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추장 추출물의 EtOAc층으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의 단리 및 구조결정

        정진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a part of the continuous investigations on biological activity of traditionalKorean food,the presentstudy was focused on compounds with antioxidative activity in Gochujang, Korean fermented red pepper paste. Therefore,isolationandstructuralelucidation oftheantioxidantscontainedin Gochujang were carried out.Watersuspension ofGochujang (3 kg)MeOH extracts (1639.26 g) was successively solvent-fractionated with n-hexane, CHCl₃,EtOAc,andn-BuOH.ThefractionsweresubjectedtoTLC analysisto check thepattern ofantioxidantsin each fraction.Thedeveloped TLC plate were visualized under UV light (254 and 365 nm) and by spraying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ethanolsolution (200 mM)on theTLC plates.The assay was used to confirm the purity ofeach fraction in the following isolation procedure of antioxidants. All of the fractions after solvent-fractionation showed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However,the TLC pattern ofantioxidants in the EtOAc layer was observed in higher purity than those in otherlayers.Therefore,the EtOAc layerwas purified andisolatedusingsilicagelcolumnchromatography,SephadexLH-20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The isolated 16 compounds were structural elucidatedasfumaricacid(1),succinicacidmonomethylester(2),furan-2-yl methylsuccinate (3,gochujangate,novel),2-hydroxy-3-phenylpropanoic acid (4), 3,4-dihydroxybenzoic acid (5), 2,3-dihydroxybenzoic acid (6), 2,4-dihydroxybenzoic acid (7),esculetin (8),caffeic acid (9),cis p-coumaric acid (10),trans p-coumaric acid (11),daidzin (12),genistin (13),apigenin 7-O-β-D-apiofuranosyl(1→2)-β-D-glucopyranoside (14), apigenin 7-O-β -D-glucopyranoside (15), quercetin 3-O-α-L-rhamnopyranoside (16) by GC-EI-MS,DI-ESI-MS,FAB-MS,andNMR analyses.Compounds1-3were organic acid and its analogues.Compounds 4-11 are naturally occurring phenolicacidantioxidantsthatarepresentin thehuman diet.Compounds12 and 13 are the majorisoflavone glucosides in soybeans and therefore itis thought that they may be from soybean,one of the main materials of Gochujang. Compounds 14-16, apigenin and quercetin glycosides, were assumed to be from pepper because the presence ofthem in pepper had already been reported.Alloftheflavonoidsisolated from thepresentstudy wereglycosides.Ithasanabundanceofsuggestions.Thatis,theactivity of hydrolaseexcreted from microorganismsmay weak orbeno.Moreover,the origin and content in Gochujang ofthe isolated antioxidants is important factors in further investigation on functionality and quality control of Gochujang.The presence of various antioxidants in the EtOAc layer of Gochujang extractswasrevealed in molecularlevel.Itispresumed thatthe antioxidative active compounds may be associated with a broad variety of beneficialpropertieson human health.Theresultsmay beusefulasa data baserelated in theresearch on functionality and indicatorforquality control ofGochujang. 한국 전통 식품의 생리활성 구명의 일환으로 고추장에 함유된 항산화 활성 물질의 단리ㆍ정제 및 구조해명 연구에 착수하였다. 고추장(3 kg)을 MeOH(12 L × 2)로 추출 후 n-hexane, CHCl₃, EtOAc, 수포화 BuOH로 순차 용매분획하였다. 각 획분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검정한 결과, 모든 층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이 인정되었으나, 이들의 TLC상에서의 경향으로 보아 EtOAc 층에 다양한 항산화 화합물들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어 그 EtOAc 층에 함유된 항산화 활성 물질들의 정제 및 구조해석을 행하였다. EtOAc 층(4.92 g)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를 행하여 총 16종의 항산화 활성물질을 단리ㆍ정제하였다. 단리된 활성물질은 MS 및 NMR분석에 의해 fumaric acid (1), succinic acid monomethyl ester (2), furan-2-yl methyl succinate (3, gochujangate), 2-hydroxy-3-phenylpropanoic acid (4), 3,4-dihydroxybenzoic acid (5), 2,3-dihydroxybenzoic acid (6), 2,4-dihydroxybenzoic acid (7), esculetin (8), caffeic acid (9), cis p-coumaric acid (10), trans p-coumaric acid (11), daidzin (12), genistin (13), apigenin 7-O-β-D-apiofuranosyl(1→2)-β-D-glucopyranoside (14), apigenin 7-O-β-D-glucopyranoside (15), quercetin 3-O-α-L-rhamnopyranoside (16)로 구조해석하였다. 단리된 활성물질 중 화합물 3은 신규 화합물로 판단되었다. 화합물 1-4는 유기산 및 그 관련 화합물로, 그리고 5-11은 천연에 널리 존재하는 저분자 phenol성 화합물로 인식되나 고추장에 있어 그 유래는 추후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 화합물 12와 13은 대두의 대표적인 함유성분 중의 하나로써 고추장의 원료로 이용되는 대두 유래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화합물 14-16의 apigenin과 quercetin 배당체들은 이미 고추로부터 단리ㆍ동정 되어진 바 있어 고추장에 함유된 이들 또한 고추로부터 유래한 성분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들 성분이 aglycone이 아닌 배당체형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고추장은 발효 관여 미생물이 생산하는 가수분해효소의 활성 발현이 용이하지 못한 조건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되었다. 대표적인 전통식품 중의 하나인 고추장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의 이러한 분자수준에서의 해명은 추후 고추장의 품질관리 및 기능성 평가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CBR을 활용한 랜덤포레스트 기반 사업초기단계 공사비 예측모델 개발

        정진호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사업초기단계에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수를 위해 사업비를 예측하는 것은 사업 성패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규모가 크고 복잡한 프로젝트가 주로 수행되어지는 건설분야에 있어, 사업초기 공사비 예측은 더욱 중요한 사항으로 여겨진다. 건설사업은 한정된 예산 내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수익구조이므로 초기단계 공사비 예측은 사업의 수익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업초기단계에는 가용정보가 한정되어 있어 공사비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은 사업초기단계의 한정된 정보를 활용하여 공사비를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여왔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다중회귀분석, 인공신경망(ANN), 의사결정나무, 유전자알고리즘(GA) 등 여러 규칙기반시스템(Rule-based system) 방법론에 의하여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규칙기반시스템 방법론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예측모델을 구축하여도 모델구축에 사용된 데이터를 완벽히 설명할 수 없으므로 일정 수준 오차가 발생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오차가 발생되는 이유는, 데이터의 양상을 분석하여 모든 데이터를 전반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규칙을 찾아내는 규칙기반시스템의 기본 메카니즘 때문에 발생된다. 하지만 예측모델을 사용하여 새로운 사례의 예측 값을 도출할 때 이러한 오차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규칙기반시스템 예측모델이 지닌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심화시킨 기법인 랜덤포레스트 분석 기반 공사비 예측모델에 CBR기법을 연계함으로써 예측 결과 값에 대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수정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CBR을 활용한 랜덤포레스트 공사비 예측모델의 개발과정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모델 개발을 위해 구축한 420건의 실적사례 중 378건을 사용하여 랜덤포레스트 공사비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2) 이후, 모델 구축에 사용된 378건의 사례 정보를 랜덤포레스트 모델에 입력하여 예측 값과 실제 값 사이 오차율을 산출하고 DB를 구축하였다. (4) 신규 사례 예측 시, 구축한 DB의 사례 중 가장 유사한 사례를 CBR을 활용하여 도출하고 유사사례가 지닌 랜덤포레스트 예측 값과의 오차율을 도출하였다. (5) 앞서 구축한 랜덤포레스트 예측모델로 산출한 신규사례의 예측 공사비에 이를 반영하여 보정한 값을 최종 공사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예측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집한 420건의 사례 중 모델 구축에 사용된 378건을 제외한 42건의 사례를 활용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은 두 가지 측면으로 수행하였다. 우선, 랜덤포레스트 기반 예측모델의 오차율 개선이 CBR 기법을 적용한 보정으로 이루어지는지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예측모델과 타 모델들의 오차율을 비교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랜덤포레스트 예측모델에 비해 이를 CBR 기법을 활용하여 보정한 본 연구의 예측모델이 상대적으로 19.64%의 예측성능 개선이 이루어져 보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타 연구에서 제시한 예측모델들과의 비교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예측모델의 오차율이 가장 낮게 도출되어 예측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사비 예측모델은 규칙기반시스템 예측모델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완하여 예측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모델은 기존 공사비 예측모델에 비해 오차율을 감소시켜 예측성능을 개선시킴으로써 사업초기단계 공사비를 예측할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사업초기단계 공사비 영향요인들의 불확실성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규칙기반시스템인 랜덤포레스트 기법의 알고리즘 구조를 보정한 것이 아니라, 최종 예측된 값에 대하여 보정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향후 불확실성을 고려한 연구를 본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규칙기반시스템의 알고리즘 구조를 보정하여 방법론 자체를 개선시키는 연구가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redicting business costs for successful completion of a project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business success or failure. In particular, the prediction of construction costs in the early stage of the business is considered to be most important in the construction sector where large-scale and complicated projects are mainly performed. Since the construction business has a profit structure that generates the profits by conducting a project within a limited budget, the prediction of construction costs in the early stage can be said to determine the profits of the busines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predict the construction costs in the early stage of the business due to the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meantime, many researchers have conducted studies to predict the initial construction costs by utilizing the limited information. These previous studies have been performed by several rule-based system methodologies such 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decision tree and genetic algorithm(GA), but they have limitations that make it impossible to completely explain the data used in building a prediction model even though the model is built on a systematic basis, and therefore a certain level of error occurs. The reason for this error is due to the basic mechanism of the rule-based system that analyzes the pattern of data and finds a rule that can explain all the data in general. However, this error has not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in deriving the prediction value of a new case using a prediction model. In this regard, this study sought to construct a construction cost prediction model by utilizing a random forest method, and to develop the construction cost prediction model which corrects the error that the rule-based system prediction model has by using case-based reasoning (CBR) in predicting the new case.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random forest construction cost prediction model using CBR presented in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ndom forest construction cost prediction model is constructed using 378 out of 420 cases. (2) After that, the information of 378 cases used in the model construction is entered into the random forest model to calculate the error rate between the predicted value and the actual value and construct a database. (4) In the case of new case predictions, CBR is utilized to derive the most similar case among cases of the constructed DB and calculate the error rate from the random forest prediction value that the similar case has. (5) It is reflected in the predicted construction cost of the new case calculated using the previously constructed random forest prediction model, and the corrected value is presented as the final construction cost.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edic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a verification was conducted by using 42 cases except for 378 cases used for model construction out of 420 cases. The verification was performed in two aspects. First, the validity was confirmed by checking if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rule-based system is made by correction using CBR technique. Next, a comparative verification was performed through a comparison of the error rate between the prediction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nd other models.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sults, the validity of the correction was confirmed as the prediction model of this study corrected using the CBR technique exhibits 19.64% improvement i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random forest prediction model. And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verification with other models confirmed that as the error rate of the predic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was lowest, its prediction performance is excellent. The construction cost predic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an improve the prediction performance by correcting errors that occur in the rule-based system prediction model through application of the random forest technique. Therefore, the developed model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predicting the construction cost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through a further reduction in the error rate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construction cost prediction models. However, this study failed to consider uncertainty as to the attribute values of influencing factors which are difficult to confirm in the prediction of the construction cost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In addition, the final predicted value was corrected using CBR in this study, rather than correcting the algorithm structure of the random forest technique, which is the rule-based system. For future work, there is a need to proceed with a research considering the uncertainty along with this study, and studies to improve the methodology itself by correcting the algorithm structure of the rule-based system need to be done.

      • Endothelium-independent vasorelaxant effect of Siegesbeckia glabrescens in rat isolated thoracic aorta

        정진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흰쥐의 흉부대동맥 절편에 대한 희렴의 혈관내피 비의존적 혈관이완 효과 정진호 한의학과 본초학전공 경희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 최호영, 성낙술 희렴은 국화과(菊花科:composit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인 진득찰(毛梗豨薟) 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과 털진득찰(腺梗豨薟) S. pubescens Makino[KHP•CP], 豨薟 S. orientalis L.[CP]의 지상부의 전초이다. 여름철 꽃이 피기 전에 베어 잡질을 제거하고 쇄건하여 사용하며, 우리나라와 중국의 각지에 분포한다. 전통적으로 관절염이나 천식, 마비, 고혈압, 알러지 등의 치료에 쓰이는 약재이다. 기존에 진득찰의 항고혈압과 관련된 실험적 연구로는 자발성 고혈압 흰쥐를 이용한 항고혈압 연구 등이 있다. 그러나 진득찰의 혈압강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어 있지만, 혈관이완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득찰 지상부 메탄올 추출물(MESG)의 흰쥐의 흉부대동맥 절편에 대한 혈관이완 작용을 실험하였으며, MESG의 유의성 있는 혈관이완 효과를 발견하였고, 특징적인 혈관이완 기전도 확인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는 noradrenaline bitartrate (NA)로 수축시킨 흰쥐의 흉부대동맥절편에 대한 MESG의 혈관이완효과를 확인하고, 그 혈관이완 기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MESG는 NA (1 μM) 와 potassium chloride (60mM)로 수축을 유발한 흉부대동맥 절편에 대하여 내피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두 농도 의존적인 이완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MESG의 혈관이완 기전은 내피세포 비의존적 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IP3 pathway, VDCC, sGC pathway는 MESG의 이완효과와는 관련이 없었으며, tetraethylammonium, glybenclamide, 4-aminopyridine, barium chloride 등의 여러 가지 칼륨이온채널 차단제도 MESG의 이완효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MESG는 protein kinase C (PKC)의 촉진제인 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로 유발된 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이완시켰다. 또한 MESG는 ROCC를 통한 세포 밖 칼슘이온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혈관수축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희렴은 혈관내피 비의존적으로 혈관이완작용을 하며, 이는 혈관수축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혈류장애와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치료약물로써 양호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medicinal plant Siegesbeckia glabrescens is an annual herb distributed widely throughout the country of Korea and China. The aerial part of this species taken before blossoming in summer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asthma, paralysis, hypertension and allergic disorders. Previous research has reported that the extracts of Siegesbeckia glabrescens (SG) exhibit antifertility activity, antiallergic activity (Kim 1997; Kim, Lee et al. 2001)(Kim 1997; Kim, Lee et al. 2001), antianaphylactic activity, anticancer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diabetic activities. And the experimental studies showed that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extract of Siegesbeckia glabrescens on the spontaneous hypertensive rat. But the vasorelaxant effect of SG have not been reported yet. So we studied the vasorelax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the aerial part of Siegesbeckia glabrescens (MESG) and found that MESG had significant vasorelaxant effect. In the current study, vasorelaxant effect produced by the methanol extract of SG and its possible mechanism in isolated rat thoracic aorta rings pre-contracted with noradrenaline bitartrate(NA) were examined. Isolated rat thoracic aorta rings were suspended in organ baths filled with K-H solution or Ca2+–free K-H solution and tension was recorded isometrically. SG caused a dose-dependent relaxation in both endothelium-intact and endothelium-denuded rat thoracic aorta rings pre-contracted with NA (1 μM) and potassium chloride (60mM). We found that the IP3 pathway, VDCC and sGC pathway were not the role of MESG induced relaxation. Furthermore, the vasorelaxant effect of SG was unaffected by various K+ channel blockers such as tetraethylammonium, glybenclamide, 4-aminopyridine, and barium chloride. However SG concentration-dependently reduced the contraction induced by Phorbol-12-myristate-13-acetate, an activator of protein kinase C (PKC), in the absence of extracellular Ca2+.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blockage of the PKC-mediated contractile mechanism is likely responsible for the SG-induced relaxation in Ca2+-independent contraction. In addition, we found that MESG could inhibit vasoconstriction induced by extracellular Ca2+ entry through ROCC. Therefore, above ground part of SG has potential as a source for natural health products.

      • Evaluation of medium components for enhanced production of mevalonate from metabolically engineered Escherichia coli

        정진호 아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Mevalonate는 IPP의 전구체로서 isoprenoids의 중간생산물질이다. 요즘은 화장품의 원료나 고분자의 monomer로 사용범위가 늘고있어 대량생산이 중요하게 부각되고있다. Mevalonate를 생산하기 위해 mevalonate를 생산 할 수 있도록 genetic engineering된 e.coli를 사용했다. genetic engineering은 Plasmid system보다 안정성이 더 높지만 copy수가 낮아 mevalonate생산량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위해 배지 최적화를 통해 생산량을 늘리려고 한다. 배지최적화의 factor를 선정하기 위해 published papers를 참고하여 3.7g/L의 mevalonate를 생산하는 recombinant media를 조합한다. 이 recombinant media의 조성 10가지에서 영향력이 큰 factor를 screening하기 위해 placket-burman design을 이용하여 영향력 있는 factor (NH4) 2SO4, Tween80, Ferric ammonium citrate 3가지를 선정했다. 이 factor간의 interaction을 알아보기 위해 central composite design(CCD)를 이용하여 각 factor간의 interaction을 확인했고 이를 3D-response surface plot를 이용하여 factor 최적화를 진행했고 (NH4) 2SO4 6.9g/L, Tween 80 2.52g/L, Ferric ammonium citrate 0.077g/L일 때 5.27g/L mevalonate를 생산하였다.

      • 어린이집의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 보육실 중심으로

        정진호 漢陽大學校 産業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적․경제적 여건의 변화로 어린 자녀를 둔 여성의 취업이 확대되고 가족 제도의 변화, 자녀 양육관의 변화 등으로 보육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게 되었으며, 아동에 대한 각종 정보의 양이 늘어나고 있어 조기 보육의 중요성에 관심을 갖고 있는 등 유아 교육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보육 수요를 반영하듯 보육 시설이 증가하고 있지만 현재의 시설들이 보육 사업의 목표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상태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 시설 계획시 그들의 생활 특성에 적합한 보육 환경을 조성하는데 필요로 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 것으로 보육 시설의 운영 및 관리 현황, 보육실 등의 공간 이용 실태를 조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영유아들은 신체적으로 발달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비상시 피난 상의 문제와 계단을 통한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므로 1층에는 영유아들을 위한 보육실로 구성하고 주방등 성인을 위한 공간은 상층부로 구성하며 기계 설비 등을 이용하여 운반 등에 대한 단점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2. 대부분의 영유아들은 부모와 함께 등원하고 귀가하며 부모나 교사간의 간단한 대화나 상담은 주로 현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의 시설에는 현관이 좁아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따라서 현관은 간단한 상담이나 대화를 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 영아들의 보육 공간은 유아들의 보육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영아들은 넓고 개방된 활동 공간이 필요하므로 영아 공간을 우선적으로 배려하고 배변 훈련을 필요로 하는 시기이므로 보육실내에 화장실을 두는 공간 구성이 되어야 할 것이다. 4. 유아들의 대․소근육 발달과 균형 있는 신체적인 발달을 위해서는 충분한 놀이 공간이 필요하나 대부분의 어린이집에서는 보육실에서 모든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교재․교구장등으로 자유롭게 뛰어다닐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 수요 확충에만 치중하는 정책에서 벗어나 질적으로 향상된 보육이 되기 위해서는 실내 놀이 공간(유희실)확보가 시급하다. 5. 보육실의 단위 공간을 영역별로 구성한 경우 유아들은 한 영역에 집중하지 못하고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수시로 발생한다. 이것은 영역별로 시각적인 차단이 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는데 영역별 공간구성 시에는 시각적(visible)으로 차단되고 신체적으로는 통할 수 있도록(permeable) 하며 교사의 감독이 쉽도록 낮은 칸막이나 이동할 수 있는 교구장, 낮고 접을 수 있는 가리개를 설치하여 영역 구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 障碍人 雇傭政策의 制約要因과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정진호 광주대학교 (광주경상대학)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애인 고용의 실태를 분석해 보고, 장애인 고용을 제약하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장애인 고용 촉진을 위한 정책대안들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목적을 둔다. 먼저 제2장에서 장애인 고용정책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한다. 여기서는 장애인의 개념과 유형 및 발생요인, 장애인 고용의 의의와 실현조건 등에 관해 논의하고, 주요 선진국들과 우리나라의 장애인고용제도에 관해서 살펴본 다음 분석틀을 도출한다. 분석을 위한 주요 변수로서는 장애인 고용의 제약요인에 해당하는 장애인 자신의 변수, 사회적 인식의 변수, 기업의 수요적 변수, 정부의 정책적 변수 등을 설정하였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장애인 고용의 실태를 살펴보고, 4가지의 제약요인 변수에 초점을 맞추어 장애인 고용의 제약요인을 분석하였다. 첫째, 장애인 자신의 측면에서는 장애인의 낮은 취업욕구와 의지, 단순지식과 기술, 신체적·정신적 제약 등이 중요한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둘째, 사회적 인식의 측면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감상적 동정심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업의 수요적 측면에서는 기업인의 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로 정부의 정책적 측면에서는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장애인 직업재활 프로그램, 장애인 고용기업에 대한 지원책, 장애인 취업알선 프로그램 등에서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라 제4장에서는 장애인 고용 촉진을 위한 정책대안을 모색해 보았는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능력개발 방안으로서, 장애인의 직업재활 프로그램과 장애인 교육훈련 사업에 장애인 스스로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하겠다. 둘째, 사회적 인식체계를 전환시켜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자신도 미래에는 장애자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시키는 일이다. 셋째는 기업의 고용기반 확대방안으로서, 처벌의 전략 보다는 보상의 전략, 정보제공의 전략, 교육 및 상담의 전략 등을 모색해야 한다. 끝으로, 정부의 정책적 방안으로서 장애인의 발생을 사전에 억제시킬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하고, 장애인의 소득보장정책을 강화시키며, 장애인 직업 재활정책을 개선해야 하며, 장애인복지 관련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장애인 고용기업에 대한 지원제도 마련하는 일 등을 들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