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준비운동 세트수와 강도의 차이가 75% 1RM 벤치프레스 운동 시 반복횟수, 총운동량, 생리학적 변인 및 iEMG에 미치는 영향

        정환종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준비운동 세트 수와 강도의 차이가 75% 1RM 벤치프레스 운동 시 반복횟수, 총운동량, 생리학적 변인 및 주동근의 iEMG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피험자는 웨이트 트레이닝 경력이 6개월 이상인 남자 대학생 8명을 선정하였다. 75% 1RM의 무게로 벤치프레스 수행전 준비운동의 형태를 총 4가지로 하였다. 준비운동시 각 세트 당 반복 횟수는 사전측정에서 75% 1RM 측정 시 실시한 횟수와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세트 간 휴식시간은 2분으로 설정하였다. 준비운동의 형태는 ➀NON세트, ➁3세트, ➂6세트, ➃9세트로 세트수를 달리하였으며, 각각 실시한 후 75% 1RM 벤치프레스를 실시하였다. ➀NON세트조건은 준비운동 없이 벤치프레스를 실시하며, ➁3세트조건은 【75% 1RM의 30%】× 【75% 1RM의 50%】 × 【75% 1RM의 70%】 순으로 벤치프레스를 실시하였으며, ➂6세트조건은 【75% 1RM의 30%】× 【75% 1RM의 40%】 × 【75% 1RM의 50%】 ×【75% 1RM의 60%】× 【75% 1RM의 70%】 × 【75% 1RM의 80%】 순으로 벤치프레스를 실시하였으며, ➃9세트조건은【75% 1RM의 10%】× 【75% 1RM의 20%】 × 【75% 1RM의 30%】× 【75% 1RM의 40%】 × 【75% 1RM의 50%】 ×【75% 1RM의 60%】× 【75% 1RM의 70%】 × 【75% 1RM의 80%】 × 【75% 1RM의 90%】 순으로 벤치프레스를 실시하였다. 각 조건 별 준비운동 시 큰 가슴근과 앞세모근 및 위팔세갈래근 바깥머리의 근전도를 측정 하였다. 매 세트 간 휴식 시간에는 10초마다 심박수를 측정 하였고, 50~60초 사이의 혈압을 1회 측정 하였다. 측정은 운동 순서를 달리할 수 있도록 무작위로 교차 배분하여 진행하였으며, 조건별 1주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준비운동 세트조건과 세트 간에 따른 생리학적 변인과 운동량 및 근전도 반응은 Repeated one-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Difference와 Simple 방법을 적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a)=.05로 설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첫째, 3세트 준비운동 시 세트별 심박수는 2세트보다 3세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1), 수축기 혈압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심부담도는 2세트보다 3세트가 높게 나타났다(p<.01). iEMG의 변화 중 큰가슴근의 iEMG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5),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높게 나타났다. 앞세모근의 iEMG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01)높게 나타났다. 위팔세갈래근 가쪽갈래의 iEMG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01)높게 나타났다. 둘째, 6세트 준비운동 시 세트별 심박수는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1),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1),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으며, 수축기 혈압은 4세트보다 5세트에서 높게 나타났고(p<.05), 심부담도는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5),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다. iEMG의 변화 중 큰가슴근의 iEMG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5),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1),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1),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5),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5)높게 나타났으며, 앞세모근의 iEMG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5),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5),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1),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01),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01)높게 나타났고, 위팔세갈래근 가쪽갈래의 iEMG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5),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다. 셋째, 9세트 준비운동 시 세트별 심박수는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5),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1), 6세트보다 7세트에서(p<.05), 7세트보다 8세트에서(p<.05), 8세트보다 9세트에서(p<.05)높게 나타났으며, 수축기 혈압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심부담도는 8세트보다 9세트에서(p<.05)높게 나타났다. iEMG의 변화 중 큰가슴근의 iEMG는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5),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1),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5),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5), 6세트보다 7세트에서(p<.05), 8세트보다 9세트에서(p<.05)높게 나타났으며, 앞세모근의 iEMG는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5),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5),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5),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1), 6세트보다 7세트에서(p<.05), 7세트보다 8세트에서(p<.05), 8세트보다 9세트에서(p<.05)높게 나타났고, 심부담도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01),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5),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1),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1), 6세트보다 7세트에서(p<.001), 8세트보다 9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다. 넷째, 준비운동 조건 별 75% 1RM 벤치프레스 수행직전 심박수의 차이는NON세트보다 3세트에서(p<.05), 3세트보다6세트에서(p<.01), 6세트보다 9세트에서(p<.001)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수축기 혈압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심부담도는 3세트보다 6세트에서(p<.01), 6세트보다 9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준비운동에 따른 75% 1RM 벤치프레스 운동시 생리학적 변인의 심박수와, 수축기혈압, 심부담도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iEMG 또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반복횟수는 NON세트보다 3세트(p<.01), 6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9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9세트보다 6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으며, NON세트와 6세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운동량의 NON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6세트보다 3세건에서(p<.01), 9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9세트보다 6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으며,NON세트와 6세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준비운동 시 세트가 진행되면서 심박수와 심부담도가 증가되며, 수축기혈압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9세트 준비운동 조건에서 가장 높은 심박수와 심부담도를 보였다. 벤치프레스 수행능력은 3세트 준비운동 조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세트 준비운동 조건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벤치프레스시 수행하고자 하는 운동 강도보다 낮은 강도로 3세트 준비운동을 하는 것이 적절한 준비운동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preparation sets and the intensity on the repetition, total work, physiological variables and iEMG of the 75% 1RM bench press exercise. The subjects were 8 male college students with a weight training career of 6 months or more. A total of four types of preparatory exercises were carried out before bench press with 75% 1RM. The number of repetitions per set during the preparation exercise was the same as the number of repetitions per 75% 1RM measurement in the preliminary measurement, and the rest interval between the sets was set to 2 minutes. The types of preparatory movements were set as follows: ➀NONset, ➁3set, ➂ 6set, ➃ 9set, and 75% 1RM bench press was performed. ➀Non set conditions are bench press without preparation motion ➁3set conditions were [75% 1RM 30%] × [75% 1RM 50%] × [75% 70% of 1RM], 75% of 1RM, 75% of 1RM, 50% of 75% of 1RM, 75% of 1RM, 75% of 1RM, [75% 1RM 80%], followed by a bench press, ➃9 set conditions are 75% 1RM 10% X 75% 1RM 20% X 75% 30% of 1RM X 75% 75% 1RM 40%】 X 75% 1RM 50% X 75% 1RM 60% X 75% 70% of 1RM X 75% 80% of 1RM X 75% 90% of 1RM Followed by bench pressing. We measured the EMG of the pectoralis major, the anterior deltoid and triceps brachii during the preparation exercise for each condition. At rest intervals between sets, heart rate was measured every 10 seconds and blood pressure between 50 and 60 seconds was measured once. The order of the measurements were randomly distributed and crossed every week.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physiological variables, the momentum and the EMG respons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repared exercise set and the set was analyzed by the repeated one-way ANOVA, and the difference and the simple method were applied for the post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a) =. 05. As a result, first, heart rate per set was higher in 3 sets than in 2 sets in 3 sets (p <.01), systolic blood pressur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nd Rate pressure product was 3 sets (P <.01), respectively. Among the changes of iEMG, the iEMG of the pectoralis major muscle was higher in 2 sets than in 1 set (p <.05) and 3 sets (p <.01) higher than 2 sets. The iEMG of the anterior deltoid was higher in two sets than in the first set (p <.01), and was higher in three sets (p <.001) than the second set. The iEMG of the triceps brachii was higher in the two sets (p <.01) than in the lower arm, and higher in the three sets (p <.001) than the two sets. Second, the heart rate per set was higher in 4 sets than in 3 sets (p <.01), and 5 sets (p <.01) was higher than 4 sets in 5 sets Systolic blood pressure was higher in 5 sets than in 4 sets (p <.05), and Rate pressure product was higher in 4 sets than in 3 sets (p <.01) <.05) and 5 sets (p <.01) higher than 4 sets. Among the changes of iEMG, iEMG of pectoralis major was higher in 2 sets than in 1 set (p <.05), higher than 4 sets in 3 sets (p <.01), 5 sets in 4 sets (P <.05) than in the 5 sets (p <.05), and in the 6 sets (p <.05) IEMG was higher in two sets than in one set (p <.05), higher in three sets than in two sets (p <.05), higher in four sets than in three sets (P <.001), and it was higher in 5 sets than in 4 sets (p <.001), higher than 6 sets in 5 sets (p <.001) The iEMG of the forked group was higher in two sets than in one set (p <.01), higher than three sets in two sets (p <.05), and in 6 sets (p <. 01). Third, the heart rate per set was greater in 4 sets than in 3 sets (p <.05), and 6 sets in 5 sets (p <.01) (P <.05), which was higher than the 7 sets (p <.05), 9 sets (p <.05) higher than the 8 sets, Systolic blood pressur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nd Rate pressure product was higher in 9 sets (p <.05) than 8 sets. Among the changes of iEMG, the iEMG of the pectoralis major was higher in 3 sets than in 2 sets (p <.05), higher in 4 sets than in 3 sets (p <.01) (P <.05), which was higher in 6 sets than in 5 sets (p <.05) and higher in 7 sets than 6 sets (p <.05) (P <.05)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set (p <.05). The iEMG of the anterior deltoid was higher in the third set than in the second set (p <.05) (P <.05), and it was higher in 5 sets than in 4 sets (p <.05), higher than 6 sets in 5 sets (p <.01) (P <.05), which was higher in 8 sets than in 7 sets (p <.05), higher in 9 sets than in 8 sets (p <.05) (P <.01), and the burden was greater in two sets than in one set (p <.01), and was higher in three sets than in two sets (p <.001) (P <.05), which was higher in 5 sets than in 4 sets (p <.01), higher in 6 sets than in 5 sets (p <.01) (P <.001), and 9 sets (p <.01) higher than 8 sets. Fourth, the heart rate difference before the 75% 1RM bench p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hree sets than in the NON set (p <.05), in the 6 sets (p <.01) (P <.001), and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ate pressure product was higher in 6 sets than in 3 sets (p <.01) respectively. 6th, the number of repetition was higher in 3 sets than in NON set (p <.01), higher in 3 sets than in 6 sets (p <.01) and higher in 3 sets than 9 sets (P <.01), and 6 sets (p <.01) higher than 9 se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 set and 6 sets. (P <.01), which was higher than the NON set of total momentum (p <.01), greater than that of the three sets (p <.01) (P <.01), and it was higher in 6 sets than in 9 sets (p <.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 set and 6 sets. In summary, the phys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sets during the conditional preparatory exercise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heart rate increased, and iEMG increased as the set number of pectoralis major muscle, front deltoid muscle and triceps muscle increased. The warm-up (10 seconds before) exercis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exercise. Physiological variables were higher heart rate with more sets. The number of repetitions per set condition was the highest at 3 sets, and the total exercise quantity was the highest at 3 sets. In conclusion, heart rate and Rate pressure product were increased and systolic blood pressure remained constant as the set was progressed during preparatory exercise. 9 sets of exercise conditions showed the highest heart rate and heart burden. Bench press performance was the highest in the three sets of preparation conditions and lowest in the nine sets of preparation condition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perform three sets of preparatory exercises with a strength lower than the exercise intensity to be performed during the bench press.

      • 줄기세포 배양 시 인간의 유전자 재조합 골 형성 단백질-2 (rhBMP-2)와 헤파린이 조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eparin with rhBMP-2 on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in to osteoblasts

        정환종 단국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골 형성 단백질 (BMP)은 골 형성을 촉진시키며 골 이식등과 같은 여러 임상연구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또한 헤파린은 골형성 단백질과 함께 적용 시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며 골 형성을 야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인간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2 (rhBMP-2)의 단독 사용과 0.25, 25 μg/㎖의 헤파린을 첨가 하였을 때 헤파린의 사용이 인간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2( rhBMP-2 )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하고자 시행 하였다. 줄기 세포는 5세대까지의 연속 배양방법과 STRO-1과 CD90을 통한 단일 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AS phosphate-fast blue BB 염색법과Alizarin red 염색을 사용하여 조골세포의 분화와 세포내의 칼슘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ALP 활성도 검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5세대 까지의 세포 배양을 통하여 세포는 활발하게 증식되었으며 Stro-1 and CD90에 양성 반응을 보였다. 2, 4일째Naphthol AS phosphate-fast blue BB 염색과Alizarin red 염색에서 대조군 및 각 실험군의 조골세포의 형태학적 분화가 조골세포의 활성과 매우 강한 연관성을 가졌다. ALP 활성도 검사는 25 μg/ml 의 헤파린 농도에서는 2일째 가장 높았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0, 0.25 μg/ml의 헤파린 농도에서는 배양 4일째 가장 높았으며 배양 8일째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줄기세포는 인간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2 (rhBMP-2)가 존재하는 배양액에서 조골세포로 분화되었으며 첨가되는 헤파린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분화가 촉진되었고 형태학적인 분화도는 조골세포의 활성과 깊은 연관을 가졌다. 또한 헤파린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의 조기분화가 나타났으며 이는 세포의 퇴행성 변화를 촉진 하였다. Bone morphogenetic proteins (BMPs) are known to promote osteogenesis, and clinical trials are currently underway evaluating the ability of BMPs to promote bone formation in grafting procedures and fracture healing. Some studies, have independently reported that sulfated polysaccharides particularly heparin, enhance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induced by BMPs in vitro, and another study demonstrated that heparin enhanced the bone formation induced by BMP-2 in viv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adipose stem cell responses to rhBMP-2 alone and rhBMP-2 with heparin at 0.25, and 25 μg/㎖ concentrations, respectively, in culture media. Adipose stem cells were cultured for 2, 4, and 8 days toward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in rhBMP-2 alone and rhBMP-2 with heparin at 0.25, and 25 μg/㎖ concentrations, respectively, in culture media. Verification of the stem cell lineage was performed in two ways. The first method was a continuous sequential culture until 5th generation. The second method wa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for STRO-1 and CD 90. Naphthol AS phosphate-fast blue BB staining for alkaline phosphatase was used for verifying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becaus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had been used as a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marker and degree of osteoblastic activity. Alizarin red staining was also used as a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marker because it quantifies the calcium levels in cells or tissues. . During the 5th generation culture, cultured cells actively proliferated, and these cultured cells showed a positive reaction to STRO-1 and CD90 cell surface molecules. Naphthol AS phosphate-fast blue BB staining and Alizarin red staining were positive in most samples of each group at 2, and 4 days and positive reaction was proportioned to degree of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In the concentration of 25 μg/ml of heparin, the ALP activity was highest at the 2nd day in the culture, and then the activities of ALP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t 4, and 8 days. The ALP activity was greatest at the 4th day of the culture, and then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8th day in 0 μg/ml and 0.25 μg/ml of heparin concentrations, Adipose stem cells could be differentiated in rhBMP-2 in culture media, and the addition of heparin to BMP-2 promote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Moreover,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activity of osteoblasts. This study was shown that, when heparin concentration increases, the early differentiation of the cells was brought about, but the early differentiated cells were rapidly progressed to degenerative changes.

      • 성취목표가 학습습관과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정환종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에 있어서 성취목표가 학습습관과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밝힘으로서 성취목표가 중학생들의 효율적인 학습습관과 학업성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교사가 학업상담시 효율적인 상담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대안을 탐색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문제들의 확인을 위해 성취목표를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로 세분하여 각각의 목표가 학습습관들과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학습습관은 그 하부요인을 학습에 대한 동기 및 적극성, 학습에 대한 계획성 및 조직성, 학습집중력, 기억을 잘하는 방법, 듣기/노트사용법, 학습전략(핵심 파악/요약),시험보는법/시험준비요령 등 7가지 요인으로 세분하였고, 학업성적은 지난 학기의 실제성적과 자기평가성적 2가지로 나누었다. 연구분석을 위하여 서울시내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121명이 최종분석되었다. 숙달, 수행-접근, 수행-회피등 3가지 성취목표를 독립변인으로 학습습관과 학업성적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상관분석하였으며, 3가지 성취목표간 질적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학생들이 학습습관과 학업성적에 대한 관심이 클수록, 즉 숙달목표가 강할수록 다른 학생들보다 자신의 학습습관과 학업성적을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갖게 된다. 즉 수행-접근목표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r=.50, p<.001). 또한 수행-접근목표와 수행-회피목표와 상관이 r=.57(p<.001)로 나타나 다른 학생들보다 나아지려고 하면 할수록 다른 학생들에게 뒤지지 않으려는 관심 또한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성취목표에 따른 학습습관은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에서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수행-회피목표에서는 상관관계가 없거나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목표와 학업성적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숙달목표는 학업성적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지며 수행-접근목표는 실제성적과 유의한 정적상관(r=.21, p<.01), 수행-회피목표는 자기평가성적에서 유의한 부적상관(r=-.23, p<.05)을 나타내었다 넷째, 학습습관들과 학업성적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습습관과 학업성적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지며,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습동기(BETA=.24, p<.05)는 학업성적중 실제 성적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 시간관리(BETA=.22, p<.05)와 시험관리능력(BETA=.28, p<.01)은 학업성적중 자기평가성적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학습습관은 학업성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성취목표, 학습습관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 분석 결과에서 성취목표는 학업성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가지지 않았다. 이는 성취목표는 학업성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학습습관을 매개변수로 학업성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 의해서 중학생에 있어서 3가지의 성취목표들 중 바람직한 습관의 형성에는 숙달, 수행접근목표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반대로 수행-회피목표는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업성적에 있어서는학습습관이 학업성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보였으며, 성취목표들 중에서도 숙달목표는 긍정적인 상관을 수행-회피목표는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성취목표와 학습습관과의 상관을 통제한 분석에서는 유의한 통계적 결과를 보이지 않아 성취목표는 학습습관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학업성적에 상관을 가지는 즉, 학업성적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혜康硏究

        정환종 山東大學 1998 해외박사

        RANK : 247631

        혜康은 魏晉詩代 竹林七賢중의 核心人物이다. 以前의 그에 대한 硏究는 대부분 思想과 美學方面에만 偏重되어 있었다. 혜康의 思想을 探究한 대부분의 學者는 혜 康을 道家思想에만 耽溺한 人物로 理解해 왔다. 그러나 혜康의 思想은 基本的으로 儒家思想을 根幹으로 당시 魏晉詩代를 風靡했던 老莊玄學, 陰陽五行說 神仙養生設등이 합쳐져 形成된 것이다. 이런 觀點은 以前의 斷片的이고 平面的인 혜康思想의 考察을 바로 한 것이다. 혜康은 中國文學史와 中國哲學史등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生涯가 잘 알려진 바는 없다 이번 硏究에서는 혜康이 이미 알려진 대로 서기 224년에 태어나 서기 263년에 사망하였다는 사실 이외에 혜康과 결혼한 長樂公主는 曹林의 딸이고, 결혼 이후 政局의 변화로 인하여 두차례에 걸친 隱居등 현실정치로부터 올 수 있는 逼迫을 피하기 위해 그의 생애 후반의 대부분을 당시 정치사회의 중심인 洛陽을 애써 피해왔음을 考證하였다. 혜康은 그의 '義氣' '剛毅' '不群' '任性' 등으로 대표되는 성격 특질이 결합된 突出行爲로 결국 죽게된다. 비록 突出行爲이기는 하지만 그의 일관된 행위는 결국 反司馬氏의 입장을 堅特하고 있다. 혜康의 文學作品은 詩賦와 散文이 있다. 詩는 내용상 憂憤詩, 哲理詩, 懷古詩, 遊興詩, 遊仙詩로 나눌 수 있고 琴賦는 琴의 제작 전과정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부는 단순한 詠物이 아니고 詠物을 빌려 혜康의 音樂과 美의 追求와 理想을 표현한 것이다. 혜康의 散文은 條理가 분명하고, 構想이 치밀하여 首尾가 相應한다는 評을 받으며 古今 學者의 칭송을 받아 왔다. 내용은 人物. 社會, 學術, 方術등 다방면을 包括하고 있음을 指摘 分析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筆者는 以往의 斷片的인 혜康硏究에서 탈피하여 그의 生涯, 家系, 性格, 理想, 文學과 當代와 後世의 影響등을 역사기록을 중심으로 다각도로 연구분석하여 그의 복잡하고 생동감 넘치는 본면모를 재구성하려 했다. 혜강이 죽은지 1700여년이지만 오늘날에도 연구해야 할 많은 부분이 남아있고, 당시의 극도로 열악한 政治環境에서도 굴복하지 않은 그의 氣槪는 다시금 照明을 받아야 한다. The bacteriophage λO protein localizes the initiation of replication to a unique sequence, ori λ through specific protein-DNA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s. Conformational changes at ori λ introduced by O protein binding have been reported and their role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In our studies, we focused on detailed structural basis of the formation of the O protein-ori λ complex(O-some). This work was divided into five Chapters including a general introduction given in Chapter 1, a brief review of genetic, biochemical, and structur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As shown in Chapter 2, we found that the O protein exists as a dimer and demonstrated that the active DNA binding species is also a dimer. Dimerization and sequence-specific DNA recognition are specifically mediated through the amino-terminal half of O(O1-162(아래첨자 1-162입력불가)). The binding affinity of O for a single copy of its 19 bp recognition sequence was 2-3 nM. We also found that the O-some is composed of 4 dimers of O and ori λ DNA, which contains four 19 bp direct repeat recognition sites, i, e., a dimer of O is bound to each repeat(iteron). Moreover, we found that only the amino-terminal DNA binding domain is required for formation of the O-some.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asis for the unique properties of O protein, we generated a number of carboxy-terminal and internal and internal deletion mutants of O. Experiments with purified mutant proteins, as shown in Chapter 3, indicated that (ⅰ) the deletion mutant retaining amino acid residues 19-110 is the smallest O protein species that can both bind to DNA and form a dimer, (ⅱ) the affinities of all mutant proteins for a single iteron are almost the same, ranging from 2 to 4 nM; (ⅲ) the portion of O that is responsible for dimerization is located between amino acid residues 19 and 85; (ⅳ) the carboxy-terminal domain (O 156-299(아래첨자 156-299입력불가)) is a monomeric species that does not recognize specific DNA sequences but instead, bind non-specifically to duplex DNA; (ⅴ) the linker joining the two structural domains is not required for O function, but its coding sequence of DNA contains several recognition sites for O protein (ori λ); and (ⅵ) a deletion! m! utant missing the amino-terminal portion of the carboxyl-terminal domain is still comparably active in the in vitro λdv replication assay. In Chapter 4, the structural basis of the O protein-DNA complex was studied in detail. Hydroxy radical footprinting was employed to obtain the high resolution structural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s between the protein and the sugar-phosphate backbone of DNA. The missing nucleoside experiment allowed us to identify energetically important base moieties that may be in contact with bound O protein. Quantitation of the extent of O-mediated DNA bending indicated that O induces a relatively sharp bend in an individual recognition sequence of 85。 ±5。 . Measurement of the O-induced topological change indicated that a region of DNA or specifically ori λis wrapped around the O protein core in a left-handed fashion with a linking number change of 0.7±0.1 turn. In Chapter 5, we present direct evidence that the O protein also has the capacity to interact with single-stranded DNA, the first such interaction discovered among prokaryotic origin-binding proteins. The implication of this dual DNA binding specificity of O for the formation of the unwound structure at the A/T-rich region of ori λ is dis cussed. The addition of the λP-DnaB comple x to the O-some produces a new nucleoprotein species with a super-shift in migration. The presence of P and DnaB reduces significantly the amount of O required for binding to single-stranded DNA.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a detailed model for sequential structural changes in ori λ as a consequence of O binding to the origin of λreplication.

      • EPMA 분석을 통한 RBM surface 임플란트의 연구 분석

        정환종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days, implant treatment became a branch of universal dental treatment and results in more success by surface conditioning and continuous improvements. Recently, RBM surface implant use very frequently because of its good character like that good initial stability, early bone formation. In this study fixures have divided in 2 group: Machined(Group Ⅰ), RBM (Group Ⅱ). Total 4 fixtures were implanted on rabbit which sacrificed on week 2 and week 4 for the histological specimens. By these specimens EPMA value were measured, compared and analysed by each group to figure out the evidence of clinical use of RBM implant. The results as follows : 1. In EPMA,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of Ca was following : Group Ⅱ was two times more higher than Group Ⅰ. In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of P Group Ⅱwas higher than Group Ⅰ, but there were no statical significances. 2. In new bone formation area, Group Ⅱ was more higher than Group Ⅰwith statically significances. Both of group, after 4 weeks area is little bit higher than after 2 weeks area but there is no statically significances. Finally, RBM implant was the most exellent on the early bone formation. 최근 다양한 치과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식은 다양하다. 그 가운데 임상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임플란트들 중 하나는 RBM 처리된 임플란트로서 본 연구에서는 EPMA 분석을 통하여 RBM 임플란트의 임상적 효용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achined(1군), RBM(2군), 2종류를 토끼에 식립하여 2주, 4주에 희생시키고 표본을 얻어 EPMA를 이용하여 골 형성 면적 및 Ca 및 P의 농도를 측정하여 각 군간 비교 분석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RBM 임플란트의 효용성을 위하여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EPMA 소견에서 칼슘의 분포와 농도는 2군이 1군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인의 분포와 농도는 2군이 1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골 형성면적은 유의하게 2군에서 1군보다 높았으며, 두 군 모두에서 2주보다 4주에서 형성면적이 넓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RBM 임플란트가 4주 이내의 초기 골 형성에 우수하였다.

      •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한 LMS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정환종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주된 목적은 간섭을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적응 어레이를 위한 스마트 알고리즘의 선택이다. 스마트 알고리즘의 동작원리는 안테나 어레이의 가중치를 형성하는 LMS 빔 형성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에 해당하는 신호를 추적하고 그 방향으로 널(null)을 도입함으로써 다른 곳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응 빔의 일정량을 형성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스마트알고리즘의 궁극적 목적은 간섭을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를 추출 하는 기능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결과를 토대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하는 가중치 기반 LMS 빔 형성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였고, 원하지 않은 사용자의 신호에 의한 간섭을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e smart antenna system is the selection of smart algorithms for adaptive array. By using LMS beam forming algorithms the weight of the antenna array can be adjusted to form certain amount of adaptive beam to track corresponding users automatically and to minimize interference arising from others by introducing nulls in their direction. The interference can be suppressed and the desire signal can be extracted. This thesis proposes the least mean square (LMS) algorithm. The performance of LMS algorithm for different number of antenna array elements is simulated by using MATLAB software. Smart antenna incorporates this algorithm in coded form which calculates complex weights according to the signal environment.

      • 벤치프레스운동 시 운동 강도와 휴식조건이 반복횟수, 총운동량, 심박수회복률, 혈액점도, 적혈구용적률 및 수치평가척도에 미치는 영향

        정환종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6세트 벤치프레스 운동시 운동강도와 휴식조건의 따른 반복횟수, 총운동량, 심박수회복률, 혈액점도, 적혈구용적률, 수치평가척도, 휴식시간의 변화에 대한 분석이 목적이 있다. 운동조건은 운동강도(2)와 휴식조건(2)에 따라 Type1[85%1RM·3min], Type2[85%1RM·HR], Type3[50%1RM·3min], Type4 [50%1RM·HR]로 4가지이다. 연구 대상자는 저항운동 경력 12개월 이상의 남성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 시작 시작 1주일 전 연구대상자 별 85%1RM과 50%1RM을 측정하였다. 반복횟수는 모든 세트에서 측정하였으며, 총운동량은 측정된 85%1RM과 50%1RM과 실시한 반복횟수를 곱하여 세트별 총운동량 조건별 총운동량을 산출하였다. 심박수는 안정시와 실험 중 계속 측정하여 운동직후 심박수, 운동직전 심박수, 안정시 심박수를 토대로 산출하였다. 혈액점도는 운동 전·후로 채혈을 실시하여 3시간 이내로 측정하였으며, 적혈구용적률 역시 운동 전·후로 채혈을 실시하여 24시간 이내로 혈액분석 전문기관에 의뢰하였다. 수치평가척도는 벤치프레스 실시 전, 6세트 벤치프레스 종료 후,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세트 간 휴식시간은 심박수 기준 휴식조건 벤치프레스 운동 시 세트 간 휴식 중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전 세트 운동중 바를 저항운동기구에 거치하는 시점부터 심박수가 100~105bpm 안으로 들어온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운동조건(4)과 세트(6)에 따른 반복횟수의 차이는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운동조건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imple과 repeated 방법을, 세트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helmert 방법을 사용하여 사후비교를 하였다. 운동조건(4)에 따른 총운동량의 차이는 반복측정 일원변량분석(Repeated one-way ANOVA)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deviation 방법을 통해 사후비교하였다. 운동조건(4)과 세트(6)에 따른 세트별 총운동량은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Repeated two-way ANOVA)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repeated 방법을 사용하여 사후비교 하였다. 운동조건(4)과 휴식기(6)에 따른 심박수회복률은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Repeated two-way ANOVA)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imple(first)과 deviation 방법을 통해 사후비교하였다. 운동조건과(4) 운동 전·후(2)에 따른 혈액점도과 적혈구용적률은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운동조건(4)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deviation방법을, 운동 전·후(2)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repeated 방법을 사용하여 사후비교를 하였다. 운동조건과(4) 시기(9)에 따른 수치평가척도는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운동조건(4)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deviation방법을, 시기(5)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Helmert 방법을 사용하여 사후비교를 하였다. 운동조건과(4) 세트 간 휴식(5)에 따른 세트 간 휴식시간은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운동조건(4)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deviation 방법을, 세트 간 휴식(5)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repeated 방법을 사용하여 사후비교를 하였다. 첫째, 벤치프레스 운동 시 운동조건과 세트에 따른 반복횟수는 운동조건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세트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운동조건과 세트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001). 둘째, 벤치프레스 운동 시 운동조건과 세트에 따른 총운동량은 운동조건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세트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운동조건과 세트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001). 셋째, 벤치프레스 운동 시 운동조건과 세트 간 휴식에 따른 심박수회복률은 운동조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세트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운동조건과 세트 간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001). 넷째, 벤치프레스 운동 시 운동조건과 운동 전·후에 따른 혈액점도는 운동조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운동 전·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운동조건과 운동 전·후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05). 다섯째, 벤치프레스 운동 시 운동조건과 운동 전·후에 따른 적혈구용적률은 운동조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운동 전·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운동조건과 운동 전·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벤치프레스 운동 시 운동조건과 시기에 따른 수치평가척도는 운동조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시기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운동조건과 시기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p<.001). 일곱째, 운동조건과 세트 간 휴식에 따른 휴식시간은 세트간 휴식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운동조건 간에는 차이가 나타났다(p<.001). 운동조건과 세트간 휴식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p<.001). 이 연구에서 운동 수행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통증(수치평가척도), 혈액점도, 적혈구용적률이 동일 운동 강도 조건에서 휴식방법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반복횟수와 총운동량이 운동 강도 조건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결과로 보아 세트 간 휴식을 기존의 완전휴식 기준인 3분을 취하는 저항운동 방법보다 심박수가 100bpm 까지 떨어졌을 때 다음 세트를 시작하는 휴식방법으로 실시하는 저항운동 방법이 시간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number of repetitions, total exercise volume, heart rate recovery rate, blood viscosity, red blood cell volume, numerical evaluation scale, and rest time according to exercise intensity and rest conditions during 6 set bench press exercise. exercise condition were four criteria, the Type 1 [85%1RM·3min], Type 2 [85%1RM·HR], Type 3 [50%1RM·3min], and Type 4 [50%1RM·HR], depending on the exercise intensity(2) and rest condition(2). The subjects were men with more than 12 months of resistance exercise experience, and 85%1RM and 50%1RM were measured for each subject one week before the start of the experiment. The number of repetitions was measured in all sets, and the total momentum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measured 85% and 50% of 1RM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Heart rate was measured constantly during rest and right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Blood viscosity was acquired within 3 hours by blood sampling before and after exercise, and the hematocrit ratio was also collected before and after exercise, and it was commissioned by a blood analysis facility within 24 hours. The numerical rating scale was measured before the bench press, after the end of the six set bench press, 24 hours, 48 hours, and 72 hours later. The time of resting between sets was measured during the 6set bench press exercise under the resting condition of heart rate. The resting time from the time when the bar was placed on the resistance exercise equipment during the whole set exercise to the time when the heart rate entered 100 ~ 105bpm was measured. The difference of the number of repetitions according to the exercise conditions(4) and the sets(6) was analyzed by utilizing repeated two-way ANOVA. The simple and repeated method was used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ercise conditions, and the Helmert method was used for the posthoc test between the sets. The difference of total exercise based on exercise condition(4) was analyzed by repeated one-way ANOVA method, and it was compared contrast by deviation method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covery rate of heart rate depending on exercise conditions(4) and sets(6) was represented by utilizing Repeated two-way ANOVA, and post hoc test was conducted through simple (first) and deviation methods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The blood viscosity and hematocrit according to exercise conditions(4) an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2) were compared by repeated two-way ANOVA.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conditions(4), the deviation method was used. On the other hand, the repeated method was utilized fo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fore and after exercise(2) to conduct the post hoc test. The numerical evaluation scale depending on the exercise condition(4) and the period(9) was analyzed by repeated two-way ANOVA. The deviation method was used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conditions(4), while the Helmert method was used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iods(5) to perform the post hoc test. Depending on exercise condition (4) and rest between sets, the amount of rest between sets was represented via the Repeated two-way ANOVA.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condition (4), the deviation method was utilized, whereas the repeated method was utilized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t(5) to perform post hoc test. First, the number of repetitions according to exercise conditions and sets during bench press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conditions(p<.001) and set (p<.001).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ercise condition and set(p<.001). Second, the total exercise amount according to exercise condition and set during bench press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condition (p<.001) and set(p<.001).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exercise condition and set(p<.001). Third, the recovery rate of heart rate according to the exercise condition and rest between the sets during the bench press exercise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condition,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ts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ercise condition and set(p<.001). Fourth, the blood viscosity according to the exercise condition an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during bench press exercise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condition, where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ercise condition and before and after exercise(p<.05). Fifth, the red blood cell volume ratio according to exercise condition and before and after exercise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condition.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fore and after exercise(p<.001).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ercise condition and before and after exercise. Sixth, the numerical evaluation scale according to exercise condition and time during bench press exercis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condition(p<.05) and time(p<.001). The interaction effect of exercise condition and time was shown(p<.001). Seven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mount of rest according to the exercise condition and the rest between each set,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xercise conditions(p<.001).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ercise condition and set rest(p<.001). In this study,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resting methods in the same exercise intensity condition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the total exercise intensity condition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istance exercise method that starts the next set when the heart rate drops to 100bpm is more efficient in terms of time than the resistance exercise method that takes 3 minutes, which is the existing complete rest stand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