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자원관리시스템 (ERMS) 설계에 관한 연구

        조수경 전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With the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rnet, the amount of information published in electronic format such as video, audio, digitalized text, etc. and the number of users accessing information online to satisfy their information needs are growing at a tremendous rate. The potentially infinite and growing number of available electronic information sources makes it increasingly difficult for a university library to effectively manage and quickly provide them. But, current library automation systems which are operated in a library have some problem to systematically manage electronic resources because of attributes of electronic resources such as cost, service method, and so on. To satisfy users’ information needs and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service, and to manage electronic resources, a library, especially a university library, is building a system to manage and process growing electronic resources. Currently, some of university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have tri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viewpoint, ERMS as an extemporary attempt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managing and providing electronic resources for information users because it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and usefulness to manage them. ERMS, which is focused on managing and controlling electronic resources, was introduced. But, compatibility problem with existing library automation system and how to accompany international standard in building ERMS should be significantly considered. In spite of those environmental and historical considerations, studies related to it have been insignificant. To provide a solution for more efficient and real management of electronic resources in a university library, this study analyzes standardized components to construct ERMS and proposes a model of ERM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To achieve those above purposes first of all this study is to analyze significant technologies and components to manage electronic resources after getting a grip on concept, feature, development steps in managing electronic resource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ERMS. the second step is to analyze DLF ERMI, which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in the area of ERMS, and define significant component and their features in DLF ERMI. The third step is to examine international cases related to operating and constructing ERMS including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As methods to collect data for this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interview, e-mail and so on was used in this step. For the last step,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this paper proposes essential components and a model for ERMS. As the result of steps mentioned above, the main functions of ERMS for university libraries are: 1) ERMS can manage and control access information to various electronic resources, metadata, holdings, user service. Also, ERMS can be compatible with existing library system such as IR(Information Research) system, linking system, proxy system and so on. 2) ERMS should completely be compatible with acquisition and cataloging system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control of integrated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library budget. 3) ERMS should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manage license information on electronic resources. 4) ERMS should provide ideal and effective environment for use and access control of electronic resources in a library and integrated tool to manage and control all of electronic resources. Additionally, this study proposes necessity to 1) organize committee group for establish standardized rules and collaborative management of electronic resources among university libraries like DLF ERMI and 2) redesign organizations in a library and a librarian's job description.

      • 동화 감상을 통한 쓰기능력 신장방안 연구

        조수경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쓰기란 필자 자신의 모든 체험과 상상이나 생각한 것을 주제에 맞게 기록하는 고등정신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국어 사용 능력의 중요한 요소이며, 고도의 정보화 사회에서 필수 적으로 요구하는 능력인 쓰기 능력은 문자 언어를 통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과 의사를 소통하며, 의미를 창조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을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길러주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도서관이나 서점이 흔하지 않고 아직 읽기가 서툰 초등학교 1학년 입문기 어린이를 대상으로 동화 들려줌으로써 쓰기 표현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동화 감상 쓰기 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바람직한 쓰기 교육을 위해 다양한 경험을 동화를 통하여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단순한 결과 중심의 쓰기가 아니라 과정과 결과가 균형 잡힌, 자발적인 표현 욕구에 의해서 생산되는 쓰기를 위하여 ‘동화 들려주기’를 통한 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Ⅱ장에서는 동화 감상과 쓰기 교육 관련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문학 및 쓰기 영역 내용 체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1학년 교과용 도서의 동화 감상 단원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들이 1학년 국어 교과서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말하기·듣기》와《쓰기》,《읽기》교재별로 수록된 동화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 1학년 교과용 도서의 쓰기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문학영역의 동화감상과 쓰기 영역의 대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1학년 《쓰기》교과서에는 동화와 관련된 단원은 실려 있지 않았다. 따라서 동화를 이용한 쓰기는 전혀 없는 셈이다. 1학년 어린이들은 아직 낱말의 의미나 정확한 쓰기 방법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동화와 관련지어서 이야기를 나누고 느낀 점이나 줄거리, 인물의 모습 등을 써 보게 하는 동화 감상 전략 투입훈련은 어린이들을 자연스러운 쓰기 과정으로 이끌어 줄 수 있을 것이다. Ⅲ장에서는 동화 감상을 통한 쓰기 능력 신장의 교수·학습 모형 설계하였다. 기존의 쓰기 학습 모형들을 보완하여 동화 감상결과를 쓰기에 적용시킴으로써 1학년 어린이들의 쓰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모형을 설계하였다. Ⅳ장에서는 동화 감상을 통한 쓰기 능력 신장 방안으로 설계된 모형을 직접 적용 지도하였다. 동화 감상을 통한 쓰기 능력 신장 활동으로는 교사의 구연 듣고 쓰기, 녹음 테잎 듣고 쓰기, 비디오 동화보고 쓰기, 인터넷 동화보고 쓰기를 동화 감상 전략을 투입하여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 방법으로는 어린이 작품결과 분석, 설문지 분석, 교사일지를 이용하였다. 운영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가 서투른 입문기의 어린이들에게 동화를 들려줌으로써 낱말의 뜻이나 문장이해를 쉽게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이야기의 장면을 이해함으로써 어떤 상황에 대한 이해를 더 빨리 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동화 감상 쓰기 모형을 구안 적용을 통하여 동화 감상과 쓰기의 관련을 더욱 체계적으로 지도하게 되어, 어린이들이 보다 발전적으로 글을 쓰게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다양한 동화 감상 전략을 투입하여 지도함으로써, 다양한 감상 표현 능력이 개발되어 보다 흥미로운 쓰기 시간이 되었다. 넷째, 쓰기와 문학교육과정의 학년별 교육과정 및 체계, 지도 내용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해당학년에서 지도해야할 내용의 위계 파악으로 기본 활동과 발전활동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사 본인의 교수 능력을 높일 수 있었다. 다섯째, 쓰기 능력에 대한 가시적인 효과로는 동화를 듣고 끝내 버리는 것이 아니라 들은 동화에 대한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과 다른 사람의 생각을 비교하고 내용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도 마련되었다. 마지막으로, 1학년 어린이들에게 쓰기의 기초 단계로 선택한 동화 감상을 통한 쓰기 능력 신장의 효과는 글감만 제시하는 쓰기보다 쓰기의 제재를 좀 더 어린이들에게 가깝게 제시하여 쓰기의 접근이 훨씬 쉬워졌다. Writing is an advanced mental activity that the writer records what he experiences, imagines or thinks centering on a specific subject. As one of important elements in using the Korean language and an essential requirement in the age of information, writing is an ability to express the writer's opinions using letters, communicate with others and create meanings. In order to develop such ability early from low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designed and applied a story appreciation writing learning model, which uses story telling to improve the writing expression ability of 1st-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are still poor in reading as they are in the introductory period of reading. It developed a writing education method based on 'story telling' so that children may have various experiences through stories for desirable writing education, write out of spontaneous desire for expression, and the process and results of writing are in balance differently from existing writing that overemphasizes results. Chapter II analyzed the contents of education curriculum related to story appreciation and writing education, and examined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literature and writing area in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it analyzed story appreciation units in textbooks for 1st-grade students and examined stories the textbooks of 'Speaking and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to inquire into how the content elements of education curriculum are implemented in the 1st-grade textbooks. Furthermore, this chapter analyzed writing-related contents in the 1st-grade textbooks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looked for alternatives to story appreciation in the literature area and the writing area. In the 'Writing' textbook for 1st-graders is no story-related unit, which means that there is no content for writing using stories. First-grade students tend to be ignorant of the meanings of words and the correct methods of writing. Thus, story appreciation strategy training, in which children discuss stories and write what they feel or about characters in the stories, may guide them to writing activities in a natural way. Chapter III designed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improving writing ability through story appreciation. Complementing existing writing learning models, the new model was designed to improve 1st-graders' writing ability by applying the results of story appreciation to writing. Chapter IV presented the results of direct application of the designed model as a method of improving writing ability through story appreciation. Activities carried out to improve writing ability through story appreciation were listening to the teacher's and writing, record tape listening and writing, video story watching and writing and Internet story watching and writing, and the effects of these story appreciation strategies were verified. Verification was made through analyzing children's writings, questionnaires and the teacher's di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children in their introductory period of reading were told stories, they had opportunities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words and sentences easily. In addition, as they figured out the scenes of stories,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situations in stories more quickly. Second,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story appreciation writing model facilitated teaching related to story appreciation and writing, which in turn helped children to make progress in their writing. Third, as various story appreciation strategies were employed, different types of appreciation expression abilities were developed and writing classes became more interesting. Fourth, in the course of analyzing the contents and the structure of writing and literature education curriculum, the teacher understood the hierarchy of contents and, consequently, became able to apply basic activities and developmental activities, namely, his teaching ability was improved. Fifth, as a visible effect related to writing ability, children not only listened to stories but also discussed them, compared their thoughts with others' and came to understand the stories in different ways. Lastly, the effect of improving writing ability through story appreciation, which was adopted as an elementary step of writing for 1st-grade children, made it much easier for children to approach writing as the materials of writing are presented more minutely.

      •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임상역학

        조수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배경 및 목적: 류마티스 관절염은 인구의 약 0.5~1% 이환 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비교적 흔한 전신성 면역질환으로 만성적으로 진행하여 관절의 손상 및 기능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다. 또한, 인종과 민족에 따라 유병률과 발생률 및 임상양상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여겨지며, 미국, 유럽,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코호트를 구축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임상역학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자국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 대한 많은 정보들을 산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유병률 및 발생률을 비롯한 기본적인 역학 조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한국인 환자의 류마티스 관절염 발생과 관련한 특성에 대한 파악 및 적합한 치료 방법과 효과 및 안전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유병현황 및 발생률을 의료보험 청구 자료를 이용하여 살펴보고,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코호트(KORONA) 자료를 이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의 임상특징과 기능적 장애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의료보험 청구 자료와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코호트 (KORBRA)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이 급증하는 생물학적 제제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더불어 코호트 자료와 의료보험 청구 자료를 이용한 연구를 비교하여 상이한 점을 파악하고, 각 자료를 이용하는 연구 방법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 건강보험 청구자료- 2007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류마티스 관절염 상병코드(ICD10-M05 또는 M06)으로 청구된 16세 이상 모든 환자들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이 되는 환자들의 다른 질병으로 청구된 명세서와 원내 및 원외 약제 처방 내역이 포함되었다. 2. KORONA 자료- 전국 23개 대학병원에서 2009년 7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ACR 분류기준을 만족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등록하여 연구자 및 숙련된 연구원에 의한 개별면담을 통하여 병력, 약제 관련 유해반응, 활성 관절 수 및 HAQ, EQ5D 등을 측정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약제 처방력 및 혈액 검사 결과 등을 조사하였다. 3. KORBRA 자료-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하는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 대한 자료의 수집은 새로이 약제를 시작하게 되는 환자들과 이미 사용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환자들로 나누어져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만든 단일 기관 후향적 코호트 자료 (RESEARCh)를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류마티스 관절염의 한국인 유병률 및 발생률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한 류마티스 관절염의 연구를 할 때에는 상병코드와 약제 정보, 즉 생물학적 제제 및 항 류마티스 제제를 사용하는 환자들로 조작적 정의를 하는 것이 자료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유병률은 2007년 0.26% (95% CI 0.25~0.27), 2008년 0.27% (95% CI 0.26~0.28), 2009년 0.27% (95% CI 0.26~0.28)로 나타났으며, 발생률은 인구 10만명 당 2008년 42명 (95% CI 29.3~54.7), 2009년 39~83 명으로 확인되었다. 2)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질병 발생연령과 기능 장애의 관계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코호트 (KORONA)는 다기관에서 진행되며, 적절한 자료의 질 관리 시스템을 갖추어 구축되었다. KORONA 자료를 이용한 연구에서, 60세 이상의 고령에서 발생한 류마티스 관절염이 질병 기간 10년 이하인 환자들에서는 더 심한 기능 장애를 보였다. 3)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생물학적 제제의 사용현황 청구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 항 TNF 제제의 지속성은 12개월에 73%, 18개월에 61% 로 나타났다. 약제 중단에 관련된 요인 분석에서는 60세 이상의 연령에서 사용하였을 때(HR 1.59, 1.09~2.33)와, 내과의사에 의해 처방된 경우(HR 1.59, 1.02~2.48)에 약제 지속률이 낮았으며, 소화성 궤양이 동반된 경우 (HR 0.73, 0.55~0.97) 에 약제 지속률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코호트 자료를 이용한 연구에서 생물학적 제제의 1년 후 지속율은 74%, 2년 후 63%, 3년 후 55%, 4년 후 49%, 5년 후 46%로 나타났다. 약제 중단 요인 분석에서는 methotrexate의 동반사용이 약제 지속률이 높은 결과(HR 0.46, 0.27~0.80)를 보였고 etanercept에 비해 adalimumab이 약제 지속률이 낮은 결과(HR 2.63, 1.43~4.84)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유병현황과 발생률을 제시하고, 코호트 자료를 통하여 질병 발생의 특징과 기능 장애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고, 건강보험 청구 자료와 의무기록을 통해 구축된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제제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여 비교 함으로써, 연구 주제에 따라서 적합한 자료를 선택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청구 자료와 코호트 자료와 이용하여 시행된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임상역학 연구로 향후 질병의 보다 정확한 이해와 다양한 정보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생강유래 불포화케톤화합물의 대사 프로파일 연구

        조수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생강 유래 불포화케톤화합물의 생물 전환 프로파일을 규명하고,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대표적인 생강 대사체인 6-paradol [1-(4-Hydroxy-3-methoxyphenyl)-decan-3-one]의 in vitro 대사 프로파일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사 생강추출물을 4가지 미생물(Candida utilis, Saccaromyces Carlsbergensis, Schizosaccaromyces Pombe, Aspergillus Niger)에 배양시켜 반응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생물전환 대사체의 프로파일을 LC-QTOF/M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LC/MS/MS를 이용하여 gingerol, shogaol, paradol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 미생물별 대사프로파일의 패턴을 분석하고자 다변량 통계분석기법인 주성분 분석을 수행하여 미생물별 대사프로파일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6-paradol의 대사 연구를 위해 6-paradol의 rat과 human liver microsome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대사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른 미생물에 비해 Schizosaccaromyces pombe 에 의한 생물전환 paradol 대사체의 함량이 가장 많이 생성되었으며, 생강 추출물의 생물 전환시 Candida utilis, Schizosaccaromyces pombe, Saccaromyces carlsbergensis 에 의해 생성된 성분 프로파일이 서로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는 반면 Aspergillus niger는 이들 세 그룹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각 종간 Metabolism에서 RLM의 대사체는 4개, HLM에서는 총 9개의 대사체가 발견되었으며, 주요 대사는 Hydroxylation으로 관찰되었다.

      •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조형성을 활용한 네일 디자인 연구

        조수경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 전반에 나타나는 양극화 현상은 우리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속은 복잡하지만 다채롭고 화려한 맥시멀리즘과 겉은 단순하고 세련된 미니멀리즘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조형성을 활용한 네일 디자인 아이디어를 통해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네일아트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문헌연구를 통해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개념 및 발생 배경,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융합의 개념, 배경을 알아 본 후 네일아트의 개념과 역사, 네일 서비스 분류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현대의 트렌드화 된 단순하면서 깔끔한 미니멀리즘과 과장되면서 화려한 맥시멀리즘의 조형성을 분석하여, 손톱이라는 작은 공간에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조형성을 활용한 네일 디자인을 연구하여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네일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에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조형성을 보여주는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네일아트 작품을 제작하였고, 각 작품의 제작 의도와 표현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여성의 일생이란 주제로 제작한 작품은 탄생, 성장, 결혼, 육아, 황혼으로 선정하여 제작하였으며, 작품Ⅰ. 탄생은 미니멀리즘의 특성인 단순성과 맥시멀리즘의 특성인 비구조성을 분석하여 제작한 작품으로 단순한 바탕에 탄생과 연상되는 꽃과 나비, 사랑을 단순하면서 비구조적으로 표현하여 제작하였다. 작품Ⅱ. 성장은 미니멀리즘의 특성인 반복성과 맥시멀리즘의 특성인 확대과장성을 분석하여 제작한 작품으로 반복되는 패턴은 성장기의 일상의 반복을 나타내었고, 상반되는 색상의 반복은 인간의 양면성을, 삐에로처럼 남의 눈을 의식하는 성장기에 외모에 관심을 많이 가지는 모습을 연상하면서 제작하였다. 작품Ⅲ. 결혼은 미니멀리즘의 특성인 순수성과 맥시멀리즘의 특성인 장식성을 분석하여 제작한 작품으로 결혼의 이미지인 순수함과 화려함을 접목시켜 인생의 가장 아름다운 결혼식 장면을 연상하면서 제작하였다. 작품Ⅳ. 육아는 미니멀리즘의 특성인 단일성과 맥시멀리즘의 특성인 실험성을 분석하여 제작한 작품으로 아이를 키우는 과정이 힘들기도 하지만 세상에서 가장 큰 보람을 느끼는 시기이므로 아이가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기도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연상하면서 제작하였다. 작품Ⅴ. 황혼은 미니멀리즘의 특성인 물질성과 맥시멀리즘의 특성인 혼합성을 분석한 작품으로 인생은 때론 불행했고 때론 행복했지만 살아갈 가치가 있는 아름다운 삶임을 연상하면서 네일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네일 디자인에 스토리를 부여하여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창출에 무한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다양한 네일 디자인의 다양한 기법으로 연상되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현대인의 다양한 니즈와 욕구를 충족시키는 네일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나아가 네일아트 분야에 국한 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깊이 있는 연구에 도움이 되며 새로운 트렌드를 발전시키고 기획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문학치료가 청소년의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크리에이티브 저널쓰기를 중심으로

        조수경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저널쓰기를 중심으로 한 문학치료가 청소년의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문학의 힘으로 ‘창의적 자아’를 찾을 수 있도록 돕고자함이 목적이다.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며 참자기를 찾아가는 시기의 청소년들에게 저널쓰기를 활용한 문학치료는 자아존중감 향상, 잠재력 개발,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아울러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문학치료가 교육의 현장에 튼튼히 뿌리 내릴 수 있도록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저널쓰기를 활용한 문학치료가 청소년의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전주시 거주 청소년 9명을 단일집단으로 설계하여 ‘크리에이티브 저널쓰기 프로그램’을 총 12주간, 주 1회, 회기별 60분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양적분석, 질적분석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결과적으로 유의수준 0.05에서 ‘문학치료가 청소년의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유의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문학치료가 청소년의 창의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 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저널치료가 창의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을 신뢰할 수 있는 실험설계를 거쳐 증명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