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슬롯 커넥터 및 용접접합 각형 CFT기둥의 내화성능

        조범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steel tube of a CFT column plays the role of the tie bars of an RC column and confines the concrete to improve its load capacity. The concrete inside the steel tube prevents the local buckling and lateral torsion of the tube. Complementing each other, the steel tube and the concrete form an efficient composite structure. The cross-section of a CFT column is smaller when compared with a steel column or an RC column. The efficient composite effect generated from the steel tube and the concrete improves lateral resistance, ductility and energy absorption. Thanks to the advantages, CFT columns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super-tall buildings. In addition, because the steel tube acts as a mold, a mold is not needed in constructing a CFT column and the process is simplified. Therefor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However, CFT columns have disadvantages, too. When a CFT column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as in the case of a fir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steel tube is deteriorated rapidly. Welding, which is an indispensable process in making a CFT column, deteriorates its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he brittleness of the weld zone is increased due to the structural changes of its surrounding part caused by rapid heating and rapid cooling during the process of welding, which can result in the brittle fracture of the steel tube when it undergoes multidirectional displacement caused by axial loads and thermal expansion. In addition, the existing equation for the fire resistance design of CFT columns has limits in the range of application and thus is not appropriate to large structures. In this study,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o identify influential factors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CFT columns, the level of the factors and the drawbacks of the existing fire resistance performance equation. In addition, full scale tests were conducted on weld-type CFT columns and slot-type CFT columns to evaluate their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nume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analysis model of the columns based on the test results to verify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columns. Based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database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ests & evaluation and numerical analyses, a fire resistance performance equation for practical application was suggest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equation was verified.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how to render fire resistance design technology for CFT columns practical. In chapter 1, the background and scope of this study are described. In chapter 2, studies on the fire resistance design of CFT columns conducted in Korea and overseas are reviewed and summarized. In chapter 3,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CFT columns is evaluated through tests. In chapter 4,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CFT columns is verified through numerical analyses. In chapter 5, a fire resistance design equation is suggested based on the database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full scale tests and numerical analyses and the reliability of the equation is verified. In chapter 6, a comprehensive conclusion is drawn on the results of the tests and analyses conducted in this study and the reliability of the suggested equ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was compared between the weld-type CFT columns and the slot-type CFT columns using stiffeners and slot connectors, which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weld-type CFT columns. The latter compared favorably with the former in terms of temperature-displacement relationship. 2) Finite element analyses conducted based on therm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provided in the Eurocodes and previous studies rationally predicted the results of the fire resistance tests conducted on the weld-type and slot-type CFT columns. And, the numerical analyses expanded the range of prediction and provided database for the range which cannot be realized with Korean or overseas test equipment. 3)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fire resistance performance equation and expand the range of application, database obtaine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full scale tests and the numerical analyses were analyzed and an equation was suggested with influential factors (diameter/length, ratio of concrete-steel tube cross-sectional areas, concrete strength and load ratio) taken into consideration. 4) In both the weld-type CFT columns and the slot-type CFT columns, the influence of slenderness ratio(D/L) and load ratio(LR) on fire resistance performance was twice as great as that of concrete strength(fck)and concrete-steel cross-sectional ratio(AC/AFS). CFT(Concrete Filled Steel Tube)기둥에서 외부 강관은 RC기둥의 띠철근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여 내부 콘크리트를 구속하는 효과가 있어 콘크리트의 내력상승을 유도하고, 강관 내부에 충전된 콘크리트는 강관의 국부좌굴 및 횡비틀림을 방지한다. 이처럼 강관과 콘크리트는 구조적으로 상호 보완하여 효율적인 합성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CFT기둥은 강구조나 RC구조에 비해 단면적 축소가 가능하며 강관과 콘크리트의 효율적인 합성작용에 의한 횡력 저항성능이 우수하고 연성과 에너지 흡수능력이 뛰어나 초고층 구조물의 내진성능에 유리하다. 또한 강관이 거푸집의 역할을 하여 시공 시 거푸집이 불필요하고 공정이 단순화 되어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이처럼 많은 장점들로 인하여 CFT기둥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들 이외에 강관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에서 발생하는 단점들도 존재한다. CFT기둥의 단점으로 논의되고 있는 요소들로는 외부강관이 화재와 같은 고온에 노출될 경우 강관의 구조적 성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는 점과 건축구조용으로 사용되는 강관을 제작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용접부으로 인해 내화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용접부는 용접공정 시 발생하는 급가열·급냉각으로 인해 주변부에서 조직변화가 발생하여 취성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화재 시 축하중 및 열팽창으로 인한 다방향 변형에 의하여 강관의 취성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CFT기둥의 내화설계를 위한 기존의 내화성능 산정식은 한정된 사용범위로 인하여 최근 대형화되고 있는 구조물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CFT기둥의 내화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및 수준과 CFT기둥의 기존 내화성능 산정식의 취약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용접형 CFT기둥 및 용접부를 제거한 슬롯형 CFT기둥의 내화성능에 대하여 실물실험을 통해 평가하고, 실험결과를 근거로 CFT기둥에 대한 고온 해석모델을 확보하여 수치해석을 통한 내화성능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실험검증 및 수치해석을 통해 확보된 CFT기둥의 내화성능에 관한 DB를 근거로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내화성능 산정식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CFT기둥의 내화성능설계 기술의 실용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범위를 기술하였으며, 2장에서는 국내외 CFT기둥 내화설계 관련 연구동향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실물실험을 통한 CFT기둥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으며, 4장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한 CFT기둥의 내화성능을 검증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수행한 선행연구 분석, 실물실험 및 수치해석 DB를 기반으로 내화성능 산정식을 제안하고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6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수행한 실험 및 해석결과 및 제안한 내화성능 산정식의 신뢰성에 대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용접형 CFT기둥의 구조성능 향상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스티프너와 슬롯 커넥터 접목한 슬롯형 CFT기둥의 내화성능을 검증한 결과 온도 및 변형에서 기존 용접형 CFT기둥에 비해 동등수준의 내화성능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수치해석을 통한 내화성능 검증을 위하여 유럽코드 및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열적&기계적 특성을 근거로 수행한 유한요소 해석은 용접형 및 슬롯형 CFT기둥의 내화실험 결과를 합리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수치해석을 통해 국내·외 실험장비에서 구현이 힘든 영역으로 확대하여 해석DB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확보한 고온 해석모델 및 DB는 대형화되고 있는 구조물의 내화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 기존의 한정된 범위내에서 적용 가능한 내화성능 예측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실물실험, 수치해석을 통해 확보한 DB를 분석하여 내화성능 영향인자[직경/길이, 콘크리트-강관 단면적비, 콘크리트 강도, 하중비]를 고려한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4) 제안한 내화성능 산정식에 대하여 각 영향인자별로의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용접형 및 슬롯형 CFT기둥 모두 세장비[D/L]와 하중비[LR]가 콘크리트 강도[fck]와 콘크리트-강재 단면적비[AC/AFS]에 비해 2배 이상 내화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제안한 내화성능 산정식에 대하여 신뢰성을 검증한 결과 예측값이 실험값이 +20% ∼ -40% 범위내로 예측될 확률이 용접형 CFT기둥의 경우 50%, 슬롯형 CFT기둥의 경우 71%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계수(α)를 통해 Fractile level을 조정하여 설계식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고무차륜 경전철의 타이어 펑크 감지시스템에 관한 연구

        조범연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경전철이 부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경전철의 고무차륜에 대한 안전성과 관리에 대해서 심각한 숙고가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고무차륜 경전철은 일본, 프랑스 등 국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부산4호선 및 의정부 경전철에 도입되어 상업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고무차륜 경전철은 철제차륜과 비교하여 곡선부에서 저소음, 저진동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차륜과 주행로 간 마찰저항이 우수하여 급구배 노선 등에 적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향후 지자체 확대 적용이 예상된다. 이와 같은 고무차륜 경전철은 대부분 무인운전으로 운영하고 있어 주행 중 타이어 펑크로 인한 운행중단, 승객대피 등의 예상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타이어 펑크 감지시스템 등의 안전설비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재 적용되고 있는 고무차륜 경전철 타이어 검지 시스템에 대한 분석 및 문제점을 언급하고 보다 발전된 고무차륜 경전철 타이어 펑크 감지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의 적용을 위해 단계 별 검증 시험을 진행 하였고 최종적으로 실차 장착 후 성능 및 동작 확인을 위한 시험 방안 제시 및 시험 방안에 대한 결론을 돌출 하였다.

      • 용접한 건축구조용 강재의 고온 시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조범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건축구조용 강재는 제조 및 생산기술의 발달로 더욱 고품질화 및 고강도화 되고 있다. 강재는 타 구조재료에 비해 조직이 균질하여 결함이 적으며 비강도가 매우 높다. 이러한 강재가 초고층 및 장스팬 건축물과 같은 대형건축물에 적용되면서 구조부재의 경량화와 유효공간의 증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강재는 화재와 같이 고온에 노출될 경우, 강도 및 탄성의 저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강재의 강도 및 탄성의 저하는 구조물의 붕괴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강재의 내화성능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지만, 강재를 건축구조물에 적용하는데 있어 필수공정인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부에 대한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용접부는 용접 금속(weld metal)과 열영향부(HAZ ; heat affected zone)로 구분할 수 있다. 건축구조물에 주로 사용되는 용융 용접에서 발생하는 고온은 열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온도분포 및 가열·냉각속도에 따라 강재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성질의 변화를 야기한다. 특히 급열·급랭의 용접공정에 따른 연성 및 인성 저하에 의하여 용접부재는 구조물의 취약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접한 건축구조용 강재의 고온 시 기계적 특성을 파악하여 강구조 내화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 건축구조물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강재인 SS400과 SM490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FCAW)하였다. 용접공정 후 SS400과 SM490의 용접부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용접이 강재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비용접부위와 용접부위에서 시험편을 채취하여 상온 및 고온에서 한국산업규격(KS)에 따라 탄성계수,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을 파악하여 용접한 건축구조용 강재의 고온 시 기계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인장시험 후 파단부의 미세조직 관찰 및 파단위치 추정을 통하여 용접부재의 취약부를 파악하였다. 본 논문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강재의 고온특성 및 용접부 미세조직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하였다. 제 3 장에서는 용접한 건축구조용 강재의 고온 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 및 실험방법에 대한 사항을 기술하였다. 제 4 장에서는 각 인자에 따른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결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용접부 미세조직의 페라이트:펄라이트의 체적 분율을 분석한 결과, 모재부의 경우 SS400이 82:18, SM490이 75:25로 나타났고, 부분 변태역·취화역의 경우 SS400이 72:28, SM490이 69:31로 모재부에 비해 펄라이트의 체적 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SS400의 인장실험결과, 600℃에서 용접부재의 항복강도는 항복강도 기준치의 75%로 허용치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장강도는 인장강도 기준치의 53%로 허용치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신율은 용접부재가 비용접부재에 비해 상온에서 61%, 600℃에서 82%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접부재의 파단은 페라이트:펄라이트 체적 분율을 분석한 결과 모재부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인장시험 전 용접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온시험편은 17.04㎜, 600℃시험편은 19.79㎜에서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3) SM490의 인장시험결과, 600℃에서 용접부재의 항복강도는 항복강도 기준치의 76%로 허용치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장강도는 인장강도 기준치의 61%로 허용치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신율은 용접부재가 비용접부재에 비해 상온에서 72%, 600℃에서 82%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접부재의 파단은 페라이트:펄라이트 체적 분율을 분석한 결과 모재부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인장시험 전 용접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온시험편은 16.85㎜, 600℃시험편은 17.00㎜에서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 韓國産 五加科 植物에 관한 本草學的 硏究

        조범연 圓光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산 오가과 식물에 대한 문헌적 고찰에 대해서 연구 조사를 시행하였다. 오가과 식물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55속 700여종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9속 26종으로 조사되었다. 총 9속에서 오갈피속 10종, 두릅나무속 6종, 엄나무속 4종, 황칠나무속 1종, 팔손이 나무속 1종, 송악속 1종, 인삼속 1종, 땃두릅나무속 1종, 통탈목속 1종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약제들이 약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총 26종 가운데 23종이 약용식물로 사용이 되었으며 근 18종, 근피 17종, 수피16종, 근경6종, 과실류 15종, 종자류11종 등으로 근 부위 사용 약물이 가장 많았다. 성미 귀경 상으로 조사한 결과 온성약물이 15종, 평성약물11종, 양성약물이 7종, 한성약물이 3종 등으로 나타났다. 오가과 식물의 귀경을 살펴보았을 때 간경락이 17종, 신경이 13종, 비경 9종, 폐경8종, 심경 6종, 위경 6종, 방광경 2종 등으로 나타났다. 효능면에서는 거풍습 17종, 활혈기능 17종, 보간신 기능이 10종, 강근골 작용이 8종 등으로 나타났다. 독성은 유독내지 소독의 경우가 4종, 무독이 16종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았을 때 오가과 식물의 경우 근류 약물이 가장 많았으며 임상에서는 풍습성 관절약화 증상이 있을 경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 印度 狀況 神學의 批判的 硏究 : 救援論 中心으로

        조범연 亞細亞聯合神學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Thesis is written as an effort to criticize the Indian Contextual Theology and develop effective methods to evangelize the Hindus in Indian area according to evangelical central truth. For this purpose I first studied the evangelical theology in ACTS Theological Synopsis as criterion of truth. In this investigation, we can infer the main concepts just like "reality of sin and universality of perdition", "seriousness of salvation", recovering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justification by faith as the basis of works righteousness", "a living faith" as central truth through the research of Calvin's and Wesleyan theology. Secondly, I researched the theory of Hinduism focused on soteriology(ways of salvation) and evaluated and criticized the reincarnation, yoga, caste system and pantheistic and syncretic salvation as preunderstanding of Indian Contextual Theology. Thirdly, I investigat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formation of Indian Christian Contextual Theology. I proposed the basis, meaning, direction, logics and trait of Indian Theology. In this chapter I proved that Indian Theology has been interwinded with Hinduism. Fourthly, I studied soteriology of Indian Contextual Theology based on four main theologians that are Brahmabandhab Upadhyaya - "jnana marga", A. J. Appasamy - "bhakti marga", P. Chenchia - "Theology of New Creation", M. M. Thomas - "karma marga" and classified their theologies into 8 subjects as soteriological subjects(authorities, man and sin, God, Christology, pneumatology, grace and sacrament, eternal life and conversion) and criticized their theology according to evangelical central truth. Fifthly, I evaluated their syncretic disposition and divided their syncretism into four parts just as inclusivism centered cosmic Christ, fulfillment, plural parallelism and hinduistic syncretism. Lastly, I proposed missiological points of contacts for the Indian Mission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Bible and Sanskritan Books(Vedas and Upanishads). For this Study I researched comparing the theories in the 7 parts which are God, World, Human, Sin, Sanctification, Savior, Power Encounter. One fact has emerged from the survey of Indian Theology that is the existence of two main 'strands' of thought, the advaita strand represented especially by Upadhyaya, and the personalist or theistic strand seen Appasamy, with the two strands tending to have mutually exclusive 'clusters' of ideas. Thus Upadhyaya's outlook inclines toward monism in which the transcendent unity of God is not impaired. He rejects the idea of avatara, which comes from the theistic strand, favours mysticism of the 'monistic Trinitarian' pattern rather than simple bhakti, and finds the distinction between God and the world in a version of maya rather than in a firm doctrine of creation. Appasamy on the other hand thinks of God primarily in personal terms, encourages Christian bhakti, welcomes the avatara idea as applied to Christ, and see the world as real. Indian Theology is being driven to an interwinding of two strands, a synthesis of jnana marga and bhakti marga, and indeed in their different ways Upadhyaya and Appasamy both seem to admit this possibility. Signs of this mingling can be seen in the interpretation of Saccidananda-Brahman as Trinity, leading to a development of the Logos-Cit idea; in the dialectical treatment of the nirguna-saguna polarity; in maintaining the equality of Brahman and Isvara while at the same time identifying Isvara with Christ. I proposed the Indian Christian Theology has to need two chief concerns. The first is to remain faithful to his experience and knowledge of Jesus Christ. Secondly, we must be concerned to interpret and proclaim ou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in such a way that other men may come to the same knowledge. In order to do this we must proclaim Christ and the significance of Christ in such a way that our contemporaries and compatriots may fully understand the message, and this involves us in the problems of effective communication and persuasive proclamation. I propose we need to make the biblical message so relevant to the Hindu's preunderstanding that he hears what the God has to say to him through the word. The some of the special emphases needed in India are Religious Authority(sruti, yukti, anubhava), Hindu-Advaita system(monistic), World and Reality(stemming from maya), Community Consciousness(stemming from Caste), Power Evangelism. I, however, assert that there are three aspects involved in any valid contextual theology. (1) Contextual Theology is the Contextualization of the biblical revelation - human fallenness and God as trustworthy. (2) Contextual Theology Depends on the Power and Presence of the Holy Spirit. (3) The Ultimate Goal of Evangelical Theology is Worship and the Glorification of God. Lastly, in the context of the Hindu notion kharma and the total lack of assurance of salvation, I believe the recovery of "justification by faith" and "central truth" is one of the greatest needs in the formulation of an Indian Christian Theology.

      • 産卵鷄의 成長過程에 따른 血淸成分 水準의 變化

        조범연 公州大學校 産業開發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neral performances of main characteristics at sexual maturity and the level of serum components according to growing stage from age at 70 days up to age at first egg in 16 layer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serum components were estimated for analysis of interaction on vitellogenesis at age of 70 days, 110 days, and sexual maturity,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Age at first egg, body weight, egg weight, shell weight, and shell thickness at first egg in Isabrown layers were 163.31±1.58days, 2,054.38±33.38g, 52.67±1.87g, 4.60±0.20g, and 0.34±0.01mm, respectively. 2. The contents of serum total protein, albumin, glucose, calcium, phosphorus, SGPT, and ALP increased highly significantly (P<0.01) according to increment of age. Cholesterol and SGOT had tendency to decreased from age of 70 days to that of 110 days, but increased highly significantly (P<0.01) at age of first egg, sexual maturity. The content of globulin decreased gradually highly significantly (P<0.01) according to increment of age up to sexual maturity. The serum CPK and LDH enzymes decreased very highly significanty(P<0.01) according to increment of age. 3. On growing chickens at age of 70 days, the content of serum total protein was high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1obulin(r=0.912), glucose (r=0.533),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albumin and CPK was significantly negative with coefficient of -0.461. The content of globulin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glucose(r=0.629), and CPK(r=0.593),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CPK and LDH was significantly negative with coefficient of -0.534. 4. On age at 110 days,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total protein and globulin was highly significantly positive coefficient with 0.826. The content of albumin was high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lobulin (r=-0.644), Phosphorus (r=0.602), and SGPT (r=0.456). The content of glucos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PK(r=0.533), and LDH (r=0. 57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LP and CPK was 0.508, significantly positive. 5. On age at first egg, the content of serum total protei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lobulin (r=0.887), and LDH(r=0.495), respectively. The correlations between albumin and globulin, between calcium and CPK, between phosphorus and ALP, and between SGOT and ALP were significantly negative with coefficients of -0.589, -0.542, -0.512, and-0.497, respectively. Otherwise, the content of CPK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LDH (r=0.483).

      • 槐花 물추출물의 일산화질소와 종양괴사인자 억제 효과

        조범연 圓光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8639

        槐花는 寒한 성질은 가진 약물로 지혈약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런 槐花의 성질이 염증 체계에서도 어떠한 작용을 하는 지 알아보기 위해 槐花의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槐花의 항염증 작용에 대해 보고하려고 한다. 염증 작용에 있어서 槐花 물 추출물의 작용을 알기 위해, 대식세포에서 lip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한 nitric oxide (NO), interleukin (IL)-1b, IL-6, tumor necrosis factor-a (TNF-a)와 그 조절 기전인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nuclear factor kappa b (NF-kB)를 조사해보았다. 괴화는 LPS로 유도한 NO와 TNF-a의 생성을 억제하였지만, IL-1b와 IL-6의 생성을 크게 억제하지 못했다. 槐花 물 추출물은 MAPK의 활성을 억제하였지만, NF-kB의 활성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또한 槐花는 LPS 및 cecal ligation and puncture (CLP)로 유도한 endotoxin shock을 미세하게 억제하였다. 결과적으로 槐花는 LPS로 유도한 NO와 TNF-a의 생성을 MAPKs를 통해 억제하였고 이는 in vivo에서도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이는 괴화 물 추출물이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Sophorae Immaturus Flos(SIF) has been known to play a role in hemostasi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from SIF on inflammatory situation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IF, We examined the cytokine productions including nitric oxide (NO), interleukin (IL)-1b,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 (TNF-a)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cells and also inhibitory mechanisms such a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nuclear factor kappa b (NF-kB) using Western blot. SIF inhibited LPS-induced production of NO, TNF-a significantly but not of IL-1b and IL-6 in RAW 264.7 cells. SIF inhibited the activation of MAPKs such as extracellu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1/2), c-Jun NH2-terminal kinase (JNK) and p38 but not of NF-kB in th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Also, SIF treatment slightly reduced the endotoxin shock induced by LPS and cecal ligation and puncture (CLP). In conclusion, SIF down-regulated LPS-induced NO and TNF-a productions via MAPKs, which could be a clinical basis for inflammatory diseases and sepsis.

      • UPPAAL을 사용한 CAN 데이터베이스 검증 프레임워크

        조범연 高麗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차량 내 네트워크인 CAN 네트워크에서는 여러 개의 제어기가 하나의 버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메시지 응답 시간의 지연이 불가피하다. 자동차는 대표적인 안전 필수 시스템 중 하나로, CAN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응답 시간이 지연되어 마감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운전자와 차량 전체의 안전성이 훼손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운전자 및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메시지는 응답 시간의 지연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메시지의 응답 시간이 마감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지 CAN 데이터베이스를 사전에 검증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 내 네트워크의 종단 간 메시지 응답 시간 보장에 대한 첫 번째 연구로써, CAN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응답 시간의 보장을 검증한다. 이를 위하여, 정형 명세 및 검증 도구인 UPPAAL과 CAN 데이터베이스로부터 UPPAAL 모델을 자동 생성하는 DBC2XML 컴포넌트로 구성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