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드 전환 제어 가능한 듀얼 모드 벅 변환기

        조용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물 인터넷, 임플란터블 전자 칩 등과 같은 휴대 기기 구동에 적합한 듀얼 모드 벅 변환기를 제안한다. 휴대 기기는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DPSS모드와 슬립-어웨이크 스케쥴링을 적용하여 설계한다. 따라서 넓은 부하에서 안정적이고 높은 전력 변환 효율을 갖는 전력관리회로가 요구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듀얼 모드 벅 변환기를 설계하여 넓은 부하에서 높은 전력 효율을 갖도록 하였으며, 면적을 줄이기 위해 클럭 생성 회로의 비교기를 인버터로 기반으로 설계 하였다. 또한 모드 전환 시점을 제어할 수 있도록 모드 제어 회로를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듀얼 모드 벅 변환기는 PFM 제어 회로, PWM 제어 회로와 모드 제어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의 듀얼 모드 벅 변환기의 모드 전환 시점은 불연속/연속 전도 모드를 경계로 고정된 모드 전환 지점을 갖는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모드 제어 회로의 3비트의 디지털 제어 신호로 모드 전환 지점을 제어 가능 하도록 설계 하였다. 기존의 기법에서 모드 전환하려면, 부하 전류는 급격히 변동하거나 천천히 변동해야한다. 하지만 제안하는 모드 제어 회로는 슬로우 클럭을 이용하였으며, 부하 변동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측정 결과 출력 전압 리플은 최대 32mV의 이내의 값을 가졌고 10uA∼500mA 부하전류 범위에서 86%의 최대 전력 변환 효율을 나타내었다. 기존 기법이 갖는 부하의 변동 조건의 제한을 받는 문제점을 슬로우 클럭을 이용한 모드 제어 기법으로 개선하였고 3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모드 전환 지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부하변동과 슬로우 클럭의 주기의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다음 주기를 기다려야하므로 전환이 늦어질 수 있다. 제안하는 듀얼 모드 벅 변환기는 DPSS모드와 슬립-어웨이크 스케쥴링이 적용되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물 인터넷, 임플란터블 전자 칩 등 휴대 기기에 응용될 수 있다.

      • Physical properties and photoresponse of NiO films

        조용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NiO films were deposited on Ir and SiO2 substrates by rf sputtering system and annealed in O2 and N2 at 550 ℃ for 90 s by rapid thermal annealing system. The characterizations were performed by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X-ray diffrac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photoresponse. The conductivity switching phenomena was observed in Au/NiO/Ir sandwich structure by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and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NiO films deposited on SiO2 were characterized. As heat treated in O2 and N2, the crystallinity and textures increased. The photocurrents were measured in Pt-NiO-Pt structures at room temperature in air, and vacuum, and at 30 K in vacuum with different wavelength lasers at variable output powers in a chamber. The NiO films have shown different photo-generated current yield according to the ambient conditions and temperatures in the chamber. Furthermore, the ambient annealing gases affect the photo-generated current yield and the conductivity. Among the structures for the photocurrent experiment, the Pt-NiO film (40 nm, as-grown)-Pt structure showed the highest photo-generated current yield. On the other hand, the lowest yield was measured from the structure of Pt-NiO (40 nm, annealed in N2)-Pt. From the photoresponse at 300 and 30 K in vacuum, a metall-like temperature dependent conductivity was observed. In addition, photo-generated current yield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light source output power. Finally, it has been proven that the optical annealing does not make any conductivity changes in NiO films.

      • 웹에 기반한 원격대학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적용방법 연구

        조용민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with the advent of smartphones, mobile internet has been reformed. And it made big changes on the mobile Internet content, services market, operating systems, and hardware. To respond to these changes, developers are improving productivity through HTML5 focused on W3C. And they try to provide a better user experience by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web applications and platforms. Unlike the national trend, distance universities in Korea have planned mobile services environment with the PC-oriented system using such as Active-X and Plug-in. Active-X can be driven only in Window IE and Plug-in needs to be installed separately. It has been an obstacle to the conversion for mobile services since it didn't consider the mobile environment and the web standard. Find the features which can be a problem to a distance university and web environment in Korea, and compare them to the html5 which is the advanced web standard technology. Ultimately, finding elements which are necessary for a distance university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최근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본격화된 모바일 인터넷의 변화는 콘텐츠 시장과 서비스 운영체제, 하드웨어 등에서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자는 W3C에 초점을 맞춘 HTML5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세대 웹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의 개발로 보다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려고 한다. 이렇게 변화하는 세계적 추세와는 다르게 국내 원격대학은 모바일 서비스 환경을 Active-X와 Plug-in 등을 사용한 PC위주의 시스템으로 개발해왔다. 윈도우 IE에서만 구동 가능한 Active-X와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Plug-in 등 웹표준과 모바일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기획과 개발이 모바일 환경 서비스로 전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원격대학과 국내 웹 환경에서 모바일 환경에서 문제가 되는 기능을 찾고 차세대 웹 표준 기술인 html5와 비교 분석하여 원격대학에 필요한 요소를 찾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 초등학교 체육영재의 골연령과 체격 및 체력 발달과의 관계

        조용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을 대상으로 골연령을 측정하여 골연령에 따른 체격 및 체력의 상관성을 살펴보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골연령과 체격 및 체력의 변화와 향상도를 살펴보는데 있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성장기 연령의 잠재성 있는 아동청소년 및 선수 선발 시 골연령 항목의 적용 가능 유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인하대학교 체육영재센터에 지원한 일반 초등학생 1~6학년 남녀학생 348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그 중 일부인 40명은 2년, 21명은 3년까지 골연령과 체격 및 체력을 측정하였다. 체격 요인은 골연령, 신장, 좌고, 체중, 흉위, 체지방률을 측정하였고, 체력 요인은 팔굽혀펴기, 농구공 던지기, 윗몸일으키기, 하프스쿼트, 제자리 멀리 뛰기, 50m 달리기, 사이드스텝, 체전굴을 측정하였다. 골연령에 따른 체격 및 체력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령의 증가에 따른 기록 변화와 향상도를 살펴보기 위해 이원반복분반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연령과 체격 및 체력을 비교한 결과 남자는 .306~443으로 대부분의 체격 요인에서 낮은 상관성을 보였고, 여자는 .264~.567로 낮은 상관성 혹은 중상관을 보였다. 체력 요인은 남자가 농구공 던지기와 하프스쿼트에서 각각 .224, -.287로 낮은 상관을 보였고, 여자는 하프스쿼트에서 -.287~-.303으로 낮은 역상관을 보였으며 제자리 멀리 뛰기에서 .556으로 중상관을 보였다. 오히려 체중과 농구공 던지기가 .508~.553으로 중상관을 보였으며, 여자 4학년의 신장과 농구공 던지기에서 .750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2. 골연령과 체격 및 체력을 각각 2회와 3회 측정한 대상자의 체격과 체력의 기록 변화를 비교한 결과 체격 요인에서는 골연령에서만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더딘 집단의 골연령 변화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나머지 체격과 체력 요인에서는 시기나 집단의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 대상자의 경우 골연령에 따른 체격 요인과는 낮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오히려 체격에 따른 체력의 상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향상도에 있어서도 골연령 요인만 상호작용 효과를 보임과 동시에 더딘 집단의 골연령 변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체격 요인과 체력 요인에서는 어떤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성장기 연령의 잠재성 있는 아동청소년 및 선수 선발 시 골연령 항목의 적용은 다소 무리가 있으며, 오히려 단순히 신장이 크거나 체격 조건이 우수한 아동이 지속적인 훈련을 한다면 체력 발달의 가능성이 더욱 클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비슷한 또래에서의 골연령은 체격에 영향을 미치지만 연령의 증가에 따른 체력의 발달에 있어서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발육·발달의 연구에 있어서 대상자 수가 충분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있어 추후 이를 보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심방 및 SNS를 활용한 청년 교육목회에 관한 연구

        조용민 장로회신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교회에서 청년부와 함께하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청년사역자로서 청년사역을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힘들어하는 청년들과 함께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청년사역에 활성화를 이룰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청년들과 더 소통하고, 이야기하고, 관계가 깊어질 수 있을까? 생각하면서 접근하게 되었다. 청년사역 함에 있어서 심방 및 SNS를 활용해서 청년들을 이해하고 청년 교육목회에 관한 방안을 심방과 SNS사역 중심으로 제시하면서 장점은 극대화하고, 단점은 보완해서 한국교회 청년 교육목회를 위한 이론 정립 및 실제에 아주 조금이라도 공헌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심방과 SNS, 온라인과 오프라인,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어떻게 통합하여 디지로그적 접근으로, 심방과 SNS가 유기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서로 연결이 되어 청년 교육목회를 할 수 있을까 생각하게 되었다. 특별히 본 연구는, 청년사역을 하고 있는 어느 교회에서나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내용 정리를 해 보았다. 청년부 뿐만 아니라, 청소년사역, 장년 교구사역 할 때에 본 연구의 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청년문화에 대한 이해로 심방 및 SNS(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아날로그와 디지털,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대해 살펴보고, 청년 교육목회의 현실을 제시하고 존 웨스터호프의 신앙공동체이론과 안드라고지이론을 기초해서 성찰하고, 심방 및 SNS를 활용한 청년교육목회의 원리와 기초를 제시하고, 청년 교육목회를 위한 실제적 방안을 심방 및 SNS 활용을 중심으로 제시하게 되었다. 필자가 이미 경험하고 실행한 내용을 연구했기에 이 시대의 청년사역자들이 청년 교육목회 하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주제어 : 심방, SNS, 청년, 교육목회, 아날로그, 디지털, 디지로그

      • 공공건축물 유지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조용민 목원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For public buildings that are major key properties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aintenance works are emphasized in order to pursue user convenience, satisfy diverse functional requirements and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s.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facility management and safety management is stressed in the dimension of preventive preservation and efforts to save national budgets and humanlabor are continuing such as inducing the reduction of maintenance costs by enhancing the facility performance of buildings and extending the lifetime. However, the importance of managing and utilizing large amounts of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that is generated in the course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public buildings is overlooked and this is curtailing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works for public buildings. In this respect, in this study, a web-based Maintenance System for Public Buildings(MSPB) introducing IT technologies was developed in order to pursue efficient and standardized implementations of maintenance works and efficiently manage and utilize the hug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held by the parties that implement maintenance works. In this study, maintenance work processes for public buildings were developed centering on To-Be model maintenance works based on As-Is model maintenance works and considering the efficiency and applicability of works, the work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of works including general management works, prevention & preservation works, maintenance works and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works instead of existing two types of works including repair/replacement works and checking/diagnosis works. In particular, since prevention & preservation works and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works are implanted within the scope of other works, the clear work divisions along with stepwise work implementations enhanced work efficiency and thus these works were utilized as major processes of the system prototype. The MSPB consisted of a maintenance information module, a history information search module and a community module and the scope of use of the system and functions were separated by maintenance work implementing entity so that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efficiently used depending on work stages for the easiness of information exchanges and communications. Major input items and modules were configured based on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for convenience in applying the system to practical works such as data accumulations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history data and future prevention & preservation works and the system was established based on web to enable system users to instruct and monitor works at real times. Centering the maintenance work process modeling, the database DB was designed and an Algorism was established. In addition, this system has a feature to collect information on maintenance costs and cost payers, information to predict time points for repairs and replacements and diagnosis information through a history information search function and utilize the information to grasp the conditions and statuses of subject facilities and it has been made possible to search information on similar facilities in order to use the information as ground data to suggest solutions and alternatives for problems in maintenance works. Based on a pilot test of the system, a measure to identify the process of treating work requests or instructions was implemented and for th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the system history DB, system users were classified so that users can enter and revise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facilities they manage while only being able to monitor similar facilities. In addition, relationships between DBs were reestablished to facilitate searches for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and key words were diversified. Through this, it is considered that applicability to practical works and the easiness of using the system have been sufficiently verified. The MSPB developed in this study divided maintenance works by facility, user and stage of maintenance works so that related informa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and monitored at real times for the easiness of information exchanges and communications between maintenance work implementing parties. By making facility managers perceive the usability and importance of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and collect the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maintenance works, the accumulated maintenance history DB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building maintenance works and decision making tools in works such as the evaluation and judgment of the performance of each facility, predicting the time points of repairs and replacements and estimating repair costs. It is expected that, utilizing this system as a tool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building maintenance and enables the utilization of maintenance history information will increase the service lives of public building through preventing and preserving maintenance and in addition, enhance the values of properties thereby contributing to saving the budgets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국가 및 지자체의 주요 핵심자산인 공공건축물은 사용자의 편의성과 다양한 기능적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건축물에 대한 유지관리업무가 강조되고 있다. 또한 예방보전차원의 시설관리와 안전관리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시설성능향상 및 장수명화를 통하여 유지관리 비용 절감을 유도하는 등 국가의 예산 및 인력 절감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건축물의 운영·유지관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유지관리이력 정보에 대한 관리 및 활용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어 공공건축물의 유지관리업무 효율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이고 표준화된 유지관리업무 수행을 도모하고 유지관리업무 수행주체 간 방대한 유지관리 이력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활용을 위하여 IT기술을 도입한 웹기반 공공건축물 유지관리시스템(MSPB, A Maintenance System for Public Buildings)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건축물의 유지관리업무 프로세스를 As-Is모델 유지관리업무를 기반으로 To-Be모델 유지관리업무체계를 중심으로 구축하였으며, 업무의 효율성과 적용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2가지 업무인 수선·교체업무, 점검·진단업무에서 4가지 업무인 일반관리업무, 예방계획업무, 유지관리업무, 이력정보관리업무로 구분하였다. 특히 예방보전업무와 이력정보관리 업무는 다른 업무 안에 포함되어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명확한 업무 구분과 더불어 단계별 업무 수행을 통한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시스템 프로토타입의 주요 프로세스로 활용하였다. MSPB는 유지관리정보모듈·이력정보검색모듈·커뮤니티 모듈로 구성되었으며 정보교환 및 의사소통의 용이성을 위하여 유지관리업무 수행 주체별로 시스템 사용 범위와 기능을 분리하여 필요한 정보를 업무 단계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유지관리 이력정보를 기초로 주요 입력항목 및 모듈을 구성함으로서 이력자료의 표준화를 통한 데이터의 축적 및 추후 예방보전업무 등 실무 적용이 편리하도록 구축하였고 웹기반 체계 구축을 통한 시스템 사용자들의 실시간 업무 지시 및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였다. 유지관리업무 프로세스 모델링을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의 DB설계를 수행하고 알고리즘(Algorism)을 구축하였다. 또한 이력정보 검색 기능을 통하여 유지관리비용, 비용부담주체, 수선교체시기 예측 및 진단정보를 수집하고 대상 시설의 상태 및 현황 파악에 활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사시설 정보를 검색함으로서 유지관리업무상의 문제해결방법 및 대안 제시 등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스템의 파일럿 검증을 실시한 결과, 업무요청 및 지시에 대한 업무처리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며 시스템 이력 DB의 관리 및 보호를 위하여 시스템 사용자를 구분하여 관리시설의 유지관리이력 정보는 입력·수정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반면 유사시설의 경우에는 모니터링 기능만을 부여하였다. 또한 유지관리 이력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용이하도록 DB간의 관계를 재설정하였고 키워드를 다양화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무 적용성과 시스템 사용 용이성이 충분히 검증되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MSPB는 유지관리업무 수행 주체 간 정보교환 및 의사소통의 용이성을 위하여 시설별, 사용자별, 유지관리업무 단계별로 구분하여 관련정보를 유용한 활용과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이는 시설관리자에게 유지관리 이력정보의 실무 활용도와 중요성을 인식시켜 유지관리업무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력정보를 수집·저장함으로써 축적되는 유지관리이력 DB를 각 시설의 성능평가 및 판단, 보수교체시기 예측, 보수비용의 예측 등 공공건축물 유지관리업무 수행의 기초자료와 의사결정도구로 활용가능하다. 앞으로 공공건축물의 유지관리 특성을 반영하고 유지관리 이력정보 활용이 가능한 툴로써 본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서 예방보전 유지관리측면에서 공공건축물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키고 더 나아가 자산 가치를 향상시켜 정부 및 지자체의 예산을 절감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이슬람 국가에서 한국어 교육을 통한 선교 : 북부아프리카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통한 선교를 중점으로

        조용민 나사렛대학교 신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슬람 교인들, 이슬람 문화권을 향한 선교는 중세시대 때부터 우리 기독교 교회들이 목표로 삼고 있으며, 동시에 도전하고 있는 분야이다. 하지만, 이슬람 문화만이 가지고 있는 강한 종교적 역사관과 유대감은 굴복시키기 어려운, 그리고 포교하기 어려운 영역이라는 모습을 가지고 있었다. 지난 천년이 넘는 시간동안 무너지지 않던 이슬람이라는 높고 긴 장벽은 본인들의 가장 강점이었던 독특한 문화를 시작으로 무너지기 시작하고 있다. 지구의 세계화와 하나의 지구촌이라는 모토와 함께 이슬람의 젊은 청년들이 종교로부터 오는 문화적 압박감으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고 있다. 종교적 차이를 존중한다는 유럽의 사람들의 발언을 통하여 이슬람의 젊은 세대들은 오히려 자신들의 종교적 문화를 지키기 보다는 히잡을 벗어던지고 크롭티와 청바지를 입고, 어깨가 드러나는 드레스를 입고 다니고 있다. 동시에 SNS등을 통하여서 각 국의 다양한 문화가 또 다른 문화 속으로 스며들고 있다. PSY라는 가수의 강남 스타일이라는 노래를 통하여서 대한민국의 문화는 아시아를 넘어 북미와 중남미를 넘어 유럽을 뚫고, 이슬람 문화까지 뒤흔들게 되었다. 그렇게 자연스럽게 이슬람의 청년들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를 알게 되었고, 그 나라의 문화를 동경하기에 이르렀다. 한국의 식습관, 언어, 생활 방식, 문화 등등 자신들이 좋아하는 한국의 연예인들이 하는 것은 다 하고 싶어 하게 되었다. 아무리 두드려도 절대로 열리지 않던 이슬람의 큰 대문이 이제는 한국 사람들을 향해서 열리기 시작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이슬람 문화를 향한 한국 교회와, 한국 선교 단체의 움직임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슬람 사람들로 하여금 반감을 살 수 있는 침례, 땅 밟기, 통성기도 등 해당 문화권을 존중하지 않고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함을 통하여서 테러의 목표가 되기도 하였다. 이슬람이 우리를 향하여 마음의 문을 여는 이 시점에 우리가 과연 극단 적인 방법으로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지 않고 문화적 상황화를 거치지 않고 우리가 만났던 하나님을 우리의 방식 그대로 전하는 것. 그것은 바로 옳은 것일까? 하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그들이 원하는 것을 전해주며 알려주며 동시에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수 있다면 그것이 더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많이 할 수 밖에 없었다. 반감을 사는 선교적 움직임이 아니라, 그들이 우리를 더욱더 좋아하고 끌림을 가질 수 밖에 없는 문화의 모습을 보임을 통하여 그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그들의 입으로 하나님을 내 주로, 예수님을 나의 구원자로 고백하게 하는 것이 더 좋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상기 논문에서는 교차 문화적 선교 상황에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요소들을 반대로, 기회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특별히 북부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태를 파악하였다, 세종학당과 모로코, 이집트에 주재하고 있는 한국 문화원들과, 북부 아프리카 지역의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학과 또는 과정을 통해서 한국어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수강자가 많은데 반해, 한국어를 수업을 할 수 있는 교사와 교육기관 모두 부족한 상황에 놓여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한국 기독교에서 채워주며 하나님의 복음을 그들에게 전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을 통한 선교 방법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