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anual and Automated Polyp Measurement : Comparison of CT colonography with Optical Colonoscopy = 용종 크기의 수동 및 자동 측정 : 가상대장내시경과 광학대장내시경의 비교

        정준용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1) the agreement of two-dimensional (2D) and three-dimensional (3D) manual and automated polyp linear diameter measurements at CT colonography (CTC), with optical colonoscopic equivalents, and 2) intra- and interobserver agreement of the CTC measurements. MATERIALS AND METHODS: Using the same CTC system, two radiologists independently measured the maximum linear diameter of 44 polyps (reference size 3-15 mm) matched on CTC and optical colonoscopy: manual 2D optimized multiplanar reformatted planes with standard window settings (width 1500 HU, level ?200 HU), manual 3D measurement with software calipers and automated 3D measurement with software. After two weeks, polyps were measured again. Compatibility of CTC measurement with that of optical colonoscopy and measurement reproducibility was assessed statistically. RESULTS: In the manual measurement, 44 polyps were analyzed and 41 in automated measurement; three polyps could not be extracted. Although the measurement difference was noted for automated, manual 3D, and manual 2D measurements, statistically supported agreement with optical colonoscopic measurement was noted only with manual 2D measurement for both observers. However, 95% limits of agreement was wide for all the measurement methods. When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optical colonoscopic measurement, manual 2D, 3D, and automated measurements showed ‘good’ agreement. Although intra- and interobserver agreement was good with manual measurement, intra- and interobserver agreement was excellent with automated measurement. CONCLUSION: Manual 2D measurements demonstrated trends of better approximation to optical colonoscopy measurements than manual 3D or automated measurements. And automated measurement eliminated intra- and interobserver variability. For noninvasive CTC surveillance, manual 2D measurements are expected to measure medium sized polyps with sufficient agreement with optical colonoscopic measurements and excellent intra- and interobserver vairability, especially if combined with automated measurement. 목적 : 본 연구는 1) 가상대장내시경으로 수동 2차원, 3차원적 및 자동으로 용종의 크기를 측정하여 광학대장내시경 검사로 측정한 크기와의 일치도 및 2) 가상대장내시경 각 측정방법별로 검사자의 반복검사간 및 검사자간의 일치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가상대장내시경과 광학대장내시경 양측 모두에서 서로 부합되는 총 44개의 용종(광학내시경에서의 크기 3-15mm)을 두 명의 영상의학 전문의가 같은 가상대장내시경 표준판독 조건에서 프로그램에 장착된 자를 이용하여 용종의 최대 크기를 수동 2차원, 3차원적으로 측정하였고 이후에 프로그램에 장착된 용종크기 자동측정기능으로 측정하였다. 2주일후에 같은 방법으로 다시 용종들의 크기를 측정하여 광학대장내시경의 결과와 가상대장내시경의 결과간의 일치도 및 각 측정방법간의 일치도 및 재현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가상대장내시경의 수동 용종크기측정방법에서는 44개 용종 모두의 결과를 얻었으나 자동 용종크기측정방법에서는 41개 용종의 결과만을 얻었고 나머지 3개의 용종은 판독 프로그램이 인식하지 못하였다. 가상대장내시경 수동 2차원적으로 측정한 결과만이 광학내시경의 측정결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일치하였다. 또한 크기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를 했을 때에는 수동 2차원 및 3차원적 측정 일부에서 만족할만한 일치도를 보였다. 또한 수동 2차원 및 3차원적 용종크기측정도 측정자간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나 자동 용종크기측정은 완벽한 일치를 보였다. 결론 : 가상대장내시경 수동 2차원적 용종크기 측정이 광학대장내시경에서의 용종크기측정과 가장 근접한 수치를 보였고 자동 용종크기측정은 측정자 반복측정 및 측정자간에 완벽한 일치를 보였다. 이 두 가지 방법을 겸비하여 사용한다면 가상대장내시경을 이용한 용종(특히 6-9mm의 중간 크기 용종) 검색 및 추적에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 우리나라 농촌 활성화를 위한 법 구성에 관한 기초연구

        정준용 한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고도성장을 이루면서 도시의 수와 양은 늘어났지만, 상대적으로 농촌은 농가 인구 감소 및 노령화 현상이 나타나 낙후된 곳으로 전락되어, 이제는 농촌의 재생이란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의 발전을 위하여 현재의 농촌의 모습을 조망하고, 법률적인 차원에서 농촌의 재생을 위한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문헌고찰을 포함, 농촌의 현황을 파악하여 농촌을 대상으로 한 정부정책은 어떤 것이 있는 지를 조사한 후, 도심재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농촌을 재생시킬 수 있는 법의 체계를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농촌과 관련된 법률을 모두 조사하여, 도시 재생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을 근간으로 농촌의 재생을 진작시킬 수 있는 법(가칭 농촌재생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도록 한다.

      • 혈관평활근 세포 및 백서 경동맥 손상 모델의 신생 내막에서 serine/threonine kinase, LKB1/STK-11의 발현

        정준용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Atherosclerosis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and disability in the developed world. Atherosclerosis commonly causes coronary artery diseas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PCI)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therapeutic procedure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However, Restenosis after PCI remain a major limitation despite extensive efforts to prevent. Although its mechanism remains incompletely understood, proliferative action of arterial smooth muscle cells has been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on restenosis by neointimal formation after PCI. The serine/threonine kinase, LKB1 tumor suppressor are associated with Peutz-Jegher's syndrome. LKB1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cellular proliferation, apoptosis and cellular energy metabolism. The mice with a targeted disruption of LKB1 die at midgestation showing severe vascular abnormalities. LKB1 interact with the p53 pathway, and act as proapoptotoic effect. We observed the hypothesis the expression of LKB1 in the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and neointima of injured rat carotid artery is associated with VSMC proliferation and neointima formation. Angiotensin II(Ang II) is one of the stimulator of VSMCs proliferation. LKB1 expression was increased expression by Ang II in the cultured rat VSMCs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We harvested carotid artery 14 days after rat carotid balloon injury and perfused for immunohistochemistry, homogenized for western blot. The post-injury neointima form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alloon injury group compared with sham operation. The expression of LKB1 was more decreased than sham operation. The decreased expression of LKB1 in the neointima of injured rat carotid artery significantly increased by Ang II infusion and decreased by Ang II receptor blocker, Losartan. In conclusion, LKB1 was expressed in the VSMCs and neointima. The LKB1 might be one of the regulator of VSMC proliferation and neointimal formation.

      • 성장하는 중소도시에서의 제자훈련을 통한 교회성장 연구 : 평택시 평택 세교중앙교회 중심으로

        정준용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교회 성장에서 제자훈련의 영향에 대해서 고찰하려고 한다. 시중에 나와 있는 제자훈련 교제만 해도 상당히 많이 있고 여러 교회와 단체에서 세미나를 열고 있다. 이렇게 많은 제자훈련을 시행하는데 한국교회는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분명 한국교회 제자훈련에 문제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자훈련의 방식이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제자훈련을 시행하는 목회자가 제자훈련을 위해서 갖춰야 할 부분들을 갖추지 못할 수도 있다. 아니면 훈련의 과정에서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그것에 대해서 연구하려고 한다. 특별히 성장하는 중소도시를 배경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이유는 현재 사역하는 사역지가 평택이라는 중소도시이기고, 인구가 유입되는 성장하는 도시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구가 유입되는 도시에서 교회가 성장하지 못한다면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을 했다. 본 논문에는 그렇기 때문에 평택이라는 성장하는 중소도시에 대한 연구가 있다. 단행본으로 평택에 관한 책이 없어서 평택에 대한 특징을 찾기 위해서 평택에 대해서 여러 분야에 대해서 연구한 논문들을 수집하고 연구했다. 본 논문에서는 평택에 있는 교회들의 규모에 대해서 나왔다. 그런데 3,000명을 넘는 교회가 단 한 교회도 없다. 2014년 평택시 통계 자료를 보면 인구가 45만 명에 가깝다. 그런데 큰 교회는 없다. 2013년 평택시 통계를 참고, 종교시설을 보면 불교가 56개이고, 개신교가 497개 천주교가 13개이다. 평택의 인구는 계속해서 늘어나는데 비해 기독교인구의 숫자는 그렇게 많지 않았다. 본 논문을 통해서 성장하는 중, 소도시의 제자훈련을 통한 교회의 성장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특별히 기독교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인구가 유입되는 도시에서 어떻게 하면 제자훈련을 통해서 교회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을지 생각했으면 좋겠다.

      • 중·고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정치참여에 대한 내용 분석

        정준용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ays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social study curriculum of 2009, the current ‘social study 2’ Middle school textbook and ‘social study’ High school textbook, and figure out how to educate young adults about the proper way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is first, how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 in 2009 are treat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how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and its textbooks are connected. Second, how the contents about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are reflected in the ‘social study 2’ Middle school textbook and ‘social study’ High School textbook. Third, how the contents about political participation in ‘social study 2’ Middle school textbook and ‘social study’ High school textbook are relevant. The study proceeded around the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 selected four kinds of textbooks from Miraen inc., Bisang Education inc., Jihaksa inc. and Chunjae education for each four textbooks of Middle school’s ‘social study 2’ and High school’s ‘social study’, which are chosen by schools the most and publish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ones togeth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social study curriculum of 2009 do not carry the contents of political participation related to basic human rights and natural law of democracy. There is no content about contact method to public official, which is the content element related to freedom of association as one of the basic human rights, and no various political participation such as ‘signing’, ‘protest’, ‘rally’, ‘strike’, ‘civil disobedience’, ‘exercise of right of resistance’, etc., that are related to natural law. Also, ‘social study 2’ Middle school textbook and ‘social study’ High school text book do not carry the way of political participation related to basic human rights and natural law of democrac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should cover the way of political participation related to basic human rights and natural law, suggest various ways of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participatory democracy, and reta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Second, ‘social study 2’ Middle school textbook and ‘social study’ High school textbook that follow the social study curriculum of 2009 do not reflect the contents of political participation related to basic human rights and natural law. Textbooks should fully suggest the basic concept and generalization to educate political participation, but it only suggests them by few words, pictures or illustrations, except political participation as a voter, ‘citizen democratic’ political participation related to communication, and ‘petition’ related to political participation as exercising right of claim. Third, there is not enough relation in contents grading between ‘social study 2’ Middle school textbook and ‘social study’ High school textbook that follow the social study curriculum of 2009. As studying the spiral structure betwee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xtbooks, the High school textbook does not suggest the deepen or developed contents from the Middle school textbook, except contents related to election and citizen democracy. Hereupon, teachers recognize the problem of not attracting the students’ interest, and the problem is that the students cannot suggest various way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lthough the current social study curriculum of 2009 advise to suggest various ways of political participation, it does not suggest any systematic and deepen content about participation method based on citizen democracy, as describing it without the contents of political participation related to basic human right and natural law.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사회과 교육과정과 현행 중학교 「사회②」교과서와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정치참여 방법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청소년들의 적절한 정치참여 방법에 대한 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 첫째, 중·고등학교 2009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정치참여 교육을 어떻게 다루고 있으며, 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중·고등학교 교과서가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가, 둘째, 중학교 「사회②」교과서와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에서 정치참여에 대한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 셋째, 중학교 「사회②」교과서와 고등학교「사회」교과서 간의 정치참여에 대한 내용의 연계성이 어떻게 있는가의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학교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으며, 중학교 「사회②」교과서와 고등학교 「사회」교과서를 함께 출판하는 ㈜미래엔, ㈜비상교육, ㈜지학사, ㈜천재교육 중학교 「사회②」교과서 4종과 고등학교「사회」교과서 4종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민주법치국가의 기본권과 자연법에 관련된 정치참여의 내용을 다루지 못하고 있다. 기본권의 하나인 결사의 자유와 관련된 정치참여의 내용적 요소인 공직자 접촉 방법과 자연법과 관련된 ‘서명’, ‘시위’, ‘집회’, ‘파업’, ‘시민불복종’, ‘저항권 행사’ 등의 다양한 정치참여의 내용이 없다. 이에 중학교 「사회②」교과서와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에서 역시 민주법치국가의 기본권과 자연법에 관련된 정치참여 방법을 다루지 못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본권과 자연법에 관련된 정치참여 방법까지 다루어, 참여 민주주의를 전제로 하는 다양한 정치참여 방법을 제시해야 하며, 교육과정과 교과서 간의 연계도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 2009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사회②」교과서와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에서도 기본권과 자연법에 관련된 정치참여의 내용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교과서에서 정치참여 교육을 위해 기본 개념 및 일반화가 충분히 제시해야 하지만, 선거와 관련된 ‘투표자형’정치참여, 의사전달과 관련된 ‘심의 민주주의적’ 정치참여, 청구권 행사로서의 정치참여와 관련된 ‘청원’을 제외하면 본문 내용에서 단어만 제시하거나 사진이나 삽화 정도로만 제시하고 있다. 셋째, 2009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사회②」교과서와 고등학교 「사회」교과서 간의 내용 위계상 연계성이 부족하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 간의 나선형 원리를 살펴보면, 선거와 심의 민주주의와 관련된 내용 요소들을 제외하면 중학교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이 고등학교에서 심화·발전되어 제시하고 있지 않다. 이에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흥미를 못 끈다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다양한 정치참여 방법을 제시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2009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정치참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기본권과 자연법에 관련된 정치참여의 내용을 제외하고 서술하고 있어 참여민주주의에 입각한 참여 방법에 대해 체계적이고 심화된 내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 접경지역 농촌주거환경 현황과 주거만족도 분석 연구 : 강원도 철원군을 중심으로

        정준용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남북한 접경지역은 아직도 대규모 군대가 대치하고 있는 지역이지만 최근에는 일부지역에서 교류와 협력의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이는 접경지역이 남북한 평화의 정착과 경제발전을 이룩해 나갈 수 있는 지역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첫걸음은 접경지역인 낙후된 농촌마을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우선이다. 농촌마을의 낙후된 주거환경을 개선키 위해 정부는 꾸준히 정책적인 지원을 해왔으나 그 결과에 대해서는 지극히 회의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생활환경 개선의 측면에서는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지만 주거의 질적 향상에 있어서는 미흡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접경지역 주거환경에 대한 연구 부족 및 접경지역으로서의 철원의 농촌주거환경 개선에 대한 방향설정이 미흡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철원의 농촌주거환경 실태를 조사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농촌주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개발모형을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이론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접경지역이론, 주거만족도이론 등을 분석하는 문헌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를 연구의 준거로 삼아 접경지역인 철원지역의 농촌주거만족도의 기본모형과 개발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철원지역의 농촌주거환경 현황 분석과 접경지역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 분석은 현 거주자의 의견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방법(Empirical Approach)을 채택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0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1개월간 이었으며, 철원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총 246부의 설문을 통해 농촌주거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접경지역의 종합적인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들이 시정되고 관련 제도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접경지역지원법의 실효성 확보문제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접경지역을 지원하기위한 법으로서 접경지역의 토지가 효율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관할 군부대 실무진이 참여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한 계획이 수립되어야하며 종합적인 개발이 이루질수 있도록 개선하여 접경지역의 규제에서 탈피하여 지원우선 정책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접경지역 토지의 사권제한에 대한 보전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비무장지대는 정부에서 연차적인 매수로 생태환경 보존지역으로 관리하고 취락지역을 제외한 민간인 통제보호구역은 정부가 매수하여 군사작전 시설과 안보관광 및 생태관광 부지로 활용하며 제한보호구역은 토지개발행위 불허가된 토지에 대하여 매수청구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유재산권의 보호하여 접경지역 주민의 복지 및 삶의 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접경지역의 환경친화적이지 못한 토지이용계획 공간구조의 문제 해소이다. 자연환경이 우수한 지역의 난개발로 자연부락의 주거환경 침해 및 관광자원의 침식 등으로 환경민원이 발생하는 등 토지의 공간구조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여 자연환경이 아름다운지역의 경관을 보존하고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개선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접경지역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이다. 접경지역 종합계획의 집행예산이 계획예산보다 실제 집행된 예산은 저조한 상황이며 당초 계획된 예산을 중앙정부는 지방자치단체에 교부하고 각 부처는 계획된 사업이 조기완공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방정치권 연합회를 구성 설치하여 주민욕구가 단일 창구를 통해 중앙정부에 전달되도록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접경지역의 열약한 사회기반시설 확충이 이루어져야 한다. 중앙정부의 사업타당성검토로 인해 정부의 사업투자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어, 정주환경이 열악해 지면서 슬럼화 및 공동화를 겪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통일을 대비하여 사회기반 시설확충차원에서 정부의 특별 지원으로 접경지역의 정주여건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토지관리제도의 개선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의 해제로 인하여 접경지역의 개발에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접경지역 종합계획을 5년마다 재정비하여 안정적인 토지 공급과 토지투기 및 지가폭등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지역 토지의 정상적인 거래에 불편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접경지역 정주여건의 개선이 모색되어야 한다. 접경지역 주민들의 경제활동을 위축시키는 미확인 지뢰 및 폭발물들을 제거함으로써 안전한 생활을 조성하고, 비무장지대 생태관광 및 안보관광 육성으로 접경지역 정주여건 개선과 소득증대 및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며, 유통구조 개선과 농산물 산업을 육성·지원하여 접경지역의 정주이탈현상 재발방지와 접경지역의 슬럼화 및 공동화를 억제하여야 한다.

      • Simultaneous overexpression of γ-glutamylcysteine synthetase and glutathione synthetase increases salt tolerance and productivity in rice plants : ECS와 GS 과발현으로 인해 염분 내성과 생산성이 증대된 벼의 개발

        정준용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염 스트레스는 식물체내에 활성 산소 종(ROS)을 야기하며 식물체는 과도하게 축적된 ROS를 제거하기 위해 항산화 물질을 생성합니다. 글루타치온(GSH)은 식물체내 축적된 ROS를 소거하는 대표적인 항산화제 중 하나입니다. GSH은 세 가지 아미노산(글루타메이트, 시스테인, 글라이신)이 두 가지 효소[γ-glutamylcysteine synthetase (ECS), glutathione synthetase (GS)]를 이용하여 두 단계에 걸쳐 합성됩니다. 본 연구에서는 ECS와 GS가 동시에 과발현되는 형질전환 벼 식물체를 전통 육종 교배방식을 통해 구축했습니다. ECS와 GS가 동시에 과발현된 형질전환 벼 식물체는 염 스트레스에서 대조구에 비해 GSH함량이 증가하였고 그로 인해 항산화능이 향상되어 과산화된 지질의 함량을 감소시켰습니다. 자연생육 조건에서는 뿌리 길이, 식물 무게, 수분 함량, 분얼 수, 엽록소 함량 등 생장과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대조구에 비해 향상되었습니다. 또한 식물체내 ROS 축적량과 이온 누출량이 낮았고 전체 수확량은 증가했습니다. 이는 ECS와 GS가 동시에 과발현된 형질전환 벼 식물체의 높은 글루타치온 함량이 항산화능을 개선시킨 결과로 보여집니다. 결과적으로 ECS와 GS의 동시 과발현은 식물체내에 글루타치온 함량을 증가시켰고 그 결과 염 내성과 수확량이 증가하였습니다.

      • 마음챙김 기반 유도된 기억의 자기노출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정준용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indfulness-based Guided Memory Self-Disclosure Training' group program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mainly using memory self-disclosure technique which is an important therapeutic underlying variable in the psychotherapy. Accordingly, in order to develop 'Mindfulness-Based Guided Memory Self-Disclosure Training' program, Study 1 structuralize the program in detail through the combination of Mindfulness and memory self-disclosure technique by the analysis of inhibitation-confrontation theory and memory reconsolidation theory. And the program i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preliminary implements before fully developed. Study 2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Mindfulness-Based Guided Memory Self-Disclosure Training' program which is developed in Study 1. The experimental group(the program participant group), comparison group(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program) and the non-intervention control group were set up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And after one month, follow-up measurement was taken to verify whether the effect lasts. This study is a mixed factorial design consists of between-subjects factor(3 group) and within-subjects factor(4 measurement time). The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psychological tools such as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official Korean Adaptation of the Spielberg'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Adults Form YZ(STAI-KYZ), Levels of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LSES). And the study uses Heart Rate Variability(HRV) as a biological measurement to measure the level of stress. In order to measure the self-disclosure levels, the study used HRV-L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in the community dwelling women over 65 years old who is capable to move for themselves and having KGDS score 14 and up(or STAI-KYZ-TAI 43 score and up). The participants were, by the order number of receipt, randomly assigned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in zigzag ways.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 until the end of the program and follow up measurement were 41 in total(experimental group 14, comparison group 14 and control group 13).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 16 sessions in total(8weeks), from December 11th, 2017 to February 8th, 2018. Data analysis uses Repeated Measure ANOVA(RM ANOVA), Repeated Measured Analysis of Covariance(RM ANCOVA), Pairwise comparison, post-hoc of Bonferronif method and it calculates effect size. And it conducts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xperimental group's 'self-disclosure' level and dependent Measuremen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s time goes 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psychological measurements such as Geriatric Depression, State Anxiety, Trait Anxiety and Negative Affect Levels among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On the other sid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mong Positive Affect Levels, Satisfaction with Life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levels. Neverthel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 on subfactors(HRV-TP, SDNN, HF, RMSSD, LF/HF) of HRV which are physiological measurement of stres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 on either psychological measurement or physiological measurement among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improvement effects of every psychological dependent measurements lasts among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after the end of experiment. However, there were no improvements on physiological dependent measurements. Meanwhil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re larger on experimental group on all the psychological measurements compare to the comparison group.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s program training effectiveness and HRV-LF variation. Participant's subjective evaluation on the program's satisfaction-level, understanding, appropriateness of composition, positive changes and helpfulness were all positive. The 'Mindfulness-Based Guided Memory Self-Disclosure Training' Program combines mindfulness method for the vividness of disclosure and aesthetic distancing's maintenance of at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mploys self-disclosure without a feedback to encourag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corporated techniques like expressing disclosed thoughts, emotions, feelings, imageries as a language. And it is implied that it can be used as self-administration method for elderly people to prevent stress and promote well-being by themselves. In addition, mean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치료에서 중요한 치료적 기저 변인인 자기노출(속마음 털어놓기)을 핵심요소로 하여 마음챙김 기반 유도된 기억의 자기노출 훈련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 1은 마음챙김 기반 유도된 기억의 자기노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경험 억제-노출의 영향에 관한 억제-직면 이론과 기억 재응고 이론의 분석을 통해 기억 자기노출 기법에 마음챙김 방식을 결합하여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구조화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예비 실시를 통해 수정 보완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완성하였다. 연구 2는 연구 1에서 개발한 ‘마음챙김 기반 유도된 기억의 자기노출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집단(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참여집단), 비교집단(마음챙김 명상 훈련 프로그램)과 비처치 통제집단을 설정하여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1개월 후에도 효과가 지속되는지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피험자 간 요인(3집단)과 피험자내 요인(4회 측정시점)을 갖는 혼합설계이다. 효과측정은 심리적 측정도구로 한국형 노인 우울 검사(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한국판 Spielberg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YZ형(the official Korean Adaptation of the Spielberg’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Adults Form YZ; STAI-KYZ), 긍정정서 부정정서 수준 검사(Levels of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 삶의만족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삶의만족예상척도(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LSES)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생리적 측정도구로 스트레스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측정을 하였다. 또한 자기노출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심박변이도 저주파(HRV-LF)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65세 이상, KGDS 14점 이상 혹은 STAI-KYZ-TAI 43점 이상의 스스로 활동이 가능한 재가 여성 노인들이다. 집단구성은 접수 번호 순으로 실험, 비교, 통제 집단에 지그재그(zigzag) 방식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프로그램 종료와 추후 검사까지 완료한 참여자는 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4명, 통제집단 13명으로 전체 41명이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프로그램 실시는 2017년 12월 11일부터 2018년 2월 8일까지 매주 2회, 회기당 90분, 총 16회기(8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반복측정 단일변량 분석(Repeated Measure ANOVA; RM ANOVA), 반복측정 공변량 분석(Repaeted Measured Analysis of Covariance; RM ANCOVA), 대응별 비교, Bonferroni 방식의 사후분석(post-hoc)을 하였으며, 효과크기를 산출 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의 ‘자기노출’ 수준과 종속 측정치들 간의 상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심리적 측정치들인 노인 우울, 상태불안, 특성불안, 부정정서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긍정정서, 삶의만족, 삶의만족예상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트레스의 생리적 측정치인 심박변이도(HRV)의 모든 하위요인들(HRV-TP, SDNN, HF, RMSSD, LF/HF)은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통제집단은 심리적 측정치와 생리적 측정치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모든 심리적 종속측정치들은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개선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리적 종속측정치들은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프로그램 개입의 효과크기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모든 심리적 측정치들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훈련 효과와 자기노출 수준(HRV-LF) 변화량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관찰되지 않았다. 프로그램 참여자의 주관적 평가는 프로그램 만족도, 프로그램 이해도, 프로그램 구성 적정성, 달라진 점, 도움 된 점에서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마음챙김 기반 유도된 기억의 자기노출 훈련’ 프로그램은 국내에서 최초로 노출자의 노출의 생생함, 최적의 거리두기(aesthetic distancing)의 주의 유지를 위해 마음챙김의 방식이 결합되었고, 심리적 안전감을 위해 노출 내용에 대한 공유와 피드백 없는 자기노출, 그리고 노출된 생각, 정서, 느낌, 심상을 언어로 표현하기 등이 구현된 프로그램으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노인들이 스스로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웰빙을 증진하는 자기 실행(self-administration)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과제 등이 논의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