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에 관한 연구

        조유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n the overseas expansion competitiveness of Korea exhibitions by Yujin Cho Department of Convention & Exhibitio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Dr. Bong-Seok Kim In the global arena, heightened competition among nations has initiated noteworthy developments in the exhibition industry, marked by trends of internationalization, specialization, and consolidation. This evolution is driven by strategies aimed at fortifying national infrastructure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 sector. The conspicuous global prominence of the contemporary exhibition industry’s internationalization aligns with the prevailing era of pervasive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the world economy. Consequently, the exhibition sector is actively engaging in diverse initiatives to enhance its competitive edge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Recogniz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internationalization, the domestic exhibition sector is also responding by augmenting its infrastructure, pursuing internationalization, and striving for larger-scale operations. Despite concerted efforts by domestic organizers to venture into foreign markets, the overseas market entry of domestic exhibitions remains comparatively subdued, primarily due to deficiencies in managerial aptitude and experiential aspects necessary for international market engagement. The activation of overseas expansion by domestic exhibitions holds the potential to bolster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foster the growth of exhibitions, and catalyze ancillary business effects. In order to formulate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and expansion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a prerequisite is to assess the competitiveness for entry into international markets. Thus, it becomes imperative to evaluate the competitive readiness of domestic exhibitions for international market entry as a prerequisite for formulating strategies geared toward fostering overseas market engagement. This research seeks to comprehen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and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of exhibitors in domestic exhibitions.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derived from domestic exhibition exhibitors influence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exhibitors to engage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Based on prior research,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is defined b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s of attendees and buyers, the capabilities of exhibition organizers, and the capabilities of exhibition organizer partners. Concurrently,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of domestic exhibition exhibitors is structured around sales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performance. The empir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comprises 656 valid responses from enterprises participating in the SEOUL FOOD 2023 exhibition hosted at KINTEX. Employing Smart PLS 4.0, the analytical toolkit encompas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findings affirm the substantive impact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s of attendees and buyers, the competencies of exhibition organizers, and the competencies of exhibition organizer partners on both sales and communication achievements of domestic exhibition exhibitors. Furthermo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has been identified between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an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exhibitors to engage in overseas exhibitions. In tandem with hypothesis validation, an additional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of domestic exhibition exhibitors, an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exhibitors to engage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Within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exhibitions, the paths related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s of attendees and buyers, as well as the capabilities of exhibition organizer partn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However, the path associated with the capabilities of exhibition organizers themselves was deemed non-significant. These empirical insights hold promise as foundational knowledge for subsequent scholarly inquiries into the overseas market competitiveness of exhibitions. Moreover,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verseas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Key words Exhibition, Overseas expansion, Competitiveness, Exhibitor, Participation performance, Participation intention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에 관한 연구 조유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컨벤션전시경영학과 세계 각국에서는 국가 간의 경쟁이 심화하면서 국제화, 전문화, 대형화라는 조류 속에서 성장해가고 있으며, 전시산업 발전 전략에 의해 각 국가의 인프라 확충도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 전시산업의 국제화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며, 국제적 무한경쟁 시대에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전시산업 역시 국제화를 통한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국내 전시산업도 국제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전시시설 등 인프라 확충, 전시회의 국제화 및 대형화를 추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시회의 해외진출을 위해 국내 전시주최자들의 여러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해외시장 진입에 필요한 경영 능력 및 경험 부족 등으로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진입이 전시산업을 선도하는 국가들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이 활성화됨으로써 국내 전시산업의 경쟁력 제고, 전시회 자체의 성장 및 이와 관련된 비즈니스 활성화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국가 이미지 및 국제적 위상 제고, 경제적 파급효과 등 국내 전시회의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입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매우 크다. 이에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활성화 및 확대 방안 강구를 위해서는 해외시장 진입을 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국내 전시회가 해외진출을 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 요소와 참가업체의 국내 전시회 참가 성과 사이의 영향 관계에 대해 파악하고, 나아가 국내 전시회 참가로 얻은 성과가 참가업체의 해외 전시회 참가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은 참관객 및 바이어 양적/질적 수준, 전시주최자 역량, 그리고 전시주최자 파트너 역량으로 설정하였으며, 국내 전시회 참가 성과는 판매성과와 커뮤니케이션 성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킨텍스(KINTEX)에서 개최된 SEOUL FOOD 2023 전시회의 참가업체가 응답한 총 656부의 유효표본을 활용하였다. 해당 유효표본을 Smart PLS 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시행 결과 국내 전시회 해외진출 경쟁력인 참관객 및 바이어 양적/질적 수준, 전시주최자 역량 및 전시주최자 파트너 역량이 국내 전시회 참가 성과인 판매성과와 커뮤니케이션 성과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판매성과 및 커뮤니케이션 성과가 참가업체의 해외 전시회 참가 의도 간의 영향 관계도 유의한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가설 검증에 더해 국내 전시회 해외진출 경쟁력, 국내 전시회 참가 성과, 참가업체의 해외 전시회 참가 의도 간의 Indirect effect 파악을 위해 추가 경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국내 전시회 해외진출 경쟁력 중 참관객 및 바이어 양적/질적 수준 및 전시주최자 파트너 역량의 경로는 유의하나, 전시주최자 역량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전시회의 해외진출 경쟁력과 관련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에 기여할 수 있으며, 국내 전시산업의 해외진출 및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 용어: 전시회(Exhibition), 해외진출(Overseas expansion), 경쟁력(Competitiveness), 참가업체(Exhibitor), 참가 성과(Participation performance), 참가 의도(Participation intention)

      • 시청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

        조유진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측무시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청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과 팔 활성화 훈련을 병행하였을 때 환자들의 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측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 연구로 실험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임의 할당되었고 단일 맹검으로 설계되었다. 실험군은 시청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과 팔 활성화 훈련을 병행한 치료를 30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팔 활성화 훈련만 30분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1일 1회, 30분 씩 주 5회, 총 5주간 중재를 실시하였고 동일한 조건으로 두 집단 모두 전통적 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편측무시를 평가하기 위하여 알버트 검사, 선 나누기 검사, 사진 스캐닝 검사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동작 수행 시 관찰되는 편측무시 평가를 위해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의 수행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한글판 수정 바델 지수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후 집단 내 알버트 검사와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 항목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었다(p<.05). 선 나누기 검사와 한글판 수정 바델 지수 항목의 경우는 실험군에서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p<.05), 사진스캐닝 검사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지 않았다(p>.05).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편측무시 및 일상생활동작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측무시 환자에게 시청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과 팔 활성화 훈련을 결합한 중재가 편측무시 감소와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하나의 치료 선택사항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th audiovisual biofeedback training and arm activation training on reduction of unilateral neglect in patients with stroke. This study was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n 24 stroke patients with unilateral neglect. All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12) and control group (n=12).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30 minutes of treatment involving audiovisual biofeedback training and arm activ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only underwent 30 minutes of arm activation. Interventions for both groups were administered once a day for five days a week for five weeks, and both groups underwent traditional rehabilitation treatm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lbert’s Test (AT), Line Bisection Test (LBT), and Picture Scanning Test (PST) were used to assess unilateral neglect, and to assess unilateral neglect observed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the Korean version of the Catherine Bergego Scale (K-CBS) was administered. The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K-MBI) was used to assess performance of ADL.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T and K-CBS after their respective interventions (p<.05). On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LBT and K-MBI (p<.05), and none of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ST (p>.05). Upon comparison of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ilateral neglec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tervention combining audiovisual biofeedback training and arm activation may be an alternative treatment to improve unilateral neglect.

      • 구강암세포 성장조절을 위한 neuron-restrictive silencer factor의 신기능 연구

        조유진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neuron-restrictive silencer factor/repressor element 1-silencing transcription factor (NRSF/REST) is originally discovered as a transcriptional repressor of neuronal genes in non-neuronal cells. It was recently reported to be abundantly expressed in some aggressive types of cancer cells, as well as in mature neurons. The functions of NRSF/REST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in a variety of cancers. However, the roles of NRSF/REST have not been clearly elucidated. The principal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ole of NRSF/REST in a hum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KB cells. NRSF/REST was expressed abundantly in KB cells compared with normal human oral keratinocytes (NHOKs). Cell viability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the knock-down of NRSF/REST expression using specific siRNA in a time-dependent manner in KB cells, but not in NHOK cells. Caspases-3, 7 and 9 were activated dramatically by the knock-down of NRSF/REST only in KB cells. Moreover, DNA fragmentation was induced after the knock-down of NRSF/REST in KB cells. The phosphorylation of mTOR was downregulated significantly by the knock-down of NRSF/REST in KB cells, but not in NHOK cells. Additionally, the phosphorylation of 4E-BP1, eIF4E, and eIF4G--the downstream target molecules of mTOR--were also reduced by NRSF/REST knock-down in KB cells. Furthermore, the reduction of the phosphorylation of mTOR downstream targets due to raptor expression was attenuated by NRSF/REST knock-down. The levels of eIF4G were reduced significantly in the binding affinity of eIF4G to the mRNA 5'-cap as the result of NRSF/REST knock-down. Interestingly, NRSF/REST was co-immunoprecipitated with mTOR and raptor in recombinant NRSF/REST over-expressed KB cells. These results imply that NRSF/REST may regulate the mTOR signal pathway through interaction with mTOR/raptor complex in KB cells; underexpression of NRSF/REST can induce the apoptosis of KB cells; this is a novel function of NRSF/REST. Neuron-restrictive silencer factor/repressor element 1-silencing transcription factor (NRSF/REST)는 원래 비신경세포에서 신경 유전자들의 전사 억제자로 발견되었다. 최근, NRSF/REST가 성숙한 신경에서와 같이 몇몇 난치성 암세포에서 높게 발현됨이 보고되었으며, 다양한 암에서 NRSF/REST의 기능이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구강암 세포에서의 NRSF/REST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구강암세포주인 KB 세포에서 NRSF/REST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NRSF/REST는 정상 구강세포인 NHOK 세포에 비해 구강암세포인 KB 세포에서 높게 발현되었다. KB 세포에서 siRNA assay법으로 NRSF/REST의 발현을 감소시키면 NHOK 세포와는 달리 세포 생존율이 감소되었고, 이는 세포사멸(apoptosis)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KB 세포에서 NRSF/REST의 발현이 감소되면, mTOR의 인산화가 뚜렷하게 감소되었고, mTOR의 하위 목적유전자인 단백질 번역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4E-BP1, eIF4E, eIF4G의 인산화 역시 감소되었다. 또한, raptor의 발현 감소 및 eIF4G의 mRNA 5'-cap에 대한 결합도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면역침강 실험 결과에 의하면, NRSF/REST가 mTOR 및 raptor와 서로 복합체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구강암세포주인 KB 세포에서 NRSF/REST가 mTOR/raptor 복합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mTOR 신호전달경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NRSF/REST의 발현 억제 시 KB 세포의 세포사멸이 야기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NRSF/REST의 새로운 기능이다.

      • 외식소비자의 건강관심도가 HMR 선택속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유진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급속한 경제 성장과 국민의 소득향상, 대중매체의 발달과 교육수준의 향상 등으로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경제적인 여유로 인하여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외식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코로나 19 이후 재택소비가 일상화되었으며, 식생활의 소비패턴이 편의성과 영양성 모두를 추구함에 따라 식사 준비에 대한 시간과 노력을 줄여주고 건강까지 유지하는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식시장의 주요 쟁점인 소비자의 건강관심도와 사회적인 변화에 따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HMR의 선택속성과 구매의도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자신의 건강에 관심을 가지는 소비자들이 HMR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향상을 위한 비즈니스와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설계된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HMR 이용 경험이 있는 20∼60대까지의 성인을 대상으로 2023년 8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글 설문지를 작성하여 링크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250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5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답변 13부를 제외한 28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HMR의 이용행태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측정항목의 타탕성과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요인의 상관성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외식 소비자의 건강관심도가 HMR 선택속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HMR 선택속성이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건강에 관심이 있는 외식 소비자는 HMR의 선택속성을 고려하여 제품을 구매하려는 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외식·식품기업들은 HMR의 시장이 점점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져 고객층을 좀 더 세분화하여 제품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통하여 건강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의 유형의 경우 외모를 추구하고, 삶의 윤택함을 추구하며, 유행에 뒤처지지 않는 개인별 맞춤식 제품을 개발 생산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제품들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차별화된 마케팅과 전략적인 판매 활동을 통하여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건임을 시사한다.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income, more people now prioritize their health. Thanks to improved education and widespread media, individuals a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afe and nutritious food. With the COVID-19 pandemic leading to more time spent at home, consumers are seeking convenient yet healthy food options. This trend has significantly boosted the Home Meal Replacement market, offering easy-to-prepare meals that align with health goals. As people aim to balance nutrition and convenience in their diets, this market continues to grow, catering to the needs of those looking for healthy eating without the hassle of extensive meal preparation.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how the expanding selection featur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relate to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considering the backdrop of significant social changes in the food service market. The goal was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that could assist health-conscious consumers in making informed choices when selecting and buying HMR products. By investigating the connection between evolving HMR attributes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in the context of broader societal shifts, this study sought to offer meaningful implications to guide consumers interested in prioritizing their health towards optimal selections within the HMR product spectrum.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a survey was carried out between August 15 and August 30, 2023. It involved adults aged 20 to 60 who had experience using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A total of 300 survey copies were distributed, with 250 completed through a Google questionnaire link and 50 via a self-administered method. Out of these, 283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discarding 13 responses due to inconsistencies. The gathered data underwent analysis using the SPSS 25.0 softw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HMR usage patterns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dditionall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s were conducted on the measurement items.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factors were assess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hil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test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a notabl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s an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Moreover, it was established that these selection attributes significantly influenced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HMR items. This indicates that individuals who prioritize health considerations tend to express a clear intent to buy HMR products based on the specific attributes these products offer. In essence, the study highlighted that consumers interested in maintaining their health are inclined to consider and value the features of HMR products when making purchase decisions. As the Home Meal Replacement (HMR) market grows, restaurants and food companies need to develop products more specifically to meet the needs of different groups of customers.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health-conscious consumers focus on looks,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personalized products that stay up-to-date with trend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reating and producing such customized items. Additionally, it's crucial to encourage ongoing purchases by making these products easy to find through diverse marketing and smart sales tactics.

      • 태권도 엘리트 선수들의 재활치료 성공사례

        조유진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엘리트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재활치료 성공사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실업팀 소속 태권도 겨루기 선수 가운데 재활경험이 있는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근거이론을 사용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2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실시하였는데, 재활경험과 과정을 거쳐 복귀한 8명의 연구 참여자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상해와 재활경험 과정의 선택코딩 결과 34개의 개념, 14개의 하위범주, 7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인과적 조건은 ‘직접적인 상해의 원인’, ‘상해가 유발된 장소’, 맥락적 조건은 ‘상해발생 후 조치’, 중심현상은 ‘재활 치료 시작하기’, 중재적 조건은 ‘재활과정 극복방안’, 상호작용전략은 ‘성실한 재활치료 노력’, 결과는 ‘성공적 복귀’로 도출되었다. 과정 분석 결과 상해발생, 상해 후 조치, 재활치료 시작하기, 재활과정 극복방안, 성실한 재활 치료 노력, 성공적 복귀의 과정을 거치는 나타났다. 선택코딩 결과 핵심범주는 ‘재활은 나 자신의 성숙’으로 도출되었다. 유형분석 결과 재활성공유형은 자아주도형과 타인의존형 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는 연구의 타당도와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Lincoln과 Guba(1985)의 신뢰성 준거를 충족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연구윤리를 준수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어: 엘리트 태권도 선수, 재활치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habilitation successes of elite taekwondo. Study participants were currently unemployed belong to taekwondo team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arget of 8 people in rehabilitation experience. Methods of this study was to use one of the grounded theor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tudy period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2016 to January 5, 2016,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eight participants back through the rehabilitation process and the experience was collecting data. The results were derived open coding 34 concepts, 14 different subcategories, 7 different categories of injury and rehabilitation process experience. axial coding result of casual condition is "direct injury of the cause ',' injury-induced place ', contextual condition is' injury occurred after measures', phenomenon is' rehabilitation started', interventional condition is' rehabilitation process overcomes measures' interaction strategy is 'serious rehabilitation effort ", the results were derived as' successful comeback. The results showed the process goes through the process of the injury caused, injury after actions, rehabilitation started, measures to overcome the rehabilitation process, rehabilitation, sincere effort, successfully returns. selective coding results were derived in key categories' rehabilitation and their maturity. " Type of analysis could distinguish between types of rehabilitation success with self-directed and person-dependent. The present study was striving to meet the reliability criterion of Guba and Lincoln (1985) to ensure the validity and veracity of the research, research ethics and compliance, and conduct research. Keyword: elite Taekwondo athletes, injury, rehabilitation

      • 소아당뇨 아동의 스트레스, 부모-자녀관계 그리고 또래관계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조유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Psychosocial adjustment of capital with type 1 diabetes encounters a great difficulty in not only parenting relations, but also peer relations due to the periodi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pain of infants with type 1 diabetes is neglected and intervention toward the infants is yet insufficient.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through a wide discussion about psychosocial adjustment of capital with type 1 diabetes and also to seek plan for a balance intervention in terms of diabetes related stress, and parenting as well as peer relations. This study has collected data based on the survey about stress, parenting relations, and peer relations from type 1 diabetes patients of 2 general hospitals in Seoul area and 114 of infant with type 1 diabetes who participated in seminar as well as Summer Type 1 Diabetes Camp in which internet club has held. Moreover, analysis has enforced through technical analysis, t-test, and multi-revolu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ame as below. First of all, diabetes related stress level of capital with type 1 diabetes is appeared higher than the level of stress shown from the existing study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adults. Since they are shown as considering that they are giving a heavy burden on their families with their disease, they are more likely to feel pressure with guilty that they give economic burden on their parents in terms of insulin injection or treatment. Secondly, parenting relations of capital with type 1 diabetes are mostly favorable. However, the parents tend to show a high level of excessive protection toward the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The capitals with type 1 diabetes are excessively protected by their parents because the parents think their children get the disease due to their misbehavior or interfere in a dietary treatment. Thirdly, the peer relations of type 1 diabetes patients are way lower than average. The capital with type 1 diabetes has difficulties to maintain a normal school life due to repeated treatment or entering/leaving hospital and they tend to suffer from activ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to build peer relations. Fourth, psychosocial adjustment level of the capital with type 1 diabetes is way behind the average. Inner problem is comparably higher than appearing problem. Fifth, diabetes related stress of the capital with type 1 diabetes is shown to give meaningful impact partially on psychosocial adjustment. Though diabetes relate stress greatly affects to such dispirit, depression, and anxiety, it presents a low grade for appearing problem; therefore, it does not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Sixth, parenting relations of the capital with type 1 diabetes generally affect to psychosocial adjustment. If the trust is low in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 influence occurring dispirit, depression, and anxiety is highly appeared and the method of bringing up with denial and love deficient household promotes offensive strength. Seventh, peer relations of the capital with type 1 diabetes meaningfully affect to a partial psychosocial adjustment. Although it is not yet able to give impact on delinquency and offensive strength which are appearing problems, it meaningfully affects to dispirit, depression, and anxiety. As a result, not only reduction of diabetes related stress, but also balanced approach including parenting and peer relations are required for collective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 capital with type 1 diabetes. In terms of theore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firstly has a meaning as a study demonstrating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other than general children. Secondly, it is meaningful with supplementation of the limit appeared from the existing studies about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firstly it has significance as a study which demonstrates characteristics about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Secondly, it has a practical meaning of balanced intervention as promoting vitalization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about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if intervention is accomplished based on the fact that diabetes related stress, negative parenting relations, and peer estrangement gives a meaningful impact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소아당뇨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은 발병의 시기적 특성으로 인해 부모자녀관계 뿐만 아니라 또래관계에서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소아당뇨 아동들의 고통은 외면되고 있으며, 소아당뇨 아동에 대한 개입이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아당뇨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해 폭넓은 논의를 통하여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특성을 밝혀보고, 당뇨관련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에도 균형 있게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종합병원 2곳의 소아당뇨 외래진료 대상자와 인터넷 동호회가 주최한 세미나 및 여름소아당뇨캠프에 참가한 소아당뇨 아동 114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를 설문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술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아당뇨 아동의 당뇨관련 스트레스 수준은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연구에서 나타난 스트레스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신의 질병으로 인해 가족들에게 부담을 준다고 느끼는 것으로 보아 평생 인슐린 주사와 외래 진료를 다님으로써 자신의 부모에게 경제적 부담을 준다는 것에 죄책감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소아당뇨 아동의 부모자녀관계는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모의 소아당뇨 아동에 대한 과잉보호가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는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자녀가 소아당뇨 질환을 가지게 되었다고 생각하거나 지나친 혈당관리 및 식이조절에 대해 지나치게 간섭함으로써 소아당뇨 아동은 부모에게 과잉보호를 받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소아당뇨 아동의 또래관계는 평균이하로 낮은 수준이다. 소아당뇨 아동은 반복적인 치료 및 입․퇴원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학교생활의 영위가 곤란하며, 또래관계를 맺기 위한 적극적인 사회적 활동 참여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아당뇨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은 평균이하로 낮은 수준이다. 외현화 문제보다 내재화 문제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아당뇨 아동의 당뇨관련 스트레스는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당뇨관련 스트레스는 내재화 문제인 위축, 우울․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외현화 문제에 대해서 낮은 점수대를 나타내며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소아당뇨 아동의 부모자녀관계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관계에서 신뢰가 낮은 경우 위축, 우울 및 불안을 일으키는 영향력이 높으며, 공격성과 관련하여 가정에서 경험한 거부적이고 애정이 결여된 양육행동이 자녀의 공격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일곱째, 소아당뇨 아동의 또래관계는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외현화 문제인 비행, 공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내재화 문제인 위축, 우울․불안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론적으로 소아당뇨 아동의 전체적인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해서는 당뇨관련 스트레스의 경감뿐만 아니라 부모자녀관계 및 또래관계를 포함한 균형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이론적 함의로는 첫째, 본 연구는 일반 아동이 아닌 소아당뇨 아동을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적응을 밝힌 연구로서 의미를 가진다. 둘째, 소아당뇨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실천적 함의로는 첫째, 소아당뇨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특성을 밝힌 연구로서 그 의미를 갖는다. 둘째, 소아당뇨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해 당뇨관련 스트레스, 부정적 부모자녀관계, 또래소외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이들 변인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소아당뇨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하여 사회복지 개입의 활성화를 도모함에 따라 균형 잡힌 개입의 실천적 의미를 가진다.

      • 폴리이미드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및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조유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피커링 에멀젼이란 고체입자가 오일-수용액의 두 상 사이의 계면에 흡착됨으로써 안정화된 에멀젼을 일컬으며, 계면활성제에 의해 안정화된 종래의 에멀젼에 비하여 고체입자가 비가역적으로 계면에 흡착하여 보다 높은 안정성을 가지기 때문에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물에서 합성된 폴리이미드 입자를 표면개질이나 pH 조 절 없이 피커링 에멀젼의 안정화제로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에멀젼이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개발 및 피커링 에멀젼의 마이크로캡슐화가 목적이다. 물에서 합성된 폴리이미드는 표면개질 없이, pH 2에서 12까지의 넓은 pH 범위의 증 류수 및 유기용매(Decalin)에 균일하게 분산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상전이물질인 nhexadecane이 수상에 유화된 형태의 수중유형(oil-in-water) 피커링 에멀젼 및 증 류수가 유기용매(Decalin)에 유화된 유중수형(water-in-oil) 피커링 에멀젼을 간편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nhexadecane 이외의 다른 오일상의 피커링 안정화 의 가능성을 PMDA-ODA 입자의 피커링 안정화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보았으며, 다양한 폴리이미드 입자를 피커링 안정화에 적용하여, 물에서 합성된 폴리이미드의 피커링 안정화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nhexadecane 심물질로, 라디칼 중 합이 가능한 두 종류의 시약(styrene, methylmethacrylate)을 막물질로 선택하여 캡 슐을 합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폴리이미드 입자가 피커링 에멀젼 안정화 및 캡슐화에 이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폴리이미드 입자의 피커링 안정화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 으며, 이는 폴리이미드 응용의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Pickering emulsion is emulsions stabilized by solid particles. The Pickering emulsion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the solid particles are adsorbed onto oil-water interface irreversibly, resulting in high stability of the emuls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Pickering emulsions using polyimide particles synthesized in water as Pickering emulsifier and prepare microcapsules using the Pickering emulsions. Polyimide particles synthesized are first utilized as Pickering emulsion stabilizer. Polyimide particles with six structures, PMDA-ODA, PMDA-PDA, PMDA-MCA, BPDA-ODA, BPDA-PDA and BPDA-MCA, were used as Pickering emulsifier, and four oils, n-hexadecane, linseed oil, olive oil and phenyl acetate, as core material.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polyimide particles, even without surface modification, are uniformly dispersed in water in the pH range of 2 to 12 and also in an organic solvent (Decalin). In addition the Pickering emulsions could be prepared in both oil-in-water (o/w) and water-in-oil (w/o) types, and the o/w emulsion was stable in the pH range of 2 to 12. Microencapsulation could be successfully conducted using the Pickering emulsion.

      • G. Puccini의 Messa di Gloria 분석 연구 : 오페라적 요소를 중심으로

        조유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fe of a leading 19th century Italian opera composer Giacomo Puccini(1858-1924),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trends of opera in his time, and investigate how the characteristics of Romantic music influenced him. The paper mainly analyze and research on Puccini’s Messa di Gloria, a Mass based on his unique composition style that is less researched compared to his operas. Chapter one, introduction, objectiv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research methods are presented. Next chapter, body, the life of Puccini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19th century, opera trends, choral music of the Romantic Era, and musical features of Puccini are explored. Chapter three covers musical elements Puccini’s opera, and focuses on analysis of Messa di Gloria, the only Mass Puccini composed. Examples of writing his Mass tunes on the later operas are presented with musical scores. In chapter four, characteristics of the 19th century Romantic choral music and elements of opera are discussed with comprehensive analysis of Messa di Gloria. 본 논문은 19세기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곡가 Giacomo Puccini (1858-1924)의 생애와 그가 작품 활동을 했던 시대적 배경과 오페라의 경향을 살펴보고 그가 살았던 낭만시대 음악의 특징이 그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조명해 보았다. 푸치니만의 작곡기법 특징을 기반으로 그의 작품 중 오페라에 비해 많이 연구되지 않은 합창작품 미사곡 <Messa di Gloria>를 집중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제 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의의,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고, 제 2장 본론에서는 푸치니의 생애와 19세기 시대적 배경과 오페라의 경향, 낭만시대의 합창음악, 푸치니의 음악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제 3장에서는 푸치니의 음악적 세계관을 통한 오페라적 요소를 살펴보았고, 이를 기반으로 푸치니의 유일한 미사곡인 <Messa di Gloria>를 집중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푸치니는 전통적인 미사의 양식을 지키면서도 그만의 방법으로 가사에 새로운 음악적 시도를 했으며 후에 그의 오페라에서 미사의 선율들을 사용한 예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제 4장 결론에서는 19세기 낭만시대 합창음악의 특징과 푸치니의 오페라적 요소를 작품의 분석을 종합적으로 결부시켜 서술하였다.

      • 코로나19 시기 긴급돌봄 서비스에 참여한 돌봄제공 인력의 노인돌봄 경험에 관한 연구

        조유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인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사망률이 높게 나타나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외출 자제로 노쇠 진행이 빨라지는 등 노인만의 특수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이 심했던 시기에는 여러 돌봄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이로 인한 돌봄 공백을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긴급돌봄 서비스가 등장했으며, 보건복지부는 2021년 1월 19일에 ‘사회서비스원 코로나19 긴급돌봄 사업’을 시행한다고 발표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긴급돌봄 서비스에 참여한 돌봄제공 인력의 노인돌봄 경험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돌봄제공 인력 15명과 행정가 4명을 선정하여 일대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사명감을 갖고 긴급돌봄 서비스에 참여함, ② 돌봄 사각지대에 처한 어르신에게 긴급돌봄 서비스를 제공함, ③ 현장에서는 긴급돌봄 서비스를 다양한 의미로 정의하고 있었음, ④ 제공된 서비스는 비슷하지만, 제공 주체에 따라 절차 및 체계는 다르게 나타남 ⑤ 앞으로의 긴급돌봄 서비스 및 노인돌봄의 발전을 위해 의견을 제시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긴급돌봄 서비스가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사항을 제언하였다. 진짜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노인을 발굴해내는 것, 긴급돌봄 서비스에 대한 체계를 구축하는 것, 돌봄제공 인력의 처우 개선, 노인의 셀프케어를 지향하는 것이 그 내용이다. The elderly are not only known to have a higher mortality rate than other age groups in the Covid-19 situation, but also to suffer more from the difficulties of their daily lives. In addition, at a time when the spread of Covid-19 was severe, various care services were suspended, raising interest in how to deal with the resulting of care-absence. Under these circumstances, emergency care services have emerge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on January 19, 2021 that it would implement the "Social Service Agency Corona 19 Emergency Care Project."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experiences of care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emergency care services during the Covid-19 perio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fteen care workers and four administrators were selected to conduct in-depth one-on-one interview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① people from various backgrounds participated in emergency care services with a sense of duty, ② they provided emergency care services to older adults who were in emergency situations, ③ although the definition of emergency care services is slightly different, emergency care services could be possible because they recognized this need before Covid-19, ④ although the contents of the services provided are similar, the procedures for providing services to social services and other centers are different, and ⑤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emergency care services, they suggested directions for care services to develo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