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경철의 졸업작품 『알 수 없는 네 마음』분석

        조경철 동덕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연주한 네 곡의 자작곡을 분석한 것이다. 작품 분석은 대학원 과정에서 학습한 음악이론을 바탕으로 작곡의 배경, 선율, 형식 및 화성구조를 분석하여 각 작품의 음악적 특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네 곡은 모두 자작곡으로 현대인으로 살아가고 있는 본인의 복잡하고 외로운 감정들을 또한 사랑하는 감정들을 연주곡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1.「알 수 없는 네 마음」 은 이런저런 시도를 통해서도 도무지 알 수 없는 연인의 마음을 표현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조성을 모호하게 하는 앰비기어스(Ambiguous) 화성진행을 사용하였다. 2. 「Beware」 에서는 각 섹션마다 전조 를 하여 이리저리 변덕이 심한 본인의 모습, 연인의 모습을 표현해 보았다. 3. 「부끄러운 기억」 에서는 갑자기 생각나는 과거의 부끄러운 기억에 몸이 움찔거리는 느낌의 표현을 위해 곡 전체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기타의 Clean tone 으로 연주되는 verse 부분과 high gain distortion 을 이용한 single note riff 로 연주되는 후반부분으로 상이하게 구분 지었다. 4.「Eden’s Blues」 에서는 첫째 아들 이든이 를 보면서 만든 블루스 곡으로 사랑스러운 개구장이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전통적인 3코드 블루스 진행에서 크로매틱 진행을 가미해 포인트를 주었다.

      • 친환경 이원 추진제를 위한 4차 암모늄 이온성액체에 대한 연구

        조경철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의 주로 사용된 추진제인 하이드라진(Hydrazine, N2H4)은 다른 단일 추진제에 비해 단열분해온도가 낮고 비추력(Isp= 220 s)이 높기 때문에 단일 추진제로 사용이 적합하다. 하지만 하이드라진은 치명적인 독성(LD50(oral, rat), 60 mg/kg) 물질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취급 시 보호 장비를 갖춰야 하고, 높은 증기압(1 kP at 30.7℃)에 의해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부식성이 높기 때문에 누출되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므로 보관 및 수송에 어려움이 있어 항공우주 및 군용 분야에서 사용할 때 문제점이 따른다. 이와 같은 이유로 하이드라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추진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이온성액체 추진제(Ionic liquid propellent)는 고에너지 활성 물질이며 증기압이 낮아 저장 및 취급에 용이하다. 그리고 독성물질 및 암 유발 물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안전하게 다룰 수 있다. 이온성 액체추진제는 접촉점화(Hypergolic)성 이원추진제로써 산화제와 접촉 시 화학적 점화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별도의 점화장치가 필요 없어 발사체의 부피와 질량을 줄일 수 있다. 이온성액체 추진제가 산화제와 접촉하여 반응할 때 점화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한데, 이를 점화지연시간(Ignition delay time)이라고 한다. 점화지연 시간이 50 ms 이상이면 미반응 연료가 축적되고 연소실 내부가 과기압 상태가 되어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이온성액체는 양이온(Cation)과 음이온(Anion)의 조합으로 다양하게 합성할 수 있지만 추진제에 적합한 것은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Dicyanamide를 음이온으로 하여 4차 암모늄 이온성액체의 합성방법을 소개하고, 특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여러 가지 실험방법으로 각각의 이온성액체의 점화지연 시간을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이온성액체 추진제는 현재 이원 추진제로 사용 중인 하이드라진 계열과 액체가스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 친환경 추진제로 사용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개선된 자질 모델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 : 어절 표상 확장과 수식 거리 기반의 의존 유형을 이용한 자질모델

        조경철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존 구문분석은 문장의 최소 단위인 어절들이 지배소와 의존소의 관계를 가진다고 가정하고 문장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에 대한 의존 구문분석방법 중 시퀀스 레이블링을 딥러닝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기존 전이기반이나 그래프 기반 구분분석의 경우 복잡한 구문분석 알고리즘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시퀀스 레이블링을 이용한 의존 구문분석을 제안한다. 시퀀스 레이블링을 이용한 구문 분석은 복잡한 구문분석 알고리즘이 필요가 없으며 추가적인 어절 자질들을 이용하여 구문 분석을 진행하였다. 추가적인 어절 자질들의 성능 평가를 위해 전이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Left to Right Parser를 이용하여 비교하고 추가 어절 자질들을 이용한 인코딩간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다른 기존 모델들과 비교하여 제안방법이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 식물생장촉진미생물이 수경재배 오이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조경철 全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s) from soil sample which is mixture of indigenous microorganisms and to improve yield and quality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plants through enhancing the availability of selected microorganisms. 120 strains were selected from this soil sample and 12 strains of them were re-selected relating to the promotion of plant growth. These selected microorganisms were composed of 10 kinds of Pseudomonas sp., one Saccharomyces sp. and one Bacillus sp. to investigate their capability of plant growth promoting effects, respectively. Through these processes, one Pseudomonas sp. and one Saccahromyces sp. were selected. For identification of these effective microorganisms, 16s rRNA and 18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were performed on Pseudomonas sp. and Saccharomyces sp., respectively. And characteristic feature was also investigated using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o know the availability of these two selected microorganisms in hydroponics of cucumber plants, the capability of producing plant hormone by microorganisms, the effects of them on the activity of H^(+)-ATPase and the reduction of phenol content in nutrient solution were investigated. 10 strains from M1 to M10 were identified to Pseudomonas sp. Especially, M2, which was determined as the best microorganism of 10 Pseudomonas sp., had almost same genes with Pseudomonas pavonacei (about 99%), and it was named as Pseudomonas sp. CPS. Another strain, Saccharomyces sp. was similar to Saccharomycs cariocanus (about 94%), and it was named as Saccharomyces sp. D2. This study identified that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secreted IAA by the exogenous tryptophan supply and also by the interaction with the plant roots.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were multiplied and formed colony around the plant roots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roots. Microorganism treated root exudates were analysed by salkowski's reagent and HPLC, and IAA amount in the exudates of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treated roots increased are culture time extended until 120hrs, but Saccharomyces sp. D2 secreted 7 times higher amount of IAA than a Pseudomonas sp. CPS at 120hrs culture time. The sub-tropical plants like a cucumber cease the growth due to a decline of root activities under the circumstance of low soil temperature and defective transport of nutrients. H^(+)-ATPase of root plasma membrane is well known to be related to the absorptive function of the ions and nutrients.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H^(+)-ATPase activities with the microorganism treatments as the criteria of root growth and development. The enzyme activity of Pseudomonas sp. CPS treated root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fter 2-3weeks and Saccharomyces sp. D2 treated roots after 4-5weeks, and around 30% increment of the enzyme activities compared to the control roots. Root death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occurred in long-term cultivation and continuous cropping. This phenomenon could reduce growth of cucumber plant as extend growing period. Therefore, phenolic compound, one of allelopathic substances in the nutrient solution sampled from cucumber growing bed were analyzed in the course of growth period. The longer the growing period and times of reusing nutrient solution, the higher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 in the nutrient solution. Phenol compounds in nutrient solution affected severely in shoot and root growth reduction. Linear reduction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phenolic compound secreted from roots. One of the main factors of autotoxicity of root zone in solution culture was demonstrated as phenolic compounds. Phenolic compound content was about 10 ppm in new substrate, and it was lower 7 times than that of reused substrate.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 in reused nutrient solution treated microorganisms was higher than that of new nutrient solution, but lower than that of reused nutrient solution non-treated microorganisms. It also appeared that Saccharomyces sp. D2 suppressed phenolic compound than that of Pseudomonas sp. CPS. As above results, to optimize environmental condition for maintaining selected microorganisms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in hydroponic system, housing system was designed for concentrating selected microorganisms into rhizosphere of hydroponic system. To do this, alginate which have a high molecule possessing the structure of polyuronide and extracted from seaweed was used for bead making as housing system. Growth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lant height, leaf area, shoot and root fresh and dry weight were better in all plots of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than those of control. Especially, in the plot of Saccharomyces sp. D2 bead treated, it showed more over 130% growth promotion than that of control. In comparison of the growth between liquid and bead type of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both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bead showed more growth enhancement than that of liquid. Alginate bead treatment with selected microorganism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has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growth promotion than that of liquid treatment. Hence, to determine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alginate bead treatment with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Pseudomonas sp. CPS bead was treated with 0.5, 1.0, 3.0 and 10.0g / plant and Saccharomyces sp. D2 bead treated with 0.25, 0.5, 1.0 and 5.0g / plant to contact directly with roots in substrate. In all plots except 10.0g Pseudomonas sp. CPS, the growth was better than that of control. The optimal concentration for the growth promotion of cucumber plants was found in the range from 0.5 to 1.0g and 0.25 to 0.5g on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bea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ptimal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as 0.5g Pseudomonas sp. CPS and 0.25g Saccharomyces sp. D2 for improving the growth of cucumber plant, optimum substrate and nutrient solution f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First, to select the most suitable substrate for alginate bead treatment of microorganism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bead were treated with 0.5 and 0.25g / plant, respectively, to contact directly with roots into substrate. The kinds of substrates were perlite, cocopeat and perlite plus cocopeat (hereinafter mixlite, 3:7, v/v), respectively. Generally, almost all growth characteristics were better in mixlite than those of perlite or cocopeat. Also, in all kinds of substrates, Saccharomyces sp. D2 bead increas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lant, the number of leaves, leaf area, shoot fresh and dry weight and root fresh and dry weight. Second, to select the optimal nutrient solution formula for alginate bead treatment of microorganism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bead were treated with 0.5 and 0.25g / plant, respectively, to contact directly with roots into substrate. The kinds of nutrient solution were PBG solution recommended by Research Station for Floriculture & Vegetables in Holland, JBS solution recommended by Japanes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and EVRDC solution recommended by Europe Vegetables Research & Development Center in Belgium, respectively. Substrate used was mixlite. The growth of cucumber plants were good in control with JBS solution and in the plots of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with PBG solution, respectively. In control, however, root growth was better in PBG solution than that of JBS solution. In the plots of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root growth showed best result in PBG solution. Third, to determine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PBG solution for alginate bead treatment of microorganism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bead were treated with 0.5 and 0.25g / plant, respectively, to contact directly with roots into substrate. The strengths of PBG solution were ¼, ½, 1(2.0dS/m, pH 5.8-6.2) and 2 ionic strength.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PBG solution for growth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lant height, leaf area and shoot growth appeared to be standard solution, 1 time. In the plots of 1/4 and 2 times, early growth was inhibited markedly. Especially, in the plot of 1/4 times, chlorophyll content was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 However, as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r treating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bead with 1/4 times, it occurred to be greener gradually. In case of Saccharomyces sp. D2 bead, the plot of 1/2 times showed the growth promotion equivalent to that of 1 times, it was considered that Saccharomyces sp. D2 increased nutrient and water uptake of cucumber plants. Finall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lginate bead incorporated of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selected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plants, field application was tested. cucumber cv. Chungnakhap was transplanted to styrofoam bed filled with mixlite at 30 days after sowing. Planting density was 30cm between plants and PBG solution (EC 2.0dS/m, pH 5.8-6.2) was fed.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bead were treated with 0.5 and 0.25g / plant, respectively, to contact directly with roots into substrate. To maintain microbial density, 0.5% Pseudomonas sp. CPS and Saccharomyces sp. D2 liquid were drenched into rhizosphere at 45 and 60 DAT, respectively. In the treated plot of Saccharomyces sp. D2 bead, plant height was 279.7cm and more over 30cm than those of Pseudomonas sp. CPS bead and control, and stem diameter was thicker too. The number of leaves was much more over 2 leaves than that of control. Also, leaf area was much larger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leaves. In the plot of Saccharomyces sp. D2 bead treatment showing the growth promotion, fruit quality in terms of fruit length, sugar degree, average fruit number and fruit weight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and Pseudomonas sp. CPS bead. In the treated plot of Pseudomonas sp. CPS bead, sugar degree and average fruit number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but fruit length and average fruit weight were sligh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Total fruit number and weight were not showed among treatments in early harvesting stage, after that, the treated plot of Saccharomyces sp. D2 bead had more yield than those of Pseudomonas sp. CPS bead and control. In the treated plot of Pseudomonas sp. CPS bead, growth rate was similar with control, but total fruit number and weight were much more than that of control due to producing more fruit number per plant. Photosynthetic rate of 15th full opened leaf was higher in the treated plot of Saccharomyces sp. D2 bead than those of Pseudomonas sp. CPS bead and control at 30 DAT.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increasing fruit yield and quality. 본 연구는 유효토착미생물을 오이의 수경재배에 적용하기 위해 전남지역 오이시설재배지로부터 토양샘플을 채취하여 이 안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총으로부터 약 120여종의 단일 미생물을 분리하여 식물생장촉진과 관련한 미생물을 12종으로 재 분리하였다. 이들 미생물은 10종의 Pseudomonas sps. 및 Saccharomyces sp.와 Bacillus sp. 각각 1종이었으며, Pseudomonas sps.는 같은 종끼리, Saccharomyces sp. 와 Bacillus sp.는 두 종을 동시에 수경재배 오이의 생육효과를 실험하여 Pseudomonas sp.와 Saccharomyces sp. 각각 1종을 최종 선발하였다. 생장촉진효과가 확인된 유용세균에 대하여 선별된 미생물의 균주 동정은 BIO LOG SYSTEM과 16S rRNA, 18S rRNA Sequence로 동정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형태적 특성을 검토하여 각각 동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발된 두 종의 미생물이 오이의 수경재배시 근권미생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식물호르몬 생산가능성, H^(+)-ATPase 활성 및 양액내 phenol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이들 두 종류의 균주들에 대하여 동정한 결과 M1-M10까지의 균주는 Pseudomonas sp.이었는데 이들 중 특히 효과가 증명된 M2 균주는 Pseudomonas pavonacei와 99%이상의 유사성을 가졌으며 본 실험에서는 Pseudomonas sp. CPS라 명명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PGPR로 알려진 균주 중의 대표적인 것으로 이미 보고된 바가 있다. Saccharomyces sp.는 18S rRNA 분석 결과 Saccharomyces cariocanus와 94%의 유사도를 보였으며 Saccharomyces sp. D2로 명명 사용하였다. 최종 선발된 Pseudomonas sp. CPS와 Saccharomyces sp. D2에 의한 뿌리강화와 생육 촉진 기작으로 이 미생물들이 작물 뿌리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auxin을 분비하며, bacterial auxin이 뿌리의 H^(+)-ATPase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뿌리의 흡수기능은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작물의 생육이 촉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생물들이 작물 수경재배시 양액내에 축적되는 phenolic compound 들의 toxic효과를 완화시킴으로써 뿌리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토양유래 미생물을 오이의 수경재배에 응용하고자 우선, 수경재배 오이의 근권내 지속적인 번식을 위하여 housing 시스템을 모색한 결과 sodium alginate를 이용한 미생물의 비드화를 구상하였으며, 비드화 미생물과 액상 미생물의 생육효과 차이, 비드화 미생물의 적정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housing 시스템에 적합한 전용배지 및 양액을 선발하고자 펄라이트, 코코피트 및 믹스라이트(펄라이트+코코피트, 3:7, v/v), 화란PBG, 일본JBS 및 벨기에EVRDC 오이 전용양액, 그리고 화란PBG 양액의 농도(1/4, 1/2, 1 및 2배액)별 실험을 각각 실시하였다. 이들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식물생장촉진형 미생물 비드화가 수경재배 오이의 과실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이 미생물들을 수경재배에 활용하기 위한 배지로는 mixlite (cocopeat : perlite, 7:3), 양액으로는 PBG가 적합하였다. 미생물은 0.5%-1%농도로 배지에 혼합하였을 때 최대의 촉진 효과가 나타났다. 작물의 재배기간동안 미생물들의 농도 유지와 작물 뿌리와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하여 alginate로 비드화함으로써 미생물의 생육 촉진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었으며 오이의 생육 촉진 효과가 Pseudomonas sp. CPS는 처리 후 2-3주에서 D2는 4-5주에서 최대치를 보였는데 이 결과로서 4-5주 간격으로 미생물을 재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밝혔다. 이들 미생물들이 과실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효과는 생장에 효과적인 Saccharomyces sp. D2처리구에서 과장, 당도, 평균 착과수 및 평균 과중이 대조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Pseudomonas sp. CPS처리구는 대조구와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으나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들 두 근권미생물이 오이의 생육과 과실수량 및 품질반응에 좋은 영향을 미친 것은 오이의 생리활성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외에도 하루동안의 광합성량을 측정한 결과로 설명할 수 있었으며, 광합성의 패턴은 Saccharomyces sp. D2처리구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유지되었으며, Pseudomonas sp. CPS처리구가 그 다음이었다. 이는 Saccharomyces sp. D2구에서 엽면적이 가장 넓게 유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이러한 높은 광합성 효율이 뿌리에서 유기물을 많이 분비하게 하고, 따라서 과실의 생산량과 품질에 좋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 웨슬리의 복음전도 방법 연구

        조경철 서울신학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uthor has studied John Wesley's evangelism methods which were been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ways. He suggests some useful applications for church growth. The John Wesley's evangelism methods are following. First of all, it is personal evangelism method. The passion for John Wesley's personal evangelism method made possible for genuine church growth. Second, it is the evangelism method through sermon. This was very unique for John Wesley's evangelism method. Through the Wesley's preaching the gospel, many people came to know Christ and churches experienced a remarkable growth in number. Third, it is the evangelism method through small group. this method made possible to give birth of methodist church in our days. Through the preaching the gospel there had been many fruits and through the small group evangelism method the evangelism had been completed. Therefore, the evangelism through small group had been foundation for church growth. This thesis suggests three ways of church growth based upon above findings. First, pastor should get involved in direct evangelism. Second, pastor should proclaim the gospel message on the pulpit. Third, small group should be the center piece of evangelism for church growth

      • 신석기시대 암사동 및 운서동 유적 주거지의 공간 특성 연구

        조경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신석기시대 주거건축의 형태야말로 가장 단순하며 가장 기본적인 근원의 형태를 보여주는 것일 것이며, 신석기인의 주거생활환경은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을 담고 있는 가장 단순하고도 필요 불가결한 생활상을 우리에게 알려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신석기시대 주거건축을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인간이 주거건축 측면에서 가지는 가장 기본적이며 근본적인 요구들을 알게 되는 단초가 될 것이다. 운서동 주거유적과 암사동 주거유적은 한반도 신석기시대를 대표하는 대규모 주거유적임으로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한반도 신석기 주거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을 일부나마 확인함으로써 한국 건축역사의 초기건축의 발생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크게 3개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를 비교하고 종합하는 연구가 2개 추가되어 총 5개의 연구로 마무리 되었다. 첫째 연구는 ‘신석기 주거지의 지역별 형태특성 및 규모 특성 분석’이다. 이 연구는 한반도의 신석기시대 전체를 조망하여 그 지역별 형태와 규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9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평면형태를 원형과 방형으로 구분하고 원형과 방형의 비율을 수치화하여 구체적으로 그 비율을 파악한다. 또한 장축과 단축으로 표현되는 규모를 이용하여 장단비를 도출한다. 둘째 연구는 ‘인천 운서동 유적의 주거지 공간 특성 분석’이다. 인천 운서동 유적은 중부서해안에 위치한 신석기시대 최대규모의 유적지이다. 연구는 각 주거지와 세부 공간에 대한 면적산정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이와 더불어 축방향, 내부공간의 분할특성, 주생활공간의 특성, 침상공간의 특성, 단시설의 특성, 출입구의 특성, 경계사면부분의 특성, 물처리시설의 특성, 공간구성의 특성, 주거지 깊이 특성, 기둥과 관련된 특성, 노지관련 특성, 시간변화에 따른 공간변화특성 등이 연구된다, 셋째 연구는 ‘서울 암사동 유적의 주거지 공간 특성 분석’이다. 서울 암사동 유적은 중부내륙의 대표적인 신석기시대 주거지 유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암사동 유적의 평면 형태 특성, 주거지 면적특성, 축방향 특성, 주거지 깊이 특성, 기둥 특성, 노지 특성, 출입구 특성, 저장시설 특성, 목탄흔 특성을 분석한다. 넷째 연구는 ‘운서동 유적과 암사동 유적의 공간 특성 비교 분석’으로서 운서동 주거 유적과 암사동 주거 유적연구를 종합적으로 비교 검토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섯째 연구는 ‘신석기시대 운서동, 암사동 유적과 청동기시대 장흥신풍유적의 비교 분석’으로서 시간적 흐름 속에 변화해가는 주거공간을 관찰 연구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신석기시대를 운서동 유적과 암사동 유적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첫째는 한반도 신석기시대 주거지를 종합분석하여 전체의 방형과 원형의 비율을 비교하여 보면 방형이 많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한반도 전역의 주거지 장단비를 분석하여 보면 정방형보다는 한 방향으로 긴 형태의 장방형에 가까운 형태가 주된 형태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는 암사동 주거지과 운서동 주거지의 평균면적은 두 유적 주거지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최대, 최소 주거지 면적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청동기시대 장흥신풍 유적과의 비교에서는 평균면적은 유사하나 최대 주거지 면적에서 큰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셋째는 운서동 유적 주거지는 내부공간으로 침상, 단시설, 출입구가 있으며 이러한 주거지중 일부는 평면의 완성도가 높은 완성형 주거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는 기둥배치의 특성은 암사동 유적에서 운서동 유적을 거쳐 장흥신풍 유적에 이르기까지 앞선 시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기둥배치 형식에 통일성과 규범성이 강화되어 주거집단 내에서의 기둥배치기술이 표준화된 방식으로 고착되어가는 양상을 보인다. 다섯째는 신석기시대 수혈주거에서 내부에 ‘물처리시설’이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암사동 유적에서는 볼 수 없으나 운서동과 장흥신풍 유적에서는 내부공간 경사진 측벽에 도랑과 수혈로 이루어진 시설이 존재한다. 여섯째는 운서동 유적의 일부 주거지에서는 바닥에 다수의 할석이 노출되었다. 할석을 깔면 흙바닥의 내력보강과 물의 투수성이 커져 물 빠짐이 좋아지는 특성이 있다. 다수 할석 노출은 물처리시설과 같은 주거지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또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The form of residential architecture in the Neolithic period is probably the simplest and shows the most basic form.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Neolithic people can tell us the simplest and most indispensable life style that contains the most basic elements that we can confirm. Therefore, understanding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of the Neolithic Age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most basic and fundamental needs of human beings in the aspect of residential architecture. The residential ruins of Unseo-dong and Amsa-dong are large-scale residential ruins representing the Neolithic perio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occurrence of early architecture in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in detail by confirming at least som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Neolithic residential sp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three major studies were conducted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relics in the Neolithic period, and two additional studies were added to compare and synthesize them, ending a total of five studies. The first study is 'Analysis of regional shape characteristics and scale characteristics of Neolithic dwellings'. This study is a stud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and scale of each region by looking at the entire Neolithic Age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divided into 9 regions, and each flat shape is divided into a circle and a square, and the ratio of the circle and the square is quantified, and the ratio is grasped in detail.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major axis to the minor axis is derived from the length of the major axis and the minor axis. The second study is 'Analysis of residential space characteristics of Unseo-dong, Incheon'. Unseo-dong, Incheon is the largest site of the Neolithic period located on the central west coast. In this study, the area was calculated for each dwelling and detailed space. In addition, the axial direction, the division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living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d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elf facil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ra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undary slop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omposition, the depth of the dwelling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related to pillars, characteristics related to hearth, characteristics of spatial change according to time change, etc. are studied. The third study is 'Analysi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s in Amsa-dong, Seoul'. The ruins of Amsa-dong, Seoul are representative Neolithic residential relics in central inland. In this study, planar shape characteristics,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axial characteristics, dwelling depth characteristics, column characteristics, hearth characteristics, entrance characteristics, storage facility characteristics, and charcoal trace characteristics of the Amsa-dong ruins are analyzed. The fourth study is 'Comparative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Unseo-dong and Amsa-dong ruins'. It consists of a comprehensive comparative review of research on residential remains in Unseo-dong and residential remains in Amsa-dong. The fifth study i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mains of Unseo-dong and Amsa-dong of the Neolithic Age and Jangheung-Shinpung of the Bronze Age'. A study of living spaces that change with the flow of time. Through the above process, research is focused on the remains of Unseo-dong and Amsa-dong of the Neolithic Ag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ratio of square to circular shape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entire Neolithic dwelling area on the Korean Peninsula. It can be seen that more squares appeared. The ratio of long axis and short axis of dwellings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was analyzed.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close to a rectangle is more numerous than a square. Second, the average area of the residential areas in Amsa-dong and Unseo-dong seems to be similar to that of the two historic dwellings.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residential areas. The average area of the residences in Amsa-dong and Unseo-dong is similar in comparison with the Jangheung Sinpung ruins in the Bronze Ag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maximum residential area. Third, the residence of the Unseo-dong ruins has a bed, a shelf facility, and an entrance in the interior space. It is judged that some of these dwellings have completed dwellings with high level of completeness. Fourth,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umn arrangement, the unity and normativeness of the column arrangement form are strengthened from the earlier period to the later period. It shows that the pillar arrangement technology within the residential group is being fixed in a standardized way. Fifth, it is noteworthy that there is a ‘water treatment facility’ inside the Neolithic pit dwelling. It cannot be seen in the Amsa-dong ruins, but in Unseo-dong and Jangheung-shinpung ruins, there are facilities made up of ditches and pits on the sloping side walls of the interior space. Sixth, a number of broken stones were exposed on the floor in some residential areas of Unseo-dong. When broken stones are laid on the floor, the soil floor is hardened and water drainage is improved. A large number of broken stones are exposed in residential areas such as water treatment facilities. It may have been used as another method for treating rainwater.

      • Universal Design 관점에서 냉장고의 사용성 조사 연구

        조경철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도 점차 고령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고령사회는 단순히 고령자의 인구비율이 높아진 사회가 아닌 다양성이 높아진 사회를 의미한다. 기업들에서도 가전제품 개발 시 이러한 사회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Universal Design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제품개발과정에서 행해지는 소비자 사용성 조사과정이 Universal Design의 한 사람 한 사람을 존중한다는 기본 취지와는 다르게 전체가 아닌 주 구매층인 20~40대 주부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평균적인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는 모든 계층의 고객 불편사항이나 Needs를 바르게 보여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현재의 일부 대상만을 목표로 하는 조사방식과 Universal Design관점에서의 전 연령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방식의 비교실험을 통해 그 차이점을 규명하여 향후 냉장고 제품 개발 시 사용성 조사방식의 기초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가전제품 중 사용성 요소를 비교적 많이 포함하고, 실제 현재의 제품개발과정에서의 사용성 조사방식 비교가 용이한 국내의 냉장고 및 그 사용자를 연구범위로 한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고령사회의 다양성을 설명하는 Universal Design에 대해서 이해를 하며, 사용성(Usability)정의, 냉장고에 대한 고찰 등을 진행하였다. 둘째 이를 통해 Universal Design관점에서의 냉장고 사용성 Check-list를 사전 정리하여 Home visit을 위한 설문조사에 그 내용을 반영 하였으며, 남녀 연령대 별 사용성 불편요소에 대해 추출 및 분석 후 기존 조사방식의 문제점과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설문조사내용에 대해 분석 평가 결과, 냉장고 제품사용자는 연령대 및 성별에 따른 개개인의 사용성 불편 지수에 대한 분명한 차이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설문조사에서는 Universal Design의 기본원칙을 가지고 냉장고 외형과 내부에 대해서 5점 척도로 소비자 사용성 불편 지수를 측정하였다. 각 기본 원칙에 따라서 사용성 불편도 빈도분석, 연령대별 성별 불편도 분석을 하였고 이를 토대로 냉장고 제품사용자의 사용성 불편 지수에 대한 다양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냉장고 외형에서는 모든 사용계층(전 연령대별 남녀)과 주 구매층(20~40대 주부) 두 그룹 간에 Universal Design 기본원칙 중 [원칙4] “정보이용의 용이성에 대한 평가”부분과 [원칙6]의 “힘들지 않은 조작에 대한 평가” 부분에서 명확한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두 그룹 간에 “냉장고 사용 시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한 인지능력” 및 “냉장고를 열고 닫을 때 도어 핸들 조작에 대한 사용성”의 불편 지수에 대한 차이가 크게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에서는 Universal Design 기본원칙 중 [원칙1]의 동등한 사용에 대한 평가, [원칙3]의 손쉬운 이용에 대한 평가와 [원칙4]의 정보이용의 용이성에 대한 평가 부분에서 명확한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두 그룹 간에 “냉장고 보관에 대한 사용의 공평성”, “다양한 식품보관을 위한 냉장고 내부 기능의 조작 용이성”, “냉장고에서 내가 원하는 식품을 쉽게 찾는 것에 대한 정보이용의 용이성” 3가지 측면에서 그 불편도가 가장 크게 차이가 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냉장고 외형과 내부에서 연령대 및 성별에 따른 개개인의 인지능력 및 신체특성의 차이로 인한 사용성 불편도가 확실히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특히 외형 보다는 내부 쪽에서 그 다양성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냉장고 외형 및 내부 개발 시에 Universal Design 관점의 사용성 불편도 조사방식에서 가장 중요하게 측정되어지고 평가되어져야 할 기본방향이 될 것이다.

      • 지리교육과정의 성취목표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가목표의 비교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조경철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과정은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를 자세히 그려놓은 한 나라의 미래 청사진이다. 교육과정에는 명확한 교육목표가 존재하며, 그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있다. 따라서 교육목표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없다면 그에 따라 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불분명해져 교육이 나아가야할 바를 잃게 되고, 나라의 미래마저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교육목표의 올바른 설정과 명확한 인식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육목표, 좁게는 성취목표에 학생들이 얼마나 도달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교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평가들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 중 대표적인 것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이다. 이 평가는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차별적인 점수를 부여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 아니라, 학생들이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를 평가하며 나아가 평가 결과를 통하여 교수-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성취도 평가가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평가목표를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다. 성취목표와 평가목표를 올바르게 설정하고, 인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을 지금까지 넓게 사용하였으나,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이 많은 비판을 받으면서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이 등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통해 지리교육과정의 성취목표를 분석한다. 또한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출제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가목표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가목표가 지리교육과정의 성취목표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따라서 지리영역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학생들의 지리학습을 돕고, 지리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 서울 도심 문화 유적의 경계(재정비)에 관한 연구

        조경철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울의 중심부인 사대문 안에는 조선시대부터 내려오는 역사문화 유산이 밀집하여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소중한 도심 속 문화유산이 무분별한 도시 개발에 의해 사라져가고 있다. 또한 이전에 보지 못하던 이질적 요소들과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문화유산과 도심의 경계는 모호해지고 있다.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은 그 지역의 정체성을 훼손하고, 도시안에서 장소의 부족현상이 나타나며, 도시공간의 단절 또는 혼합이라는 문제를 야기 시킨다. 이 같은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 원인은 대다수의 사람들이 도시적 접근 보다는 건물 위주의 가치관을 가지고 있고, 여러 가지 사업이 서울시와 정부 등 여러 부서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돈화문로와 종묘 돌담은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역사문화 유산이다. 종묘 돌담과 돈화문로 사이에는 물줄기를 중심으로‘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현재 이 지역은 물줄기는 사라지고, 건축물들의 고층화, 프로그램들의 다변화로 인해 그 지역의 정체성이 모호해졌다. 이로 인해 돈화문로의 인도 축에서 종묘 돌담 측을 바라보면 인식이 불가능하다. 또한, 지금의 돈화문로는 예전의 길의 역할에서 더욱 많은 역할을 수행하는 장소로 변화 하였다. 이로 인해 돈화문로의 경계로써의 힘은 더욱 커지고, 종묘 돌담과 돈화문로로 둘러 쌓여 있는 대지는 하나의 블록, 즉 한 영역이 형성된다. 영역의 형성으로 인하여 돌담에서부터 돈화문로 까지 경계는 더욱 두꺼워 졌고 강해 졌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개발로 인해 발생한 도심 속 경계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돈화문로와 종묘 돌담 사이의 종로3가 보석 세공소 밀집지역의 정체성 회복과 이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로 인해 두꺼워진 경계를 완화하는 요소들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lan to reorganize the boundaries of the concentration areas of Jewelry shops in Jongno 3-ga. The inner area of the four main gates of old Seoul is the plac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lics handed down from the Joseon Dynasty are concentrated. These precious cultural relics in the center of the city are being disappeared by indiscreet urban development. And as they are increasingly contacting with different elements that cannot be seen before, the boundaries between cultural relics and the center of the city have blurred. The development which doesn't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damages the local areas' identity, shows the shortage of places in the city, and causes the problems of the severance or mixture of urban space. The cause of these problems are that a great many people have building-centered values rather than urban approach and the several departments in Seoul city and the government are simultaneously promoting several projects. Donhwamunno and stone walls of Jongmyo are historical cultural relics which has kept the places until now from the Joseon Dynasty. 'A village' was formed with the stream of water as the center between Donhwamunno and stone walls of Jongmyo. Now, the stream of the water disappeared in this area and its identity has blurred due to manhattanization of buildings and diversification of programs. When you look at the side of the stone walls of Jongmyo from the sidewalk of Donhwamunno due to them, it cannot be recognized. And the current Donhwamunno has been changed to the place to perform more roles from the previous role of the street. The power as the boundary of Donhwamunno gets bigger and the site surrounded by Donhwamunno and stone walls of Jongmyo forms a block, that is, a territory. The boundaries between the stone walls and Donhwamunno get thicker and stronger due to formation of the territo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to notice the boundaries in the center of the cities that occur due to the development that doesn't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is to restore identity of the concentration areas of Jewelry shops in Jongno 3-ga between Donhwamunno and stone walls of Jongmyo and suggest the elements which ease the boundaries that the two boundaries get closer due to the development which doesn't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