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학 UI(University Identity) 시스템 디자인 연구 : 한양대학교를 중심으로

        정창배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Universities leading knowledge industry of the 21th century are faced with new problems to do qualitative renova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it has been about 60 years since the independence of our country from Japan. Today, our universities closed down due to decreasing students or the lack of competitive edge unlike the universities 10-20 years ago. Because of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requently changing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r the opening of oversea colleges in Korea, Korea's universities lie on the hard struggle for existence. Therefore, they need to pay attention to active and realistic changes. Because of such reasons, each university is introducing "University Identity Program"(UI) to enhance university images. Every university has its image based on its history and tradition. Such an image is influenced by how college students take their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their university. Thus, for the competitive edge of universities, universities are in need of systematic UI. That is to say, based on characteristic and obvious UI, each university should make differentiated images by using sensational factors. Many colleges try to change all things such as office work, administration and schoolaffairs by unifying a variety of colors and remarkable patterns, unlike the stereotyped image logos. There is a university composed of "Brand Association" to enhance university's image and brand. Some colleges say " When the value of a university's brand increases, people regard the university as a top class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planned to enter ranking the 100th among the world's universities by 2039,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the university. Thus, despite the fact that Hanyang university needs a new image establishment, the staff of the school do not pay attention to these periodic changes and necessity. Now, unlike Corporate Identity (CI), communications between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ar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but they are excessively niggardly of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Most of them agree to introduce the marketing system of enterprise 82 in the university, but they are on negative lines to be a future-oriented college image. People often think of symbolic images and their objects as a fixed idea. They are afraid that it might be commercial. What they are considering more importantly is that a university is only absorbed in study, not the university's image. Thus, there is a limit to expect renovative UI. This paper suggests Hanyang University's identity system design to cope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The visual identity establishment of the university can give differentiated images to all people as well as the students studying there. Moreover, it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to do the university's public relations-campaign. Universities should be a competitive advantage from other colleges by introducing an epoch-making marketing system. This paper is meaningful to apply UI to Hanyang University in actuality, by forming a part of an effort to cope with rapidly educational environment. 21세기 지식산업의 원동력이 될 대학의 역할은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광복 이후 60여 년 동안 이룬 양적 성장의 단계를 넘어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질적 혁신을 이뤄야 할 도전에 직면해 있다. 수험생이 넘쳐나던 과거와는 달리 점점 줄어드는 학생 수와 경쟁력 없는 대학들이 문을 닫거나 축소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대학시장의 해외개방, 입시전형의 변화 등 급변하는 교육환경으로 인한 생존 경쟁이 심각한 상태로, 보다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인식의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각 대학에 맞는 이미지 개선을 위한 의식 변화와 함께 '대학 이미지 통합 프로그램(UIP : University Identity Program-이하 UI라고 한다)'을 도입하고 있다. 어느 대학이나 역사와 전통을 기반으로 한 상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수용자들이 특정 대학에 대해 가지는 태도나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독특하고 명확한 대학의 개성을 표현한 아이덴티티를 바탕으로 감성 요소라는 매개체를 통해 차별적인 대학 이미지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들은 새로운 UI작업을 통해 획일적이던 이미지의 로고, 엠블럼을 다양한 색감과 튀는 문양으로 통일하고 이를 모든 대학의 사무ㆍ행정ㆍ학사에 응용하는 총체적 변신을 꾀하고 있다. '브랜드 위원회'를 신설하여 대학브랜드를 한 차원 높일 수 있는 전략 개발에 나서고 있는 대학이 있는가 하면,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일류로 높여야, 일류대학이 될 수 있다고 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양대학교는 이러한 시대적인 변화와 요구에 대한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개교 100주년이 되는 2039년에는 '세계 100대 명문 대학'에 진입한다는 야심찬 포부를 세우고 있는 현재, 새로운 이미지 구축과 자극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UI를 통해 새롭게 변화된 대학 이미지로 대학의 위상을 높여야 할 때이다. 하지만 현재 대학의 UI는 기업 CI디자인과는 달리 내부 구성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많은 비중이 차지하고 있는 특징이 있으며 외부환경 변화에 지나치게 인색하다. 기업마케팅 원리를 대학에서도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지하면서도 소극적인 변화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미래지향적인 대학 이미지를 형성해 나가기에는 부족한 현실이다. 고유의 형태와 색깔을 나타내려고 하는 의지가 부족하고, 상징이미지의 정체나 대상이 고정관념에 얽매여 있는 경우가 많다. 상업적으로 치우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 오는 보편타당한 표현으로 우리 학교만의 개성을 찾기 보다는 '학교' 다워야 한다는 것이 오히려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는 만큼 혁신적인 UI의 변화를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한양대학교의 아이덴티티 시스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학의 시각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통하여 새로운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내ㆍ외부 구성원에게 대학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대학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전개함에 있어서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학에도 이젠 마케팅 개념을 도입하여 타 대학과의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 경쟁전략을 세워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대응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시각화된 대학 아이덴티티 개발 방법을 모색해보고 실제 한양대학교의 UI개발을 통해 구체적으로 적용해 보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 Accurate calibration of kinematic parameters using experimental heading errors for two-wheel differential mobile robots

        정창배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Various types of autonomous robots have recently been used as service robots in many fields. The two-wheel differential mobile robot is widely used owing to its simple wheel mechanism. There are localization techniques that integrate an estimate of its relative position on the basis of wheel encoder measurements.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localization, a relative positioning method based on accurate odometry is required. The major drawback of odometry is the accumulation of errors. The accuracy of odometry directly affects the overall performance of localization, because the odometry provides dominant pose estimates. There are two types of odometry errors. The first is the systematic errors and the second is the non-systematic errors. Systematic errors are caused by kinematic errors in the modeling of the mobile robot. Non-systematic errors are caused by uneven ground or wheel slippage. Systematic odometry errors can be reduced by the calibration of the kinematic parameter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n accurate scheme for calibrating the kinematic parameters of erroneous wheelbase and unequal wheel diameters in a two-wheel differential mobile robot. When a robot is driven by open-loop control, the resultant pose error of a robot directly reflects kinematic parameter errors. In this thesis, the experimental pose error after robot’s open-loop motion is focused. The one of the original contributions of this thesis is to deal with heading errors. Previous works concentrated on positional errors, not headings. The use of heading errors is advantageous because the absolute positioning sensors are not required. Experimental headings can be easily measured by onboard gyro or compass sensors. Furthermore, heading errors under the parameter errors can be explicitly derived without any approximation. Previous works made approximations due to the use of positional errors. This fact implies that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calibration scheme can be higher than previous methods. Moreover, the odometry calibration can be performed outdoors without using complicated equipment. The usefulness of the scheme was verified experimentally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gyroscope sensor in both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Secondly, some design guidelines for odometry calibration of test tracks are proposed. The accuracy of calibra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using an appropriately designed test track.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test track should be carefully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wheel diameter, calibration equations, and odometry errors. In calibration experiments, a square path test track was used to determine the heading errors that were caused by the two dominant systematic odometry errors. In view of the fact that non-systematic errors constitute a grave problem in practical applications, the size of the test track wa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distributions of the systematic and non-systematic errors. Numerical simulations and experiments clearly confirmed that the proposed scheme resulted in more accurate calibration results. The proposed calibration scheme was verified experimentally and its advantages were clearly shown by quantitative comparison. Improved odometry accuracy enhances the accuracy of localization in mobile robo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