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조승희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change of the purpos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from understanding texts written in a foreign language to fluent communication with foreigners,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became embossed. Because a language includes vocabularies and phrases that imply cultural specialties and unique way of expressing in it,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foreigners perfectly due to the distortion of meaning if someone cannot realize the cultural gap. That is to say, if students learn the cultural background of a target language together with its simple linguistic knowledge like accurate pronunciation and grammatical structure, they can be interested in and learn it more effectively. This thesis, aiming at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of culture in Chinese education, after analyzing the contents of a textbook,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cultural education through questionnaires. And then, on the basis of the result, it discussed the purpose and details of cultural education of high school, a teacher's role, examples of cultural education which can be performed in class, and the function of a textbook and suggested the way for improvement introducing several textbooks intented for Chinese stressing on their editing principle and cultural contents. For the successful execution of Chinese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is necessary more than anything else. And the textbook should be enough in quantity by increasing the area of Korean and Chinese culture rather than general one considering the diversity and balance of each culture and also in quality, it must be revised to satisfy the student's interest and intellectual curiosity.

      • 牙箏 創作曲 音樂的 分析 硏究 : 1990年〜2019年 演奏曲을 中心으로

        조승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demand of Ajaeng's creative songs from 1990 to 2019, classified the songs with every ten minutes, and characterized the songs representing periods of Ajaeng's creative songs, basing on solos, chamber musics, and concertos As a result, this thesis found out that many creative songs were performed for 30 years amounting to 169 ones: 53 songs from 1990 to 1999, 127 songs from 2000 to 2009, and 169 songs from 2010 to 2019. This thesis characterized <Mind>, Daeajaeng's solo, as follows. The composer made use of sole instrument's attribute for major melody to make progress rhythmically and changed tones with speed and accidentals. The composer composed this song with five paragraphs such as Intro-A-B-Bridge-C, and with tunes such as the Cm, Fm, and Eb Major. The composer composed the song so that the performer can perform it in a different speed every time. The composer constructed the song so that the performer could display the skills of Daeajaeng as a solo instrument at every parts. The composer tried to add various tones such as tremolo, staccato, arco, pizzicato etc. As characteristic results of <Hyeonseongsinhwa>, Ajaeng's chamber music, the thesis found out various chord harmonies there on which the composer solved concentration among sound parts and chord progression beautifully with three Soajaengs and two Daeajaengs. So, the composer used various non-chord sounds, which helped musical progression more soft. In the end, in Ajaeng's chamber music Hyeongjeongsinhwa, the composer used non-chord sounds such as passing tone, neighbouring tone, anticipation, appoggiatura, and suspension in the end, and constructed the song with four paragraphs such as ‘A-B-C-D’. Various beats such as 3/4 Beat, 6/8 beat, 10/8 beat, and 4/4 beat were conspicuous. The composer used the keys such as Cm, Eb Major, and Fm and expressed different tempos, depending on paragraphs. This thesis characterized <Song of Shadow>, Sojaeng's concerto, as follows. The song is for an accompanied performance composed of seven paragraphs such as ‘A-B-C-D-E-Cadenza-F’. The composer composed the song with the motive of tango rhythm, using tango rhythm ‘3+3+2’ mostly, according to its peculiarity. All beats are composed of 4/4 beat. As a peculiarity, the tempo gets faster from the first to the last. The composer expressed various sound tones by giving and taking among instruments, using a lot of chords, and by applying wide sound range that Soajaeng can use. In addition the composer composed the song, making it possible to perform together with pianos and drums, rather than national instruments, more passionately. The biggest change in Ajeng's creative song that this study deduced through this study is the increase of string amounts, due to instrument improvement, and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skill. This study examined three Ajaeng's creative songs on the standard of every ten years and found out that various creative songs were composed and sound tone change, harmonious with wide sound range and creative songs, was demanded and that instruments were improved to respond to the demand basically. Western musics were flown into actively and genres got various. It made composers and performers need intensive works and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works. As the strings increased, so orchestral music accompaniment of national music broke out of the frame of national music and sometimes was performed together with western instruments. Various and special instrument were added to national instruments, which presented an energy of performance together with orchestral music accompaniment of national music. Sound ranges increased and performer's performance technique developed. As for the music of the east as well as of the west, in addition to basic performances of arco and pizzicato, bow performance developed such as tremolo, legato, whole bow, detache, and slur in various divisions depending on speed. In Ajaeng's creative songs, it made cadenza parts more splendid and presented various musical expression with which respective performers could display their skills. This thesis aimed to characterize solos, chamber musics, and concertos of Ajaeng's creative songs, classified with the demand and period, and to clarify the activation of Ajaeng's creative songs and the development of Ajaeng's creative songs. Furthermore, this thesis intended to find out the demand increase of Ajaeng's creative songs checked up by statistics, to find out the increase of Ajaeng's creative ensembles, and to find out Ajaeng's creative songs that produced many talents from solos to chamber musics and concertos. As a result, this thesis could verify that the instrument Ajaeng could develop infinitely and was very important. This thesis wants for many performers and composers of Ajaeng to recognize the potential of Ajaeng. Furthermore, this thesis wants for them to perform and release many works more actively. 본 논문은 1990년∼2019년까지의 아쟁 창작곡의 수요를 알아보고 10년 단위로 분류하였고 또한 아쟁 창작곡의 시대적 대표곡에 따라 독주곡, 실내악곡, 협주곡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1990년∼1999년까지 총 53곡의 창작곡, 2000년∼2009년까지 총 127곡, 2010년∼2019년까지 총 169곡으로 확실히 30년 동안 많은 창작곡이 발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아쟁 독주곡<마음>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솔로악기의 특성을 살린 주선율과 율동적(律動的)인 진행, 속도감 및 임시표를 활용한 음색의 변화를 주었다. Intro-A-B-Bridge-C의 5단락으로 이루어진 이 곡은 c minor와 f minor, Eb Major의 조성이 사용되었으며 빠르기 또한 매번 다른 빠르기로 연주되도록 작곡되었다. 이미 모든 부분에서 대아쟁을 독주 악기로서의 기량을 보여 줄 수 있도록 구성해놓았으며, 트레몰로(Tremolo), 스타카토(Staccato), 아르코(Arco), 피치카토(Pizzcato), 등 다양한 음색을 입히려고 한 것을 알아볼 수 있었다. 아쟁 실내악곡 <현성신화·絃聲新和>를 분석한 결과는 다양한 화성적 하모니라고 볼 수 있는데 소아쟁 3대와 대아쟁 2대를 활용하여 성부 간의 밀집력과 화성적 진행을 아름답게 풀어나갔다. 그 때문에 다양한 비화성음이 사용되었고 이러한 비화성음은 음악적 진행을 더욱더 부드럽게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아쟁 실내악곡 현성신화는 경과음(P.t), 보조음(N.t), 선행음(Ant.), 전타음(App.), 마지막으로 계류음(Sus.)의 비화성음이 사용되었으며 ‘A-B-C-D’의 네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 3/4박자, 6/8박자, 10/8박자, 4/4박자로 다양한 박자가 돋보이며 c minor, Eb Major, f minor의 조성이 사용되었고 빠르기 또한 단락마다 다르게 표현하여 음악을 표현해 나갔다. 소아쟁 협주곡 <그림자 노래>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B-C-D-E-Cadenza-F’의 7단락으로 구성된 협연곡이다. 탱고의 리듬을 모티브로 삼아 작곡된 이 곡은 탱고의 리듬 특성상 ‘3+3+2’의 리듬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모든 박자는 4/4박자로 이루어져 있고 곡의 빠르기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점점 빠르게 연주되는 것이 특징이다. 악기 간의 주고받음과 다양한 화성, 소아쟁이 사용할 수 있는 음역대를 넓게 사용하여 다채로운 음색깔을 표현하였으며 국악기가 아닌 드럼과 피아노를 함께 연주하여 더욱 열정적인 연주를 할 수 있게 작곡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해낸 아쟁창작곡의 가장 큰 변화는 악기 개량에 따른 줄(絃)수의 증가와 음악적인 연주 기술의 발달이다. 10년 단위를 기준으로 3곡의 아쟁창작곡을 살펴본 결과 다양한 창작곡 배출로 인한 넓은 음역과 창작곡에 어울리는 음색의 변화가 요구되어왔으며 그에 따른 가장 기본적인 변화방법으로 선택된 것이 악기의 개량이었다. 서양음악의 유입이 활발해지고 장르의 다양성이 증가되면서 작곡가와 연주자 모두 개방적인 작품과 그에 따른 표현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현(絃)의 증가는 국악관현악 반주의 구성이 점차 국악기의 틀안에서 벗어나 서양악기와 함께 연주되기도 하고 국악기 내에서도 다양한 특수악기가 첨가되면서 국악관현악의 반주를 함께 이어나가 연주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시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음역의 증가뿐만 아닌 연주자의 연주 테크닉(Technic)도 발전하였는데 동서양을 불문하고 아르코(Arco)와 피치카토(Pizzcato)의 기본적인 연주법 이외에 속도에 따른 다양한 분할의 트레몰로(Tremolo), 레가토(Legato), 홀 보우(Whole bow), 데타셰(Detache). 슬러(Slur)등의 활대 주법에 관한 발전도 이루어졌다. 이는 아쟁창작곡에 있어서 Cadenza부분을 더욱 화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연주자 개개인의 특징을 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적 표현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아쟁창작곡의 수요와 시대별 독주곡, 실내악곡, 협연곡을 분석하여 아쟁 창작곡의 활성과 그에 따른 아쟁 창작곡이 발전해 왔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아쟁 창작곡의 수요증가와 그에 따른 아쟁 창작 앙상블의 증가, 독주곡부터 실내악, 협연곡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배출을 이뤄온 아쟁창작곡을 알아봄으로써, 아쟁이라는 악기의 무궁한 발전 가능성과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을 계기로 아쟁연주자와 아쟁 창작곡을 작곡할 많은 작곡가에게 아쟁이 갖는 잠재력을 인식하고 더욱 활발한 아쟁 연주와 창작곡의 발표를 희망한다.

      • Dmitri Shostakovich의 Sonata in d minor Op.40 for Cello and Piano에 관한 분석 연구

        조승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쇼스타코비치는 페테르부르크 출신의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로 후기 낭만파와 러시아를 대표하는 음악가로 평가되어 왔다. 그는 대표작인 15곡의 교향곡 외에도 현악 4중주곡을 필두로 기악곡,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발레 음악, 영화 음악 등 종류를 불문한 걸작을 남겼다. 그의 음악은 호평과 악평을 넘나드는 다양한 평가에도 불구하고 전형적이면서도 독특한 구조를 담은 곡들로 당시의 시대상을 느끼게 해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쇼스타코비치의 첼로 소나타(Sonata for Cello in D minor Op.40)를 연구, 분석하였다. 1934년에 작곡된 이 곡은 그의 유일한 첼로 소나타로, 전형적인 소나타 구조인 4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악장에서 주제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반복되는데, 고전적인 양식, 단순한 리듬과 3, 7화음의 화성진행을 활용한 비화성음, 반음계적 선율, 관계조 이외의 전조를 활용한 현대적인 음악 양식이 조화를 이루는 작품이다. 본 논문은 쇼스타코비치의 생애 전반을 살펴본 후 그가 처했던 전반적인 시대적 배경, 정치, 사회, 문화 등이 그의 작품 세계에 어떻게 녹아있는지를 분석하였고 그의 첼로 소나타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and analyze the life and works of Dmitri Shostakovich, focusing on his Sonata in D minor, Op. 40 for Cello and Piano. D. Shostakovich is one of the composers representing Russia in the mid-1900s. He left behind masterpieces across genres, including opera, symphony and chamber music as well as theatrical and cinematic music. Most of his contemporary composers defected to the West when they were required to perform music that embodied the realism of socialism. Embracing avant-garde music and the modern musical elements of the West, he succeeded in building his own music world through instrumental music within a socialist system where new musical trials were hardly accepted. Shostakovich's sole cello sonata, Sonata in D minor, Op. 40 for Cello and Piano, which is the focus of study in this paper, was composed in 1934. This work was born in a politically chaotic period where the rapid transition to socialism took place by Lenin and Stalin. Despite Stalin's pressure for socialist music, Shostakovich composed the piece to be free from any propaganda, showing elements of a conscious and progressive musical tendency. Composed of four movements, the piece seems to follow a typical sonata through the use of sonata and rondo form, ternary forms and compound ternary forms. However, Shostakovich's effort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format is seen in the second movement applying a fast tempo compound ternary form, and in the third movement, which employs a slow tempo ternary form. Shostakovich's progressive elements of musical composition are also shown throughout the entire sonata, in the use of chromatic progression, chromatic modulation, non-functional harmonic progression, compound time, and by the use of cello's diverse performing methods such as Pizzicato, Harmonics, Glissando, and Con Sordino. The above analysis leads us to see that Shostakovich not just followed the formal structure of romance in the late 19th century but also incorporated modern musical elements in his masterpiece, Sonata in D minor, Op. 40 for Cello and Piano.

      • 청소년 이성교제 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조승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오늘날 청소년의 이성교제 실태가 계속해서 변해가고 신체접촉 정도가 점점 가속화 되고 있는 시점에 청소년에게 적합한 성교육을 위해서 청소년의 이성교제 현황과 데이트 형태 및 신체접촉 실태를 파악하여 청소년 성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기도 북부에 위치한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2학년 학생 청소년이며, 선정된 학교 학생에게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1100부 설문 중 1067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했다. 이 연구는 SPSS의 하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문항별로 성별, 학년에 따른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집단간 비교를 위하여 X^(2) 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의 이성교제 필요성에 대하여 '매우 필요하다'와 '조금 필요하다'에 83%(886명)의 청소년이 반응하였다. 청소년의 52.6%(561명)가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제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93%(422명)가 교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이성친구가 없는 이유로는 '내가 부족한 것 같아서'에 27.5%(139명)가 응답하였고, 이성교제를 경험했던 청소년 중 남학생은 45.7%(101명), 여학생은 40.3%(120)가 현재 교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교제를 처음 시작한 시기로는 '초등학교 고학년'에 24.4%(137)가 답했으며, 이성교제에 대한 부모생각은 41.7%(116명)가 '찬성한다'로 '반대한다'의 14.3%(80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성교제 상대 연령에 대하여 이성교제를 경험한 청소년의 95.2%(534명)가 또래 청소년이라고 응답하였다. 일주일에 만나는 횟수로는 2회에 23.9%(134명)가 응답하였으며, 데이트 장소는 54.5%(306명)가 거리·공원이라고 응답하였다. 1회 데이트비용으로는 1만원 미만이 22.3%(125명)로 나타났고, 데이트비용 부담은 공동부담이 48.8%(274명), 남자가 47.8%(268명)로 응답하였다. 데이트비용 공동부담 시 '50%씩 부담한다'에 39.4%(108명)로 응답했으며, 데이트비용은 충당은 82.4%(462명)가 '용돈으로 충당한다'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이성교제 시 상대가 원하지 않는 신체 접촉을 요구할 때 자기주장 정도에 대해서는 7점-21점 중 남학생의 경우 13점이 25.5%(67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학생의 경우 14점이 30.9%(92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하인 10점은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난 반면, 16점 이상에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체 청소년 중 키스까지 경험한 경우가 30.7%(172명)로 나타났고, 가벼운 뽀뽀까지는 중학교 3학년이 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키스, 이후 단계에서는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나났다. 이성교제 필요성과 신체접촉 정도로는 이성교제를 필요로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신체접촉 정도가 높았다. 처음 이성교제한 시기와 신체접촉 정도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에 이성교제를 시작했을 때 성관계까지 경험한 경우는 24.0%(12명)로 매우 높은 반응을 보였고, 현재 교제 여부와 성 접촉 정도는 키스까지에 30.7%(172명)로 나타났다. 이성교제 시 상대 연령이 같은 또래일 경우보다 20,30대인 경우에 성관계까지 경험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주일에 만나는 횟수와 신체접촉 정도는 만나는 횟수가 많을수록 성접촉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Nowadays, the actual dating condition of the youth is changing continuously and specially the youth sexual habit takes drastic steps and accelerated. Therefore, requiring the sexual education of the youth is essential on these days. This research on the actual dating condition of the youth is for the desirablesexual education of the youth.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are pupils who are 3rd grade in middle school, 1st and End grade in high school on north Kyeonggi Province(15- 17 years old). The questionnaire collected 1067 of 1100 questionnaires which is self-fill-in way. The data analysis method were frequency, percentage, X^(2) test using SPSS. Mat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83%(886) of pupils responded "be very necessary" and "a little necessary". It means 83% of them think that youth dating need. 56% of them has experienced dating with the opposite sex. Non - experienced date 93%(422) of them answered the date is necessary and they felt the reason of non- experienced date are their own deficiency (27.5%, 139). 45.7%(101) of boy, 40.3%(120) of girl have been dating. The start time of dating is more than 10years old in the primary school(24.4%,137). 41.7%(116) of the parent agreed the dating of the opposite sex, disagreed 14.3%(80). They prefer to date with the same age group(95.2%). The frequency of date 2 times of week, (23.9%). The place of date is mainly at the street or the park(54.5%). The expenses of a date is normally 10000 won (22.3%,125) and half of them share it together from pocket money(82.4) payment rate is usually 50% each(39.4%). Secondly, when boy friend or girl friend demand sexual contacts which they don't want, the level of the self assertiveness was 13mark (25.5%)who is boy , the girl is 14 mark (30.9%) on the 1-21range. The lowest mark 10 who is girl but the highest mark 16 was higher who is boy. Thirdly, they (30.7%, 172) have had a kiss,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 having light kiss or physical contact. The high school students prefer having more than kiss or deep contact. The group which agree necessity of date have experienced is higher in the level of physical contact than the others. The period and the level of physical contact has related closely. They are have kissed (24.0%, 12), have intercourse (30.7%, 172). The frequency of date a week is related with physical contact. When they have date frequently, the level of physical contact is higher. Specially, when they have sexual relationship with 20s-30s is more than same age group.

      • 일제강점기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에 대한 고등학교『한국사』교과서 내용분석과 교육방안

        조승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은 삶의 터전을 찾아 식민지 종주국인 일본으로 이주했다. 그들은 일본 내의 하층 노동자와 식민지인이라는 이중적 지위를 가진 재일조선인이 되어 민족 운동을 전개했으며, 오늘날에도 법적 ․ 사회적 탄압에 맞서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재일조선인의 형성과 이들에 의해 전개된 민족운동을 정리했다. 재일조선인의 형성 배경은 일제의 식민 정책과 도일 정책, 재일조선인의 생활 상태를 정리했다.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은 학우회와 일월회,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 신간회와 근우회 지회, 재일본조선청년동맹의 활동한 단체를 중심으로 정리했다.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했다. 분석 후, 개선 방안과 보완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먼저 개선 방안으로는 첫째, 재일조선인 민족 운동에 대한 내용이 균형 있게 서술되어야 한다. 둘째, 재일조선인의 민족운동은 현재 진행형의 문제임을 인식하여 교과서에 반영하여 서술되어야 한다. 보완 방안은 첫째, 재일조선인의 형성배경에서는 도일 정책이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재일조선인의 생활 상태에 대해서는 당시 문학 작품 등을 자료로 제시해야 한다. 셋째,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을 전개한 단체와 인물, 활동이 간략하게나마 서술되어야 한다. 넷째, 관동대지진에서는 능동적인 역사가 전개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서술되어야 한다. 앞에서 정리한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에 대한 교과서 내용 분석과 개선 및 보완 방안을 바탕으로 교육 방향과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교육 방향은 이념적 편향된 시각을 지양하고, 다양한 역사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교육 방안은 역사 글쓰기 ․ 발표하기를 제시했다. 역사 글쓰기는 소설과 신문기사, 동영상, 관련 논문의 읽기 자료를 활용하여 글쓰기 활동지에 글쓰기를 하도록 구성했다. 발표하기는 학생 각자가 쓴 글쓰기의 결과를 말함으로써 역사 만들기 작업에 참여하도록 구성했다. Under the Japanese rule, many koreans moved to Japan, the colonial suzerain state to find a new ground for living. They were koreans living in Japan with a dual status of lower-class workers and the colonized, who later engag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Even today, they face the local-social suppressions in Japan.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s living in Japan and their national movements. The backgrounds of the formation of koreans living in Japan have based upon the contents of Japan's policies on colonization and their move to Japan and their residency in Japan. Their national movements in Japan are reviewed in relation to such organizations as students' associations and Ilwalhoi(一月會), Chosun labor whole union in Japan, the Japanese office of Chosun Communist Party and Koryo communist youth association, the Japanese branch of Singanhoi and Kunuhoi, and Chosun youth union in Japan. Based on the content that have been sorted out,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proposes the following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plans: as for improvement plans, first, there should be a balanced narration in the contents of national movements carried out by Koreans living in Japan; and second, there should be an awareness that the national movement of Koreans living in Japan is still going on, which should be reflected in the narration of textbooks. As for supplementation plans, first, the policies on the move of the Koreans to Japan should be reflected in the formation background of Koreans living in Japan. Second, literary works of the times should be provided as materials on their residency. Third, the organizations, figures, and activities of their national movements should be described even briefly. Finally, the Great Kanto Earthquake should be narrated in a way that can be an awareness that developed active history.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and the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plans with regard to the national movements of Koreans living in Japan, this study suggests the educational directions and plans. Educational directions are devised to move away from ideologically biased perspectives and promote the use of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Educational plans include historical writing and presentation. For a historical writing, writing activity using novels, newspaper articles, videos, material-reading activity are required. Presentations are organiz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history - making activity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ir writing.

      • 중학교 과학과 환경의 교과과정의 내용 분석을 통한 과학 교육과정의 환경내용 개선 방안

        조승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과 환경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고, 과학과 환경의 교육과정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교육과정의 단원별 관련 단원수를 관련성의 지표로 삼아 관련성을 비교 분석한 것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고 과학교과를 통한 환경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과학 교육과정 해설서와 교과서를 토대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중학교 과학 교육 과정에서는 환경과 관련된 독립된 단원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7차 교육과정에서 환경 관련 단원이 삭제됨에 따라 학년간 수직적 연계성이 단절되어 선택과목으로 환경을 선택하지 않는 중학교 학생들의 경우 7차 교육과정과는 별도로 교사의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 환경과 관련된 내용의 학습하지 않게 된다. 중학교 교과과정은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에 배운 것을 기초로 삼아 고등학교 과정을 준비하는 단계로 환경 관련 학습내용을 첨가를 제언한 연구(박정민,2006)도 있었지만, 새로 개정된 교육개정안의 과학 교육 과정에도 환경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과학 교과 내에서 환경과 관련성 있는 내용을 추출하여 수업해야 할 것이다. 환경과목의 각 단원과 관련된 과학 교과의 단원 비율은 전체 대단원 중 1학년은 42%(5단원), 2학년은 38%(3단원), 3학년은 50%(4단원)으로 두 교과의 내용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학년의 경우 대단원의 50%가 환경내용과의 연계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다른 학년의 경우도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모든 학년에서 환경에 대한 학습을 다룰 수 있다. 환경과목의 각 단원과 관련된 과학 영역별 관련성은 지구과학, 생물, 화학, 물리 순으로 나타났으며, 관련 중단원수로 분류할 경우 지구과학 분야가 월등히 높은 수준의 관련성을 보이고, 생물에서도 관련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상대적으로 물리와 화학은 관련성이 낮게 나타나 환경교육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생태학 내용을 담고 있는 생물학과 지구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는 지구 과학 등은 학문 자체가 바로 환경 교육의 일부분임 셈이다(제갈수정,2002) 라는 연구를 뒷받침 한다. 과학과의 내용 중에서 가능한 환경 교육 관련 내용을 추출한 결과 지각의 물질, 혼합물의 분리, 물의 순환과 날씨 변화, 전류의 작용, 해수의 성분과 운동 단원 등의 순으로 관련성이 나타났으며, 과학의 각 단원과 관련된 환경과목의 단원별 관련성은 지켜야 할 생활 환경과 지구의 환경문제 단원 등의 순으로 나타나 환경문제와 대책의 영역과 높은 관련성을 나타냈다. 두 교과의 내용을 살펴보면 환경 교과의 내용은 과학 학습시 과학교육의 보조교재로 활용할 수 있다. 교사는 환경교과가 선택교과서라는 점을 감안하여 시간 수, 지역과 학교의 실정, 학생들의 관심과 요구, 대상 학년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각 학교 실정에 알맞은 교과 운영 계획이 수립되고, 교과서 내용을 계절에 맞게, 환경과 관련성을 고려하여 학교 실정에 맞게 환경교과서를 재구성하여 가르칠 수 있다. 환경과목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교양 선택과목으로서의 한계성을 지니므로 연계성을 고려한 과학 교과에서의 분산식 접근방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이영순,2005). 과학과 교육과정을 통해 효과적인 환경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과학 분야에 있어서의 환경교육의 기본은 직접체험을 중시하고, 자연인식에 기초해 자기 자신으로 사물을 생각해, 정확히 판단해 행동한다는 주체성을 확립하는 것에 있다고 한다(윤오섭,1998).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환경에 대해 책임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는 교육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과학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속에서 환경 교육적 배려를 주입시켜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iaget의 지적 발달 단계에 대한 연구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성장 단계에 따른 환경 교육 교수·학습 내용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중학교 학생의 경우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할 수 있는 연령에 해당되지만 실제적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 중학교 학생은 형식적 조작 능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체적인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중학교의 환경 교육은 지식 전달 보다 정의적 목표를 강조하여 가급적 실험, 관찰중심, 현장 학습 등 학생의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 자연을 소중히 대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조직되어야 하며 구체적인 주변 환경과 사물에 관련된 소재중심으로 환경 개념이나 환경 문제가 선정되어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직접체험 및 실험등이 곤란한 경우에는 신문, 시청각교재와 컴퓨터를 활용을 통한 간접경험을 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제 7차 중학교 과학의 교육과정에 환경 관련 내용이 없기 때문에 교사들의 자발적인 교수활동이 있어야만 과학 교과내의 환경 학습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교사 자신들이 가진 환경관련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고, 올바른 환경관을 갖도록 다양한 직무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과학 교과내 환경교육을 위한 수업시간의 배려와 특별한 교재를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교과의 내용을 관점을 바꾸어 다루는 것으로 환경교육의 목표를 달성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도움을 주고자 환경내용과 관련성이 있는 과학 단원에 연관되는 환경 개념과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 및 학습활동을 <표25>와 <표26>에 제시하였으며, 중학교 교사들의 환경 교육 교수·학습방법으로 강의보다는 현장학습, 조사, 토론 등을 앞으로 많이 사용해야 한다(최석진,1997)는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주제별 교수·학습방법을 표시하였고, 학습활동은 학습자들이 일상 생활속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중학교 과학 교과내 관련성이 있는 단원에서 환경학습을 수행함으로써, 과학 교육과정내의 환경학습에 대한 수직성 연계성을 보완하고 통합적인 학습이 이루어져 보다 효과적인 환경학습이 이루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contents analysis of Middle school's Science and Environment in the 7th curriculum and find relationship based on the each chapter between Science and Environment.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ach Environmental education effectively in the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chapter related to "Environment" in the Middle school's Science curriculum, so vertical-implication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did not composed well. 2. According to the contents analysis with text books, 5 chapter(42%) of first grade, 3 chapter(38%) of second grade, 4 chapter(50%) of third grade are possible to teach related to environmental contents. It shows that it is available to handle environmental contents through all grade. 3. Conceptional connection number of related to environmental contents in Science is that Earth Science is 16, Biology 8, Chemistry 5, Physics 5. Earth Science is the most relevant to Environment's each chapter. 4. As a result to select environmental contents related in Science contents,relationship shows in order of chapter ; The Material of the Earth's Crust , The seperation of mixture, Water circulation and Weather change, Function of electric current, Component and Movement of Ocean. Chapter of Environment related to Science content is ordered ; living environment we should protect, environmental problem of Earth. 5. Contents of Environment text book could be used to assist Science teaching. Therefore, Teacher can use it reorganizing Environment text book for Science class. Therefore environmental education could be effectively performed in the Science curriculum as teaching environmental contents in the chapter related.

      • 직업훈련 종사자의 경력계획과 자기주도학습이 일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승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Vocational training workers are working in 7,770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and giving vocational training service to 4.1 million people(Ministry of Labor, 201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plan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to work flow among vocational training workers. A survey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three instruments such as Career Plan Scale(Gould, 1979, translated by Lee, 2004),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Bae & Lee, 2010) and Korean Work Flow Scale(Park & You, 2007).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es career planning have any effect on work flow? 2. How does self-directed learning have any effect on work flow? To achieve these purposes, 203 workers at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SPSS win 22, and AMOS win 18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plann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work flow were perform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plan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work flo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ach level of career planning, self-directed learning, work flow of vocational training workers showed high by 3.70, 3.89, 3.63 in turns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there were positive inter-correlations between career plan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planning and work flow, self-directed learning and work folw.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career plan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had positive effect on work flow. In addition,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on work flow is more influential than of career planning. 직업훈련 종사자들은 전국 7,766개소의 직업훈련 기관에서 근무하며 연간 410만 명 이상의 재직자 및 취업준비자에게 정부지원 예산규모 1조 4,590억 원의 직업훈련 실시에 참여하고 있다(고용노동부, 2014).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훈련 기관에서 근무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 선행연구에서 근로자들의 자아실현에 주요 변인으로 밝혀진 경력 계획과 자기주도학습이 일몰입에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는지 실증적으로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직업훈련 종사자의 경력계획이 일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직업훈련 종사자의 자기주도학습이 일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업훈련 종사자의 경력계획과 자기주도학습 및 일몰입은 모두 각각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자기주도학습이 경력계획보다 일몰입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업훈련 종사자의 경력계획과 자기주도학습이 일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력계획과 자기주도학습 모두 일몰 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학습이 경력계획보다 일몰입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계획의 하위요인인 경력 목표 수립 및 경력전략 실행 모두 일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학습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 모두 일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인으로 경력계획과 자기주도학습이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일몰입 증진방안을 모색해 볼 수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일몰입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경력계획과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근로자가 일몰입을 통해 갖게 되는 긍정적 정서는 일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며, 이는 다시 일몰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기대할 수 있다. 근로자가 일에 잘 몰입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차원에서 조직과 구성원이 함께 경력개발을 이룰 수 있는 통합 적인 경력개발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조직은 근로자가 경력계획을 잘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 다. 또한, 근로자들이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동기를 갖도록 북돋아 주고, 다양한 학습 플랫폼을 제공하는 등 자기주도학습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근무 환경과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성에 대해 시사하고 있다. 한편, 본 연구는 그동안 관심과 연구가 부족했던 직업훈련 종사자에 대한 실증적 탐구를 통하여 일에서 행복과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요소를 찾아보았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 직업훈련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직업훈련 종사자가 일에 잘 몰입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훈련서비스의 질을 향상하는 것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직업훈련 종사자가 자기주도학습을 활성화 하고 경력계획을 잘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 다.

      • 조기 영어 교육이 초등 영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조승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to study through the student surve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how the early English education influences the definitive area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lementary English learners. For this research, we selected 21 students from the third-year class and 26 students from the sixth year class, who received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nd as the students who did not have the early English education we chose 21, and 26 persons respectivel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year 2008, and the results which were obtained through the surve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existence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d English ability of an individual and understanding of English study, and it appeared that the higher academic year rises, the greater the influence i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confidence in English language, it was found there was the positive influence. Second, in terms of the interest in English language, they showed their interestregardless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nd they said that the learning area in which they felt the most confident was 'Listening'. Thus, it appeared that the interest level of English learning and the confident learning area were not positively affected by the existence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Third, in terms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the group which did not have the early English education showed the higher achievement level than the one that did have the early English education. Thus, it appeared that the existence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elementary English learne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Firs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various factors of learners' definitive area, th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using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urvey. Second, in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to be chosen, and extending the subjects to the whole classes, th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hird, in the early English education which is going to be held in the future, the direction should be set to elevate learners' confidence. 본 연구는 조기 영어 교육이 초등 영어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학생 설문 조사와 성취도 평가를 통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3학년과 6학년에서 조기 영어 교육을 받은 학생 21명, 26명을 각각 표집 하였으며, 조기 영어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 21명, 26명을 각각 표집 하였다. 이 연구는 2008년 1학기에 이루어졌으며, 설문 조사 및 학업 성취도 평가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 영어 교육의 유무에 따라서 자신의 영어 실력 정도와 학교에서의 영어 학습 이해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기 영어 교육이 영어에 대한 자신감의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에서는 조기 영어 교육 유무와 관계없이 흥미도가 동일하였으며, 가장 자신 있는 학습 영역에서는 집단과 관계없이 ‘듣기’에 응답하여,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 있는 학습 영역에서는 조기 영어 교육의 유무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는 조기 영어 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이 조기 영어 교육을 받은 집단보다 더 높은 성취도를 나타내어, 조기 영어 교육 유무가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의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며,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평가지를 활용하여 추가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표집 학생 수를 늘리고, 표집 대상을 전 학년으로 확대하여 추가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이후 실시되는 조기 영어 교육에서는 학습자의 자신감을 향상시켜주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문화산업의 인력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조승희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최근에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내 문화산업의 인력양성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력양성에 대한 전략적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화산업의 개념 및 범위를 밝히고, 고성장산업, 고부가가치 산업,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문화산업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인력양성의 중요성을 정부 정책적 측면과 기업체 수요 측면으로 나누어 설명한다.그리고 인력양성 현황은 노동시장과 교육시장으로 나누어서 고찰하고자 한다. 문화산업 노동시장의 특수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황을 크게 고용불안정성, 높은 저임금 근로자 비중, 개인적 네트워크 중심의 고용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교육시장에서는 기초잠재인력, 예비전문인력, 현장전문인력, 핵심리더의 분류로 살펴본다. 또한 해외 문화산업 선진국 중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의 인력양성 현황과 시사점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인력양성을 위해 벤치마킹해야 할 사례를 알아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노동시장과 교육시장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 해외 선진사례 벤치마킹을 통해 문화산업의 인력양성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trategic plan for developing the workforce for Korea’s cultural industry,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related to workforce training in this industry, which has grown rapidly in recent years.First of all, the study clarifies the concept and the scope of cultural industry and then explains the importance of cultural industry in terms of the substantial economic impact it has as a high growth and high value-added industry. This is followed by an explication of the importance of workforce training from the aspects of government policy and corporate demand.As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workforce training, it is examined in terms of labor and education markets. The situation manifesting from the particularity of the cultural industry labor market is broadly divided and examined in categories of employment instability, high proportion of low-wage workers, and personal-network-based employment; and the education market is examined in categories of basic potential workforce, reserve professional workforce, professional workforce in the field, and core leaders. In addition,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lication of workforce training in foreign countries with advanced cultural industries, such as the USA, Japan, England, and France, are analyzed; and examples that can be used as benchmarks for workforce training for Korea’s cultural industry are examined. Finally, the study presents a workforce training plan for the cultural industr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related to the labor and the education markets and through benchmarking of examples in advanced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