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ogram annotation : G. F Händel : <Neun deutsche arien> 중〈Meine seele hört im sehen〉 M. I Glinka : 〈Я помню чудное мгновенье〉, 〈Баркарола〉, 〈Адепь〉 G. Fauré : <La chanson d′eve> 중〈Paradis〉, 〈L′aube blanche〉, 〈Ô mort, poussièr

        정하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석사과정을 이수하기 위한 졸업연주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이다. 작곡가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 글린카(Mikhail Ivanovich Glinka, 1804-1857), 포레(Gabriel Urbain Fauré, 1845-1924)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주요한 음악적 특징들을 연구함으로써 곡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제 연주 시 연주자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헨델은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특히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분야의 거장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헨델의 생애를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작품활동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바로크 시대의 배경과 음악적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하나님에 대한 찬미를 주제로 한 그의 작품《9개의 독일 아리아 (Neun deutsche Arien)》 중 제 6곡인 〈나의 영혼이 들으며 본다 (Meine Seele hört im Sehen)〉를 통하여 헨델이 이 작품에서 사용한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음악적 특징들을 알아보았다. 글린카는 러시아 국민주의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자국의 민속적인 소재를 음악에서 사용함으로써 국민주의적 특징을 나타냈다. 본 논문에서는 글린카의 생애와 작품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글린카의 가곡 〈나는 기적적인 순간을 기억한다네 (Я помню чудное мгновенье)〉, 〈뱃노래 (Баркарола)〉, 〈아델 (Адепь)〉을 통하여 글린카의 음악적 특징과 가사를 음악에서 어떻게 표현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포레는 19세기 말 프랑스의 예술가곡을 구현한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본 논문에서는 포레의 생애를 살펴보고 그의 가곡 특징을 작곡 연도에 따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포레 후기의 대표적 작품인 연가곡《이브의 노래 (La Chanson d′Eve, Op.95)》중 제 1곡 〈천국 (Paradis)〉, 제 5곡 〈하얀 여명 (L′aube blanche)〉, 제 10곡 〈오 죽음, 별들의 먼지여 (Ô mort, poussière d′étoiles)〉을 통하여 포레의 후기 가곡 특징을 알아보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ife of the composers, the periodic background and the musical characters by studying a relation between poems and melodies and the musical expression to support performer who performs this pieces. Händel(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 was a representative opera and oratorio composer of the baroque period. The study examines his life, focusing the works of opera and oratorio, the baroque music’s background and the musical feature.《Neun deutsche Arien》is composed of the nine arias which has the theme, a praise of God. Especially, at his sixth song 〈Meine Seele hört im Sehen〉 he used the style of Obligato and Da Capo Aria, the representative musical features of the Baroque era. Glinka(Mikhail Ivanovich Glinka, 1804-1857) was belonged in the 19 century Russian Nationalist school, used the national musical material to represent the character of Nationalist school′s music. This paper looks into the his life and tendency of works by studying 〈Я помню чудное мгновенье〉, 〈Баркарола〉, 〈Адепь〉 and examines how he express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lyric in his music. Also, these songs showed Russia's nationalistic tones. Fauré(Gabriel Urbain Fauré, 1845-1924) embodied traditional Franch mélodie in the late 19 century. The study researches his life and discusses his three periods. This paper deals with the songs, the first song 〈Paradis〉, the fifth song 〈L′aube blanche〉, the tenth song 〈Ô mort, poussière d′étoiles〉 and reveals the features of his late periods, which are an ambiguity of tonality and declamatory style.

      • 유영국(劉永國, 1916~2002) 회화 연구 : 동양의 예술관을 통한 서양미술의 수용

        정하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considers the work of Yoo, Young-kuk (1916-2002), a member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bstract art. He was a painter who is best remembered for his mountain paintings, and one who had a pivotal role in the modernization of Korean art. Although Yoo was well-respected during his life, there is neither enough research nor sufficient analysis concerning his life and work. This thesis suggests that previous studies have failed to examine his art in its sociopolitical context, emphasizing instead formal analysis, and further points out that the viewpoint which regards Korean and Western art as mutually exclusive frames of reference has interfered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is art. Instead of regarding Yoo, Young-kuk as an isolated artist from the society, this thesis examines his work in the context of its time period-Yoo brought change into his works in the flow of Korean art that actively engaged the international art world and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of Korea. Also, rather than considering Yoo’s work through discourses of dichotomy, the thesis argue for its multicultural aspects-his art represents a fusion of Eastern and Western art. Concepts which are regarded as inevitably opposite in the West coexist in Yoo’s work. Working toward this conclusion, the thesis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Korean art from the 1930s to the 1950s, a period influential in the formation of Yoo’s painting style. Having thus been introduced in their artistic/historical context, Yoo’s paintings are then analyzed according to four different time periods: 1947-1958; 1959-1967; 1967-1977; and 1978-1999. Although Yoo, Young-kuk was extensively influenced by Western culture, he embraced Western modern art subjectively, and fused it with the Oriental spirit and tradition. This study sheds light on Yoo’s work from comprehensive and diverse angles, elucidating not only his interaction with society but also his process of incorporating contrasting elements in his work. 본 논문은 유영국(劉永國, 1916~2002)의 회화에 나타난 동·서양 미술의 관계를 시대 사회적 맥락 안에서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유영국은 한국 추상회화의 1세대로 1930년대의 일본 유학시기부터 약 60년에 걸쳐 추상작품을 꾸준히 제작하여, 한국 추상회화의 시작과 그 전개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 받아 왔다. 그의 작업이 갖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며 기존의 연구는 서구 미술의 모방이라는 비난과 한국 추상 회화의 선구라는 찬사가 양립되는 양상을 보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양측 모두 한국의 현대미술을 자생과 수용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으로 판단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는 동양과 서양 문화의 융합이라는 유영국의 작품의 독특한 국면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게 했다. 또한 기존의 연구는 형식적인 분석에 그침으로써 그의 작품을 입체적으로 분석하는 데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본고는 유영국의 회화에서 나타나는 동·서양 문화의 교류 현상을 외부 맥락과의 연관성 안에서 살펴봄으로써 그의 작업에 대한 해석의 가능성을 확장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유영국의 작업의 형성배경이 되었던 1930년대부터 1950년대의 한국 미술의 전개 과정을 살펴본 후, 그의 회화를 이와 관련시켜 1947~1958년, 1959~1967년, 1967~1977년, 그리고 1978~1999년의 네 시기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작품 활동 기간 동안 유영국은 한국 미술의 흐름에 편승하여 작업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의 회화 전반에는 서양에서는 대립적인 것으로 간주되던 추상과 구상, 이성과 감성과 같은 개념이 공존하는 특성을 보이며, 이러한 통합성은 동양의 예술관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유영국은 국내외의 미술계와의 교류 속에서 서양의 조형 어법을 동양의 예술관을 기반으로 하여 받아들였으며, 그 결과 그의 작업은 동양과 서양의 문화가 만나 형성된 제 3의 문화가 되었다. 이는 유영국의 작업을 동양이나 서양의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분석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음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서양과의 교류 속에서 형성된 유영국의 작업 안에서 동·서양 미술이 서로 융합하여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유영국이 외래의 것을 단순히 모방하는 수동적인 수용자가 아니라, 능동적인 주체로서 서구의 미술을 동양의 전통 미술과 결합시킨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유영국을 타문화와의 상호관계라는 넓은 맥락 안에 위치시켜 고찰함으로써 한국 현대미술에 적용되어온 자생과 유입의 이분법적인 구분에 대한 대안적인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데서 본 고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상해에 따른 대학운동선수의 지도행동유형이 상해심리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정하윤 경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해경험이 있는 대학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지도행동유형이 상해심리와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분석하고, 상해경험이 있는 대학운동선수에게 지도행동유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소재 3개 대학교의 상해경험이 있는 대학운동선수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표집은 상해경험이 있는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비확률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중 유의표집(purposive sample) 사용하여 300부를 배포하였고, 그 중 회손되거나 미응답된 설문지 55부를 제외한 최종 245부를 사용하였다. 분석 목적에 따라 통계프로그램인 SPSS Version 23.0을 활용해 빈도분석,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도행동유형, 상해심리,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도행동유형, 상해심리, 경기력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행동유형과 상해심리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훈련과 지시행동은 지도자회피 요인과 운동무기력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권위적행동은 지도자회피, 운동무기력, 도피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행동유형과 경기력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권위적행동에서 경기기량, 경기인지력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해심리와 경기력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걱정 및 불안에서 경기기량, 경기인지력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상해에 따른 대학운동선수의 지도행동 유형이 상해심리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leader behavior type on the injury psychology and performance by targeting college athletes with injury experiences, and provide baseline data necessary for the leader's leadership behavior type to college athletes with injury experienc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ollege athletes with injury experiences in three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As for detailed sampling, purposive sampling of non-probability sampling was used to distribute 300 copies of questionnaires, and a total of 245 copies were used after excluding 55 damaged or unanswered questionnaire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Version 23.0,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analysis.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ader behavior type, injury psychology, and performance.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leader behavior type, injury psychology, and performance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behavior type and injury psychology revealed that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actors of leader avoidance and exercise lethargy, and that authoritative behavio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eader avoidance, exercise lethargy and sense of escape. Fourth, the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behavior type and performance showed that authoritative behavio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actors of skills and perceptivity. Fifth, the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jury psychology and performance showed that concerns and anxie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actors of skills and perceptivity. As integrating the analysis results, the leadership behavior type of college athletes depending on the injury affect the injury psychology and performance.

      • 한국어 기본 색채어 지도방안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으로

        정하윤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 어휘 중 특히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는 색채어를 조사하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수준에 맞게 교육용 기본 색채어 목록을 선정하고 어휘 지도에 효과적인 PPP 수업모형으로 한국어 기본 색채어에 대한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색채어의 기본 개념과 의미에 대해 조사하고 표준국어대사전과 기술표준원, 국립국어연구원 설문조사에 제시된 기본 색채어를 분석하여 외국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용 기본 색채어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교육용 기본 색채어를 명사형과 형용사형으로 분류하여 외국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 수준에 알맞게 목록을 선정하였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작성하였다. PPP 수업모형을 적용한 구체적인 한국어 기본 색채어 지도방안을 제공하여 교사가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기사를 통해 최근 세계화·다문화 사회 속 한류 열풍과 지속되고 있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 추세를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에만 나타나는 색채어의 특징과 미묘한 색채어의 의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어 기본 색채어에 관련한 선행 연구를 어학 분야와 교육학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기술표준원에 제시된 색채어와 국립국어원에 제시된 색채어, 국립국어연구원 설문조사에 제시된 색채어를 조사하여 이를 기준으로 삼고 일상생활에 자주 사용되는 정도에 따라 기본 색채어를 분류하여 교육용 기본 색채어 목록을 제시하고자 한다.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수준에 알맞게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한국어 기본 색채어인 {오색}을 명사형 기본 색채어와 형용사형 기본 색채어로 분류하여 목록을 작성하였다. Ⅲ장에서는 TBI 수업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PPP 수업모형이 한국어 색채어 지도방안으로 가질 수 있는 장점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PPP 수업모형의 실제 단계별 구성 형태에 대해 세부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후 앞서 살펴본 이론 설명과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작성한 교육용 기본 색채어 목록을 토대로 PPP 수업모형을 접목한 한국어 기본 색채어 지도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앞서 각 장에서 서술한 주요 내용을 다시 정리하며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기본 색채어 지도방안이라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그 시사점을 확인해 보며 마무리하였다.

      •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정하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해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의사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두 가지 단계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은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이 「말기 환자와 가족에게 환자 상태 및 예후에 대하여 그리고 호스피스에 대한 정보를 충분한 설명을 통해 고지하고, 말기 환자가 자율적으로 호스피스를 받을 것인가를 결정하도록 선택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은 호스피스전문 의사들이 「말기 환자의 호스피스 선택결정에 따라 다른 의료인들과 상의하여 팀 서비스로서 말기 환자와 가족들의 요구에 부합되는 호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해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의사들이 두 가지 단계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적극적인 참여를 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는 의사들이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이 낮고 불충분한 이해를 하고 있어서 이러한 의사들이 첫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을 수행 하는 것과 관련하여 딜레마가 발생한다는 것이었다. 한 가지 딜레마는 "의사들이 먼저 호스피스 선택기회를 제공해아 하는데 그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가?"이다. 또 다른 한 가지 딜레마는 "의사들이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충분한 설정을 통하여 말기 고지를 해야 하는데 그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가?"이다. 본 논문은 첫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에서 발생하는 두 가지 딜레마의 정당성을 고찰하여 우리나라에서 말기 환자의 자율적 선택에 의해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전의사결정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우선, 첫 번째 딜레마의 정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호스피스 선택기회를 제공하지 않는 의사들의 입장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1)호스피스를 의료와 무관한 것으로 이해하는 의사, 2)호스피스를 안락사로 이해하는 의사, 3)호스피스를 치료포기로 이해하는 의사. 이러한 입장의 의사들이 호스피스 선택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정당화되는 근거로서 "타인에게 해악을 끼치지 말라"는 악행금지의 원칙을 살펴보았다. 정당성을 고찰하는 논의 과정에서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의 바람직한 역할과 의무는 말기 환자가 자율적으로 호스피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 두 번째 딜레마의 정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의사들이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말기 고지를 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입장을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의사가 가장 어려워하는 입장이 직접 고지에 대한 보호자의 반대가 있는 경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의사들이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말기 고지를 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정당화되는 근거로서 환자의 '알 권리'와 '환자의 선택권'을 살펴보았다. 정당성을 고찰하는 논의 과정에서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의 바람직한 역할과 의무는 말기 환자 및 보호자와 진실한 대화를 하여, 말기 환자의 옹호자가 되고 말기 환자와 보호자 사이에서 중재자가 되어,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말기 고지를 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두 가지 딜레마의 정당성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에서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의사들이 첫 번째 단계에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이 있었다. 그것은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호스피스 선택시기를 언제,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와 말기 고지에 대한 말기 환자와 보호자의 요구를 미리 파악하는 것과 관련된 고려사항이었다. 이를 위해서 사전의사결정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왜냐하면 이 제도에 의해서 말기 환자의 자율성이 존중되어 바람직한 호스피스가 정착될 것이기 때문이다. In this study, a physician's role was classified into two stages in order to provide hospice care according to the autonomous choice by terminal patients. At the first stage, the physician's role is to "notify the information on patient's condition and prognosis as well as on hospice with sufficient explanation and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patients to decide autonomously on hospice care". The physician's role at the second stage is to "provide the hospice car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patient and his family by a hospice-specialized physician as a team service with other medical practitioners according to the hospice decision by the terminal patient. Therefore, the active participation for carrying out the above two stages is required for physicians to provide hospice care by a terminal patient's autonomous decision. However, the dilemmas occur in terms of carrying out the physician's role at the first stage since the Korean physicians have low recognition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n hospice. One dilemma is "whether it is justifiable for the physician to provide to opportunity for hospice choice first", and the other dilemma is "whether it is justifiable or the physician to notify a terminal patient on his terminal illness directly with sufficient information". This thesis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directives system as a plan to enforce hospice program by a patient's autonomous choice by reviewing the justifiability of these two dilemmas occurred in the physician's role. First, the Korean physicians who do not provide the opportunity for decision-making on hospice for their termina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positions to examine the justifiability of the first dilemma: (1) a physician who understands that hospice care is not related to medical care at all, (2) a physician who recognizes hospice as euthanasia, and (3) a physician who understands hospice as abandonment of treatment. The principle of non-maleficence, "Do not harm others", was applied as a basis for ethical justification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hospice choice by the physicians in these positions. While discussing the justifiability, it was shown that the desirable role and duty of physicians treating terminal patients is to provide the opportunity to choose hospice care autonomously by terminal patients. Next, the Korean physicians who have some difficulties in notifying directly terminal patients on their terminal illness were divided into three positions to examine the justifiability of the second dilemma. The most difficult position of them was when his direct notification to the patient was objected by the patient's guardian. Therefore, the desirable role and duty of physicians treating terminal patients is to become a supporter of the terminal patient by the truthful conversation with the patient and his guardian, to become a mediator between the terminal patient and his guardian, and to notify the terminal patient directly on his terminal illness. Nevertheless, during the process to examine the justifiability of two dilemmas, there were some considerations for physicians to carry out their role in the first stage for enforcing hospice care by a terminal patient's autonomous decision in Korea.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directives was suggested to understand the requests of terminal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on the autonomous choice for hospice and the notification on their terminal illness because this system would bring the desirable settlement of hospice care by respecting the autonomy of terminal patients.

      • 성인의 체질량지수 및 체중조절시도와 치주질환의 관련성

        정하윤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본 연구는 성인의 체질량지수, 체중조절시도, 구강건강행태와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체질량지수와 상관없이 보건교육에 있어 치주질환 위험을 강조하려 한다. 방법: 자료는 201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수행된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사용하였으며, 만 19세 이상 65세 미만 성인 중 검진조사, 영양조사, 구강검사를 모두 완료한 총 9,73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태에 관련된 변수를 공변수로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 단식 여부, 구강검진 여부, 치과진료 여부, 치실사용 여부가 치주질환 유병여부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체질량지수가 정상인 집단(OR=0.226, 95% CI: 0.054-0.952)과 비만인 집단(OR=0.734, 95% CI: 0.615-0.876)은 저체중 집단보다 치주질환 발생위험이 낮았다. 단식을 실행한 집단(OR=1.773, 95% CI: 1.079-2.911)이 하지 않은 집단보다 치주질환 발생위험이 높았다. 구강검진을 실시한 집단(OR=0.703, 95% CI: 0.586-0.844)이 실시하지 않은 집단보다 치주질환 발생위험이 낮았다. 치과진료 치료집단(OR=0.680, 95% CI: 0.564-0.819)이 미치료집단보다 치주질환 발생위험이 낮았다. 치실 사용 집단(OR=0.717, 95% CI: 0.586-0.878)이 미사용집단보다 치주질환 발생위험이 낮았다. 결론: 저체중 집단, 체중조절을 위하여 단식을 실행한 집단, 구강보조용품 미사용 집단에 대한 보건교육에 있어서 치주질환 위험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Purpos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weight control attempts, oral health behaviors and periodontal disease in adults, and emphasized the risk of periodontal disease in health education regardless of body mass index. Method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hich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8.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a total of 9,733 participants who were adults aged 19 and above but below 65, and had completed the screening examination, nutrition survey, and oral examination.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7.0 software,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variables as covariates Results: Body mass index, fasting status, oral examination status, dental treatment status, and flossing stat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The group with a normal body mass index (OR=0.226, 95% CI: 0.054-0.952) and the obese group (OR=0.734, 95% CI: 0.615-0.876) had a lower risk of periodontal disease than the underweight group. The fasting group (OR=1.773, 95% CI: 1.079-2.911) had a higher risk of periodontal disease than the non-fasting group. The group that performed oral examination (OR=0.703, 95% CI: 0.586-0.844) had a lower risk of periodontal disease than the group that did not. The dental care treatment group (OR=0.680, 95% CI: 0.564-0.819) had a lower risk of periodontal disease than the untreated group. The dental floss use group (OR=0.717, 95% CI: 0.586-0.878) had a lower risk of periodontal disease than the non-use group.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risk of periodontal disease in health education for the underweight group, the group that fasted for weight control, and the group that did not use oral aid products.

      •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읽기 전략 사용 변화: 실행연구

        정하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실행연구(action research)는 영어 읽기 전략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중학교 학습자들이 겪는 문제점을 진단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적용하여 교사가 읽기 전략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를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또한 읽기 전략 학습이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과 읽기 학습태도 및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중학생들은 읽기 전략을 사용할 때 어떤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교사는 읽기 전략 수업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 셋째, 읽기 전략 학습은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읽기 전략 학습은 학습자들의 읽기 학습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울산광역시 소재의 공립 중학교 2학년 방과 후 학교 참여자 10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읽기 능력 평가를 실시하여 읽기 전략 학습 전‧후 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 정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읽기 전략 학습이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Brown(2001)이 제시한 읽기 전략의 분류 방식 중에서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 성취기준을 달성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7개의 읽기 전략을 선정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읽기 지문을 활용해 수업을 진행하였다. 매 차시 수업 후 읽기 일지(reading log)와 관찰 일지를 통해 발견된 몇 차례의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수업은 9주에 걸쳐 총 18차시로 진행되었으며, 교사의 지속적인 실행과 반성적 분석의 사이클을 3회 거쳤다. 1차 사이클에서는 ‘사전 조사 - 가설 - 실행 및 관찰 - 반성적 분석’ 단계를 거쳐, 실험 참여자들의 영어 읽기 학습 실태를 파악하고 본 실험에서 활용될 읽기 전략을 선정한 뒤 이를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 후 2차 사이클에서는 ‘문제 파악 - 개선 계획 - 실행 및 관찰 - 반성적 분석’의 단계를 거쳐 읽기 전략 학습에 보다 효과적인 글을 선정하여 이를 수업에 적용한 뒤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최종 3차 사이클에서는 ‘문제 파악 - 개선 계획 - 실행 및 관찰 - 반성적 분석’의 단계를 거쳤으며, 읽기 전략 학습 시 어휘지도를 병행하여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학습자들의 일반적인 읽기 전략 학습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으므로, 교사는 수업 과정에서 읽기 전략 학습이 학습자들에게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영어 시험 성취도를 향상시켜준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실제로 특정 문항의 유형을 해결하는데 읽기 전략이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보여주면서 학생들의 읽기 전략 수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읽기 전략을 학습 과정에서 자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점진적으로 일반적인 읽기 학습에도 적용시켜 나가도록 동기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실행 연구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최종적으로 중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전략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읽기 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 및 학습자들의 독해력 변화 정도 역시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가 얻게 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대부분 어휘력 부족으로 인해 읽기 전략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읽기 전략을 활용하여 영어로 된 글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사는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교재를 선정하고, 학습자들의 어휘 지식을 쌓기 위한 어휘 교육을 병행해야 한다. 셋째, 연구자는 실험 결과를 통해 읽기 전략이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읽기 능력 향상이 모든 수준의 학생들에게 동일하게 나타난 것은 아니었으며, 평가 문항의 종류에 따라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의 향상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읽기 전략 지도 후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영어로 된 글을 읽는데 읽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읽기 전략을 사용하면서 독해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읽기 전략 훈련을 통해 모르는 단어가 있어도 지문의 내용을 추론하거나 문제를 풀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높아졌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영어 교사들은 독해 능력과 관련이 있는 읽기 전략의 중요성을 학습자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해야 하며, 학습자들이 이러한 읽기 전략을 내재화하여 현실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에서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과 같은 EFL 상황에서 교사는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로 된 글을 해석하는데 영어 단어에 상당히 의존한다는 것을 감안하여 적절한 수준의 교재를 선정하고, 어휘 지도를 함께 진행해야 한다.

      • 콜센터 상담사의 코칭역량과 감성지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정하윤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ll center counselors' coaching capabilit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job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A total of 503 Google surveys were collected for call center counselors nationwide, including Seoul and Gyeonggi,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and AMOS 21.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aching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ll center counselo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coaching ability of the call center counselor,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ll center counselo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measurement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job satisfacti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mind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are sub-factors of coaching competency, but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with coaching skil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call center counselors' coaching competen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re predicted to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so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fth, this study proved that coaching competen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re very important as an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ll center counselors, and are linked to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ory of call center counselors. Sixth, in this study, high coaching competency also improves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there is a need to provide regular education, maintenance education, or professional coaching competency education that can increase the coaching competency of call center counselors. Seventh,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cognized that the educational techniques used in training call center counselors in the company were very similar to the coaching competencies used in the coaching industry. In other words, since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the customer's answers during customer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the customer's hidden intentions during counseling, we suggest further studies to identify that the counseling skills used by call center counselors are very similar to the coaching capabilities used in coaching.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and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oaching competency,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more positively it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end, this can be evaluat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coaching competency increases. Finally, in this study, research was conducted on call center counselors, but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various job groups such as part-timers and center heads in the future. Keywords : call center counselor, coaching competency, emo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콜센터 상담사의 코칭역량과 감성지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직무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를 비롯한 전국의 콜센터 상담사를 대상으로 총 503부의 구글 설문을 수집하였고, SPSS와 AMOS 21.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센터 상담사의 코칭역량과 조직몰입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콜센터 상담사의 코칭역량이 높으면 조직몰입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콜센터 상담사의 감성지능과 조직몰입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측정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칭역량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역할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성지능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콜센터 상담사의 코칭역량과 감성지능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무만족의 매개를 통해서도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어, 직무만족은 코칭역량과 조직몰입, 감성지능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본 연구는 콜센터 상담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으로 코칭역량과 감성지능이 대단히 중요하며, 콜센터 상담사로 하여금 하는 긍정심리자본 이론과 연계되어 있음을 입증하였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 코칭역량이 높으면 조직몰입도 향상되므로, 콜센터 상담사의 코칭역량을 높일 수 있는 정기교육, 보수교육 또는 전문 코칭역량 교육을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일곱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회사에서 콜센터 상담사 교육 시 사용되는 교육기법들이 코칭역량과 대단히 유사한 부분이 많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즉, 고객 상담시 고객의 대답을 경청하며, 상담 시 고객의 숨겨진 의도까지 파악해야 하므로 이 연구를 통해서 콜센터 상담사가 상담 시 사용하는 상담스킬이 코칭에서 사용되는 코칭역량과 대단히 유사함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더 진행되기를 제안한다. 이상의 연구 검증결과를 종합해보면 코칭역량이 높아질수록 이로 인한 직무만족이 높아지고, 직무만족이 높아지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결국 코칭역량이 높아질수록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콜센터 상담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추후에는 파트 장, 센터장 등 다양한 직군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기를 제안한다. 키워드: 콜센터 상담사, 코칭역량, 감성지능, 조직몰입, 직무만족

      •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정하윤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청소년들의 정서, 행동상의 문제가 다양하게 나타남에 따라 문제 예방과 대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청소년들의 심리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필수적인 것들 중 하나는 일선 학교에 있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역량의 확대 및 강화이다.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법 중 하나로는 교육실습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현재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은 교육실습 매뉴얼이 부재한 상황에서 학교마다 교육실습이 달리 운영되고 있으며 실질적 운영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생각하는 교육실습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델파이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현직 전문상담교사 15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문제는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예비전문상담교사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교육실습 내용은 무엇인가?',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교육실습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교육실습 개선방안은 무엇인가?'이다. 자료조사 및 수집 기간은 2022년 3월 1일부터 2022년 4월 22일까지 이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현직 2급 이상의 전문상담교사이며 전문상담교사로 근무한 경력이 2년 이상인 자, 전문상담교사로서 교육실습을 이수한 자 15명으로 선정하였다. E-mail과 카카오톡 메신저를 활용하여 3차에 걸친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Excel 등을 활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최종 6개 영역 82개의 세부 항목으로 전문가 의견이 도출되었다. 각 영역별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예비전문상담교사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교육실습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문가는 외부기관과의 연계 절차 안내, 학부모 및 교원 자문에 대한 안내, 위클래스 행사 홍보 및 계획, 사례개념화 작성 지도, 상담일지 작성방법 안내, 또래상담 동아리 기획 및 운영 지도, 심리검사 실시 및 해석 교육, 행정업무 전반에 대한 안내 및 체계적인 교육, 상담교사로서의 윤리 교육, 위클래스 가정통신문 작성 지도(E알리미, 아이엠스쿨 등 어플도 함께 소개), 집단 상담 및 교육지도안 작성, 집단상담 보조리더로 참여하는 기회, 매체상담 지도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교육실습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전문가들은 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에 대한 매뉴얼(커리큘럼) 부재, 교육실습생에게 다양한 형태의 상담(위기상담, 개인 상담)을 맡길 때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비밀보장 등), 교육실습 지도 시 지도교사 수당 미지급, 교육실습생이 상담을 진행하려할 때 학생과 부모의 동의를 일일이 구해야하는 어려움, 교육실습생이 직접 실습 가능한 학교를 찾아야 하는 어려움, 다양한 유형의 상담 실습 기회 부족, 교육실습이 교과 교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상담업무와 관련 없는 실습 과제를 수행함(교육과정안 계획, 상담과 관련 없는 강의 수강 등) 순으로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교육실습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교육실습 개선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분석해 본 결과, 실습생 지도에 관한 구체적인 매뉴얼 개발 및 보급, 교육실습 학교를 선정하고 실습생을 배치하는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교육실습 지도교사 수당 지급, 교육실습생의 상담 실습 방안에 대한 교육부 차원의 지원 체계 마련, 학부 또는 상담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전·현직 전문상담교사가 강의하는 학교상담실제에 대한 실무 교과목 개설, 교육실습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 상담실무 및 실습지도 경험이 많은 숙련된 교사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는 자문 체제 마련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의 정의와 기능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분석해 본 결과, 교육실습이 학교 현장 경험을 통해 전문상담교사로서의 태도와 역할을 익히고 스스로 교직에 적합한지 성찰해 보는 교육실습과정이어야 한다는 의견에 높은 수준의 합의를 나타냈다. 또한 이러한 교육실습이 전문상담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학교상담 관련 직무를 파악하고 훈련하며 예비 교원으로서 학교 행정 운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에 높은 합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예비전문상담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분석해 본 결과, 내담자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인성역량, 내담자 문제 이해 및 문제에 따른 상담 전략 및 사례 관리 역량, 학교 내외 다양한 구성원과 협업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대인관계역량,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의사소통역량, 학교현장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학교상담에 특화된 방법을 개발하는 학교상담 특수성 이해 역량, 전문가로서 책임감, 헌신, 진실성 등과 관련된 태도 역량, 상담 관련 교육 및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평가하는 교육역량, 소진예방, 상담역량개발, 개인 시간 및 건강, 여가 활동 관리 등 다양한 측면의 자기관리역량, 행정 업무 및 프로그램 활용 능력, 문서작성 및 기안에 관한 전반적 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하여 현직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실습의 문제점, 개선점은 무엇인지 다양한 의견을 들어볼 것을 제언한다. 둘째, 전문상담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해 볼 것을 제언한다. 셋째,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운영에 대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매뉴얼(커리큘럼)을 구안할 것을 제언한다. Lately variou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adolescence appear, the need of their prevention and measures to deal with them is increasing. Strengthening and expanding the role and capability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is one of measures to resolve adolescent’s psychological problem. In order that, a teaching practice is needed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to have much more expertise. However, according to recent study, actually there is lack of teaching practices for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due to absence of teaching practice manuals, resulting in very much difference in teaching practice methods by each schools. In this reg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in teaching practice and measures to improve teaching practice by reflecting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opinions about teaching practice for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Delphi was used as method in a survey of this study after collecting 15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opinions about teaching practice. So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useful basic data in improving teaching practice for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and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practice, as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believe, should be implemented for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What are the problems in training practice as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ink?' and ‘What are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eaching practice as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ink?' Survey and collecting data period was from 1 Mar to 22 April 2022, and respondents are 15 people first, who are at least level-2 of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and also whose working period is more than 2 years, second, who completed teaching practice course as a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I collected survey data by total 3rd times via E-mail and Kakaotalk messenger, and lastly, excel is used in data analysis. Suggestion after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onduct a quantitative research about teaching practice for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to reflect various opinions from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bout problem in teaching practice and improvement measures. Second, conduct a research after selecting advanced teachers or people as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ho have an experience of guiding teaching practice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Third, develop a teaching practice manual(curriculum) based on any reference or basic data about organizing teaching practice for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Key words: Pre-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Student teaching practice, Delphi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