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폐쇄를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아동의 기도 공간 형태와 안모 골격 형태와의 상관관계 연구

        정호림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irway space and facial morphology in Class III children with nasal obstruction. For this study, 100 Class III children (50 boys and 50 girls) were chosen. All subjents were refered to ENT, due to nasal obstruction. Airway space measurements and facial morphology measurements were measured by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airway space and facial morphology. The results were followed. 1. Ramal height, SNA, SNB, PFH, FHR and facial plane angle were positively related to upper PAS, and sum of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and gonial angle, SN-GoGn, Y-axis to SN and FMA negatively to upper PAS. 2. Gonial angle, FMA were positively related to lower PAS, and articular angle, facial depth, PFH and FHR negatively to lower PAS. 3. PCBL, ramal height, Mn. body length, Mn. body length to ACBL, facial depth, facial length, PFH and AFH were positively related to tonsil size. 4. Sum of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gonial angle, facial length, AFH, FMA and LFH were positively related to tongue gap, and IMPA and overbite was negatively related to tongue gap.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irway space and facial morphology. Upper PAS, related to size of adenoid tissue, was mainly related to posterior facial dimension and followed vertical growth pattern of face and mandibular rotation. Lower PAS and tonsil size, related to anterior-posterior tongue base position, wer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m. Lower PAS was related to growth pattern of mandible, and tonsil size was related to size of mandible and horizontal growth pattern of face. Tongue gap was related to anterior facial dimension and followed vertical growth pattern of face. 본 연구는 비폐쇄를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아동에서, 기도 공간의 형태와 안모 골격 형태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상관관계가 있다면 그 상관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시행하게 되었다.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중 III급 부정 교합을 보이며, 비폐쇄 소견을 보여 이비인후과로 의뢰한 환자 100명의 초진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에서 upper pharyngeal airway space (upper PAS), lower pharyngeal airway space (lower PAS), tonsil size, tongue gap을 측정하여 airway space를 분석하였으며, 통상적인 계측점을 사용하여 안면 골격 분석을 시행한 후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Upper PAS는 ramal height, SNA, SNB, PFH, FHR, facial plane angle 항목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gonial angle의 sum, SN-GoGn, Y-axis to SN, FMA 항목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2. Lower PAS는 gonial angle, FMA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articular angle, facial depth, PFH, FHR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3. Tonsil size는 PCBL, ramal height, Mn. body length, Mn. body length to ACBL, facial depth, facial length, PFH, AF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Tongue gap은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gonial angle의 sum, facial length, AFH, FMA, LF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IMPA, overbite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도 공간의 형태와 안모 골격 형태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으며, adenoid tissue의 크기와 연관된 upper PAS는 주로 posterior face의 크기와 관련성을 보였으며, lower PAS와 tonsil size는 혀의 전 후방적 위치와 연관되며, lower PAS는 하악의 성장 pattern에 영향을 미치며, tonsil size는 하악의 크기와 안모의 전후방적 pattern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tongue gap은 주로 anterior face의 크기와 관련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디지털 매뉴팩쳐링 기법을 이용한 조선소 내 단위 공장의 디지털 통합 모델 구축

        정호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제조 산업의 다양한 환경 변화 특히, 네트워크 및 인터넷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IT환경의 패러다임이 바뀌기 시작하면서 1990년대 말부터 제조 산업에도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 중 제품 전체 수명을 디지털로 관리하는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과 제품 및 설비의 3차원 모델에 기반을 두어 제품 생산 시 행해지는 모든 일들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미리 시뮬레이션 해보는 디지털 매뉴팩쳐링 기법이 가장 각광받고 있다. 디지털 매뉴팩쳐링 기법은 기존 또는 새로운 제조, 기술 등을 가상환경에 도입하여 생산 활동에 사전에 적용해 볼 수 있으므로 신규 제품, 라인을 계획하거나 설계할 때 빈번히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 변화에 따른 재 계획과 의가 결정에 추가되는 비용과 시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매뉴팩쳐링 기법을 이용하여 조선소 내 단위 공장의 디지털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하여 결과를 고찰하고 디지털 매뉴팩쳐링 기법이 가지는 장단점을 알아보았다. 우선 조선소 내 단위 공장의 표준 공정과 제조 시스템을 객체지향 모델링 기법(Object-Oriented Modeling Method)인 IDEF(Integration DEFinition)과 UML(Unified Modeling Language)로 분석하고 조선소 내의 객체인 Product,(선박 및 부품), Process(가공 및 건조 공정정보), Resource(주요 설비 및 기계/인적자원)를 정의하였다. Product와 Resource에 대한 3차원 CAD 모델링은 3D CAD Tool인 CATIA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고 IDEF로 모델링된 단위 공장의 모든 표준 공정에 대하여 DEIMIA IGRIP/VNC를 이용하여 정확한 가공 형상 및 가공 시간을 추출하여 DB화할 수 있는 검증 된 디지털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가공 시간의 DB와 일정 및 계획정보를 이용한 단위 공장의 전체 물류 디지털 통합 모델을 구축하여 다양하게 흐르는 물류를 시뮬레이션 하여 생산량, 크레인 및 가공기기의 가동률, 버퍼의 적재량 등을 알아보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Digital manufacturing system can save costs and time, prevent bolttleneck processes, because it can apply old and new manufacturing processes to a virtu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dition in advance.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digital model for cutting shop at a shipyard have been constructed using digital manufacturing and an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digital manufacturing system were investigated. Initially, the analysis and modeling process were carried out using the IDEF(Integration DEFinition), a functional modeling tool to communicate in the viewpoint of function The analysis and design system of cutting shop were carried out using the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an Object-Oriented Modeling methodology. The characteristics of resources, products were designed based on the shipyard data using CATIA, a 3D CAD Tool. The manufacturing unit process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DELMIA VIRTUAL NC, a virtual NC verification tool, in order to obtain a precise cycle time of each NC file. Utilizing the calculated cycle time, the integrated digital model for manufacturing process was constructed using DELMIA QUEST, discrete event simulation tool And then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the machine, crane, buffer were investigated.

      • 관광객이 인식하는 장소이미지가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장소애착의 매개효과

        정호림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국가 및 지역 경제 활성화의 방안으로 국가적· 지역적으로 장소에 대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알리기 위한 전략 및 마케팅 방안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정해진 자원을 바탕으로 도시나 지역의 장소이미지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관광자원의 매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장소와 관련된 이미지화나 마케팅은 지역 경쟁력에 중요해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소이미지(정서적, 인지적 장소 이미지)가 어떻게 긍정적 구전효과를 형성하는지를 다양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검증할 것이다. 인지부조화 이론, 자기지각 이론 등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장소이미지가 구전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15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은 AMOS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장소이미지는 구전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himp(2003)는 개인이 관심을 기울이는 정보를 이성적 동인 정보 욕구와 감성적 동인인 쾌락적 욕구로 구분하였다. 정서적 장소이미지 인식은 정보욕구, 인지적 장소이미지는 쾌락적 욕구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Shimp(2003)의 연구에서 실증한 바와 같이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구전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맥을 같이 한다. Chi & Qu(2008)의 연구에서는 관광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그 장소에 재방문할 의사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구전의도 및 재방문 의도는 어떠한 제품, 서비스, 장소 등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였는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은 맥락이다. 둘째, 인지적 장소이미지는 구전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himp(2003)는 개인이 관심을 기울이는 정보를 이성적 동인 정보 욕구와 감성적 동인인 쾌락적 욕구로 구분하였는데, 인지적 장소이미지를 쾌락적 욕구로 해석할 수 있다. 개인의 인지적 차원은 계속해서 학습되지 않는 경우 쉽게 잊혀져 구전으로 연결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장소이미지(정서적 및 인지적 장소이미지)는 사회적 장소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ummon(1992)의 연구에서는 장소에 대한 정서적인 투자를 곧 장소에 대한 해석으로 해석하였다. La(2018)와 Yuksel, Yuksel & Bilim(2010)의 연구에서도 특정한 장소에 대한 경험, 방문 등은 그 장소에 대한 이미지, 의미를 만들어주고 이러한 이미지와 의미는 장소에 대한 애착으로도 연결된다고 하였다. 이처럼 본연구의 결과는 개인이 사회적 장소애착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그 장소에 방문하여 장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되는 과정(정서적인 투자)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넷째, 사회적 장소애착은 구전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소에 대한 애착심이 강하다는 것이 구전으로 반드시 이어지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결과이다. 장소에 대한 애착심이 강해진 개인은 구전이외의 다른 방법들로 장소에 대한 이미지는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사회적 장소애착은 장소이미지(정서적 장소이미지)와 구전효과의 관계에서 직접효과(Direct effect)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사회적 장소애착이 없어도 정서적으로 장소에 대해 인상이 깊은 관광객의 경우 구전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론적으로는 첫째, 관광객의 장소이미지가 구전효과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국내 연구기반이 부족한 상황에서 장소이미지를 인지적·정서적으로 구분하여 동시에 실증함으로써 장소이미지의 이론확장에 기여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장소이미지가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자기지각이론, 인지부조화 이론 등 다양한 이론적 근거를 타당하게 장소이미지의 효과에 접목시켜 이론확장에 기여한다. 실무적으로는 첫째, 본 연구는 외식관광업계 마케팅분야에서는 개인(소비자)이 사회적 장소애착을 느끼고 능동적인 구전효과(의도)를 통해 성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장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마련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둘째, 장소에 대한 애착이 형성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구성원이 장소에 대한 구전의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심리적 차원의 사회적장소 애착이 형성될수록 긍정적인 효과를 얻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및 그에 따른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첫째, 연구대상에 대한 한계점이다. 본 연구는 어떠한 장소에 대한 관광 경험이 있는 일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기 어렵다. 향후 다양한 직종 또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횡단연구라는 점이다. 변수 간의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 애착을 통해 구전효과(의도)가 생기는 것인지, 구전효과(의도)를 통해 장소에 대한 애착이 생기는 것인지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시간차를 두고 연구함으로써 정확한 인과관계를 밝히는 종단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purpose to confirm the mechanism of the places visited by touris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only affective place images had a positive effect on Word-of-Mouth Communication Effect. second, affective and cognitive place image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place attachment. third, social place attach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ord-of-Mouth Communication Effect. Finally, the direct effect of Social Place Attachmen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place images and Word-of-Mouth Communication Effec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lained that tourist places give an individual more meaning than space. From a company's point of view, it suggests that positive image recognition efforts for a place can lead to successful marketing.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it is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heory through more variables in the future. 최근 국가 및 지역 경제 활성화의 방안으로 국가적· 지역적으로 장소에 대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알리기 위한 전략 및 마케팅 방안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정해진 자원을 바탕으로 도시나 지역의 장소이미지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관광자원의 매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장소와 관련된 이미지화나 마케팅은 지역 경쟁력에 중요해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소이미지(정서적, 인지적 장소 이미지)가 어떻게 긍정적 구전효과를 형성하는지를 다양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검증할 것이다. 인지부조화 이론, 자기지각 이론 등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장소이미지가 구전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15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은 AMOS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장소이미지는 구전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himp(2003)는 개인이 관심을 기울이는 정보를 이성적 동인 정보 욕구와 감성적 동인인 쾌락적 욕구로 구분하였다. 정서적 장소이미지 인식은 정보욕구, 인지적 장소이미지는 쾌락적 욕구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Shimp(2003)의 연구에서 실증한 바와 같이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구전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맥을 같이 한다. Chi & Qu(2008)의 연구에서는 관광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그 장소에 재방문할 의사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구전의도 및 재방문 의도는 어떠한 제품, 서비스, 장소 등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였는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은 맥락이다. 둘째, 인지적 장소이미지는 구전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himp(2003)는 개인이 관심을 기울이는 정보를 이성적 동인 정보 욕구와 감성적 동인인 쾌락적 욕구로 구분하였는데, 인지적 장소이미지를 쾌락적 욕구로 해석할 수 있다. 개인의 인지적 차원은 계속해서 학습되지 않는 경우 쉽게 잊혀져 구전으로 연결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장소이미지(정서적 및 인지적 장소이미지)는 사회적 장소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ummon(1992)의 연구에서는 장소에 대한 정서적인 투자를 곧 장소에 대한 해석으로 해석하였다. La(2018)와 Yuksel, Yuksel & Bilim(2010)의 연구에서도 특정한 장소에 대한 경험, 방문 등은 그 장소에 대한 이미지, 의미를 만들어주고 이러한 이미지와 의미는 장소에 대한 애착으로도 연결된다고 하였다. 이처럼 본연구의 결과는 개인이 사회적 장소애착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그 장소에 방문하여 장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되는 과정(정서적인 투자)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넷째, 사회적 장소애착은 구전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소에 대한 애착심이 강하다는 것이 구전으로 반드시 이어지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결과이다. 장소에 대한 애착심이 강해진 개인은 구전이외의 다른 방법들로 장소에 대한 이미지는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사회적 장소애착은 장소이미지(정서적 장소이미지)와 구전효과의 관계에서 직접효과(Direct effect)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사회적 장소애착이 없어도 정서적으로 장소에 대해 인상이 깊은 관광객의 경우 구전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론적으로는 첫째, 관광객의 장소이미지가 구전효과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국내 연구기반이 부족한 상황에서 장소이미지를 인지적·정서적으로 구분하여 동시에 실증함으로써 장소이미지의 이론확장에 기여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장소이미지가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자기지각이론, 인지부조화 이론 등 다양한 이론적 근거를 타당하게 장소이미지의 효과에 접목시켜 이론확장에 기여한다. 실무적으로는 첫째, 본 연구는 외식관광업계 마케팅분야에서는 개인(소비자)이 사회적 장소애착을 느끼고 능동적인 구전효과(의도)를 통해 성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장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마련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둘째, 장소에 대한 애착이 형성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구성원이 장소에 대한 구전의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심리적 차원의 사회적장소 애착이 형성될수록 긍정적인 효과를 얻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및 그에 따른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첫째, 연구대상에 대한 한계점이다. 본 연구는 어떠한 장소에 대한 관광 경험이 있는 일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기 어렵다. 향후 다양한 직종 또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횡단연구라는 점이다. 변수 간의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 애착을 통해 구전효과(의도)가 생기는 것인지, 구전효과(의도)를 통해 장소에 대한 애착이 생기는 것인지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시간차를 두고 연구함으로써 정확한 인과관계를 밝히는 종단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