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윤정의 오르간과 팀파니, 합창을 위한 "Petite Mass"분석

        조윤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95

        본 논문은 조윤정의 오르간과 팀파니, 합창을 위한 “Petite Mass”를 분석한 상문 형식에 따른 악장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통상문 가사의 일부를 생략하여 일반적인 미사보다 길이가 짧다. 본 연구의 목적은 “Petite Mass”에 나타난 여러 가지 음악어법을 세부 분석하여 각 악장이 지니는 개별적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곡 전체구조에서 이들이 가지는 연관성을 찾아내는데 있다. 이 곡은 모두 다섯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 1악장 Kyrie는 하나의 선법에 기초를 두고 있지만, 성부구조와 악기편성에 따른 음향변화가 명확히 구분되는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2악장 Gloria도 선법에 기초하여 쓰여진 곡으로, 화음의 색채와 강렬한 리듬, 지속적인 전조와 분위기 전환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악장이다. 제 3악장 Credo는 단 2도와 증 4도 등의 특정한 음정을 소재로 하여 뚜렷한 조성 없이 하나의 선율주제와 오스티나토의 반주패턴으로 전개된다. 제 4악장 Sanctus는 불규칙한 리듬이 특히 강조된 악장으로 빠른 템포와 다이나믹, 변박, 전조를 통한 극적인 효과가 두드러지는 곡이며, 제 5악장 Agnus Dei는 서정적인 선율과 화음의 색채, 조성의 변화에 중점을 둔 곡이다. 위에서 언급한 다섯 악장은 각각 다른 특성을 갖고 있지만, 이들은 제 3악장을 중심으로 하여 제 2악장과 제 4악장, 그리고 제1악장과 제 5악장이 서로 연관된 구조를 띠고 있다. 즉, 제 2악장의 중요한 음정 소재와 주제가 제 4악장에서 나타나는데, 이들은 이외에도 같은 조중심의 사용, 잦은 변박과 전조, 빠른 템포, 그리고 오르간의 full stops 사용과 팀파니가 특히 부각된 점등에서 서로 유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제5악장의 주제는 제 1악장의 주제를 변형한 것이며, 이들의 종결화음은 아멘 종지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Petite Mass”에 나타난 여러 가지 특성을 분석하여 작곡자의 음악 어법을 살펴본다. "Petite Mass" is known as it has a shortened form. In this thesis, the unity of the work, "Petite Mass" for organ, timpani and choir by Yoon-jung Cho is considered in terms of thematic similar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musical contexts, the thematic and structural similarities are found in the individual materials of each movement. "Petite Mass" of Cho's is composed in five movements. The 1st movement, Kyrie, is written in one type of mode, has several parts with unique ornamentation due to the texture and the instrumentation. The 2nd movement, Gloria, also written in modal approach, features the abrupt alteration of the mood through the harmonic ornamentation, thrilling rhythm, and frequent modulations. The 3rd movement, Credo is issued in the interval of the melody without any particular tonality. It is developed with one melodic theme and ostinato. In the 4th movement, Sanctus, the irregularity of rhythm creates a dramatic intensity through fast tempo, dynamic, change of time signatures and modulation. The 5th movement, Agnus Dei features its lyrical melody, colorful harmony, and motion of tonality. In spite of the uniqueness of each movements, the structure of the work can be summarized into symmetrically. The major themes and issued intervals in the 2nd movement also appear in the 4th movement. The similarities can be found in terms of the adoption of tonality, frequent tempo change, and the arrangement of full stops and timpani. In addition, the theme of the 1st movement appears as an altered theme in the 5th movement, and their harmonies of termination contain the cadence of Amen. The main issue of the "Petite Mass" in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the color of the music of the composer and fill in the weaknesses to be developed through analyzing musical languages and specialties of the piece.

      • 지역 미술 교육 발전을 위한 미술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경기, 강원 지역 미술관을 중심으로

        조윤정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Art museums today have the functions of education as a public facility, exhibition and research of modern art rather than simply collecting artistic pieces and research. The current art galleries are tending to adopt educative programs in collabo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to get in line with the demands of the public such as job training for teachers and practical study for children. However studies are required to establish an educative program that is long-term and well organized rather than a single occasion and for a limited number of applicant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hat will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local schools and art galleries. Although appreciation of art is becoming to account for a significant proportion of school art curriculum, time is serving as a major restraint i.e. one hour of appreciation of art per weeks in first and second year at middle school, two hours for third year, one hour per week for first year at high school and an option of choosing between art and music in second and third year at high school. Also the fact that using overhead projectors etc., as a means of appreciating art are associated with some limitations to art education supports the proposition made by this study. There are art galleries in Gyeonggi-do and Gangwon-do however the numbers are not significant and continuous studies are required that will reinforce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schools and the art galleries as the programs in operation are short-term. Art galleries now have the need to analyze school art curriculum with assistance from teaching staff in order to arrange for appropriate exhibitions and educative programs. In order to that to occur, securing of education experts is the first priority, in which the training should funded by the government. The education experts should also be motivated to for it to be successful. The experts should first be aware of the necessity for collaboration with art galleries and then design a new curriculum based on the art pieces and data possessed by the art galleries gathered beforehand. For additional effectiveness of art curriculum, the art galleries should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students and the art galleries themselves should offer various training programs for teaching staff. As the U.S., Germany, England and Japan were successful in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art galleri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lan appropriate for the Republic of Korea The plan comprises, firstly, developing various systemized programs that will form a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art gallery. Secondly, education experts who will be in charge of art education will be trained for. Thirdly,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which is university entrance-directed and focuses on the expression of one’s aesthetics, needs improvement for the bridging of education. Lastly, any areas of implementing the new curriculum require further support that can not be obtained by the existing associates, the government may come into play. In conclusion, as can be seen from above, the bridging process requires making of efforts by the schools and art galleries concerned along with the government when required for art education to improve in quality. Further studies dealing with various ideas in this field shall be warranted for the advancement of the education of art in Korea. 오늘날 미술관의 기능은 지금까지의 소장 작품의 수집과 연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대미술의 연구와 전시, 그리고 사회적인 공공기관으로서의 ‘교육’적 목적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의 미술관 교육은 일반 관람객들 대상의 문화 강좌, 어린이 대상 체험 교육 프로그램, 교사를 위한 직무연수 등 최근 대두되고 있는 미술관 교육의 동향에 발맞추어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관과 프로그램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회적으로 기획되고 때에 맞추어 선착순의 모집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교육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적합한 방안으로 지역의 학교 미술교육과의 연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현행되고 있는 학교 미술교육의 감상 교육의 확대에 따라 미술 교과서의 감상 내용의 편성과 미술관 관람이 수행평가에 반영되는 등의 감상활동의 중요성을 인지한 약간의 변화를 이루었으나 미술교과의 수업시수가 중학교 1, 2 학년의 주당 1시간, 3학년의 주당 2시간의 편성과 고등학교 1학년의 주당 1시간, 고등학교 2, 3학년의 음악, 미술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과목으로의 편성 등으로 시간적인 제약이 따르고 있다. 또한 사진이나 슬라이드 자료를 통한 미술 작품의 감상은 직접 보고 느끼는 것과는 많은 차이를 가지기 때문에 그 한계가 있어, 제대로 된 감상 수업이 어려운 점도 이 대안의 필요성을 뒷받침해 준다. 경기지역과 강원지역에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미술관이 있으나 그 수가 많지 않고 거의 일회적인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미술관과 학교 교육 간의 협력과 지속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미술관은 학교와의 연계를 위해 전시의 기획이나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학교 교사와의 협력을 통해 미술교과를 분석하고 그 내용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 전문 인력의 확보가 우선시 되어야 하며 전문 인력의 수급과 양성에는 정부 차원의 지원도 이루어져야한다. 이와 함께 학교에서는 담당 교사의 적극적인 태도가 우선시 되어야한다. 먼저 교사 스스로가 미술관과의 연계 필요성에 대해 인식해야 하며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과 자료에 대한 사전 정보를 가지고 교과의 운영을 계획 하여야 한다. 효과적인 미술 교과의 운영을 위하여 피교육자인 학생들의 정보를 미술관에 제공하여 주고 미술관이 제공하는 교사의 재교육 프로그램이나 직무연수 등의 프로그램을 통한 자기계발 또한 중요한 과정이다.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의 문화 선진국의 미술관과 학교 연계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사례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에 맞는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방안으로는 첫째, 미술관과 학교 교육 연계를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둘째, 미술관 교육을 전담하는 교육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보편화 하여야 한다. 셋째, 연계 교육의 지원을 위해 입시위주, 표현 중심의 미술전 반의 분위기 등 교육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미술관과 학교 교육의 운영에 있어 자체적인 개선이 어려운 부분에 있어 정부의 구적 지원이 꼭 필요하다. 연구한 바와 같이 미술관과 학교 교육의 발전적인 연계 방안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미술관, 학교, 정부 등 각계의 노력이 필요하며 미술 교육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일 것이다. 선행된 연구들과 비롯하여 이러한 연구를 통해 여러 방안이 논의됨으로서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고른 발전에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 미용서비스 가치가 고객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윤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and improvement in people’s economic condition and living standard, aesthetic desire has been settled as an important value and various convenient media are being utilized to pursue beauty. Along with these trends, beauty service is gaining its footing as an environmental and hygienic business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fe.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rvey the business environment of beauty shops and to collect empirical information on customers’ use of beauty shops in order to see whether the value of beauty service has a direct effect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 to revisit and ultimately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stablishing beauty shop market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customers’ general attitude toward beauty shops, 30.9% of the respondents were visiting the beauty shop once a month, 7.27% were using an ordinary beauty shop near their home or workplace, 29.9% had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2~3 million won, and 43.9% were spending 10,000~30,000 won per visit. As to services that they wanted to receive other than hairdressing, 43.9% of the respondents mentioned skin care. As to major services that they were using at beauty shops, 60.8% mentioned permanent service. As to the purpose of receiving beauty service, 61.0% replied that they wanted to look young and beautiful. As to the reason for choosing the beauty shop that they were using currently, 33.5% replied that the beauty shop was able to make hairstyle as they wanted. As to the most preferred benefit, 46.0% mentioned the membership discount system. 2. With regard to women’s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beauty service, ‘The staff of the beauty shop I am using are kind’ was highest (4.00). Women’s evaluation of beauty shop facilities was found to be high.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their beauty shop had a good reputation. However, their evaluation of the contents of beauty service was not so high. Women’s evaluation of the human factor of beauty service appeared high, but their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beauty service was not so high. 3. As to dissatisfaction with beauty service, when it was examined whether women complained of service or hairstyle, they were found to be reluctant to speak out their dissatisfaction. When it was examined whether women ignored wha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y were found not to ignore when they were dissatisfied with service or hairstyle. As to wheth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beauty shop’s response to their complaints, they appeared not satisfied with the response. With regard to women’s intention to revisit after their beauty shop had dealt with their complaints, they appeared to have no intention to revisit. As to whether women regretted having received beauty service at the beauty shop after they were dissatisfied with beauty shop service, they did not regret much receiving beauty service from the beauty shop. As to women’s dissatisfaction with beauty service, their dissatisfaction with beauty service was not high. 4.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the sub-factors of beauty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was high when factors such as facilities, public opinions on the beauty shop, the contents of beauty service and personnel were high. As to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was high when the quality of beauty service was high. 5.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on intention to revisit, customer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revisit. This shows that intention to revisit is high when customer satisfaction is high. 최근 서비스 산업이 발전함으로 경제적인 여유와 생활수준은 향상되어지고 또한 대중매체의 발달로 소비자들의 눈으로 美를 보게 되면서 미적요구를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게 만들었으며 보다 쉽게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 있는 매체로 활용할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미용서비스업은 환경 위생관계 영업의 일종으로 국민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있으며 개인을 위한 서비스 중에서도 커다란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미용실의 경영 환경과 이용실태에 대한 실증적 정보를 분석하여 미용서비스 가치가 고객만족도와 재방문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미용실 마케팅 전략 수립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자는 20대 이상의 서울 지역 거주자로 하였고 자료 수집기간은 2007년 03월 15일부터 03월 31까지 16일간 조사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미용서비스 품질에 관한 30문항, 미용서비스에 대한 불만 5문항, 미용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4문항, 미용실 재방문의사에 관한 3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85부 최종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미용실에 대한 일반적 태도를 분석한 결과 미용실 이용 빈도별로는 월 1회가 30.9%로 가장 많았으며, 미용실 매장형태별로는 집, 직장 근처 일반 미용실이 7.2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월평균 소득별로는 200~300만원 미만이 29.9%로 가장 많았고, 1회 이용 금액별로는 1~3만원 미만이 43.9%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들이 머리 손질 외에 받고 싶어 하는 서비스에 대해 살펴본 결과 피부 관리 서비스를 받고 싶어 하는 여성이 43.9%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들이 미용실에서 이용하는 주된 서비스 분야에 대해 살펴본 결과 퍼머넌트 서비스가 60.8%로 가장 많았으며, 미용서비스를 받는 목적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젊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가 61.0%로 가장 많았다. 현재 이용 중인 미용실을 선택하게 된 이유는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로 잘 연출해 주기 때문에 선택한 여성이 33.5%로 가장 많았으며, 선호하는 혜택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회원 할인제도를 선호하는 여성이 46.0%로 가장 많았다. 둘째, 미용서비스 품질 요인 수준에 대한 여성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내가 이용하는 미용실의 직원들은 친절하다’가 4.00으로 가장 높았고 시설 요인에 대한 여성들의 평가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3.48로, 여성들은 미용서비스의 시설 요인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실 평판에 대한 여성들의 평가에 대해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3.45로, 여성들은 미용실 평판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서비스 내용에 대한 여성들의 평가에 대해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3.41로, 여성들은 미용서비스 내용에 대해 그다지 높게 평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서비스의 인적 요인에 대한 여성들의 평가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3.75로, 여성들은 미용서비스의 인적 요인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서비스 품질에 대한 여성들의 평가에 대해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3.41로, 여성들은 미용서비스 품질에 대해 그다지 높게 평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불만도를 살펴보면 서비스나 헤어스타일 등에 불만이 있을 때 여성들이 불만을 이야기하는지 살펴본 결과는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3.35로 불만이 있을 때 불만을 별로이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나 헤어스타일 등에 불만이 생겼을 때 여성들이 그냥 넘어가는 편인지 살펴본 결과는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2.91로 불만이 생겼을 때 그냥 넘어가는 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이 미용실 서비스 불만처리에 만족하였는지 살펴본 결과는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3.12로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이 미용실의 불만에 대한 서비스 처리 후 다시는 재방문 할 의향이 없는지 살펴본 결과는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3.02로 재방문 할 의향이 없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이 미용실 서비스의 불만처리 후 미용실에서 미용서비스를 받은 것에 대해 후회하였는지 살펴본 결과는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2.77로 미용서비스를 받은 것에 대해 후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의 미용서비스에 대한 불만 정도를 살펴본 결과는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3.02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서비스 품질 하위요인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미용서비스 품질 하위요인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약 51.8%(R2=.518)의 설명력을 지니며, 고객만족도에는 시설 요인(p<.05), 미용실 평판(p<.01), 미용서비스 내용(p<.05), 인적 요인(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 요인, 미용실 평판, 미용서비스 내용, 인적 요인이 높을수록 고객만족도는 높음을 알 수 있다.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약 43.5%(R2=.4358)의 설명력을 지니며, 미용서비스 품질(β=.660, p<.001)은 고객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미용서비스 품질이 높을수록 고객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고객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약 33.4%(R2=.334)의 설명력을 지니며, 고객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만족도가 높을수록 재방문 의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 최승희의 예술세계 및 작품경향과 무용관

        조윤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최승희의 예술세계, 작품경향, 무용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적 자료를 토대로 고찰하였다. 최승희의 예술세계를 살펴보면 최승희는 타고난 예술가이다. 명문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 최준현은 봉건시대의 풍류시인이었다. 최승희는 예술 감수성이 풍부하고 문화적 분위기가 짙으며 비교적 개방된 가정환경 속에서 신식교육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1926년 3월 25일 세계적인 무용가 이시이 바꾸를 만났다. 무용예술 사상 및 기법, 무용표현법과 창작법, 무용음악 창작, 무대 조명 등 예술적인 소양을 닦게 되었다. 무용가 창작인으로 성장하며 미국, 유럽 등 여러 나라를 순회하며 세계로의 진출을 꾀하였다. 최승희의 작품경향을 살펴보면 한국의 전통무용과 신무용을 접목시켜 스스로 창작한 조선춤을 추었다. 조선과 일본, 중국의 전통적 요소들을 사용하여 동양무용의 창작활동을 하였다. 최승희의 무용관을 살펴보면 첫 번째로 주관적인 표현추구이다. 전통무용의 정신과 핵심을 발굴하여 현대적인 시각으로 다른 나라, 다른 민족의 현대적이고 선진적인 기교를 섭취하며 개성있는 춤을 창조하였다. 두 번째로 동양의 정신과 서양의 테크닉을 접목시켜 동양 무용의 글로벌리즘을 실현하였다. 세 번째로 조선무용의 민족적 특성과 기법강조이다. 언어에도 각기 나라마다 다른 고유한 민족어와 표현기법이 있듯이 인체의 동작을 표현 할 때도 우리 나라만의 고유한 표현기법을 갖고 전통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주체적인 창조성을 강조하였다. 우리가 좀 더 발전하고 세계화가 되기 위해서는 우리의 것, 전통성만 너무 지양하지 말아야한다. 또한 좀 더 창의적인 무용교육이 필요하다. 선진무용을 배우며 나라간의 외국공연 교류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최승희의 획기적인 정신을 이어받아 무용발전에 많은 변화를 주어야한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art field, work trend and dancing theory by Choi Sung hui. The research considered in critical apparatus. Choi Sung hui had an inborn talent of art. She was born under mighty clans. Choi Jun Hyun, her father was the elegant poet of feudal times. She was brought up by being taught about a new mode of education under open home. Also she had an abundant art sensibility, a thick cultural mood. In 25th March 1926, she met Ishi Baqu who was a global dancing master. He instructed her not only about thoughts, techniques and how to express in dancing arts but alsothe way of creation about dancing expression and dancing music. She attempted to advance into global market by growing up to a dancer as well as a creator while she has a provincial road show. We can look around about her work trend that she mixed Korean traditional dancing and new dancing and then she danced a Joseon dancing. She applied Korean, Japanese and Chinese traditional elements into her creation of oriental dancing. We can find three special features on her thought of dancing. First characteristic is a pursuit of subjective expression. She created a individual dance by adopting traditional dancing spirit and core. She had also a refined sight about another country and another national people’s arts. Secondly, she mixed traditional spirits and western techniques and then she realize the globalism of oriental dancing. The third, she emphasized traditional characteristic and techniques about Joseon dancing. As a language has each language of their own country, the expression of body action has their own expression techniques. So she stressed a creativity of pursuing a new version. In the interest of our development, we have to sublate our traditional features. Besides, we need a more clever education of dancing. By lively exchanging, we should learn about an advanced dancing. Lastly, we must need a radical change on our dance development by taking over Choi Sung hui’s epochal spirit.

      • 박물관/미술관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행동에 관한 탐색 연구

        조윤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willingness to continue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museum volunteer behavior according to seven underlying dimensions to volunteer motivation for individuals which is the fundamental factor of volunteer activity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This study is designed mainly on the results of prior studies that museum volunteers have clear distinctions from other volunteers(Edwards, D., 2005; Holmes, K., 2003).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for museum volunteers in Korea,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November 2 to November 9, 2009, after a preliminary survey, and then 363 copies were valid. As the method of data analysis such as frequencie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path analysis were done with SPSS Software ver. 14.0 and AMOS Software ver. 18.0. The empirical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rgest group of the museum volunteers were housewives and ages over 50s and most of them were relatively highly educated and a high-income. The average period of museum volunteering was about 6 years and 7.2 hours per week. Most of respondents reported high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Secon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useum volunteer motivation, 'understanding' was the highest, followed by 'values', 'enhancement', 'personal attachment', 'social', 'career', and 'protective'. According to this, the museum volunteers are seeking to learn more about the world or exercise skills that are often unused. A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7 motivations, 'values', 'understanding', 'social' was related to age and existence of occupation. 'Career' was in relation to existence of occupation and average income level, 'protective' had the strong relations with age, existence of occupation and education level, and 'personal attachment' depended on average income level.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effect of the museum volunteers’ degree of particip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ntinue, it was verified that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i.e., volunteering time per week, participation initiatives) leads to stronger willingness to continue (i.e., whole volunteering experiences, volunteering experience in the current museum,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for over 1 year). Forth, when focusing on motivations which influence museum volunteering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who had stronger 'social' normally had more volunteering experience and longer volunteering time per week. And they answered they would continue their volunteering work for over 1 year. On the other hand, stronger 'career' brings relatively shorter volunteering period and time. Some short-focused programs may be considered in variety ways to embrace these people. Participation initiativ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ll motivations and 'understanding' was the most powerful influence among those motivation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itiatives decreased when 'career' becomes stronger. Lastly,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otivations which influenced museum volunteer's behavior in terms of type of work. This means that the methods which are needed to be strength and reinforced should be taken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a type of work. This study regarding variables related to behavior of museum volunteer's tri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as carried out extracting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motivations for museum volunteering as main variables and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the research result drawn to that of preceding researches and confirm that theoretically. In future studies, the wide range studies on a variety of variables which affect museum volunteering behavior must be carried out reflecting precedent studies' argument. 본 연구는 뮤지엄 자원봉사활동이 일반 자원봉사활동과 구별된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따라, 자원봉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에 따른 자원봉사행동의 지속의지와 참여강도를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현재 국내 뮤지엄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는 예비조사를 거쳐 2009년 11월 2일부터 11월 9일 까지 배포하여 총 36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12.0, AMOS 1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경로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엄 자원봉사자는 50대 이상, 주부가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으로 고학력, 고소득 계층이 주를 이루었다. 활동기간은 평균 6년 정도로 한 주 평균 7.2시간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으며, 거의 대부분이 앞으로도 지속적인 참여를 희망하고 있었다. 둘째, 뮤지엄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이해동기가 가장 높게 나왔고, 그 다음이 가치동기, 안정동기, 애정동기, 사회동기, 경력동기, 방어동기의 순이었다. 이를 통해 뮤지엄 자원봉사자는 지식 및 기술 습득에 대한 욕구가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참여동기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치동기, 이해동기, 사회동기에서 연령과 직업의 유무상태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동기는 직업의 유무상태와 월평균소득이, 방어동기는 연령과 직업의 유무상태, 교육 수준이, 애정동기는 월평균 소득이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행동 참여강도가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강도(주 평균 자원봉사활동 시간, 본인이 인지하는 참여 적극성)이 높을수록 지속의지(전체 자원봉사활동 경력, 현재 활동하는 뮤지엄에서의 자원봉사활동 경력, 향후 1년 이상 참여 의향)가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자원봉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동기를 살펴보면, 사회동기가 높은 봉사자들이 전체 자원봉사경력과 주 평균 자원봉사활동시간이 길게 나타났으며, 향후 1년 이상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겠다고 답하였다. 반면에 경력동기가 강할수록 활동 기간 및 활동 시간은 짧아지는 것을 볼 수 있으므로, 이런 자원봉사자들을 적절히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참여 적극성에는 모든 동기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중에서도 이해동기가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경력 동기가 강할수록 참여 적극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담당 업무 유형에 따라 자원봉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동기들 간에 차이가 분명하다. 이는 자원봉사자가 맡은 업무에 따라 뮤지엄 측에서 강화하고 보강해야 할 요인들과 방법이 서로 달라야 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뮤지엄 자원봉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참여동기에 따른 자원봉사행동과 관련해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로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고 이론적으로 확인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향후 연구에서도 자원봉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를 여러 선행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자원봉사 관리자 및 자원봉사자간의 관계,참여 만족도,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 등의 새로운 변수들이 어떻게 차이가 있으며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폭 넓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福설화의 유형과 의미

        조윤정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Folk-tale is interaction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Consequently it reflect culture and ceremony as a group. As the story of fortune is consist of many different contents, it may have felt that it haven't have a steady current. But, we have focus on the ceremony of fortune, we can find a steady current in the each other different story. In this thesis, It express thesis multiple consciousness of transmission group. Therefore this thesis divide into typically fortune folk tale then look into narrative character and meaning. Range of fortune folk-tale gain some clues to Jang Deok Sun (Hanguk Seolwha Munhank Yeongu), A study on the korean folk-tale literature is a classified system.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The chapter Ⅰ introduce an aim of study, a historical study and a category of study. The chapter Ⅱ divide into the type of a folk-tale of fortune according to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It divide into three groups as follows <The Folk-tale of Women's Mating Fortune>, <The Folk-tale of Man Traveling to Seek Fortune>, <The Folk-tale of Lending Fortune>, yet once more <The Folk-tale of Women's Making Fortune> classify <A daughter-in-law's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and <A daughter's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The Folk-tale of Women's Making Fortune> is 82 volumes, <A daughter-in-law's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is 30 volumes, and <A daughter's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is 52 volumes. <The Folk-tale of Women's Making Fortune> is the story about an expelled woman who became rich after meeting another man. <A daughter-in-law's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story of finding-gold bachelor who makes charcoal is that humble wife was expelled by her husband and got fortune and her husband. And she could live a happy life. <A daughter's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father and daughter. The story is that the youngest daughter was expelled by her father in the process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because she said, "I can live without your help, father, I because in my own fortune." <The Folk-tale of Man Traveling to Seek Fortune> is the story in which a poor man solve the difficult problem that neighbors want to know going on a way to God, to obtain a fortune and then teach them the method, in the finally he can obtain a fortune himself, too. The first type is a content about a hero's solution of dragon's request. The second type is a substance about a hero's solution of dragon and woman's requests. The third type is a matter about a hero's solution of the request for those who want to rebirth as well as dragon and woman's requests. <The Folk-tale of Lending Fortune> is the story in which a poor man lend fortune from God. It base on determined fatalism, but reflect belief that holding in common with other people the fortune. Accordingly, it look into improving hero's lot. <The Folk-tale of Man Traveling to Seek Fortune>, I look around three persons with question's three questions meaning, a symbolic meaning of 'River' and a symbolic meaning of 'gold'. At the same time I watch for oral group's fatalism that <The Folk-tale of Women's Making Fortune> is the view of a fortune determinism <The Folk-tale of Man Traveling to Seek Fortune> and <The Folk-tale of Lending Fortune> is the view of a fortune confrontation. The Chapter Ⅲ, In conclusion, Ⅰ summary and arrange once more that the people's the view of fortune and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story of fortune.

      •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업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조윤정 대구가톨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용수업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효과적인 무용 수업을 위해 제거해야할 수업 스트레스요인들을 밝히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나아가 교육현장에서의 효율적인 무용 수업을 위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 255명을 집락임의표집(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집하였으며 자료분석방법은 스트레스의 하위요인과 자기효능감 특성을 밝히기 위해 전 문항에 대해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자기효능감 평균차를 검정하기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학년별, 전공별, 무용경력별, 연습빈도(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법(one-way ANOVA)를 적용하고 유의차가 나타내는 항목에 대해서는 사후검정 (post-hoc)을 scheffe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무용수업 스트레스 분석결과 성별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무용수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은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동료와의 관계에서 학년이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전공별은 무용수업 스트레스의 모든 요인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경력별에 따른 무용수업 스트레스의 차이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무용수업 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용전공 경력이 짧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습빈도(주)별은 교수와의 관계, 지도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간 연습빈도가 적을수록 교수와의 관계, 지도법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무용수업 자기효능감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활동시작과 활동지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전공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경력은 무용경력이 많으면 많을수록 활동시작, 활동지속, 활동수행, 경험극복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간 연습빈도은 빈도가 높을수록 활동시작, 활동지속, 활동수행에 대한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업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self-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rough stress reduction. Also it aimed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to uncover stress factors for the effective dance classes. Furthermore, 225 of art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were sampled by the cluster random sampling to probe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self-efficacy for efficient dance classe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very questionnaire to identify the sub-factors of stress and characteristics of self-efficacy. Also it conducted t-test for different averages of stress and self-efficacy of different gender. The one-way 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different grades, majors, dance experiences, and frequency of practice(per week). It applied Scheffe’s post-hoc to repres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for the class stress analysi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stress than males. Lower graders tended to have more stress in peer relationship, one of the stress factors, than higher graders.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fferent majors. All sub-factors of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dance experiences and shorter experiences seemed to cause higher stress. The frequency of practice(per week) showed significant relevance with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methods of guidance so lower frequency showed higher stress in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methods of guidance. Secondly for the analysis of self-efficacy in class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ginning and ongoing activities by different gender so girls showed higher self-efficacy than boys. There was no difference by grades and majors. Higher self-efficacy of beginning, ongoing, performing activities and overcoming experiences was showed when students have more dance experiences. In addition, self-efficacy of beginning, ongoing, and performing activities was showed as for the practice frequency results. Third, this study obtained a result that there is an overall correlation between class stress and self-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 기계체조선수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포츠 능력믿음 및 위기대처 행동의 관계

        조윤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기계체조선수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포츠 능력믿음 및 위기대처 행동의 관계를 규명하여 선수들을 지도하는 지도자와 선수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전국 각 지역의 기계체조 주전급 선수로서 고등학교, 대학교, 실업선수들을 대상으로 226명의 자료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완벽주의 성향, 스포츠 능력믿음, 위기대처 행동의 차이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완벽주의 성향은 자기지향, 타인지향, 사회적 부과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스포츠 능력믿음에서 증가믿음, 실재믿음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위기대처 행동은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중심적 대처, 초연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에 따른 완벽주의 성향은 자기지향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스포츠 능력믿음에서는 실재믿음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기대처 행동에서는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중심적 대처, 초연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완벽주의 성향은 자기지향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스포츠 능력믿음에서는 실재믿음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위기대처 행동에서는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중심적 대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 성향의 자기지향은 증가믿음 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부과 요인은 실재믿음 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완벽주의 성향의 자기지향 요인은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중심적 대처, 초연 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부과는 회피 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지향 요인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능력믿음의 증가믿음은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중심적 대처, 회피 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실재믿음 요인에는 문제 중심적 대처, 초연 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sports ability belief, and crisis coping in gymnasts. To obtain the purpose, water gymnastics who are enrolled as athlete in high-school, university, and semipro club answered questionnaire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Data which is obtained through self-administration was analyzed using by the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partial differ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perfectionism, sports ability belief, and crisis coping. Second, self-orientation of perfectionism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incremental belief. However, the socially prescribed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entity belief. Third, the self-oriented of perfectionism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problem-focus coping, emotion-focus coping, and premiere. The socially prescribed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avoid factor and have negatively influenced on the self-oriented factors. Forth, the incremental belief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problem-focus coping, emotion-focus coping, and avoid factors. The entity belief factor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problem-focus coping and the premiere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