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산어촌 소규모 중등학교 겸임교사제 운영에 관한 연구

        조미애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n idea to improve current system of concurrent teachers management in agricultural area, mountain & fishing village. For this reason, I set three presumptions. First, what is a self-recognition of concurrent teachers? Second, what is possible obstacle of concurrent teachers operation? Third, What is the most appropriate alternative for this system? For this, I made a research to those who are working in agricultural area, mountain & fishing village such as Hongchun, Hwahcheon, Yanggu, Injei, Chulwon, Hyoengsung, Youngwol, Pyngchang, and Jeongsun of 9 districts of Kangwon province, from which I drew out possible obstacles & its alternatives. I distributed 250 question sheets of 109 schools, of which I took 175 answer sheets of 78 schools, and classified it to solve the problem. The data I've got are as follows; 1. Present state of concurrent teachers. The present state of concurrent teachers in agricultural area, mountain & fishing village as follows. First, this system is more available in middle school than in high school, of which concurrent teachers who have more than 21 years experiences are majority. Second, frequency of two-subject teaching in order was fine arts, music, science, and allocation of teachers who are taking less than 14 class hours of their own school were mostly 4 hours or less for duty, rest of them are supporting one or two schools by commuting in 30 minutes distance. Third, motive of employment was mostly due to principal's recommendation, rest of them who have abundant experiences were for his own promotion or move personnel evaluation. 2. Possible obstacle of concurrent teachers operation Concurrent teachers operation is to improve class quality, stability of curriculum, but it needs to check up following obstacles. First, the ultimate goal is an employment for promotion, transfer, and personnel evaluation, some might have cynical recognition to this system. Second, concurrent teachers sometimes felt overload not only mentally but also physically. Many programs & teaching schedule were overlapping like events, student's life care, performance assessment, and another problem was lack of fixtures such as table, chair, and computer. teaching aids. Third, extent of student's task or performance achievement who are learning from two-job teachers is almost same or little lower comparing to the school of first option. It is not because of teacher's quality or intention, but because of lack of time to care. 3. Improvement plan for concurrent teachers system For the efficacy of this system asks us to prepare some side fixtures with special care such as related materials, tables, chairs, computers, private lockers. The 4 suggestions we should make are as follows; First, it is asked for concurrent teachers to take priority on special grade in which they are supposed to teach, both in their own school and in the school of second option. Second, teaching schedule of concurrent teachers must not overlapping, because they have a priority to serve their own school first like athletic meeting, picnic, and excursion trip. Third, big scale class must not given to some separated days in a row when they can teach in compact schedule, because it causes an extra burden for students. So class scale must go in accordance with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Fourth, to enhanc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concurrent teachers have to teach a whole day without turning back to their own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농산어촌 소규모 중등학교 겸임교사제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겸임교사제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겸임교사제에 대한 겸임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겸임교사제 운영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합리적인 겸임교사제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강원도 9개 군 지역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에 근무하는 겸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겸임교사 경험이 있는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109개 학교에 250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78개 학교에서 175부를 회수하였다.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겸임교사제 운영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겸임교사제 운영 현황 현재 강원도 농산어촌 소재의 소규모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겸임교사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가 고등학교에 비해 많이 운영되고 있으며, 겸임교사는 교직경력 21년 이상의 남교사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겸임교과목은 미술, 음악, 과학의 순으로 많으며, 수업시수는 소속교에서 '14시간미만', 겸임교에서 '4시간 이하'가 많고, 대부분 1개교로 겸임 지원을 하며 이동시간은 30분미만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용 동기는 겸임학교장의 요청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들은 승진·전보 등 인사점수를 위해 본인이 희망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2. 겸임교사제 운영의 문제점 겸임교사 제도는 과목상치 해소와 교수학습의 질 향상, 학교 교육과정의 정상화에 효과가 있다고 대부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이 제도의 운영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첫째, 승진·전보 등 인사점수를 획득하기 위한 임용이 제도 본래의 목적을 다소 훼손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겸임교사들은 교과지도 및 업무 수행에 심리적으로 부담감을 많이 느끼며 소속교와 학사 일정이 달라 소속교 행사 불참, 생활지도 및 수행평가의 어려움, 책상 및 컴퓨터 사용 등이 겸임교에서 불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과제수행 정도와 학업성취도는 겸임교에 비해 소속교가 더 잘하거나 비슷하다고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원인은 학생들이 겸임교사들을 소속교 교사들과 다르게 인식하는 것과 개별지도 시간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3. 겸임교사제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 효율적인 겸임교사제 운영을 위해서는 가까운 학교와의 근무를 기본으로 교수·학습에 필요한 자료 및 책상, 컴퓨터, 사물함 등 근무 여건을 제공하고 업무 분장 시 세심한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겸임교사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되 교사들이 공감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의견수렴과정이 필요하다. 아울러 겸임교사제 개선을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 방안에 대해 겸임교사들이 보여준 반응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겸임교사의 교재연구 부담을 줄이기 위해 소속교와 겸임교에서 동일한 학년을 지도하도록 희망학년을 우선 배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겸임교사가 체육대회, 소풍, 수학여행 등 소속교 행사에 불참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소속교와 겸임교의 학사일정을 같게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단위수가 큰 교과는 겸임근무 일수가 많아지든지 또는 하루에 동일한 학급을 여러 시간 몰아서 지도해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가중되므로 단위수가 적은 교과들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소속교로 복귀하지 않고 겸임교에서 종일 근무하며 학생들을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 아파트 분양시장에서의 시장 선점효과 연구

        조미애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0년대에는 수도권 2기 신도시 개발을 비롯해 전국의 수많은 택지에서 지속적으로 주택이 공급되었고 아울러 2008년 세계적인 금융위기로 집값 하락에 대한 불안감이 심화되면서 아파트에 대한 인식이 자산가치로서의 개념보다 실거주 위주로 변화하여 주택시장의 수요층이 더욱 감소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주택시장의 흐름으로 인해 아파트 분양시장에서 건설업체들은 동종 경쟁업체와의 사이에서 수요를 선점하여 분양성과를 높이기 위해 치열한 분양마케팅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분양시장에서 경쟁 분양단지보다 분양시기를 선점할 경우, 분양성과인 분양률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모형으로 구축된 독립변수는 동일지역 내에서 분양한 아파트단지의 분양개시 시점간의 차이를 일수로 계산한 피선점일수와 선행연구에서 분양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된 생활환경, 평당분양가, 개발계획, 1순위 청약경쟁률,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이며, 분양개시 후 30일간의 분양률과 90일간의 분양률에 대하여 분양시기의 선점을 비롯하여 각각의 독립변수들이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분양개시 후 30일간의 분양률에 미치는 각각의 변수들의 영향력의 우선순위는 첫째로 분양단지가 신도시에 속하거나 인접한 지역의 개발계획인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로 분양시기의 피선점일수가 높을수록, 즉 분양시기가 늦을수록 분양률에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분양시장에서 분양시기를 선점함으로써 분양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평당 분양가격이 낮을수록 분양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넷째로 1순위 청약경쟁률이 높을수록, 다섯째로 분양단지 주변에 생활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생활환경이 양호할수록 분양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는 분양개시 월의 해당지역의 전월대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가 높을수록 분양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서 분양개시 후 90일간의 분양률에 미치는 각각의 변수들의 영향력은 첫째로 평당 분양가격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고, 둘째로 개발계획이, 셋째로 분양시기의 피선점일수가 차지해 분양개시 후 30일간의 분양률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분양시기 선점의 영향력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넷째로 1순위 청약경쟁률이 높을수록 분양률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환경과 전월대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90일간의 분양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분양시장에서 시장선점은 30일간의 분양률과 90일간의 분양률에 각각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에 대해서는 분양개시 후 30일간의 경우에 시장선점효과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개시 후 90일간 경우에서 시장선점효과가 30일간의 경우보다 낮아진 것은 동일지역 내에서 경쟁 분양단지의 출현으로 수요가 일부 이탈됨을 시사하기 때문에 분양시기를 선점하더라도 분양 100% 달성을 위해서는 사후 마케팅을 충실히 하여 후발로 분양하는 단지로 수요가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모아심리운동놀이가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조미애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발달지체영아는 전반적인 영역에서 나타나는 발달상의 문제로 인해 1차적인 사회적 상호작용대상인 어머니와의 부적절한 상호작용을 경험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유희적인 활동들을 통해 영아와 어머니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중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영아와 어머니의 움직임 놀이를 통해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데 중점을 둔 중재인 모아심리운동놀이가 발달지체영아들의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매개자인 어머니가 자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놀이방법을 습득하도록 하여 발달지체영아의 발달을 이해하고 이후의 성장과정 속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이루어 나갈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내에서 조기교육서비스를 받고 있는 만 2세에서 3세 사이의 발달지체영아와 주 양육자인 어머니 3팀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2~3회의 중재와 관찰을 실시하였고 1회기 중재 시간은 80분으로 이전 회기 피드백과 심리운동놀이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 중 대상자별 AB설계로 2010년 3월부터 5월까지 기초선 과 중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모든 중재가 종료된 후, 2주 후부터 유지관찰을 실시하여 발달지체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아심리운동놀이를 통해 발달지체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시작행동의 발생빈도수가 증가하였다. 둘째, 모아심리운동놀이를 통해 발달지체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반응행동의 발생빈도수가 증가하였다. 셋째, 모아심리운동놀이를 통해 증가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중재가 종결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와 같이 모아심리운동놀이가 발달지체영아에게는 심리운동놀이의 자율적이고 유희적인 다양하고 충분한 경험 속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고 어머니에게는 자녀와의 즐거운 놀이 경험과 영아의 놀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자녀의 발달을 이해하고 적절한 상호작용 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가와 유지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모아심리운동놀이는 개별화 가족 서비스 계획(IFSP)을 위한 조기 중재프로그램으로 가정이나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심리운동놀이는 유희적인 신체움직임 활동을 통해 발달지체영아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었으며,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는 발달지체영아와 어머니의 자발적인 참여로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자폐아동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강점관점을 중심으로

        조미애 강남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폐아동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 향상을 위해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욕구를 발견하고 이를 근거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먼저, 사전조사를 통해 발견된 아버지의 대표적인 욕구는 첫째, 장애에 대한 이해와 아버지 역할 인식, 둘째, 자녀 양육에 대한 사실적 정보와 교육 필요성, 셋째, 긍정적인 자아상으로서의 전환 아버지의 자존감 향상, 넷째, 자조모임의 활성화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서울ㆍ경기 소재 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장애인 가족 지원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장애인 가족 대상 프로그램이 문제행동 수정이나 양육스트레스 감소,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접근에 치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장애로 인한 문제나 어려움에 집중되어있는 관점을 변화시켜 강점관점을 본 프로그램의 기본 관점으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 프로그램은 1차적으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최종 수정ㆍ보완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최종 완성된 프로그램은 총 4회기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실시는 11월 21일, 28일(매주 일요일) 2주간 안산의 A교회에서 약 2시간 ~ 2시간 30분 동안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실시 결과, 첫째, 아버지 스스로 자신에게 변화가 생겼다는 사실을 깨닫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둘째, 자녀 양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관점의 변화임을 깨닫고, 그에 따른 실천을 다짐하였다. 그리고 관점이 변화하고 충분한 동기가 부여된 만큼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향후 양육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함의는 첫째, 아버지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정형화된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아버지 스스로가 프로그램의 흐름을 이끌고, 변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구상해야 한다. 둘째, 이성보다는 동성의 진행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더 진솔하고 역동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것이다. 셋째, 아버지 프로그램에 있어서 성공적인 사례를 제시해 주고, 시청각자료를 통해 본인의 입장에서 느끼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은 아버지에게 그동안 자신이 고민해 온 여러 상황들이 결코 혼자만의 고민이 아님을 느끼게 해주며,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갖게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넷째, 아버지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어머니들과의 긴밀한 연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프로그램 구성에서 가족초청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진행하여, 자연스럽게 아버지에서 시작한 프로그램이 가족까지 확대되는 효과를 유도한다. 여섯째, 본 프로그램이 사례관리 단계를 인용하여 각 단계에 따른 프로그램을 구성했기 때문에 아버지가 자신을 바라보는 기초단계에서부터 자녀 가족까지 확장시키는 과정을 이어서 진행한다면 더 효과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일곱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아버지 지원을 위한 다각적이고 실질적인 후속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imate the effect of a program which is for the improvement of nurture attitude of fathers of autistic children. To fulfill such purpose I performed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 to investigate what are the needs of the fathers that affect nurture attitude to their children. The important needs of the fathers were first, the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nd role of father, second, the necessity of realistic informations and educations on child-rearing, thir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father, forth, the vitalization of mother meeting. And the result of research of the program for the support of families of the disabled is that most of the programs were concentrated on modification of problem behavior, modification of nurture stress and improvement of nurture-efficacy. So I selected the strengths perspective of the program to change the viewpoint on the disability and the disabled, and complete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made up of 4 sessions and was implemented for about 2 hours at J church in Ansan city on 21th and 28th November. The results of the implementing of the program are first, fathers realized that they were changed and they put a meaning to participating the program, second, they realize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hild-rearing is changing of perspective, so they resolved appropriate child-rearing practice and made detailed pla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in the formation of program for fathers of autistic children not standardized program but flexible program which fathers can lead and change is demanded, second, it is more effective to introduce the program by the opposite sex to the participants because dynamic of the program is increased, third, to present successful cases, and to share the feelings and ideas with each other can contribute fathers to having new hope that they are no more left alone, forth, it is necessary to be closely connected with mother, fifth, family invitation program is to be composed more detailed so that father-centered program is expanded naturally to family-centerd program, sixth, because this program is made by using the phases of case management, if the program is to implemented from the phase of self-view to the phase of children and family, the effect of the program will be increased. last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multilateral and actual program is to be developed.

      • 취업알선제도를 통한 수형자의 효율적인 재범방지 방안에 관한 연구

        조미애 경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정부수립 후인 1950년에 국내최초로 “행형법(법률 제105호)”을 제정하여 민 주교육 행형법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그 후 7차례에 걸쳐 행형법 개정을 하여 수용자 인권신장과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각종 제도를 확대하였고, 수용자들의 환경 개선 및 다양한 처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2009년에는 “수형자 취업 및 창업지원 업무 지침”을 제정하여 2010년부터 전국의 모든 교 정시설에 수형자 취업지원협의회와 취업 및 창업지원 전담반을 구성해 운영하 는 등 출소자들의 재범방지를 위한 취업알선제도를 전국적으로 운영해 오고 있 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를 운영해 온 기간이 기간이 오래 되지 않아 지금까지도 기초단계에 머물러있다고 할 수가 있어 부족한 점과 문제점이 내제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현재 교정시설에서 시행되고 있는 취업알선 제도의 전반적 인 운영 실태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관련규정 과 제도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복역 후 잔형기가 3개월 미만인 출소예정자 김천소년 교도소 50명, 대구교도소 50명과, 취업지원협의회 위원 김천소년교도소 위원 10명, 대구교도소 위원 10명, 상주교도소 위원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재범률과 취업알선 제 도상의 실질적인 문제점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그런 후 취업훈련과 관련된 규정을 통해 취업알선제도상의 문제점과 설문조 사를 통한 실질적인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고려한 종합 적이고 체계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결과 관련규정 및 제도상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교육대상자선정에 있어 수형자의 개별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는 점과 그에 따른 직업훈련교육의 다양 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교육시간 부족과 교육지원 협력이 필요하며 셋 째, 교육교화와 연계한 취업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넷째, 출소예정자 채용 기업의 확대와 다섯째, 출소자들에게 주거 및 생활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다. 출소예정자와 취업지원협의회 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들이 생각하는 취업알선제도의 실제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전과자에 대 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이라는 것이다. 둘째, 맞춤형 취업알선 프로그램의 개 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며 셋째, 직업훈련과 취업알선 연계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 다. 넷째, 출소자들의 취업알선을 통해 취업이 이루어질 때 그들의 연고지를 고 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직업훈련교육과 취업상담을 통한 취업기회의 확 대이다. 마지막으로는 출소자들이 취업 후 안정된 사회정착을 위해 인적자원 연 계하여 사후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먼저 출소자들을 바라보는 사회전반의 부정 적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이는 수형자 자신의 노력과, 정부의 실질적이고 국 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추진과, 일반인들의 적극적인 동 참이 이루어질 때 출소자들을 바라보는 사회의 부정적 인식이 조금씩 바뀌게 될 것이다. 또한 전국의 교정시설에서는 출소자들의 재범방지와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위한 취업알선에 사전 준비과정을 이행한다는 차원에서 교육 ․ 교화와 직업훈련 을 취업알선과 연계시켜 수형자들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 흥미를 고려하여 내실 있게 추진을 하고, 정부에서는 사회적 기업의 확충과, 출소예정자 고용업주에게 지원혜택을 강화하여 구인업체의 참여도를 확대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수형자들이 수형생활 중에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그리고 출소 후 구직에 도움이 되는 업종에 관한 기술습득을 바탕으로 심층적인 취업상담이 이루어져 취업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하고,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과 같은 기관에서는 출소 자들이 구직을 한 후에도 온전하게 사회에 정착할 때까지 지역사회의 사회복지 사, 직업상담사, 자원봉사자 등을 활용해 따뜻하고 인간적인 관심을 갖고 이들 에 대한 지속적인 숙식제공과, 상담과 지도를 하는 등의 사후관리가 이루어지 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출소자들의 안정된 주거와 정상적인생활기반을 꾸려 나 갈 수 있게 도움을 준다면, 출소자들이 성공적으로 사회에 복귀할 수 있으며 삶 의 질도 높아져 재범의 유혹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교정시설을 출입하는 교정위원의 일원이자 취업지원협의회 위원으 로서 교정시설에서 시행하고 있는 취업알선 제도가 제대로 정착이 되고 좀 더 발전하는데 미력하나마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에서 비 롯된 것인 만큼, 이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와 범국가적 노력으로 출소자들에게 도 희망찬 내일과 밝은 미래를 보장받는 따듯한 사회가 하루빨리 실현되길 바 라며 논문을 마무리한다.

      • 동사불변화사 결합구조에 관한 연구

        조미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사-불변화사 결합구조란 drink up, dispose of, get away with 등과 같이 동사와 그러한 불변화사가 결합하여 통사적, 의미적으로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것을 일컫는다. 그리고 동사-불변화사 결합구조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는 불변화사는 동사와 결합하여 동사 단독의 뜻 이상의 의미를 지니는 하나의 단위를 구성하게 하며, 어형의 변화 없이 문법적 기능을 하는 특정 부사나 전치사이다. 본 연구는 근대적 동사-불변화사 결합구조의 기원과 발달과정을 통시적, 공시적 고찰을 통해 생성요인을 파악해보고 그 통사적, 의미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EFL 학습자들에게 동사-불변화사 결합구조에 대한 이해를 도와 영어학습을 돕고자 한다.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목적을 밝힌다. Ⅱ장에서는 먼저 동사-불변화사 결합구조와 불변화사의 정의를 밝히고 근대적 동사-불변화사 결합구조의 기원과 발달과정을 통시적, 공시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생성요인을 파악한다. Ⅲ장에서는 불변화사의 범주를 품사별로 분류하고 각 범주의 성격을 파악한 다음, 학자들마다 상이한 불변화사의 품사 구별기준을 살펴본다. Ⅳ장에서는 동사-불변화사 결합구조의 전반적인 특성을 검토해본다. 먼저, 동사-불변화사 결합구조의 통사적, 의미적 특성을 살펴보고, 불변화사의 품사별 범주와 동사의 성격에 따라 6개의 유형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동사와 불변화사의 결합에 있어 결합빈도가 높은 동사와 불변화사의 종류와 성격 등을 살펴 본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고 결론을 맺는다. The Verb-Particle Combination consists of a verb followed by a function word that functions either as a preposition or an adverb and comprises a single unit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like 'drink up' 'dispose of', and 'get along with'. The particles are 'adverbs' or 'prepositions' that have no formal changes and have grammatical fun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b-Particle Combination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by examining its origin and developmental process and clarifying the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le and the semantic features of verb. In chapter Ⅰ, the purpose, the significance, and the organization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chapter Ⅱ, the definition of particle and the origin of the Verb-Particle Combination in modem English are introduced and a variety of factors that the Verb-Particle Combination is generated from are analyzed diachronically and synchronically by examining its morphological process. In chapter Ⅲ, the categories of particle are classified, their distinctive traits are examined and then criteria of the classification suggested by many linguists are introduced. In chapter Ⅳ,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Verb-Particle Combination are examined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second, the Verb-Particle Combination is divided into six types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particle and the semantic feature of verb.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se types are reexamined from a syntactic, semantic point of view. Finally, the kinds of verb and particle that are in high frequency of use are introduced. In chapter Ⅴ, the whole study is summed up and concluded pointing out weakness of this study.

      • 견갑골 설정(Scapula Setting)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조미애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capula setting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of stoke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1 November 2010 to 18 March 2011, and progressed in Hospital H located in Ansan, Chungnan.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hat our researchers classified 30 patients diagnosed as stroke, and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 selection criteria, into 15 patients of test group, who are subject to interventional procedure of scapula setting and other 15 patients of control group who are subject to interventional procedure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hen tested them for each 30 minutes of total five times during six weeks. To compare the paralytic upper extremity function of both group was assessed using MMAS and MFT, FIM was applied for evaluation of ADL performance ability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paralytic upper extremity functions of chronic stroke patien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terventions between the scapula setting group and occupational therapy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5), and the paralytic upper extremity functions of the scapula setting group were enha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occupational therapy group(p< .05). Second, the ADL performance ability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terventions of the scapula setting group and occupational therapy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5), and the of ADL performance ability of the scapula setting group was enha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occupational therapy group(p< .05). These the results it could be known that the scapula setting enhances the paralytic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DL performance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s. As a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scapula setting will be usefully applied to occupational therapists in clinic treatments as a treatment method for enhancing the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DL performance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s, and in the future, functional and various program studies should be conducted rather than simple task studie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asks according to functional levels of patients.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견갑골 설정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0년 11월 1일부터 2011년 3월 18일까지 충남 아산에 소재한 H병원에서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에 따라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견갑골 설정 중재를 받는 실험군 15명, 전통적 작업치료 중재를 받는 대조군 15명으로 나누어 6주간 주 5회 30분씩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후의 마비측 상지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MMAS와 MFT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FIM을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견갑골 설정 집단과 전통적 작업치료 집단의 치료 중재 전·후 만성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05), 견갑골 설정 집단이 전통적 작업치료 집단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마비측 상지기능이 향상되었다(p< .05). 둘째, 견갑골 설정 집단과 전통적 작업치료 집단의 치료 중재 전·후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05), 견갑골 설정 집단이 전통적 작업치료 집단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p< .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견갑골 설정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향상 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견갑골 설정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방법으로써 작업치료사들이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단순한 과제 수행보다는 기능적이며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환자의 기능 수준에 맞는 다양한 과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