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어머니와 결혼이주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 비교

        조미선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한국인 어머니와 결혼이주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 비교 조 미 선 유아특수교육전공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한국인 어머니와 결혼이주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을 비교함으로써 환경적 장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보다 안정적인 발달환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전라북도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인 어머니 85명과 결혼이주 어머니 9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어머니와 결혼이주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태도는 연령, 학력,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 거주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가족소득, 양육지원,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한국인 어머니와 결혼이주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양육행동은 연령,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 거주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력, 가족소득, 양육지원,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의 안정적인 발달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결혼이주 어머니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시사되었으며 향후 결혼이주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맞춤형 지원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 Comparison of Parenting Attitudes & Parenting Behaviors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between Korean Mothers and Married Immigrant Mothers Jo Mi-seon Major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ore suitable development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classified as environmental disabilities risk group by comparis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ing behaviors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between Korean mothers and married immigrant mothers. For this purpose a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Korean mothers 85 people and married immigrant mothers 92 people who both of their early children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located in North Jeolla Province.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ing attitudes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between Korean mothers and married immigrant moth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al background, Korea residence period of married immigrant mothers, but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s income, parenting support and the level of Korean of married immigrant mothers. Second, parenting behaviors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between Korean mothers and married immigrant moth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Korea residence period of married immigrant mothers, but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family's income, parenting support and the level of Korean of married immigrant mothers. From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support for married immigrant mothers to provide a suitable development environment for the earl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suggested, and a needed basic data was suggested for providing future custom support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of married immigrant mothers.

      • 코로나19 이후 아동병원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환아 간호의도 영향요인

        조미선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코로나19 이후 아동병원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환아 간호의도 영향 요인 제 출 자 : 조미선 지도교수 : 김선희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아동병원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환아 감염관리 피로도, 환아부모와의 파트너십, 감염예방환경 및 간호의도를 파악하고, 간 호사의 신종감염병 환아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 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6개 아동병원에서 최소 3개월 이상 근무 하고 있는 간호사 163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23년 8월 24일부터 2023년 9월 20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최종 161부를 분 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유혜라(2005)가 개발하고 이지연(2017)이 수정·보완한 신종감 염병 환자 간호의도, 구효훈(2017)이 개발하고 권계현(2023)이 수정·보완한 감염관리 피로도, 최미영과 방경숙(2013)이 개발한 환아부모와의 파트너십, 한은옥(2009)이 개발하고 안진선(2015)이 수정·보완한 감염예방환경을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nter)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감염관리 피로도는 111.79±14.77점(범위: 32-160점), 환아부모와 의 파트너십은 135.95±17.90점(범위: 34-170점), 감염예방환경은 43.72±7.37점(범위: 5-55점), 간호의도는 12.23±4.70점(범위: 3-21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종감염병 환아 간호의도는 결혼상태(t=3.97, p<.001), 자녀유무(t=-3.52, p<.001), 최종학력(F=5.85, p=.004), 병원근무경 력(F=3.58, p=.01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미혼인 경우와 자녀가 없 는 경우 및 최종학력이 석사 이상인 경우 간호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근무경력이 3년 미만인 경우가 3년 이상 5년 미만, 5년 이상 10년 미 만, 10년 이상인 경우 보다 높았다. 3. 신종감염병 환아 간호의도는 감염관리 피로도(r=-.20, p=.010)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환아부모와의 파트너십, 감염예방환경과는 유 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4. 신종감염병 환아 간호의도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학사졸업(β=.19, p=.028) 과 감염관리 피로도(β=-.16, p=.032)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3.0%였다(Adjusted R2=.13, F=4.95, p<.001).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아동병원 간호사의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 치는 중요한 영향요인은 감염관리 피로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코로나19 이 후에도 언제라도 신종감염병의 재출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서는 간호사의 감염관리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물리적, 제도적 방안 마련이 필수적이다. 또한 신종감염병 환아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규명하는 후속연구 및 간호의도를 높일 수 있은 중재 프로그램 개발 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신종감염병, 감염관리 피로도, 환아부모와의 파트너십, 감염예방환 경, 간호의도

      • 열린 구조적 공간에서 경계와 움직임을 통한 장소적 의미 생성 연구 : 알도 반 아이크와 SANAA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미선 숭실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건축에서는 다원화된 현대 사회의 현상들과 다양한 인간의 삶을 공간에 담아내고자 활발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현대의 건축 공간은 근대 건축의 연장선으로 계획되어진 획일적 공간에서 벗어나 인간과의 관계맺음을 통해 공간의 의미를 생성해내고, 이로써 잃어버렸던 장소를 찾고자 한다. 근대 건축 공간은 이성과 합리에 의한 보편적 공간을 추구함에 따라 개인의 취향이나 우발적이고 가변적인 인간의 삶을 담지 못하였고, 결국 장소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1960년대 CIAM의 해체와 TEAM Ⅹ의 부상을 기점으로 인간과 장소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끊임없이 진행되었으며, 이는 여전히 현대의 공간에서도 많은 건축가들이 고민하는 건축 공간의 근본적 물음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TEAM Ⅹ의 일원인 알도 반 아이크는 획일적이며 확정된 체계에 의해 계획되는 근대 건축 공간을 거부하며 주체의 개입과 참여를 통해 장소의 의미가 생성 가능한 열린 구조적 공간 환경을 계획하였다. 동일한 흐름의 연장선에서 SANAA는 모더니즘의 건축적 관습을 거부하며 기능적 프로그램의 위계에 반문을 던진다. SANAA 또한 주체의 해석 여지를 남겨두는 열린 구조적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의미 있는 장소를 구현하였다. 장소 형성에 있어 주체의 개입은 필수적이고 직접적인 매개체이며, 알도 반 아이크와 SANAA는 이를 가능케 하는 열린 구조적 환경을 통해 장소의 의미를 생성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알도 반 아이크 및 SANAA의 사상적 배경, 건축적 개념, 건축적 모델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들의 공통적 건축관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건축관을 토대로 열린 구조적 특성이 그들의 작품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었는가를 비교분석하였다. 작품 사례는 주요 장소 형성 요소인 경계와 움직임의 두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열린 구조적 가치가 드러나는 그들의 장소 형성 수법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알도 반 아이크와 SANAA의 열린 구조적 가치 추구가 공간의 의미를 생성하는 촉진제로서 작용하는 바, 실제 그들이 공간을 구현해내는데 있어 어떠한 방식으로 경계와 움직임을 다루고 있는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인간 주체와 공간 간의 관계를 통해 의미를 생성해내는 열린 구조적 공간의 내재적 가치를 파악하였으며, 이는 인간과 공간디자인이 끊임없이 풀어나가야 하는 장소의 근원적 물음의 한 제안으로써 현대 건축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공간의 의미 찾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re are many attempts to include multiplicate social phenomena and diverse aspects of human life in place. Space of present-day architecture resists standardization of spaces which is same context with modern architecture. So it tries to regain place which was lost in modern architecture through relating with human and making meaning of space. Modern architecture introduced the concept of space based on rationality and universality of reason. It denied individual’s taste and welcomed standardization and functionality. Consequently, space of modern architecture followed the logic of industry and ignored the request of human existence. This tendency still continues under the name of formal experiments. And the desolation of architectural space which is called placelessness is another face of those formal recipes. In 1960s, from the point of CIAM being dissolved by TEAM Ⅹ, These has been discussion about relation between human and place. There is still a problem nowadays which is, architects concerning about the fundamental question of space. In this vein, Aldo van Eyck and SANAA suggested criticism and doubt on such modern practice. Aldo van Eyck, member of TEAM Ⅹ, designed an open structural space that human could make a meaning of place through their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SANAA, also composed the open structural space that gives plenty of scope of human interpretation, which realized a meaningful place. They construct new places where individuals can involve in many different ways. These engagements give meanings to place. The place can be analyzed in terms of boundary and movement. This research considers Aldo van Eyck and SANAA’s common architectural values through their thinking background, architectural concept and architectural model.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how Aldo van Eyck and SANAA made meaningful places in their works and compares the places from the boundary and movement. They made meaning of place intrinsic in the open structural space. As a result, a place still exists in current society. In other words,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not placelessness but place, which is full of events.

      • 웹툰형 네이티브 광고의 광고 고지 시점 및 자조적 소구에 따른 수용자 반응 연구 : 인스타그램 브랜드툰을 중심으로

        조미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Rising digital marketing era recently, various forms of online advertising have emerged. Native advertising, which naturally melts into the online platform is a new method to avoid disrupting potential customers' digital experiences as much as possible. However, these native ads are different from general advertorial-type ads that do not reveal that they are advertisements at all, given that they are integrated within the platform and must state that the content itself is an advertisement. This has led to a growing study of the clarity that native advertising should show its ‘advertising-ness’ properly. In particular, because it is policy imperative to declare that a native ad is an ad, research has been growing into how it should be notified and how it should be stated that a native ad is an advertisemen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appropriate advertising disclosure strategies in native advertising, taking into account the diversified digital advertising market environment. We focus on not only disclosure point (when), but also disclosure message type (how). For that, we use self-deprecating marketing message to study the effect of ad disclosure for emotional aspect.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research using social network-based Instagram brand-webtoon that enabled the benefits of native advertising, the advantages of storytelling, and interaction with readers. Three-way factor experimental designed (Point of ad disclosure (beginning/middle) x Self-deprecating appeal of Message (Including/Un-including) x product type (utilitarian /hedonic)) to estimate perceived knowledge and empathy of advertising. The result suggested that when position of ad intention persuasion placed on the beginning of contents, persuasive knowledge was decreasing. And self-deprecating message contributes increasing empathy of advertising. Also, media involvement was founded as important moderating variable. Given the direct impact of persuasion knowledge and advertising empathy on advertising attitudes, this study seeks to assert that a desirable advertising intent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as a factor that creates positive attitude toward current advertising era. 최근 디지털 마케팅 시대의 도래 속에서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광고가 대두되고 있다. 이 중 잠재 고객들의 온라인 경험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기 위해 플랫폼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네이티브 광고는 시장에서 꾸준히 주목받고 있다. 네이티브 광고는 플랫폼 속에 융화됨과 동시에 반드시 해당 컨텐츠 자체가 광고임을 명시해야 한다는 점에서 광고임을 전혀 드러내지 않는 일반적인 애드버토리얼(Advertorial) 광고와 차별점을 보인다. 이에 최근에는 네이티브 광고가 광고임을 어떻게 드러내는 것이 효과적일지를 살펴보는 광고 고지 방식 및 명시 전략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연구들은 주로 명시 위치나 후원을 표기하는 라벨(label) 유형에 집중되었고 연구 매체 역시 뉴스 플랫폼에 한정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변화된 디지털 광고 시장 환경을 고려하여 네이티브 광고의 적절한 광고 고지 전략을 다차원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광고 고지 시점 및 광고 고지 메시지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고, 이에 따른 수용자 반응을 인지된 설득 지식과 광고 공감이라는 변수를 통해 측정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광고 태도와 온라인 공유 의도에 미치는 최종 효과를 확인한다. 연구 매체는 네이티브 광고가 갖는 스토리텔링의 장점과 독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인스타그램 브랜드툰을 선정하였으며 집단 별 비교를 위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광고 고지 시점 (최초/사후) X 광고 고지 메시지의 자조적 소구 (포함/비포함) X 광고 상품 유형 (실용재/쾌락재)의 삼원 요인 실험 설계를 진행하고, 총 8개 그룹, 240명의 피실험자들을 대상으로 네이티브 광고 컨텐츠에 대한 인지된 설득 지식과 광고 공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고 고지를 최초부터 할 경우 실험자들의 설득 지식을 낮추었으며, 자조적으로 광고임을 밝히는 감성적 광고 고지 메시지가 포함될 경우 광고 공감이 높아졌다. 이 때 웹툰 매체에 대한 관여도가 높을수록 영향력이 커지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광고 고지 시점과 자조적 소구 간 상호작용이 발생했다. 설득 지식과 광고 공감이 직접적으로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였을 때, 본 연구는 네이티브 광고가 수용자의 설득 지식 점화를 낮추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다양한 요소를 반영한 적절한 광고 고지 전략을 세워야 함을 제시한다.

      • 철자 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읽기 부진아의 개별화 지도 사례 연구

        조미선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읽기 부진아 중 쓰기 수준이 현저히 뒤처진 아이를 대상으로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철자 쓰기를 지도한 사례 연구이다.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을 활용한 철자 쓰기 지도의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래보다 읽기 발달이 늦으며 철자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총 110회의 개별화 교육을 실시하였고 그 과정과 결과에 대해 질적으로 기술하고 성찰하였다. 1차 지도에서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 수업 패턴대로 학습자에게 적용하여 지도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읽기 능력은 발달하였고 글쓰기에 대한 태도도 좋아지는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철자 쓰기에 있어서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2차 지도에서는 학습자의 음소 인식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철자 쓰기 지도를 강화하고 유의미한 맥락 속에서 읽기와 쓰기를 함께 지도하였다. 1, 2차 지도를 통해 읽기 발달이 늦으며 철자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습자는 철자 쓰기 능력 발달뿐만 아니라 가속화된 읽기 발달까지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철자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을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도했을 때 아이의 쓰기 능력 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학생들의 읽기 및 쓰기 능력을 정확하게 관찰한 후 그에 따라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을 개별 맞춤형으로 진행할 경우 그 효과가 긍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일반 아이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경우 프로그램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으로 철자 쓰기를 지도할 때 아이에게 익숙한 단어나 그림책과 같은 인쇄물을 활용하는 등 맥락 속에서 글자와 소리, 읽기와 쓰기를 통합하여 지도할 때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아이에게 철자 쓰기를 지도할 때,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의 원칙과 구조를 따르되, 학생의 특성에 따라서 자소 음소 대응 규칙 지도 강도와 횟수를 유연하게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개별화 지도 사례를 통해서 철자 쓰기가 느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어떻게 지도할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이해를 도모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일반 교실에서 활용 가능한 철자 쓰기 지도 방안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영·유아 보육서비스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 만족도

        조미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modern industrial, urbanized society, the professional daycare centers are needed because of women's stronger social activities and the conspicuous trend toward nuclear families. However, it is still questioned of good qualified daycare service supported to the children even though the number of daycare center has been increased. So it is need to survey not only parents but also teachers to review the satisfaction of daycare service. For better qualified daycare services, we should review the parents and teachers. It isn't strong to review and evaluate the teachers who close related daycare service and parents who need its service. Thus the purpose for this research is to survey teachers' and parents' satisfaction of children's daycare service and differences in their satisfaction rates. For attaining the purpose, 200 teachers and 350 parents were surveyed.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are composed of nine domains and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parents' satisfaction for the childcare institutions, the revised-completed questions that Park Hee-suk used. The degree of reliability is α=.967, and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SPSS WIN was analysis and the result of important study is like following. First, the analysis results are below based on teacher's satisfactions i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experiences and certification. 1)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 are more satisfied with daycare services. 2) In case of teacher's experiences, there is no meaning of experiences but less experienced teacher's satisfaction is higher than more experienced teachers for parents' education area. 3) Daycare Certification Ⅰ (including Kindergarten certification) more satisfied than Daycare Certification Ⅱ with daycare services. Second, the analysis results are below based on parent's satisfactions i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1) There are no differences in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s. 2) There are no differences in parents' income rates. Third, the analysis results are below based on the differences of parent's satisfaction and teachers'. 1) The satisfaction of daycare service is high both of parents and teachers. 2) The teachers' satisfaction is high at children's reac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and the teachers but is low at the cooperation with local society, environments and parents' education. 3) The parents' satisfaction is high at interaction with childcare teacher and child, the talents of the principal and childcare teacher. Fourth, satisfaction results are bellows as per daycare facilities type. 1) The teachers and parents satisfaction in public daycare centers is high than in private daycare centers. 2) The parents' satisfactions in private daycare centers are low in area of environments, parents' education and the cooperation with local society. I would like to propose bellows based on the survey. First, the parents in private and public daycare centers overall satisfied with the daycare service but they should supply useful information to children and parents for the cooperation with local society, strengthen the parents education area because of too low satisfaction of that areas.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review the support the resources to private day care center since teacher and parents' satisfaction is lower of environments area than in public daycare center.

      • 근로장려세제가 가구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조미선 서울시립대 세무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로장려세제는 일정금액 이하의 저소득 가구에 대하여 총소득금액에 따라서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세금환급의 형태로 해당가구에 지급함으로써 근로빈곤층에 속하는 가구에 실질소득을 지원하고 근로유인을 제고하기 위한 소득지원제도이다. 우리나라는 2008년 아시아국가에서는 처음으로 근로장려세제를 도입하여 2009년 첫 지급이 이루어졌으며 현재 2018년도까지 10차례의 근로장려금이 지급되어왔다. 2017년 국세청의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2009년에는 총 59만 가구가 4,537억원 가량의 근로장려금을 지급받았는데 2016년에는 그 규모가 수배로 늘어나 총 157만 가구에게 1조 1,416억원이 지급되었다. 근로장려세제가 근로빈곤층의 근로의욕을 제고하고 빈곤층 탈출을 돕기 위한 정책이기 때문에 제도의 시행이후 빈곤층의 노동공급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정책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장려세제 도입이후 근로장려금을 수급받은 가구를 대상으로 근로장려세제가 가구 총노동공급량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재정패널 3차~9차 자료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근로장려금 수급금액과 근로장려금 수급여부가 각각 가구 총노동공급량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성향점수 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과 OLS회귀분석을 결합한 방법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로장려금 수급금액과 근로장려금 수급여부는 총가구노동공급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근로장려금 수급여부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회귀분석 모형에서 근로장려금 수급금액은 회귀계수의 유의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상태와 연령, 연령의 제곱값, 소비금액, 기초생활보장급여, 부양자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기혼의 경우 기혼 외 가구에 비해서 노동공급량이 높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연령이 총노동공급량에 미치는 영향은 줄어들었다. 소비금액이 늘어날수록 노동공급량이 증가했고 기초생활보장급여를 수령하는 가구는 수령하지 않는 가구보다 노동공급량이 적게 나타났다. 회귀분석의 설명변수인 근로장려금 수급금액은 본 연구에서 진행한 회귀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노동공급을 증가시키지는 못했다. 이는 근로장려금을 수령함으로 나타나는 가구내 소득효과와 대체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았을 때 노동공급을 증가시키는 대체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가장 낮은 소득구간인 점증구간에 속하는 가구들이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혜자일 확률이 높아 두 제도의 수급요건과 혜택을 비교하여 의사결정이 일어난 것으로 보이고 점증구간의 표본 수에 비해 평탄구간과 대체효과의 표본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서 노동공급증가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못한 것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살펴보면 앞으로 근로장려세제는 다른 복지제도와 중복에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수혜대상을 확대하는 한편 점증구간의 점증률을 높이고 수급급액을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해석된다. 2019년도부터는 근로장려금 수혜대상가구와 소득구간별 근로장려금 수급금액이 대폭 상향조정될 예정이기 때문에 2019년에 대한 근로장려금 통계가 나온다면 지속적인 비교연구를 통해 가구의 노동공급변화량을 비교분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 진다. 재정패널에서 제공되는 표본수가 전체 근로장려금 수급가구를 대표할 정도로 충분치 않다는 한계가 존재하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각 연도의 근로장려금 수급대상가구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근로장려금 수급가능성이 있는 가구를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통하여 추출한 다음 종합적 효과를 추정하였다. 이는 선행연구들에서 보이는 표본의 제약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다양한 기술통계와 실증분석을 통하여 근로장려세제의 효과를 보이고 개선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근로장려세제의 발전에 기여했다고 본다. The Earned Income Tax Credit(EITC) is one of the welfare system, designed to help the working poor households increase their motivation to work and escape from poverty.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EITC system and verify effectiveness of EITC policy. In this study, the 3rd to 9th data of "the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panel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ITC on households receiving EITC. This paper conducts research by combin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OLS regression.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EITC and total household labor supply, and between whether or not household received EITC and total household labor supply. In terms of married couple, the total labor supply is bigger than that of non-married household. The effect of age on the total labor supply is reduced as the age increases. The higher amount of expenditure shows the bigger total labor supply and the higher amount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hows less total labor supply. In most regression models, the amount of EITC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 This seems to be due to the lack of an adequate substitute effect. Households belonging to the phase-in range who may be highly likely to be beneficiarie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tend to make a decision by comparing the benefits of the two systems. And panel data hav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samples falling into the flat range and phase-out range. According to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solve overlapping benefits with other welfare systems with same goals and same targets. Besides, it is advisable to increase EITC beneficiaries and credit rate in phase-in range. South Korea government announced in 2018 that the amount of EITC benefit will be raised from 2019 and expand eligibility to apply for EITC.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 of EITC on labor supply of households since 2019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research that the number of samples provided by the panel are not sufficient to represent households population. In order to make research more reliable, households that are likely to receive EITC have been extracted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This is meaningful in that this paper tries to solve the constraint of inadequate number of samples shown in the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also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EITC system by analysing the effects of the EITC system on total labor supply and suggests measures for improving EITC system through various regression and empirical analysis.

      • 자기결정 학습전략의 중재가 수학학습 부진아동의 자기조정 학습전략 사용행동 및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조미선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수학학습부진아동을 대상으로 자기결정 학습전략을 중재하여 아동들의 자기조정 학습전략 사용행동 및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아동을 선정, 10회기의 기간으로 자기결정 학습전략을 중재하였다. 또한 데이터는 아동들의 평가시험과 연구자의 관찰 및 자기결정 학습전략을 도와줄 학습지들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로 첫째, 자기결정 학습전략 중재 후, 세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전략 사용행동은 향상되었다. 즉, 세 아동 모두 자기결정 학습전략의 실행과 중재를 통해 자기조정 학습행동 빈도의 증가를 보였으며 이후에도 수업시간에 자주 활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둘째, 자기결정 학습모형 중재 후 3명의 아동은 수학과 학업성취에 있어 다소의 성취를 보였다. 기초선 진단평가와 1차 사후평가로 진행된 진단평가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각각 아동 A는 26%, 아동 B는 37%, 아동 C는 25% 씩 향상되었다. 하지만 아동별 목표점수와 평가(성취)점수를 비교했을 때에는 평균적으로 겨우 34%의 성취 율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on math study for underachievers in math study. To this end, I appli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 to three underachievers in math studies. Data includes student's test result and Self-Determination report. The result as follows: First, after the intervention of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the use of students-directed learning strategies improved. On average, they used the strategies 4.41 times. Second, after the intervention of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three students improve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 study. To be more specific, compare with base line, Student A improved his after-test score 26%, Student B improved 37%, and Student C improved 25%. In addition, compare with goals that they set for themselves, the improvement was only 34%, on average.

      •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및 유치원적응에 미치는 효과

        조미선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및 유치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유치원적응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Y유치원과 L유치원 만 4세 각 1개 학급의 유아 총 30명을 실험집단에 15명, 통제집단에 15명을 무선할당 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매주 2회기씩 12회기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들은 누리과정활동을 참여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다. 셋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유치원적응 향상에 효과가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및 유치원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으며, 유아교육 현장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및 유치원적응을 증진시키는 데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 남북한의 언어 정책과 띄어쓰기 규범에 대한 연구

        조미선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의 언어 이질화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남북한의 언어 정책을 면밀히 검토한 후, 남북한의 띄어쓰기 규범을 대조하고 그 통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남한과 북한의 언어 정책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근본적인 언어관에 대한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남한은 언어를 사상 감정의 표현이고 의사소통이 주요 목적이라고 정의하는 반면 북한은 언어를 정치적, 혁명적 도구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언어관에 바탕을 둔 북한의 언어 정책은 결과적으로 남북한의 거리를 넓히게 되었다.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마춤법통일안」 에서 띄어쓰기에 대한 규정이 처음으로 명문화된 이후 1937년에 약간의 용례를 보완하는 정도의 개정을 거쳐, 1946년에 대폭 개정되었다. 이후 남한과 북한에서는 공통적으로 이「통일안」을 따랐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남북의 교류 없이 자체적인 개정을 진행하게 되어 남북한 언어의 차이가 벌어지게 되었다. 띄어쓰기에 대한 규정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본고에서는 남한의 「한글맞춤법」 (1988)과 북한의 「조선말띄여쓰기규범」 (2000)을 자료로 하여 띄어쓰기 규범을 대조해 보려고 한다. 2장에서는 남북한의 언어 정책에 대하여 알아보고, 김일성 교시가 북한의 언어 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남북한의 띄어쓰기 규범이 변천해 온 과정을 알아본 후, 4장에서는 남북한의 띄어쓰기 규범을 비교하면서 통일을 향해 남한과 북한이 규정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본다. 지금까지 살펴본 남북한의 언어 정책의 차이와 남북한 띄어쓰기 규범 변천의 차이점을 정리하고 남북한 띄어쓰기의 여러 가지 규범을 비교하면서 상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남북한 통일 규범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This thesis aims to elaborately investigate the language policy of South Korean(SK) and North Korean(NK) for reducing the heterogeneity of SK and NK, to compare the spacing orthography of SK(South Korea) and NK(North Korea) and to examinate that Unify. The difference of the language policy of SK and NK dues to be different of a basic view of language. People in SK define language to thinking and feeling while in NK define it to be the political and revolutional vehicle. The language policy that is based on the view of language in NK has expanded the difference between SK and NK. In 1933 Hangeul Unified Orthography that was made in the Choseon Language Society was expressed the first standard of the spacing in the text was replaced and revised some examples in 1937. In 1946 the spacing orthography was revised whoIly. Since then people in SK and NK observed the unify but they revised their own orthography without exchanging between them. So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 of language between SK and NK and there is no except of spacing orthograph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acing Orthography in Hangeul Orthography(l988) with the Spacing Orthography of Choseon Language(2000). The contents on the chapter 2 i s to study totally the language policy of SK and NK and to examinate that Kim Il-seong instruction had an effect on the language policy of NK. And that of the third chapter is to investigate a transition process of spacing orthography in SK and NK. On the chapter 4 is to compare the spacing orthography in SK and NK and to show a plan to reduce the difference of orthography between SK and NK.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o note the difference of language policy and changing of spacing orthography between SK and NK to compare various examples of spacing rules of two korea to clarify their common and different point to sound out the ability of unified orthography for the coming unified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