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조선왕릉의 식생관리기준에 관한 연구 : 동구릉, 광릉, 서오릉을 중심으로

        조아영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are cultural assets representing Korea's history and cultures. They are constructed in a good place from the standpoint of geomantic studies which make much of the places near to streams and against the background of mountains. The green tracts of land and woodlands in and outside the tombs have served as an important ecosystem since their construction. However, their scenery has been changed and damaged a lot due to the many winds and frosts or vicissitudes they have undergone over the past 500 years. Moreover, there are conflicting issues because most of the royal tombs need to provide citizens with historic education materials and resting spaces since they stand surrounded by forests while their tomb areas need to be preserved as they originally were. In order to satisfy these two conflicting needs or the tombs' utilization and preservation, it is urgent to prepare criteria for planting and managing the tomb spaces after investigations are made into historic facts attested in ancient documents describing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tomb sites, their vegetation and afforestation. To do tha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ancient documents about the ecological environments and vegetation of Donggureung, Gwangneung, and Seooreung and analyze the management issues of the royal tombs, with a view to present criteria for managing the vegetation of royal mausoleums constr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are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s of the tombs and to the efficient maintenance of them. The following ar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pine trees are a representative tree species on the tomb sites. So, pine trees on the sites need be protected as long as possible and schemes prepared to expand the pine tree forest. Second, pine trees need be actively cultivated, broad-leaved trees and other trees which interfere with the growth of pine trees removed, and such imported trees as acacia trees and merchantable pitch pine trees thinned out. Furthermore, such naturalized plants as Ambrosia trifid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should be taken out as soon as they are found since they will damage the ecosystem of woods and visitors to the woods. Third, the original vegetation and scenery of the grave mound or low fences around the grave and other adjacent parts to the tomb need be reproduced or maintained as far as possible. Especially, the vegetation around the tomb should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means of preserving pine trees and removing broad-leaved trees and, instead, planting cucumber trees and other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30m or longer land tracts of pine trees around tomb spaces and 200m or higher historic scenery trees outside the tomb in order to succeed to the tomb scenery. Fourth, traditional native plants should stand mainly on admission passages to the tomb, but concessions may be made depending upon the features of the tomb sites. Fifth, basically, natural vegetation should stand outside of the tomb.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renovate the vegetation every 5-10 years after scientific investigations are made into the diameter measurement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rees. Sixth,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the vegetation, it is essential to clearly define the importance and scope of the management of tomb spaces after they are classified into the absolute preservation space (red wood gate - tomb itself), the limited utilization space (outer spaces of state-owned tombs), the open utilization space, and the hill fire prevention space. Lastly, planned patrols should be implemented in a regular manner in order to prevent forest damages from winds, blight and harmful insects, disasters, etc. As a rule, trees should be cleared from the neighborhood of human habitation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nd quickly extinguishing fires. 조선왕릉은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재로서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지형을 갖춘 풍수적 길지에 조영되었으며 그 내부 및 주변의 녹지와 산림은 조성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요 생태계로 작용하여 왔다. 그러나 약 500여년의 세월동안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 그로 인한 경관의 훼손이 심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조선왕릉은 주변의 산림과 연계되어 있어 시민들의 역사교육 및 휴식공간의 기능을 제공해야 하며, 동시에 능역공간을 원형대로 보존해야 하는 상충된 문제를 안고 있다. 이와 같은 이용과 보존이라는 두 가지의 개념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능역 조성부터 그 이후의 식생 및 조림, 능역 관리 사실에 관한 문헌고증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한 능역 공간내의 식재 및 관리 기준마련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광릉, 동구릉, 서오릉의 생태환경 및 식생현황, 왕릉 관리의 사례분석 및 문헌고증을 통해 조선왕릉의 공간적 특성에 맞는 식생관리기준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하기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여기에서 도출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나무림은 능역 사적지의 대표적 수종으로 능역 내 소나무는 가급적 보호하고 소나무림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둘째, 소나무를 적극적으로 무육하며 소나무와 경쟁하는 활엽수 및 피압목은 제거하고 아카시아나무, 리기다소나무 등의 도입종은 간벌을 통한 관리를 한다. 또한 외래귀화식물(단풍잎돼지풀 및 돼지풀)등은 숲생태계와 관람객에게 피해를 주는 식물이므로 발견 즉시 제거하여야 한다. 셋째, 봉분이나 곡장 주변처럼 능침과 바로 인접한 부분은 가능하면 원래의 식생경관을 재현하거나 유지시켜야 할 것이며, 따라서 능침 주변만이라도 과거의 식생 경관이었던 소나무림을 보존하고 일부 지역은 활엽수를 제거하여 소나무나 잣나무 등의 수목을 보식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때 능침공간 주변의 소나무림대 폭은 30m 이상, 능침 외연부는 능역경관의 천이를 유도해서 200m 이상을 역사경관림으로서 유지 될 수 있도록 관리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능 진입로 및 시설물지역 식생은 전통자생식물을 주종으로 하되 부지의 성격에 따라 유연성 있게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능역외연부 경관림은 자연식생을 기본으로 하되, 5-10년 주기로 매목조사를 통한 식생현황학술조사를 실시하여 산림갱신을 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능역은 절대보존구역(홍살문-능침), 제한활용구역(국가 소유의 능침 외곽공간), 개방활용구역, 산불예방구역으로 구분하여 공간별 관리의 중요도나 범위를 명확히 하는 것이 효율적 관리를 위한 대안이라고 사료된다. 일곱째, 풍해·병충해·재난 등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계획적인 정기적 예찰을 실시하여야 하며 방화림은 화소(火巢)의 기능을 고려하여 인가주변은 소방안전을 위해 수목 제거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

      • 해양레저스포츠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조아영 용인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efficacy(physical competence, physical attractiveness, physical confid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 growth, autonomy, purpose of life) of elderly women who participate in aquarobic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age, education level, period of exercise, frequency of exercise, exercise intensity), and to clarify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tudy was conducted on women over the age of 55 who participate in aquarobics programs at the teenage training centers, social welfare centers or sports centers within Incheon, Seoul, through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and the data collected from 517 women(below 65: 293, over 65: 224) was us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consisting of 5 items of background variables, 7 items of physical self-efficacy ㅡ 4 items of physical competence, 3 items of physical attractiveness and 3 items of physical confidence ㅡ and 4 items of psychological well-being ㅡ 2 items of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7 items of personal growth, 10 items of autonomy and 2 items of the purpose of life ㅡ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and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examined using SPSS version 15.0, t-test setting the significant level at 5%, one-way ANOVA, and then Scheffe post hoc test. Also,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variables as well as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below. Firstly,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physical self-efficacy(physical competence, physical attractiveness, physical confid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which include age, education level, period of exercise, exercise frequency and exercise intensit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competence regarding age and education as well as in physical attractiveness regarding age, education level and exercise intensity.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confidence with respect to age and education level. Secondly,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 growth, autonomy, purpose of life) according background variables, which include age, education level, period of exercise, exercise frequency and exercise intensit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garding age, education level, period of exercise and intensity of exercise(app. 5%), and also in personal growth respectively regarding period of exercise, exercise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ercise.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autonomy with respect to age and period of exercise as well as in the purpose of life regarding age, education level, period of exercise and exercise frequency. Thirdly, the result of analysis which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elderly women's participation in aquarobics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influential relationship in par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garding physical confidence, in personal growth regarding physical competence and physical confidence, and in purpose of life regarding physical attractiveness and physical confidence. Thus, physical self-efficacy was likely to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indicates that the individual quality of life can be enhanced by psychological stability as recognized individual's ability relating to physical tasks increases through ocean leisure sports. 본 연구는 해양레저스포츠 참여자들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종목, 이용정도, 투자시간)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과 심리적 안녕감(삶의목적, 자아수용,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지배, 개인성장)이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1년 1월 15일부터 3월 18일까지 현재,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한 해양 레저스포츠 종목에 참여하고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으로 유층집락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표본 추출 후 총 150명으로부터 회수된 자료가 연구 목적에 따라 통계 처리 되었다. 검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배경변인 5문항, 신체적 자기효능감 하위영역인 인지된 신체능력 7문항,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4문항 총 11문항,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에서 자아수용 3문항, 대인관계 3문항, 환경 지배력 4문항, 자율성 2문항, 개인적 성장 7문항, 삶의목적 10문항으로 총 29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배포, 회수한 후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5%로 하고 t-test(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으로 차이 검증 후 Scheffe의 사후검증을 통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분석하여 배경변인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 관하여 결론을 얻었다. 검사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인 성별, 연령, 참여종목, 이용정도, 참가시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의 차이분석에서는 성별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연령(5%수준)이 인지된 신체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 외 종목, 이용정도, 투자시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배경변인인 성별, 연령, 참여종목, 이용정도, 참가시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삶의목적, 자아수용,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지배, 개인성장)의 차이분석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해양레저스포츠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서로 간에 부분적으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삶의 목적에서는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아수용과 자율성에서도 신체적 유능감과 신체적 자신감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삶의목적, 개인성장에서도 신체적 매력감과 신체적 자신감이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해양레저스포츠를 통하여 신체적 과제와 관련된 개인의 지각된 능력수준이 높아질수록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개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교 오케스트라의 사회적 관계 연구

        조아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Adolescence is a critical time in life that forms one’s ego identity with the existential question, “Who am I?” It is a challenge for the society, country and humanity to help adolescents grow into proper adults by making them form proper ego identity. Ego identity is formed by social relations with others in a society to which an individual belongs, and social relations experienced in adolescence establish a foothold for adolescents to become amicable members of the society as adults and have a crucial impact on their social growth. Orchestra is what represents ‘social relations’ in music activities. An orchestra is a large ensemble in which players of different instruments create a harmony of sound under the direction of the conductor. The orchestra fundamentally has a social character because members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create a harmony, striving to achieve a common musical goal. In particular, a school orchestra that has the features of a club in the school settings has a great social significance, as students undergo the process of sharing experiences and goals and striving for common musical accomplishments. The social significance gained by students through such school orchestra activities fundamentally originates from the social relations among the members. Thus,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is with focus on social relations among students within the orchestra. Accordingly, this study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lations in a high school orchestra and examines the context and meaning thereof. To analyze social relations among members of the high school orchestra, this study is conducted based on the theoretical grounds of the four fundamental forms of social relations of humans in the relational models theory by Fiske(1991): communal sharing, authority ranking, equality matching, and market pricing. Communal sharing in the relational models theory refers to relationship based on the sense of belonging as a community, and authority ranking indicates relationship according to rank, authority or order. Equality matching refers to equal relationship based on reciprocity, and market pricing indicates relationship according to efficiency and interests. In su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atures of aspects in which social relations appear among students that are members of a high school orchestra based on the relational models theory, focusing on the context of in-depth interviews.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fundamental essenc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social relations among members of the high school orchestra. To contextually analyze the features of aspects in which social relations appear among students that are members of a high school orchestra based on the relational models theory, this study established a framework of early theories based on the relational models theory and formed a questionnaire accordingly. Then, the questionnaire was finalized after validation by experts and revisions, and the finaliz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nduct interviews, which consisted of individual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through focus groups. Before the interviews, the participants listened to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and use of collected data, and submitted their consent to participate. The participants were 17 students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mong those who belong to the school orchestras of 7 selected high schools that meet all the selection criteria based on the 2017 Casebook of Orchestra Activities. After the interviews,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which is an inductive method of data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and key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at aspects are shown in the relationship based on community spirit? Members of a high school orchestra had collective identity in which they identify their own identities with the orchestra. Moreover, they tended to share an emotional bond among themselves beyond musical collaboration, and as a result could exchange help in terms of both musical and emotional aspects. Furthermore, they tended to consider themselves similar to one another and thus like a family, based on which they form solidarity. This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s is due to their sharing of purposes, experiences, musical language and key interests, and ‘sharing’ is a unique environment that characterizes high school orchestras. Second, what is the standard for the formation of social class within a high school orchestra? There was a class formed within the orchestra depending on the duty or position. There were positions like bandmaster, concert master and principal in the high school orchestras, which were ranked in the order of bandmaster, concert master and principal. The existence of such social class in the high school orchestra enables members to collaborate and maintain the order. Moreover, there was also a class formed according to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in the orchestra aside from the positions. Third, how does equal relationship based on reciprocal exchange appear? High school orchestras showed a phenomenon of reciprocal exchange in which students tended to provide help to their juniors just as they received help from their seniors. High school orchestras tended to establish and maintain the relationship of equality matching by making equal efforts in achieving the common goal of ‘music performance.’ Through this relationship of equality matching, students in a high school orchestra could strengthen their solidarity with the identity as equal members of the group. Fourth, what are the utilitarian values given to orchestra activities by students in a high school orchestra? The utilitarian values obtained by the students from orchestra activities in the social aspect were increased sociality, motivation for life, and close friendship. Members of a high school orchestra could improve their sociality in the process of making efforts to build a harmony in the musical and relational aspects. Moreover, the high school orchestra can be a driving force for adolescents to have a passion for life and pursue new dreams by providing them with the experience of warm human relations and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music performance. Furthermore, students can develop close friendship based on the community spirit formed among the members of the orchestra. The students laid stress on close friendship as a utilitarian value obtained from the orchestra,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 in a high school orchestra. Fifth, what is the context and meaning of social relations in a high school orchestra? It was found that members of the high school orchestras laid more stress in the ‘community’ value than ‘individual’ value while participating in the orchestra. Moreover, comparing the four forms of social relations found in the students, community spirit and reciprocal exchange turned out to be relatively more emphasized than social class and utilitarian valu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ocial relations in a high school orchestra tended to have consistency toward fundamentally achieving the common purpose shared by the members. In other words, the key issue of social relations in a high school orchestra is how well the members achieve ‘integration’ to achieve their common goal. In this sense, the most important keywords that characterize the social relations in a high school orchestra are ‘sharing’ and ‘integr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examining the fundamental essenc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social relations among members of a high school orchestra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lations among them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with focus on the context. Follow-up studies must analyze the context and process of school orchestras within the social relations of members beyond merely determining the consequential educational effects of school orchestras. 청소년기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의문을 가지고 자아정체성이 형성되는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며, 청소년이 올바른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도록 하여 올바른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은 사회, 국가, 인류의 과제이다. 자아정체성의 형성은 개인이 속한 사회에서의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에 의해 형성되며,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사회적 관계는 그들이 이후 성인으로서 사회의 원만한 구성원이 되기 위한 발판이자 사회적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음악 활동에서 ‘사회적 관계’를 대표하는 것은 오케스트라라고 할 수 있다. 오케스트라는 서로 다른 악기 연주자들이 지휘자의 지휘에 맞추어 음의 조화를 이루어내는 대규모 조직이다. 오케스트라의 성격은 본질적으로 많은 다른 성격의 단원들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화음을 이루어 공동의 음악적 목표를 위해 노력하므로 사회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 특히 학교 교육 현장에서 동아리 성격을 띄는 학교 오케스트라는 학생 단원들이 경험과 목표를 공유하며 공동의 음악적 성과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학교 오케스트라가 가지는 사회적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들은 근본적으로는 구성원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오케스트라 학생들이 오케스트라 내에서 가지는 사회적 관계에 집중하여 면밀하게 고찰할 필요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 사회적 관계 양상의 특징을 밝히고,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 사회적 관계 양상의 맥락과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구성원들의 사회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Fiske(1991)가 관계모델이론(Relational Models Theory)에서 인간의 사회적 관계의 기본적인 네 가지 형식으로 제시하는 공동의 공유(Communal Sharing), 권위적 서열(Authority Ranking), 평등한 대응(Equality Matching), 시장 가격(Market Pricing)을 이론적 토대로 하였다. 관계모델이론(Relational Models Theory)에서의 공동의 공유(Communal Sharing)는 공동체로서의 집단 소속감에 기반을 두는 관계를 의미하며, 권위적 서열(Authority Ranking)은 계급이나 지위, 명령에 따른 관계이다. 또한 평등한 대응(Equality Matching)은 호혜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평등한 관계를, 시장 가격(Market Pricing)은 효율성과 이익에 따른 관계를 의미한다. 요컨대,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단원 학생들 간의 사회적 관계가 나타나는 양상의 특징을 관계모델이론(Relational Models Theory)을 근거로 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맥락을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단원 학생들 간 사회적 관계의 근본적인 본질, 특성 및 유의미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단원 학생들 간의 사회적 관계가 나타나는 양상의 특징을 관계모델이론(Relational Models Theory)을 근거로 하여 맥락을 중심으로 분석하기 위해 관계모델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초기 이론틀을 수립한 후, 이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이후, 질문지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를 거쳐 수정을 통해 최종 확정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은 개인 면담과 포커스 그룹을 통한 집단 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을 시작하기 전, 먼저 연구참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수집된 자료의 활용 등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연구참여자 선정은 2017년 오케스트라 활동 사례집을 기초로 하여 선정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7개의 고등학교를 선별하였고, 선별된 고등학교 오케스트라에 소속되어 활동하는 학생들 중 목적 표집을 통한 17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면담 후, 귀납적으로 자료를 분석하는 방식인 내용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와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의식에 기반을 두는 관계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구성원들은 자신의 정체감을 오케스트라 집단과 동일시하는 집단정체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하는 과정에서 단지 음악적인 협력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정서적으로 연대감을 이루고자 하고, 그 결과 서로 음악적, 정서적인 측면에서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단원 학생들은 유사하다고 느낌으로서 서로 가족과 같이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결속력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학생들 사이에 이러한 관계가 나타나는 것은 그들이 서로 목적, 경험, 음악적 언어, 주요 관심사 등을 공유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공유’는 고등학교 오케스트라를 특징짓는 독특한 환경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에서 사회적 계층이 형성되는 기준은 무엇인가? 고등학교 오케스트라에는 직책에 의한 계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의 직책으로 악대장, 악장, 파트장과 같은 직책들이 있으며, 이 직책들은 악대장, 악장, 파트장 순서의 서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의 사회적 계층은 오케스트라 단원 간의 협업과 질서유지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고등학교 오케스트라에는 직책 이외에 참여도에 의한 계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혜적 교환을 기반으로 하는 평등한 관계는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가? 고등학교 오케스트라에는 선배에게 받았던 도움을 그대로 후배에게 베풀고자 하는 호혜적 교환 현상이 나타났다. 즉,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집단에서는 음악 연주라는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대등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통해 평등한 대응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고자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평등한 대응 관계를 통해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집단 내의 구성원들은 집단 내의 동등한 동료로서의 정체성을 가짐으로써 결속력을 공고히 할 수 있다. 넷째,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학생들이 오케스트라 활동에 부여하는 효용적 가치는 무엇인가?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단원 학생들이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얻는 사회적 측면에서의 효용적 가치는 사회성 향상, 삶에 대한 동기부여, 깊이 있는 교우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구성원들은 음악적, 관계적 측면에서 서로 조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등학교 오케스트라는 단원 학생들에게 따뜻한 인간관계의 경험을 제공하고, 음악 연주를 통한 성취감을 가지게 함으로서 청소년들이 삶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새로운 꿈을 모색하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나아가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단원 학생들 사이에 형성된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깊이 있는 우정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다.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단원 학생들은 오케스트라를 통한 효용적 가치로서 깊이있는 우정에 중요한 비중을 두었고, 이는 고등학교 오케스트라에서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 사회적 관계 양상의 맥락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단원 학생들이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개인적’인 가치보다는 ‘공동체’의 가치에 더 비중을 두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단원 학생들에게서 나타난 네 가지의 사회적 관계의 형식들을 서로 비교했을 때, 공동체 의식과 호혜적 교환이 사회적 계층, 효용적 가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부각이 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오케스트라의 사회적 관계 양상에서 드러나는 주요 특징들은 근본적으로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목적을 잘 달성하기 위한 방향을 향해 일관성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고등학교 오케스트라의 전체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통합’이 얼마나 잘 되느냐는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사회적 관계의 핵심 쟁점이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고등학교 오케스트라의 사회적 관계를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공유’, ‘통합’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단원 학생들 간의 사회적 관계가 나타나는 양상의 특징을 질적 연구를 통해 맥락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단원 학생들 간 사회적 관계의 근본적인 본질, 특성 및 유의미성을 고찰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후속 연구들 또한 학교 오케스트라의 결과적인 교육 효과를 밝히는 것을 넘어서, 그 효과가 나타나는 맥락과 과정을 구성원들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 : 제8기 1차년도(2019)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조아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보건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living alon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eigh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57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ho were 65 years of age or older. Data were analyzed by the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an IBM SPSS statistics 27.0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ousehold income(=.05, p=.003), perceived health status(=.40, p<.001), and daily activity limit(=.32,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F=10.66, p<.001) in elderly living alone explaining 44.5% of the variances(Adjusted R2=.418). Conclusion: Household incom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aily activity were related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living alone. Findings suggest that healthcare providers need to provide the program for enhancing perceived health stat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low income and the elderly with limitation of daily activities.

      • 초등학교 수영선수 성격유형(MBTI)과 경기력의 관계

        조아영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첫째, 성격유형을 통해 경기력의 관계를 확인하고 둘째, 이 자료를 기반으로 수영지도자에게 초등학교 수영선수들의 효율적인 훈련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청남도에 등록된 모든 초등학교 수영선수 중 본 연구의 설문을 동의한 5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김정택과 심혜숙(1990)에 의해 한국어판으로 표준화된 MBTI 검사지를 사용했다. 검사지는 MBTI Form M 자가채점방식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검사지는 9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기 자신의 영향을 나타내도록 짧은 내용으로 되어있다. 수집한 검사지와 설문지를 바탕으로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 자료 분석을 기초로 하여 설정한 연구 가설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수영선수의 성격유형(MBTI) 분포에서 ESTP 외향적 감각형이 가장 많았으며, ENTP 외향성 직관형, ESFP 외향적 감각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수영선수 수준별 성격유형(MBTI) 분포의 교차분석 결과에서 전 학년(1~6학년), 초등부(5~6학년), 유년부(1~4학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초등학교 수영선수의 MBTI 선호지표별 점수와 경기력 관련 변수인 자유형 100m 기록 및 지각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독립변인인 MBTI 선호지표별 점수와 종속 변인인 자유형 100m 기록, 지각된 경기력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결과를 살펴볼 때 수영지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초등학교 수영선수들의 효율적인 훈련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는 초등학교 수영선수의 성격유형(MBTI)과 경기력의 관계는 없으며, 초등학교 수영선수들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선천적인 성격유형보다 다른 심리적 요인과 기술 학습 요인 등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and secondly, based on this, to provide swimming instructors with basic data for efficient training and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swimmers. To achieve this goal, among all elementary school swimmers registered in Chungcheongnam-do, 50 people who consented to the survey in this study were targeted, and the MBTI test criteria prescribed in the Korean version by Kim Jeong-taek and Shim Hye-sook (1990) were used. The MBTI Form M self-replacing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93 questions, and was short to indicate one's own influence. Based on the collected test sheets and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d chi-square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5.0.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es established based on these studies and data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the distribution of personality types (MBTI) of elementary school swimmers, the ESTP extroverted sensing type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he ENTP extroverted intuitive type and the ESFP extroverted sensing type. Second, in the result of the cross-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personality types (MBTI) by level of elementary school swimm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grades (1st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5th to 6th grade), and childhood (1st to 4th grad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ores by MBTI preference index, performance-related variables, 100m freestyle record and elementary school swimmers' perform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MBTI preference index score and 100m freestyle record, and perceived performance there was. Finally, looking at these results, basic data for efficient training and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swimmers that can be provided to swimming instructors is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ype (MBTI) and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wimmers, In order to improve the other psychological factors and skill learning factors can be seen as having a more important influence than the innate personality type.

      • 한국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제도에 대한 실기과제분석 및 개선방안

        조아영 광주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사(일반) 종목 실기과제 변화에 따른 과제 분석과 현재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제공하는 출제기준과 공개도면의 제시만으로 이루어지는 실기검정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해당 종목에 관한 교수자와 학습자(수험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현행 미용사(일반) 실기과제에 대한 교육경험, 자격제도 관련, 자격시험 관련, 개선관련에 대한 인터뷰문항을 제시하고 답변을 얻었다. 교수자와 학습자(수험자) 선정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지역별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로 지정하였다. 분석 및 인터뷰를 통한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뷰를 통해 각 지역별, 교육기관마다 교수자의 교수방법이 다르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수자와 학습자(수험자)는 교수방법이 달라짐에 혼란이 일어났다.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검정에 관한 공개문제를 토대로 교수자의 교육방법에 ‘일치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국가기술자격제도를 관장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부터 작업형 과제에 대한 교수방법의 고지를 제시한다. 현재 미용사(일반) 기술교육을 전달하는 교수자들은 개인의 견해에 치우쳐 교육방법이 전달됨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부터 작업형 과제에 대한 교수방법을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작업형 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실기검정의 결과를 학습자(수험자)에게 간단하게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세분화된 채점결과를 표시한다. 검정의 결과를 종목별로 취약한 부분을 알고 교수자의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넷째, 교수자는 체계적이고 명확한 교육방법을 학습자(수험자)에게 전달한다. 그러므로 개인적 견해에서 나타나는 교육방법이 아니라 제시되어진 명확하고 체계적인 수준으로 교육과정으로 학습자(수험자)에게 제시한다. 따라서 한국 국가기술자격제도는 실기과제에 대한 지속적인 변화로 교육과정의 체계성과 자격증 취득의 효과성을 높여 내실 있는 국가기술자격증 제도가 정착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포스트 코로나(Post-Corona) 시대에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조아영 창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Pandemic) 이후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 그릿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은 G도 C시에 소재한 3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으로, 자료수집은 2022년 10월 11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되었다.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총 177명의 자료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학업스트레스는 3.37±0.82점(6점 만점), 자아탄력성은 3.86±0.41점(5점 만점), 그릿은 3.17±0.47점(5점 만점), 간호전문직관은 3.92±0.44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학업스트레스(r=-.17, p=.021)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탄력성(r=.53, p<.001), 그릿(r=.42, p<.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β=.404), 3학년(β=.206),졸업 후 병원 임상간호사를 희망하는 경우(β=.192)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37.2%이었다(F=9.01, p<.001, R2=.418, Adj. R2=.372).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Post-Corona) 시대는 체계적 교육과정에 의한 자아탄력성과 간호전문직관 습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의 정립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figure out the influences of academic stress, ego-resilience, and grit on the views on nursing profession of nursing students with experience in clinical training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pandemic. The subjects were nursing students in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City C, Gyengsangnam-do,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11 to October 17, 2022. Data from a total of 177 with unreliable answers excluded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use of IBM SPSS/WIN 21.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ademic stress of the subjects was 3.37±0.82(out of six), ego-resilience was 3.86±0.41(out of five), grit was 3.17±0.47(out of five), and views on nursing profession was 3.92±0.44(out of five). Nursing profession of the subjec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stress (r=-.17, p=.021) and pos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r=.53, p<.001) and grit (r=.42, p<.001).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ubjects’ views on nursing profession were ego-resilience(β=.404), junior(β=.206), and the case of intention to work for hospital as nursing practitioner after graduation(β=.192), The total explanation by the variables was 37.2%(F=9.01, p<.001, R2=.418, Adj. R2=.372). The above results show the necessity of ego-resilience and acquisition of nursing profession through systematic curriculum in the post-COVID-19 era, and the establishment of correct nursing profession will help nursing students to improve their nursing profession.

      • 향기가 소비자의 제품지각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 실용재와 쾌락재를 중심으로

        조아영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fragrance on consumer’ perception and memory toward products, depending on product type as moderator. Previous studies found that fragr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 cognition and memory of consumers. However some research claim that presence effect of fragrance is not consistent and the effect of fragrance is varied according to kind of fragrance. This study explored how the effect of fragrance type on attitude, loyalty, memory toward products is moderated by product type. For diversifying the fragrances, we conducted a pilot study that measured EEG during inhalation of fragrances to 20 undergraduate students and selected arousal/relaxation fragrances. Data in the present study were collected from 60 undergraduate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our experiment, diffusing ambient scent and measuring a survey. This study conducted a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using 3(arousal/relaxation/contral) × 2(utilitarian/hedonic) with a control variable of familiarity. Results indicated that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fragrance and product type was significant on memory of products. On the other hands,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on attitudes and loyalty toward products. Furthermore, presence of fragrance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loyalty and memory of products. Finally, w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본 연구는 향기가 소비자의 제품지각과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향기의 출현은 소비자의 정서와 인지 및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연구들은 향기의 출현효과가 항상 일관적이지 않으며 향기의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파 측정을 통해 향기의 종류를 나누어 향기종류와 제품유형이 제품태도와 충성도,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향기를 맡는 동안의 뇌파를 측정하는 예비실험을 실시하여 활성향과 안정향을 선정하고, 6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조건에 따라 주변향을 맡는 동안의 제품에 대한 태도와 충성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하고 실험 후 기억에 대한 설문을 하는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집단 간 변인인 향기종류(활성향/안정향/통제)와 품유형(실용재/쾌락재)이었다. 종속변인은 제품태도와 제품충성도, 제품기억이었으며 향기친숙도를 통제한 3(활성향/안정향/통제)×2(실용재/쾌락재)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향기유무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계획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향기유무에 따라 제품태도와 충성도, 기억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기가 없을 때(통제)보다 있을 때(활성향/안정향)의 참가자가 더 높은 제품태도, 충성도, 기억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제품태도와 충성도에 대해서는 향기종류와 제품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제품기억에 대해서는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 및 지도 방안

        조아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그래프 해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은 어떠한가? 2. 그래프 해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도 방안은 무엇인가? 먼저, 연구 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시 소재 D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그래프 해석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그래프 해석에 특징을 보이는 학생 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결과를 상세히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 2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계 및 그래프 지도와 관련된 문헌과 현행 교과서 및 지도서를 검토하고, 연구 문제 1의 결과를 종합하여 5차시 분량의 그래프 해석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지도 방안을 심층면담 대상과 동일한 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그래프 능력 향상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그것을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에 대응하는 값 찾기에 대한 검사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변수에 대응하는 값을 찾는 데에 큰 어려움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학생들이 그래프가 나타내는 단순한 정보 이해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조건을 만족시키는 곳 결정하기에 대한 검사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그래프의 내용과 제시된 문제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않은 채 문제를 해결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선, 그래프의 의미가 아닌 문제에 제시된 말에서 힌트를 얻어 답만 맞히는 경우이다. 또 문제에 제시된 조건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답을 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면담과정에서도 학생들은 왜 그런 답을 했냐는 질문에 ‘딱 눈에 보이니까’라는 대답을 하기도 했다. 이는 학생들이 그래프 관련 문제를 해결할 때에는 직관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래프가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와 문제에서 제시하는 조건들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변인 간 관계 진술하기에 대한 검사지 분석 결과, 학생들에게서 몇 가지 오류가 드러났다. 그 중 하나는 기울기의 의미에 대한 이해 부족이다. 학생들은 가로축과 세로축이 나타내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지 않은 채 그래프를 해석하여 결국 기울기를 잘못된 의미로 해석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음은 그래프를 그림으로 해석하는 오류이다. 그로 인해 수평선의 의미를 그래프의 기울기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길을 그려놓은 모양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 역시 엄밀히 말하면 기울기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 그래프에서 변화의 흐름을 읽지 못하는 오류가 나타났다. 그래프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려면 그래프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각각의 값들도 볼 수 있어야 하지만, 그래프의 특성상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변화의 흐름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각각의 값들만을 생각하여 변화를 보는 것을 놓치는 오류를 보였다. 마지막은 배경지식을 지나치게 활용하여 그래프 해석을 하는 경우이다. 배경지식의 활용은 그래프 해석을 좀 더 풍성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주객이 전도되어 그래프 자체의 내용보다 자신의 배경지식을 중심으로 그래프를 해석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넷째, 종속변수 간 관련짓기에 대한 검사지 분석 결과, 많은 학생들이 종속변수를 비교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변인 간 관계 파악을 명확하게 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그래프에 대한 이해력이 떨어져 문제에 따라 그래프 항목을 다르게 해석하는 오류를 보이기도 했고, 문제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파악할 수 있는 학생들도 이것을 서로 관련짓는 활동에서는 헤매는 모습을 보였으며, 그래프 해석에 자신의 생각을 개입시켜 사실이 아닌 자신의 생각을 토대로 답을 하는 학생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그래프 내삽법․외삽법에 대한 검사지 분석 결과, 그래프에 주어진 정보에서 규칙을 찾아 답을 추측하는 활동에는 학생들이 큰 어려움을 겪지 않지만, 타당한 이유를 통해 추측하는 데에는 약간의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래프 내용보다 자신의 배경지식 또는 경험에 중점을 두고 그래프를 해석하는 학생도 있었다. 또 자신에게 더 편리한 방법으로 문제에 제시된 정보들 속에서 규칙을 찾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여섯째, 그래프와 상황 연결하기에 대한 검사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서술된 정보에서 그래프가 갖추어야 하는 조건을 모두 찾아내는 데에 어려움을 보였다. 서술된 정보를 만족시키는 그래프를 선택하려면 그 정보 속에 주어진 모든 조건을 파악해야 하지만 학생들은 하나의 조건만 만족시키면 답이라고 간주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정보에서 찾아낸 그래프가 갖추어야 하는 조건을 제시된 두 그래프를 비교하는 기준으로 생각하는 학생도 있었다. 그리고 그래프와 실제 상황을 연결하는 활동이 자연스럽지 못했다. 이야기가 아닌 그래프의 값들을 나열하여 설명하는 경우, 이야기를 만들었다 하더라도 현실 세계와는 괴리가 있는 표현을 한 경우 등이다. 마지막으로 그래프에 담겨 있는 다양한 정보를 찾지 못하고, 문제에 제시된 단어나 그래프의 눈에 띄는 부분들에 치우친 해석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경직된 사고를 하는 학생들은 그래프가 담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 상황에서의 변수에 대응하는 값 찾기,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곳 결정하기, 변인 간 관계 진술하기, 종속변수 간 관련짓기, 그래프 내삽법․외삽법, 그래프와 상황 연결하기라는 그래프 해석 항목을 중심으로 지도 방안을 마련하여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학생들은 그래프를 해석할 때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게 되었으며, 그래프와 실생활을 관련지어 생각하면서 그래프의 실용성을 체득하게 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래프 해석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표본의 크기나 수업 적용 대상의 대표성 문제로 인해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힘들지만, 실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도한 결과로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도 방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