, their higher-level thinking abilities that they evolved over tens of millions of years became meaningless. Recognizing gender befo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en encountering an individual of the same species and putting it at no same level as one’s own is a characteristic found in animals. Female animals are, however, not criticized for mating with a male that has just bit their cubs to death as a female. Such an act committed by a female is only criticized in human society. Human beings take moral standards to meet their needs. They take the moral standards only when they need them to restrict and criticize the individuals they regard as their “subelements” for their acts and drive them out of the society. Their causes are not even based on survival needs. When recognizing other human beings, they take actions that are not unlike those of animals by taking advantage of “human” elements to drive them away when they find them unfavorable. Such “human” acts are not applied only to women, but they are the most common and are not even perceived by people ordinarily.

      • 학습자가 인식한 자기주도성 유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은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해 요구되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요인에 그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에 학습자가 인식한 자기주도성의 유형을 파악하여,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학습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주관적 요인을 주요 변인으로 하는 Q방법을 적용하였다. 즉 Q방법은 자기주도성의 요인에 대한 학습자의 주관성을 밝힐 수 있는 주요한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Q표본의 선정, P표본의 표집, Q표본의 분류, 자료 처리 및 분석’이라는 Q연구방법의 절차에 따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종연(2002)의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설문 조사지를 참고로 하여 설문 문항에 해당되는 40문항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P표본으로 K지역에 위치한 Y대학교 사범대 학생 35명을 표집하였다. 이들로 하여금 40문항의 Q표본을 Q분류 분포표 상에 강제 분류하도록 하였으며, 자신의 Q분류·선택의 결과를 사전에 설계한 조사표 상에 직접 기입하도록 했다. 이때 양 극단의 문항 선택에 대해서는 그 분류·선택의 이유를 반드시 기록하도록 했다. 끝으로 이렇게 분류된 자료는 검토의 과정을 거친 후 PC용 QUANL 프로그램 통해 처리하고, 주요요인 분석을 통해 Q요인 분석을 하였다. 학습자가 인식한 자기주도성의 유형을 Q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형’, ‘미래지향형’, ‘학습기회추구형’, ‘책임인식형’의 네 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이는 Q분류 과정에서 각 유형별 구성원들이 ‘가장 긍정하는 것’과 ‘가장 부정하는 것’으로 선택·분류한 진술문을 통해 드러나는 차별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명명화한 것이다. 학습자가 인식한 자기주도성의 네 가지 유형이 지니는 특성과 이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구성원들에게 적합한 학습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유형의 자기조절형은 구성원들이 학습을 스스로 계획하고 결정하는 능동적인 학습자형이다. 그리고 자신의 학습활동에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하기를 원하는 리더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개별학습’이나 ‘소수의 스터디 그룹’과 같은 학습전략이 이상적일 수 있다. 제 2 유형인 미래지향형의 구성원들은 자신의 미래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며, 직면한 어려운 상황을 문제가 아닌 도전으로 대처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마인드를 소유하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인식에서 비롯되는 미래지향적이고 건설적인 가치관들은 자신의 학습에서 강한 내·외적인 동기로 작용될 뿐만 아니라 자신의 학습을 추진해 나가는데 원동력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동기부여 학습법’이 적절할 것이다. 그리고 제 3 유형인 학습기회추구형은 평생학습자라는 자아개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배움에 대한 강한 애정으로 체계적인 학문탐색을 즐기는 태도와 가치관을 소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학습에 대한 개방적인 자세를 지닌 오픈마인드의 학습자형이라 볼 수 있다. 이들에게는 학습자들 간에 원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토론학습’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4 유형인 책임인식형은 학습에 대한 강한 책임의식을 소유하고 있으며, 학습 참여에 대한 의욕이나 동기 또한 높은 편이다. 그러나 학습에 있어서의 주도성과 독립성이 결여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학습활동에서 다소 의존적인 성향을 지니는 이들에게는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이나 동료로 부터의 도움이 주어질 때, 더욱 효과적인 학습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간호학, 신문방송학, 사회학, 유아 교육학 등의 연구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던 Q방법을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유형 연구에 적용한 것이다. 즉 대안적 연구방법인 Q방법을 교육공학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교육공학 분야에 새로운 연구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M. A. Thes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ypes of Self-direction Jin-Eun Cho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yoo-Lak Ch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of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learning and teaching environment of constructivism. Researcher used Q methodology which is a research method used in psychology and other social sciences to study people's “subjectivity" to analyze the factors, and picked up 40 statements among many factors. P sample consists of 35 students, and the data were coded into grades from 1 to 9, and analyzed by using QUANL program and Q facto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are self-regulated learners believe that metacognition, strategic action(plann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personal progress against a standard), and motivation to learn. In particular, self-regulated learners are cognizant of their academic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they have a repertoire of strategies they appropriately apply to tackle the day-to-day challenges of academic tasks. These learners hold increm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attribute their successes or failures to factors within their control. Also, students who are self-regulated learners believe that opportunities to take on challenging tasks, practice their learning, develop a deep understanding of subject matter, and exert effort will give rise to academic success. In part, these characteristics may help to explain why self-regulated learners usually exhibit a high sense of self-efficacy. So, desirable learning strategy to them will be ‘individual learning' or ‘study group for picked students'. Second, students who are future orientated learners are so strong that nothing can disturb their peace of mind and look at the sunny side of everything and make their optimism come true. They can easily forget the mistakes of the past and press on to the greater achievements of the future and give so much time to the improvement of themselves. They are enthusiastic about the success of others as they are about their own and think only of the best to study the best and to expect only the best. They have confidence that their ways of doing things will work out for the best. If they get a bed grade or evaluation, they focus on the next opportunity and plan to do better. So, desirable learning strategy to them will be ‘giving them motivation to learn'. Third, students who are learners positively looking for an opportunity for education have an open mind to see things from other perspectives; understand other people's moods and feelings; co-operate with groups; notice people's moods, motivations and intentions; communicate both verbally and non-verbally; build trust, peaceful conflict resolution. If they are faced with a new athletic and social environment, increased academic demand, as well as peer pressure and culture shock. At this juncture, these students expected not only to perform well academically, but also to participate in appropriat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f they want to accomplish their purpose. So, desirable learning strategy to them will be ‘collaborative in learning' which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learning, particularly in complex domains. Forth, students who are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responsibility to learn something try to see things from other people's point of view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y think and feel. They often have an uncanny ability to sense feelings, intentions and motivations and have been interested in doing activities for which they think they have the necessary competence, or that they value. They want to master a new thing by using mor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than students who are ego-oriented. Each student has an individual profile of characteristics, abilities and challenges that result from learning and development. Thus, in order to learn effectively, our students seem to be obliged to choose learning strategies in reference to their personality types. It may be concluded that if teachers should take their students' personality types into consideration, they would find more effective ways to teach their students.

      •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조은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 직업과 삶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첨단 과학 기술과 소프트웨어 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정보과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강조하였다.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현실과 컴퓨팅 환경을 연결해 주기 때문에 실생활 문제해결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과 소프트웨어 역량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방과 후 코딩 수업을 신청한 3~4학년을 대상으로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하여 코딩 수업을 한 A 초등학교와 EPL만을 이용해 코딩 수업을 한 B 초등학교를 비교하여,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코딩 수업의 양상과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처음 소프트웨어 교육을 접하는 초등 저학년도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엔트리와 회로에 대한 지식 없이도 쉽게 접할 수 있고 큰 부담이 가지 않는 피지컬 컴퓨팅 교구인 펀보드와 마이크로비트를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27차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연령을 고려한 피지컬 컴퓨팅 도구의 선정이 필요하고, 교육 환경과 경제적 상황에 맞게 제공될 때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학습자가 더 흥미로워하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어 졌다.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에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여 학습자들이 양질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료가 많이 개발되어 보급된다면, 초등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그러므로 피지컬 컴퓨팅 교구에 대한 교수·학습 과정의 개발과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in advanced technology and software education to cope with future changes in occupation and life increased. In the 2015 revised information department curriculum,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were emphasized as the core competencies pursued in software education. Software education using physical computing connects reality to the computing environment so that it can be closer to solving real-life problems, and can be expected to improve learner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software capabilities. In this study, we compared A elementary school which used physical computing, and B elementary school which used only EPL to code for 3rd to 4th-grade after-school coding classes, and studied the aspect of coding class using physical computing and its ability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The 27th class program was developed and provided with software education by applying Entry which can be easily programmed for the first time in elementary and lower grades and Funboard and Microbit, which are easy to access without knowledge of circuits. Through this,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nd the conclusions obtaine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ost-interview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physical computing tools should be selected considering the age of the learners and that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can be provided when provid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conomic circumstance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learners were more interested in software education using physical computing and tend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It was analyzed that software education using physical compu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f a program is developed so that learners can receive high-quality software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elements necessary for education, and many materials are developed and distribut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to improve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physical computing teaching materials and in-depth research are continuously required.

      •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긍정정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검증

        조은진 건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의미추구가 의미발견과 삶에 대한 만족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확인하고,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긍정정서, 인지적 유연성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소재 4년제 대학교 대학생 53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설문지에는 의미추구, 의미발견, 긍정정서, 인지적 유연성, 삶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문항들이 포함되었으며, 변인들 간의 구체적인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의미추구는 의미발견을 완전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사이에서 긍정정서는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사이에서 인지적 유연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사이에서 긍정정서와 인지적 유연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arch for meaning has a relationship with the presence of meaning and life satisfaction,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affect and cognitive flexibility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A toatal of 538 undergraduate students was recruited for four-year universe in Seoul and Kyung-gi,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scales such as Search for meaning scale, Presence of meaning scale, Positive affect scale, Cognitive flexibility scale. These data were tes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arch for meaning did not directly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the presence of meaning was fully-mediating effect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It implies that the search for meaning does not directly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but it affects satisfaction with life only through the presence of meaning. Second, positive affect was partially-mediating e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Third, cognitive flexibility was partially-mediating e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Finally, positive affect and cognitive flexibility were mediating e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역기능적 태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조은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역기능적 태도,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4년제 대학교에 대학생 396명을 대상으로 취업 스트레스 척도, 한국판 역기능적 태도 척도(DAS-K)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16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였다. 16명의 참가자들에게 한국판 Beck 우울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인지행동 집단치료 집단에 8명, 통제 집단에 8명으로 무선할당하였다.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기가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고, 4주 후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취업 스트레스, 역기능적 태도 및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 수준은 추적 조사까지 유지되었다. 본 논문의 마지막에는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안 제언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