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요한계시록은 상징적인 다양한 주제들 때문에 연구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킨 책이다. 이런 상징의 난해함을 자신들의 교리에 따라 주관적 해석과 자의적 판단으로 저자 요한의 본래적 의도를 벗어나 여러 혼란을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요한계시록의 해석이 이제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이 요구되는 시점에, 예배적 관점이 본문의 중심 주제와 가장 합치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전과 예배가 나타난 단락들을 주석하고 논구함으로써 요한이 웅변하고 있는 참 예배와 진정한 예배자들의 모습을 드러냈다. 요한이 진정한 예배를 촉구한 것은 초기 그리스도 공동체가 어려움에 직면해 있었기 때문인데, 요한계시록의 시대적 배경이 로마의 평화(Pax Romana)라는 깃발아래 속국들에게 자행된 정치적인 억압이 그것이다. 또 황제의 통치를 강화를 목적으로 황제의 신격화와 속국의 일정 지역에 황제제의를 위한 제단의 설치와 운영되었다. 이 제의를 유치하는 자들과 협조자들에게 주어지는 특권과 경제적 이익의 배려가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예배 공동체와의 관계 속에서 상수로 작용하였고, 신앙적 어려움을 직면케 했다. 또 황제제의와 관련하여 초기 그리스도 공동체가 거부해야 될 예배를 13장과 17장의 두 짐승의 활동을 통해서 그 사실의 고발하고 있다. 그렇다면 요한이 제시하는 참 예배와 예배자의 모델을 무엇인가? 신약성경은 예배에 대한 사례를 많이 제공해 주지 않지만, 요한은 4장에서 천상예배를 그 모델로 선명하게 제시 한다. 요한은 주의 날에 성령 안에서 천상에 이끌려 종말론적인 천상예배를 선험하고 이 장면을 구약성서의 기자들에 의해 제시된 종말론적인 완전한 성전 모티프들을 인유하여 소개한다. 천상예배는 위기에 직면해 있는 지상 예배 공동체에게는 위로를, 6장 이후에 전개될 징계와 심판의 진원지의 기능을 수행하며 한다. 천상예배의 중심은 하나님 보좌이며, 그 보좌는 승리하신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나누시며 동일하게 주권적으로 통치하고, 천상의 피조물들과 지상의 모든 피조물들이 함께 경배와 영광을 돌린다. 이 예배가 지상의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드려야 되는 진정한 예배이다. 또 요한은 종말론적으로 용과 짐승의 패배와 짐승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올라온 진정한 예배자들을 소개하고 있다. 마지막 일곱 번째 봉인을 남겨 놓고 여섯 번째 봉인을 연 직후에 등장하는(7:1-8) 144,000은 구원 받은 백성으로서 하나님의 충만한 숫자로 소개되고 있고, 또 일곱 번째 나팔이 울린 직후(14:1-4)에 등장하는 144,000은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 앞에 선 무리로 묘사된다. 그리고 “셀 수 없는 큰 무리”(7:9-17)도 144,000과 결국 같은 사람들이다. 하나님의 징계와 환란 진행되는 사이에 삽입으로 소개하는 저자의 의도는 이 예배자들은 믿음과 인내로 두 짐승들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올라 왔음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들은 이마에 “어린양의 이름”과 “그 아버지의 이름”을 쓴 것이 있고, 여자로 몸을 더럽히지 않고, 순결하고, 어린양의 인도를 받아 그 가운데서 속량함을 받아 처음 익은 열매들로 입게 거짓말과 흠이 없는 자들로 표현된다. 이들에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부로 준비된 새 예루살렘의 터가 제공되는데, 이 성에는 성전이 보이지 않는다. 단지 하나님의 영광의 임재와 예수 그리스도의 등불이 성전이다. 흥미로운 것은 이 성을 소개한 천사는 음녀 바벨론의 심판을 위해 진노의 대접을 들었던 천사로서, 동시에 새 시대를 여는 새 예루살렘 성을 소개하고 있는 것이 흥미로운데, 이는 역사의 종말과 새로운 시대의 여명을 동시에 보여준다. 요한은 새 예루살렘 성을 구약성서 기자들의 종말론적 성전의 기록을 인유하여 소개하고 있다. 정리하면 요한은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예배 공동체가 로마의 정치적 억압과 황제제의의 강요로 예배의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거부해야 될 거짓 예배와 따라야 될 진정한 예배의 모델을 제시하고 결단을 촉구하고 있다. 이 땅의 권력과 우상숭배는 허상이면 실상은 하늘 보좌에 하나님과 승리하신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가 왕 중의 왕이고 유일한 예배의 대상임을 천명하면서 말이다. 따라서 믿음과 인내로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의 신부로 단장되는 이들에게(144,000, “셀 수 없는 큰 무리”)그리스도의 신부로 준비된 새 예루살렘 성이 제공 될 것임을 말해준다.
초 록 욥기의 질문은 “무죄한 고통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이다. 욥은 자신에게 닥친 고난에 대하여 무고함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질문자의 신앙’으로 감히 하나님을 인간 법정에 소환을 시도하는데, 하나님은 이 소환에 응하신다. 하나님은 이 법정에서 욥의 질문에 하나하나 답변하지 않으시고 단지 하나님의 창조적 지혜로 지으신 세계를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세계를 깨닫게 하신다. 욥은 여기서 ‘창조적 지혜 신앙’을 깨닫게 되고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를 갱신하게 된다. 이때 하나님은 욥의 친구들의 용서와 회복을 위한 중보기도를 제안하신다. 하나님의 요청에 욥은 순종으로 응답한다. 이 중보기도적 제사를 하나님이 기뻐 받으심으로 욥의 친구들의 용서와 회복뿐만 아니라 욥의 종교적 권위와 자산의 회복(42:10), 상실되었던 모든 사회적인 관계(42:11), 그의 자녀들, 그리고 그의 생명이 차례대로 회복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42:12-16) 본 연구자는 욥의 깨달음과 갱신의 실제화가 친구들을 위한 중보기도였으며, 그 후 회복의 현상들이 따라 왔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욥42장 10절의 중보기도는 욥의 깨달음과 새로운 사명의 삶으로 나아가는 기점이며 전인적인 회복의 단초가 된다. 본 연구자는 욥의 중보기에서 전인치유적, 제사장적, 그리고 새 창조적인 중보기도의 특징을 발견하였는데 이 점을 현대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자리에서 성숙한 신앙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표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은 일별하면 다음과 같다. 제Ⅰ장에서 연구의 목적, 연구방법, 그리고 연구사를 제시하였고, 제 Ⅱ장에서 하나님의 정의의 문제를 가지고 중보기도 아브라함, 대속의 중보기도를 드렸던 모세, 그리고 잘못된 중보기도자로서의 요나의 삶을 관찰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욥기 42장 10절의 정경적 위치와 욥기의 구조, 신학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중보기도의 동기와 범위, 그리고 결과들을 고찰하고, 새롭게 된 “내 종 욥”으로 세워지기까지의 모습을 조명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욥기 42장 10절의 본문 주석을 통하여 욥의 중보기도의 특징을 분석하고, 아브라함, 모세, 그리고 요나의 중보기도와의 연관성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Ⅴ장에서는 결론적으로 전체 내용의 요약과 함께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자리에서 적용점을 찾아보았다. ABSTRACT Job’s question to God is ‘how do you explain the innocent pain?’ The resistant complaints on the innocent suffering has brought God to the tribunal court. God has responded his cry. However, He does not answer every single question Job asked. Instead, he has showed Job the world He had created with His infinite wisdom. Job came to realize the ‘wisdom from the faith in creation’ and renewed his identity and his value in the world of God’s creation. At that time, God suggested an offering for intercessory prayer in order to heal Job’s broken relationship with his friends. Job followed God’s suggestion. God was pleased with his sacrifice of intercessory prayer, and recovered Job in every aspect: social status (verse 42:11 such as lost friendship), religious status, economic status (verse 42:10). Furthermore, He blessed Job in his household and health (42:12-16). Throughout the study of this paper, I have discovered that Job’s realization of himself and his renewal of his faith were crucial moment of his intercessory prayer. Therefore, the intercessory prayer in Job 42:10 was the new starting point and the foundation for holistic recovery. This paper provides the features of intercessory prayer that are manifested in Job 42:10, which are holistic, priestly, and creative: these features can be seen as indicators for Christians to lead more mature Christian life. The study was done in the following manner: the first chapter talks about the purpose, the method, and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talks about examples in the Bible from God’s righteous perspective: people in the Old Testament who offered redemptive intercessory prayer such as Abraham and Moses, as well as Jonah, who had misunderstood of intercessory prayer. The third chapter talks about the status of Job 42:10, theological implication, motive and coverage of intercessory prayer, and the results of intercessory prayer that lead to the “my servant, Job”. The fourth chapter analyses the features of Job’s intercessory prayer and compares it with other intercessory prayers offered by Abraham, Moses, and Jonah. The fifth chapter conclusively summarizes this paper and lists some application for Christians.
형태적 특징 및 SSR 분자마커를 이용한 들깨와 차조기 그리고 이들 잡초형들에 대한 유전적 변이성 연구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재배 및 자생하고 있는 들깨, 차조기 그리고 이들 잡초형들 62계통에 대하여 15가지의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고 그를 바탕으로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분산분석에 의해 들깨와 차조기는 식물체의 초장과 천립중의 조건에서 뚜렷하게 분리되었으며, 더욱이 들깨의 재배형과 차조기의 재배형은 주성분분석(PCAs)에서 뚜렷하게 분리되었다. 식물체의 초장, 종자무게, 털의 유무, 잎모양, 잎색, 식물체 향, 꽃색, 줄기색 그리고 종자 크기와 같은 양적 및 질적 형질들은 제 1축에서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으로 기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산분석과 주성분분석(PCAs)에서 들깨 재배형과 잡초형의 대부분의 계통들은 명확하게 분리되었지만, 차조기의 재배형과 잡초형의 대부분의 계통들은 명확히 분리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차조기의 재배형은 완전히 재배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야생형 또는 잡초형들이 재배에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반면에 들깨의 재배형은 재배화된 형태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들깨, 차조기 작물의 유전자원 보존 및 육종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형태적 특성 조사를 마친 62계통들 중 54계통을 선발하여 10개의 SSR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0개의 SSR primer들에서 총 58개의 대립단편을 얻었으며, 유전적 다양성의 값은 0.365-0.755의 범위에서 평균 0.575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SSR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과 이들 잡초형 집단들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비교에서는 들깨와 차조기의 잡초형들이 그들의 재배형들보다 비교적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었다. UPGMA dendrogram은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었으며 이것은 몇몇의 예외적인 계통을 제외하고 그들의 형태적 변이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의 유전적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the two cultivated types of 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 and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Korea and Japan, I studied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62 accessions by examining 15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y using ANOV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I determined that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show significant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terms of plant height and seed weight. Furthermore,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could also be clearly discriminated from one another using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pecificall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height, seed weight, degree of pubescence, shape of leaf, color of leaf, fragrance of plant, color of flower, color of stem and seed size greatly contributed to differences seen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 on the first axis. In this study, most accessions of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those of its weedy type could be clearly discriminated from one another. However, most accessions of cultivated and weedy types of var. crispa were not clearly discriminated by the ANOVA and PCA analyses. In addition, I studied the genetic variation among 54 accessions of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by using 10 SSR primers. As a results, I identified a total of 58 alleles. Gene diversity varied from 0.365 to 0.755 with an average of 0.575. The accessions of weedy type of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showed more variable than thouse of cultivated type of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An UPGMA phylogenetic tree revealed two major groups which were congruent with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except for several exceptional accessions. In this study these results will help ensure the long-term success of breeding programs and maximize the use of the germplasm resources in Korea and Japan.
보훈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경력정체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지인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국내석사
보훈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경력정체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지인 지도교수 : 박정민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보훈병원에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조직문화와 경력정체 정도를 파 악하고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 상은 B, D1, D2, G광역시에 소재한 보훈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연구목적을 이 해하고 자발적 참여에 동의한 223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G광역시 보훈병 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4년 8월 13일 부터 31일까지 진행하였다. 모든 측정도구는 개발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간호조직문화는 Quinn 과 & Rohrbaugh (1983)의 경쟁가치이론을 바탕으로 한수정(2002)이 개발한 도구를, 경력정체는 Millman (1992)이 개발하고 간호사를 대상으로 고정아와 김희영(2018) 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직무만족은 이병숙, 어용숙과 이미애(2018)가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직무만족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분산분석 으로 분석하고, 사후 검정은 Scheffe ́ test로 하였다. 또한,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Mulitple regression analysis를 하였고,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ɑ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평균 35.58±7.71세로, 30∼39세가 101명(45.3%) 로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120명(53.8%), 종교는 없는 경우가 137명 (61.4%)으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88명(84.3%), 학력은 대학교 졸 업이 159명(71.3%), 현재 근무부서는 일반병동이 129명(57.8%)으로 가장 많았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12.09±7.96년으로, 5∼10년 미만이 70명(31.4%), 현 부서경력 은 평균 2.44±2.07년으로 1∼3년 미만이 96명(43.0%)으로 가장 많았다. 근무형태 는 교대근무가 180명(80.7%), 이직경험은 있는 경우가 121명(54.3%)으로 많았다. 2. 대상자의 간호조직문화는 5점 만점에 위계지향문화가 3.60±0.58점으로 가장 높았 고, 다음으로 관계지향문화 3.43±0.66점, 혁신지향문화 3.20±0.57점, 업무지향문화 3.01±0.50점 순이었다. 경력정체는 5점 만점에 구조적 경력정체가 2.88±0.59점으 로 내용적 경력정체 2.59±0.52점보다 더 높았다.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3.54±0.49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는, 연령(F = 14.23, p < .001), 결 혼상태(t = -4.19, p < .001), 종교(t = 2.82, p < .005), 직위(t = -4.52, p < .001), 근무부서(t = -2.38, p < .018), 총 임상경력(F = 8.63, p < .001), 근무형태 (t = -3.65, p < .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간호조직문화, 경력정체,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 조직문화 중 관계지향문화(r = .55, p < .001), 혁신지향문화(r = .61, p < .001), 업무지향문화(r = .31, p < .001)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경력정체 는 구조적 경력정체(r = -.33, p < .001)와 내용적 경력정체(r = -.71, p < .001) 에서 모두 직무만족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용적 경력정체, 관계지향문 화, 총 임상경력이 5∼10년 미만, 15∼20년 미만의 순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 력은 61.4%였다. 내용적 경력정체가 짧을수록(β = -.49, p < .001), 관계지향문화 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β = .26, p < .001), 총 임상경력이 5년 미만보다 5∼10 년 미만(β = .13, p < .047), 15∼20년 미만(β = .14, p < .048) 일수록 직무만족 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보훈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내용적 경력정 체와 관계지향문화에 대하여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개인차원 에서 간호사 개개인의 내용적 경력정체 극복을 위해 경력관리나 경력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을 관리할 수 있도록 조직차원에서의 다양한 지지체계 확충과 지원방안 마련하고, 관계지향문화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키기 위해 팀워크와 소통을 중시하는 조직문화를 조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보훈병원 간호사의 직 무만족을 향상시키고, 간호조직의 성과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공공의료를 담당하는 보훈병원이라는 특수한 조직의 간호사 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보훈병원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사 의 경력정체와 직무만족 간의 관련성 및 영향요인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조직의 효 율적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용어 : 보훈병원, 간호사, 간호조직문화, 경력정체, 직무만족
I.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he the relations between the self-concept and the attribution tendencies of the students, supposing that they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the human behavior. For these aims,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set up : 1.The self-concept may be different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 groups. 2.The attribution tendencies may b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3.The attribution tendencies of each group may be different in feilure situations as well as in successfill situations. 3-1.The attribution tendencies may be different in higher and lower self'-concept groups. 3-2.The attribution tendencies will be different in the successful and failure situations of the higher and lower self-concept groups. II. METHOD 1. Subject To test these hypotheses, 178 students (89 boys and girls) of middle school, in Kong-ju city, Chungnam were sampled as subjects of this study, from September 5 to 12, 1996. 2. Instrument Two source materials were used for this study : 1) In order to measure the self-concept, ¡¸self-Concept Test¡¹by Kim Ki-jung were used. 2) In order to measure the attribution tendencies, ¡¸Attribution Tende ncies Test¡¹ by Lee Young-jae were used. 3. Data Analysis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stastistical method of One-way ANOVA, taking advantage by spss/pc+. III.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Boys'and girls'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ntncies in self-concept. The boys' group got higher score than the girls' in the Physical, character and social self-concepts, except the supposed self-concept. 2. There were different attribution tendencies according to sex. 2-1.The attribution tendencies in a successful situation were different in ability-attribution and effort-attribution according to sex(P<.001). 2-2.In both boys' and grls'groups,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ir successes were due to their inner factors - self-abilities and self-effort, etc. . 3. There were different attribution tendencies between successful and failure sitllations according to the higer and lower self-concept groups. 3-1.In the higher self-concept group, the students attributed their success to their own efforts, abilities, assignments, and momentary good luck. 3-2. In the lower self-concept group, the students attributed their failure to the assignments and lacks of fortune. There were mean ingful corelation between higher and lower self-concept groups. IV. DISCUSSion In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both the self-concept and the attribution tendences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 groups. The data also showed that attribution tendencies of higher and lower self-concept gmups were different in feilure situations as well as success situations.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the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o help the students so that they could build up their positive self-concepts, getting hold of the students' self-concept levels and taking counsels with them about their individual self-concept formations.
적층제조 공정으로 제조한 Co-Cr-Mo 합금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물성에 대한 연구
This work investigated the effect of line energy on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Cr-Mo alloy single-track fabricated by the directed energy deposition (DED) method was investigated. As the line energy increased, the Co-Cr-Mo alloy single-track became wide and thick, and the thickness of the fusion zone at the interface increased because of the enthusiastic reaction with the substrate material. The Co-Cr-Mo alloy single-track with low line energy has a columnar grain microstructure with a strong (0 0 1)γ texture parallel to the build direction. In contrast, the single-tracks with high line energy have mixed microstructure, including fine columnar grains and coarse equiaxed grains, with random texture. In addition, the SDAS of the single-track depends on the line energy due to the rapid cooling rate. The diffusion of alloying elements from the substrate material throughout the fusion zone occurred and influenced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Cr-Mo alloy single-track. The single-track with high line energy has poor hardness and low elastic modulus because the line energy determines the diffusion of alloying elements. The rapid cooling rate induces residual stress, which promotes the strain-induced ε-Co phase in the Co-Cr-Mo alloy single-track. The effect of the ε-Co phas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ingle-track is insignific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discuss on the declaration of irreconcilability in Germany ("Unvereinbarerklarung") and especially in Korea.("Honbopbulhapch"') The declaration of irreconcilability is a form of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ough the system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is similar with that of Austria, the declaration of irreconcilability exist in Korea and Germany. At first, the declaration of irreconcilability come into existence in Germany. Later,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used the form of the declaration of irreconcilability in 1989. It is a constitutional principle of the Grundgesetz that an act of legislature, repugnant to the constitution., is ipso iure void. Only the Bundesverfassunsgericht (BVerfG)- it menas "German constitutional court"-has the jurisdiction and the duty to decide about the constitutionality of laws. If a law is unconstitutional the BVerfG has to declare it void. From this principle the BVerfG deviates in several cases and confines itself to hold that the law is irreconcilable. In spite of this it is still unclear, in which cases a law can be declared irreconcilable and which legal consequence have to be drawn from this holding. This thesis refers to the decisions of BVerfG and tries to develop from this point a dogmatic, constitutional and practical solution of the problem. The result is that the declaration of irreconcilability is only constitutional if the law in question is repugnant to the principle of equality. In this case, there are different possibilities to eliminate the infraction of the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only the legislator has the right to decide which of these possibilities can remain as law in the future. But, because of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he has to act immediately. The consequence of the declaration of irreconcilability is that the law in question can not be applied until the decision of legislator has been formed. Only in exceptional case, and if BVerfG has disposed it, the unconstitutional law can be provisionally applied in the order to provide constitutional goods of a higher value Until now the declaration of irreconcilability has been used 15 times. but I think that all of them are not adequate. Some are adequate, but the Others are inadequate. Though constitutional court system is similar with Austria, the declaration of irreconcilability is important form of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nd is needed in Korea. To make better the constitutional court system, legislator has to revise 'the constitutional court law'. For better securing the right of people and using the system, the constitutinal court in Korea must be prudent in using the declaration of irreconcilability.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 유아 내적 표상의 매개 효과 검증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유아의 내적 표상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이론적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신도시에 위치한 유치원 7곳의 만 4, 5세 유아 110명(남아 59명, 여아 51명)과 그들의 어머니 11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동 행동 척도(Birsh & Ladd, 1998)와 또래 평정 척도(Asher, Singleton, Tinsley, & Hymel, 1979)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어머니표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Bretherton, Oppenheim, Buchsbaum, Emde와 MacArthur Narrative Working Group(1990)이 개발한 부모에 대한 표상 척도를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또래에 대한 표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또래 표상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상황에서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어머니의 행동을 관찰하여 정지나(1997)가 번안한 Erickson, Sroufe와 Egeland(1985)의 교수전략평정척도에 따라 평정하였다.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측정변인들의 기술적 통계치와 유아의 성을 통제한 부분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변인들간의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어머니가 유아에게 적절한 수준의 통제를 보이고 지지적인 행동을 많이 보일수록 유아는 또래집단에 잘 수용되고 또래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을 많이 보이는 반면 공격적이거나 과잉활동적인 행동과 비사교적인 행동을 적게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어머니표상을 매개로 하여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주었다. 즉, 어머니와의 지지적인 관계를 경험한 유아는 어머니에 대해 긍정적 표상을 발달시키고, 이러한 표상은 또래 관계에서의 유능성을 강화시키는 경향이 있었다.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어머니표상에 영향을 주며, 이는 유아의 또래표상을 매개로 하여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주었다. 즉, 어머니와의 지지적인 관계는 유아로 하여금 어머니에 대해 긍정적인 표상을 형성하도록 하며, 이러한 표상은 다시 또래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기대와 지각을 내면화하도록 함으로써 또래 관계에서의 유능성을 강화시키는 경향이 있었다.결론적으로,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표상과 또래에 대한 표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적 역할을 한다.
외국인 직접투자와 무역의 상관관계분석 : 중국의 주요 교역대상국 사례
中国的国际贸易和自20世纪80年代开始接受的外商直接投资(FDI),对中国经济有着巨大的影响。而从世界经济发展的层面来看,将贸易与投资的影响分开来研究显然不再合适。研究两者之间的关系具有更大的意义。 在此期间,学者们对外商直接投资和贸易的关系进行了理论方面和实证方面的研究。研究结果主要分为三类:替代关系,互补关系,以及不确定的关系。另外,中国外商直接投资和贸易的特点如下。中国的外商直接投资区域日趋多元化;第二产业则是其中最主要的吸引产业;外资企业的外商直接投资正在迅速增长。同时,外资企业的贸易额也在不断增加,占了总贸易额相当大比重;而中国的贸易伙伴虽在不断扩大,但仍相对集中在几个特定国家。 本论文运用了与中国有贸易往来的美国,日本,韩国等八个国家的面板数据和重力模型,对外商直接投资与贸易之间的关系进行了回归分析。研究方法是合成OLS(pooled OLS),固定效应估计法,以及随机效应估计法。模型以投资国对中国的外商直接投资规模为从属变量,以投资国对中国的贸易额,投资国市场规模,投资国人均国民收入,投资国失业率,两国首都之间的距离和投资国汇率六个变量为独立变量。与此同时,为了分析1997年亚洲金融危机对中国外商直接投资的影响,将亚洲金融危机作为协作变量加入到了模型中。 研究结果显示,对中国的贸易与对中国的外商直接投资之间存在着非常明显的互补关系。对中国的总贸易,输入,输出变量的估计系数都是正(+)的,并且从统计角度上看都非常的有利。投资国人均GDP变数的系数也正的,但统计上的有利与否要看情况。投资国的失业率变数与对中国的贸易变数的情况一样对中国外商直接投资有着积极的影响。两国首都间的距离变数和投资国GDP变数的符号各为负(-)和正,但统计上来看都不有利。此外,汇率变量对中国的外商直接投资没有影响。最后,亚洲金融危机协作变量的估计系数为正,统计上也很有利,对中国的外商直接投资有积极影响。 因此,通过本文可以知道外国直接投资与贸易的关系,以及对这个关系有影响的各个因素的变化情况。然而,由于样本数据收集困难,则导致了样本很少并且无法从行业,地域,或者商品类别的角度来分析两者之间的关系。此外,对于其他可以影响两者关系的变量也无法全面考虑到。所以,在以后有必要尝试对两者关系更紧密和更实质性的研究。 结合中国外商直接投资的特征和本文的研究结果,特提出以下几点建议。首先,中国要继续发展国际贸易并扩大贸易伙伴范围。其次,扩大贸易和投资活动的市场化,建立更完善的劳动法和就业制度,引进大量有能力的人才。再次,应扩大引进国际投资的领域。最后,针对外商投资的快速增长应设立相应的具体对策,积极推进国内企业和外国企业的合作。 Since the 1980s,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n China with the international trade, has a huge impact o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And from the side view of global economic development, it does not appropriate to analyze the impact of investment and trade separatel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ies has greater significance. During this period,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and trade is researched by not only theoretical analysis, but also empirical analysis. According the related research, there are mainly three results: an alternative relationship,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indeterminate relationship. Meanwhile, FDI inflow to China and trade'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China's FDI inflow in the region has become more diversified; the most important and attractive industry is the secondary industry; the foreign capital enterprises' FDI is growing rapidly. At the same time, the foreign capital enterprises' trade volume accounted for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the total trade; and the trading partners of China are in the growing but still relatively concentrated in a few countries. In this paper, trading partners of China like the United States, Japan, Korea and other five countries' panel data and gravity models were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DI and trade. And the research methods are pooled OLS, fixed effects estimation methods, and the random effect estimation methods. The scale of FDI inflow to China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model, while the trade volume to China, the scale of foreign investor's market, the investor's per capita income , the unemployment rat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 exchange rates were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o assess the impact on the Asian financial crisis on FDI inflow to China, Asian financial crisis was added into the model as the dummy variable.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very strong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rade volume to China and FDI inflow to China. The total trade to China, the import to China, and the export to China had expected positive (+) signs and exerted a statistically effect on the FDI inflow into China. The investor's per capita GDP also showed a positive sign but its statistical signification depended on the situation. The investor's unemployment rate such as the variable of trade to China, showed the same significance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FDI inflow to China. What's mor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 foreign investor's GDP showed a negative(-) and a positive sign, but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And the investor's exchange rate could not affect the FDI inflow to China. Finally, the dummy variables, Asian financial crisis, had a positive sign and showed very significant statistically and impact the FDI inflow to China positively. So we can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and trade, and the change of the variables which can affect this relationship by reading this paper. However, the difficulty of collecting data leaded to the lack of sample size and we can not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e and FDI from the side of industry, zoning, or product category. Unfortunately we can not consider all the variables either. It will be meaningful to analyze the relationship more compactly and more substanti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DI inflow and trade to China and the finding of this paper, there are some policy implications. Firstly, China should continue to develop international trade and expand the trading partners. Secondly, China should promote the marketization of trade and investment activities and set up more perfect labor low and employment system. Moreover, we should using a lot of capable talent. Thirdly, the field of international investment should be expanded. Finally, we should set up the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because of the rapid growth of foreign investment in addition to promoting the cooperation between domestic enterprises and foreign enterprise actively. 1980년대부터 시작된 중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는 국제무역과 함께 중국 경제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세계 경제 발전의 측면에서 투자와 무역의 영향을 개별적으로 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고 양자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더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 동안 외국인직접투자와 무역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이론분석 방면뿐만 아니라 실증분석 방면에서도 많이 이루어졌다. 많은 연구 결과들을 보면 주로 3가지가 있다: 대체적인 관계, 보완적인 관계, 그리고 불확정한 관계이다. 한편,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와 무역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 외국인직접투자의 공급지는 다양화하고 있고 유치 분야는 주로 제 2 차 산업에 집중하며 외자기업의 외국인직접투자가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의 국제무역에서도 외자기업의 무역규모가 증가하고 있고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리고 중국의 교역대상국의 분포가 넓어지고 있으나 집중도 또한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교역하고 있는 미국, 일본, 한국 등 8개 국가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력모형을 설정하며 외국인직접투자와 무역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합동OLS(pooled OLS), 고정효과 추정 방법, 그리고 랜덤효과 추정 방법 3가지이고 대 중국 외국인직접투자 규모를 종속변수로, 대 중국 무역 규모, 투자국의 시장규모, 투자국의 1인당 국민소득, 투자국 실업률, 양국 수도 간의 거리 그리고 투자국 환율 등 6개 변수를 독립변수로 지정하였다. 그리고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가 대 중국 외국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아시아 금융위기 변수를 더미변수로 모형에 추가하였다. 연구결과 대 중국 무역 규모와 대 중국 외국인직접투자 규모 간에 매우 강하고 보완적인 관계가 존재했다. 대 중국 총수출입, 총수입, 그리고 총수출 변수의 추정변수들이 모두 정(+)의 부호로 나타나고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다. 투자국의 1인당 GDP 변수는 또한 정(+)의 부호를 나타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이 경우에 따라 다르다. 투자국 실업률 변수는 대 중국 무역 변수와 같은 부호, 그리고 같은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대 중국 외국인직접투자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다. 그리고 양국 수도 간의 거리 변수와 투자국 GDP 변수는 각각 부(-)와 정(+)의 부호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볼 때 유의하지 않다. 또한 투자국 환율 변수는 대 중국 외국인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치지 못 한다는 결과도 얻었다. 마지막으로 아시아 금융위기 더미변수는 정(+)의 부호로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도 매우 유의하게 나타냈으며 예외적으로 대 중국 외국인직접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하여 외국인직접투자와 무역 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이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의 변화를 알아볼 수 있다. 그렇지만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 때문에 표본수가 부족하고 산업별, 구역별, 혹은 품목별 시각으로 출발하여 외국인직접투자와 무역 간의 관계를 분석하지 못하였다. 또한, 양자의 관계를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소들을 다 고려하지 못하고 누락된 것도 있다. 양자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더 긴밀하고 실질적인 연구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중국 외국인직접투자와 무역의 특징을 결합하여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이 있다. 첫째, 중국은 국제무역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고 교역대상국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무역과 투자 활동의 시장화를 확대하고 완전한 노동법과 고용제도를 설립하며 유능한 인재를 많이 받아들여야 한다. 셋째, 국제투자의 유치 분야를 확대해야 한다. 넷째, 외자기업의 고속 성장에 대해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하고 적극적으로 내자기업과 외자기업의 합작을 촉진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