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 훈련(MMPT)이 수행불안 성향 여대생의 수행불안, 자기불일치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승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 훈련(MMPT)이 수행불안 성향 여대생의 수행불안, 자기불일치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심리학과 조승현 본 연구는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훈련(Meditation-Mindfulness & Positive psychology Training, MMPT)이 수행불안 성향 여대생의 수행불안, 자기불일치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교 온라인 커뮤니 티에 연구 참여 홍보물을 게시하여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수행불안 성향 여대 생을 모집했다. 참여자들은 무선할당을 통해 처치집단(n=15)과 대기통제집단(n=15) 에 배정되었다. 처치집단은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whale On)을 활용하여 프로 그램에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회기별 약 60분, 4주간 주 2회, 총 8회기로 구성되었 다. 본 연구에 활용된 연구 도구는 사회 공포증 척도, 자기질문지 척도, 주관적 웰 빙 척도이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 사를 실시했고, 프로그램 종료 4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수행불안, 자기불일치, 삶의 만족 예상 수준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지만, 삶의 만족, 긍정 정서, 부정 정서 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 다. 주요어: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MMPT), 수행불안, 자기불일치, 주관적 웰빙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ditation-Mindfulness-Positive Psychology Training (MMPT) on performance anxiety, self-discrepenc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Female university female with performance anxiety. Promotional posters were posted on an online community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a tendency to performance anxiety and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recruite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online MMPT program using a video conference program(Whale-o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reatment group (n=15) and a waiting-control group total of 8 sessions, twice a week for 4weeks, about 60 minutes per sessions. As the measurement tool, the researcher used Social Phobia Scale, Self-Questionnaire, the Life satisfaction Scale(SWLS),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LSES), and the Emotional Frequency Scale(PANAS). All participants had a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after 4 wee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anxiety and self-discrepency and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tion, and negative emotion.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관광목적지에서 관광객 참여가 관광브랜드 자산 형성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조승현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해 세계적 관광지로 발돋움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강릉시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류된 관광객 참여가 지역의 관광브랜드 자산 형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1월 10일~2015년 3월 31일(약 8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년간 관광경험 횟수는 3∼6회가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성별분포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대로는 20대에서 40대가 가장 많았으며, 관광동반자로는 가족의 분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월 소득은 101만원∼3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결혼여부는 미혼과 기혼이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업은 전문직과 회사원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 참여 요인(적극성, 소통성, 교감성, 순응성), 브랜드 자산 요인(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 충성도 요인을 도출하였다. 셋째, 관광객 참여중 적극성, 소통성, 교감성, 순응성이 관광브랜드 자산의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광객 참여 요인 중 적극성, 소통성, 순응성이 관광브랜드 자산의 인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교감성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광객 참여의 순응성 요인을 제외하고는 관광브랜드 자산의 지각된 품질이 적극성, 소통성, 교감성 요인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관광브랜드 자산 요인(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이 관광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 요인 모두 관광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광객 참여중 적극성, 소통성, 교감성, 순응성이 관광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선 관광객 참여 요인 중 적극성, 소통성, 순응성이 지속적으로 방문 및 추천의도를 의미하는 관광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감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여섯째, 본 연구가 지니고 있는 학문적 시사점은 관광지 활성화에 있어 참여 동기의 네 가지 요인(적극성, 소통성, 교감성, 순응성), 관광브랜드 자산요인(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 그리고 종속변수인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한 결과를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최근 정부차원에서 국내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국가정책 및 지역 정책이 마련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관광목적지에서 관광객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위한 중요한 요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주요어 : 관광객 참여, 관광브랜드 자산, 관광브랜드 충성도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ourist participation on brand equity and loyalty in regional tourism. Gangneung city, which attempts to grow into an international tourist destination through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as selected as a study area. The visitor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10 to March 31, 2015.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7.0. First, analysis showed that those who visited Gangneung 3∼6 times accounted for half of the tourists. The percentage of male visitor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visitors. The largest groups of tourists were those in their 20s to 40s, those visiting with their family, those earning 1 to 3 million won per month, and office workers or people with professional degre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ntage between the unmarried and the married. Second, based on a prior study, this study identified four factors determining tourist participation (activity effort, communication effort, sympathy effort, and compliance effort), three factors affecting brand equity (brand awareness, brand images, and brand perceived quality) and factors for brand loyalty. Third, among the factors for tourist participation, activity effort, communication effort and compliance effort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awareness, while sympathy effort did not. In addition, except for compliance effort, the factors for tourist participation including activity effort, communication effort and sympathy effort were not related to brand perceived quality. Fourth, all factors affecting brand equity investigated in this study, such as brand awareness, brand images, and brand perceived quality,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rand loyalty in tourism. Fifth, brand loyalty was influenced by activity effort, communication effort and compliance effort, but not by sympathy effort. This result suggests that such factors determining tourist participation would affect the tourists’ willingness to revisit and recommend a tourism destination. Sixth,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previous studies, becaus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brand loyalty were categorized as tourist participation (activity effort, communication effort, sympathy effort, and compliance effort) and brand equity (brand perceived quality, brand images, and brand awareness). Moreover, since the government has recently developed various national and regional policies to promote domestic tourism, this study has great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an approach for creating favorable conditions that lead to tourists’ participation at tourism destinations.

      •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문화 교육방안 연구 : 대중문화 교육방안을 중심으로

        조승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인터넷과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웹툰을 한국어 교육에서 실제적 교육 자료로 보고 이를 통한 대중문화에 있어서 한국어 교육 방안으로 제시한다.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생활 방식, 가치관 등이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언어문화의 집합체이자 시공간을 초월하여 누구나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웹툰을 수업의 자료로 활용하여, 단순히 의사소통의 지식을 넓히는 것을 넘어서 한국의 언어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게 한국문화를 접하게 된다는 점에서 인턴넷 기반 만화인 웹툰은 한국어 교육 자료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먼저 제1장 서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웹툰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연구사를 검토하여 본고의 목적과 동기,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제시하고, 대상을 대중문화 교육으로 정한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웹툰을 활용한 교육방안 연구와 웹툰의 특성연구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 본 후, 각 장에서 진행될 연구의 방법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방안의 전제로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의 학습동기의 정의와 학습동기를 기술하였다. 동시에 웹툰의 교육적 활용가치 측면인 웹툰의 교육적 효용성을 살피면서, 그 교육적 효과와 웹툰이 명시된 교육과정, 현용 교과서의 웹툰 활용양상과 문제점 등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학습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응답한 유형 및 각종 언론보도에 나타난 동기 등을 바탕으로 대중문화 교육 과정을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으로 분류하였고 그중에서 본고의 주요 대상자인 중급 수준의 한류애청자들을 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대중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웹툰 교수와 학습 자료의 실제를 보여주고 웹툰을 활용한 교수·학습활동을 접목시켜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연구의 전반적인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앞으로의 전망과 함께 차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웹툰이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매체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여러 가지 주제와 장르의 작품을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제공해주고 또한 작품과 관련된 시각자료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이해를 도와주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한국어교육 자료로써 매우 유용할 것이라 생각한다. 현재 만화에 비해서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그렇기에 본 연구가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생활 방식, 가치관 등이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언어문화의 집합체이고 시공간을 초월하여 누구나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웹툰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효율적으로 교육 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

        조승현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rect effect between variables by conducting three-dimensional test on prosociality, self-esteem,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the degree of influence on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analyzing relational structure between variables. Research problem 1 is ‘do prosociality, self-esteem,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ke direct effect on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problem 2 is ‘do prosociality and self-estee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ke direct effect on self-leader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problem 3 is ‘do prosociality and self-estee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ke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3 weeks from Oct 24, 2016 to Nov 14, 2016. Content validity of final questions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on 2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2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used data of 854(87.4%)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otal 73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for final analysis. Correspondence of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regression model was evaluated through Chi-Square(χ2), standardized Chi-Square(NC: Normed Chi-Square), RMSEA of 90% confidence interval of Steiger-Lind, TLI( Tucker-Lewis Index) a relative correspondence index, CFI(Comparative Fit Index), and SRMR(Standardized Root Mean Aquare Residual).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stablishing a hypothesis that prosociality, self-esteem,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ke direct effect on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onducting statistical verification, it was identified that prosoci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oes not make direct effect on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elf-esteem,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ke direct effect on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prosociality and self-estee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ke direct effect on self-leader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ly, it was verified that prosociality and self-estee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ke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urthly,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ity and self-estee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at improvement of prosociality,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a way of raising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lso, the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relational structure between variabl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is expected to provide a lot of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as indirect effect between cause and effect variables has been verified as well.

      • 한국어 회화 유튜브 채널 분석 및 학습자와 교수자 인식 연구

        조승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20년도 전 세계를 강타한 질병 COVID-19는 2020년 한 해를 멈춤의 상태로 만들었다. COVID-19의 강력한 전염성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경제, 사회, 문화, 예술, 스포츠 등 전 분야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일상생활까지 마비되었다. 끝내 COVID-19 변이 바이러스까지 등장하였다. 끝나지 않는 바이러스의 공포는 전 분야에서 언택트(Ontact) 현상을 가져왔다. 특히 교육계에서는 단기간에 많은 오프라인 강좌를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현상을 마주하게 되었다. 이는 Zoom Video Communications, Google Meet 등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화상 강의로 시작하여 기존에 존재하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 기획에 관한 관심도를 높였다. 우리는 유튜브(YouTube)라는 플랫폼을 활용한 한국어 회화 교육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COVID-19 이전부터 유튜브 시장은 꾸준히 확산하였다. 실제로 2018년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초중고교생 약 2만 7,300명을 대상으로 희망 직업을 조사한 결과, ‘유튜버’가 초등학생 희망 직업 5위에 올랐고 지금까지 꾸준히 인기 희망 직종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는 현재 유튜브가 커다란 영향력을 가진 플랫폼임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볼 수 있으며, 유튜브 시장이 나날이 확대되어 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이미 유튜브를 통해서 정보를 얻고 새로운 것도 배우고 있다. 특히 외국어의 경우 접근성이 쉬운 유튜브를 통해 간단한 회화를 익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 필자는 한국어 유튜브 채널을 관심 있게 지켜보게 되었고, 유튜브 채널을 통한 한국어 회화 학습이 얼마나 효용성이 있는지 고찰할 필요성을 느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회화 교육 유튜브 채널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한국어 회화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듣기와 말하기를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튜브 채널을 통한 한국어 회화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유튜브 채널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교수자들을 중심으로 유튜브 채널의 어떤 부분들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고, 한국어 수업에는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견해와 인식을 조사하였다. 현재 유튜브에 게재된 한국어 교육 유튜브 채널 중 4개를 선정하여 교수 내용, 교수 방법, 디자인의 요소로 나누어 분석했다. 교수 내용에서 학습 목표와 주제 및 상황에 대해 분석하였고, 어휘 및 표현은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전문성을 확보하고 학습 단계에 따라 분류되고 있는지를 확인했다. 교수 방법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호작용 방안을 어떻게 모색하는가를 중점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강의자의 교수법 및 영상의 흥미성, 평가 방안에 대해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디자인은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어떻게 활용하고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위한 영상의 편의성 및 구성이 어떠한가를 분석했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일정 시간을 주어 유튜브를 활용하여 한국어 회화를 학습해보도록 한 뒤, 한국어 회화 학습 경험이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유튜브 한국어 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그리고 한국어 교수자들에게도 마찬가지로 일정 시간 동안 유튜브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을 구성하여 수업에서 유튜브 활용한 수업 방식에 이야기하고, 학습자들이 유튜브를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고 교수자의 관점에서 인식을 조사했다. 더 나아가 약 1~3명 학습자와 교수자들을 개별적으로 인터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회화 교육에 관한 유튜브 활용 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을 연구하였고, 장차 효과적인 한국어 회화 교육을 위한 유튜브 채널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The diesease COVID-19 that hit the world in 2020 has brought that year 2020 to a standstill. The strong contagion of COVID-19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and change on people around the world. It has a serious impact on the economy, society, culture, art and sports, paralyzing everyday life, and even the COVID-19 mutation virus. This never-ending fear of viruses has resulted in the focus of ontact throughout the field. Especially in the education community, many offline courses have been brought online in a short period of time. Starting with video lectures using software such as Zoom Video Communications and Google Meet, it has raised interest in planning existing online lecture content. Previously, the YouTube market continued to spread. In fact, in 2018,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Institute surveyed about 27,3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found that “YouTuber” ranked fifth in the desired job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s consistently listed as a popular job. This can be seen as a single example of YouTube’s very influential platform, and it can be seen direct or indirect that the YouTube market is expanding day by day. Especially in the case of foreign language, simple conversation is often learned by utilizing the accessibility of YouTube. the researcher became interested in watching the Korean YouTube channel, and wondered how useful learning Korean conversation through the YouTube channel was. In this study, Korean conversation education YouTube channels were analyzed. In particular, listening and speaking,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of Korean conversation, were analyzed. And we investigated learners' perception of learning Korean conversation through YouTube channels. In addition, professors who conducted classes using YouTube channels investigated views and perceptions on what parts of YouTube channels could help learners learn and be used for classes. Four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YouTube channels currently posted on YouTube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eaching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design elements. In the teaching content, we analyzed learning goals, topics and situations, and confirmed that vocabulary and expressions are being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arning stage by considering the learner's level. The teaching method focused on how to find ways to interact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We also analyzed the instructor's teaching methods, video interest, and evaluation methods. Finally, the design analyzed how to utilize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and how convenient and composition of images for learners' satisfaction. Moreover, learners were given a certain amount of time to learn Korean conversation using YouTube, and then surveyed learners with experience in learning Korean conversation through a survey. And for Korean language professors, they also organized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YouTub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talk about how YouTube was taught, and learners used YouTube to conduc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vestigated perception from the professor's perspective. Furthermore, about one to three learners and professo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Based on this, we studied the perception of learners and professors of YouTube-based classes on Korean conversation education,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YouTube channels for effective Korean convers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 운동심상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조승현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만성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심상훈련과 균형훈련을 병행하여 적용한 실험군과 균형훈련만을 적용한 대조군을 비교하여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운동심상훈련을 이용한 치료가 만성뇌졸중환자의 균형능력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만성뇌졸중 환자 20명으로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 각 10명씩 무작위 선정 배치하였다. 대조군에서는 균형훈련프로그램을 이용한 훈련을 12회 실시하였고, 실험군에서는 운동심상훈련프로그램을 이용한 훈련을 5분간,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균형능력의 전 · 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균형측정기(Balance Performance Monitor)를 이용한 선 자세에서의 체중이동 양상과 신체동요 양상을 측정하였고, Timed UP & Go Test를 이용하여 기능적 균형수행능력을 측정 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t검정과 독립표본t검정의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운동심상훈련을 실시한 실험군의 전ㆍ후 비교에서 정적균형능력인 마비 측 체중 부하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동요면적 , 동요거리 그리고 최대동요속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대조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변화량 비교에서 마비 측 체중 부하율, 동요 거리, 최대동요속도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 값을 얻었다(p<.05). 둘째, 실험군에서 동적균형능력인 TUG검사와 후방 동요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그러나 동적평균균형, 전방 동요각, 전후 동요각, 마비 측 동요각, 비 마비 측 동요각, 그리고 좌우 동요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조군에서는 좌우 동요각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TUG검사, 동적평균균형은 전방 동요각, 후방 동요각, 전후 동요각, 마비 측 동요각, 비 마비 측 동요각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변화량 비교에서는 모두 유의한 변화 값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기능적인 회복기가 지난 만성뇌졸중환자들의 치료적 중재 전· 후 비교에서 균형훈련과 운동심상훈련을 병행하여 실시한 실험군에서 균형훈련만 시행한 대조군 보다 정적균형능력의 수행 수준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운동심상훈련은 운동기능의 향상뿐만 아니라, 신체훈련으로 향상된 운동기능의 유지에도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shows that balance training with using motor imaginary training is how to have influence on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Recipients are 20 stroke patients which are randomly divided motor imaginary training group and balance training group as each 10 patients. The imaginary training group executed training using motor imaginary training program for 5 minutes, totally 12 times after balance training. Like motor imaginary training group, the balance training group was trained by using balance training program. Weight shift and body sway are measured by balance performance monitor(BPM) for comparing before and after imaginary and balance training while the recipients are standing. Also, functional balance ability is measured by Timed UP & Go Test. To analysis the result by the research, difference inside group is analyzed into paired sample t-test. Also, difference outside group is analyzed into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s. 1. In motor imaginary training group, weight bearing in paretic side had no significantly improvement, but sway area, sway path and maximal sway veloc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ciated(p<.05).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difference except for sway area of static balance ability(p<.05). 2. There was significant TUG, posterior sway angle of dynamic balance by experimental group(p<.05).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dynamic mean balance, anterior angle, ant/post angle, paretic angle, nonparetic angle and med/lat angl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med/lat angle.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no statical significance difference of dynamic balance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comparison of pre and post increased the effects of static balance motor imaginary training was better than balance training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motor imaginary training was increased the effect of motor function and keep motor function improvement by physical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