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추열매와 탄저병균의 상호작용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의 분자적특성

        조송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추(Capsicum annuum L.) 열매와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oporides)의 불친화적인 상호작용 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PepMADS,PepEST 그리고 PepCYP가 mRNA differential display를 이용하여 분리되었다. 이들 유전자들은 열매에 특이적일 뿐만 아니라 병저항성과 관련하여 발현되며 여러 식물호르몬(JA, SA)에 의해 유도된다. 이들 유전자의 발현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본실험에서는 이들 유전자의 조절부위를 포함하는 genomic DNA를 찾아 염기서열 및 구조를 분석 하였다. PepMADS, PepEST 그리고 PepCYP 유전자 genomic DNA를 cloning 하기 위하여 이들 cDNA의 full length 또는 일부분을 이용하여 genomic library screening 및 PCR로 genomic DNA fragment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genomic DNA sequence에는 이들 cDNA에 상응하는 open reading frame 부분과 5'upstream sequence가 포함되어 있었다. PepMADS 유전자는 6.5 kb genomic DNA가 밝혀졌으며, 7개의 intron과 8개의 exon으로 구성되어있었다. PepMADS 유전자의 promoter 부위로 추정되는 5'untranslated region이 약 0.7 kb가 6-1 genomic clone 앞부분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 부분에는 TATAbox, CAATbox 등을 포함하여 single zinc finger transcription factor인 Dof2가 결합할 수 있는bin ding site (AAAG)와 AGL3 protein이 결합할 수 있는 site (CCAT)가 존재하였다. 그리고 ABA response element (ABRE)와 상호작용하는 DNA binding protein (EMBP)이 결합할 수 있는 site가 포함되어 있었다. PepEST 유전자는 intron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PepCYP 유전자는 3개 exon 내에 1개 intron을 포함하고 있었다. PePCYP와 PepEST 유전자 또한 promoter 부위로 예상되는 부분이 genomic library screening을 통하여 일부분이 얻어졌으나 확인된 size가 작아 의미있는 motif가 조사되지 않았다. 이 들 세 유전자의 전체적인 조절 부위를 찾는다면 열매 특이적이면서 병저항성에 관련된 공통된 cis-element 존재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genes (PepMADS, PepEST, PepCYP) highly expressed during the incom-patibile interaction between pepper (Capsicum annuum) and anthracnose fungu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were isolated by using an mRNA differential display method. The corresponding genes express fruit-specific and induced disease resistansce and by plant hormone (JA, SA). To further understand these gene expression, a genomic DNA contained regulatory region was cloned and then sequenced and analyzed. For the genomic DNA cloning, pepper genomic DNA library were screened using cDNA of these genes as the probe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As the result, isolated genomic DNA fragments contained 5' upstream sequence and the open reading frame of the corresponding to the these genes. PepMADS genomic DNA fragments identified 6.5 kb in length and shown to contain 5' untranslted region of the gene (0.7 kb) and eight exons which are separated introns. The promoter region of PepMADS gene contained the sequence motif GTCCATAC that has been known to be present in Arabidopsis MADS-box gene AGL3 binding site. Also ATTTCAAA that has been known to be ABA-responsive element and CAAAAGCT that has been known to be single zinc finger transcription factor (Dof2) binding DNA element. PepEST gene do not have to any intron. PepCYP gene contained three exons which are separated one intron. In addition to, PepEST, PepCYP genes isolated genomic DNA fragment by using genomic library screening. And putative 5' untranslated regions obtained. However the length of the genes were too short indetify the cis-element. So, they need to be study. The promoter regions of three genes may be contained cis-element of related fruit specific and disease resistance.

      • 근권 미생물 Pseudomonas chlororaphis O6의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의 primed 에 의한 가뭄과 염에 내성에 관한 분자적 기작

        조송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Arabidopsis thaliana ecotype Columbia plant (Col-0) with roots colonized by Pseudomonas. chlororaphis O6 displayed tolerance against the abiotic stresses towards drought and high salt. We term this phenomenon induced systemic tolerance (IST). The O6 strain elicited stomatal closure. Using mutant lines with impaired functions of pathways regulated by abscisic acid (ABA) we found that the stomatal closure was not an ABA regulated phenomenon. The lines included mutants that over-expressed ABRE binding transcription factor 3 (ABF3), A333, the ABF3-knock out line AK313, and ABA-insensitive mutants, abi3 and abi4. Other Arabidopsis mutants, NahG plants that do not accumulate salicylic acid, the ethylene insensitive mutants etr1-1 and ein2-1, and jar1-1, jasmonic acid insensitive mutant were unable to display IST when roots were colonized by P. chlororaphis O6. Thus, we speculated that JA as well as ethylene and salicylic acid response are important in the systemic induction of the drought stress by P. chlororaphis O6 colonization. We demonstrated that an array of genes was changed in expression after root inoculation with P. chlororaphis O6. The GORK gene, encoding a potassium outward rectifying channel that is proposed to be involved in stomatal closure, was up-regulated by P. chlororaphis O6-colonization. A PCR technique based on using annealing controlled primers detected 20 genes that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leaves at 3 and 5days after P. chlororaphis O6 inoculation. Expression of a subset of these genes measured by RT-PCR analysis of RNA isolated from leaves confirmed regulation by drought stress and modification when the plants were colonized by P. chlororaphis O6. A second method of microarray analysis using Affymetrix GeneChip probe representing approximately 22,800 genes showed 140 genes to be up regulated and 41 genes down regulated at least two fold of P. chlororaphis O6-colonized Arabidopsis plants as compared with non-inoculated plants. Those up-regulated genes involved in mainly metabolism and signal transduction. When the transcriptome of drought stress of P. chlororaphis O6-colonized Arabidopsis plants was compared with drought non-inoculated control plants, 781 and 572 genes of more two fold and T-test (<0.05) were up- and down-regulated respectively. Most up-regulated genes were involved in signal transduction, while the down-regulated genes were abiotic stress response genes. These findings confirm that root colonization alters gene regulation in a systemic manner in the induced systemic tolerance to drought stress. 식물의 생장 촉진 균인 Pseudomonas chlororaphis O6를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Col-0의 뿌리에 접종하였을 때 가뭄과 염과 같은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저항성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Pseudomonas chlororaphis O6의 뿌리 정착에 의한 유도 저항성은 이 균주에 의해 주로 식물의 잎 뒷면에 분포되어 있는 기공의 닫힘을 유도함을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엽산(abscisic acid, ABA)의해 조절되는 경로의 cis-element 인 ABRE에 결합하는 전사조절인자 (ABF3)의 과다발현 개체 (A333)와 Knock out 시킨 개체 (Ak313) 그리고 ABA insensitive한 abi3, abi4 돌연변이 개체들의 기공 개폐가 Pseudomonas chlororaphis O6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Pseudomonas chlororaphis O6에 의한 가뭄과 염에 대한 저항성 유도는 ABA에 의해 조절되지 않음을 밝혔다. 그러나 다른 돌연변이 개체들 salicylic acid가 축적되지 않는 NahG와 ethylene에 insensitive한 etr1-1, ein2-1 그리고 jasmonic acid 에 insensitive한 jar1-1의 뿌리에 Pseudomonas chlororaphis O6를 접종하였을 때 가뭄에 대한 유도성 전신 저항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병 저항성 유도에 관련된 jasmonic acid 뿐만 아니라 ethylene과 salicylic acid 또한 P. chlororaphis O6 colonization에 의해 유도되는 가뭄 스트레스의 유도성 전신 저항성과 주요 병 저항성 신호전달체계가 관련되어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본 P. chlororaphis O6를 뿌리 접종 시 potassium 이온을 공변세포 밖으로 분출하는 rectifying channel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GORK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이는 P. chlororaphis O6가 뿌리 정착에 의해 병 저항성에 관련된 신호 전달체계가 활성화되어 GORK와 같은 기공개폐에 관련된 유전자가 활성화되어 가뭄과 염에 대해 내성을 유도되는 것으로 보인다. P. chlororaphis O6의 뿌리 정착에 의해 유도되는 식물체 잎의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해 annealing 과정을 조절할 수 있는 primer들을 이용한 PCR 기술을 토대로 P. chlororaphis O6 접종하여 3일과 5일 째 대조구와 비해 다르게 발현이 되는 유전자 20개를 분리하였다. 이들 유전자들 중 스트레스 내성에 관련된 NIT1, cor15a, C3H4 type zinc finger, RD21A (cysteine protease), CaBP (Ca2+ binding protein), 그리고 AtMPK3(MAP kinase)를 골라 이들 유전자가 P. chlororaphis O6 균주의 뿌리 정착에 의해서 잎에서 발현됨을 RT-PCR 방법으로 증명하였다. 이들 20개의 유전자가 P. chlororaphis O6 뿌리 정착에 의해 잎에서 발현되어 기공 개폐와 가뭄 내성 유도와 같은 표현형을 나타내는 중요한 유전자들로 추정되며 이들 유전자들을 knock out이나 과다 발현시켜 그 기능을 입증하는 연구에 중요한 재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는 Affymetrix Genechip probe를 이용한 microarray 분석방법을 통해 대략 22,800개 달하는 애기장대 전체 genome의 유전자들 중에서 P. chlororaphis O6를 뿌리에 정착 시 접종되지 않은 것보다 2배 이상 발현이 증가되는 유전자 140개와 감소되는 유전자 41개가 본 연구에서 확보되었다. 이들 중 발현이 증가되는 것은 주로 대사작용과 신호전달에 관련된 유전자들이었다. 또한 P. chlororaphis O6가 뿌리에 정착된 후 가뭄 스트레스를 주었을 때 나타나는 유전자들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P. chlororaphis O6를 접종하지 않고 가뭄 스트레스를 준 것에 비해 2배 이상이면서 T-test (<0.05) 인 조건에서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들의 수는 781개이고 감소된 유전자들의 수는 572개로 나타났다. 대부분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들은 신호 전달에 관련된 것들이었으며 발현이 감소된 유전자들은 비생물적 스트레스반응에 관련된 유전자들이었다. 이들 발견은 P. chlororaphis O6에 의한 뿌리에 정착은 가뭄 스트레스에 전신 저항성을 유도하는 것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조절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입증됨을 제시하였다.

      •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와 안지오텐신Ⅱ 수용체 차단제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송미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슐린 저항성을 가진 일반적인 동맥성 고혈압은 2형 당뇨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이것은 몇 년 내에 질병으로 진행 될지도 모른다. 많은 임상시험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 angiotensin receptor blocker)의 고혈압환자 (당뇨가 있거나 없는)에 대한 인슐린 저항성 효과를 발표하였는데 그 결과는 서로 상이한 점이 많았다. 당뇨가 없는 고혈압환자에 있어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의 효과를 본 임상에서는 인슐린 민감성에서 유의성을 보인 약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레닌-안지오텐신 체계(RAS: renin angiotensin system)의 저해를 통한 내당성(glucose intolerance)과 인슐린 감수성의 개선은 복합적인 기전을 통해 이루어진다. 혈액의 흐름에서의 향상과 골격근에서 미세순환을 개선하고 이것을 통해 인슐린이 작용하는 조직에 인슐린과 당의 운반을 향상시켜서 췌장의 β 세포에서 인슐린이 분비되도록 세포 단계에서의 신호체계를 유도한다. 2형 당뇨의 40%정도가 당뇨병성 신장 질환으로 발전하고 2형 당뇨와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환자들의 심장질환 위험을 매우 높이고 있다. 당뇨로의 진전의 위험을 가지고 있는 비만 환자나, 2형 당뇨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고혈압 치료제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와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 약물들이 추천된다. The Analysis and suggestion about documents which refer to the effect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and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 to blood glucose. Insulin resistance is common in Arterial hypertension, which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and may precede the disease by several years. Numerous clinical trial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CE inhibitors or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s (ARAs) on insulin sensitivity in hypertensive patients, with or without diabetes, with no consistent results. Almost half of the studies with ACE inhibitors in hypertensive nondiabetic individuals demonstrated a slight but significant increase in insulin sensitivity as assessed by insulin stimulated glucose disposal during a euglycaemic hyperinsulinaemic clamp, while the other half failed to reveal any significant change. The effects of ARAs on insulin sensitivity are neutral in most studies. Mechanisms of improvement of glucose tolerance and insulin sensitivity through the inhibition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RAS) are complex. They may include improvement of blood flow and microcirculation in skeletal muscles and, thereby, enhancement of insulin and glucose delivery to the insulin-sensitive tissues, facilitating insulin signalling at the cellular level and improvement of insulin secretion by the β cells. ACE inhibitors or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s (ARAs) increases the insulin sensitivity of type 2 diabetes, improves the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promotes the activity of glucose transport, and has the protection effect against the damage of pancreatic β-cell and the diabetes which derived from oxidative stress. About 40% of the type 2 diabetes become diabetic renal disease. The type 2 diabetes and diabetic neuropathy raise the possibility of heart disease. I suggest that the ACE inhibitor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could be prescribed to the patient of obesity whose possibility of diabetes is high, or the patient of having diabetic history.

      • 각질형성세포에서 DNCB,LPS로 유도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한약재 및 추출물의 염증 억제 효과 및 기전 연구

        조송미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topic dermatitis is a chronic skin inflammatory disease that acts as a mental and physical stress such as itching, redness, obstruction of sleep, and taseonization. The cause of atopic dermatitis has yet to be determined. It has a high incidence rate of about 15-20% in childhood, with 1-3% in adults, and an increasing prevalence rate of 8 to 30% worldwide. It has been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and families, and direct and indirect medical costs also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Atopic dermatitis is a disease that develops beyond extreme stress, food allergies, skin irritation, abnormalities in immune function, and genetic factors, so it is important to block and avoid antigen that becomes a starting substance. Treatments for atopic dermatitis include oral antihistamine, H2 antagonists, local steroids, tar therapy, and immunosuppressants. However, many treatments are known to have high rates of side effects and recurrence after treatment is stopped.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use and follow the doctor's instructions. Due to these problems, studies of herbal medicines and extracts with low side effects and inflammatory inhibition are required. TLR4 signaling, associated with the secretion of infectious cytokines, is a membrane protein that, when activated due to LPS, inflammatory cytokines, leads to the activation of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 NF-kB and the activation of the signaling below, leading to 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of the immune system. In this study, HaCaT cell, a human skin keratin cell owner,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ell survival rate of each herbal drug and extract,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qRT-PCR, ELISA, and western blots for inflammatory inhibition. The study was th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hibition of the signaling protein by processing the signal transporter in TLR4 signaling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As a result of cell survival measurements, Vitex rotundifolia L. E, and blackcurrant showed high survival rates in the DNCB induction experiment, and in the LPS induction experiment, Vitex rotundifolia L. E, Pueraria lobata flower (ethanol extract), and bimolecules showed high survival rates. Each herbal medicine and extract increased their survival rate by concentration, and in addition, the cell survival rate by concentration, excluding inflammatory derivatives, was measured to be toxic by concentration and subsequent experimental concentration was selected. Subsequ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20ug/ml and 50ug/ml, with compounds with lower cell survival rates than 50ug/ml. In the total flavonoid experiment, the contents were high in order of Rubus coreanus> Pueraria lobata flower E (ethanol extract) > Mokdanpip> blackcurrant in order of the total phenol experiment in order of Mokdanpi> Pueraria lobata flower E (ethanol extract)> > Vitex rotundifolia L. E > Vitex rotundifolia L. E (ethanol extract) > Rubus coreanus >blackcurrant. To determine the effect of suppressing inflammation, we conducted qRT-PCR of inflammatory cytokines. Throughout the DNCB induction experiment and LPS experiment, each compound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especially DNCB as a Vitex rotundifolia L. and E as a galized LPS as a whole. In the ELISA experiment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IL-6 secreted out of the cell, both concentration-dependent DNCB induction (Vitex rotundifolia L. = Pueraria lobata flower(ethanol extract) > blackcurrant) and LPS induction (Mokdanpipi > Vitex rotundifolia L. E(ethanol extract)> Rubus coreanus) experiments were reduced. The decline was the greatest among the Vitex rotundifolia L, Pueraria lobata flower E, and Mokdanpi The mRNA expression of TRL4, IKK-α and JNK was compared with the mRNA expression of each protein after the inhibitor induc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inflammatory indicator reduction of each compound was due to the inhibition of the TRL4 signaling. As a result, in DNCB induction experiments, it is assumed that the Vitex rotundifolia L. and the Pueraria lobata flower E inhibits the expression of IKK-α in LPS induction experiments. It is believed to reduce the amount of inflammatory cytokines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IKK-α and show the effect of suppressing inflammation.’ We conducted a western blots to compare the expression of IKK-α with the amount of IKK protein actually synthesized. In DNCB-induction experiments, the amount of protein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and P-IKK also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In LPS-induction experiments, the amount of protein decreased significantly and in concentration dependence on the Vitex rotundifolia L. E (ethanol extract), the Pueraria lobata flower (ethanol extract), and the blackcurrant. In conclusion, it is assumed that in DNCB induction, the Vitex rotundifolia L. and Pueraria lobata flower E exhibit an inflammatory inhibition effect through inhibition of IKK-α. During lps induction, it is believed that the Vitex rotundifolia L. E(ethanol extract) and the Mokdanpi bimolecules show an inflammatory inhibition effect through the inhibition of IKK-α.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적인 피부 염증 질환으로 가려움증, 발적, 수면방해, 태선화 등 정신적, 신체적으로 큰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다. 소아기에 약 15~20%의 높은 발병율을 보이며 성인은 1~3%으로 전세계적으로 8~30% 정도의 유병율을 보이며 점점 증가하고 있다. 환자 및 가족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직간접적인 의료 비용 또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아토피 피부염은 극도의 스트레스, 식품 알레르기, 피부자극, 면역기능의 이상 및 유전적인 요인 이상으로 발병하는 질환이므로 시발물질이 되는 항원 차단 및 회피가 중요하다.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제로는 경구용 항히스타민제, H2 길항제, 국소용 스테로이드, 타르요법, 면역조절제 등이 있다. 하지만, 상당수 치료제들은 부작용과 치료 중지 후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부작용은 적고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 한약재 및 추출물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에 연관되어 있는 TLR4 signaling은 세포막 단백질로 LPS,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으로 인해 활성화되면 세포내 신호 전달경로인 NF-kB 활성화와 이하 신호전달의 활성화가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으로 이어지며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킨다. 본 연구는 인간 피부 각질 세포주인 HaCaT cell을 이용하여 각 한약재와 추출물들의 세포생존율, Total phenol, Total flavonoide, qRT-PCR, ELISA, western blots 등의 실험을 통해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그 후 염증과 관련 있는 TLR4 signaling의 신호전달물질 inhibitor을 처리하여 어떤 신호전달 단백질의 억제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포생존율 측정 결과 DNCB처리 실험에서는 만형자, 갈화E, 블랙커런트가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LPS처리 실험에서는 만형자E, 목단피, 복분자가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각 한약재와 추출물들은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이 증가했으며 추가로 염증 유도물질을 제외한 농도별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여 농도별로 독성을 나타는 지와 이후 실험 농도를 선택하였다. 50ug/ml이상에서 세포생존율이 떨어지는 compound가 있어 이후 실험은 20ug/ml과 50ug/ml으로 진행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실험에서 복분자>만형자E>갈화E>목단피>블랙커런트 순으로 총 페놀 실험에서 목단피>갈화E>만형자E>복분자>블랙커런트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염증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염증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의 qRT-PCR을 진행하였다. DNCB처리 실험과 LPS실험 전체적으로 각 compound들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특히 DNCB는 만형자, 갈화E가 LPS는 목단피가 감소량이 대폭컸다. 세포외로 분비되는 IL-6의 분비량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한 ELISA실험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DNCB처리(만형자=갈화E>블랙커런트) 실험과 LPS처리(목단피>만형자E>복분자)실험 모두 감 소하였다. 감소폭은 만형자, 갈화E, 목단피가 가장 컸다. 각 compound들의 염증지표 감소가 염증 관련 신호전달인 TRL4 signaling 중 어떤 단백질의 억제로 인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TRL4, IKK-α, JNK의 mRNA 발현량과 각 단백질의 inhibitor 처리 후 mRNA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이로써 DNCB 처리실험에서는 만형자, 갈화E가 LPS 처리실험에서는 목단피가 IKK-α의 발현량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IKK-α의 발현량 억제 시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감소시키고 염증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IKK-α의 발현량과 실제로 합성되는 IKK 단백질의 양을 비교하기 위해 western blots을 진행하였다. DNCB 처리한 실험에서 만형자, 갈화E가 유의적으로 단백질양이 Control 대비 감소하였으며 P-IKK 또한 만형자와 갈화E가 control 대비 감소하였다. LPS 처리한 실험에서 만형자E, 목단피, 블랙커런트 모두 유의적으로 단백질양이 control 대비 감소하였으며 P-IKK 또한 만형자E, 목단피, 블랙커런트 모두 유의적, 농도의존적으로 control 대비 단백질양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DNCB 처리시 만형자, 갈화E가 IKK-α의 억제를 통해 염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LPS 처리시 만형자E, 목단피. 복분자가 IKK-α의 억제를 통해 염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