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각된 가정환경양식이 남·여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경애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ceived Family Environment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2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K university in Daegu, Korea. Measures included the Korean Family Environment Scale-Form R, the Korean Career Decision Level Scale, and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Pearson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ollege studen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job hunting behavior which was a sub-variable of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econd, the expressiveness variable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mal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whereas the activity-recreational orientation variable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femal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Third, the control, cohesion and activity-recreational orientation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for male stud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hile the intellectual-cultural orientation and conflict variabl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female stud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된 가정환경양식이 남·여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에 소재한 K대에 재학 중인 남·여 520명이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한국판 가정환경 척도, 한국판 진로결정수준 척도, 진로탐색행동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t검정,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진로결정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진로탐색행동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진로탐색행동의 하위변인인 취업을 하기 위해 직업적으로 필요한 구직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가정환경양식이 남·여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남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표현성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활동-여가 지향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가정환경양식이 남·여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남학생의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통제, 응집성, 활동-여가 지향성 순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지적-문화적 지향성, 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 방문보건사업 노인 대상자의 구강건강 상태

        조경애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본 연구는 방문보건사업 대상 노인의 구강건강 상태와 지식, 행위를 파악하여 구강보건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얻어 이를 토대로 방문 보건사업 시 대상자들의 신체적 질병에서 소홀할 수 있는 구강건강증진에 관심을 가질 수 있고 구강보건 관계 전문가들이 구강보건교육 및 구강건강관리를 체계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본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북도 고령군 3개면에 등록된 방문보건대상자 65세이상 노인 267명중 면접이 어려운 중증와상환자 32명을 제외한 235명 (남자 78명 여자157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노인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에서 전체응답자 235명중 남자노인의 경우 33.2%(78명), 여자노인은 66.8%(157명)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연령층은 75세~79세로 26.8%(63명)로 나타났다. 구강상태에서 남자의 상실치아 수는 남자노인의 경우 75세 이상이 13.3개로 많았으며, 여자노인은 75세 이상이 18.6개로 유의하게 높았다. 남여 별 치아 상태를 살펴보면 우식치아 수는 남자노인보다 여자노인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p<0.05) 상실치아 수는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잔존 치아 수는 남자노인이 15.2개, 여자노인은 11.5개로 유의하게 낮았다(p<0.01) 주관적인 구강상태를 살펴보면 치아문제로 어려움을 항상 또는 자주 느끼는 남자노인의 경우 42.3%, 여자노인은 45.2%로 나타났으며 씹어 먹는데 치아의 동요로 불편을 호소하였다. 구강 건조 증에서 항상 또는 자주로 응답한 남자노인의 경우는 48.7%, 여자노인은 56.1%로 여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이는 틀니를 하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많이 나타났다. 구강보건행위와 지식에서 1일 평균 잇솔질 횟수는 남자노인의 경우는 1회 46.2%, 여자노인은 2회 45.9%로 나타나 위생관리는 여자가 잘되고 있었으며 정확한 잇솔질 방법에 있어서 아래위로 손목을 돌리면서 닦는다고 응답한 남자노인의 경우는 29.3%, 여자노인은 29.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지각 과민증의 원인을 알고 있는지의 질문에는 남자노인의 경우는 20.5%, 여자노인 은 4.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또한 구강위생이 나쁜 이유가 유전이라고 생각하는 남자노인의 경우는 29.5%, 여자노인은 26.8% 로 남자에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의료기관이 아닌 불법보철을 해도 상관이 없다고 응답한 남자노인의 경우는 65.4%, 여자노인은 44.6%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구강건강상태 지식 행위와의 상관관계에서 남자노인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칫솔질 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여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여자노인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구강지식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상실치아 수는 증가하였으며 잔존치아 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여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방문보건사업 대상자들이 구강보건교육 및 관리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열악한 환경으로 조사되었으나 구강보건인력과 제대로 된 체계적인 관리프로그램을 만들어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면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사료 되며 선행연구가 부재에 가까워 본 연구 결과에서 고려하지 못한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에 미칠 수 있는 변수를 찾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organize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 system by gaining information about oral health status, knowledge and activities of aged people who are beneficiaries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There are 267 beneficiaries (78 male and 157 female patient) of home visiting care in 3 subdivision of Goryong county. They are, at least, 65 years old people and have either hypertension, diabetes, heart disease, dementia, arthritis or any other disabilities. Questionnaires and oral exam were carried out from 15th of January 2007 until 28th of February. However, 32 patient among those beneficiari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either, absent, had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 questionnaires or had serious illness.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235 people and they are 78 male(33.2%) and 157 female(66.8%). The majority of them (63 patient, 26.8%) are aged between 75 to 79 years old. The oral exam showed higher rate of missing teeth in female patient than male. The male had 13.3 missing teeth average, and female had 18.6. The female patient had lower decayed teeth rate (p<0.05), male patient showed lower missing teeth rate (p<0.01). The male patient had more number of remaining teeth than female, 15.2 and 11.5 respectively (p<0.01). Approximately, 42.3% of male and 45.2% of female aged people complained about the frequent teeth problems including masticatory problem and tooth mobility. There were 48.7% male and 56.1% female aged who complained about xerostomia. The most aged male (46.2% of them) brushed their teeth once a day and most aged female (45.9%) brushed twice a day. However, those who aware of accurate tooth brushing technique were 29.3% and 29.8% each (aged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p<0.05) Th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activities showed negative relations. The aged male patients, as the age increases brushing frequency decreases. The aged female patients, also, showed decrease of oral knowledge, increasing numbers of missing teeth and decreasing numbers of residual teeth as they gain their age. Those results shown above represent that beneficiaries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do not receive sufficient oral healthcare and education. Therefore, well-organized system and more staffs are needed. If these necessities are fulfilled, then those beneficiaries could benefit more from this health care system. The preceding research on this subject is almost none. Hence, to define other possible variation that could affect the oral health status,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proceeded.

      • 컴퓨터 보조학습을 활용한 중학교 음악과 수업 방법 연구 : 2학년을 중심으로

        조경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20세기 중엽부터 학습매체로서 코스웨어 (courseware)가 개발되었으며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으로 컴퓨터가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는 컴퓨터 학습을 급속히 증가시켜 교육을 정보화하고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포괄적인 음악교육을 하려고 하고 있으며 이는 현대 음악교육의 동향과도 매우 일치하는 것이다. 컴퓨터를 교수-학습 매체로 이용하여 학습 목표에 따라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된 학습과정을 제공하는 교수체계인 컴퓨터 보조학습 (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을 음악교육에 활용하는 것은 양질의 교육을 공교육에서 실현할 수 있는 진보된 교육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당위성을 지닌다. 첨단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멀티미디어 (multimedia)수업,’ ‘인터넷 (internet)활용 수업’ 등의 개념으로 확산되고 심지어 ‘전자 교과서’의 제작까지도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교육개발원 산하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는 1993년부터 멀티미디어 컴퓨터 환경의 특성을 이용하여 보다 향상된 교육용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들어가 1996년 초에 이것을 보급하고 끊임없는 발전을 거듭한 결과 1999년 4월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멀티미디어 교육지원센터’가 독립적으로 운영되었으며, 많은 연구사들과 멀티미디어 자료개발원, 네트워크 관리요원에 의해 멀티미디어 코스웨어는 계속 발전되고 있다. 또 에듀넷 (edunet) 웹 서비스 자동접속 프로그램, 품질인증 교육용 소프트웨어, 사이버 학습교재 등, 변화하는 사회에서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은 기존의 학교체계를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고 교육효과와 효율성을 높여 주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학교현장에서는 컴퓨터 보조학습을 이용한 수업이 전과목에 걸쳐 확산되어 있고 교육 선진화 기자재가 각 교실마다 비치되어 있으며, 컴퓨터 보조학습을 이용한 수업을 적극 권장하는 실정이나 음악과에서는 잘 활용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환경변화의 인식 전환 과정에서 사이버 교육은 정해진 시간과 공간에서 획일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내용과 방법 등에서 생기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교육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화 시대의 진취적인 교사는 시대의 움직임을 사로잡는 새로운 학습매체로서 코스웨어를 수업에 활용하고 있다. 정체된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교육 정보화 시대에 맞는 교육을 하기 위해 컴퓨터를 비롯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갖는 고등 정신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수업 방법을 적극 연구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사회에 맞는 정보기술을 교육에 적극 활용하여 시대에 맞는 수업형태를 개발하여 특히 학습의욕이 저조하고 집중력이 부족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악에 대한 청각과 시각적인 자극을 주며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게 함으로써 음악수업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함이며, 더 나아가 바람직한 수업을 위하여 여러 가지 컴퓨터 보조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업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즐겁고 흥미로운 음악수업을 하도록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앞으로 정보통신 시대에 알맞게 컴퓨터 보조학습을 교육현장에 적용한다면 학교 음악교육은 훌륭한 발전을 이룰 것이다. 우리의 교육과정에 적합한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교육자료를 개발하여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표현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고 학습동기가 유발되는 흥미로운 수업이 되도록 더 많은 연구가 되어야 하겠다. Courseware(the software for education developed for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has been developed as learning media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ince the mid-2O^(th) century and the computer has been used as a way of transmitting of the contents of a study efficiently. So people working in educational field increase the study of computers rapidly and make education informative, and they try to do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with the base of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really corresponds to the tendency of modern music education. It is natural that in music education we use CAI, an instructional system which provides the logical and systematic course of stud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tudy by using computers as teaching-learning media, because it provides advanced educational environments which can realize the education of good quality in the public education. The rapid development of highly-developed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produces even 'electronic textbook' including 'multimedia instruction' and 'Internet instruction'.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under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began to develop much more advanced multimedia softwar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uter environment in 1993 and supplied it early in 1996 and continued to develop it. Consequently, 'Multimedia Educational Supporting Center' has been operated independently from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ince April in 1999, and multimedia courseware has been developed continually by many researchers, multimedia data developers and network controllers. And in this ever-changing society, the use of informational communicative technology such as Edunet, webservice automatic connecting program, certified quality educational software and cyber educational teaching material is not to destroy the existing structures of schools, but to raise the effects and efficiency of education. In fact, the instruction using CAI is being spreaded over all subjects and each school prepares the teaching material for advanced education in every class and encourages the instruction using CAI, but not in the field of music. In this cognitive conversion of environmental transition, cyber education will solve the problems which are derived from the method of uniform education performed in specially fixed time and space and it will improve the educational quality. The enterprising teachers in the information era are using courseware as a new instruction media which catches up with the change of era. We should study positively this educational method to improve the high-level spirit keeping the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y making use of multimedia including computer in order to perform the education which is fitted in educational informational era free from the stagnant educational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he stimulus of the sense of sight and hearing to the students of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who lack will of study and concentration by applying to the education the information technology fitted in the new society and by developing the instruction method fitted in the era, to make the music instruction desirable by letting them have positive thought about music, and furthermore, to make the students feel happy and interested in the music class by providing the instruction method using many kinds of CAI programs. From now on if we apply CAI to educational field pursuant to the informational communicative era, music education at schools will develop prominently. Further studies should be done to develop good-quality multimedia educational material which go with our curriculum, to improve the nature of music, creativity and ability to express through a lot of media and methods, and to make the instruction interesting enough to give the students motive of study.

      • 내적 심상에 의한 꽃의 추상적 표현 연구

        조경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연은 인간에게 무한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끝없는 관심의 대상이었고 예술적 표현 대상이 되어 왔다. 자연에 대한 관심은 예술의 아름다움을 낳게 하는 모태가 된다. 예술창작의 목적은 자연의 모방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예술가의 내적 심상을 통해 자연의 이미지를 새롭게 변형· 창조하는데 있다. 자연의 수많은 표현 대상 중 아름다움과 화려함으로 상징되는 것은 꽃일 것이다. 꽃은 그 자체가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갖고 있으며, 바라보는 이의 아름다운 감정을 일으키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꽃을 소재로 택하여 꽃의 화려함, 아름다움, 생명력을 시각적으로 환상적인 이미지를 통해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무한하고 창조적인 형상을 추구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표현 방식에 있어서 꽃의 사실적 형태를 변형하여 독자적인 색채를 추구하고자 하였으며, 그러한 꽃의 이미지를 통하여 상상 속의 무의식 세계를 표현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느낌을 필요로 하는 것들의 시각적인 전달을 위한 구상적 요소들과 생명현상의 내밀한 변화와 연구자의 내적 심상을 전달하기 위한 추상적 요소들을 조화와 대립을 통하여 결합하였다. 본인 작품의 객관화를 위해 로버트 메이플도프(Robert Mapplethorpe, 1946∼1989)와 이모겐 커닝험(Imogen Cunningham, 1883∼1976)을 통하여 연구자의 표현 방식과 그들 작품과의 연관성과 차이를 연구해 보았다. 본 논문은 내적 심상에 의한 꽃의 추상화를 통하여 자연 질서 속의 미지의 것, 재현 불가능한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Nature has limitless meaning for humans and has been endless target of interest and expression for mankind. Interest in nature becomes the uterus that gives birth to the beauty of art. For artists nature is there not just for imitation and their objective is to create what nature cannot do. Among so many targets of the expression of nature what is symbolized by beauty and splendor may be flowers. Flowers themselves have beauty and life and raise beautiful feelings in the mind of those who look at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I selected flowers as its subject and attempted to show visually fantastic images with the purpose of pursuing their limitless and creative shapes. In the method of expression, I attempted to seek after original colors through realistic transformation of flowers and express an image in fancy through the unconscious world of humans. In addition, I combined through harmony and coordination concrete elements for visual conveying of what requires tangible feelings and abstract elements for conveying the secret changes and psychological factors life phenomena difficult for us to realize. In order to render my work objective I studied, through Robert Mapplethorpe(1946∼1989) and Imogen Cunningham(1883∼1796), the difference of relevance between my method of expression and their works. Through this study I have come to think that I have to begin my work based on the endless movement of nature and humans and the constant and mystic force of life.

      • 중학생들의 회복적 서클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조경애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중학생들의 갈등이 발생되어 그 정도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는 뉴스를 가끔 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은 갈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여러 가지 문제들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 두드러지게 발생되는 갈등유형으로 휴대폰 대화방을 통한 언어폭력과 집단따돌림 이다. 학교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생들에게 이러한 환경의 노출은 심각한 부정적 정서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학생들이 효율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면, 보다 안정된 발달단계를 거칠 것이다. 이에 학생들이 효율적으로 갈등을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긴급한 상황에서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갈등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갈등해결프로그램의 하나인 회복적 서클(Restorative Circle)을 학생들의 갈등에 적용하여 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하는 것들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갈등상황에 회복적 서클(Restorative Circle)을 적용하여 그들의 어떤 경험들을 알아보고,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의 진술을 분석하여 자기인식, 타인이해, 갈등 재인식, 변화 등의 4가지 유형의 경험 내용을 도출하였다. 이것은 참여자들이 갈등 조정 프로그램인 회복적 서클(Restorative Circle)을 경험하며 갈등에 대한 자신이 받은 고통에 대해 솔직하게 느낌을 표현하였고, 이를 통해 상대는 자신이 끼친 피해를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대화과정에서 친구에 대한 개인적인 특성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주변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갈등을 재인식 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갈등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고, 진행자의 도움으로 자신의 욕구를 드러내는 과정에서 서로의 말을 경청하며 공감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감정의 의사소통인 대화의 중요성을 경험하며 관계 개선의 의지를 보이며 노력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들 진술에서처럼 갈등은 언어와 행동의 폭력형태로 해결하는 것 보다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며, 대화로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 더 좋음을 경험하였다. 회복적 서클(RC)이 모든 갈등을 없애는 방법으로 적용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가치는 공동체 내에서의 회복적 정의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이다. 공동체 내에서 갈등을 관계 회복의 관점인 회복적 정의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관계를 회복하는데 유의하다는 연구결과들에서 회복적 정의가 바탕이 되는 회복적 서클(Restorative Circle)은 공동체 내의 갈등을 해결하고, 관계를 회복하는 하나의 갈등전환 방법으로 보인다. About the conflict of the various aspects that occur in schools around the students failed to respond effectively to deepening the conflict, or even reaching forms of violence are often in contact with the contents. In this study, we apply the conflict restorative circle as a way to manage these conflicts more effectively an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The study was taken out of Giorgi phenomenological method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the content and nature of the experience with the restorative circle in conflict situations to students in schools that belong to the researchers, through which participants' by analyzing the statements self-awareness, understanding others, conflict relearn, and derive the four categories of change. This makes participants experience the process of pre-circle and the circle after circle and restorative circle , and the feeling was expressed frankly about the pain he received to the conflict, through which a relative is aware of the damage he has had was. Also in the dialogue process was re-look at the conflict through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the friends. Learned about the cause of the conflict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revealing his desire with the help of a facilitator opponent was listening and empathy them. As a result, participants experienc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dialogue of emotions was committed to the will of the relationship. Participants in this study, as stated conflicts experienced better to restore the good relations and expressed his desire to dialogue rather than violence to solve a form of language and behavior. Will not restorative circle can be described as how to get rid of all the conflicts. But looking at the conflict in the community in terms of recovery point of view of restorative justice in relation solve problems, use of non-violent dialogue as a way of communication in conflict situations is to restore the relationship noted that the study results in restorative justice and non-violence restorative circle that we are going to talk to the foundation will resolve conflicts within the community, the conflict between the transition to recovery may be one possible way.

      •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과정에서 시민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조경애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 과정의 성격을 고찰하고 시민운동의 역할을 분석하며 그 실천적 함의를 찾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999년 10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이루어진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과정은 정부가 정책을 주도하였지만 다양한 정책 참여자의 참여를 보장하였으며 다양한 이해관계가 표출되고 조정·합의되는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과정은 민주화 이행기에 해당하는 1990년대에 이루어진 중요한 사회복지정책결정과정과는 어떻게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그 과정에 참여한 시민단체의 역할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과정을 제도 준비기, 제도 공론(화)기, 제도 결정기로 구분하여 제도의 정책형성 과정과 정책참여자의 행위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쟁점변화와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법 제정과정에서 시민단체가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분석하고 그 실천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과정은 다양한 정책 참여자의 참여가 보장되고 다양한 이해와 갈등이 조정되면서도 대체적으로 정부의 주도성이 관철되는 특징을 볼 수 있다. 정책의제형성과정은 정부 주도의 동원모형으로 나타났지만, 제도 공론(화)기에는 사회적 이슈화와 대안 형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양상으로 전환되었다. 둘째,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과정에서 형성된 쟁점은 대체적으로 정부안을 중심으로 타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쟁점사항이었던 재정운영방식, 현물급여 중심, 관리운영주체 문제는 대부분 정부안대로 통과되었다. 시민단체들이 강력하게 요구한 본인부담금 인하 요구는 일부 반영되었으나 대상자 확대 요구는 법률조항이 아닌 부대의견에 명시하는 한계를 보였다. 셋째, 이익단체들은 대부분 이 제도에 각 직능단체들의 서비스 제공영역을 확대할 것을 요구하였으며, 대체로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계는 직능단체의 이해에 따른 요구사항을 강하게 표출하지 않았으나 의료계는 직능단체의 이해를 적극적으로 요구하였으며 의사협회와 간호협회간의 갈등이 표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익단체들의 요구가 합리적으로 조정되기 위해서는 이익단체들의 정책 참여활동이 공개적이고 투명해질 필요가 있으며 시민단체의 참여와 공익적 역할이 확대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시민사회단체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 전 과정에서 주도적이거나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제도 공론(화)기에 시민단체들은 순발력있게 대응하여 사회적 이슈화의 역할, 정부에 대한 비판자의 역할, 당사자의 권익을 옹호하는 역할, 정책대안 제시 역할 등을 하였다. 입법발의라는 적극적인 대안 마련과 정당과 국회 법안심사위원들을 설득하여 최종 법 제정의 내용 일부를 변화시켜 내는데 영향력을 미쳤다. 주지하듯이 민주화 이행기에 해당하는 1990년대부터 사회복지 정책 분야에도 시민단체들이 정책 참여자로 등장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과정은 민주화 정착기라 할 수 있는 2000년대에 복지정책결정과정이 새로운 양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즉 1990년대와 비교하여 정부가 주도적으로 복지확대와 개혁에 나서면서도, 동시에 정책결정과정에 시민단체와 이익단체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양상이 확산될 것이다. 커다란 이슈의 정책보다는 대체로 소규모의 일상적인 정책과정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가 가지는 실천적 함의는 민주화 정착기에 복지정책결정과정의 참여자로써 시민운동의 역할과 참여전략의 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한데 있다고 할 것이다. 커다란 이슈보다는 일상적인 정책결정과정에서 시민운동의 확대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민운동의 복지정책 참여 전략이 새로워져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the process of enacting “Act on the long-term elderly care", to investigate the role of NGO, and to find the practical implica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for “Act on long-term elderly care" from October 1999 to April 2007, expressed various opinions and undergone regulation and conference, the Government promised to participate in the various policy participants. By classifying the process of making for “Act on long-term elderly care" such as the period of preparation of a system, the period of academic discussion, and the period of determination, this thesis analysed the process of agender setting process, an action of policy participants, and the results with a change on a point at issue. In the process of enacting law, this thesis considered "which role NGO accompany"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power of influence in NGO and studied the practical implication. The study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ly, a character can be seen that the Government leaded the process of making “Act on the long-term elderly care" exception of the period of academic discussion. The Government guided the period of preparation of a system by a leading and concentrative resource input, both NGO and interest group criticized and appealed their suggestion to public opinion in the period of academic discussion. An Assemblyman having parliamentary intervention took the initiative of the policy-making process, but the Government could exhibit the power of influence because of the power on a budgetary in the period of determination of a system Secondly, there can be seen that an issue formed in the process of making “Act on the long-term elderly care" was reached an agreement with a government measurement as a whole. The method on finance management of the center of an allowance in kind and the problem of the subject on administration and operation, to be an item in a point at issue, put the measure through a government measurement mainly. The reduction of a share on the person himself(herself), strongly demanded by an Assemblyman and NGO, was reflected in one portion but the deman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recipients only to be attatched to a accessory opinion not enactment. Third, an interest groups mostly demanded the increasement of their service coverage and their demands were generally reflected in “Act on the long-term elderly care". The group of Social Welfare didn't strongly express demands according to understanding of interest groups, but the medical profession actively demanded their demands as an interest group and complications between Korean Medical Association and Korean Nurses Association was expressed. To be rationally adjusted in the demand of an interest group, policy participation of interest groups need to be public and clear and it is necessary for both NGO participation and the role for public interest to increase. Finally, NGO called for an introduction of an universal system to realize public value and policy objectiv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ct on the long-term elderly care". The role of some NGO participated in Government would be seen a formal and negative participation in the period of preparation of a system. But NGO performed a role of making a social issue, a criticism against the Government policy, a supporter for the person concerned, and presentation an alternative plan so on in the period of academic discussion. Moreover, NGO demanded the increase of recipients, the reduction of the person himself burden, and the increase in support of Government budget, and NGOs have the influence of changing a final bill by persuading a political party and the committee member in a bill inspec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period of determination of a system. As everyone may know, it was the period of a pro-democracy movement of the 1990s for NGO to take part in the welfare policy of Government as a participant in the part of social welfare policy. The process of enacting “Act on the long-term elderly care" showed that the process of setting welfare policy will spread out as a new phase in the period of getting lodgement of a democratization in 2000s. That is to say, compared to the 1990s, the Government had a tendency to play a leading role in increasing welfare, pursue reformation related with social welfare, and ensured the participation of NGO in the process of a policy decision institutionally at this period. Expressing their opinion within various interest groups have a tendency to be active and there also have a great notion that the process of a policy decision related to a general issue is more great than that of a big policy issue. Therefore,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the necessity of change in NGO role as a participant in the process of a welfare policy decision, the period of getting lodgement of a democratization. NGO role will be demanded to have a responsibility of a role as a participant within the organization as well as a participant outside with a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a welfare policy decision. NGO role in the future will be expected for taking a responsibility of presenting policy alternatives and giving an professional advice in the technical part as well as raising a question, criticizing policy related to NGOs role. It is necessary for NGOs strategy connected with welfare policy to be new in order to advance in the future. There is to be necessary for a variety of NGOs specialized in their area to appear and have a movement to accomplish these roles even though it is very small organization. These NGOs routinely is necessary to participate, monitor policy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at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a policy decision, and have a network with various NGOs to copy with problems when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power of influence of NG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