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고력 코딩 프로그램이 SW성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농어촌 초등학생들을 중심으로

        정홍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한국창의재단의 2020년 과학문화활동지원사업 중 ‘2020년 AI 사고력 코딩 교육 지원’ 사업을 추진하며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작성하였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는 시대상과 관련하여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 세계적으로도 중요하게 인식되어 각국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도 2019년부터 초등학교에서 본격적인 SW교육이 시작되었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는 SW교육의 주요 목표를 SW코딩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CT) 계발로 설정하고 있으며, 민관협력을 통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여전히 SW교육의 사각지대는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적 소외계층인 읍·면지역 농어촌 학생들은 열악한 교육 환경으로 인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 역량으로 간주되고 있는 SW교육 사각지대에서 생활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주의 단계 이상의 대면 수업이 어려운 상황에서 농어촌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에 비해 SW교육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농어촌 학생들의 현실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SW교육을 받으며 나타나는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농어촌 학생들의 SW성향을 분석하여 SW교육을 실시할 때 제시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AI 사고력 코딩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농어촌 학생들의 SW성향을 분석한다.’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과제는 학생들의 SW성향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는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좋아하는 과목, SW코딩에 대한 학생들의 자신감, 미래 지향성, 흥미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제공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남·북부 지역 6개 초등학교 학생 266명이고, 자체적으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수업 전,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인 AI 사고력 코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농어촌 학생들은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태도와 관련된 SW성향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농어촌 학생들의 자신감, 흥미, 태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모든 SW성향에서 AI 사고력 코딩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SW성향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어촌 학생들의 SW성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육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고, 교육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다양한 상황의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서 어떤 점을 파악하고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The paper is written after applying and verifying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er program developed in course of ‘2020 AI thinking skills coding education support program’ as part of Korean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2020 Science & Cultural support program. The world is paying close attention on nurturing talent of creative convergence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South Korea,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skill has been the key objective for software education since its revision in 2015. Despite of various civil and public efforts, software education gaps still exist. Subjects for this study are schoolchildren in rural communities and under-populated villages. Those students often live outside the reach of software education which is one of key capabilities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overcome the issue, in-depth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reality on schoolchildren in rural area, and effects of software education were verified. Main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create a guideline for software education in rural areas, based on analysis on schoolchildren’s software development tendency. To further develop the pla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derived: “Analyze software development tendency of schoolchildren in rural areas in the process of AI thinking skills coding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multi-directional questionnaires to analyze students’ software development tendency, including students’ favorite subject, confidence on software development, future-oriented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The subjects selected for the study are 300 students from 15 schools in South of Gyunggi province, and 100 students from 5 schools in North of Gyunggi province. Subjects were given access to indigenously-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and subjects’ awareness on ‘AI-based thinking skill coding’ was assessed through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clas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after the study: First, schoolchildren in rural areas generally showed a positive attituded on software development and showed positive tendency on software development after the classes were conducted. Second, student confidence increased considerably after the classes. Third, overall average across all software development tendency was increased, resulting a positive change on students’ tendency. The study provided software development tendency of rural schoolchildren that can serve as a foundation which can be applied across all fields of education. The study also proposed key variables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 국민연금제도 개혁을 위한 정책대안의 설계 : 급여의 적절성과 연금재정의 안정화를 중심으로

        정홍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의 목적은 현행 국민연금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국민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급여의 적절성>과 <연금재정의 안정화>를 위한 연금 제도 개혁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연금제도 개혁에 관한 이론적 논의, 외국의 연금제도 개혁의 사례연구 그리고 현행 국민연금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기반으로 하였다. 연금제도의 개혁을 위한 기본원칙으로 다음의 5 가지를 제시하였다. ① 연금제도 개혁의 기본적인 목표는 전국민의 노후 소득보장이다. ② 연금 재정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③ 노후 소득보장과 재정의 안정성 확보가 가능한 범위내에서 최대한의 사회적 형평성을 추구한다. ④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실용적 접근을 중시한다. ⑤ 연금제도의 효율적 운용과 재원조달에 있어서 국가의 공적책임을 중시한다. 본 논문의 내용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연금제도의 위기 원인과 개혁방안에 대한 이론적 논의이다. 연금제도 위기에 대한 대응방안과 연금제도 개혁에 대한 논의는 개별국가 뿐 아니라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치열하게 논쟁하고 있다. 이러한 대응방안들을 World Bank, ILO 간의 논쟁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두 번째 부분은 비교론적 관점에서 주요국가에 있어서 최근의 연금제도 개혁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개별 국가의 연금제도 개혁에 대한 분석은 특정한 이론에 근거하여 진행하기보다는 개별사례에 충실하고자 하였으며, 각 국가의 역사적 맥락을 중시하였다. 세 번째 부분은 현행 국민연금제도의 분석을 통한 현황파악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국민연금제도의 구체적 내용과 그 구조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은 현행 연금제도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이며, 동시에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적 대응의 첫 단계로서 의미를 갖는다. 네 번째는 국민연금 재정의 예측이다.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대안 혹은 제도개혁안을 제시함에 있어 실증적 분석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성격상 국민연금의 재정예측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제도 개혁안의 시뮬레이션은 대단히 중요한 비중을 갖는다. 재정예측은 1995년을 기준으로 하여 2000-2050의 기간을 대상으로 한다. 연금재정 예측 모형의 기본논리는 현행 연금제도가 지속된다고 가정할 때, 경제변수와 인구 예측을 통하여 연금재정의 수지균형상태를 추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행 제도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책부문의 변수들은 통제변수가 되고, 경제변수와 인구는 외생변수로 모형에 투입된다. 외생변수인 거시경제지표들은 국민연금연구센터 재정추계팀의 자료를 수정보완 하였고, 인구예측은 별도의 모형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금제도 개혁안에 대한 이론적 논의, 외국의 연금개혁 사례, 현행 국민연금제도의 내용분석, 연금재정의 예측과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연금제도 개혁 안을 제시하였다. 연금제도 개혁안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정치, 경제, 사회 등의 환경적 요인이 고려되어야 하고, 동시에 연금제도 자체의 구성요소들의 설정과 파악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연금제도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간의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형태의 제도를 설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금제도 자체의 내부적 구성요소와 외부적 요인으로 나누고, 외부적 요인은 다시 직접적 요인과 간접적 요인으로 구분한다. 그런데 외부적 요인은 연금제도의 재설계를 통하여 통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내부적 구성요소와 외부적 요인의 관련성을 고려하면서 내부적 구성요소에 대한 설정에 초점을 두었다. 연금제도 개혁안의 내용은 연금의 기본 목표와 이에 따른 원칙에 입각하여 모색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혁안에 따른 연금재정의 예측을 실시하였으며, 여러 정책적 대안의 조합에 의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최종적으로 연금재정 추계 기간을 무한대로 확장시켰을 때 연금재정의 정상상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상상태의 도출은 우선 인구-연령 구조를 안정인구(stable population) 상태로 고정되어야 가능하다. 따라서 축차적 연립방정식 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반복 계산함으로써 균형점을 도출하였고, 연금 재정에 영향을 주는 거시경제변수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금제도 개혁안의 내용은 연금 급여의 적절성을 위한 제도개혁과 연금재정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제도개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급여의 적절성을 위한 제도개혁의 내용으로 연금의 기본 구조를 기초연금과 소득비례연금을 이원화하고, 기초연금은 노후의 기초소득 보장을 위한 1인 1연금제도로 설계하였다. 또한 전업 주부와 취업이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사람들이 보다 용이하게 연금제도에 편입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기여 면제제도의 도입을 통하여 보다 많은 국민이 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급여와 관련하여 최저 생계비를 근거로 하는 최저급여 보증제도의 도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공식적인 최저 생계비를 계산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최저급여 수준을 최저임금과 연계하였다. 또한 급여구조를 재설계하여 현행제도에 비하여 세대간 재분배를 줄이고, 계층간 재분배를 확대함으로써 사회적 형평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연금재정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적립기금의 운용, 재원조달 및 급여에 관련된 제도를 변화하여야 한다. 우선 적립기금의 운용에 있어서 기초연금은 공공성을 소득비례연금은 수익성을 중시하며, 기금운용의 실질적인 책임과 권한을 갖는 위원회에 가입자 대표의 참여를 확대한다. 또한 공공부문에 투자되는 기금은 국공채를 발행하여 환급성을 높이고,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의 통제기능을 강화한다. 소득비례연금의 적립기금은 민간 투자전문회사에 운용을 위탁하고, 국가는 이를 관리·감독하는 규제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연금재원의 조달에 있어서 기초연금은 가입자, 고용주, 국가가 공동으로 부담하며, 소득비례연금은 수익자 부담원칙에 의하여 가입자와 고용주가 부담한다. 기여율은 현행 9%에서 2035년까지 13% 인상하며, 반면에 급여율은 70%에서 51-52%로 인하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급여의 수급연령은 2004년까지 현행대로 60세로 하며, 2020년까지 65세로 상향조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연금재정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단기적인 개혁은 연금기금 운용의 개선과 기금의 수익률 제고, 기여율 인상, 정부의 재정부담 확대, 급여율의 인하, 그리고 관리·운영의 효율성 제고 등 여러 가지 대안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행제도의 기여율이 높은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낮은 것도 아니다. 즉 기여율을 인상하는 것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이는 현재의 조세 및 사회보장 부담률과 민감도 분석에 의하여 입증된다. 따라서 장기적인 연금제도 개혁 방향은 연금 급여의 축소, 기여금 징수체제의 합리화, 그리고 수급 연령의 인상에 맞춰져야 하며, 특히 수급연령의 상향조정과 급여 축소는 불가피한 선택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national old-age pension and to put forward my own proposal for pension reform. The goal of the pension reform is to secure the adequacy of retirement income for entire population and stability of pension funds. This study is based on pension reform debates, comparative approach to foreign countries, and diagnosis of current pension scheme. This study adopted the following five principles of pension reform: ① providing a minimum level of retirement income to all members of the population. ② ensuring that expected public pension contributions and expenditures are in balance. ③ pursuing social equity of contributions and benefits, both between and within generations. ④ emphasizing government responsibility for governance and funding. ⑤ stressing practical approach to problem solving.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five parts.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cause of pension crisis and reform proposals of pension scheme. The choice of pension schemes and their structure has led to hot debates between ILO and World Bank. Second, it is important to inquire into the recent pension reform in other countries. A comparative review of practice is now under way in each country, with a view to achieving reform through a kind of benchmarking process. In this way, it is hoped, some degree of similarity can be established between the schemes, although each country's pension system is the result of a distinct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context. But, the solutions proposed may differ substantially from one country to another, even though the pension debate in broadly couched in very similar terms. A comparative analysis is, therefore, a valuable starting point in this study. The third part deals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national pension system in Korea. It considered to be a first step for reform and development necessary to be adapted to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e forth part is about empirical investigation. Pension fund forecast and policy simul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study. Forecast covers the period from 2000 to 2050, basis on 1995. In the forecast model, the balance of revenue and expenditure is the dependent variable, population structure and macro-economic indicators are exogenous variables, and pension structure is a control variable. But, the model for population projections is constructed separately. Finally, I propose an alternative to pension reform. My suggestions are found in the theoretical debate about pension reform, diagnosis of current situation, forecast of pension fund, simulations and sensitivity analysis. Especially, policy simulation extends time span from 50 years to the infinite in order to create a static state of pension fund. Relying on an assumption of stable population, the static state draws from the repeated calculation of simultaneous equations. On the basis of the static state, a number of sensitivity analyses is conducted in a various macro-economic situations. My proposals for pension reforms are follows: 1. For the adequacy of retirement income, the pension scheme must; - induce two-tiered pension structures consisting of basic and earning-related pension. - guarantee minimum benefits. - Extend coverage to entire population and adjust pension due to changes in families. - introduce contribution exemptions for military service, full-time student, sickness, unemployment, childbirth and childcare. 2. For the stability of finance, it must; - devise advanced funded system. - increase pensionable age from 60 to 65(2020). - increase contribution rate from 9% to 13%(2035). - reduce benefits rate from 70% to 51%(2005). The need for urgent reform is primarily driven by rapidly aging population and finance considerations. A combination of actions is needed such as increasing the age of entitlement to benefit, increasing contributions, government subsidies, and modest reduction in benefits. Pension reform should be completed before the baby-boom generation reaches retirement age. The urgent reform should be also designed to move in the long-term directions. Reduction in benefit is the core of long-term reform and the only solution, which proved by sensitivity analysis.

      •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정홍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ive career-barriers is related to their career decision level and help them by furnishing topical material about perceived career-barrie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The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female students (coeducation and womens college), grade and major fields, is there any difference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According to female students (coeducation and womens college), grade and major fields, how do their perceived career barriers influence career decision level? In order to approach these question, 512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ampled from 10 colleges and universities (6-coeducation female students, 4-womens university students)in Seoul, kyonggido and Kandwondo area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areer-Decision Scale(Osipow et al, 1980) and Career Barriers Inventory(Son, 2001).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Frequency, Percentile, Mean, t-test, one-way ANOVA, Scheffe verification and Multiful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perceived career-barrier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womens college and coeducation female students. coeducation female students perceive more various variables in career barriers than womens college students. Therefore, both the college authorities and career counselors need to give special care about coeducation female students. Second, according to grades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ceived career-barriers but in career decision level and variables in career barriers. Third, according to majors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ceived career-barriers but in career decision level and variables in career barriers. Therefore, we need to differentiate the ways to approach them. Forth, Among the career barriers variables, the lack of career preparation variable has influence on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the most. Then, career counseling will have to give more various career and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to develop career counseling programs. Fifth, it has been found that perceiving career-barriers can work positively for career decision level. Then it is necessary for us to inquire concretely how each female students perceive career barriers and the way that perceived career barriers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진로결정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대생들이 진로선택의 방안을 모색하고 적절한 발달과업을 잘 이룰 수 있도록 돕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6개의 남녀공학 대학과, 4개의 여자대학 512명의 여대생들에게 진로결정수준 검사, 진로장벽 검사를 실시하여 대학성별특성, 학년, 전공에 따라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고, 진로장벽의 하위요인들이 진로결정수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자료의 분석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대학성별특성, 학년, 전공에 따라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하위 영역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성별특성, 학년, 전공에 따라 단계적 회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첫째 남녀공학과 여자대학의 여대생은 진로결정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던 반면, 진로장벽에 있어서 남녀공학 여학생들이 여자대학 여학생들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p<.01). 둘째, 학년에 따라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결정수준에는 차이가 있었다. 진로결정의 정도는 4학년,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한편, 진로장벽 지각에 있어서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셋째, 진로결정수준은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사범계열, 예·체능계열, 인문계열, 사회계열, 자연계열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진로장벽 지각에 있어서 전공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하위 내용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공학 여대생들의 경우 여자대학 여대생들에 비해 진로결정에 다양한 진로장벽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년별로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장벽의 요인들이 각각 다르게 도출되었다. 2학년과 4학년이 가장 다양한 진로장벽을 지각하고 있었으며, 직업 준비부족에 이어, 개인특성부족과 관습의 제약, 여성취업에 대한 고정관념, 낮은 직업전망이 뒤를 이었다. 셋째, 전공에 따라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장벽의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전공별로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하위 변인 가운데 각 계열별로 진로결정에 가장 많은 부분을 설명하는 변인은 진로준비부족이었으며, 진로준비부족 변인 외에 인문계는 관습의 제약(3%)이 부적인 상관이 있었고, 사회계는 차별(5%) 변인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예 체능계는 낮은 직업전망(4%)은 정적으로, 고정관념(4%) 변인은 부적으로 진로결정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인임이 드러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집단(대학성별특성, 학년, 전공)에 따라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양상이 다르며 이것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해 주었다. 또한 대부분의 지각된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진로장벽의 지각이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음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개인·심리적, 사회·환경적요인을 고루 포함하고 있는 지각된 진로장벽 가운데 진로준비부족이 여대생이 진로를 결정할 때 가장 커다란 진로장벽임이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대학성별특성, 학년 전공에 따라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장벽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는 것과 진로장벽이 집단에 따라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는, 여자 대학생의 진로선택 및 의사결정을 돕는데 우선 여대생이라는 동질 집단내에서 여대생들이 진로발달이 상이함을 고려하여 진로발달을 저해하는 장벽요인에 대해 지속적인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진로준비부족이 여대생의 진로결정에 가장 커다란 장벽요인임이 밝혀졌으므로 결정을 위한 준비를 위해, 각종 취업 정보나, 절차, 취업에 필요한 준비 등에 중점을 두고 상담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여자대학 여대생보다 진로장벽을 더욱 많이 지각하고 있는 남녀공학 여대생들에게는 진로문제와 관련하여 특별한 관심이 요구되며, 남녀공학 대학에서는 대학 상담실과 취업지원센터 등이 협력하여 이들을 도울 수 있는 대안을 따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T-PBL Framework for Developing Software Education Interest in SW Gifted

        정홍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In an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nurture talents who can active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This emphasis on education aims to cultivate individuals with the capacity to creatively solve various real-world problem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In this context, the importance of Software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leading the establishment of SW (Software) Gifted Classes in 2016. SW Gifted Classes have provided advanced Software Education to students with interest and exceptional potential in software, offering opportunities for diverse students to gain new experiences and develop meaningful outputs. Although the number and reach of Software Gifted Classe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allowing many students to experience high-quality Software Education, several limitations have emerged in the implementation and execution of the programs. Research by the SW Gifted Class Support Team identified the absence of standardized educational programs and educational disparities due to individual schools’ self-designed curricula as major issues. In particular,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content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capabilities of instructor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dditionally, the absence of comprehensive and standardized Project-Based Learning design guidelines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W Gifted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issu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enhance the quality of SW Gifted education, this research recognized the need for systematic Project-Based Learning design guidelines that field teachers can utilize. Consequently, the research aimed to develop a CT-PBL Framework that includes concepts and procedures for designing Project-Based Learning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CT-PBL Framework designed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for SW Gifted by guiding systematic Project-Based Learning design procedur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First, the critical role of Software Education Interest as a key objective in Instructional Design was established through a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SW Gifted perception survey results from 2020 to 2022. Second, components and design principles we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concept and procedures of the CT-PBL Framework were developed. Third, internal validation was conducted through expert validation with six professionals in the fields of software and gifted educa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with eight field instructors from SW Gifted classes. Fourth, external validation was carried out by selecting 9 out of 45 SW Gifted classes in 2023, providing them with lesson design guides and portfolios based on the CT-PBL Framework, an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SW Gifted Creative Contest. Fifth, the CT-PBL Framework was refined and completed by incorporating the results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validation. The conceptual component of the CT-PBL Framework, which 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presented with three elements: ‘Learning Support for Interest Development’, ‘Designing Project Roadmap’, and ‘Setting Stage-Specific Goals for the Project’. These elements guide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inciples of Project-Based Learning design. The procedural component is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Conceptualiz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presenting a total of 10 steps for Project-Based Learning desig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T-PBL Framework, an Interest Development stage assessment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roject-Based Learning designed using the framework sco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all interest factor stag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demonstrates that the developed CT-PBL Framework is effective in developing Software Education Interest among SW Gifted. This research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W Gifted education by providing a systematic Project-Based Learning design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Interest among SW Gifted. It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is needed on ways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CT-PBL Framework not only to SW Gifted classes but also to general Software Education. Additionally, it emphasized the need to continuously refine and develop the framework to support education personalized to individual student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