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감마선 후방산란법을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두께별 밀도측정법 연구

        정진영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내 도로공사현장에서 아스팔트 타설 후 도로의 밀도 관리는 고전압을 이용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과 아스팔트 공시체를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수분에 의한 오차율의 증대 또는 시공 도로의 파괴 등의 단점들로 인하여 새로운 밀도 측정 방법이 필요하다. 해외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여 방사선의 물질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밀도 측정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수 mCi에서 수십 mCi 의 높은 방사능을 사용함으로서 국내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몬테칼로 방법론을 사용한 MCN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측장비의 설계에 있어 중요한 변수인 선원, 계측기의 거리 및 위치선정에 대해 계산하였으며, 층별 밀도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시공이 완료된 도로를 비파괴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방사선의 투과 방법이 아닌 후방산란방법을 선택하여 기본 개념 설계를 하였다. 방사성동위원소는 ^(60)Co선원을 선택하였다. ^(60)Co 선원은 한번 붕괴시 1.17 MeV와 1.33 MeV의 감마선이 1:1 비율로 방사된다. 이는 다른 선원과 비교하여 감마선이 아스팔트와 반응을 일으키는 양이 더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측에 사용되는 계측기는 2"×2" NaI(Tl) 섬광계측기를 사용하였으며, 선원으로부터 직접 들어오는 방사선을 막기 위해 납 차폐체를 사용하였다. MCNP 계산 결과 납차폐체의 두께는 10 cm, 선원과 차폐체의 거리는 18 cm, 차폐체와 계측기의 거리는 2.5 cm 일 경우에 최대의 계측구조를 가지게 된다. 목적한 상층의 깊이에 따라 하층의 아스팔트 밀도에 독립적으로 상층의 밀도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으로 콜리메이터를 설계하였다. 4 cm의 표층을 측정하기 위해서 기본 계측장비 구조 내에서 콜리메이터 각도를 21.80°를 주었다. 아스팔트의 밀도를 2.0 g/㎤에서 3.0 g/㎤ 까지 0.2 g/㎤ 간격으로 계산하였을 경우 콜리메이터 설계시 하층의 밀도에 독립적으로 상층의 밀도를 구분할 수 있음을 통계학적 반복수행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MCNP 코드를 통해 계산된 계측값은 이상적인 조건에서의 계산값으로 향후 측정 실험을 통한 여러 변수들을 고려해야 한다. 방사성동위원소의 물리적 반감기 및 계측시 아스팔트의 온도 등의 주변환경이 미치는 영향인자를 고려한 교정식을 도출하고, 이를 통한 보정계수를 도출해야 한다. A device using high voltage and a method using asphalt mold are applied in the density management of roads after casting asphalt at roadwork sites in Korea. These methods require a new density measuring system because of defects such as the increase of error rates due to water or the destruction of constructed roads. A density measuring method process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radioisotopes and radioactive substances is used in foreign countrie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apply in Korea since the method uses high radioactivity up to several tens of mCi. Therefore, this study calculated important variables in the design of measuring equipment such as the radiation source, distance and loca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 with an MCNP program using the Monte Carlo methodology. A method for dividing the density by level was also investigated. A back-scattering method was chosen instead of trasmittion method as a basic conceptional design in order to measure the roads which construction was completed in a nondestructive way. As for the radioactive isotope, ^(60)Co source was selected. Once decayed, the ^(60)Co source radiates gamma rays of 1.17 MeV and 1.33 MeV at a rate of 1:1. This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gamma rays reacting with asphalt increases compared to other sources. 2"×2" NaI (Tl) scintillation counter was used as the measuring device, and a lead shield was applied in order to block the radiation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radiation sour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CNP calculation, the largest measurement structure could be formed when the thickness of the lead shield was 10 cm, distance between the source and lead shield was 18 c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ead shield and measuring device was 2.5 cm. A collimator was designed as a method for independently dividing the density of the upper layer from the asphalt density in the lower layer,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intended upper layer. The collimator angle was set as 21.80° within the basic measuring equipment structure to measure the 4 cm-deep outer layer. Statistical repetitive practices confirmed that the upper layer density could be divided independently from the lower layer density when designing the collimator, in case the asphalt density is calculated from 2.0 g/㎤ to 3.0 g/㎤ with an interval of 0.2 g/㎤. The measurements calculated through the MCNP code in this study are results from ideal conditions. We must also consider several other variables through future measurement experiments. A correction formula reflecting the physical half life of radioactive isotopes and variables that influence surrounding environments including the asphalt temperature during measurement should be derived as well as an adjustment coefficient through this formula.

      • 내적가변에 기반한 플렉서블 브랜드 아이덴티티 사례 연구

        정진영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관된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에서 벗어나 유연성 있게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플렉서블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적용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매체들 사이에 표현된 가변형 아이덴티티의 시각적 표현 요소들을 분석하여 내적가변에 기반한 플렉서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표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와 다양한 매체와 수많은 브랜드들의 등장으로 소비자와 기업과의 소통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일방적으로 기업이나 브랜드의 이미지를 전달받는 방식에서 벗어나, 소비자들은 여러 매체를 통해서 능동적으로 받아들이는 형태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방법도 플렉서블하게 사용하여 여러 매체와 특성에 맞게 전달하고 있다. 고유의 정체성은 유지하면서 매체의 환경에 맞춰 표현 방법을 유연성 있게 적용해서 브랜드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개념이 등장했다. 본 연구에서는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적용한 국내외 브랜드의 웹사이트, 모바일 웹, 광고, 제품의 매체에 나타난 시각적 요소들을 분석하여, 플렉서블 아이덴티티가 매체별로 적용되고 있는 범위와 브랜드 아키텍처와 관계, 내적 가변을 위한 요소들을 사례 연구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사례 연구 대상은 플렉서블 아이덴테티의 유형인 내적가변표현, 외적가변표현, 동적가변표현 중에서 내적가변표현을 적용하고 있는 국내외 사례로, 멜버른 시티(City of Melbourne), 유에스에이 투데이 (USA TODAY), 알츠하이머 오스트레일리아 (Alzheimer’s Australia), 청정원(Chungjungone), 국립현대미술관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이다. 내적가변표현은 외적인 요소는 유지하면서 내적인 요소의 변화를 통해서 유동성 있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1차 분석으로 아이덴티티를 표현할 수 있는 시각적 요소인 로고의 유형, 색채, 위치와 브랜드 아케텍처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시각적 요소를 기본형과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가변형으로 나눠서 매체별로 적용하고 있는 내용을 파악하였고, 브랜드 아키텍처는 하위 브랜드 네임과 구성 수를 조사 하였다. 1차 분석 결과, 매체별로 가변형 아이덴티티가 적용되는 범위는 브랜드 아키텍처와 콘텐츠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고 있었다. 따라서 1차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브랜드 아키텍처의 유무에 따라서 나타나는 시각적 요소의 차이점과 웹사이트, 모바일 웹, 광고, 제품의 매체별로 나타나는 차이점, 내적가변형을 적용하고 있는 컬러, 패턴, 텍스트의 요소들의 내용을 2차 분석하였다. 2차 분석 결과, 브랜드 아키텍처를 가지고 있는 브랜드는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여러 매체에 적용하기에 용이했다. 웹 페이지나 모바일 웹에서는 가변형된 아이덴티티 없이도 컬러만으로도 충분히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될 수 있었다. 반면에 브랜드 아키텍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특별한 메시지를 전하거나 콘텐츠가 바뀔 때 적용되고 있었다. 광고, 제품 및 프로모션 상품에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변형 아이텐티티의 내적 요소를 변형할 때, 컬러, 패턴, 텍스트의 요소들을 통해 변형하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브랜드의 콘텐츠나 구조에 상관없이 모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요소는 컬러로 나타났다. 콘텐츠의 변화나 메시지의 전달이 중요한 경우에는 패턴이나 텍스트 요소를 가지고 변형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표현을 위한 가변적 요소들은 모든 매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없었으며, 브랜드의 구조나 매체의 특성에 맞게 유연성 있게 적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플렉서블 아이텐티의 내적 변화는 체계화된 가이드라인이나 시스템화 되어있고 확실한 서브 브랜드를 갖추고 있을 때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고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내적 변화를 단순한 컬러 변화나 패턴 변화가 아닌 의미 전달을 할 수 있는 콘텐츠나 구조를 갖추고 있을 때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의 의미가 있다는 것을 본 연구의 결론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in which the flexible brand identity system was applied by investigating its visual factors portrayed in various media. This study will provide elementary knowledge for the use of the flexible brand identity system built on inner design features modified to environments. Today, as the society and various mass media are rapidly changing, communicative methods between consumers and corporations have also evolved. Consumers are no longer unilateral recipients of images of corporations or name brands. Instead, they have become proactive partners in the making of brand identity through numerous channels of mass media. Accordingly, the means to pass on brand identities have also changed, adjusting the means flexible to different media systems and the features. The concept of flexible brand identity system which flexibly portrays the image of brand suited for different media while maintaining the inherent identity was introduced. This study examined visual features expressed in various domestic and oversea mass media (web-sites of several brands, mobile webs, commercial, and other media of brands) which made use of the flexible brand identity system. By doing so, it identified the extent of the use of flexible identity by different media, its relations with brand architectures, and the features that promote the inner flexibility of brand. The cases selected for the study included City of Melbourne, USA TODAY, Alzheimer’s Australia, Chungjungon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se diverse cases utilize the expressions of inner flexibility. The first analysis involved the investigation on the types, coloring, and the location of the logo and content of brand architectures. In relation to different types of media, the applied content of brand was apprehended, dividing the visual features into either the basic form and the flexible form portraying the flexible identity. The visual element was divided into basic type and variable type which represents to determine the contents applied in each medium, and for brand architecture, the names and the number of sub-brands were examined. Founded on the result of the first analysis, the differences (1) of visual features show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brand architecture or not, (2) of web-sites, mobile-web, advertisement, and products by media, and (3) of the color, pattern, text features employed in the application of the inner flexibility by media were studied in the second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brands with their brand architectures easily applied the flexible identity in many media. On the web-site or mobile-web, even without the flexible identity, the use of color was sufficiently expressed that the range of applying the flexible identity could be expanded. On the contrary, in case that the brand architecture did not exist, the flexible identity was applied when special message or the content changed. It was applied in advertisement, product promotion. When the inner feature of the flexible identity transformed, the color, pattern, text features transformed. Regardless of the brand content or structure, the color feature was an easily applied factor. In case that the change of contents or the delivery of message became essential, the transform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pattern or text features. To summarize, the flexible features to portray the flexible identity were not used uniformally in all media and used appropriately depending on the specialty of media or brand structure. The innate transformation of the flexible identity either systemized or followed systemized guidelines. Only when the brand had a definite subsidiary brand, the range of its application expanded significantly. In conclusion, when the brand or corporation has the content or structure that can convey the inner change, not just changing colors or patterns, the flexible identity become impactful.

      • 불국사 금동비로자나·아미타여래좌상 연구

        정진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Even from the early days, The seated Gilt-Bronze Vairocana & Amitabha Buddha statues of Bulguksa temple(佛國寺) represent Korean Buddha sculpture with the keyword of ‘Bulguksa Temple’, and of ‘Vairocana’. Especially, these two statues are based as one set, with completely two different characters, Vairocana, and Amitbha, which is unprecedented combination. Moreover, matter of Mudra(手印) shares the differences, placing hands oppositely, differentiated from the style of Jiguanin(智拳印) and Amitabhain(阿彌陀印). Therefore, these statues of the Buddha contain the differentiation from other statues built in similar era, which can lead to the outstanding particularity to represent the field of Korean Buddhism Art. So far, the most studies of two statues mainly focused on academic deduction about time of construction; even few studies deal with different matters, but it could not get out the boundary of Bulguksa temple. O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general fact that religious ar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faith. Ergo, it will discuss the reason of their particularity and find the clues in the circumstances in those days in the omnipresent flow of Silla Buddhism. As the result, three doubts (1) the time the statues were actually built (2) the reason why the statues were in set and (3) location of enshrine will be discussed in this paper, which has not been mentioned in others. The time that statues were actually built is assumed around the mid-9th century. The most of the statues built in 9th century has the physical ratio of long isosceles triangle, exaggeration of facial features, and ZhuagwanIn(左拳印, reverse hand displaying of Jiguanin). However, the focus of this paper lies in the fact that advent of Vairocana, commissioned by the royal family, not merely in the advent of Vairocana image. The characteristic of Shilla(新羅) Buddhism changed in the mid-8th century, in starting point of KyungDuck reign(景德王, 在位 742-765); Huayan thought(華嚴學) moved to the capital and became one of the influential streams of Shilla Buddhism. Despite of this fact, it’s so much later that the Vairocana image, main signature of Huayan, became the visual trends. Even more we can monitor the fact the very first Vairocana statue, commissioned by royal family had been built in hundred years later, a year of 847, at SungJusa Temple(聖住寺). It could be natural consequences, considering the fact that Uisang(義湘), main stream of Huayan thought had certain social position and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Because Uisang was the one of Huayan monks, acted as practical believer, who respected and enshrined Amitabha statue, rather than Vairocana statue. Thus, the potential of Amitabha statue enshrined in Huayan Temple was higher till mid-9th century, when his influence was still valid. Not only that, but also the statues of Bulguksa Temple has admirable perfection in material, size, and aesthetic features wise. It is absolutely plausible deduction that sponsor of the statues did invest great amount of time and effort endlessly. From this point we can come up with reasonable guess about the period that statues were complete would be during the reign of KyungMoon(景文王, 在位 861-875), the abundant era. Then next question is why Vairocana were built with Amitabha, together? What does this unique and unusual icon mean? The answer of these two questions lies in the changes of 9th century Huayan, when the two statues were built. At mid-9th century, Huayan of Silla faced the inescapable change, due to the rise of Zen thought(禪思想), the chaos at the end of Silla, and mannerism within religious sect. Especi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public made the Huayan monks to come up with more practice manners that the people can perform in daily lives. As the main role of this dynamic change, the two books, 40 Huayan Sutra(『40華嚴經』) and ChengKuan(澄觀, 738-839)'s The Commentary on Huayan Sutra(『華嚴經疏』) were introduced by BumSoo(梵修, ?-?) in 799 and started to extended from Haeinsa Temlpe(海印寺). These two writings are absolutely Huayan related essays, but Interestingly a few passages are totally focused on the advent of Amitabha rather than the praising on the Vairocana. Moreover in The Commentary on Huayan Sutra, ChengKuan perfectly equated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蓮華藏世界)’ with ‘Pure Land(極樂世界)', and ‘Vairocana' with ‘Amitabha'. Thereby, these two writings represented the specific practice, suggested by Huayan in 9th century based on the ‘Amitabha Faith(彌陀信仰)', suggesting that ‘you may live in the concern-free and comfortable world without the ounce of agony, through the practice of ‘稱名念佛’’, which can conclude the statues of Bulguksa Temple are the visualized existence of 9th Huayan theory. By the way, the two statues are intended as one set in base of theory, ‘舍那彌陀一切' and ‘華藏極樂一切’. But the current location of enshrine of two statues are remote in Bulguksa Temple. One locates at the main part of temple, ‘Geuknakjeon’(極樂殿) and other one is put in ‘Birojeon’(毘盧殿). Plus, the Vairocana Buddha statue had been moved three times in 20th century. Under the theory of original location of enshrine when the Buddha statue was constructed and current location of enshrine won’t be identical, the writer reconstituted the space of Bulguksa Temple in 9th century. Amitabha Buddha statue has high potential to stay at the Geuknakjeon, even in previous days because this space is located at inside of temple in western direction. Not only that, but also three rows of sixteen layers of stone steps and the pond, flowing across the front part of whole temple intends to represent the Amitabha’s land, the Land of paradise in distant western side. However the writer concludes that location of Vairocana’s enshrinement had been changed; it would be located at the current main sanctuary of the temple, the present Daewongjun. The reason of this deduction lies in the concept of a pair of two statues. The special features of statues, ‘A set’ creates certain expectation to enshrine at same area of temple together, or even they are separated, the monks would consider the area and relationship of the building and choose the area to look like a set with special intention. 「阿彌陀佛像讚幷序」, written by Choi ChiWon(崔致遠, 857-?), mentioned that ‘put the eyes on Huayan to seek for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with the heart towards the world of Buddha, it will lead to the connection of Paradise of Amitabha’, which definitely indicate the connection of two areas. Furthermore, the temple of Bulguksa in 9th century has strong personality of Huayan temple, even called as the empire of Huayan, ‘HuayanBulguk(華嚴佛國)’. In this case, the main statue is the Variocana Buddha, which naturally lead the main area of the temple for enshrinement of the Variocana statue. We can say ‘main area of the temple=Daejuk·Daemyunggyuangjun(大寂·大明光殿)=the area of the Vairocana Buddha State’. Based on the comparison of location arrangement of double top fashioned first main building(雙塔1金堂), which was the trend in those days, and current temple’s location and size, we can assume that the main sanctuary of the temple would play a role of main temple in past as well; from this deduction, we may guess that the area could be Vairocana's land,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Of course, it is not a common sense to enshrine the Vairocana Buddha statue in Daewongjun(大雄殿). Certainly, the Buddhist temple can be maintained based on religious dogma, however, time-to-time it can also embrace the changes based on the prosperous sect for each era. The writer believe that Bulguksa is the case with embracing the changes―Combination(era of foundation), Huayan(9th century), Yogacara(Goryeo Dynasty), Lotus Sutra(Joseon Dynasty); moreover, the role of each building was not set on the stone for ages. So, even the ‘Daewongjun’, the place that has a role and plaque of main sanctuary temple does not necessarily means it would play the same role in 9th century, when the two statues were made. To consider the dynamically extended theory of Huayan in that era, ‘Daejukgwangjun(大寂光殿)’ or ‘Daemyunggwanjun(大明光殿)’ had more value to role as main sanctuary temple. Despite The seated Gilt-Bronze Vairocana & Amitabha Buddha Statues set in Bulguksa Temple has modifiers like ‘singular’, ‘atypical’, this could not be create in this fashion without any reason or religious stimulus. Moreover, it is not the unique result of special location, Bulguksa Temple. Just like other sorts of religious art, it is the result that contains the religious characteristic in that era. Especially, the change of Huayan in 9th century, ‘highlight of activism in Buddhism’ and ‘embracement of Amitabha Faith’ can be noticed in these Buddha statues. This set of statues has great meaning as the visual aids for relationship of Huayan in 9th century, which is not enough remaining in current time. To hope, this article can be the remarkable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significant value of two Buddha statues in Bulguksa Temple. 불국사 금동비로자나·아미타여래좌상은 ‘불국사’라는 특수한 장소성과 ‘통일신라’, 그리고 ‘비로자나불상’이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일찍이 한국 불교조각을 대표하는 사례로 여겨져 왔다. 특히 두 불상은 완벽히 다른 두 尊格, 비로자나와 아미타가 한 쌍으로 조성되어 전례가 없는 이례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수인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지권인’, ‘아미타인’의 형식과 반대로 양손을 결하고 있다. 때문에 비슷한 시기 조성된 다른 불상들과 차별성을 보이며, 동시에 한국 불교미술의 독자적인 특수성을 대변한다. 지금까지 두 불상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상이 언제 조성되었는가를 밝히는 데에 집중되어 왔으며, 기타 문제들을 다룬다 하더라도 불상이 봉안된 사찰 ‘불국사’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았다. 다시 말해 두 불상과 관련된 제반의 문제들을 푸는 데에 있어 불국사와 관련된 사건, 인물, 그리고 사찰 內 특수한 조건들이 항상 핵심 단서로 언급되어왔다. 반면, 이 글은 종교미술이 신앙의 성격을 그대로 반영한다는 일반적인 논리를 바탕으로 한다. 즉 신라 불교의 보편적 흐름 속에서 왜 이와 같은 특수성이 나타나게 되었는지, 그 단서를 상이 조성되었을 당시 불교계의 상황에서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두 상과 관련된 다음의 세 가지 의문점―①두 상의 조성시기 ②비로자나·아미타 조합의 연유 ③原 봉안처―에 관하여 지금까지 언급되지 않은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게 되었다. 조성 시기는 9세기 100년의 시간 중 9세기 중반으로 결론하였다. 형식 및 양식―긴 이등변삼각형의 신체비례, 얼굴의 양감 및 耳目口鼻의 과장, 거꾸로 된 수인(좌권인, 逆아미타인)―이 9세기의 상과 유사하다는 점이 주요 논거로 제시될 수 있겠지만, 더욱 무게를 두어야 할 점은 불국사의 상이 단순히 ‘비로자나불상의 출현’이 아닌 ‘왕실발원으로 조성된 비로자나불상의 출현’이라는 데에 있다. 신라 불교의 성격은 8세기 중반 경덕왕대를 기점으로 법상 중심의 중대 불교에서 화엄 중심의 하대 불교로 세력이 교체되지만, 화엄의 주존 비로자나불이 하나의 시각매체로 유행하는 시기는 훨씬 늦다. 심지어 왕실 발원으로 조성된 비로자나불상의 경우는 약 100여년의 공백을 만들며 847년 성주사 철불에서 처음 확인된다. 당시 화엄의 주류였던 의상계 화엄학의 독보적 위치 및 왕실과의 긴밀한 관계 등을 고려해보면 당연한 결과인 셈이다. 왜냐하면 의상은 화엄학승이면서도 화엄의 원찰 부석사에 비로자나불상을 모시기보다는 아미타여래상을 봉안하는 실천 신앙인으로서의 자세를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영향력이 유효한 시기, 적어도 9세기 중반까지는 의상의 특이성이 그대로 답습되어 화엄사찰에 비로자나불상이 아닌 아미타여래상이 봉안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불국사의 두 상은 재료, 크기, 조형적 완성도에서 있어서 누구나 감탄할만한 완벽함을 보여준다. 분명 상이 조성되는 과정 동안 시간과 노력이 아낌없이 투자되었을 것이며, 발원자 ‘신라 왕실’의 입장에서 이와 같은 결과물을 완성할 수 있었던 시기는 9세기의 유일한 안정기, 경문왕의 재위기간뿐이다. 그렇다면 비로자나는 왜 아미타와 함께 등장한 것인가? 과연 이 이례적인 도상의 출현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두 문제의 답은 두 상이 조성된 9세기 화엄의 변화, 바로 ‘실천성’의 포용에 있다. 9세기 중반이 되면 신라의 화엄은 선사상의 흥기, 羅末의 혼란, 그리고 종파 내부의 매너리즘이 더해져 교학적인 면에서 일대 변화를 겪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특히 대중과의 거리는 화엄학승들로 하여금 누구나 쉽게 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도를 제시할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필자는 이 변화의 구심점으로 9세기 말 화엄의 중심 도량으로 성장하는 ‘해인사’의 성격에 주목하였고, 해인사를 중심으로 유포·확장된 다음의 두 서적이 그 변화의 典據로써 역할 하였다고 보았다. 799년 唐 유학승 梵修에 의해 국내로 유입된 『40華嚴經』, 그리고 澄觀의 『華嚴經疏』는 분명 화엄관계 저술이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그 내용 중 일부는 주존인 비로자나를 찬탄하기 보다는 처음부터 끝까지 아미타의 구현을 외치며, 심지어 비로자나와 아미타, 연화장세계와 극락세계를 완전히 동일시한다. 결국 9세기 화엄이 제시한 구체적 실천도는 ‘稱名念佛’함으로써 ‘極樂往生’할 수 있다는 ‘미타신앙’인 셈이며, 불국사의 두 상은 이를 형상으로 구체화시킨 현전하는 실체라 볼 수 있다. 한편, 두 상은 ‘舍那彌陀一切, 華藏極樂一切’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 쌍’, 즉 ‘set’를 의도한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지금의 봉안공간은 사찰의 전면 ‘극락전’, 그리고 사찰의 후면 ‘비로전’으로 완전히 동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또한 20세기에는 약 3차례―대웅전(1903), 극락전(1925), 대웅전(1973)―에 걸친 비로자나불상의 이동이 확인 된다. 이에 필자는 지금의 봉안처가 불상이 조성되었을 당시의 原 봉안처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다는 가정 하에 9세기 불국사의 공간을 재구성해 보았다. 아미타여래상이 봉안된 지금의 극락전은 과거에도 극락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이 공간은 寺地의 서쪽에 구획되어 있으며, 경내 3列16段의 석계, 사찰의 전면에 흐른 蓮池 등은 모두 아미타여래가 주재하는 ‘西方極樂淨土’를 의도한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반면, 비로자나불상의 봉안 공간은 지금과 다르다고 보며, 現 대웅전 영역을 과거 비로자나불의 영역이라 결론하였다. 그 근거는 두 상이 ‘한 쌍’으로 조성됨에 있다. ‘한 쌍’, 즉 ‘set’라는 특수성은 두 상이 같은 전각에 함께 봉안되었거나, 아니면 다른 전각에 봉안되었더라도 전각의 위치 및 관계에 있어서 마치 하나처럼 보이도록 연출했을 기대를 만든다. 최치원이 남긴 「阿彌陀佛像讚幷序」에는 ‘화엄에 눈을 부쳐 연화장세계를 바라보며 불국에 마음을 달리니 아미타정토가 연결되었네’라며 두 영역의 연관성을 확실히 언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9세기의 불국사는 ‘華嚴佛國’이라 불릴 정도로 화엄 사찰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이러한 경우 사찰의 主尊은 비로자나불이며, 금당은 자연히 비로자나불의 영역이 된다. 즉, ‘금당=대적·대명광전=비로자나불의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당시 유행한 雙塔1金堂의 가람배치 및 현전하는 전각의 위치와 크기를 바탕으로 비교해 볼 때 지금의 대웅전이 과거에도 금당의 역할을 했을 것이며, 결국 9세기에는 이곳이 비로자나불의 영역, 즉 ‘연화장세계’가 되는 것이다. 물론 대웅전에 비로자나불상을 봉안하는 것이 선뜻 이해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사찰이라는 것은 창건기의 교리를 그대로 간직한 채 변화 없이 유지되기도 하지만, 각 시대에 번영했던 특정 종파에 순응하며 변천되기도 한다. 필자는 불국사가 후자의 경우에 해당된다고 보며―종합(창건기), 화엄(9c), 법상(고려), 법화(조선)―각 전각의 역할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고정되어 있지 않았을 거라 생각한다. 따라서 지금은 ‘대웅전’의 편액을 걸고, ‘대웅전’의 역할을 하고 있을지라도, 과거 두 상이 조성되었을 9세기에도 이와 같은 전각으로 기능했을지는 단언할 수 없으며, 당시 불국사에 확장된 화엄사상을 고려해 보면 오히려 ‘대적광전’, 또는 ‘대명광전’에 무게가 실리게 되는 것이다. 불국사 금동비로자나·아미타여래좌상이 아무리 ‘특수하다’, ‘이례적이다’는 수식어로 함축될지라도 전·후의 상관관계 없이, 아무런 자극 없이 갑자기 출현된 것은 아니다. 또한 ‘불국사’라는 특수한 장소가 홀로 만들어낸 이례적인 결과 또한 아니다. 결국 모든 종교 미술이 그러하듯 당시 신앙의 성격이 반영된 결과물인 셈이다. 특히 두 상은 9세기 화엄의 변화, 즉 ‘실천성의 강조’ 및 ‘미타신앙 포용’의 한 측면을 보여주며, 또한 9세기 부족한 화엄 관계 자료를 보충해주는 시각자료가 된다는 의의가 있다. 어찌되었든 이 글이 불국사 두 불상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일깨워 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지도방안 : 옛이야기를 중심으로

        정진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옛이야기를 활용한 과정드라마를 통해 전통문화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과정드라마의 개념과 특징, 효과 등을 알아보았고 전통문화교육의 목표, 가치, 학교에서의 전통문화교육을 위한 전통문화의 분류방법과 영역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 이와 함께 전통문화교육에 있어 옛이야기의 가치를 알아봄으로써 지도 방안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어 전통문화의 영역에 따라 옛이야기 텍스트 4개를 선정하고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지도 방안을 구안하여 4주간 경기도 의정부 소재 초등학교 6학년 29명의 학생들에게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설문지를 통해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 관심도 등을 알아보았고, 연구 기간 동안 매차시 학생들에게 소감문을 받고, 심층 면담 및 개별 면담 등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에 다시 사후 설문지를 통해 전통문화 인식도, 관심도, 흥미도 등의 변화를 알아보았고 학생들이 작성한 소감문, 활동 결과물, 면담 결과 등을 토대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학생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도와 흥미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학생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 습득의 정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것은 직접 몸으로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큰 효과성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좀 더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전통문화 지도방안이나 전통문화의 여러 영역을 다룬 지도방안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양적으로 연구하여 그것을 입증해보이는 방안도 필요할 것이다.

      • CHOk7 세포주에서 인간 Sharpin 유전자의 암화 특성 연구 : Characterization of the oncogenic activity of human sharpin in Chinese hamster ovary cells

        정진영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암은 전 세계 인류의 사망원인 세 번째로 꼽히며 국내에서는 수년째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질병으로 이를 치료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지만 암의 특성상 완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암은 하나의 세포가 이상을 일으켜 빠른 속도로 증식하여 발생하는 유전자적 질병으로 정상 세포와 다른 유전자 발현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반적인 암 치료의 타겟이 될 수 있는 유전자를 찾고자 하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암세포를 증식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가 밝혀지면 그 유전자가 발현된 단백질을 목표로 하여 암세포를 제거하는 약을 개발하거나 치료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새롭게 클로닝 된 유전자 중 하나가 정상 세포에 비해 암 세포에서 높게 발현 되는 human Sharpin이다. Human Sharpin은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유사성을 비교해 본 결과 쥐의 Sharpin 단백질과 유사성을 보여 human Sharpin이라 명명되었다. 아미노산 서열을 조사한 결과 세포 주기에 필요한 단백질들의 turn over에 역할을 하는 ubiquitin과 높은 유사성을 보이는 부분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Sharpin 단백질과 결합하는 shank family는 post synaptic density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 하며 여러 다른 단백질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면역조직화학염색 분석에서 인간 Sharpin이 인간의 다양한 조직에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완전히 분화된 위 분비세포의 세포질에서 염색이 된 것을 보았다. 인간 Sharpin을 과발현하고 있는 세포주를 확립하였고, 이들은 soft agar assay, invasion assay 등 생체 밖에서의 종양성 분석 결과 종양 특이적인 표현형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 Sharpin이 발암적 활성을 지니는 새로운 암 연관 유전자임을 제시해 준다. Cancer is a major factor in all mankind deaths and within the country the best of the cause of death for several years. The studies to treat the cancer go on, but because of the property of cancer a perfect cure is very difficult. Cancer is a genetic disease that is generated by un controlled division of a abnormal cell. Unlike normal cells, cancer cells show different gene expression pattern. In this point of view the research was started to find genes that can be a therapeutic target of general cancer. Because if the gene that play an important role for growth of cancer cell is identified, we can make new drug for killing cancer cell and cure the cancer. Human sharpin is newly identified as an highly expressed gene in cancer cell than normal cell. As a result of amino acid homology search, human sharpin showed a high similarity with rat/mouse Sharpin. Sharpin is known to interact with Shank protein that be highly enriched in the postsynaptic density (PSD) in brain and interact with various proteins. Domain search results also showed that human sharpin has a ubiquitin-like structure. Ubiquitin-mediated proteolysis is involved in the regulated turnover of proteins and required for controlling cell cycle progression. Therefore, human sharpin might be related with cancer in connection with cell cycle or signalling. In this study, we examined if newly identified human sharpin is truly related with tumor biogenesis. Established human sharpin-overexpressing stable cell lines showed highly increased tumor-specific phenotypes with in vitro tumor assays. Human sharpin-transfected cell clearly showed increased invasiveness, which is required for tumor cell metasta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uman sharpin is a novel tumor-associated gene possessing high oncogenic activities. Although we showed human sharpin possess a cancer-causing activity in CHO cells, its in vivo activity was not verified yet. Therefore, we will examine the in vivo tumor-forming activity in nude mouse. And the cellular function of human sharpin and its role in cancer tumorigenesis will be studied in the future.

      • UML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자동 생성 시스템

        정진영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웹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웹 어플리케이션은 기업의 서비스들을 통합하기 위한 기반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웹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기존의 소프트웨어의 개발과는 달리 네트워크 집약적이며, 계속적으로 발전하는 기술을 수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페이지 단위의 프로세스 수행과 같은 웹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개발 프로세스에 반영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웹 어플리케이션은 검증된 개발 방법 및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소수의 개발자의 능력에만 의존하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자바 플랫폼 상에서 UML을 기반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의 속성과 특성을 개발 프로세스에 반영하도록 하는 한편 웹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자동 생성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UML의 표준다이어그램과 확장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모델링한 후 이를 실제 소스코드로 변환하기 위해 각각의 다이어그램별로 명세화 규칙을 적용하여 명세화 하였다. 명세화된 내용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코드 추출 및 갱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명세화된 다이어그램으로부터 추출된 소스코드는 실제 웹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자바 서블릿 코드로 변환하도록 하였다. 현재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바 서블릿 페이지들을 생성하는 것만을 지원하고 있지만, 손쉽게 다른 웹 기술을 접목할 수 있도록 확장이 가능하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소요되는 비용 및 노력을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As the web technology is developed, the web application becomes the basis which combines business services. The web application which differs from ordinary development of the software is labor-intensive, capable for continuous developing technology and considerable in the characteristic like as the process performing of page units as well. However, most of the web applications do not have the verified development or process and depend on the ability of few developers.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the model for creating web applications based on UML in the environment of object-oriented programming java platform. After modeling web applications by using the standard diagram and extend of UML, in this paper, making formulations have done with each diagram to transform this into real source code. Storing the formulated into relational database makes the code extraction and renew possible. The source code extracted from formulated diagram is transformed to java servlet code for realizing web services. Even though using this system only supports java servlet now, it can easily be extended in the conjunction with other web technology. In this paper,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cost and time for developing web applications.

      • 살리실산 메틸의 새로운 유도체 합성 및 광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정진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Part 1. 셀레늄을 포함하고 있는 새로운 단량체의 합성 및 이를 이용한 공액 전도성 고분자의 중합 본 연구는 전도성 고분자 응용분야 중 가장 많이 응용되고 있는 태양전지에 사용될 수 있는 낮은 밴드갭을 가지는 고분자를 중합하기 위해 칼코젠족을 원소 셀레늄 (Se) 을 포함하는 새로운 단량체 2-heptadecylselenopheno[3,4-d][1,3]selenazole (HSS)를 디자인하고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합성한 단량체는 1H-NMR, 13C-NMR와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와 같은 분광기기를 이용하여 구조 분석하였다. 그 후, HSS와 비슷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인 2-heptadecyl-4,6-dihydro-thieno[3,4-d]thiazole (HTT), 2-heptadecyl-4,6-dihydroselenopheno[3,4-d]thiazole (HST) 와 2-heptadecylthieno[3,4-d]thiazole (HTS)를 본 연구실에서 제공받아 각 물질의 광학적 성질을 UV-Vis spectrometer를 통해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합성한 HSS와 4,7-dibromo-5,6-difluoro-2,1,3-benzothiadiazole (BT)를 각각 0.5 당량씩, (4,8-bis(5-(2-ethylhexyl)thiophen-2-yl)benzo [1,2-b:4,5-b']dithiophene-2,6-diyl)bis(trimethylstannane) (BDT)를 1 당량씩 활용하여 Stille cross-coupling reaction을 통해 block copolymer인 poly(2-heptadecylselenopheno[3,4-d][1,3]selenazole-5,6-difluoro-2,1,3-benzo thiadiazole-(4,8-bis(5-(2-ethylhexyl)thiophen-2-yl))benzo[1,2-b:4,5-b'] dithiophene) (PHSSBTBDT) 를 중합하였다. 이 고분자는 태양전지의 active layer에서 전자 주개 (electron donor)로 활용 될 수 있다. 중합한 PHSSBTBDT를 본 연구실에서 제공받은 poly(2-heptadecyl-4,6-dihydro-thieno[3,4-d]thiazole-5,6-difluoro-2,1,3-benzothiadiazole-(4,8-bis(5-(2-ethylhexyl)thiophen-2-yl))benzo[1,2-b:4,5-b']dithiophene) (PHTTBTBDT) 와 poly(2-heptadecyl-4,6-dihydroselenopheno [3,4-d]thiazole-5,6-difluoro-2,1,3-benzothiadiazole-(4,8-bis(5-(2-ethylhexyl) thiophen-2-yl))benzo[1,2-b:4,5-b']dithiophene) (PHSTBTBDT)와 각 고분자의 광학적, 열적 안정성 그리고 표면적 성질을 UV-Visspectrometer,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와 AFM (atomic force microscope)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그 후, 한양대학교 최효성 교수 연구실과 협업을 통해 고분자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Part 2. 살리실산 메틸의 새로운 유도체 합성 및 광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살리실산 메틸은 소염 진통제, 구강청결제, 식품의 착향제 그리고 화생방 훈련에 사용되는 유사 화학 작용제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화학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살리실산 메틸의 독특한 성질 중 하나인 이중 형광의 원인에 관한 이론적 연구에 대한 기여와 응용성 확장을 위해 발광하는 물질을 새롭게 디자인하였다. 각 물질들은 전자가 풍부하며, 이중결합을 포함하고 있는 싸이오펜, 셀레노펜, 피리딘 고리가 살리실산 메틸에 치환된 형태이며, Stille cross-coupling reaction을 통해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합성한 물질은 다음과 같다 : methyl2-hydroxy-4-(thiophen-2-yl)benzoate (MHTB), methyl 2-hydroxy-4-(selenophen-2-yl)benzoate (MHSB), methyl 2-hydroxy-4-(pyridin-2-yl)benzoate (MHPB). 각 물질들의 구조는 1H-NMR (nuclear magneticresonance), 13C-NMR와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를 통해 분석하였다. 새롭게 합성한 살리실산 메틸 유도체들은 비양성자성 용매에 녹였을 경우, 장파장을 흡수하여 빛을 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UV-Vis spectrometer, Photoluminescence 를 측정하여 광학적 성질을 비교·분석 하였다. MHTB는 chloroform 용매에서 318 nm, MHSB는 chloroform 용매에서 320 nm, MHPB는 chloroform 용매에서 321 nm의 UV-vis 최대 흡수 파장을 보였다. MHTB는 emission spectra에서 높은 에너지 영역에서 큰 피크를 나타내었고, MHSB는 emission의 급격한 감소로 spectra에서 매우 약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MHPB는 emission spectra에서 높은 에너지 영역과 낮은 에너지 영역에서 비교적 강한 피크를 보였다. 더 나아가, 충남대 손영구 교수 연구실과 협업하여 전산 화학 방법을 이용해 분자 구조적 계산을 하였다. SCF (Self consistent field) 에너지 계산의 결과는 각 유도체들이 케토 형태일 때 안정한 것을 증명하였다.

      • 초기경력자의 무형식학습 사례연구 : 대학 커리어 컨설턴트를 중심으로

        정진영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기 경력자들이 입사 초기부터 업무 안정기에 이르기 까지 일터에서 무형식학습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배우는지 그 특징과 양상을 탐색하였다.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새로운 일터에 들어선 신규 입사자의 조직 적응 실패는 사회와 개인 모두에게 불필요한 비용과 심리적인 불안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평생직업과 직장이 없어진 현대 사회에서 빠른 업무수행 능력 향상과 조직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일터이해와 업무습득 과정을 탐구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더불어 이러한 과정 안에서 가장 주요한 학습방법인 무형식 학습을 탐색하는 연구가 요구된다고 보았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형식적인 이벤트성 학습은 조직에 사회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는 무형식학습 활동이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실제로 일터에서의 학습은 대부분 무형식학습에서 발생하며, 특히 초기 경력자의 학습 과정은 무형식학습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는 연구도 발표되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는 ‘대학 커리어 컨설팅’ 업무를 수행하는 경력 5년 미만의 초기 경력자 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참여자들이 일터에서 무형식학습을 하는지 심층면담을 하였고,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일터는 구조적, 물리적, 문화적 특성에 따라 독특한 학습 맥락을 갖고 있으며, 그 중 상용계약직이며 파견직인 고용형태로 근무하고 있는 구조적 특성에 따라 무형식학습의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다. 즉, 고용의 불안정 속에서도 적극적으로 학습을 계획하고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참여자가 있는 반면, 그 불안함을 이기지 못하고 학습에 나서기를 주저하는 양상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초기 경력자들은 독립된 공간에서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일터의 물리적, 문화적 특성에 따라 자료검토나 홀로학습, 관찰을 통해 일터에 던져져 몸소 부딪히며 학습을 이어나가고 있었다. 셋째, 연구에 참여한 초기 경력자들은 연차가 올라감에 따라 뚜렷한 경력개발 모습의 변화가 있었다. 그들은 공통적으로 업무 적응기, 숙련기, 안정기를 거치며 일터에 적응하고 업무를 습득해 나갔으며, 각각의 경력개발단계에 맞춰 학습의 방법과 내용을 바꿔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업무 적응기에 초기 경력자들은 학습에 대한 강한 의지와 의도를 가지고 학습 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이는 초기 경력자의 주요한 학습 특징임을 알 수 있으며, 이들은 스스로 자신의 학습수준을 진단하고 분석하며, 의도적으로 학습방법을 배우는 등 적극적으로 학습에 나서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업무 숙련기에 초기 경력자들은 일터의 가치와 문화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업무능력을 더욱 더 향상시키는 ‘몸에 체득되는 학습과정’을 거쳤다.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전직경험을 활용하여 현재의 업무를 재해석 하는 학습을 하였고, 동료 및 상사, 내담자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이 일어났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발견한 점은 업무 숙련기에 연구 참여자인 대학 커리어 컨설턴트들은 상담 업무를 수행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을 보였으며, 상담은 내담자와 일대일 상황에서 진행되므로 오롯이 자신의 경험을 반추하고 반성하며 성찰하는 과정이 축적될 때까지 버텨가는 학습 모습을 보였다는 것이다. 이들은 무형식학습을 통해 업무에 숙련되어 갔고, 업무 안정기에 와서는 비판적 자기성찰을 통해 자신의 일의 의미가 무엇인지 깨닫고자 하였다. 그들만의 고유한 업무 모습인 ‘직업상담’은 내담자들과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심리적 과정이기에 타인의 인생을 들여다보는 도구이며 자신의 인생을 반추해보는 기회가 된다. 따라서 그들의 일터학습에 가장 중요한 대인적 관계요인은 내담자(학생)이다. 내담자와의 상담경험은 연차가 올라갈수록 축적되어서 과거의 상담경험을 반성하고 현재 상담현장에 재적용 해보는 학습의 자원이 된다. 이러한 내담자와의 ‘함께 배움과 성찰’은 무형식 학습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연구 참여자들은 경력개발단계와 상관없이 모두 똑같이 자신이 내담자들의 인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책임감과 사명을 가졌으며, 그들이 부여한 ‘일의 교육적 의미’가 바로 학습의 결과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초기경력자의 무형식학습에 대한 연구 결과가 평생교육 측면에 주는 함의는 일터를 하나의 중요한 학습의 장으로서, 근로자를 주요한 성인학습자로서 인정하는 것이라 보았다. 또한, 초기 경력자들이 무형식 학습을 경험하는 과정에서의 강한 학습의지와 학습 주도성은 능동적 학습의 평생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자발적 학습’에 그 가치와 의미가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식 학습에 일어나는 다양한 일터 및 조직의 특성을 발견하고 일터마다 다른 독특한 학습 맥락(Context)을 살펴보는 것 또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초기 경력자의 무형식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원과 조직차원의 요인들에 따라 학습의 모습과 내용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각각의 요인들과 무형식학습과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초기 경력자의 무형식학습은 평생학습의 주요 장면이며, 특히 대학 커리어 컨설턴트의 일터인 상담 현장에서 일의 교육적 의미를 찾아가는 학습경험은 일터 학습에 긍정적 의미가 있다 하겠다. 이는 초기 경력자가 평생교육의 주체적 학습자로서 자신의 정체성과 변화를 도모하며 일의 의미를 찾아 나가는 학습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평생교육의 영역에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 William Faulkner의 흑인관 : Go Down, Moses와 Intruder in the Dust를 중심으로

        정진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William Faulkner의 작품속에 나타난 인종적 편견으로 인한 흑백관계를 Go Down, Moses와 Intruder in the Dust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William Faulkner는 미국 남부에서 출생하여 그곳에서 일생을 마친 미국 남부의 작가로서, 미국 남부의 역사적 사실과 남부사회의 특징들을 그의 작품속에 표출시켰으며 또한 남부사회의 특징인 노예제도와 그로 인해 파생된 인종적 편견문제는 그의 소설속에 중요한 주제를 형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흑인의 역할과 미덕에 대한 Faulkner의 가장 포괄적인 비젼을 담고 있는 Go Down, Moses에서 백인인 Isaac McCaslin을 중심으로 남부사회에서의 흑백관계와 Isaac McCaslin의 흑인에 대한 의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Intruder in the Dust에서는 흑인인 Lucas Beauchamp를 통하여 남부사회의 인종적 편견과 본질적으로 당당한 한 인간으로서의 흑인모습을 추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William Faulkner가 견지하고 있는 이상적인 흑인과 백인관계를 추출해 보고자 한다. This thesis purports to examine how the black and white relation is embodies in the works of Faulkner and then to seek Faulkner's view about negroes in the southern society of the United States. This paper discusses some of Faulkner's novel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ir relations with the racial prejudice in the southern society. Racial prejudice about negro in the southern society was stemmed from white supremacy, here it formed the Southern Myth which can be defined as a fictive value system which represents and also regulates the distorted state of the black and white relations. In Go Down, Moses, Faulkner presented the hopeful vision of the black and white situation suggested by Isaac McCaslin's initiation into the wilderness and his valuable acts. Ike initiated into the wilderness when he was a child, and learned the nature of real human-being through a negro named Sam Fathers On his twenty-first birthday, Isaac McCaslin discovered the crime of his grandfather, Old Carothers McCaslin and his society by virture of Sam Father's education in the wilderness. He repudiated his ownership of the Mccaslin plantation because he wanted to set himself free from all the evils and injustices and bondages which have cursed and continue to curse his legal inheritance. And he understood that the appropriation of the land which cannot be, by nature, possessed by man and the appropriation of people through the slavery system. Isaac's acts are represented by Faulkner as being idealistic, spiritual, and noble in this novel. But in "Delta Autumn", Old Isaac alienated his good morality when he denied the mullatto woman the right of human love. However it would be a gross mistake to understand that Isaac's failure to solve the black and white problem diminishes the critical power of the novel on the problem. On the contrary, by making even McCaslin fail at th e last moment Faulkner succeeds in effectively stressing the difficulty of eradicating the racism in the south. Intruder in the Dust illustrates the destructive function of the southern society through the act of Lucas Beauchamp. He has the truculent, sullen, and even hostile view about the whites. He rejects his society and it's racial code and he hopes to be a man but a nigger. After all he lived in a southern society tacitly and truly as a real man. In this novel, he transcended southern racial prejudice and he taught southern whites new awareness for their faults. In conclusion, Faulkner's works criticize the distorted relation of the black and white in the south successfully. The negroes in Faulkner's works have much endurance and humility than the whites. They led to trimph against the past curses of human being and immorality of the present world. opinion about white-black relation is not merely a thought of the south, but also a thought of out general plight and problem. The modern world is in moral confusion. It does suffer from a lack of community of values. Faulkner only expresses the white-black problems in his works using a metaphor through negroes. Ultimately Faulkner tells us that man should live under the permanent awareness of his moral obligation to accept and honor that blood-bondage which binds all man together within the human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