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파 省力裁培를 위한 pellet 種子技術 開發 硏究

        조상균 全北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8639

        Onion (Allium cepa L.) seeds are small and irregularly-shaped, which make difficult to sow by means. Pelleting onion seeds could make mechanized sowing possible saving labor and increasing germinating rat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ractical system for the use of pelleted onion seeds in direct sowing in the field and in nursey.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hape of pelleted onion seeds was changed by mulched materials. Pellet formation and fissility rate were higher by using two or more mixed mulched materials than using single mulched material. Especially, the mixture of gypsum, vermiculite, dalma ceramic, coal ash, and diatomaceous earth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93.3% and formed better physical texture. Adhesive strength of pelleted seed was affected by mulched materials and adhesives used. Pellet formation and collapse after moisture absorption were best with arabic gum (8%) solution used as an adhesive. Optimum size of pelleted seeds for best germination and seedling establishment in the field was 2.8~3.9 mm in diameter. Optimum temperature to keep the viability of pelleted seeds during long-term storage over 6 months was 3℃. Germination rate of pelleted and non-pelleted onion seeds in the field was 72.8% and 70.3%, respectively. In direct sowing, emergence rate of pelleted seeds was highest as 94.7%, sown on September 28 and percent missing plant was lowest as 1.0%, sown on October 8. The growth of the aerial part was best in sowing on September 28, but the damaged bulb rate was lowest in sowing on October 8. Hardness of onion bulb was increased with delayed sowing, but thickness of scaly leaf and brix of onion were increased with earlier sowing dates. Heavier bulbs developed in earlier sowing dates, but bulb diameter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sowing dates. Average yield was highest as 7,234kg/10a in direct sowing of pelleted seed on September 28 which is 11% higher than the yield of conventional transplanting culture. Sowing time and average seed amount was saved about 86% and 33%, respectively, in plug nursery using pelleted seeds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Pelleted seeds took 2 more days than bare seeds for germination, but they showed no difference in germination rate and seeding quality with bare seeds. Priming of seeds in 150 mM KCl at 10℃ for 6 days was most effective in increasing germination rate and shortening germination time. Germination rate of primed seeds was increased to 96% which is about 14% higher than that of non-primed seeds. Germination temperature for better priming effects for primed onion seeds was 10 to 15℃ which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normal germination temperature of 20℃. Drying primed seeds at 20℃ for 5 hours resulted in best priming effects.

      •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과정의 보안점검모델 구현

        조상균 남서울大學校 디지털情報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소프트웨어개발의 발달은 컴퓨터시스템과 정보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정보시스템 발전에 크게 기여한 산업의 하나이다. 초기의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에 의존적이었고 그 비중도 미약하였으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소프트웨어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복잡, 다양화되었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기술이 뒤따르지 못했고 납기가 늦어져 추가비용의 발생과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등 ‘소프트웨어위기’라 불리는 징후가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위해서 기본적인 설계절차를 수립하여 시스템개발 수명주기가 도입되게 되었다. 초기 시스템개발 수명주기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는 있을지 모르지만 최근 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시스템개발 수명주기에서 보안 취약함을 인지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개발 수명주기 각 단계에서의 보안점검사항을 조사, 분석하여 시스템개발 수명주기의 보안모델을 구현해 보고자한다. Advancement of software development is one of those which contribute to information system as advancement of computer syste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t the beginning, software was depended on the hardware, and relative importance was weak. However, as users' demand, software has become complex and diversification. As the result, sign of 'Software crisis' arises such as poor software technology, delay in delivering and unfulfilling the users' request. In order to improve, software life-cycle has adopted by basic design procedure. It is not certain that the early software life-cycle can fulfill users' request, but security weakness in software life-cycle has acknowledged as the importance of security arises. In this report, I would like to embody counterproposal model of software life-cycle by examine and analyze each step of software life-cycle.

      • 택배기업의 시장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상균 인하대학교 물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택배서비스시장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지향성이라는 마케팅 개념을 택배서비스업에 적용한 연구이다. 택배서비스는 지난 10년간 눈부시게 외형적으로 발전하면서 많은 기업들이 택배산업에 진출하였으나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점점 어려워지는 산업 환경이나 날로 경쟁이 치열해지는 시장 환경에서 뛰어난 경영성과를 올리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택배서비스산업의 경쟁은 시간이 지날수록 과열되고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면서 막대한 자금과 중․장기적인 시간이 소요되는 힘든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기업들이 시장에서 실패를 하고 매각하거나 철수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이런 이유로 시장 환경을 정확하게 예측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개발해야만 사업을 성공시킬 수 있다. 예측을 통해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시장을 주도해 나갈 수 있다. 특히 마케팅믹스(marketing mix)전략 수립시 적극적인 정보이용을 도모함으로써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처럼 기업경영에 있어서 시장지향성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합하여 택배서비스산업을 측정한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택배서비스업의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서 택배서비스기업들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시장지향성의 구성요소인 고객지향성, 경쟁자지향성, 부서 간 협력으로 나누어 경영성과 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내의 택배서비스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의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회수된 설문지 64부를 이용해 SPSS 15와 AMOS 7.0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개인택배서비스산업에서 시장지향성은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말하면 택배서비스산업에서 고객지향성과, 부서간협력은 경영성과에 큰 영향을 준다고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택배서비스회사들이 고객지향성을 중심으로 능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마케팅 프로그램에도 충실해야 한다는 실무적인 시사점과 기업 내부의 정보공유 활동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부직원들의 직무만족이 기본에 전제가 되어야 우수한 기업성과를 보여준다는 것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택배서비스는 서비스 산업의 특성상 고객의 만족이 뒷받침 되었을 때 꾸준한 성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復數勞組 認定 構造에 관한 硏究 : 美國 團體交涉法下의 排他的團體交涉代表制度를 中心으로

        조상균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미국단체교섭법상의 배타적 교섭대표제도를 살펴봄으로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취해야할 복수노조 인정구조에 관하여 논한다. 우선 현행 노동조합법 제3조 단서 5호에 대한 폐지여부에 대한 학설을 존치론과 폐지론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다음으로 배타적 교섭대표가 어떠한 절차를 통하여 결정되는가를 살펴본다. 단체교섭을 위하여 적절한 단위내의 모든 근로자의 배타적 교섭대표로 되기 위하여, 적절한 단위내의 피용자의 다수에 의해 지명·선출될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절차로서, 3가지의 것이 있다. 첫 번째는, 사용자가 조합에 대한 다수 노동자의 지지를 확인하여, 배타적교섭대표로 그 조합을 임의로 승인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조합이 NLRB가 관할하는 선거절차에 의해 과반수 지지를 얻어, NLRB에 의한 인증을 받는 것이다. 이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물론, 현재 교섭대표인 지위에 있는 조합의 대표권한을 빼앗기 위해 선거절차가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세 번째로, 부당노동행위 절차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다음으로, 배타적 단체교섭대표와 사용자와의 사이에 어떠한 단체교섭이 행해지고 있는가를 양자에게 과하여진 성실단체교섭의무(duty to bargin in good faith)분석을 통하여 밝히려 한다. 사용자 및 교섭대표인 조합은 성실하게 단체교섭을 하여야할 의무를 부담하고 있다. 양 당사자는 단순히 모여서 회담하는 것 뿐 아니라, 합의의 성립을 위하여 노력을 해야 한다. 그래서, 그 내용으로서 당사자는 단체교섭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당사자는 모임을 거부해서도 안되고, 협약서의 작성·서명을 거부해서도 안된다. 또한, 사용자가 교섭대표인 조합과의 사이에서 난국에 빠지기 까지는 고용조건을 일방적으로 변경해서도 안된다. 다음으로, 배타적교섭대표제도 아래에서 소수 노동자의 이익보호를 위해서, 배타적 대표권한과 불가분의 의무로서 판례법상 발전하여 왔던, 공정대표의무(duty of representation)법리를 소개한다. 공정대표의무란, 배타적 교섭대표인 조합이 사용자와 단체교섭을 행하는데 있어서, 단위내 모든 노동자의 이익을 공정하게, 부당한 차별없이 대표할 의무를 말한다. 따라서, 단위내의 노동자에 대한 조합의 행위가 「자의적, 차별적, 불성실」한 경우에, 공정대표의무위반이 성립한다. 협약교섭단계에서 인종차별적 협약을 체결하는 것이 공정대표의무위반의 가정 명확한 예이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살펴본 미국노사관계법상의 배타적 교섭대표제도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논의되어 지고 있는 복수노조에 수용할 수 있는 가 여부를 살펴본다. 미국노사관계법이나 우리나라의 노동법은 단체교섭자체에 법적규제를 가하고 있는 실정법에 의한 규제라는 점에서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동 제도는 미국 특유의 역사적인 배경과 노사관행 및 NLRB의 지도 아래 형성되어온 것이어서 우리나라의 현실에 그대로 적용시키는 데는 무리가 아닐 수 없다. This Paper deals with recognizant system of the plural union, take in korea, examining on the exclusive representation system of NLRA(National Labor Relations Act). In the first place, I'll examine what kind of process take place in deciding exclusive bargaining representation in NLRA. For the exclusive representatives of all the employees in such unit for the purposes of collective bargains, it is necessary representatives designated or selected for the purposes of collective bargaining by the majority of the employees in a unit appropriate. It is three methods in process. 1) Employers are voluntarily recognize the Union as exclusive bargains representatives, which confirm majority employees' support. 2) Union is certificated by NLRB(National Labor Rations Board), as selected a representation election conducted by the NLRB process. this method is preferred by the parties in most cases. ③ The use of unfair labor practice precess In next chapter, I'll make clear what is going on collective bargaining between exclusive bargaining representation and employer through analysis of duty to bargin in good faith which is imposed an obligation both parties. The NIRA imposes an obligation to bargain collectively upon both employer and union. The parties, in order to promote industrial relations harmony, should not only be come together but also attempt to negotiate in real earnest. Therefore, they have to furnish impormation relating to collective agreement ta each other, have not to refuse to bargain, and have to the execution of a written contract incorporating any agreement reached if requested by either party. And an employer have not to institute unilateral changes on mandatory subjects until bargaining to impasse. In next chapter, I'll introduce the principle of law on the duty of representation It is developed with exclusive bargaining representation, in order to protect the profits of all employees in the bargaining under the exclusive bargaining representation. The duty of fair representation is the obligation that the union, as a exclusive bargaining representatives, represents all employees' interests fairly and without discrimination. therefore, when the union activities for employees in unit [interferes with, restrains, or coerces,] they are commit a violation of the duty of fair representation. In the last, I'll discuss whether it is proper or not proper to accept the exclusive representation system in NLRA to Kores. As we have seen, it is unreasonable for Korea to accept the exclusive representation system in NLRA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U.S.A, - the system was constituted with specific historical background and habitual practice with labor and management.

      • 효과적인 지역지리 학습을 위한 야외답사의 설계 : 광양만권 지역을 사례로

        조상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Although researches and studies on regional geography learning have been conducted, many limitations have been revealed. So,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learn regional geography through a field work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 Regional geography help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elements and cultural elements of a specific region and identify how they are interacted to be a feature in the reg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people in different regions have applied to and used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region, bearing in mind that each region has an unique natural environment, in learning regional geography. However, a variety of real problems have caused limitations regional geography learning, impeding it to be in its own place. This study employs a field work as an alternative to an successful regional geography learning. Many geography teachers have recognized that a field workis the most useful teaching strategy in geography. But, it is difficult to have a field work in secondary schools since Korea does not have a field work included in a regular curriculum, unlike England. Although there have been actual conditions and difficulties such as teaching policy, time, and cost, it is essential to select a region for a field work in that such difficult conditions can be minimized for effective regional geography learning. For a field work place, it is good to have relatively easy access, be friendly, and can have a space for direct experience. If such place allows students to learn various geographic concepts, seek for a theme helpful for increasing their geographic thinking, and do a field work, it is expected that attachment to their living area as well as learning effect would be raised. A field work has long been used in geography studies and learning geography teaching. So, a field work has been believed to be a part of geography, in addition to natural geography,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environment, space study and regional study. Further, geography without a field work corresponds to science without experiment. 'A field' is a laboratory for geography and students can directly experience many issues with landscape, place, humans in such field and learn geographic functions in real settings. Schools have not used a field work for geography classes, because of violation to other classes, cost, planning and preparation, school policy, and a lack of special equipment. However, many geographers and geography specialists have argued for a field study in teaching geography. But, it has not been discussed yet the purpose of a field work,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pedagogical issues in Korea. So, this study examines a detailed plan to introduce a field work to geography classes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regional geography learning. A field work is divided into a field teaching and a field research. The former is primarily guided by a teacher as a descriptive class, with a development of classes including geographic topics and subject learning in class, observation in field, documenting data/information, and narration and description in class. The latter is closer to an investigative class, mainly led by students themselves, in such processes of proposing an issue through class study or direct observation in field, making hypotheses, collecting data, identifying problems, analyzing data and verifying hypotheses. The case place in this study includes Suncheon, Yeosu, Kwangyang area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called 'Kwangyang Bay Area' where has been emerged as a new living place and has a higher inter-linking aspect after modernization. This area, located in mixed area of inland and the coast, include a complex combination of the coast, peninsula, and inland, characterized by various natural environments. Also, it has shown a rapid regional change after industrialization. Currently, the area has been a hot spot where has discussed an integrated metropolitan city of Suncheon, Kwangyang and Yeosu areas with the opening of Kwangyang container harbor and the development of Yulchon industry complex.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regional geography learning closer to students' everyday life and the guide of a field work by seeking out a theme applicable to a field work teaching and designing a field work, with "Kwangyang Bay Area" which has well reflected an unique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aspects and has a higher inter-linkage with other areas. 그동안 지역지리 학습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한계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학습방법에 대한 대안으로서 야외답사를 통한 지역지리 학습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역지리란 그 지역의 자연적 요소와 인문적 요소의 특색을 파악한 후에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그 지역의 특징이 되는가 를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지리 학습은 각 지역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자연환경의 큰 그림 위에서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그 지역의 자연환경에 적응하고 이를 이용하여 왔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지역지리 학습은 언제나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으며 제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지역지리학습의 대안으로서 야외답사를 채택하고자 한다. 많은 지리교사들은 야외답사가 지리교육에서 가장 유용한 교수전략으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영국에서처럼 야외답사가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되지 못하여 실제로 중등학교에서는 이를 시행하기가 쉽지 않다. 교육정책, 시간, 비용 등의 현실적인 어려움과 제약들이 있지만, 효과적인 지역학습을 위해서는 이러한 어려운 조건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에서 야외답사를 위한 지역이 선정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접근하기 쉽고 친숙하며 직접적인 경험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적당하며, 그러한 공간에서 다양한 지리적 개념들을 학습하고 지리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테마를 추출하여 답사를 수행한다면 학습효과 뿐만 아니라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애착심도 갖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야외답사는 오래 전부터 지리학 연구 및 지리교수 학습에 이용되어 왔다. 그래서 야외답사는 자연지리,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공간연구, 지역 연구와 더불어 지리학의 한 분야로 여겨지기도 했다. 더 나아가 야외답사가 없는 지리는 실험이 없는 과학과도 같이 볼 수 있다. ‘야외’는 지리의 실험실이고 학생들은 여기서 경관, 장소, 인간과 여러 쟁점들을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또 실제 상황에서 지리적 기능들을 학습할 수 있다. 학교의 지리수업에서 야외답사는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다른 교과 수업시간의 침해, 비용문제, 계획과 준비의 문제, 학교의 정책, 전문적인 기자재 부족 등의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지리학자들과 지리교육 전문가들은 지리교육에서 야외학습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야외답사의 목적, 교수․학습의 방법, 교육학적 쟁점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지역지리 학습을 위하여 지리수업에서 야외답사를 도입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야외답사는 야외교수(field teaching)와 야외조사(field research)로 구분된다. 전자는 설명식 수업에 가까운 형태로서 주로 교사에 의해 주도된다. 이는 교실에서의 지리적 화제, 주제의 학습, 현장에서의 관찰, 그리고 정보의 기록, 교실에서의 해설과 설명이라는 수업의 전개 과정을 포함한다. 후자는 탐구식 수업방식에 가까운 것으로서 주로 학생들 스스로 수행한다. 이는 교실수업이나 현장의 직접관찰에 의한 문제제기, 가설의 형성, 자료의 수집, 문제의 확인, 자료의 분석, 가설검증의 과정을 거친다. 본 연구의 사례지역은 우리나라 남해안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는 순천, 여수, 광양지역으로서 근대화 이후에 새로운 생활권이자 상호 연계적 성격이 높은 ‘광양만권’으로 불리는 지역이다. 이 지역은 내륙과 해안의 점이지대에 위치하여 해안과 반도, 내륙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며 다양한 자연환경적 특색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또한 산업화 이후에 급격한 지역변화를 겪고 있으며 최근에는 광양 컨테이너 항의 개항과 율촌 산업단지의 개발로 순천, 광양, 여수지역의 통합 광역시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인 곳이다. 본 논문에서는 각 지역이 지닌 독특한 자연환경과 인문적 특색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상호 연계성이 높은 이 지역을 사례로 야외답사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테마를 추출하여 답사설계를 함으로써 학생들의 일상생활에 근접한 지역지리 학습 및 야외답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