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드뷔시(C. Debussy)의〈판화(Estampes)〉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 연구

        조예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as the period of experiencing big changes and development under the influence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Furthermore, European countries were expanding their colonies into the world in imperialistic international relations and Oriental countries involving in this process greatly influenced the public and artists in Europe who sought to escape from the imitation in the past and stereotyped elements and allowed them to turn their eyes to alien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rientalism manifested in Debussy's Music. Debussy was one of the most preeminent figures not only in the modern French School of music, but also in the entire musical field of 20th century. Debussy's musical was closely impressionism was pioneered and developed by Debussy, whose concern lay primarily in evoking moods. Debussy's impressionism was intended mainly to express fleeting sentiments as perceived in temporal moments and specific atmospheres. He considered 'timber' and 'colour' to be intrinsic elements of music. His predisposition towards using these elements led him to pursue new mediums of expression. He created many novel methods anticipated the New Music of the 20th century. The Estampes is a work much influenced by impressionistic favour, and the very first one of his works which reveals his exoticism, In the first piece, Pagodes, he experimented with Gamelan techniques and sonic effects which he witnessed at the International Exposition of 1898 in Paris. In particular, he used the tonal system of the devices of thematic decoration and transformation which are the identifying marks of Gamelan music. Characteristics of polyphony with the use of melodic and rhythmic counterpoint are represented in Pagodes. The polyphonic character, as well as the use of isolated harmony and the attempt at using the percussive effects of Gamelan orchestra are all influences of Gamelan music. The second piece, La soir?e dans Grenade, made use of the language of Spanish folk music. Debussy introduced the habanera rhythm, the transformed phrygian mode, the style of the flamenco scale, and used the sonic effects of guitar and castanets in this piece. The melismatic and gently flowing melody of the cante jondo, a Spanish folk song, also greatly enhances the Spanish mood. The usage of all these elements and techniques were later combined into his musical language and resulted in the construction of a unique style. For Debussy, the use of exotic elements was intended to make impressionism expression effective, and it is in his 'impressionism' that the very meaning of his exotic tendencies can be found. The third piece, Jardins sous la pluie, a typically impressionistic work, expresses various changes of mood by employing various scales such as the whole-tone scale, the chromatic scale and the medieval modes. The use of rhythms also suggests specific movements of objects and the trills and tremolos evoke diverse images timbres. The 20th century has been an era in which diverse musical styles have coexisted and different styles of music have been created by many various concepts and views of aesthetics. This has led to a search for new materials of music that has been more prominent in this search visible in Debussy's compositions clearly illustrate the movement from one musical epoch to another and contributed immensely to the expansion of musical materials, and eventually to the widening of musical sensibility.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국내·국외 협소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조예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저출산과 만혼 증가, 고령화 등의 사회적 원인에 의해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가족의 형태가 변화했다. 최근 1인 가구가 급증하면서 주요 가족 형태로 부상하였으며 앞으로도 증가세가 지속될 것이다. 인구 구조의 변화 및 사회적 경제적 변화의 영향을 받아 혼밥과 혼술 같은 1인 소비문화 확산, 소형 거주 공간에 대한 수요 증가 등 주거문화 또한 급속도로 변모하고 있다. 이들은 넓은 평수의 중·대형의 주택보다는 주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실용적인 소형주택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소형주택의 수요를 증대시키며,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요구 및 특성을 반영한 주거 환경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소규모 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해 도시형 생활주택의 도입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소형 아파트, 땅콩 주택, 협소 주택 등 다양한 소규모 주택들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1인 가구의 유형과 주거 형태를 살펴보면, 다양한 1인 가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세대별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선호도에 적합한 소규모 주택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주거 유형으로 ‘협소 주택’을 주목하였다. 협소 주택은 아파트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지을 수 있으며, 큰 대지면적을 차지하는 기존 주택과는 달리 좁은 면적에서 충분한 생활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최근 좁은 대지면적에 협소 주택을 짓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국내에서도 협소 주택을 활용한 사례가 언론을 통해 많이 소개되고 있으며, 협소 주택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단순히 좁은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공간의 효율성 극대화에 기여하고 있다. 협소 주택은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거주자의 삶과 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1인 가구를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주는 주거 형태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협소주택의 사례분석을 통해 1인 가구를 위한 공간이 가진 공간 표현특성을 도출하는 연구이다. 따라서 라이프스타일 개념의 중요성을 두어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의 공간구성 방식과 공간 표현특성 분석하고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한 주거계획의 방향성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각종 문헌조사와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첫째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및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설정한다. 둘째 국내외 선행 연구들과 문헌 자료들을 토대로, 1인 가구 출현의 사회적 배경과 1인 가구의 현황 및 소형 주거 유형을 파악한다.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세대별 라이프스타일 특성을 파악하여 요구되는 공간은 어떤 것인지 분류한다. 세대별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해 ‘가치의 행복’, ‘효율적인 기능’, ‘나만의 공간’, ‘쾌적한 공간’, ‘맞춤 공간’ 5가지 주거 요구를 도출한다. 셋째 협소 주택의 개념 및 특성을 고찰하고, 1인 가구를 위한 새로운 주거 대안으로 협소 주택의 필요성을 파악한다. 그 후에는 선행연구 분석으로 공간적 표현 특성 및 조형적 표현 특성을 도출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사례분석을 위한 틀을 마련한다. 넷째 앞서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연구에서는 주거 공간구성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 틀에 맞추어 2012년 이후에 지어진 협소 주택을 분석하고, 이를 종합 분석하여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연구한 내용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서술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확장성, 가변성, 다양성, 연계성 4가지 표현 특성은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공간에서 활용하게 된다. 이를 토대로 거주자의 시각적으로 개방감과 확장감을 느낄 수 있으며, 작은 면적에서도 편의성을 도모하면서 기능성도 만족하게 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국내의 1인 가구를 위한 공간 계획은 발전 초기 단계이며, 향후 발전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공간을 계획함에 있어 공간 디자인의 계획방향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협소주택 사례가 한정적이라는 한계를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공간구성에 관한 다양한 후속 연구로의 확장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In Korea, the form of family has changed from large family to nuclear family due to social causes such as low fertility, increased marriage, and aging. The recent surge in single households has emerged as a major family type and will continue to increase. Under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changes and social and economic changes, residential culture is also rapidly changing, such as the spread of single-person consumption culture such as Honbab and Honsul,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small living spaces. They tend to prefer practical small-sized houses that can reduce housing costs rather than large-sized and medium-sized houses. This trend increases the demand for small homes and demands change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reflecting the housing need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ifestyle.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a variety of polici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urban-type living houses, to promote the supply of small-sized houses, and various small houses such as small apartments, peanut houses and narrow houses are developing in various forms. However, when looking at the types and housing types of various single households, they are uniformly supplied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single households. Therefore, small-scale housing should be provided to suit the lifestyle and preferences of single households. This study focused on 'narrow housing' as a new type of housing that can solve this problem. Narrow houses can be built relatively cheaply compared to apartments, and unlike existing houses that occupy a large land area, they can secure sufficient living space in a small area. Recently, more and more people are building small houses on a small land area. In Korea, there are many cases of using narrow houses through the media, and narrow houses are increasing. It does not mean simply a narrow space, but contributes to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space. I think narrow housing is a form of living that provides a new alternative for single-family households by organically connecting the living and space of resident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This study is to derive the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pace for single households through case analysis of narrow hou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and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dwelling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o find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plan that reflects the needs of user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various literature researches and previous studies. First, the background, purpose and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are established. Second, based on previous studies at home and abroad and the literature,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current statu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types of small dwellings are identified. This course examines theories of lifestyle and housing, and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al lifestyles and classifies the space required. By analyzing lifestyles by generations, we derive five housing needs: 'Happiness of value', 'Efficient function', 'My space', 'Pleasant space', and 'Custom space'. Third, it examin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narrow housing and identifies the necessity of narrow housing as a new housing alternative for single households. Afterwards,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es derives the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expression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a framework for case analysis is prepared. Fourth,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derived above, the case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 com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framework, narrow houses built after 2012 are analyzed, and this is analyzed and described. Finally,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extensibility, variability, diversity, and linkage are organically related and utilized in space. Based on this, residents can visually feel the sense of openness and expansion, and they must satisfy the functionality while promoting convenience even in a small area. As a result, space planning for domestic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and has the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in the planning direction of space design in planning residential space for single household according to lifestyle. Although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limitation that the narrow housing case dealt with in this study is limit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expanded to various follow-up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residential space for single households according to the lifestyle.

      • 유아의 상상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 연구

        조예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상상놀이가 유아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고, 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상상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2015년 12월 14일부터 2016년 2월 29일까지 무지개반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의 상상놀이를 참여 관찰하였다. 또한 교사와 반구조적 면담을 실행하고, 교사의 놀이 기록 자료를 제공받아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상상놀이가 지니는 의미는 ‘자신의 관점으로 세상 바라보기’,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기’, ‘유아들만의 또래문화 만들기’로 분석되었다. 유아는 상상놀이에서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이나 사건을 재현하면서 현실에 대한 지식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이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물이나 사건을 만들어내며 현실 너머의 세상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권선징악의 의미가 담겨 있는 놀이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고, 간접적으로 소망을 실현하면서 자신의 내면과 진정으로 마주할 수 있었다. 그리고 또래와 함께 놀이에 담겨 있는 상상의 의미를 공유하면서 또래들과의 독특한 상상 세계를 만들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상상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은 ‘상상의 즐거움을 함께하는 상호작용’, ‘상상에 대한 흥미를 지속시키는 상호작용’, ‘새로운 상상의 의미를 발견하는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교사는 유아의 상상놀이를 관찰하고, 상황과 맥락에 적절한 질문을 하거나 직접 놀이에 참여하며, 새로운 상상의 소재를 제공하면서 유아가 상상에 흥미를 이어나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유아가 새롭게 만들어 낸 유아만의 의미를 인정해주고, 이를 지원해줌으로써 유아의 상상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상상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은 ‘유아와 공감하는 소통의 통로’, ‘유아의 상상에 대한 고민의 장’, ‘교사의 상상력을 발견하는 기회’라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사는 유아의 상상에 담겨 있는 유아의 생각, 감정, 또래문화를 이해하면서 유아와 소통할 수 있었다. 또한 유아의 상상에 함께 존재하면서 상상이 더욱 흥미롭게 이어질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유아와 같이 고민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는 유아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적절한 질문을 제시하고, 유아가 주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면서 보다 적절한 교사의 상호작용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사는 유아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것들을 직접 경험해보고, 의도적으로 유아와 같이 상상해보려는 노력을 하면서 교사의 상상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교사가 의도적으로 상상하려는 노력은 이후에 유아의 상상이 더욱 자유롭게 발현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상상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은 유아뿐만 아니라 교사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교사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은 유아와 교사 모두의 상상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유아의 상상뿐만 아니라 교사의 상상도 함께 펼쳐지기 위해서 교사는 유아의 상상놀이의 상황과 맥락에 따라 적절한 질문하기, 새롭고 흥미로운 소재 제공하기, 직접 참여하기 등 다양한 언어적․비언어적 방법으로 상호작용을 해야 하며, 유아의 상상을 받아들이기 이전에 교사 스스로 자유롭게 상상해보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와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성 분석 -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조예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지능(AI) 기술의 발달로 우리 사회는 문화, 경제, 교육 등 다방면에서 매우 빠른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인공지능이 추천해주는 영화를 보고, 인공지능을 통해 고객들의 데이터를 분석해 신제품을 개발하며,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작문, 작화 수업을 하기도 한다. 인공지능을 통해 이러한 일들을 가능하게 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데이터가 담당하고 있다. 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데이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초등학생 수준에 맞는 인공지능 데이터 교육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을 위하여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 수업을 개발하고 데이터 리터러시와 융합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 수업은 분석, 설계, 구현, 개발, 평가 총 5단계를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는 학습자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고, 데이터 리터러시를 기르는 데 적합한 교과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 수준에 적절한 데이터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와 융합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활동들을 구성할 수 있는 교과 성취기준들을 선정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수업의 전체 목표 및 세부 목표 그리고 주제를 정한 후, 수업의 차시별 학습 주제와 학습 활동을 구성하고 내용을 구조화시켜 총 18차시로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각 차시별 수업 내용을 구체화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동영상, 포스터, 활동지, PPT 등 각 수업에 필요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구현 단계에서는 초등학교 중학년에 해당하는 4학년 한 개 학급을 대상으로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개발한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 수업을 하였다. 데이터 리터러시와 융합적 문제해결력의 향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프로젝트 수업의 적용 전과 후로 사전 및 사후 평가를 실시하고, 만족도 설문조사와 소감 나누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 수업은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들의 데이터 리터러시와 융합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인공지능과 데이터 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역시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데이터 리터러시의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한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 수업을 토대로, 인공지능과 데이터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거나 개발하여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한다면 데이터 리터러시와 융합적 문제해결력 등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AI 인재로서 갖춰야 할 필수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our society is experiencing changes in various fields such as culture, economy, and education. We watch movies recommended by AI, develop new products by analyzing customer data through AI, and even use AI to teach writing and drawing. And data plays a pivotal role in enabling these thing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s the importance of data is emphasized, the need for education on this subject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education suitable for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ly, in this study,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project classes were developed for middle-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mprove data literacy and their effectiveness was verifie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project classes were developed in a total of five stages: analysis, design, implementa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In the analysis stage, we analyzed the students' situation and requirements and analyzed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 select suitable curriculum content for cultivating data literacy components. In addition, data literacy components suitable for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subjects and achievement standards that can be composed of educational programs were selected. In the design stage, the theme, overall goals, and detailed goals of the project class were set, and the learning topics for each class and activities accordingly were organized. We then structured the class content into a total of 18 sessions. In the development stag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necessary for each class, such as a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that embodies the contents of each class, videos, posters, activity papers, and presenta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Next,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project class developed to improve data literacy was applied to one class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Finally, a pre-evaluation and post-evaluation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ject class, and satisfaction surveys and sharing takeaway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digital literacy and convergent problem-solving skills. It was confirmed that this educational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data literacy and creative and convergent problem-solving skills of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ata education also changed positively. Based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project class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ata will help to develop essential capabilities as AI talents that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 서울시 특화거리 보도블록디자인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조예진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를 형성하는 가로경관의 구성요소가 지역의 특색에 맞게 조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로경관의 구성요소가 잘 조화를 이루어 거리와 경관을 만들고 그것이 결국 그 지역과 도시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로경관을 조성하기 위해 도시의 물리적요소와 인지적요소가 어우러져 바람직한 경관을 연출해야 한다. 가로경관의 구성요소 중 물리적 요소에 해당하는 보도는 우리가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요소이며 보행자나 시설물들을 수용할 수 있는 바닥면으로 방향성을 제시하기도 하고 주변 환경의 특성을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전달하기도 한다. 서울시는 2007년부터 ‘디자인 서울’이라는 슬로건으로 누구나 다시 찾고 싶은 관광 도시를 만들기 위해 많은 가로시설물들과 가로경관을 디자인하는데 최선을 다해왔다. 이로 인해 많은 거리의 새로운 문화가 공존하는 거리로 거듭나고 있지만 보도블록디자인에 있어서는 그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디자인이 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특화거리 보도블록디자인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서울시를 대표하는 특화거리 중 쇼핑과 외식,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거리로써 외국인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특화거리 4곳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미국 경제잡지 ‘포브스’와 뉴욕 여행전문지 ‘트래블 앤 레저’가 선정한 세계 10대 관광 도시 중 쇼핑과 외식, 다양한 문화와 예술로 서울시 특화거리와 같은 컨셉의 국외 대도시 3곳을 선정하여 보도블록디자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특화거리의 경관이미지 분석과 보도블록디자인의 시각적 분석을 통하여 나온 분석내용을 형용사 분석틀에 대입시키고 경관이미지와 보도블록디자인 이미지가 잘 조화를 이루는지 알아보았다. 경관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가로경관의 구성요소인 건축물과 가로시설물, 경관색채를 통해서 분석하고, 보도블록디자인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형태, 질감, 색채의 시각적요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시 특화거리 보도블록디자인은 국외 대도시 특화거리 보도블록디자인에 비해 다양한 형태와 질감, 그리고 색채를 통해 거리의 통일감이 결여되 있으며 이로 인해 가로경관과 보도블록디자인이 잘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또한 노후 된 보도블록디자인이 경관이미지를 저해 하고 있으며 새로 정비된 보도블록디자인 역시 대부분 같은 형태, 질감, 색채 등의 디자인으로 차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블록디자인은 경관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형태, 질감, 색채의 시각적요소가 하나의 거리 안에 잘 배치되어야 하며 노후 된 보도블록디자인은 새롭게 정비를 하되 거리마다 차별성을 주어 쾌적하고 즐거운 거리를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 신흥기술 리스크규제에 관한 연구 : AI/ML SaMD, 공공 클라우드, 첨단재생의료를 중심으로

        조예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신흥기술은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거나 기존 산업 및 사회 영역 전반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는 혁신적 기술이다. 과거에는 새로운 기술이 리스크에 대한 해결책을 만들어주는 방향으로 발전하였으나 현대에는 신흥기술이 새로운 리스크 상황을 만들어내거나 위해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리스크는 신흥기술에 대해 논의할 때에 중요하게 다뤄지는 주제이다. 지금까지 리스크를 관리하는 규제 접근방식으로 가장 빈번하게 논의된 것은 사전주의 원칙이었다. 사전주의 원칙은 리스크에 대한 과학적 증거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해당 리스크가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면 정부가 선제적으로 규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불확실성이 높은 신흥기술에 대해 사전주의 원칙을 적용할 수 있는지는 단언하기 어렵다. 혁신적 과학기술의 연구개발을 제한하는 것은 리스크뿐만 아니라 현재 기술로는 해결할 수 없는 고충을 해결할 가능성과 미래 세대의 편익까지도 가로막는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대통령 직속 생명윤리연구위원회(PCSBI)는 2010년 J. Craig Venter가 세계 최초의 합성생명체 창조라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하자 신흥기술에 적합한 새로운 규제 접근방식으로써 신중한 경계 접근(prudent vigilance approach)을 제안하였다. 신중한 경계 접근은 과학적 불확실성을 이유로 기술의 연구개발을 유보하기보다는 이를 허용하되 잠재적 혜택과 리스크를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신중하게 경계하는 규제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불확실한 리스크가 있는 연구개발을 금지해야 한다는 사전주의 원칙이 신흥기술에 반드시 적합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규제과학에 따르면, 신흥기술로 발생가능한 리스크의 증거를 모두 입증할 만큼 과학적 인과관계가 명확히 밝혀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신흥기술의 규제 접근방식으로 신중한 경계가 적합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제기한다. 그리고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신중한 경계를 구현하는 규제 접근방식으로서 신흥기술 리스크규제 원칙을 제시하고, 신흥기술 규제의 사례분석을 통해 실제 정책에서 신중한 경계 접근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신흥기술 리스크규제의 근거로서 기능하는 규제과학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과학기술학(STS) 관점과 정책학 관점에서의 규제과학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신흥기술 리스크규제의 접근방식으로 사전주의 원칙과 신중한 경계 접근에 대한 문헌검토를 토대로 고찰하였다. 또한 리스크규제 모델로 IRGC의 리스크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국제표준인 ISO 14971과 ISO/IEC 27001, 신흥기술에 대한 전향적인 규제사례인 FDA의 Pre-cert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신중한 경계 접근에 입각한 신흥기술 리스크규제 원칙으로서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 적용, 리스크 유형별 규제 세분화, 규제 거버넌스 구축, 맞춤형 규제 설계, 투명성 강조를 제안하였다. 특히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는 심층 분석을 위해 리스크 분석, 리스크 평가, 리스크 통제, 리스크 모니터링으로 별도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분석틀인 신흥기술 리스크규제 원칙을 실제 리스크규제 사례인 미국의 AI/ML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aMD) 규제, 미국의 공공분야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 규제인 FedRAMP, 우리나라의 첨단재생의료 규제인 첨단재생바이오법에 대입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 신중한 경계 접근방식이 신흥기술 규제에 일부 적용되고 있으므로 향후 정책 도입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신흥기술 규제에 신중한 경계 접근방식이 도입되기 위해서는 정책 기획 단계에서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 수립이 우선순위로 고려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리스크를 분석할 때에는 리스크의 물리적 특성에 기반한 과학적 증거뿐만 아니라 리스크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과 우려, 사회경제적 영향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흥기술이 가져올 리스크와 편익을 정확히 계상할 수 없다면 범주화를 통해 규제 방식을 정밀화할 수 있도록, 리스크 평가 결과에 따라 리스크 유형별로 규제 대상을 분류하고 각각의 리스크 수준에 적합한 맞춤형 규제가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신흥기술 중에서 IT와 바이오헬스, 이들 간의 융합 분야를 대상으로 미국과 한국의 규제에 한정하여 사례분석을 수행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연구에서 제안한 신중한 경계 접근방식이 모든 신흥기술 분야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확대하여 해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신흥기술의 혁신을 이끌어내기 위해 새로운 규제 접근방식이 필요한 시점에서 신흥기술의 리스크규제에 신중한 경계 접근방식의 적용을 시도하고 정책 도입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도수림프배출법과 탄력밴드운동의 유방절제 환자 상지부종 치료효과

        조예진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유방암으로 인하여 유방절제술을 시행한 후 발생한 상지부종 환자에게 도수림프배출법(Manual Lymph Drainage: MLD)치료와 탄력밴드(Thera-band)운동 치료를 시행하여 부종 감소 및 통증의 감소효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지부종 치료와 통증 감소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의 고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 하였다. 방법 : 유방절제 환자 20명을 선별하여 무작위로 실험군인 도수림프배출법(MLD) 치료군 10명, 대조군인 탄력밴드운동 치료군 10명을 각각 배정하였으며, 두 치료 군을 주 1회, 한 시간씩 10주간 치료하였다. 상지 5개 부위의 부종 둘레, 상지부종 자각증상, 시각적 상사 척도를 치료 전과 치료 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자료 처리 및 분석은 SPSS Ver.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 상지부종이 있는 유방절제 환자에게 도수림프배출법 치료 및 탄력밴드 운동치료는 상지 5개 부위 모두 부종 감소 효과가 있었으며, 상지부종 자각증상 및 시각적 상사 척도 모두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도수림프배출법 치료가 탄력밴드 운동치료보다 치료효과가 더 좋았으며, 10주 동안 상지 5개 부위 중 상완부위에서 가장 큰 효과가 있었다. 결론 : 도수림프배출법 치료가 밴드운동 치료보다 유방절제 수술환자의 부종 감소 및 통증 조절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인 치료법이라 할 수 있다.

      • COVID-19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두려움, 피로도,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조예진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OVID-19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두려움, 피로도,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신종 감염병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향상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개의 상급종합병원, 1개의 종합병원에서 COVID-19 환자 간호를 시행한 143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자료는 2021년 8월 8일부터 2021년 9월 4일까지 설문조사 또는 인터넷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두려움은 평균 16.27±5.68점(도구범위 7-35점), 항목평균 3.26±0.80점(척도 범위 1-5점), 피로도는 평균 131.08±25.39점(도구 범위 39-195점), 항목평균 3.36±0.65점(척도 범위 1-5점), 회복탄력성은 평균 108.09±13.18점(도구 범위 30-150점), 항목평균 3.60±0.43점(척도 범위 1-5점), 사회적 지지는 평균 98.64±13.51점(도구범위 25-125점), 항목평균 3.94±0.54점(척도 범위 1-5점)이었다. 2. 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 중 공감만족은 평균 31.82±5.45(도구범위 10-50점), 항목평균 3.18±0.54점(척도 범위 1-5점), 소진은 평균 28.86±4.74(도구 범위 10-50점), 항목평균 2.88±0.47점(척도 범위 1-5점),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27.41±5.30(도구 범위 10-50점), 항목평균은 2.74±0.53점(척도 범위 1-5점)이었다. Stamm(2009)의 분류 기준에 따라 점수의 총합이 22점 이하는 낮은 수준의 집단, 23-41점은 보통인 수준의 집단, 42점 이상은 높은 수준의 집단으로 전문직 삶의 질을 영역별로 비교한 결과 공감만족 상위 집단은 6명(4.2%), 중위 집단은 130명(90.9%), 하위 집단은 7명(4.9%), 소진은 중위집단이 133명(93.0%), 하위 집단은 10명(7.0%),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상위 집단은 1명(0.7%), 중위 집단은 119명(83.2%), 하위 집단은 23명(16.1%)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두려움은 성별(t=2.01, p=.046), 총 임상경력(F=3.85, p=.024), COVID-19환자 간호 기간(F=4.85, p=.009), 동거형태(t=-2.38,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피로도는 나이(F=4.59, p=.012), 성별(t=3.42, p=<.001), 결혼상태(t=2.83, p=.005), 총 임상경력(F=5.55, p=.005), COVID-19 환자 간호 기간(F=12.71, p=<.001), 동거형태(t=-4.11, p=<.001), COVID-19로 자가격리를 경험한 경우(t=2.13, p=.03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나이(F=4.07, p=.019), 결혼상태(t=3.13, p=.002), 총 임상경력(F= 3.61, p=.03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성별(t=2.17, p=.03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만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소진은 COVID-19 환자 간호 기간(F=6.34,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COVID-19 환자 간호 기간(F=6.33,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 중 공감만족은 회복탄력성(r=.563, p<.001), 사회적 지지(r=.421,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 피로도(r=-.169, p=.043)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소진은 회복탄력성(r=-.460, p<.001), 사회적 지지(r=-.287, p<.001)와는 음의 상관관계, 두려움(r=.301, p<.001), 피로도(r=.467,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두려움(r=.483, p<.001), 피로도(r=.461,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 중에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β=.511, p<.001), 피로도(β=-.203, p=.003)였고 설명력은 35.0%로 나타났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β=-.503, p<.001), 피로도(β=.421, p<.001)였고 설명력은 45.2%로 나타났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두려움(β=.346, p<.001), 피로도(β=.291, p<.001)였고 설명력은 30.7%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공감만족과 소진의 유의한 영향요인, 피로도는 공감만족, 소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두려움은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COVID-19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두려움, 피로도를 낮추고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침 보완이 필요하다.

      • 지아장커 영화의 주변화된 인물 연구

        조예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아장커 감독은 지난 20년간 자신만의 독특한 언어를 통해 변화하고 있 는 시대에서 살아가는 일반인들과 특히 그 중 사회적으로 소외되는 소인물들 이 직면한 생활 상태와 변화 그리고 사회 내면에 숨겨진 모순 등에 대해 진실 하게 기록하고자 노력해왔다. 그의 다양한 작품들은 그런 면에서 상당한 동질 성을 보이고 있으며, 의도적으로 표현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감정을 토로하고 있다. 이러한 동질성은 지아장커 감독의 영화 스타일을 대표하고 있으며, 현대 다뮤멘터리식 영화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아장커 감독의 대표적인 작품들로 꼽히는 <세계>, <스틸라 이프>, <천주정>, <소무>, <임소요> 등의 작품들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등 장인물들에 대한 연출법과 그 캐릭터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하 였다. 이를 통해 지아장커 감독은 현실에 가까운 다큐멘터리적 연출 외에도 감독이 관심을 가지고, 관객들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대상이 사회적 하층민으 로분류되는계층이라는것을알수있다.34) 이에따라감독의영화소재는 다소 한정적이며, 일부 정교하지 않아 보이는 그의 작품 속 여러 장면들과 사 실적으로 그려 낸 캐릭터들에 대한 연출은 거대하고, 깊은 감정을 이끌어내고, 관객들로 하여금 충분한 사색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특성은 현시대의 중국 영화를 대표하고 있으며, 중국 영화 계보의 맥을 이어가고 있 다. 그 만의 연출법을 통한 작품들을 통해 지아장커 감독은 이미 중국을 대표하는 6세대 감독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제 사회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쳐, 중 국의 영화 산업이 세계로 뻗어나가는데 중요한 매개체로써의 역할을 하였다. 지아장커 감독의 영화는 향토적인 공간과 사실적인 사회 공간 그리고 다 양한 미학적 특징을 명확하게 보여주면서, 전형적인 중국의 민족문화를 담고 있다. 이에 따라 관객들로 하여금 공간, 지각, 감정 등에 대한 간접적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섬세하고, 애잔한 감정을 느끼게 만든다. 이러한 감정을 기반으 로 감독은 사회적으로 소외된 소인물을 포용하고자 하는 배려를 보여주고 있 었다. 또한 영화 속 공간들은 미학적인 내면을 통해 급변하는 사회가 인류에 게 주는 아픔을 직시하고자 하고, 생존에 대한 의미와 인류가 나아가야 할 앞 으로의 미래 방향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감 독은 작품을 통해 중국이 가진 오래된 향토문화에 뿌리를 두고, 현시대의 중 국 사회에서 당대 중국인들이 갖는 보편적 가치를 찾으려 노력함으로써, 그의 작품은 다양한 문화와 인문적 연구에 있어 그 상당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