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율적인 QO-STBC/SFBC OFDM 전송기 구조

        조세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present a structure of computationally efficient MIMO-OFDM transmitters. In the MIMO-OFDM system, we use a quasi-orthogonal space-time block coding scheme. Straightforward implementation of these systems requires separate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processing blocks for each of the transmit antennas. In our proposed scheme, we use symmetry properties of Fourier transform, and thus use a frequency domain encoding strategy. This greatly reduces the computational burden. The proposed scheme uses just a single IFFT block at each OFDM symbol period, and thus resulting in the same complexity as a single antenna OFDM system.

      • 과점시장에서의 공동의 시장지배에 관한 연구

        조세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so-called ‘Collective Dominance’ which regards each enterprise in oligopoly as collectively dominant positions and regulates their conducts as an abuse of dominant position if they have certain economic or structural links and cause anti-competitive effects in the market. The reason why Collective Dominance should be discussed is related to regulation on conscious parallelism in oligopoly. If the concept of Collective Dominance is established, conscious parallelism between oligopoly enterprises shall be regulated as an abuse of dominant position. This study tried to show general understandings and broaden the horizons regarding Collective Dominance issues by reviewing relevant discussion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and arguing the necessity of revision on relevant provision under Fair Trade Act. 본 논문은 과점시장 내 일정한 경제적 및 구조적 연계가 있는 사업자들이 동일한 남용행위를 하여 경쟁제한효과를 발생시킬 경우 해당 사업자들이 공동으로 시장지배적지위에 있다고 보아 해당 사업자들의 행위를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로 규제하는 이른바 공동의 시장지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공동의 시장지배를 논의하는 실익은 바로 과점시장에서의 의식적 병행행위(conscious parallelism) 규제에 있다. 만약 공동의 시장지배를 인정하게 되면 위와 같은 경우 과점사업자들이 전체적으로 시장지배를 하는 것으로 보아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로 처벌할 수 있게 된다. 본고는 과점시장에서의 공동의 시장지배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의 공동의 시장지배에 관한 논의를 검토한 후 이에 대한 나름의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공동의 시장지배에 대한 우리나라의 논의의 시각을 다양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 공정거래법 조항의 입법적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행복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조세영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 진로성숙도 사이의 연관성을 검증하여, 아동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학년, 성별에 따른 사회적 지지, 주관적 행복감, 진로성숙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과 진로성숙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주관적 행복감, 진로성숙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행복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충청남도 D지역의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60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사회적 지지 척도 검사, 주관적 행복감 척도 검사, 진로성숙도 척도 검사를 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을 살펴보면, 6학년이 5학년보다 지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진로성숙도에서는 계획성 하위요인에서만 유의하였고 전체적으로는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수준이 높았다. 반면 주관적 행복감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는 수준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과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는 집단이 주관적 행복감과 진로성숙도 수준도 높았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 진로성숙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행복감과 진로성숙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모, 교사, 친구의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행복감이 높았고, 특히 하위 변인 가운데 부모의 지지가 행복감과 진로성숙도에 높은 상관을 보였다. 넷째,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행복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부모지지가 주관적 행복감과 진로성숙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행복감과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으며, 부모, 교사, 친구 등의 다양한 사회적 지지원으로부터 받는 긍정적인 지지가 높을수록 행복감과 진로성숙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에게 영향을 주는 지지원은 어느 하나가 아니라 가족, 교사, 친구가 모두 의미있는 지지원이 되며, 특히 부모의 지지와 안정된 관계가 행복과 진로성숙의 원동력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들은 이러한 지지원을 기반으로 한 긍정적 지지를 통해 행복감을 경험하고, 자신을 탐색하며, 자신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설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와 교사, 친구 등이 바람직한 사회적 지지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과 초등학생의 행복감 증진, 진로성숙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연구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기업의 학습지원 환경과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프로틴 경력태도의 매개효과

        조세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기술의 발달, 경영환경의 급속한 변화는 상시적 구조조정, 다운사이징, 인수합병 등 사업구조의 효율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평생 한 조직에서 승진, 임금, 직급과 관련된 객관적이고 외적인 평가 기준을 중시하던 기존의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경력성공보다는 자신의 성장을 통한 자부심이나 성취감 등 본인이 주관적으로 성공했다고 느끼는 것이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성공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게 되었다(Aryee et al., 1994; Nabi, 2001). 이러한 경력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Hall(1976, 1996)은 ‘프로틴 경력(protean career)’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렇듯 개인이 스스로 경력을 자발적이고 책임감 있게 발달시켜 나가는 것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Cappellen & Janssens, 2008), 프로틴 경력의 중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프로틴 경력에 관한 연구들이 최근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프로틴 경력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간의 관계를 탐색함에 있어 대부분의 연구들이 개인적인 성향에 한정되어 이루어져왔다(Hall & Chandler, 2005; Verbruggen & Sels, 2008). 개인의 태도는 자신이 속한 조직에 의해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는 점에서 자신의 가치를 보다 중요시하는 프로틴 경력시대가 도래하였다고 할지라도, 조직은 여전히 개인의 경력 성장에 다양한 자원과 지속적인 학습기회를 제공해야하는 책임이 있다(Hall, 2002; Hall & Moss, 1998; Lips-Wiersma & Hall, 2007). 그런 점에서 프로틴 경력태도에 영향을 주는 조직차원의 변인을 실증연구를 통해 탐색함으로써 조직에서 효율적으로 구성원의 경력개발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업의 학습지원 환경과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프로틴 경력태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학습지원환경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들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학습지원 환경과 경력몰입간의 관계에서 프로틴 경력태도의 매개효과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의 일반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2011년 11월 9일부터 11월 18일까지 10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총 360명 중 342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이 중 유효설문 331개를 대상으로 Windows용 SPSS 12.0 한글버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절차를 거쳤다. 먼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Cronbach‘s α 계수를 분석하였으며, 측정한 주요변인의 기초통계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학습지원 환경, 경력몰입, 프로틴 경력태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기업의 학습지원 환경과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프로틴 경력태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 분석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실증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기업의 학습지원 환경의 구성요소 중 리더의 학습지원과 혁신적 분위기는 경력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기업의 학습지원 환경의 구성요소가 경력몰입에 대해 22.9%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Cohen(1988)이 정의한 R²값의 크기에 의해 중간 수준의 설명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기업의 학습지원 환경 중 리더의 학습지원과 혁신적 분위기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경력몰입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지원 환경을 독립변인으로, 프로틴 경력태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지원 환경의 구성요소 중 리더의 학습지원(t=2.194, p=0.029)이 프로틴 경력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로틴 경력태도의 속성 중 자기주도적 경력관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틴 경력태도는 기업의 학습지원 환경 중 리더의 학습지원과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매개변인인 프로틴 경력태도가 함께 포함되었을 때, 독립변인인 학습지원 환경 중 리더의 학습지원은 1단계에 비해 영향력의 정도가 감소(β=.205 →β=.187)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틴 경력태도가 학습지원 환경 중 리더의 학습지원과 경력몰입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 효과(partial mediation)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프로틴 경력태도의 속성 중 가치지향적 태도보다 자기주도적 경력관리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외국인관광 도시민박(게스트하우스)의 발달과 입지특성 : 마포구 사례연구

        조세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2013년 외국인 관광객 1200만 명의 시대를 맞이하여 ‘다시 찾고 싶은 행복한 대한민국’을 모토로 관광 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현재 외국인 관광객의 개별화가 진행되고 다양한 문화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는 트렌드에 발 맞춰 부족한 숙박업소를 보완하기 위해 2012년부터 게스트하우스를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의 형태로 인증하는 제도가 생겨나게 되었다. 널리 쓰이는 게스트하우스를 제도화한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은 ‘외국인 관광객에게 한국의 가정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숙식 등을 제공하는 업’으로 건물 연면적이 230㎡미만이며 외국어 안내 서비스가 가능한 체제를 갖추고 있다면 누구나 신청하여 인증받고 지정되어 운영할 수 있다. 여행의 새로운 트렌드에 따라 게스트하우스는 점점 증가 하고 있다. 2013년 4월까지 전국에는 852개의 게스트하우스가 운영되고 있고 그 중 41%인 349개는 서울에 위치한다. 현재 급증하고 있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에 초점을 맞춰 분포를 살펴보면 2012년 전국에는 173개의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이 위치하고 있다.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이 가장 밀집되어 있고, 그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시 마포구이다. 마포구에 서울시 전체 30%의 게스트하우스, 56.6%의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이 입지하고 있다. 마포구 중에서도 홍익대학교 상권인 서교동, 동교동, 연남동의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소의 비율은 전체 마포구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소의 80%를 넘게 차지한다. 이 연구에서는 마포구 게스트하우스의 지리적 입지 특성을 살펴보고, 집적 배경을 조사하며, 구체적인 서교동과 연남동의 주변 경관 관찰을 통하여 여행지에서의 제 2의 집이라고 할 수 있는 게스트하우스가 아늑한 주거지로의 경관을 가지고 있는 지를 살펴 볼 것이다. 이렇게 주거지와 혼재되어 나타나는 게스트하우스의 증가로 여러 문제점도 대두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모색하면 게스트하우스가 가지는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대안 숙박 시설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 장편다큐멘터리 <자, 이제 댄스타임> 제작보고서 : 연출을 중심으로

        조세영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낙태를 소재로 한 장편다큐멘터리 <자, 이제 댄스타임>의 제작보고서이다. <자, 이제 댄스타임>은 섹슈얼리티를 인식의 프레임으로 삼아 한국 사회의 모순을 다룬 필자의 두 번째 장편다큐멘터리 영화로, 낙태문제를 사회적 고통의 프레임으로 해석하고자 기획한 작품이다. 본 논문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간 진행된 기획 · 제작 · 배급과정에 대한 단계별 분석과 함께 진행 과정에서 주제가 갖는 특수성으로 인해 나타난 여러 상황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장편다큐멘터리의 제작과 배급에 있어 하나의 선례가 되고자 한다. 작업과정은 사전제작(Pre-Production)과 제작(Production), 후반제작(Post- Production)과 배급(Distribution) 네 단계로 구분된다. <자, 이제 댄스타임>의 기획부터 배급까지의 과정을 논문에 담아내는 데 있어 필자는 특히 세 가지 부분에 주목하고 그 흐름을 따라 서술하였다. 첫째, 출연자들과의 단계별 소통과정에 대해서는 논문 전체에 걸쳐 언급될 것이다. 작품의 전과정 안에서 각 단계별로 출연자와의 호감, 견제 (Pre-Production 단계)/ 신뢰, 갈등 (Production/ Post Production)/ 동지애(Distribution)를 거친 신뢰관계 쌓기의 과정이 기술된다. 둘째, 네 명의 여성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구성된 ‘공동제작팀’이 작업 기간 전반에 걸쳐 적극적 협업을 하였는데, 이는 Pre-Production의 ‘공동제작팀의 결성’ 과 정에 상세히 기술되어져있다. ‘기획안’, ‘구성안과 표현전략’에서는 영상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제작과정을 기술하였고, ‘극부분 사전제작’은 다큐멘터리안에 삽입된 극부분의 제작과정을 상세히 서술하였다. 극부분 스태프는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영상예술학 영화제작과 학생들이 메인 스태프로 결합되었다. 이는 심도 있는 주제를 풀어내기 위한 다큐멘터리 인력구성, 영상의 미학적 성취를 위한 극스태프의 결합으로 주제가 형식으로 이어지기 위한 필요한 시도들이었다. 다큐와 극의 혼종, CG를 이용한 푸티지 사용, 일반적 다큐멘터리 형식을 벗어난 사운드디자인 등의 형식적 실험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자, 이제 댄스타임> 공동제작팀이 기획단계 때부터 고민해온 대안적 배급방식으로서의 자체배급 (기획상영회와 극장개봉)의 의미를 분석하고, 관객과의 만남 과정과 성과 및 한계를 정돈하고자 하였다. 다수의 독립영화들이 그러하듯이 충분한 제작비 확보의 어려움, 시간적 제약, 제작 시스템의 미비, 다양한 배급망의 부족 등은 개인 감독과 제작자가 해결할 수 없는 한계로 남아있다. 좌충우돌의 연속이었지만, 뜻을 모은 인력들과 용감한 출연자들이 쌓아온 시간과 노력이 화학 작용을 일으켜 만들어낸 작품의 제작보고서로서 의미있는 선례가 되길 바란다. This discourse is the production report of the documentary feature <Let’s Dance> based on the subject of abortion. <Let’s Dance> is the second documentary feature of the writer of this discourse which deals with the contradictions in Korean society through sexuality as the frame of perception. The film was planned to analyse abortion issues through the frame of social suffering. The discourse is a phase by phase analysis of the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film for four years from 2011 to 2014. It is also an analysis of the diverse situations that emerged in the process with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aims to become a precedent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ocumentaries. The proces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phases; pre-production, production, post-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e discourse specially focuses on the whole process of planning and distribution of <Let’s Dance> and details this process throughout the discourse. First,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the cast in all the phases is referred to all through out the discourse. The process of building trust with the cast in all the phases is described including favorable impressions and checks in the pre-production phase, trust and conflict in the production/post-production phase and camaraderie in the distribution phase. Second, the ‘joint production team’ composed of four female documentary directors actively cooperated with each other throughout the work process. This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rmation of the joint production team’ of the pre-production phase. The specific production process of the visual image is described in the ‘project proposal’ and ‘composition and image strategy’, and the ‘pre-production of drama section’ giv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drama scenes inserted into the documentary. The main crew of the drama scenes was made up of the students of the film depart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 Multimedia and Film, Chung-Ang University. The combination of the documentary crew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depth subject and the drama crew for the aesthetic realization of video was a significant attempt for the subject to take form. The hybrid of documentary and drama, the application of footage using CG, sound design departing from general documentary forms and other experiments of formation are described in detail. Lastly, there is an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self-distribution (Screening and general release) that was a consideration of the joint production team from the planning phase as an alternative form of distribution and the outcome and limitations of screening Q&A. As it is with most independent films the difficulties in securing sufficient production funds, time constraints, inadequate production systems, the lack of diverse forms of distributions and others remain as limitations that could not be solved by the director and producer. There was a chain of problems that had to be overcome but the time and efforts of the committed film crew and cast all came together and this discourse aims to become a significant precedent as a production report of a film that was created as a result.

      • 매생이의 지역별 함질소 엑스성분에 관한 연구

        조세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서식하고 있는 매생이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을 규명 하기 위하여 활발한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다섯 지역(장흥군 내저, 고흥군 봉 암, 고흥군 월포, 완도군 넙도, 강진군 하분)을 선정하여 일반성분 및 엑스분질소 분석과 함께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함질소 엑스성분인 유리아미노산, 결합아 미노산, ATP 관련 화합물, betaine류, TMAO, TMA 함량을 분석하여 비교하였 다. 일반성분 조성 중 습 시료에 대한 수분함량은 88.5-89.9%(평균 89.3±0.6%)이었다. 단백질함량은 2.2-3.3%(평균 2.7±0.4%)이었다. 그리고 지 질과 회분함량은 0.08-0.22%(평균 0.15±0.1%)와 3.6-4.7%(평균 4.0±0.5%)이 었다. 또한 탄수화물함량은 3.7-4.0%(평균 3.9±0.1%)이었다. 엑스분 질소의 함 량은 매생이 습 시료 100g당 101-114mg(평균 110±5mg)으로 지역차가 미약 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각 지역별로 18-25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은 습 시 료 100g당 275-429mg(평균 357mg)이었다. 모든지역에서 proline과 asparagine함량이 풍부하였고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28.5%와 27.7%로서 전체유리아미노 산의 56.2%를 차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총량에 대한 감칠맛계, 단맛계, 쓴맛계에 대한 비율은 각각 8.4%, 43.1%와 8.1%를 차지하였다. 결합아미노산은 지역에 따라 13-25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은 습 시료 100g당 111-315mg(평균 171mg)으로서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47.9% 수준이었다. 특히 glutamic acid와 glycine, alanine은 결합아미노산 총량의 18.0-45.1%(평균 26.7%)를 차지하였 다. 결합아미노산을 포함한 총아미노산의 감칠맛계, 단맛계, 쓴맛계 아미노산군과 유리아미노산의 차이점은 단맛계 아미노산 비율은 약간 감소되었고, 단맛계와 쓴 맛계 아미노산 비율은 각각 1.2배와 1.7배로 증가되었다. ATP 관련화합물은 모 든 지역에서 ADP, AMP, IMP, Ino 및 Hyp이 검출되었으나, ADP는 강진군 하 분지역에서만 검출되었다. 그 총량은 매생이 습 시료 100g당 14.21-28.37μ㏖ (평균 19.91μ㏖)이었다. ATP 관련화합물 총량에 대한 IMP가 차지하는 비율은 4.02-9.62%(평균 6.41%)으로 지역차가 있었다. Betaine류는 모든 지역에서 glycinebetaine(GB), homarine(Hom)만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은 6.64-21.00mg/100g(평균 12.10mg)으로 GB와 Hom은 betaine류 전체의 76.5%와 23.5%를 차지하였다. TMAO와 TMA은 모든 지역에서 검출 되었으며 매생이 습 시료 100g에 대한 TMAO함량은 165.90-293.67mg(평균 225.88mg)이었고, TMA함량은 3.45-29.38mg(평균 16.12mg)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지역별 매생이에 대한 일반성분 및 함질소 엑스성분 조 성을 밝힐 수 있었다.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samples were obtained from 5 different areas, Jangheung, Goheung (Wolpo and Bongam), Wando, and Kangjin, located at the south coast of Korea. Each mesangi sample was analyzed for the basic general compositions, extractive nitrogens, free amino acids, combined amino acids, ATP related compounds, betaine, trimethylamine oxide (TMAO), and trimethylamine (TMA). The general composition analysis of cultured mesangi showed 89.3±0.6% of moisture content, 2.7±0.4% of crude protein, 0.15±0.1% of crude lipid, 4.0±0.5% of ash and 3.9±0.1% of carbohydrate content. The content of extractive nitrogen of wet mesangi showed little difference in area variation, ranging from 101 to 114 mg/100g. Proline and asparagine consisted of 28.5% and 27.7% in total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while the total content of glutamic acid, glycine, and alanine was 26.7% in total amino acids. As a result of ATP related compounds, ADP, AMP, IMP, Ino and Hyp was detected from all areas, but ADP was detected only in the Kangjin area. Homarine and glycinebetaine of total betaines were only detected in all areas and showed 23.5% and 76.5%, respectively. TMA and TMAO were detected in all areas and showed 16.12mg/100g and 225.88mg/100g,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omposition changes in extractive nitrogenous components, amino acids, ATP related compounds, betaines, TMAO, and TMA of cultured mesangi obtained from five different areas of south coast of Korea.

      • 대학생의 완벽주의, 강인성, 수행불안 및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

        조세영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생의 완벽주의, 강인성, 수행불안 및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 조 세 영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학 전공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완벽주의, 강인성, 수행불안 및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분 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학생 3, 4학년을 대상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참 여자는 총 253명이었다. 전공은 4개의 계열로 분석하였고, 전공만족도와 거주유형에 따라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간략형 강인성 척도, 수행불안 척도, 취업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 였다. 통계적 분석 방법을 위해 t검증과 분산분석을 사용하였고, 다중회귀분석과 단계 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변인 간의 차이는 성별과 학년, 전공만족도, 전공계열, 거주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 른 변인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변인 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완벽주 의와 취업스트레스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강인성과 취업스트레스 간에는 부 적 상관이, 수행불안과 취업스트레스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완벽주의, 강인성, 수행불안은 취업스트레스의 예언변인이였으며, 세 변인에 대한 취업스트레스의 설명력은 28.7%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완벽주의, 강인성, 수행불안 및 취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한 것에 대해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이루어질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주요어: 완벽주의, 강인성, 수행불안, 취업스트레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