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커플드 라인을 이용한 다중 대역 적층형 미앤더라인 안테나 설계

        정진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적층형으로 구성된 미앤더 선로 안테나에 방사소자와 연결되어 있는 커플드 라인을 삽입함으로 DCS(Digital Cordless System),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 위성 DMB(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의 이중 대역 동작을 유도한 안테나의 설계 및 제작에 관한 논문이다. 제안한 안테나는 상대 유전율 =4.2, 유전체 손실 =0.02, 유전체 높이 =0.4mm 인 FR-4 기판을 2층으로 적층하여 구성하였으며 각 층의 방사체를 연결하기 위해 높이 =0.8mm, 직경 =0.35mm 인 비아(via)를 이용하였다. 적층형 구조는 안테나의 소형화를 유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플드 라인과의 커플링 효과를 최대화 하는 구조로 이중 대역 동작을 쉽게 유도 할 수 있다.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간 비는 방사체에 연결된 커플드 라인의 구조 변수에 의해서 변하게 된다. 제작된 안테나의 전체 크기는 15.2×7×0.8㎣ 이다. 측정된 대역폭 (VSWR<2)은 DCS, PCS 대역에서 244MHz 이고 위성 DMB 대역에서 120MHz 이고, 방사 패턴은 전방향성 특성을 갖는다. 각 동작 대역에서 최대 이득은 5.0 과 2.31 dBi 이다.

      • 건물형태와 기후인자에 따른 실온변화분석에 관한 연구

        정진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에너지 경제상황과 더불어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 등 지구환경문제의 심각성이 인류의 최대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고 국제적인 환경규제 및 감독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자원 및 에너지 소비량의 40%를 차지하는 건물 부문의 경우 온실 가스 배출 감소를 위해 건물에너지 절약을 위한 대책 및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며 이에 따라 세계 각 국에서는 건물에서의 친환경적이며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를 위해 적극적이며 구체적인 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이다. 국내의 연간 총 에너지 소비량 중 1/4를 차지하는 건물 부문에서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대응책이 절실하게 요구되며, 이는 국가 에너지 수입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UN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건물의 냉· 난방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실온은 외기온도, 일사량, 바람, 습도, 면적, 환기량, 내부 발열과 같은 여러 가지 인자를 고려하여 산정된다. 그러나 계획단계에서의 냉·난방 설비 용량 산정에 있어 기존 건물의 사례를 답습하고, 그에 대한 명확한 입증을 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이 빈약한 것이 사실이다. 이 때문에 정확한 부하량 산정이 힘들기 때문에 과대 설비 용량이라는 결과를 불러오게 되며 에너지 절감과 건물 계획 단계에서의 효율적 설계를 위하여 정확한 자연실온 예측을 통한 부하 산정방식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물 자연실온과 냉․난방부하 분석을 통하여 적정 설비 용량 산출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표준기상데이터의 시간별 전일사량 수직면 일사량으로 변환한 연간 평균 전일사량은 384.80W/㎡이며 난방기 339.22W/㎡, 냉방기404.63W/㎡로 계산되었다. (2) 연간 평균 상당외기온도는 12.08℃였으며, 벽체별 상당외기온도는 기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난방기의 평균 외기온도는 -0.49℃이며 남측벽의 온도가 가장 높았으며 냉방기는 평균 23.82℃였으며 지붕의 온도가 가장 높았다. 모든 기간에서 북측의 온도가 가장 낮았으며 벽체별 평균 온도보다 약 1.5℃ 낮게 형성되었으며 이는 각 면이 받는 일사량의 패턴과 일치한다. (3) 각 벽체의 부하량은 최대 11%의 차이를 보이며 기존의 일률적인 방위계수 적용으로 인하여 설비용량이 과대하게 산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기존의 안전율 개념의 부하계산은 불합리하다고 사료된다. (4) 타당성 검토를 위한 선행연구의 실측치와의 비교결과 해당 기간동안 평균 0.24℃ 정도로 나타났고 온도변화의 거동이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창의 크기가 5%씩 증가함에 따라 건물의 자연실온은 약 0.89℃(난방기), 1.12℃(냉방기)의 상승을 보였다. (6) 체적이 동일한 건물의 장단변비 변화에 따른 자연실온은 난방기 0.69℃, 냉방기 3.57℃의 차이를 보였다. (7) 건물의 냉·난방 부하는 기간에 따라 그 패턴이 상이하였으며 창 면적 변화에 따라 약 2.5~4%(난방기), 22~60%(냉방기)의 변화를 보였다. (8) 건물의 난방부하는 장단변비의 변화에 최대 2.3%의 차이를 가졌으나 냉방부하는 최대 81%의 차이를 보였으며 난방기에는 남측벽체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며 냉방기에는 각 변의 길이가 동일할 경우 가장 적합하다.

      • 다중 출력 Flyback Converter의 Cross-Regulation 특성 분석

        정진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oal of this paper, multi-output flyback converter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Cross-Regulation. In this Paper, leakage inductance in the transformer impact on cross-regulation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effect of leakage inductance, leakage inductance, each must be measured accurately. In this paper has proposed All Short Leakage Inductance measures.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through simulations and experiments. 주변에 이용되는 많은 전기 기기들은 하나의 기기에서 여러 개의 전압소스를 필요로 한다. 회로 각 부분에서 사용되는 전압은 18V, 12V, 5V, 100V이상 등 여러 종류의 전압을 이용해 기기를 동작 시킨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여러 종류의 다중 출력 컨버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100W미만의 전력을 소비하는 경우 플라이백 컨버터가 주로 사용된다. 최근 많이 사용되는 LCD TV나 휴대전화 충전기 등 많은 기기들에서 다중 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를 이용하고 있다. 플라이백 컨버터는 구성하는 소자의 수가 적어 제작하기 간편하며 소자 수가 적어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변압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전달하므로 권선의 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다중 출력 전압을 구현하기 쉬워 최근 많이 이용되는 100W급 전기기기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하지만 플라이백 컨버터는 스위치가 off될 때 높은 전압 스트레스가 발생하며 하나의 변압기를 통해 다중 출력을 구성하므로 각 권선의 누설 인덕턴스로 인해 출력 전압의 부하가 크게 변동될 경우 변압기 내의 상호 간섭으로 인해 출력전압의 변동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변압기를 이용해 플라이백 컨버터를 다중 출력으로 구성할 경우 변압기 내 누설 인덕턴스로 인해 발생하는 상호 간섭으로 출력 전압 변동이 일어날 경우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세 권선 변압기를 T등가모델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T등가모델을 이용하여 각 출력단의 평균전류를 유도하고, 유도된 전류를 이용하여 V1가 V2의 전압 차(ΔV)를 확인하였다. 유도된 전압차를 이용해 누설 인덕턴스가 출력전압에 미치는 영향을 수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된 출력 전압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 하였다.

      • 시변성 높은 수중다중채널에 적응적인 MIMO통신기법 연구

        정진우 崇實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시변성 높은 수중다중채널에서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기법과 STBC(Space Time Block Coding) 기법을 결합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시스템을 제안한다. 천해에서 수중통신의 성능은 해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하는 잔향음과 복잡한 다중경로의 영향을 받아 저하된다. 이러한 해양채널의 시변성을 감안하여 수중 다중경로 통신 채널에서 다중 센서 통신 시스템의 공간 다이버시티 (Spatial Diversity)방식인 STBC 기법과 AMC 기법을 적용하였다. STBC 와 AMC기법을 결합한 MIMO (2Tx-2Rx) 시스템의 BER (Bit error rate)이 SISO (Single Input Single Output) 시스템의 BER 값보다 12dB 성능향상이 됨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이 SISO 시스템에 AMC기법을 적용한 것보다는 11dB 성능향상이 되었다. We propose the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system which is combined STBC(Space Time Block Coding)and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in the time-varying underwater multipath channel. Performance of the UAC(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in shallow water is degraded by complicated multipath and reverberation. For this reason, and considering the variability of the ocean channel, we combined STBC and AMC techniques, which are the spatial diversity in a multi-sensor communication system. BER(Bit error rate) of combined STBC (2Tx-2Rx) and AMC is improved by 12dB when we compare with the BER of a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proposed system shows a 11dB improvement when we compare it with the BER of the SISO system applying the AMC technique only.

      • 성인환자에서의 Ross술기의 장기 결과

        정진우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Ross 술식은 조기 결과는 소아나 성인에서 모두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중기 혹은 장기 결과는 자가 판막과 동종 판막 양쪽의 시간에 따른 변화로 논쟁이 되고 있는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oss 술식의 장기 성적을 대동맥 판막과 폐동맥 동종 판막의 심초음파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여 이 술식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Ross술식을 시행 받은 2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진단은 대동맥 판막 폐쇄 부전증이 20명, 대동맥 판막 협착증이 1명, 두 개를 같이 동반한 경우가 3명이었다. 근부 치환술 이 15예, inclusion technique이 9예에서 시행되었다. 결과: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62.4±38.8개월이었다. 대동맥 판막에 대한 재수술은 없었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이 1명, 만기 사망이 2명 있었다. 수술 후 출혈로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2명, 저심박출증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4명 있었다. 자가 폐동맥 판막의 판막륜의 평균 크기는 26.3±1.4 mm 였으며 2명의 환자에서grade III, 2명의 환자에서 grade II, 9명의 환자에서 grade I의 대동맥 판막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으나 증상은 없었다. 중등도의 동종 폐동맥 판막 협착증을 보인 경우가 3명, 경도의 동종 폐동맥 판막 협착증이 보인 경우가 3명이었다. 수술 직후 측정한 폐동맥 동종 판막간 최대 압력차는 10.9±7.5 mmHg에서 마지막 심초음파 검사상 23.6±11.2 mmHg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001). 결론: Ross 술기는 안전하고 혈역학적으로 우수하고 적응증이 되는 경우 대동맥 판막륜 성형술을 시행 하여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대동맥 판막 폐쇄 부전증으로 인한 재수술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기 추적관찰 결과 폐동맥 동종 판막 협착증 및 폐쇄 부전증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나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NTRODUCTION: The early results of the Ross procedure is generally acceptable by low mortality and morbidity. However intermediate- to long-term follow-up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time-related modifications occurring both at the pulmonary autograft and at the homograft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long-term results of the Ross procedure based upon echocardiographic results. MATERIAL & METHOD: Between January 1999 and June 2007, 24 patients underwent the Ross procedure with root replacement in 15 and inclusion technique in 9 and retrospective review was done. Their pre-operative diagnosis were aortic regurgitation in 20, aortic stenosis in 1 and both aortic regurgitation and aortic stenosis in 3. RESULTS: Mean follow-up duration was 62.4±38.8 months. No reoperation for aortic regurgitation. There was one early mortality and were two late mortality. Reoperation was required in two patients for bleeding. Low cardiac output syndrome was observed in four. Mean annulus size of pulmonay autograft was 26.3±1.4 mm. There were grade III aortic regurgitation in two, grade II aortic regurgitation in two and grade I aortic regurgitation in nine, but they didn’t complain any symptoms. Six homografts were stenotic at last follow-up(moderate in three, mild in three). Pressure across the pulmonary homograft was increased significantly(p<0.001) from 10.9±7.5 mmHg(soon after the post-operation) to 23.6±11.2 mmHg(Last follow-up). CONCUSION: The Ross Procedure from this study showed favorable clinical and hemodynamic long-term results. If it is indicated for annular reduction, annular reduction should be performed for preventing aortic regurgitation and avoiding reoperation postoperatively. Although long-term results of homograft were favorable, persistent follow-up will need.

      • UHF 대역 반사형 Chipless 태그 구조 및 설계 연구

        정진우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근래 국내외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산업분야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는 chipless 태그기술을 다룬다. 제안된 chipless 태그는 HQR(High-Q Resonator: 고성능 Q 공진기)을 다이폴안테나에 접목시킨 형태로서, 리더로부터 송출되는 여러 주파수들을 HQR의 동작주파수 영역에서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ID를 구분할 수 있다. HQR은 chipless 태그의 우수한 협대역 주파수 선택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발판이 되며, 궁극적으로 리더의 동작주파수 대역(870-940MHz) 내에서 송신될 수 있는 다수의 진행파 신호(리더 출력)를 선별할 수 있다. 이는, HQR을 접목시킨 chipless 태그모델의 종류를 늘일 수 있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기본적인 동작 예는 다음과 같다. 리더로부터 주기적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그룹(f1,f2)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리더와 통신하는 chipless 태그는 주파수 f1에서 최소의 반사계수 레벨을 제공하도록 설계 되었다고 가정하면, 해당 주파수(f1) 외 주파수신호(f2)는 전반사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리더가 수신하는 주파수 영역 중 주파수f1의 신호레벨은 주파수 f2에 비하여 낮다. 따라서 리더 수신부에서는 선택적으로 반사된 진행파 성분 (고주파 영역)을 복조시켜 이진신호로 변환하고, 이는 chipless태그의 고유 특성으로 여겨질 수 있다. 제안된 chipless 태그는 고주파 영역에서 동작하므로 그 포장 재질이 종이 박스와 같이 주파수성분이 투과 가능한 재질이라면, 포장을 제거할 필요가 없이 바로 사물의 존재여부를 리더가 판독할 수 있다. 또한, 태그 chip과 연관된 문제점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chip 불량률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대량 생산 체계에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A passive RFID tag can be composed of an antenna and chip. The chip must be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strap or the substrate (e.g., plastic or paper); for this electrical connection, wire bonding or flip-chip technique is used. Financially, either flip-chip or wire bonding technique in tag manufacturing process is no small matter: the labor (e.g., package and test costs) and wasted materials (e.g., chip failure). Besides, the tag chip itself cannot guarantee the unlimited data retention. RFID that uses chipless tag does not need to concern the chip problem; therefore, it leads a lower cost than traditional tags. By time, many chipless tag applications have been presented. Unlike the others, the proposed chipless tag is based on the power reflection method [8]. In case of a typical passive RFID tag, the reflection between the antenna and chip should be as low as possible; however, in point of the proposed chipless tag design, the power reflection should be viewed differently: two tones of continuous wave (CW) signals are transmitted from the reader at same level, one reader CW signal should be reflected in reduced level while another CW signal is totally reflected (i.e. almost as same level as it was). This is regarded as a frequency-selective reflection; the sharper frequency selectivity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tag’s variety. In this sense, the proposed chipless tag design procedure was focused on the high-Q performance in small size resonator, and this is shown in next section. For cla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hipless tag, the measurement using a network analyzer was carried out: in case where the reader antenna only, reader antenna neighbor the chipless tag, respectively.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proposed chipless tag can be successfully interrogated by the reader within 5cm; the reader design was motivated.

      • 프랑스料理와 이태리料理에 關한 硏究

        정진우 경기대학교 경영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hotel industry is growing more and more with increasing income and free time, departments of Rooms and F & B in hotels are getting more crucial. Especially F & B department in hotel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marking 39.9% of total revenue. It is certain that F & B will be more crucial. The printed menu is an extremely important marketing tool in order to increase profits. A well-designed and well-produced menu can afford to promote efficiencies in the kitchen, to get practical service system, to save the time and to provide customers with good food. A well-designed menu can also draw to reduce expenditure on wage and food stuff. The menu should be designed as follows. 1. The menu should provide customers with fresh foods with reasonable prices based on every season. 2. The menu planner should develop children's menu and women's menu. 3. The low calorie menu items should be designed. French foods include butter cream too much so that they are likely to bring about corpulence and adult disease. 4. The menu marketer should change slow stuff. 5. The size of menu should be considered. To obtain sufficient service area in Italian and French restaurants that need professional services is the size of menu very important. 6. Most Italian and French restaurants should develop new items that can be served on extra time except peak time in restaurants such as 12:00 to 15:00 or 18:00 to 23:00. 7. Menu prices should be advisable. In case of Italian and French restaurants, they mostly depend on certain time. That is why they need to use high price strategy. 8. The new menu items should be developed in Italian and French restaurants focused on korean customers as well as foreign customers. Because it is a good opportunity to meet different food culture.

      • 프로세스 마이닝의 국내 중소기업 ERP 적용에 관한 연구 : 이벤트 로그 기록과 전처리, 프로세스 분석 방안을 중심으로

        정진우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연결과 통합을 지원하고, 업무수행으로 발생하는 방대한 이벤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최근에 수행된 많은 연구는 ERP에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이해와 개선을 지원하는 프로세스 마이닝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흐름은 SAP ERP나 오라클 ERP와 같은 외산 ERP를 도입한 대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과 개선에 한정되어 있다. 대기업이 도입한 외산 ERP에 비해 국내 중소기업 ERP는 개별 업무단계의 수행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의 기록과 관리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마이닝을 국내 중소기업 ERP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힘든 과제이다. 이러한 지식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학위논문은 국내 중소기업 ERP의 데이터 기록 방식을 개선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전처리하며 핵심 ERP 프로세스를 분석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안은 국내 화장품 제조 기업의 사례를 통해 검증될 것이며 사례에서 배운 교훈이 토론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 ERP를 도입한 기업은 저렴한 비용으로 현재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개선하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부는 중소기업 IT화 지원 사업에 투입된 막대한 지원금이 진정한 성과를 내고 있는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upports the linkage and integration of business processes, and stores voluminous event data related to its transactions. Recently, a variety of studies are paying attention to process mining that enables to understand and improve business process by analyzing the data. However, this research stream is only limited to large companies that adopted foreign ERP such as SAP ERP and Oracle ERP. Compared with foreign ERP, domestic ERP, generally developed for small businesses, is not good at logging and managing event data. Therefore, it is a very big challenge to apply process mining to domestic ERP. To fill this knowledge void, the study aims to improve a domestic ERP system’s logging, to preprocess the logged data, and to suggest how to analyze its key process. The suggested method will be validated through the case study of a domestic cosmetics company and the lessons learned will be discussed.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businesses that adopt domestic ERP by proposing how to analyze and improve their business process at low costs. Furthermore, the Korean government is likely to have objective evidence that its large investment in the ERP implementation at the business is yielding good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