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와 법률혼을 경유한 인정의 정치

        정혜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explores the cultural and political meanings of legal marriage through the recent emergence of women's/queer couples' overseas marriage registrations as a marriage ritual to uncover the workings of the legal marriage system and the politics of the practice of overseas marriage registration. Overseas marriage registration for women/queer couples refers to couples of the same legal gender moving across borders to establish a legal marriage in another country. Since South Korea does not recognize same-sex marriages as valid and does not recognize legal marriages entered into abroad, legal marriages entered into in other countries are invalidated when they are transferred to South Korea. As a result, women/queer couples have a dual status: married in a foreign country and unmarried in Korea. While the dual legal status of women/queer couples appears to be "neatly" divided into valid and invalid based on national borders, the effects of performing a foreign marriage registration are not limited to the laws of one country. Despite the fact that legal marriages entered into in other countries do not have any legal effect at home, they evoke different levels of recognition as 'marriages legally recognized by the state'.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paradoxical recognition of women/queer couples' overseas marriage registrations is constructed through the arbitrariness and relativity of the state's power to define certain relationships as normal through the institution of legal marriage, while at the same time, recognition through overseas marriage registrations is constructed through the state's power to confer normalcy on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of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 to collect data and met with 22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18 women/queers who registered their marriages abroad, 3 assistant participants, and 1 wedding planner. 본 연구는 최근 혼인의례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를 통해 법적 혼인의 문화적·정치적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법률혼주의 제도의 작동과 해외 혼인신고라는 수행의 정치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란 법적 성별이 동일한 커플이 국가 이동을 통해 다른 국가에서 법률상 혼인관계를 맺는 것을 뜻한다. 한국에서는 법률상 동성 간의 혼인을 유효하다고 보지 않고 해외에서 맺은 법률혼 관계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국가에서 맺은 법률상의 혼인관계는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그 효력이 사라진다. 이에 따라 여성/퀴어커플은 외국에서는 기혼, 한국에서는 미혼인 이중적인 지위를 갖게 된다. 여성/퀴어커플의 이중적인 법적 지위는 국경을 기준으로 ‘깔끔하게’ 유/무효로 구분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해외 혼인신고라는 수행의 효과는 한 국가의 법률 안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국가에서 맺은 법률혼 관계는 국내에서 아무런 법적 효력을 갖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국가가 법률적으로 승인한 혼인’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층위의 인정을 불러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가 만들어내는 역설적인 인정이 법률혼주의 제도를 통해 국가가 특정한 관계를 정상적인 것으로 규정하는 권력의 임의성과 상대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해외 혼인신고를 통한 인정이 관계에 정상성을 부여하는 국가의 권력을 경유하면서 구성되고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층인터뷰, 문헌조사의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해외 혼인신고를 한 여성/퀴어 18명, 보조 연구참여자 3명, 웨딩 플래너 1명의 총 22명의 연구참여자를 만났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는 이성애 관계만을 배타적으로 인정하는 국내 법률혼주의 제도의 작동, 국제적 동성혼 법제화 흐름, 성소수자의 가족 실천이 교차하며 부상하고 있는 실천이다. 국내법상 혼인이 이성 간의 결합으로 정의되고 정치적으로는 가족제도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휘발된 채 동성혼은 기독교 근본주의와 보수정치권의 동성애 혐오 담론에서 가족과 국가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것으로 의미화 되었다. 한국 사회에서의 관련 법 제정이 요원한 한편 국제적으로는 동성혼 법제화 흐름이 있었고 이러한 법·제도적, 정치적 상황은 개인의 이동을 추동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상의 맥락이 교차하면서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는 새로운 혼인의례로서 부상하고 있다. 두 번째, 해외 혼인신고를 통해 여성/퀴어커플이 갖는 미/기혼의 이중적인 지위는 국가 간 제도의 차이와 한국의 이성애중심적 혼인제도가 만들어낸 모순이며 국가는 혼인신고라는 법적 절차를 통해 여성/퀴어커플을 ‘적법하게 혼인한 주체’ 혹은 ‘제도에서 배제된 비법적 존재’로 생산해낸다. 한국은 해외에서 적법한 절차를 거쳐 맺어진 법률혼 관계에 있어서 한국 국적을 가진 자의 가족관계에 일괄 등록하고 이를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는 체계를 갖고 있다. 그러나 동성 간 혼인은 국외사법 상의 규정에 의해 한국의 가족관계체계에 등록되지 않는다. 국가의 경계에서 동성 간 혼인을 누락하는 방식으로 국가는 혼인의 이성애 질서를 유지한다. 한편 이는 혼인제도를 통한 국가의 정치가 완결적이거나 일관적인 형태로 완성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세 번째, 혼인신고를 통해 얻은 혼인증서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인정’을 불러오는 근거가 된다. 이는 개인이 맺는 관계 내에서의 인정, 사회적 인정, 법의 강제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의 인정을 불러온다. 다양한 층위에서의 인정은 가족이 단순히 법적으로 정의되거나 한 나라의 국경 안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수행적으로 구성됨을 보여준다. 네 번째, 해외 혼인신고를 통해 만들어지는 법적 부부에 대한 인정은 역설적으로 정상가족 이데올로기가 법을 통해 강력히 작동하고 있는 상황을 경유하여 나타난다. 한국사회에서 혼인과 혈연을 중심으로 한 가족은 법을 통해 규범적인 것으로 인식, 구성, 재생산 되는 반면 법의 테두리 바깥에 있는 비혈연, 비혼인 가족은‘비정상’이거나 잔여적인 존재로 배치된다. 그런데 해외 혼인신고를 한 여성/퀴어커플은 다른 국가의 법을 통해 인정받은 혼인관계라는 점에서 그것이 국내에서는 실제 법적효력이 없을지라도 사람들의 인정을 불러일으킨다. 다시 말해 한국사회에서 법이 가족규범을 형성하고 지정하는 역할을 해왔던 상황은 여성/퀴어커플이 법적 부부라는 것에 대한 인정을 작동시키는 조건이 된다. 다섯 번째, 해외 혼인신고는 혼인제도를 통한 국가의 권력이 상대적이고 임의적임을 드러내는 실천인 한편 특정한 관계에 정상성을 부여하는 국가 권력을 경유한다는 점에서 여성/퀴어커플의 행위성을 ‘인정받는 자’의 자리에 서게 만든다. 해외 혼인신고는 다른 국가의 혼인제도를 경유한 인정이 이성애 관계만을 ‘정상적인’ 혼인 관계로 재생산하려는 혼인제도의 의도를 넘어서는 효과를 내는 역설을 보여준다. 하지만 동시에 다른 국가의 혼인제도의 권위를 이용함으로써 다른 국가는 혼인을 인정하는 주체로서 권위를 갖게 되며 이는 인정하는 주체로서의 국가와 인정받는 자로서 시민의 구도를 지속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최근 혼인의례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를 통해 법적 혼인의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법률혼주의 제도의 작동과 해외 혼인신고라는 수행의 정치성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연구에서는 해외 혼인신고가 만들어내는 역설적인 인정이 법률혼주의 제도를 통해 국가가 특정한 관계를 정상적인 것으로 규정하는 권력의 임의성과 상대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해외 혼인신고를 통한 인정이 관계에 정상성을 부여하는 국가의 권력을 경유하면서 구성되고 있음을 논하고자 했다. 법을 통한 인정의 자리를 마련하는 작업은 관계에 정상성을 부여하는 국가 권력의 작동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어떠한 인정의 자리를 만들어 갈 것인지에 대한 성찰과 고민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 진로탐색 중점 모형 자유학기제의 효과성 연구 :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를 중심으로

        정혜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what are the effects on Career Identity & Career Maturit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educated under the Free Semester Program which reinforced an intensive & systematic career exploring activities, because I found the adolescences’ worries for their careers as the lack of the practical career exploring programs due to the superficial career class at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problem statement was setup as like “Are there differences on Career Identity & Career Maturity betwee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educated with the Intensive Courses for Career Exploring under the Free Semester Program and the ones who were without the program?” An object of this study is 2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who the one is running the Intensive Courses for Career Exploring under the Free Semester Program to the first-year male & female students, 228 students in total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who the other school isn’t running the program to the first-year male & female students, 208 students in total as a Control Group. To those Experimental Group & Control Group, the pre-survey was implemented on July when it was before that the Free Semester Program began intensively from August to December. The only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the Career Exploring and Experiences programs as like Career Class, Subject Class related with Career, Circle Activities, Career Course Experience Program, Physical Education & Artistic activities, Job Shadowing etc. And the post-survey was implemented to those two groups on December at when the Free Semester Program ended up. For measuring this, Career Identity Inventory & Career Maturity Inventory were conducted and SPSS ver. 20.0 was used for T-Test &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he findings thru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educated with the Intensive Courses for Career Exploring under Free Semester Program, were significantly more improved in having Career Identity, as well as Goal Directedness and Self-Assertion, rather than who were educated without the program.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Intensive Courses for Career Exploring program had become more understood the knowledge for their selves and the world of vocation thru the program and had their stable & accurate images for the Careers by exploring the jobs they understoo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course, we could say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m for enhancing their career identity which they could have their goals for themselves and make a decision unwaveringly. Seco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educated with the Intensive Courses for Career Exploring under Free Semester Program, were significantly more improved in having more rational decision making for Career Maturity in all area, Independence Activities and Information Search, rather than who were educated without the program. This shows us they have a sound attitude for searching and for choosing their careers by themselves, and have a better competence to choose their careers rationally by utilizing their knowledge in accordance with the careers. Which means this program affects positively on improving their Career Maturity by implementing the practical and concrete Career Exploring courses, and the program is the one that are very suitable and preferable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seeking for the job careers This Intensive and Systematic Career Course study of Free Semester Program has effectively contributed for improving Career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with the middles school students who are seeking for them to understand their selves and the world of vocation and link those parts togeth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Career Identity under the situation of the lack of such a study that revealed the influences to the individuals’ future for career and activities that are close connected with Self Identity which is developmental task for adolescence’s Career Identity since the Free Semester Program was overall implemented in 2016. Also, there’s a further significance on providing th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s been educated with the systematic intensive courses for Career Exploring that were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2013). Therefore, as the influence from overall execution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is expected, the government’s sustainable supports and study for Free Semester Program, and the various follow-up studies on Career Developments are required.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형식적인 진로수업과 실질적인 진로탐색의 부재에서 나타난 청소년들의 진로고민과 진로문제를 인식하여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진로탐색을 강화한 학제인 ‘자유학기제’가 중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진로탐색 중점 모형 자유학기제를 실시한 중학생과 실시하지 않은 중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는가’ 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두 곳으로, 진로탐색 중점 모형 자유학기제를 실시하는 중학교 한 곳에 재학 중인 1학년, 남·여 228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자유학기제를 실시하지 않는 중학교 한 곳에 재학 중인 1학년 남·여 208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자유학기제 중점학기(8월∼12월)의 실시 이전인 7월에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만 자유학기제 중점학기에서 실시되는 진로수업, 진로와 교과간 연계수업, 직업체험, 선택프로그램, 동아리활동, 예술·체육 활동, 중간·기말고사의 체험프로그램 등 진로탐색프로그램과 진로체험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자유학기제 중점학기가 종결될 무렵인 12월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모두에게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측정도구는 진로정체감검사와 진로성숙도검사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 중점 모형 자유학기제’를 실시한 중학생이 자유학기제를 실시하지 않은 중학생에 비해, 진로정체감 전체와 목표지향성, 자기주장에 더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진로탐색 중점 모형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중학생은 자아와 진학 및 직업세계의 정보를 진로탐색프로그램을 통해 알고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해한 바를 직·간접적인 진로체험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명확하고 안정된 상을 가지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진로에 대한 자신의 목표를 확고히 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하는 등 진로정체감을 향상시켰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진로탐색 중점 모형 자유학기제’를 실시한 중학생 이 자유학기제를 실시하지 않은 중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 전체와 독립성, 정보탐색 및 합리적 의사결정에 더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자기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하려는 태도가 더 확고해졌고 진로와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여 적합한 진로를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커졌음을 의미한다. 진로탐색 중점 모형 자유학제가 탐색기에 있는 중학생에게 맞는 진로탐색프로그램과 학생들이 선호하는 체험방식으로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이해를 돕고 생생한 경험을 제공하는 진로체험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자유학기제의 집중적․체계적 진로프로그램이 탐색기에 있는 중학생에게 자아와 직업세계를 이해하고, 이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가 2016년부터 전면 실시되었지만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인 자아정체감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개인의 진로 미래와 행동을 결정하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진로정체감에 대해 밝힌 연구가 부재한 상태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 교육부(2013)가 예시한 대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진로탐색을 실시하는 중점학기를 대상으로 하여 중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도 발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연구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자유학기제의 전면시행은 그 영향이 예상되는 바,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꾸준한 지원과 연구 및 진로발달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유방암종의 HER-2/neu 종양단백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

        정혜라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유방암종에서 HER-2/neu의 과별현 유무는 환자의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서, trastuzumab (Herceptin) 치료를 선택하는 중요한 선별 기준이다. Herceptin 치료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HER-2/neu 과발현 유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면역 조직화학 염색과 형광제자리부합화가 있다. 현재 FDA에서 인정하는 HercepTest는 일반적인 면역조직화학 염색 방법에 비해서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종 조직에서 HER-2/neu 과발현 여부를 검색하고 198명의 유방암종 환자의 파라핀 블록의 일부분을 채취하여 제작한 조직배열 블록에서 얻은 2장의 동일한 슬라이드에 각각 CB11 단클론 항체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과 HercepTest를 시행하였다. 완성된 각각의 슬라이드는 HercepTest의 판독 기준에 따라 판독한 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198예의 유방암종 중 49예(24.8%)가 CB11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2+ 이상으로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HercepTest에서도 49예가 2+ 이상이었다. 통계학적 검증 결과 CB1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과 HercepTest 간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kappa=0.704). 그러나 조직학적 등급과 HER-2/neu 과발현사이에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 이 연구 결과 Herceptin 치료 대상을 선별하기 위해 Her-2/neu의 발현을 검색할 때 CB11 단클론 항체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이 HercepTest나 형광제자리부합화를 실시하기 전 일차 선별검사로 이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 증강현실에서의 랜드마크를 이용한 가상객체의 정합위치 실시간 추적

        정혜라 梨花女子大學校 科學技術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실세계에서 가상 객체가 놓일 위치를 추적하는 것은 증강현실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작업 단계이다. 실시간 가상 객체 위치 추적은 실세계와 가상객체를 정확하고 깊이감 있게 정합 시키는데 중요한 요소이며, 실세계 움직임에 따른 가상객체 위치 변화 추적에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실시간 카메라 입력 영상으로부터 실시간 가상객체 위치 추적을 위해서는 정확성과 함께 빠른 수행 시간이 핵심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비를 사용하여 HMD에 장착된 두 개의 카메라로부터 관찰자 시점 이동에 따른 가상객체 정합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그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빠르게 추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위적 랜드마크 방법 사용으로 랜드마크 형태를 정의하여 주변환경 요인에 의해 달라지는 카메라 입력영상 정보들로부터 영향을 적게 받고, 관찰자의 시점이동에 따라 변하는 랜드마크 형태로부터 정확하게 랜드마크를 인식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간 입력영상으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마다 입력받은 첫 영상에서 얻은 랜드마크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중심점 위치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것은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영상마다 매번 영상전체로부터 랜드마크를 인식하여 그 중심점 값을 계산하지 않고, 일정 간격마다 입력받은 첫 영상의 랜드마크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들어오는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중심점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수행 시간을 줄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세계 객체로 마네킹을 사용하였으며 마네킹 복부에 정의한 랜드마크를 부착시켜 가상 객체가 놓일 위치를 표시하였다. 또한, HMD장비를 착용하여 마네킹 복부 관찰 시 입력받은 실시간 카메라 영상을 가지고 랜드마크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빠르게 중심점을 추적하였다. In order to develop an augmented reality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o track a position of a virtual object in real world. Real-time position tracking of a virtual object is significant element to match a real world and virtual object in accuracy and depth. In addition, it is affected to track the position change of a virtual object on real-time movement. Therefore, real-time position tracking of a virtual object in input images obtained from camera most importantly require accuracy along with fast execution time. This paper attempts to recognize precisely the position and to rapidly track the position. These works are done by getting the information of matching position of a virtual object on observer's movement from two cameras on the HMDB(Head Mounted Display). At first, a landmark shape is defined in an artificial landmark approach. Thus, it is less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 images from camera that change by element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also intends to recognize a landmark precisely from changing landmark shapes, depending on the point of time of movement by an observer. Moreover, a fixed time interval will be given from the real-time input images so that it is able to track the central point position using the landmark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input image on every interval. Instead of recognizing the landmark from entire images getting in real-time and calculating the central point value, it use the landmark information from the first input image on a fixed interval. Thus, it reduce the execution time to track the central point position from the camera images getting in continuously. In this paper, a mannequin is used as an object of the real world. The position, on which the virtual object will be laid, has been marked by attaching a landmark defined on the mannequin's abdomen. Putting on the HMD equipment, the landmark position was recognized and tracked with the real-time camera images getting at the time of observation of the mannequin abdomen.

      •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블록 암호 분석

        정혜라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블록 암호 분석에 대해 연구한다.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장치들은 개인정보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한다. 이로 인해 보안 기술이 더욱 중요해지며 다양한 블록 암호가 개발되었다. 기존 블록 암호 분석은 대수학을 기반으로 한다. 이후 하드웨어 발전으로 인해 암호 분석의 소요시간이 단축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데이터를 분석하기에는 어렵다. 또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 암호를 짧은 시간에 많은 데이터로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심층신경망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블록 암호인 Caesar cipher, Vigenère cipher, AES, DES, Simon및 Speck을 대상으로 분석한다. Caesar cipher는 랜덤 문자열과 랜덤 숫자 암호화 키로 구성된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Vigenère cipher는 랜덤 문자열과 랜덤 문자열 암호화 키로 구성된 데이터셋으로 분석하였다. DES와 AES, LEA, Simon, Speck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3가지 데이터셋 유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3가지 유형의 데이터셋은 먼저, 랜덤 비트 평문과 랜덤 비트 암호화 키로 생성한 유형이며 두번째는 랜덤 평문과 ASCII 랜덤 암호화 키로 생성한 유형이다. 마지막은 동일한 평문과 랜덤 비트 암호화 키를 사용한 데이터셋이다. 분석한 결과로 먼저 Caesar cipher와 Vigenère cipher는 심층신경망이 높은 정확도로 암호화 키를 찾을 수 있었다. DES에서는 1,2의 데이터셋의 정확도는 낮았지만 3유형의 데이터셋 분석으로 일부 암호화 키를 찾을 수 있었다. AES와 LEA는 각 1,2,3 데이터셋으로 분석하기 어려웠다. Simon과 Speck은 각 1,2,3 데이터셋으로 분석한 결과로 암호화 키 일부를 심층신경망이 찾을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analyze various block ciphers using deep neural network. As Internet of Things(IoT) technologies evolves, more and more devices store and transmit important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security technology became more important and various block ciphers were developed. Existing block cipher analysis technologies are based on mathematical algebra. As hardware technologies e have advanced, the time required to analyze the block ciphers has been reduced.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analyze a lot of data. In addition, this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ep neural network as an analysis method for attacking block ciphers. Block ciphers considered in this paper Caesar cipher, Vigenère cipher, AES, DES, LEA, Simon and Speck. Caesar cipher are analyzed using a dataset consisting of random strings and random encryption keys, and Vigenère cipher are analyzed using a dataset consisting of random strings and random string encryption keys. DES, AES, LEA, Simon, and Speck are analyzed using three dataset types proposed in this paper. The three types of datasets are as follows: the first dataset is generated with a random bit plaintext and a random bit encryption key; the second dataset is generated with a random plaintext and an ASCII random encryption key; the third dataset is generated with the same plaintext and a random bit encryption keys. As a result of analysis, we find the encryption keys with high accuracy for Caesar cipher and Vigenère cipher using deep neural networks. For the DES cipher, the probability of finding the encryption keys was very low when we used the type 1 and 2 of dataset. However, we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finding the encryption keys when we used the type 3 of dataset. For AES and LEA ciphers, we failed to find the encryption keys. For Simon and Speck ciphers, we found the partial encryption keys when we used the type 1, 2, and 3 of dataset.

      • Prognostic significance of hypermethylation and expression of p16, p21, and p53 genes in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정혜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1855

        광범위 대세포 B 림프종(diffuse large B cell lymphoma)은 공격적인 림프종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며, 비호지킨 림프종의 30―40%를 차지한다. 광범위 대세포 B 림프종은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며 예후와 강하게 관련된 조직학적인 표지자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p16 촉진자의 시토신(cytosine)은 정상적인 조직에서는 과메틸화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각종 고형성 종양과 혈액종양에서 CpG island의 과메틸화에 의한 p16의 기능 억제가 흔하며 광범위 대세포 B 림프종에서도 p16의 이상 과메틸화가 27―46%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p21 및 p53의 과메틸화 역시 다양한 종양에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광범위 대세포 B 림프종에서 관찰되는 과메틸화와 임상 양상 및 예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에서는 광범위 대세포 B 림프종 91례에서 p16, p21, p53의 CpG island의 과메틸화 정도와 p16, p53, p63, p21, Rb 단백의 발현 정도를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들 지표 사이의 관계 및 임상 지표와의 관계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와 임상지표와의 관계를 알기 위하여 χ²검정과 스피어만의 순위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고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Kaplan-Meier법으로 생존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35.6%에서 p16 유전자의 메틸화가 관찰되었으며, p21과 p53의 메틸화는 각각 6.1%와 3.5%로 관찰되었다.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p16의 단백 발현이 32.9%에서 관찰되지 않았고, p16에 대한 발현이 낮을수록 환자의 병기(r = -0.315, p = 0.019)와 국제예후지표(r = -0.291, p = 0.034)가 높았다. p2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64.8%에서 p21 단백이 발현되었다. p21의 CpG island의 과메틸화는 재발과 상관성이 있었고(p < 0.001), p21 단백 발현이 저하되어 있을 때 환자의 생존 기간이 더 짧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 = 0.057). p53 유전자의 과메틸화는 B 증상 존재와 관련이 있었다(r = 0.291, p = 0.029). Rb 단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15.4%에서 약하게 발현되었으며, Rb에 대한 발현이 낮을수록 국제예후지표가 높았다(r = -0.302, p = 0.028). 이 연구 결과 광범위 대세포 B 림프종에서 p16의 메틸화가 p21이나 p53의 메틸화보다 더 흔히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p21 유전자의 과메틸화는 드물게 관찰되나 재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으며, p21 단백의 발현이 저하되어 있을 때 예후가 더 나쁜 경향을 강하게 나타내었다. DLBCL 환자의 종양에서 p16 또는 Rb 단백의 발현 저하가 관찰되는 경우나 p53 유전자의 과메틸화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인자들이 높은 IPI와 관련되어 있어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is the largest category of aggressive lymphomas and accounts for approximately 30―40% of non-Hodgkin's lymphomas. Biologically and clinically, DLBCL shows heterogeneity and significant histologic and molecular prognostic markers are not well known. Hypermethylation of cytosine residues of promoter CpG islands represses gene transcription, and is an alternative mechanism of gene inactivation. p16 is frequently silenced by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n solid tumors and hematologic malignancies. In DLBCL, CpG hypermethylation of the p16 promoters has been found in 27―46% of cases. Also, hypermethylation of p21 and p53 are reported in various tumors. But studies for correlation between hypermethylation and expression of p16, p21, and p53 gene and clinical indicators and survival are rare. In this study, hypermethylation of p16, p21 and p53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p16, p21, p53, p63, and Rb in DLBCL were investigated with 91 paraffin block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stains and methylation- specific PCR and clinical features were analysed by χ² test,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ient's survival by Kaplan-Meier method. Hypermethylation of p16, p21, and p53 were found in 35.6%, 6.1%, and 3.5%, respectively.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p16 expression was not noted in 32.9%. In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p16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stage (r = -0.315, p = 0.019) and IPI risk group (r = -0.291, p = 0.034). Survival analysis showed a tendency of longer survival in group exhibiting hypermethylation of p16 gene. χ² test revealed that promotor hypermethylation of p21 gene was very strongly correlated with recurrence (p < 0.001). Survival analysis showed a strong tendency of longer survival in p21 positive group (p = 0.057). Hypermethylation of p53 gene was correlated with presence of B symptoms (r = 0.291, p = 0.029). Reduced Rb expression was noted in 15% of DLBCL. Rb expression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IPI risk group (r = -0.302, p = 0.028). Hypermethylation of p16 gene was more common than hypermethylation of p21 or p53 in DLBCL. Hypermethylation of p21 gene was highly related to recurrence and reduced expression of p21 protein showed a strong tendency of poor survival. For an individual patient with DLBCL, if the tumor shows hypermethylation of p21 gene, it may make to predict recurrence. If the tumor shows reduced p16, Rb expression, and/or methylation of p53 gen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this markers are related to higher IPI, which help to predict outcome of patients.

      •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의 인성교육 내용 및 양상 연구 : 2015개정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정혜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고에서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인성교육 관련 내용을 대상으로 연구한다.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제시한 덕목들을 중심으로 한문교과서에 인성교육이 제대로 반영되어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한문교육의 이념 및 관련제도에 대해 설명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주요내용, 특히 인성과 관련된 내용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제정된 인성교육진흥법의 내용과 규정을 한문과와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여러 교과 중 유일하게 한문교과만 ‘인성역량’을 교과역량으로 제시한 것으로 보아 인성에 대한 강조는 한문교과에 집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자료는 선인들의 이야기로 교훈성을 띄고 있어 인성교육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인성덕목의 기준은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제시한 禮, 孝,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Ⅲ장에서는 인성교육의 핵심가치인 禮, 孝, 정직, 책임, 존중·배려, 소통, 협동, 修身에 대해 정의하고, 각 덕목에 해당되는 교과서 내용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한문교과서에 실린 인성교육 관련 내용을 덕목별로 분류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분석하였다. 교과서에 수록된 인성교육 관련 내용은 총 512이다. 그중 修身은 28.6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禮, 정직이 각각 16.73%, 13.23%로 그 뒤를 이었고, 존중ㆍ배려, 협동, 책임, 孝, 소통은 10%미만을 차지했다. 특히나 소통은 5.64%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한문교과서의 내용들은 修身의 덕목에 편중되어 있다. 그 이유는 교과서라는 특정한 매개체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록횟수가 많은 내용의 특징은 四字成語이다. 四字成語는 실생활에 자주 쓸 수 있고, 난이도와 흥미면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Ⅴ장에서는 인성교육 관련 내용의 출전에 대해 검토하였다. 출전의 분류기준은 四部분류법을 따랐다. 經部에 인성교육 관련 내용이 가장 많았고, 우리에게 친숙한 『論語』,『孟子』가 전체 교과서에 고루 수록되어 있다. 史部는 인성교육 관련 내용이 가장 적었다. 대부분 중국의 前四史에 해당되는 서적들이 상위권을 차지하는 것을 보였고, 특히『史記』가 가장 많이 수록되었다. 子部는 제자백가들의 생각을 다양하게 수록하였고, 한국서적의 경우 속담집을 많이 수록하였다. 集部는 앞의 결과와 달리, 한국서적에 편중되어있다. 이는 한국인의 정서와 교과서의 비중을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

      • 인터넷 배너광고의 유형에 따른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정혜 東明情報大學校 情報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오늘날 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일방적이고 수동적이던 정보전달의 과정이 양방향 적이고 능동적으로 바뀌어 통합적인 정보 전달 체계가 이루어지게 되었고 이를 가능케 한 것이 바로 인터넷이다. 인터넷 광고 시장의 급속한 발달로 매스미디어(mass media) 환경 속에서 광고 메시지 표현 유형과 전달방법이 더욱 다양화 되고, 그 밖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술적 발달은 오늘날 디자이너에게 디자인 표현 방법에 있어서 더욱 많은 실험적 연구와 많은 가능성을 부여 하고 있다. 인터넷광고가 새로운 광고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크게 주목 받고 있는 데 비하여 크리에이티브적인 측면이나 디자인 표현전략에 관한 부분은 전략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자칫 급변하는 인터넷 시장에서 수요자와 공급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의 질보다 양이 우선시 되는 기형적 시장 발전이 이루어 질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인간이 사물을 인지하는 작용 중 어떤 감각보다도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시각적 측면의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어서 그것에 대한 심층적이고도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 광고매체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배너 광고이 대하여 문헌적 연구와, 배너 광고의 현황 분석, 디자인별 사례조사를 토대로 하여 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터넷 광고는 매일 새로운 얼굴의 배너 광고로 네티즌에게 다가오고 있다. 배너 광고의 역할 또한 광고시장의 성장과 맞물려 더욱 발전하고 세분화 될 것이다. 그러한 세계 인터넷 광고 시장의 경제 전쟁에서 승리 할 수 있는 주요 관건은 인터넷 광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 그리고 매체의 특성에 맞는 전략적인 마케팅과 차별화된 디자인 표현 전략일 것이다. 인터넷 광고시장의 마케팅과 기술적 측면의 연구와 아울러 크리에이티브 표현 요소에 관한 연구가 병행 된다면 대중에게 보다 질 좋은 써비스와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제공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시장의 발전도 당연히 이루어 질 것이라 생각 하며, 관련업계 종사자를 비롯한 각계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관심과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se days, the one-sided and passiv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has become hi-directional and active by the significa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s a result, an integrated transmiss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and it is mainly by the Internet. Advertising pattern and transmission methods have become more diversified by the expansion of Internet advertising market. In addition, a technical progress of hardware and software gives designers various possibilities in their expressional ways. Altough the Internet is focused as a new advertising media, its creativity and designing strategy do not seem to attract readers' attention. It is apt to bring not only some communicational problems between consumers and suppliers on the Internet market but also malformed market development. Especially, the communication in the aspect of eyesight has not been studied systematically, the eyesight of human sense is the most important part though. Therefore, the intensive and continuous study of communication in the aspect of eyesight is required. Thus, this study observed problems occurred while doing the literature review,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and a case study of banner advertisement, and suggested a plan for further progress. The Internet advertisement approaches to the "Netizen" everyday by a new banner advertisement. Besides, the banner advertisement will be improved and subdivided along with the growth of advertising market. The key to the success in the advertising market is to correctly understand and analyze the Internet advertising. Furthermore, it depends on the strategical marketing and differential design strategy. I expect continuous and aggressive researches by allied industries to provide good service and communiration environment for consumers, along with the research of marketing technology and creative expressional materials. Consequently, the Internet advertising market will be also enhanced in the future.

      • 요실금의 보존적 치료요법이 여성 성기능장애 개선에 미치는 효과

        정혜 暻園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요실금의 보존적 치료가 성기능의 회복 및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요실금의 보존적 치료가 요실금으로 인한 성기능장애를 겪는 여성의 성적 삶의 질(Sexual Quality of Life)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저근운동과 전기자극치료, 체외자기장신경치료를 함께 받으면, 치료 전보다 성욕구가 증대될 것이다. 둘째,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저근운동과 전기자극치료, 체외자기장신경치료를 함께 받으면, 치료 전보다 성흥분이 증대될 것이다. 셋째,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저근운동과 전기자극치료, 체외자기장신경치료를 함께 받으면, 치료 전보다 오르가즘이 회복될 것이다. 넷째,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저근운동과 전기자극치료, 체외자기장신경치료를 함께 받으면, 치료 전보다 성교통이 감소할 것이다. 다섯째,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저근운동과 전기자극치료, 체외자기장신경치료를 함께 받으면 질수축압이 증가할 것이다. 여섯째, 환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건강 특성, 성생활 특성, 성기능장애 특성 등의 변수는 치료의 성기능장애 개선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6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경기도 S시 소재 H산부인과와 Y비뇨기과에 요실금을 주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복압성 요실금으로 진단이 되어 보존적(비수술적) 치료를 받기로 한 여성들 중 조사 시점에서 파트너와 성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여성들로 제한하였고 이에 따라 153명이 선정되었다. 치료는 주 2회씩, 매회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저근운동 10분, 전기자극치료 20∼30분, 체외자기장신경치료 20분 등 약 1시간 정도로 하였으며, 최소 6주 이상 연속 치료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 성생활에 관한 특성 및 치료 전 성기능 장애 유형별 빈도는 빈도분석을 중심으로 조사했다. 또한 요실금 치료 전·후의 질수축압 증가 비교와 성기능장애개선 효과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t검정, x²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질수축압 증가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성기능개선 효과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을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t검정 결과,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저근운동과 전기자극치료, 체외자기장신경치료를 함께 받으면 치료 전보다 성욕구와 성흥분이 증대되고 오르가즘이 회복될 것이라는 첫째, 둘째, 셋째 가설은 모두 유의확률 1% 수준(p<0.001)에서 채택되었다. 그러나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저근운동과 전기자극치료, 체외자기장신경치료를 함께 받을 때 치료 전보다 성교통이 감소할 것이라는 넷째 가설은 5% 유의수준(p=0.117)에서 기각되었다. 골반저근 질수축압의 경우 치료 전 평균 수준이 13.73cmH₂O이었던 결과에 비해 6주 이상 치료 후 평균 수준은 26.05cmH₂O로 12.32cmH₂O 증가하였다. t검정결과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저근운동과 전기자극치료, 체외자기장신경치료를 함께 받으면 질수축압이 증가할 것이라는 다섯 번째 가설은 유의확률 1%수준에서 채택되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변수, 건강특성변수, 성생활특성변수, 치료 전 성기능장애 특성변수 등이 질수축압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질수축압 증가효과는 감소한다는 가설이 1% 유의수준에서 채택되었다. 그러나 다른 변수들이 질수축압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5% 유의수준에서 기각되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변수, 건강 특성변수, 성생활 특성변수, 치료전 성기능장애 특성변수가 성기능개선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1% 유의수준에서 연령이 감소할수록 성교통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 유의수준에서 기혼여성이 독신여성에 비해, 성생활비중이 높다고 응답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성교통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요실금의 보존적 치료요법, 즉 전기자극 및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저근운동과 체외자기장신경치료가 동시에 시행될 경우 치료 전의 성기능장애 요소들이 제거됨으로써 성기능의 회복 또는 개선효과가 매우 크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요실금의 완치 또는 호전이 여성의 성기능장애 개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와 건강한 성생활과 이와 관련된 성적 삶의 질(Sexual Quality of Life)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Conservative Therapy for Urinary Incontinence on the Improvement of Women's Sexual Dys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onservative therapy for urinary incontinence helps enhance sexual quality of life of women suffering from sexual dysfunction due to urinary incontinence, by measuring the effect of conservative therapy for urinary incontinence on the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women’s sexual dysfunction. Main hypothe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mbination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using bio-feedback,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extracorpereal magnetic innervations (ExMI) would increase sexual desire, compared to before the treatment. Second, a combination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using bio-feedback,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extracorpereal magnetic innervations (ExMI) would increase sexual arousal, compared to before the treatment. Third, a combination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using bio-feedback,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extracorpereal magnetic innervations (ExMI) would recover orgasm, compared to before the treatment. Fourth, a combination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using bio-feedback,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extracorpereal magnetic innervations (ExMI) would reduce dyspareunia, compared to before the treatment. Fifth, a combination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using bio-feedback,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extracorpereal magnetic innervations (ExMI) would raise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And sixth, the variable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sex life characteristics, and pre-therapy sexual dysfunction would influence significantly the effect of the treatment on the improvement of women’s sexual dysfunction. To verify these hypotheses, a survey on patients who visited H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 and Y Urology clinic located in S city, Gyeonggi-do from January, 2006 to August, 2008 due to urinary incontinence was conducte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femal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scheduled to take conservative (non-surgical) therapy and had sexual intercourse with their partner at the time of the survey; and 153 patients were selected finally. Treat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and each session continued for 1 hour or so, composed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using bio-feedback for 10 minute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20 to 30 minutes, and extracorpereal magnetic innervations for 20 minutes. The therapy lasted at least for 6 weeks or longer in a continued wa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4.0 statistical program,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sexual life-related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of pre-therapy sexual dysfunction by type of the participants were examined mainly with frequency analysis. In addition, to compare increases in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test for the effect of the improvement of sexual dysfunction,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test were performed. Furthermore,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increase in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to identify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xual dysfunction of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test, Hypotheses 1, 2, and 3 assuming that ‘i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using bio-feedback,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extracorpereal magnetic innervations are administered altogether, sexual desire and arousal would increase, with orgasm recovered’ were confirmed at a 1% significant probability level (p<0.001). However, Hypothesis 4 that assumed ‘a combination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using bio-feedback,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extracorpereal magnetic innervations would reduce dyspareunia’ was dismissed at a 5% significance level (p=0.117). In the case of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compared with the pre-therapy mean value 13.73cmH₂O, the mean value after the 6-week treatment was 26.05cmH₂O with an increased of 12.32cmH₂O. The t-test showed that Hypothesis 5 assuming ‘i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using bio-feedback,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extracorpereal magnetic innervations are administered altogether,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would increase’ was confirmed at a 1% significant probability level. The findings from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whether variable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sex life characteristics, and pre-therapy sexual dysfunc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d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assumed as one grows older, the effect of increasing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will decrease at a 1% significance level. However, the hypothesis that assumed ‘other variables would have an effect on the increased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was dismissed at a 5% significance level.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to examine ‘whether variable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sex life characteristics, and pre-therapy sexual dysfunc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women’s sexual dysfunction increased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revealed that as a participant was younger, the effect of reducing dyspareunia will increase at a 1% significance level. Also, compared to unmarried women, married women who had more sexual intercourse appeared to show a stronger effect of reducing dyspareunia at a 5% significance level than their counterp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onservative th

      • Identification of Autophagic SNAREs in Arabidopsis thaliana

        정혜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Autophagy is a self-eating process; it is crucial for maintaining homeostasis of sessile organisms like plants. Autophagy-inducing conditions, such as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and nutrient deprivation, facilitate autophagosome formation and sequester cytoplasmic materials. The 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 (SNARE) proteins have crucial roles in regulating the formation, maturation, and degradation of autophagosomes in mammals and yeast. However, such an autophagic SNARE is poorly defined in plants. This dissertation relates to the identification of Arabidopsis (Arabidopsis thaliana) SYNTAXIN OF PLANTS 72 (SYP72) as an autophagic SNARE mediating autophagosome formation upon ER stress. SYP72 interacted with ATG8A in a bimolecular fluorescence complementation (BiFC) assay. Fluorescently tagged SYP72 localizes at autophagic membrane in wild type but not in mutants that cannot conjugate ATG8 to autophagic membrane. Upon ER stress, Arabidopsis syp72 mutants show a decrease in the number of autophagosomes and are defective in the vacuolar trafficking of the COPII inner coat protein SEC24A. However, syp72 mutants fail to show any obvious phenotypes in starvation-induced autophagy. In conclusion, the SNARE SYP72 is dispensable for general autophagy but essential for autophagosome formation upon ER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