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커플드 라인을 이용한 다중 대역 적층형 미앤더라인 안테나 설계

        정진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적층형으로 구성된 미앤더 선로 안테나에 방사소자와 연결되어 있는 커플드 라인을 삽입함으로 DCS(Digital Cordless System),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 위성 DMB(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의 이중 대역 동작을 유도한 안테나의 설계 및 제작에 관한 논문이다. 제안한 안테나는 상대 유전율 =4.2, 유전체 손실 =0.02, 유전체 높이 =0.4mm 인 FR-4 기판을 2층으로 적층하여 구성하였으며 각 층의 방사체를 연결하기 위해 높이 =0.8mm, 직경 =0.35mm 인 비아(via)를 이용하였다. 적층형 구조는 안테나의 소형화를 유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플드 라인과의 커플링 효과를 최대화 하는 구조로 이중 대역 동작을 쉽게 유도 할 수 있다.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간 비는 방사체에 연결된 커플드 라인의 구조 변수에 의해서 변하게 된다. 제작된 안테나의 전체 크기는 15.2×7×0.8㎣ 이다. 측정된 대역폭 (VSWR<2)은 DCS, PCS 대역에서 244MHz 이고 위성 DMB 대역에서 120MHz 이고, 방사 패턴은 전방향성 특성을 갖는다. 각 동작 대역에서 최대 이득은 5.0 과 2.31 dBi 이다.

      • 건물형태와 기후인자에 따른 실온변화분석에 관한 연구

        정진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에너지 경제상황과 더불어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 등 지구환경문제의 심각성이 인류의 최대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고 국제적인 환경규제 및 감독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자원 및 에너지 소비량의 40%를 차지하는 건물 부문의 경우 온실 가스 배출 감소를 위해 건물에너지 절약을 위한 대책 및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며 이에 따라 세계 각 국에서는 건물에서의 친환경적이며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를 위해 적극적이며 구체적인 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이다. 국내의 연간 총 에너지 소비량 중 1/4를 차지하는 건물 부문에서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대응책이 절실하게 요구되며, 이는 국가 에너지 수입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UN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건물의 냉· 난방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실온은 외기온도, 일사량, 바람, 습도, 면적, 환기량, 내부 발열과 같은 여러 가지 인자를 고려하여 산정된다. 그러나 계획단계에서의 냉·난방 설비 용량 산정에 있어 기존 건물의 사례를 답습하고, 그에 대한 명확한 입증을 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이 빈약한 것이 사실이다. 이 때문에 정확한 부하량 산정이 힘들기 때문에 과대 설비 용량이라는 결과를 불러오게 되며 에너지 절감과 건물 계획 단계에서의 효율적 설계를 위하여 정확한 자연실온 예측을 통한 부하 산정방식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물 자연실온과 냉․난방부하 분석을 통하여 적정 설비 용량 산출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표준기상데이터의 시간별 전일사량 수직면 일사량으로 변환한 연간 평균 전일사량은 384.80W/㎡이며 난방기 339.22W/㎡, 냉방기404.63W/㎡로 계산되었다. (2) 연간 평균 상당외기온도는 12.08℃였으며, 벽체별 상당외기온도는 기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난방기의 평균 외기온도는 -0.49℃이며 남측벽의 온도가 가장 높았으며 냉방기는 평균 23.82℃였으며 지붕의 온도가 가장 높았다. 모든 기간에서 북측의 온도가 가장 낮았으며 벽체별 평균 온도보다 약 1.5℃ 낮게 형성되었으며 이는 각 면이 받는 일사량의 패턴과 일치한다. (3) 각 벽체의 부하량은 최대 11%의 차이를 보이며 기존의 일률적인 방위계수 적용으로 인하여 설비용량이 과대하게 산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기존의 안전율 개념의 부하계산은 불합리하다고 사료된다. (4) 타당성 검토를 위한 선행연구의 실측치와의 비교결과 해당 기간동안 평균 0.24℃ 정도로 나타났고 온도변화의 거동이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창의 크기가 5%씩 증가함에 따라 건물의 자연실온은 약 0.89℃(난방기), 1.12℃(냉방기)의 상승을 보였다. (6) 체적이 동일한 건물의 장단변비 변화에 따른 자연실온은 난방기 0.69℃, 냉방기 3.57℃의 차이를 보였다. (7) 건물의 냉·난방 부하는 기간에 따라 그 패턴이 상이하였으며 창 면적 변화에 따라 약 2.5~4%(난방기), 22~60%(냉방기)의 변화를 보였다. (8) 건물의 난방부하는 장단변비의 변화에 최대 2.3%의 차이를 가졌으나 냉방부하는 최대 81%의 차이를 보였으며 난방기에는 남측벽체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며 냉방기에는 각 변의 길이가 동일할 경우 가장 적합하다.

      • 신-인 소외로 인한 억압으로부터의 상호해방 : 헤겔 '화해' 개념의 현대적 재구성을 통하여

        정진우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flect on today’s anti-religious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y of Divine-Human Relation explained in Hegel’s philosophy and to lay a new foundation for a theoretical and practical possibility in philosophy of religion to realize the authentic religious idea, The two greatest contradictions appearing in the religion of our Times are the tendency of idolatry in which religious representations or religious symbols take the place of God and the tendency of religious blindness through which religion, originally intended for human liberation, becomes a tool to enslave human being. After the declaration of Kant’s philosophy which announces the intellectual severance of God and human being,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Enlightenment is split or differentiated into two opposite poles. The first is the secular (atheistic) trend which no longer seeks intellectual reconciliation between God and human being and vows to relate only to the physical realm which it can intellectually engage with. The second is the religious (theistic) trend which seeks alternative forms of faith to continue the divine-human relation. This religious trend is also divided into ‘subjective Religion’ which seeks the union with God in subjective emotion, not objective intellect and ‘positive Religion’ which mistakenly serves religious symbols or representations as God. However, subjective religion which anthropomorphizes God falls into idolatry in which human emotion arbitrarily distorts God (the distortion of God by human) and positive religion where human submission to religious representation creates blind faith that enslaves human freedom (the enslavement of man by God). These two ways of unification do not create a tension relation where freedom and truth are intersubjective. They rather produce a relation of unilateral domination or submission in which man dominates God arbitrarily (the negation of God by human) and God oppresses man forcefully (the negation of human by God). The anti-religious phenomena which modern philosophy of religion is problematizing and fighting fiercely to eliminate all kinds of distortion and oppression and to recover the authentic idea of Christianity are the idolatry derived from subjective religion and the blind faith derived from positive religion. If it is true to affirm that going beyond blind faith toward reflective faith though doubt and inquiry is what the life of human Jesus tried to demonstrate as the authentic idea of Christianity and if it is the mission of philosophy of religion to recover this life of Jesus here and now through our living, then the most genuine task of philosophy of religion is to critically reflect on ‘idolatry’ and ‘blind faith’, the two sources of every religious absurdity. In this sense, the Title of this study is ‘mutual liberation from the oppression caused by Divine-Human Alienation.’ Here, ‘Divine-Human Alienation’ means the relation through which religious idolatry produced by human’s self-absolutization distorts the authenticity of God and blind submission to religious representation enslaves human freedom. ‘Oppression’ means the very religious reality triggered by the contradiction found in the religious relation described above. The subject matter corresponds to the concluding declaration of this study which maintains that freedom which makes God true and truth which makes human free are the two genuine ideas of Christianity. This can be also considered as a new principle of reconciliation for mutual liberation of God and human being. To explain and justify the ground of this declaration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paper. It is also the philosophical process this study has to faithfully demonstrate. Among all the thought projects in philosophy of religion beneficial to this aim, our study has chosen the philosophy of Hegel, especially his approach taken in ‘the theory of Divine-Human Reconciliation’ as our key. If theology is human’s questioning about God and the questioning comes from the urgent demands of human life, the essence of theology must be the perception of God and the essence of perceiving God must be the perception of Divine-Human Relation. Another reason why Divine-Human relation is the core matter in philosophy of religion is that it is absolutely crucial in determining how an idea of religion and a form of faith mutually shape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ideal Divine-Human Relation should be that of separation, God will be regarded as the wholly Other completely unapproachable to human being. Since human being cannot be unified with such a transcendent being, human being will consider the blind enslavement to God as the greatest achievement of faith. On the contrary, if the ideal Divine-Human Relation should be that of absolute reconciliation, God will be regarded as the agent of love who tries to communicate with humans unceasingly and humans will consider being born again to be the free divine agents in the reconciliation as the greatest achievement of faith. Therefore, Divine-Human Relation is not only crucial in determining a form of faith but it is also the ultimate standard by which a form of religion is judged. The reason why this study revisits Hegel’s thought to criticize today’s religion and engage in faith reflection is that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problems which Hegel struggled with share the homeogenous source with our problems. Hegel thought the philosophical demand of his age had its root first in the vulgar secularity, produced by the severance in Divine-Human Relation and secondly in the painful differentiation within life, caused by oppositions and contradictions from empty religiosity. Hegel considered the ultimate task of his philosophy to be the construction of a system of science through which every human being can be intellectually reconciled with God. This study will utilize Hegel’s philosophy which has its own unique historical background as our philosophical mirror to critically reflect on our times’ anti-religious culture. It will definitely guide our pursuit to find a new alternative way of thought to overcome both the religious culture based on agnosticism toward the possibility of perceiving God and various forms of dogmatism found in religious fundamentalism which are also reactions to the agnosticism. This study additionally aims to rediscover the radical nature of Hegel’s thought and its insightful contributions to the formation of modern philosophy of religion by reinterpreting and restructuring his philosophy through using ‘Divine-Human Relation’ as our major hermeneutic tool.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 철학에 나타난 ‘신-인 관계론’을 중심으로 오늘날 우리 현실의 반종교적 종교문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로부터 진정한 종교적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종교철학의 이론적-실천적 가능성의 토대를 마련해 보는 것이다. 오늘날 현실종교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모순이라면 인간의 자유를 위한 종교가 도리어 인간억압의 도구로 전락해 버린 ‘맹목종교’의 경향과 인간의 욕망이 빚은 갖가지 종교적 망상들이 신의 자리를 대신해 버린 ‘우상숭배’의 경향을 들 수 있다. 이 두 가지 종교문화는 계몽주의의 정상에서 일어난 신-인 소외의 문화가 빚어낸 반종교적 종교현상들이다. 신과 인간의 지성적 단절을 선언한 칸트의 비판철학 이후, 계몽주의의 종교문화는 인간이 신을 지성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면, 더는 신과의 지성적 화해를 염원하지 않고 다만 지성이 관여할 수 있는 물질세계와만 관계하겠다는 세속적인 문화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과의 관계를 이어갈 대안적인 믿음의 형태를 모색하는 반지성적인 종교문화로 분열된다. 나아가 이러한 종교적인 문화는 또 다시 우리에게 객관적으로 주어진 종교적 표상들을 신 자체로 숭배하는 ‘실정종교(Positive Religion)’와 주관적인 심정 안에서 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주관종교(Subjektive Religion)’로 분열된다. 하지만 인간이 신의 표상들에 복종하는 ‘실정종교’는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맹목신앙’을 낳게 마련이며(신에 의한 인간의 억압), 신을 인간의 내면으로 동화하는 ‘주관종교’는 신을 인간의 자의에 따라 왜곡하는 ‘우상숭배’를 낳게 마련이다(인간에 의한 신의 왜곡). 이 두 가지 화해의 방식은 신과 인간 혹은 진리와 자유의 역설적인 공존 혹은 상호주관적인 긴장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신을 왜곡하거나(인간에 의한 신의 부정), 인간을 억압하는(신에 의한 인간의 부정) 일방적인 지배와 예속의 방식에 그칠 따름이다. 오늘날 종교철학이 현실 그리스도교계에 안겨진 온갖 왜곡과 억압이라는 타락상에 맞서 진정한 그리스도교의 이념을 성찰하고 또 그 이념을 복원하고자 문제 삼는 현실의 수많은 반종교적 종교현상들은 바로 이러한 주관종교의 ‘우상숭배’와 실정종교의 ‘맹목신앙’이라는 두 줄기에서 자라난 썩은 가지들이다. 맹목적인 신앙을 넘어, 의심과 물음을 거쳐, 성찰적인 신앙으로 거듭나는 것이 그리스도교의 참 신앙이라는 것을 가르치고자 세상의 박해를 무릅썼던 것이 인간 예수의 삶이자 그가 보여준 그리스도교의 참된 이념이라면, 그리고 그러한 예수의 삶을 ‘지금’ 그리고 ‘여기’라는 현재의 실존적 터전에서 늘 새롭게 복원하고자 하는 것이 그리스도교 종교철학의 학문적 사명이라면, 그 모든 종교적 부조리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맹목신앙’과 ‘우상숭배’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야말로 종교철학의 가장 본원적인 사유작업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논문의 주제는 ‘신-인 소외로 인한 억압으로부터의 상호해방(Mutual Liberation from the Oppression caused by Divine-Human Alienation)’이다. 여기서 ‘신-인 소외’란 신-인의 지성적 단절 이후의 종교문화, 즉 인간의 자기 절대화가 낳은 종교적 우상이 신의 본래성을 왜곡하고, 종교적 표상에 대한 맹목적 복종이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종교적 관계의 모순을 의미하며, ‘억압’이란 바로 그러한 종교적 관계의 모순이 유발하는 종교적 이념과 종교적 현실의 모순을 의미한다. 이는 신을 진리하게 하는 자유와 인간을 자유하게 하는 진리야말로 그리스도교의 진정한 이념이라는 이 논문의 결론적 선언에 따른 것으로, 그것이 곧 신과 인간의 ‘상호해방’을 위한 새로운 화해의 원리다. 그리고 바로 그러한 선언의 근거를 해명해 나가는 것이 이 논문의 철학적 과정이자 그 궁극적 목적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종교철학적 사유기획을 이끌 다양한 사상적 틀 가운데 헤겔의 철학, 그 중에서도 그의 사상 전체를 태동시키고 또 끊임없이 역동케 했던 화두로서의 ‘신-인 관계론’을 그 접근과 해결의 열쇠로 삼고자 한다. 신학이 곧 신에 관한 인간의 물음이라면, 그리고 그 물음의 원천이 인간 삶의 절박한 요청에서 비롯한 것이라면, 신학의 본질은 곧 신에 대한 인식이요, 신에 대한 인식의 본질은 곧 ‘신-인 관계’에 대한 인식임을 부인할 수 없다. 또한 신-인 관계에 관한 탐구가 종교철학에서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그것이 곧 종교의 이념과 신앙의 형태를 구분하는 결정적인 준거가 되기 때문이다. 요컨대 신-인의 이상적 관계를 절대적인 분리로 본다면, 신은 인간이 범접할 수 없는 미지의 초월자가 될 것이고, 인간은 그러한 초월자와 하나 될 수 없음에 그의 맹목적인 노예가 되는 것을 최고의 신앙으로 여길 것이며, 반대로 신-인의 이상적 관계를 절대적인 화해로 본다면, 신은 인간과 끊임없이 소통하는 사랑의 주체가 될 것이며, 인간은 신과의 영원한 화해 속에서 자유로운 신적 주체로 거듭나는 것을 최고의 신앙이자 신앙의 궁극목적으로 여길 것이다. 따라서 신-인 관계는 신앙의 형태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사안일 뿐만 아니라 종교의 형태를 결정하는 최종적인 준거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논문이 우리 시대의 종교비판과 신앙성찰을 위해 ‘헤겔(G. W. F. Hegel)’이라는 근대의 사상가를 이 시대의 절망 속에 새롭게 소환한 이유는 현재 우리가 가진 문제의식과 당시 그가 가졌던 문제의식이 이백 년이 넘는 긴 시간의 간격에도 불구하고 동질적인 근원을 갖는다는 데 있다. 그는 그 시대의 철학적 요청과 철학적 욕구의 근원을 신과 인간의 지성적 분리로 인한 저속한 세속성과 공허한 종교성의 대립과 모순 그리고 거기에서 싹튼 삶의 분열과 고통에서 찾는다. 그리고 그는 충만한 내용을 갖춘 학문적 형식을 통해 누구나 신과 지성적으로 화해할 수 있는 공교적인 체계구축을 자기 철학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이 논문은 그러한 종교문화의 배경에서 등장하고 자라난 그의 철학적 진리내용을 오늘날 우리시대의 반종교적 종교문화를 반성하고 성찰하는 사유의 척도로 삼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오늘날 우리 시대를 지배하는 신 인식불가론의 종교문화나 거기서 비롯하는 모든 독단적인 종교형태를 극복하는 대안적 사유의 가능성을 모색해 볼 것이다. 동시에 이 논문은 그의 전체 철학체계를 ‘신-인 관계’라는 틀로 재구성하고 재해석함으로써 그의 사상에 깃든 갖가지 오해들로부터 그를 변론하고, 그 안에서 이제껏 숨겨져 왔던 그의 급진적인 사상의 진면목을 들춤으로써, 그의 사상이 오늘날 우리의 종교철학적 사유에 주는 신선한 통찰들을 다각적으로 발굴해 보고자 한다.

      • 질병의 경중도에 따른 해외 의료관광 국가 선호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중국의 잠재 의료관광 소비자를 대상으로

        정진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0년대 초반, 갑작스럽게 불어온 웰빙(Well-being) 열풍으로 인해 개인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의 조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국내 국민수명 100세 시대를 앞둠에 따라 건강한 삶이 곧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 되었고 국민의 건강 추구 의식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의료서비스의 발전과 개인의 건강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면서 건강과 관광이 결합된 형태의 의료관광(Medical Tourism or Health care Tourism)이 새로운 분야로 급부상 하였고, 21세기 고부가 가치 관광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질병의 경중도(암, 당뇨, 성형, 피부)에 따라 해외의료관광 국가(미국, 일본, 한국, 싱가포르, 태국)별로 국가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국가 이미지, 의료서비스 품질, 관광 편익)을 파악하기 위해 해외관광 경험이 있고 추후 해외 의료관광을 떠날 의도가 있는 중국의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진행하였다. 총 2686명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최종 분석은 IBM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의료관광객이 치료와 회복을 위해 의료관광을 떠날 경우, 방문국가로부터 느끼는 국가 이미지와 기대되는 의료서비스 품질, 관광편익이 국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각 국가별로 어떤 질병치료를 위해 의료관광 목적지로 선호되는지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의 차이를 보기 위해 암 질환을 기준으로 당뇨, 성형수술, 피부미용을 더미(dummy)처리하여 영향변수로 활용하였다. 또한 각 질병별로 상대적으로 어떤 국가가 의료관광 목적지로써 더 선호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미국을 기준으로 각 국가를 더미(dummy)처리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질병의 경중도별로 해외의료관광 이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해외의료관광 상품의 설계 및 추천에 활용하고 국내 의료관광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In the early 2000s, by the fashion of so-called well-being, the interest of individu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has been improved and people have sought health enhance for life expectancy up to the hundred-year . In particular , by dramatically increasing the expectation of medical service and fitness , the industry of medical tourism which is combined with health and tourism has been developed and it is still growing as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of 21'st . Accordingly, a survey has been conducted by potential chinese customers who experienced medical tourism or intended in order to figure out how the factors are different such as country-image , benefit sought , medical service quality among countries of the USA, Japan , Korean, Singapore , Thailand and also it's been classified as disease intensity divided into cancer , diabetes, plastic surgery , skin care . In total , 2686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result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IBM SPSS 21.0 and analysis of frequency ,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were used as well. Furthermore , the multiple-regression analysis has been done to find out what factors each country has like medical service quality, benefit sought are preferred and different when medical tourists go abroad for treatments. So as to get the relative differences of preferred destinations for medical tourism, Diabetes, plastic surgery, skin care are used as Dummy for the influence variable by the standard of cancers. Eventually, The goal in accordance with disease intensity is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considering important factors of medical tourism and to use for marketing of customized medical tourism products.

      • 이용자 참여를 통한 어린이공원 재생

        정진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린이공원은 어린이의 신체적 활동과 정서함양을 목적으로 설치된 공원으로 도시 내의 어린이뿐만 아니라 지역의 다양한 구성원이 이용하며, 규모는 작지만 주민 교류를 위한 매개 공간과 소생활권 녹지공간을 커뮤니티 오픈스페이스의 기능을 하고 있다. 최근까지도 어린이공원은 대규모 택지개발지구와 같은 도시계획에 의해 발생하는 부수적 도시시설로 인식되었고, 조성방식에서도 공급자와 수요자의 관계에서 일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원의 이용자에 대한 이용행태와 의견은 배제된 편이었으며, 설계 기준 및 관리 체계에 대한 기준도 미흡한 실정이었다. 조성 이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린이공원의 시설물의 노후화로 인한 안전사고와 왜곡된 이용 행태 발생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면서 어린이공원의 조성과 관리를 새롭게 보아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어린이공원의 조성방법에 있어서 대안적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기성 시가지 내의 노후화된 어린이공원 재조성에 있어 이용자 참여형 설계방법을 적용하여, 이에 대한 방향성 모색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문흥동에 소재한 ‘문산 어린이공원’을 대상지로 하는 한국토지공사의 “친환경 놀이터 리모델링” 사업과 연계하여 대상지 인근에 있는 문산초등학교 6학년 7반 학생들을 참가자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원의 재조성 계획안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하여 문산 어린이공원의 현황, 이용행태와 어린이공원에 대한 인근 주민의 인식을 조사하여, 어린이공원의 주 이용자가 8-12세 사이의 초등학생의 이용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다음으로 미취학 아동, 성인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용자의 구성을 재조성 계획안에 충분히 반영하였다. 이용자 참여프로그램에서는 참가자가 어린이공원의 잠재력과 문제점을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놀이공간 디자인을 통하여 공원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었다. 또한, 최종 발표단계에서 어린이들이 공원을 설계하여 모형으로 만들어냈다는 점을 통하여 자신감을 얻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결론으로 요약할 수 있다. 1. 어린이 이용자 참여를 통한 프로그램의 결과, 참가자들이 놀이에 대한 개념과 어린이공원의 기능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대상지가 가지는 자원의 가치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었다. 2. 어린이들은 기존의 한정된 놀이 활동만을 제공하는 놀이시설보다는 더욱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놀이활동을 할 수 있는 놀이시설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놀이시설물의 제작과 설치에서 이러한 어린이들의 선호도를 분석과 반영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어린이공원에 대한 인근주민들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존재하였고, 이러한 갈등들이 어린이공원에 대한 왜곡된 인식에서 기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협의과정이나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참여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 children's park is for physical activities and cultivating emotion of children, and not only neighborhood's children but also lot of people in community are using. Although area of park is restricted, children's park play a role of intermediating place for acquaintance and community garden of open space. Up to recently children's park has been perceived as an inevitable facility in town planning and made only by suppliers and planners in a top-down way, mainly supplied by developing large-scale residential sites. Usually user trends and opinions were excluded, futhermore standards of the design and management system was not sufficient at those process. As time passes, problems about safety concerns due to faculties' deterioration and user trends caused by wrong understandings are happening. This study recognized that existing children's parks needed new alternative in the way of developing and applied user-participation design method as a substitute measure to those to redevelop and focused on finding solutions. I have studied with "Eco-friendly playground remodeling" which is based on Munsan Children's park in Munhueng Dong, Gwangju by the korea land corporation. So I chose the students of 6grade 7th class in Munsan primary school near Munsan Children's park, then started the study. First, surveyed the present status, user trends and understandings of neighboring residents to gather basic data for deriving redevelopment plan. According to the surve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8 to 12had the highest frequency of visiting and using then preschool children and adults. I found it from user-participation program that participants understood the potentials and problems of children's park well and their interest was drew through playground design. Also children could get confidence that they designed park by themselves and made modelling at the last present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children's participation, participants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play, the function of children's park and values and importance of resources in the site. 2. Children preferred faculties which can play complexly and actively to faculties which only can provide limited activities. So we can know that need to reflect and analyze the preference of these children when we produce and set faculties. 3. There were complex interests between nearby inhabitants' and were caused by distorted understanding. With this, we could find that need the process of reaching an agreement or participation program for residents.

      • 정보기술 활용 성과 분석 : 제약회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진우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By examining the case of B Pharmaceuticat Company which has adopted information 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ose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which are either willing or not to use it with some data for decisionmaking.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is age of information com be realized when an enterprise needs to impove its management system, affairn managerial information, and deal with effectively such changeds as the rise of personnel and transportation expenses and the shift of managerial surroundings. When the enterprise becomes information-minded, there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des. Positive aspects include direct effects, including business efficiency, productivity rise, rational business, and the improveme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aftersales service, and indirect effects, such as the bettered way of thinking, natural PR activities, standardization and managerial reform On the other hand, there might be some negative aspects: the problem of employment following the progress of OA, gaps among the enterprises, the promotion of monoploy, the phenomenon of human alienation, the loss of ethics, the security system of computers, and the protection of privacy. Here, the researcher made use of the concept of business reengineering used by Michael Hammer, implying the "managerial renovation by way of information technology." Its characteristics are basic, elementary, epochmaking, and process-centered. Accordingly, two companies (B and H) were chosen for an analysis In five respects: 1) what problems in the management system caused new information technology 2) how much improvement was made in business efficiency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3) whether negative effects followed 4) whether the viewpoint of business reengineering could be found in the course of adopting information technology 5) whether new technology was the prinicipal reason for the different business achievements of the two companie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Even though some positive effects stopd out, negative ones were hard to see, partly because of the short interval after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matter of business reegineering is not clear as the whole business merely turned computer-oriented. Thus, in the case of B Pharmaceutical Company, more radical and fundamental business reengineering efforts are required. Lashy, B's better sales record was mostly attributable to the efficient business style of using notebook computers.

      • 사물에 나타난 키치의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에 관한 연구 : - 마르틴 하이데거를 중심으로 -

        정진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는 우리 삶에서 말로 명확하게 표현하고 그것의 개념을 이야기할 수 있는 것과 말이나 그림으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을 만난다. 말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들은 우리가 눈으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것이며, 표상할 수 있는 사물, 형이상학적 개념, 학문 등이 여기에 속한다. 하지만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은 명확하게 실체를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논증할 수 없는 것들, 예를 들어 인간의 마음 및 감정과 관련된 것들이 여기에 속한다. 전자에 해당하는 명증적인 것들은 우리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후자에 해당하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워 개념을 쉽게 잡을 수 없는 요소들 또한 우리 인간의 삶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더불어, 후자에 해당하는 비명증적인 것들은 디자인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가 설명하기 어려운 것일지라도 그것을 마음으로 느끼면서 우리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 중에서 사회문화적 현상인 키치라는 것이 있다. 이러한 키치 현상도 그것의 본질을 밝히기 위한 많은 노력과 수고가 수십 년간 지속되었으나 그 본질은커녕 인간과의 기본적인 관계조차 해명되지 않은 채 많은 의견들만 난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키치 연구에 동원된 연구방법들이 모두 눈에 보이는 것을 표상하는 형이상학적 방법론과 개념의 인과성에 의존하는 논리학적 방법론에만 의존하고 있어서 현상 속에 숨어 있는 키치의 본질을 도저히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키치 같은 현상들, 즉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연구방법들을 활용해 볼 수 있겠으나 이들 가운데에서도 시초를 찾다보면 하이데거에 의해 연구된 현상학과 해석학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이데거의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학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키치 현상을 해석하여 그것의 본질과 인간의 관계성을 해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2장에서는 문헌을 조사함으로 키치 현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여기서는 첫째, 키치의 정의 및 그것의 사회·문화적 의미에 대한 학문적 해명을 살피고, 그 해명에 대한 문제점과 그 문제의 원인을 조사하였다. 둘째, 조사되어진 키치의 학문적 해명에 대한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하여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학이 키치를 해명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3장과 4장에서는 하이데거가 집필한 문헌을 조사함으로써 존재 해석에 대한 결과인 존재 구조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1) 존재 구조를 밝히는 해석학적 방법론을 탐구하고, 2) 해석학으로 해명된 존재 구조의 의미를 현존재, 사유, 사물, 기술에 대한 해석에만 적용하는 식으로 조사 범위를 국한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5장은 본 연구의 결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학을 통해 현존재와 사물의 존재 구조를 밝히고 그것의 연관성을 추적하여 키치의 존재구조를 밝혔다. 여기에서 키치의 의미는 ‘염려 없는-봄을 원함’, ‘염려 없는-봄’ 그리고 ‘무시간성’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키치의 해석은 키치가 인간의 실존인 염려를 외로움 또는 권태로 회피하게 하여 본래적 실존양식으로 살아가는 것을 방해한다는 부정적 의미를 갖는다. 또한 실제 현상이 존재론적 구조로 밝혀지는 과정을 제시하기 위해 ‘끙개’와 ‘키치 사물로서의 만년필’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6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디자인적 의의와 한계 및 차후 연구를 위한 연구의 조건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해석의 방법과 키치의 해석이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인간과 세상의 관계를 주객의 관계로 보지 않는 하이데거의 이론은 객체로 디자인 대상을 다루던 기존 디자인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대안을 제공하는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다. 둘째, 실존에 중심을 둔 하이데거의 이론은 디자인의 가장 근본적 목적인 사물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를 체계화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와 사물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최근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문제시되고 있는 주민참여를 통한 환경디자인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방법에 근접할 수 있다. 셋째로 인간의 실존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최근 확장된 디자인 영역인 서비스디자인과 범죄예방디자인과 같은 주민 또는 사용자의 참여가 필요한 사업에서 디자이너들이 그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하고 협조를 얻어 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넷째로 본 연구에서 수행한 버네큘러(vernacular) 사물을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들이 현대의 디자인에 적절하게 적용된다면 현대 디자인을 뛰어넘을 수 있는,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 다섯째로 본 연구에서는 키치 현상을 인간의 실존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키치 사물을 생산해내는 디자이너들은 실존적인 생활을 위한 사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보다 윤리적인 통찰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는 키치의 명확한 규정이 있어야만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학은 실증적 목적의 학문이 아니기 때문에 객관성을 담보하려면 많은 학자들의 이론과 비교되고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하이데거의 이론만 해도 상당히 방대하고 난해하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물리적 한계로 인해 하이데거의 이론으로만 키치 현상을 해석하였다. 현상의 본질을 보다 본질적으로 밝힐 수 있는 차후의 연구를 위해서는 다양한 해석학자와 현상학자의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고 현상학적-실존론의 효과적인 실제적 적용을 위해서 많은 이론가와 디자이너들의 관심과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환경변화에 대응한 환경개선부담금제도 개선방안에 관란 연구 : 환경개선부담금을 중심으로

        정진우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세계 각국은 1997년 교토의정서, 리오지구 환경선언과 의제 21, 코펜하겐의 기후변화협약 등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관련 문제의 해결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하는 G8 및 APEC 정상회담에서는 온실가스 감축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각국이 일정 수준에 맞게 추진계획을 세우도록 요구하고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기후협약 등 환경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또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이행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친환경 구현의 환경오염 물질억제를 위해서는 국가의 역할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도 중요하다. 지방자치 활성화로 직접적인 지도&#65381;감독 권한이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 단체로 이양되고 있는 현 상황 하에서 환경오염 억제 등에 대한 지방자치 단체의 역할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특히 대기, 수질, 토양 등의 환경오염은 발생지역의 피해가 가장 크기 때문에 신속한 대응이 매우 중요하므로 지방자치 단체의 역할이 클 수밖에 없다. 그러나 환경오염 억제를 위한 경제적 수단인 부담금 및 조세는 대부분이 국가에 귀속되어 있어 지방자치 단체가 환경관련 사업을 집행하는데 필요한 재원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자치단체가 권한과 책임을 갖고 있는 환경개선부과금은 수도법 및 상하수도법에 근거한 원인자 부담금, 종말처리시설 부담금, 쓰레기유발 부담금, 지하수이용 부담금 정도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환경투자 계획 및 재원조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 단체의 안정적인 자체재원 확보가 필요하다. 환경개선부담금은 중앙 부처인 환경부 소속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지치단체에서 위임받아 부과&#65381;징수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상 여러가지 문제점 도출과 다음과 같은 점에서 지방세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첫째, 환경개선부담금은 유통&#65381;소비 과정에서 환경오염 물질이 다량으로 배출됨으로 인하여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건물, 기타 시설물의 소유자(점유자)와 경유자동차 소유자에게 부과하는데, 기본적으로 해당 지역의 환경오염 피해가 가장 크다. 둘째, 환경개선부담금은 취지도입 및 부담금 형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지만 특히 부과 및 징수에 대한 관리가 매우 미흡하여 징수율은 낮고, 체납율은 높다. 반면 지방세의 징수율은 매우 높고 체납 율은 낮다. 따라서 환경개선부담금을 지방세로 전환하여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게 되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게 되어 징수율 등이 제고 될 것이다. 징수율이 부진한 근본적인 원인은 환경개선부담금이 국가 사무로 되어있기 때문에 위임받아 집행하는 지방자치단체 담당자는 환경개선부담금 이외에 다른 고유 업무도 동시에 겸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환경개선부담금의 징수 교부금이 10%로 되어 있는데, 이 비용은 부과 및 징수 업무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행정 비용으로도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비현실적인 징수 교부금 구조는 본인-대리인(Princial-agent Problem)을 야기 시키게 되어, 중앙 정부주도 환경 정책의 효과를 반감시키게 된다. 또한 환경부의 22개의 환경관련부담금중 지역성과 세수 충분성의 두 단계 작업을 거쳐 환경개선부담금을 선정하여 지방세로의 전환의 필요성도 연구 하였다. 즉 첫 번째 단계의 지역성은 환경개선부담금의 산출 방식에 지역성을 의미하는 지역 계수가 포함되어 있는 부담금이고, 두 번째 단계의 지방세수 충분성은 지방세로 전환될 때 어느 정도 세수 확충 효과가 있는 부담금을 의미한다. 환경개선부담금을 지방세로 전환할 때 기존 세목의 과세 대상으로 확대시킬 것인지 또는 새로운 세목으로 신설할 것인지 등도 연구 검토하였다. 지방세는 2011년부터 새로운 지방세 체계로 개편되어 지방세목이 11개로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1년부터 개편된 지방세 체계내에서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자원시설세를 선정하였다. 또한 세목의 선정과 더불어 과세대상, 과세표준 등도 검토하였으며, 환경개선부담금의 일부가 지방세로 전환될 경우 이에 대한 대략적인 세수파급 효과도 추정하였다. 환경개선부담금 제도의 제도 도입 배경 및 운영상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각 문제점 도출을 통하여 기존 제도의 효율적인 제도개선에 대한 연구방안과 새로운 제도의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탄소세의 도입 및 환경개선부담금 제도의 지방세 전환에 대한 연구도 포함하여 제시를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