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춘천 지역에서 채취한 대기 중 PM2.5와 그 구성성분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鄭珍姬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약 2년 8개월의 기간동안 채취된 222개의 PM_(2.5) 시료의 평균 농도는 36.5 ㎍/㎥로 측정되었다. 계절별 평균 농도는 여름철 및 가을철에 비하여 봄철과 겨울철이 높았다. 또한 국내 및 국외의 다른 지역과 비교한 결과, 서울지역(43 ㎍/㎥)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환경부 자동측정망 자료인 춘천시 중앙로의 PM10과 강원대학교 옥상의 PM_(2.5)의 일 변화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계절별로 이온들의 PM_(2.5)에 대한 기여율은 여름철이 제일 높았으며, 봄, 가을, 겨울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수용성 이온 성불들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SO₄^(2-)는 2007년 여름철이 제일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춘천지역 NO₃^(-)는 SO₄^(2-)와는 반대로 여름철에 낮은 농도를 그리고 겨울철에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여름철에는 광화학반응으로 인해 2차 SO₄^(2-)의 생성이 활발하나, 2차 NO₃^(-)의 경우 온도 의존성으로 인해 여름에는 다량이 가스상(HNO₃과 NH₃)으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또한 춘천의 외곽은 농, 축산업으로 자연적 배출원에 의해 배출된 상대적으로 높은 NH₃ 농도로 인해, PM_(2.5) 내 존재하는 NO₃^(-)와 SO₄^(2-)의 주요 형태는 NH₄NO₃와 (NH₄)₂SO₄로 파악된다. 탄소 성분의 구성형태는 계절별로 OC, EC와 SOC의 경우 공통적으로 겨울철이 높은 농도를 보였으나, PM_(2.5)에 대한 평균 기여율은 OC, EC와 SOC의 성분 모두 여름철이 높게 나타났다. 특이한 양상으로 2005~2006년 겨울철동안 SOC는 가장 높은 기여율을 나타내었고, 산정된 J 값으로 인해 에어로졸이 산성상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2005~2006년 겨울철에 존재하는 산성입자가 SOC의 불균질 생성반응을 크게 촉진시켜 SOC의 기여율이 높아졌다고 추측된다. 춘천시의 PM_(2.5) 농도는 기상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춘천시의 대표적인 기상 특성인 안개는 2차 에어로졸의 생성반응을 증가시키는 한편, 기존에 생성된 2차 에어로졸이 용액 상태가 되면서 크게 미세입자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안개는 탄소 성분의 증가에도 영향을 끼쳤다. 안개뿐만 아니라 춘천시의 PM_(2.5) 농도는 뚜렷하게 중국으로부터의 장거리 이동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혼합고도가 낮아 일반적으로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겨울철의 경우에도, 중국으로부터의 편서풍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상당히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춘천시 내에 중-대규모 대기오염 배출시설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및 수도권 지역과 유사한 PM_(2.5) 농도를 보이는 이유는 장거리 이동을 통한 외부로부터의 유입(특히 중국)과 춘천 특유의 빈번한 안개의 발생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춘천시 PM_(2.5)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수도권 지자체의 협력을 통해 국가 배출량 인벤토리의 개선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내 장거리 이동에 대한 국가 간 협력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Fine particles (PM_(2.5))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November 2005 through August 2008 in Chuncheon, Korea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M_(2.5) and its ionic constituents. The average PM_(2.5) concentration during the study period was 36.5 ㎍/㎥, which is almost two times higher than the annual US NAAQS PM_(2.5) standard of 15 ㎍/㎥. PM_(2.5)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spring and winter than in summer and fall. This higher concentration in winter was most likely due to the combination of increased emissions from combustion sources for heating and the lower mixing heights, while lower PM_(2.5) in summer was possibly related to the large amounts of wet deposition. During spring, Asian Dust events dramatically enhanced PM_(2.5) concentrations, and long-range transport of PM_(2.5) emitted in industrial area of China often occurred during winter based on trajectory analysis. Contribution of PM_(2.5) to PM10 concentrations ranged from 71.9 ㎍/㎥ during Asian Dust events to 457.2 ㎍/㎥, indicating that a large portion of PM_(2.5-10) was transported from China during Asian Dust events. Among the major ionic constituents SO₄^(2-)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followed by NH₄^(+), NO₃^(-) and NO₂^(-). Chuncheon appeared to be NH₄^(+) rich environment, indicating that (NH₄)₂SO₄ and NH₄NO₃ were the predominant forms of NO₃^(-) and SO₄² in PM_(2.5). Carbonaceous compounds in PM_(2.5) including OC and EC were also analyzed. The mean concentration of OC tended to be higher during the winter than the one during the summer, however EC had the lowest concentration in winter. Fraction of secondary organic carbon to total OC was higher in winter as the ammonium availability index, J had the same seasonal vari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acidic particles in winter might enhance the heterogeneous production of SOC. Fog has frequently occurred in Chuncheon since So-Yang dam was constructed in 1973. Fog events were observed on 48 days during sampling period, and the average PM_(2.5) concentration was approximately 1.3 times higher during fog events than during non-fog events. This result suggests that fog enhances the secondary aerosol formation because the aerosol spontaneously absorbs water to form a saturated salt solution, deriv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ass of the particle.

      • 발달장애아동의 색상·모양·크기 변별훈련의 효과

        정진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지각을 기반으로 하는 색상, 도형, 위치, 크기 등에 대한 기본적인 기술의 습득은 상위 학습을 위한 선행요건이다. 발달장애아동은 전반적으로 인지적 수준이 낮고, 장애로 인한 자극 수용이 제한되어있으며 학업성취와 학습 동기가 낮다. 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의 단절과 일반화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달장애아동을 교육할 때에는 무엇보다 기초학습의 기술을 확고히 익히도록 지도하는데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색상·모양·크기 변별훈련이 그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색상(빨강, 노랑, 파랑), 모양(정삼각형, 정사각형), 크기(‘크다’와 ‘작다’) 변별훈련이 각각 색상 변별력, 모양 변별력, 크기 변별력를 향상시키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발달장애 1급으로 진단받은 아동으로서 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중이며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남아 1명이다. 실험처치를 도입하기 전에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Ⅱ)를 실시하여 아동의 현재 시지각 및 시지각-운동의 문제점과 그 정도를 측정하였다. 색상·모양·크기 변별훈련은 ABA 반전설계에 따라 기초선 1(3회), 처치 1(4), 처치 2(4), 처치 3(4), 처치 4(6(5)), 기초선 2(3)로 실시하여 총 24(23)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의 변별훈련이 발달장애아동의 색상(빨강, 노랑, 파랑) 변별력의 미치는 효과는 일관성있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실험 처치가 진행되는 동안, 색상변별력은 기복이 큰 모습을 나타냈다. 둘째, 발달장애아동의 변별훈련이 발달장애아동의 모양(정삼각형, 정사각형) 변별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처치가 적용되었을 때, 다소 감소하는 때도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모양 변별력이 증가하였다. 셋째, 발달장애아동의 변별훈련은 크기(‘크다’와 ‘작다’) 변별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처치가 시작된 이후로, 크기 변별력은 안정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볼 때, 색상·모양·크기 변별훈련 모두 변별지시가 변화되었을 때에는 변별 수준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변별매체의 변화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발달장애아동의 색상(빨강, 노랑, 파랑) 변별훈련은 색상 변별력을 향상시키는데는 큰 효과가 없지만 모양(정삼각형, 정사각형) 변별훈련과 크기(‘크다’와 ‘작다’) 변별훈련은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이기 때문에 다양한 연령과 성별, 장애의 정도와 인지적 특성을 가진 아동에게 적용해볼 필요가 있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해 봄으로써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선정한 색상, 모양, 크기 이외에 다양한 색상, 모양 및 크기에 대한 연구와 함께 다양한 질감과 형태의 매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한 차원의 변별훈련만 실시되었으나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차원의 변별을 실시해보고 가정, 학교, 시설 등이 연계하여 훈련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후속조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of color, shape, sizes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ll the color discrimination(red, yellow, blue) training increase color discrimination(red, yellow, blue)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econd, will the shape discrimination(a regular triangle, square) training increase shape discrimination(a regular triangle, square)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ird, will the size('large' and 'small') discrimination training increase size('large' and 'small')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was a 9-year-old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inclusion education in general class and special class of the elementary school. Before introducing experimental treatment, the 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K-DTVP-Ⅱ) was implemented to measure the participant's present level and problem of visual perception and visual-motion(movement). The discrimination trainings were implemented to 24(23) sessions and during treatment condition discrimination and performance of the training was measured. The experimental control was demonstrated by ABA reversal design. The result drawn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lor discrimination training(red, yellow, blue) did not improved the color discrimination(red, yellow, blue). Second, the shape discrimination training(a regular triangle, square) improved shape(a regular triangle, square)e discrimination. Third, the size discrimination training('large' and 'small') improved size('large' and 'small') discrimination. In conclusion, the color(red, yellow, blue) discrimination training is not effective on color(red, yellow, blue) discrimination but shape(a regular triangle, square) and size('large' and 'small') discrimination training is effective on each shape(a regular triangle, square), size('large' and 'small') discrim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 in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presented.

      • 지구성 운동과 MitoQ 섭취가 AlCl3로 유도된 알츠하이머 질환 동물 모델의 Tau과인산화에 미치는 영향

        정진희 한국체육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 지구성 운동과 MitoQ의 섭취가 AlCl3로 유도된 알츠하이머 질환 동물 모델의 Tau과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알츠하이머 질환 유도로 60일간 Aluminum Chloride(AlCl3)을 40mg/kg를 생리식염수로 희석시켜 복강주사(Intraperitoneal Injection, I.p.)로 적용시켰으며 4일을 주기로 새로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Saline control group(NC, n=6), AlCl3 intraperitoneal injection group(AC, n=6), AlCl3 intraperitoneal injection + MitoQ ingestion group(AM, n=6), AlCl3 intraperitoneal injection + Exercise group(AE, n=6), AlCl3 intraperitoneal injection + Exercise group + MitoQ ingestion(AEM, n=6)으로 구분했고, 지구성 운동은 실험동물용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8주 동안 12m/min의 속도를 적용하였다. 지구성 운동 및 MitoQ의 섭취는 Total Tau, p-Tau를 모두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지질산화수치의 감소, 항산화 효소를 증가시켰다. 이런 결과는 8주간의 지구성 운동 및 MitoQ의 적용이 AlCl3 축적에 의한 인지기능, 기억력 감소를 개선한다는 점에서 알츠하이머 질환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 weeks endurance exercise and intake MitoQ on Tau hyperphosphorylation in AlCl3-induced Alzheimer's disease animal model. Aluminum treated animals was received saline containing Aluminum Chloride(AlCl3) at dose of 40mg/kg/day for a period of 56 days, CON group were treated with saline. AlCl3 was newly manufactured every 4 days during the experiment. The group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 saline control group(NC, n=6), AlCl3 injection group(AC, n=6), AlCl3 injection and treadmill exercise group(AE, n=6), AlCl3 injection and intake MitoQ group(AM, n=6), treadmill exercise was performed for 8 weeks(0° grade, 12m/min, 40min, 5days/week), AlCl3 injection and treadmill exercise and intake MitoQ group(AEM, n=6). The results were showed that exdurance exercise and intake MitoQ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Total Tau, phosphorous Tau and oxidative stress and 3,4-Methylenedioxyamphetamine(MDA). increased the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Therefore, the effects of 8 weeks endurance exercise and intake MitoQ was improved not only cognitive skills, failure of memory by aluminium addiction, but also neuroplasticity. These results will be positive affect Alzheimer’s disease improvement.

      • 교사의 효능감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정진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eacher’s efficacy and director's leadership affect on teachers’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270 teachers at preschools and 8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Kyeonggi-do area. Teacher's efficacy,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tress were evalua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swered by the participant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range for each variable of the questionnaire were calculated from the collected data. To test whether a Teacher's efficacy and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n effect on teachers’ job stress, Pearson’s correlational coefficient was calculated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eacher’s efficacy and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ffected on teacher’s job stress. The data showed that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predictors of stress caused by work overload. Also teacher’s efficacy and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ffected on colleagueships. Finally, teacher’s efficacy was predictors of stress caused by parent-teacher relationships. 본 연구는 교사의 효능감과 원장의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8곳의 어린이집과 24곳의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사의 효능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유아교사에게 질문지를 통해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각 변인에 대한 범위와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교사의 효능감과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및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은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업무 과부하와 학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중간보다 약간 높았고, 교사의 효능감은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교사 효능감과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업무 과부하로 인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으며, 동료와의 관계 요인 스트레스에는 교사의 효능감과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학부모와의 관계로 인한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는 교사의 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는 중간 정도의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하는데 업무 과부하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유발되는 스트레스가 높은 편으로, 교사의 효능감과 원장의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술관 연계 방과후 미술 감상 교육 프로그램 운영 연구 : 경기 농촌 소규모 학교를 중심으로

        정진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교육과 연계하는 박물관․미술관 교육은 실제 작품과 대면하면서 미적 체험을 할 수 있는 감상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교과서 도판이나 슬라이드 등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간접자료를 통한 미술 감상 교육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좋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박물관·미술관과 연계하는 학교 교육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 학교의 정규 교과과정에서의 미술 감상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연계 교육의 장점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방과후 학교는 정규 미술 교과과정에서 이루어지지 못한 감상 교육의 대안으로서, 전문 인력을 통해 감상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고 현장 체험이나 야외 수업, 미술관 관람 등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수업 방식을 택할 수 있어, 미술 교육의 핵심인 창의성과 자유로운 표현력을 기르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문화기반시설의 이용도가 낮고 미술관에서 작품을 감상할 기회가 거의 없는 농촌 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미술관과 연계하는 감상 교육은 절실하다 하겠다. 전문적 지식과 교수법에 따라 감상활동을 지도하는 인력이 부족한 농촌 소규모 학교의 상황은, 안 그래도 미술관의 관람기회가 적은 학생들이 미적 감수성을 계발하고 자기 표현력을 향상시킬 기회를 크게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농촌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의 방과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 감상 교육이 미술관과 연계된다면, 미술 전문 인력을 통해 체계적인 감상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실제 작품과 대면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능동적인 미적 창조 활동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경기 농촌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미술관과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참고도서와 관련 연구 논문, 인터넷을 통한 문헌 자료를 기초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지리적 접근성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미술 감상 교육과 연계하는데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있는 덕포진교육박물관과 목암미술관, 고양아람누리 미술관 등 3곳을 선정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고 교육 담당 인력의 배치, 교육 프로그램 운영 능력, 공교육 연계 프로그램 개발, 교사 재교육 기관의 역할 등에 대해 설문하였다. 이를 근거로 미술관과 연계하는 방과후 학교의 미술 감상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술관 교육의 내·외부 전문 인력을 중심으로 하여 방과후 학교와 연계하는 운영체계를 구축하고,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운영이 이루어져야 하고, 학교와 지자체, 중앙정부의 지원 체계를 갖춰야 한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방과후 미술 감상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프로그램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미술관과의 연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지속적인 교육을 위한 지원 체계가 절실하다는 제언을 도출해냈다. 또한 본 논문은 김포에 위치한 금란초등학교의 방과후 미술 감상 교육을 통해 미술관과 연계하는 방과후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실제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미술 발달 과정과 방과후 학교의 특성과 운영에 적합한 방향으로 개발되었으며, 감상 활동과 표현 활동을 통합적으로 지도하였다. 주제의식이 분명한 작품을 감상한 후 다양한 표현 재료들을 활용하여 표현 활동을 하도록 하였으며, 초등학교 저학년의 연령과 학년 수준을 고려하여 문답형 감상 방법을 활용하여 지도했다. 초등학교의 방과후 미술 특기․적성 교육은 미술 교과과정에서 간과되기 쉬운 감상과 표현 활동의 통합적 지도가 가능하며, 전문적인 교육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안적 미술 교육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작품과 직접적인 대면을 할 수 있는 미술관과 연계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자가 지적한 점들이 보완된다면 농촌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화적 경험을 확장하고, 타인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인 성장에 기여하는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useum and Art Gallery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public education provides the appreciation education that enables aesthetic experience by facing the real art works and are suggested as good alternative so that the limit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school through indirect materials such as textbooks pictures or slides. However, despite the advantages of school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museum and art galleries, appreciation education hasn't been well performed 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the advantages of connected education are not sufficiently exercised. The after-school class, as an alternative for the appreciation education that hasn't been conducted in the regular art curriculum, enables the instruction of appreciation though the experts and makes it possible to select creative and free methods for teaching classes such as outdoor classes and museum tour. Thus it can provide the opportunities to foster creativeness and free expression, the cores of art education. In particular, for small rural elementary schools where the use of cultural infrastructure is low and with rare opportunities to appreciate the arts in art galleries, the appreciation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art galleries is urgently needed. The situation of small rural schools where the manpower to teach appreciation activities according to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 greatly limits the opportunities of students, who already has very little opportunities for museum tour, to develop their aesthetic sensibility and self-expression. Thus i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after-school in small rural elementary schools can be connected with art museum, the systematic appreciation education can be realized through the experts and the provision of the opportunities to face the real arts, will help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active artistic creation activitie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develop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by targeting the students of small rural elementary school in Gyoenggi and seeks the schemes to connect this with art galleries. For this, in this paper, th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reference books and research papers and the Internet. And, Deokpo education museum and Mokam Art Gellery and Goyang Aramnuri Art Museum that have good geographically accessibility and also have the activated education programs that are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for the connection with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been selected and their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investigated. And a survey regarding the deployment of personnel, operational skills of training programs, the development of programs in connection with public education, the roles of the organizations for linking program development, teachers retraining institutions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regarding the operation of schools' art appreciation programs after school in connection with art galleries have been derived as follows. The operational system based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of art gallery education after school in connection with the schools, has to be established and the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small rural elementary schools have to be developed, and the continued and long-term operation have to be realized; and the schools, local authorities and the central government's support system have to be established. Based on these implications, the suggestions that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ograms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after school and the connection with art galleries should be realized effectively, and for the continued support system for the continued education is urgently required, have been derived. Also, this thesis, in fact, has developed and operated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after-school in connection with art galleries through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after school of Geumran Elementary School in Kimpo. It has been developed in the direction appropriate for the art development process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features and the operation of schools, and the appreciation activities and expression activities have been syntagmatically instructed. The students were allowed for their expression activities by using of various expression materials after the appreciation of the arts with a clear theme of subject and then they have been instructed through Q&A appreciation methods by considering of the age and the level of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spect to art competence training and aptitude training after school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syntagmatical instruction of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that can be overlooked in the art curriculum,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he art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that it can be the specialized education. In order for these advantages to be fully exercised, th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art galleries that will enable the direct confrontation with arts, should be realized. If the matters pointed out by researcher, is supplemented, it will be expected to contribute itself to the educational effects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cultural experiences of small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others and social growth of the students.

      • 베트남·중국 학습자의 한국어 구어 문장 연구 : 통사적·어휘적 복잡성과 다양성을 중심으로

        정진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Colloquial Korean Sentence of Students from Vietnam and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colloquial sentences, and to see how they change based on the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students from Vietnam and China; in addition to determining what of the various factors that explain complexity and diversity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olloquial Korean sentences by the foreign students. In order to determine how colloquial sentences develop based on the proficiency of the student, verbal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38 Chinese and Vietnamese students who are studying Korean language in formal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The analysis of sentences wa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of analytic grammar,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syntactic/lexical complexity and diversity. The first research objective was to determine what forms the syntactic complexity and diversity of colloquial sentences appear in based on the proficiency and country of origin of the Korean langua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first stage analysis of syntactic complexity showed that as proficiency increased both propositional complexity and modality complexity increased by a meaningful amount, and this aspect showed a high interrelationship with embedded clauses. In the case of propositional complexity, while the propositional complexity of Chinese students in all stages from beginner-intermediate-advanced showed increases in propositional complexity, Vietnamese students showed stagnation in the beginner-intermediate stages before showing meaningful increase in propositional complexity in the intermediate-advanced stages. In the case of modality complexity, the complexity score of Chinese students were higher than Vietnamese students in all stages from beginner-intermediate-advanced, and especially showed a meaningful increase differences in the intermediate-advanced stages. That is, we found that compared with Vietnamese students, students from China spoke with more syntactically complex sentences as their proficiency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second stage syntactic diversity analysis showed that regardless of proficiency or country of origin, students produced sentences in the order of [AE]->[ABE]/[ACE]->[ABCE]->[ACCE]. In addition, the most dominant form, regardless of matrix clauses or embedded clauses and regardless of proficiency, was shown to be [AE] or [AEE] by which we can see that the most simple sentences were being used the most. The second research objective was to determine in what form lexical complexity and diversity of colloquial sentences appeared based on the proficiency and country of origin of the Korean langua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first stage analysis on lexical complexity showed that as proficiency increased the complexity of vocabulary types(parts of speech) and complexity of vocabulary class all increased by meaningful differences, and that as with syntactic complexity this also showed a high interrelationship with embedded clauses.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nese advanced students, they averaged 4 points higher in the complexity of vocabulary type(parts of speech) compared to Vietnamese students, and also showed about 40 points difference in highest score. We estimate tha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Chinese students are more easily able to use advanced hanja vocabulary that are shared in China and Korea than Vietnames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econd stage lexical diversity analysis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 proficiency or country of origin of the students, they produced the forms of [WZ]/[VZ], [GVZ]/[GKZ], [GVKZ]/[GWKZ] the most. The last research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yntactic complexity and lexical complexity.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propositional complexity, modality complexity, complexity of vocabulary type(parts of speech), vocabulary class complexity all showed close interrelationships. We were able to determine that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propositional complexity, modality complexity, and complexity of vocabulary type(parts of speech) were especially high. So far,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lloquial sentences of Vietnamese and Chinese students from syntactical and lexical perspectives based on analysis framework of analytic grammar. Through this we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factor that could explain the colloquial proficiency of the student was embedded clauses, and external factors were propositional/modality/vocabulary type complexity. We hope that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in some w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research on colloquial language of Korean language students.

      •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아지각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

        정진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아지각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내 어린이집 4곳과 유치원 1곳의 만 4세 유아 101명(남아 52명, 여아 49명)이었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aFreniere와 Dumas(1996)의 사회적 유능성과 행동 평정(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 SCBE) 간편형을 번역한 권연희(2002)와 김선영(2008)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Rohner(1991)의 부모 수용-거부 질문지(Parental Acceptance Rejection Questionnaire: PARQ)를 번안한 황혜정(1998)과 김정혜(2001)의 도구를, 유아의 자아지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Cassidy(1986)의 인형놀이 면접법(Puppet Interview)을 번안한 윤진영(2000)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각 측정 변인들의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성에 따른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본 연구대상 유아는 남아와 여아 모두 사회적 유능성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남아보다 여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온정-애정적 양육태도는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보통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유아의 자아지각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남아보다 여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둘째, 남아의 경우 어머니가 공격성/적대적의 양육태도를 많이 보일수록 교사로부터 분노-공격적 행동을 많이 한다고 평가받았으며, 어머니가 무시/무관심, 모호한 거부의 양육태도를 많이 보일수록 교사로부터 불안-위축 행동을 많이 한다고 평가받았다. 또한 유아의 자아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로부터 불안-위축 행동을 적게 보인다고 평가받았다.여아의 경우는 어머니가 공격성/적대감, 모호한 거부의 양육태도를 많이 보일수록 교사로부터 분노-공격적 행동을 많이 한다고 평가받았다.결론적으로 만 4세 남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아지각과 관련이 있으며, 만 4세 여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관련이 있다.

      • 입원아동의 주사불안 감소를 위한 음악감상의 효과 연구

        정진희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his study intended to determine how the effect of the music listening, especially the recorded CD music and live music, on the anxiety reduction of hospitalized children facing needle-related procedures. In order to form test groups,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children hospitalized in the Pediatrics Dept., K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who corresponded to the set condition and aged from 3 to 6 years old under the school age, from Sept. 21 to Oct. 29, 2003. Among selected subjects, 20 were put into the control group, 20 to test group 1 (CD recording music) and 20 to test group 2 (live music). Before the test began, the general information of all hospitalized children were collected as the reference for selecting test subjects. The anxiety of the child was measured by PBCL and when the child entered the treatment room for injection after the hospital registration and the degree of pain recognition, FPRS. The anxiety behavior was measured and analyzed all through the injection using Observed Behavior Interval Recording Form. 6 childrens songs selected from previous survey were played and recorded into a CD previously and replayed later for the test group 1, and the same songs were played live in front of the test group 2. No musical treatment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outcome is shown as in the following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music listening group(CD, live) concerning PBCL (p< .001). The PBCL for live music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CD group(p< .05). Seco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music listening group(CD, live) concerning FPRS(p< .01), and the live music group showed lower FPRS than CD group(p< .05). Third, the frequency of no behavior distress of children throughout the injection was different from each group(p< .01) and each period(p< .01), and especially the live music group showed highest no behavior distress subjected to the anxiety before injection. From the said outcome, the music listening groups(CD, live), especially the use of live music, was determined to be quite effective for reducing the anxiety of hospitalized children during injection thereby recovered psychological stability and relieved pain. 본 연구는 입원아동의 주사 처치 시 음악감상의 경험이 아동의 불안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것으로, 특히 감상에서 녹음된 CD음악과 생음악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3년 9월 21일부터 10월 29일까지 서울시 K대학부속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아동 중 조건에 부합되게 선별된 만3세에서 만6세의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20명, CD음악 집단 20명, 생음악 집단 20명의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이 시작되기 전 입원아동의 일반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대상자를 선별하였으며, 아동이 입원 절차를 마치고 주사를 위해 처치실에 들어오면 불안 행동 반응 척도(PBCL)로 아동의 불안 반응을 측정하고 처치 후에는 통증 얼굴척도(FPRS)로 아동의 통증 인지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동간격 관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체 처치 동안 아동이 보인 불안 반응을 분석하였다. CD음악 집단에는 사전조사에서 선곡된 6곡의 동요를 연구자가 직접 연주하고 노래하여 녹음한 CD로 들려주었으며, 생음악 집단에는 같은 6곡의 동요를 아동 옆에서 직접 연구자가 연주하며 불러주었다.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음악적 처치도 시행되지 않았다. 연구 가설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주사 처치 동안 아동이 보인 불안 행동 반응점수(PBCL)에서 음악감상(CD음악, 생음악)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 .001)가 나타났으며, CD음악보다 생음악 집단의 아동 불안 행동 반응점수가 더 낮게 나타났다(p< .05). 둘째, 주사 처치 후 측정한 아동의 통증인지 정도(FPRS)에서도 음악감상(CD음악, 생음악)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p< .01)가 나타났으며, 통제집단과 CD음악집단에 비해 생음악 집단의 통증인지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 .05) 셋째, 아동이 처치 전체 시기 동안 보인 불안에 대한 무반응 회수에서는 음악감상(CD음악, 생음악)집단과 통제집단 각 집단별(p< .01), 시기별(p< .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생음악 집단의 주사전 불안에 대한 무반응 회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음악감상(CD음악, 생음악), 특히 생음악의 사용이 입원아동의 주사불안을 감소시켜 심리적 안정을 되찾게 하고 통증의 완화에도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