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낙동강 하류의 습지 환경 변화 연구 : 창녕∼밀양 구간을 중심으로

        정진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습지는 자연 스스로의 힘에 의해 정화되는 자연생태계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최근 습지의 무분별한 간척과 매립으로 습지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이 변형되고, 습지를 이루는 주요 경관들도 따라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낙동강 하류는 우리나라에서 습지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이다. 그러나 지금은 그 면적이 확연하게 줄어들고 있고, 그에 대한 전체적 파악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최근에는 습지 기능·가치 등을 고려하지 않는 대책 없는 개발로 그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류 연안 습지의 분포와 형성 요인 및 특징을 살피고, 토지이용 변화 및 그에 따른 습지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유형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여러 요인에 의해 그동안 훼손되거나 소실된 습지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 인식을 통해 낙동강 하류 습지의 이용과 보전에 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된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낙동강 하류 지역의 1910년대와 1960년대, 1990년대의 지형도를 통해 습지 지역을 지도화하고, 그 분포 현황과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2001년의 Landsat ETM 영상을 이용하여 연구지역내의 토지이용 현황과 현재 습지 지역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현장답사 및 1981년의 MSS 영상을 참고로 습지의 특성과 변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이후 현장답사와 GIS를 이용하여 낙동강 하류 습지의 지형 형성 특징을 살피고, 토지이용 측면과 변화를 고려한 습지 환경 변화를 분석하여 유형화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습지 분류도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낙동강 하류의 습지 분포는 낙동강 본류에 직접적으로 인접하여 분포하기 보다는 주로 본류에서 분류된 지류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그 면적이 축소되고 있다. 1910년대 전후만 해도 자연호소 유형의 습지와 그 주변으로 습지식생과 결합된 소택형 습지와 노전(蘆田)이 눈에 띄게 많았다. 하지만 2001년 위성영상에서 추출된 습지의 면적은 연구지역내 전체 총면적의 약 5% 정도만을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이는 일제시대 이후 수리 사업의 실시와 개간이 이루어지면서 습지가 급속도로 축소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배후산지나 지류하천의 퇴적물 등으로 자연적인 매립이 이루어지면서 급격히 축소·변형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 언급된 것처럼 해수면 변화 과정에서 침식곡의 발달하고 하천 연안의 범람과 퇴적물에 의한 지류차단이 이루어지면서 형성되었다. 또한 낙동강 연안 하류에 이르러 매우 완만한 하상구배와 저평지를 이루고, 집중 호우시에 잦은 범람과 침수, 역류 등이 생기면서 습지가 형성·유지되었다. 셋째, 낙동강 하류 습지는 화포천, 중앙천, 함안천, 석교천, 계성천 등 비교적 중규모 내지 소규모 지류의 하도 내에 발달이 두드러진다. 지류의 최상류에 해당하는 1차수 하천에는 소규모 습지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자연제방에서부터 아래지역이 다른 용도로 변화되어 매립됨에 따라 소규모로 고립되어 남게 되었기 때문이다. 하천 범람성 퇴적물에 의한 습지는 주로 자연제방의 뒤에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은 저지대의 범람으로 형성된 전형적인 배후습지나, 배후 습지성 호소가 대부분이다. 또한 범람 퇴적물에 의해 구유로가 차단되어 고립되어 나타나는 구하도성 습지의 형태도 나타난다. 석교천이나 함안천, 계성천등과 같은 하천의 하도 양안에는 사력퇴에 의해 형성되어진 습지들도 나타나고 있다. 이들 습지는 사력퇴에 의해 점차 차단되어 가고 있으면서 그 배후에 형성되어 있거나, 하중도가 형성되어 그 주변이나 하중도 내에 형성되기도 한다. 산지성 퇴적물로 이루어진 습지는 일반적으로 주변 배후산지에서 운반된 퇴적물로 일부분이 차단되거나, 분리되어 지류 차단형 습지 형태를 보이고 있다. 넷째, 낙동강 하류의 주요 습지들은 농경지나 주거지 등으로의 전환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면서 그 토지이용이 단순화 되고 있다. 남강의 경우 1910년대와 비교해 볼 때, 과거 습지의 90% 이상이 다른 용도로 변화되었으며, 현재 10%미만의 습지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토지 이용 전환으로 인한 습지 중 87%이상이 농경지로 변화되었고, 7.1%가 공업용지, 3.5%가 주거지로 전환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공장지대나 낚시터, 도로건설 등으로의 변화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그 외에도 경비행장 건설, 양어장 건설, 낚시터 등으로 전환되고 있다. 다섯째, 낙동강 하류 습지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습지인 우포늪은 습지 경관 변화를 살펴보기에 가장 적절한 지역이다. 우포늪 일대는 지난 해수면 상승 이후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하나의 큰 호소를 이루었다. 하지만 우포늪은 낙동강이나 토평천과 같은 소하천 지류에서 운반되는 토사의 퇴적으로 현재 상태처럼 분리, 축소되어 가고 있다. 또한 제방의 건설, 저수지의 축조, 농경지 등 토지이용 전환으로 인한 인위적인 변화의 증가는 자연적인 습지의 흐름이 차단시키고, 습지를 분절시키는 요인이 되어 토사의 퇴적 증가 및 지형 환경의 변화를 더욱 가속화 시켰다. 이는 자연적인 수문 환경을 인위적으로 변화시켜, 건기에는 일부 습지의 바닥이 보일 정도로 건육화 시킨다. 반면 집중강우가 동반되는 홍수기에는 유입수의 증가와 낙동강의 범람으로 인한 역류로 습지와 그 주변을 침수시키는 등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습지 식생 경관 및 동식물 생태계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평상시에는 범람과 역류 빈도의 감소로 인한 건육화로 습지 식생이 육상 식물과 복잡하게 어울러져 나타난다. 하지만 집중 호우시 초본 습지 식생의 경관을 보이던 곳이 수변 수림으로 변화하고, 수변관목 등이 우점 하던 곳이 목본류 습지 경관으로 변화되는 등 수직적 띠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또한 각종 오염의 증가로 외래종 침입이 증가하면서 동식물의 생육과 성장에 장애가 되는 등 습지의 변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섯째, 낙동강 하류에서 나타나는 하천습지의 유형은 위치상으로 배후습지와 하도 습지로 구분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그 지형적 성인으로 인해 배후습지는 범람형 습지, 지류 차단형 습지(예; 구하도형), 잔류형 습지 등으로 구분된다. 하도 습지는 주로 사력퇴의 형성과 관련한 것으로, 하중도형 습지, 사주(bar)형 습지, 합류지 습지, chute 형 습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저수지 건설과, 보, 제방 등의 건설 등으로 인해 자연습지가 변형되거나 인공적으로 조성된 인공습지로 분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낙동강 습지의 이용과 보전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그 보전 및 가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정부와 지역사회 참여로 개발과 보전의 조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습지의 주요 기능과 역할 그리고 습지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개선 대책이 이루어져 습지를 하나의 생태계로 인식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국토이용체계를 수립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습지 보존을 위한 지역주민과 행정당국과의 원활한 교섭으로 지역에서의 갈등을 최대한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Wetland is defined as a part of natural ecosystem by itself. However, due to human impact such as excessive reclamation and filling-up of wetland, wetland landscapes have been transformed to land uses and then rapidly. There are relatively more major wetland in the Nakdong river in South Korea. However, the size of wetland has been reduced definitely and there has been lack of understanding about changes in wetland in the study area. Furthermore, recent development of land without considering ecological the function of wetland has created many problems.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the distinctive feature sand the cause for formation of wetland in the lower Nakdong river are discussed. Also, wetland will be classified with consideration of the changes in land use and environment.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the current condition of wetland resulted from damages destroying by human action was analyzed and the land use preservation of wetland will be presented. The major content and methodology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udy area are mapped using the topographical map for the 1910s, 1960s and 1990s. Then, the distribution and change of wetland are discussed. Also, the current condition of land use and classification of present wetland in selected area within the study area will be analyzed through Landsat ETM pictured in 2001. In addition, the monitoring and change of wetland are compared in reference with an field survey and MSS pictured in 1981.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wetland formation are discussed by means of the field survey and GIS. Change in wetland environment is to be analyz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land use and change. Finally, a classified map is presented based on the types of wetland classified.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Wetland in the lower Nakdong river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branches of the river rather than the main stream of the river, and the dimension of wetland has been continually reduced. Around the year 1910, there was noticeable development of wetland in the condition of relatively natural lakes and ponds, swamp-type wetland combined with hydrophytes and a reedy marsh. However, the area of wetland abstracted through an ETM images in 2001 occupies only 5% of total studied region. This is because the wetland has been diminished rapidly due to increase of irrigation works and development of cropland sinc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addition, wetland in the lower Nakdong river has been reduced and transformed quickly due to natural reclamation through neighboring ranges or a deposit of branch stream. 2. The reason why there distributed relatively wide wetland in the lower Nakdong river is because, eroded and planated valley was developed during the change in sea level and wetland was formed due to isolation of branch stream by flooding alluvial sediment along river channel. Also, a very gentle gradient of river channel and low plain were formed in the vicinity of delta of Nakdong river, and wetland was developed and maintained while there occurred frequent overflow, flood and backward flow in time of severe rainstorm. 3. Wetland in the lower Nakdong river is developed mainly within the branch channels such as relatively medium-sized or small-sized rivers such as Whapo river, Joongang river, Haman river, Sukkyo river and Gaesung river. Most wetland developed by flood deposit is in the form of back wetland that was formed by overflow of relatively low land behind natural bank or in the form of back wetland swamp. Also, it is shown in the form of abandoned channel wetland developed by isolation of old river channel formed by flooding alluvial sediment. Wetland formed by sand and gravel bar is much appeared in the branch channels of river such as Sukkyo river, Haman river and Gaesung river. This wetlands are formed in back swamp is lated from Nakdong main channel, but it becomes isolated gradually by sand bar. Also, it is formed around or within mid-channel island. Wetland formed of a colluvial deposit is generally isolated or segmented due to a deposit carried from vicinity ranges and it generally appears in the form of branch-dammed wetland. 4. Most wetland in the lower Nakdong river has been converted mainly into farming or residential area. In Nam river, for an example, 90% of wetland in the river has been changed for other purposes and only 10% of wetland has remained comparing to one of 1910s. In change of land use, 87% has been converted into farming area, 7.1% into industrial area and 3.5% into residential area. Recently, there has been remarkable conversion of wetland into factory area, fishing place or road. Also, wetland has been converted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an airfield and fish farm. 5. Woopo swamp, the most representative wetland in the Nakdong river, is known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region to examine change of wetland sight. The area of Woopo is composed of more small water bodies such as swamp and pond and connected into big one swamp since the past rise of sea level. However, current Woopo swamp is separated and reduced in size due to sedimentation originated from branches of river such as the Nakdong river or the Topyung branch river. Human impact such as construction of bank, reservoir or farming area interfered with natural development of wetland. Also, it caused isolation of wetland so that it has accelerated increase in accumulation of deposit and change in geographical environment. This has changed natural hydrologic environment artificially, which caused dehydration of wetland to the degree that the bottom of wetland may be visible during dry season. On the other hand, during rainy season when severe rainstorm comes, many problems are created, such as submersion of wetland and its vicinity due to rise of inflow and overflow of the Nakdong river. This has affected hydrophytes landscape and ecosystem of animal and plant. At ordinary times, hydrophytes comes into sight along with land plant due to dehydration as a result of reduced frequency of overflow and backward flow. In case of severe rainstorm, there formed a vertical belt where predominance of herbaceous plant has changed into one of shrubs where waterside forest and waterside bush occupy. In addition, as invasion of an introduced specie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wetland be has become more comfortable for channel-bed wetland in the hinder animal and plant from rearing and growing. 6. The pattern of wetland observed in the lower Nakdong river can be divided into back-wetland and channel-bed wetland based on geomorphic location. Then, back-wetland such as back-marsh and back-swamp is separated into overflow-type and branch-damming type(i.e, abandoned old river channel type) and relict-type wetland based on geomorphic features. channel-bed wetland is mainly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sand and gravel bar and it can be sub-divided into mid-channel island-type wetland, bar-type, confluent channel-type and chute-type wetlands. Also, there are artificially transformed wetland such as construction of irrigation reservoir, irrigation pool or bank. 7. The policies for and preserving wetland in the Nakdong river include the following. First of all, ecological value of the natural wetland must be evaluated. Also, development of wetland must be in harmony with preservation of wetland through participation of native and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an improvement planning considering the major function and role of wetla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wetland are required. Of course, a pro-environmental land use is very important for keep wetland as a part of ecosystem. Finally, local residents and administrative government should corporate each other in order to minimize conflict of interest.

      • 가정보육시설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정진순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저 출산 고령화 사회의 문제와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및 가족형태의 변화 등으로 인해 보육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가족 고유의 기능으로 여겨왔던 영유아의 양육과 교육의 많은 부분이 사회 즉, 유아교육기간으로 옮겨 오면서 보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이같이 보육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이제 교육과 보호 중 어느 것이 우선적인 것인가에 대한 논의에서 벗어나 이 두 가지 기능을 통합한 질적 보육으로 발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1960년대 이후 산업화 속에서 사회가 여성인력을 과거보다 더 많이 요구하게 되었고, 많은 여성들이 전문직을 비롯한 여러 직종에서 능력을 발휘하여 사회발전에 공헌하고 있다. 유능한 여성인력의 동원은 사회의 발전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더욱 장려되어야 하겠지만, 여성취업의 증가현상은 육아문제 즉, 아동에게 필요한 교육 및 보육문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청주지역의 가정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보육인력, 보육프로그램, 보육료, 시설 설비, 보육시설 운영의 규정 준수정도 등의 운영 실태를 통하여 아동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조사와 더불어 충청북도 청주시 가정보육시설의 시설장을 대상으로 156부의 설문지를 배포, 106부를 설문조사 하였고, 자료 분석 방법에 있어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12.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시설장연령은 30대, 전문대졸 이상, 운영기간 3-6년 미만, 시설장과 보육교사겸직, 일반보육시설운영, 보육인원 평균 14명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인력현황으로 보육교사가 3명 이상, 연령은 30대, 전문대졸, 영아, 아동 관련전공자, 1급 보육교사, 현 시설에서의 근무기간 1년 미만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프로그램에서 건강과 안전보호는 시설과 부모 모두 중요하게 생각, 대부분 특별활동 실시,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특별활동비 부담, 특별활동 비용부담은 부모와 시설이 함께 부담, 특별활동 담당은 대부분 외부 강사, 보육계획안은 담임교사나 원장이 작성, 참고교재는 영유아보육에 관한 서적 참고, 대체로 주간계획안을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료는 정부표준보육 단가로 결정, 보육료 기준이 시설운영에 부족, 아동의 초과 이용시간은 추가보육료를 받지 못하며, 보육료 자율화를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시설설치는 대부분 아파트 지역, 자가가 80.2%, 면적평균 30.80평, 대부분 1층 설치, 노후한 설비 및 비품 교체는 매월 운영비로 구입, 화재를 대비해 소화기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보육시설 운영의 규정 준수정도에서 보육서비스와 보육환경의 시행 정도는 우수, 지역사회 연계는 운영기간이 1년-3년 미만과 9년-17년 미만인 경우 우수, 1년 미만, 3년-6년 미만, 6년-9년 미만인 집단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개선방안으로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정부 및 지자체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가장 중요, 어린이집 거리제한 필요, 정책의 문제점으로 교사 처우개선 필요, 재정지원미흡, 24.5%는 평가인증을 받았고 평가인증 받은 후 36.0%가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답변, 평가인증지표 중 보육환경, 운영관리영역은 보육의 질과 관계가 있으며 평가인증을 위해 정부 지원이 매우 필요, 시설운영의 어려움은 연합회에 문의, 정원미달 이유로 주변에 보육시설 및 유치원이 많기 때문, 보육 바우처 제도 대부분 반대 82.1%, 반대이유는 소비자 권한 확대로 민원증가 우려, 가정보육시설의 장점은 ‘아동에게 가정과 같은 심리적 안정을 준다’ ,단점은 소규모로 공간이 부족하다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보육인력의 합리적 운영이 요구된다. 보육교사의 현행 보수교육 시간을 늘리고 교육 참여를 의무로 규정, 정기적 연수를 통해 전문성 향상, 보육교사 초과 수당 지급 또는 대체교사제 활용의 보편화,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국가차원에서 처우개선을 위한 봉급체계를 제로베이스에서 새로이 편성해야 한다. 둘째, 영아의 발달단계에 맞는 표준화된 보육프로그램이 재개발되어야 한다. 정부는 영아들의 발달단계에 맞는 표준화된 보육프로그램의 재개발 및 보급에 힘써 영유아들이 어느 시설을 이용하던지 질적 수준이 보장된 균일한 보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가정보육시설에 현실을 고려한 표준보육비 재산정이 요구 된다. 현재의 표준보육비 수준이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지나치게 낮게 산정되어 있으므로 가정보육시설에 현실을 고려한 표준 보육비의 재산정이 요구된다. 넷째, 시설설비비 확대 지원이 요구 된다. 가정보육시설에도 시설설치 및 보수비를 지원해 줌으로써 보다 쾌적하고 안정된 환경에서 원아들을 보육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보육시설 These days, child care functions have been emphasized because of problems of low birth and aging society, expansion of women's entry into the society and changes of family form, etc. A lot of parts of rearing and education of young children that were thought to belong to inherent function of family were transferred to the kindergarten to increase interests in the child care. The higher interest in the child care was out of the debate of priority between education and protection to integrate both functions and to develop qualitative child care. Since the 1960s in Korea, the industrialized society demanded women workforce more than before so that a lot of women showed their abilities at many jobs including professionals to contribute to social development. Recruitment of competent women workforce was desirable and encouraging from point of view of social development: But, more women employment produced child care problem, that is to say, child education and child ca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common characteristics, workforce, programs, fees, facilities and observance of operation regulations of child care centers at Cheongju to suggest improvement that could improve quality of child care. The subjects were directors of family child care centers at Cheongju-si, Chungcheongbuk-do. Not only questionnaire survey but also literature survey was used. 156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106 copies were used to investigate. SPSS 12.0 for Windows was used after data coding as well as data cleani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ly, the subjects had common characteristics, for instance, ages at their thirties, technical college graduates or higher, 3 years to less than 6 years operation time, having dual job of both director and child care teacher, operation of common child care centers, 14 children in average at each child care center, etc. Secondly, child care centers had characteristics of the workforce: For instance, 3 teachers or more, ages at their thirties, technical college graduates, the ones who were majored in young children related science at colleges, 1st class child care teachers, and less than 1 year service at current child care center, etc. Thirdly, not only the child care centers but also parents though much of health, safety and protection of child care programs. Most of the centers practice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But, some of them did not because of burden of extra curricular activities expenses. Not only the centers but also parents pai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expenses. External lecturers mostly took charge of extra curricular activities. Either teacher in charge or the director made out a draft of child care plan. Young children care related books were used for reference. The centers mostly made out weekly plans. Fourthly, the centers decided on child care fees according to standard prices of child care of the government. The base of the fees was in shortage to manage the centers, and the centers were not paid extra fees against excess hours of the children. Self-control of the fees was not adopted because of opponents. Fifthly, the centers were mostly placed in or near apartment complexes to be owned by directors (80.2%), and had 102㎡ (30.8 Pyeong) of floor space in average, and were mostly placed at the first floor, and replaced obsolete facilities and fixtures by paying monthly operating expenses, and were equipped with fire extinguishers in preparation for fire accidents. Sixthly, not only child care services but also child care environment was good at observance of the regulations of the centers. The centers' linkage with community varied depending upon operating time: For instance, good at 1 year to less than 3 years and 9 years to less than 17 years, and reformation required at less than 1 year, 3 years to less than 6 years, and 6 years to less than 9 years, etc. Seventhly, improvement ways were as follow: Not only central government but also local governments were asked to support administration and finance of the centers to improve child care quality. Limitation of distance with nursery school was required. And, political problems were as follow: The teachers should be given better treatment. Financial supports was not enough. The directors said as follow: The centers were given rating authentication (24.5%) and made no change after the authentication (36.0%). And, the child care environment and operation management of the rating authentication indexes had relations with child care quality, and the government's supports were essentially needed to do rating authentication. The centers had difficulties at inquiry into the association. The capacity was not occupied because of too many nursing school and kindergartens nearby. Most of the directors opposed nursery education voucher (82.1%) because of more civil petition caused by expansion of consumers' rights. The family child care centers had advantages of "The children can be given advantages of psychological stability to feel staying at home.", and disadvantages of narrow space because of small scale of the centers. The findings suggest as follow: Firstly, child workforce is demanded to manage it in reasonable way: For instance, extension of current maintenance training time of child care teachers, regulation of training attendance being an obligation, improvement of professionality by regular training, payment of overtime allowance in favor of the teachers and popular use of substitute teacher system, and reorganization of salary system to elevate treatment of both the directors and the teachers at the governmental level, etc. Secondly, standard child care program that can meet development stages of the infants shall be redeveloped. The governments shall redevelop and distribute standard child care programs that can meet development stages of the infants, so that the infants shall be given uniform services at all of the child care cen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