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주현의 연가곡 News Desk 분석연구

        정주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2016년 작곡된 소프라노와 피아노를 위한 정주현의 연가곡 “News Desk”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이 작품은 총 5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김철수’라는 가상의 인물을 주제로 제 1곡 “아침뉴스”, 제 2곡 “오늘의 날씨” 제 3곡 “정오뉴스” 제 4곡 “뉴스속보” 제 5곡 “저녁뉴스” 라는 뉴스 형식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연가곡은 한국 정치에 대한 풍자적인 성향을 강하게 가지고 있으며 작곡가는 이 풍자에 대한 해석을 다양하게 열어놓고 있다. 연가곡의 내용을 살펴보면 제 1곡에서는 김철수라는 가상의 인물의 탄생을 의도적으로 과장하여 찬양을 하고 있다. 제 2곡은 오전, 오후, 저녁 날씨를 주제로 하고 있으며 제 3곡에서는 김철수의 생일을 주제로 하고 있다. 제 4곡에서는 뉴스 속보로 김철수의 죽음을 알리고 있으며 마지막 제 5곡에서는 영국과 미국의 동요 마더구스(Mother Goose) 중 ‘Solomon Grundy’를 ‘King Charles’ 로 개사하여 김철수의 죽음을 애통해한다. 전통적인 가곡과는 달리 연극적인 성향이 강한 이 작품은 성악가뿐만 아니라 피아노 반주자에게도 연극적인 표현을 요구하며, 관객에게도 자연스러운 참여를 유도한다. 본 논문의 분석 연구에서는 각 악장의 음악적 분석과 더불어 연극적 요소, 풍자적 요소, 인용된 음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paper is an analysis of the song cycle “News Desk” by JooHyun Chung, a songwriter for performing soprano and piano composition in 2016. This work is made up of five songs, and with the theme of a virtual character "Kim Cheolsu", the first song "morning news", “The second song "Today's weather" third song "Noon News" fourth song "Breaking News" fifth song "News in the evening". The “News Desk” has a strong penchant for Korean politics, and the composers hold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satire. The original song, “News Desk”is a tribute to the birth of a virtual character named Kim Cheolsu. The second song focuses on the morning, afternoon and evening weather, and the third song focuses on Kim Cheolsu's birthday. The fourth song heralds Kim Cheolsu's death as a news bulletin. The fifth song took the original lyrics of English nursery rhyme "Solomon Grundy" and changed it to the lyrics of “King Charles”, grieving the death of Kim Cheolsu. Unlike traditional songs, this non-verbal piece of play requires a theatrical audience, not only a vocal performer, but also a theatrical audience, inviting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the musical. In the analysis study of this paper, we will examine musical analysis of each movement, the theatrical elements, satirical elements, and quoted music.

      • 조선 생산 리드타임 기준정보 관리를 위한 앙상블 학습 기법 적용 연구

        정주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Building large structures such as ships requires efficient management of production information. In shipyards, enterprise management information that includes production information is called master data, and which includes BOM (bill of material),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basic unit and lead time. Master data related to production is closely related to time information.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however, the high variability of the shipbuilding process has made it difficult to gain the reliability of master data management. Low accuracy of master data can lead to financial losses as well as confusion of work. To solve these problems, shipyards and related academia have been making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master data system.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is focused on traditional engineering perspectives and does not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shipbuilding production environment. Recently, machine learning methodologies have been widely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big data related technologies. Machine learning is a correlation analysis technique of vast amounts of data, which is known to be a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ausation analysis with traditional engineering methodologies. Research is also being conducted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by applying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production master data.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study of applying ensemble learning, which is known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machine learning, to the analysis of shipbuilding production master data.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production management tasks in actual shipyards by comparing the prediction results of the ensemble learning with the results of applying various learning algorithms and attaching a better performance learning model to the simulation.

      • 흡기근 훈련과 흉부가동성 호흡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효과

        정주현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흡기근 훈련과 흉부가동성 호흡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가로막 두께와 폐 기능, 흉곽 용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운동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34명을 흡기근 훈련군 12명과 흉부가동성 호흡운동군 10명, 대조군 12명으로 분류하였다. 세 군은 모두 중재 기간 동안 운동치료를 주 5회, 1일, 1회 30분간 실시하였다. 흡기근 훈련군에게는 추가로 흡기근육 훈련기를 제공하여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흉부가동성 호흡운동군에게는 추가로 치료사에 의한 흉부 가동기법과 탄력밴드를 이용한 호흡운동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중재 프로그램은 6주 동안 주 3회, 1회 20분씩 실시하였다. 훈련 전과 후의 호흡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폐기능(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 최대 호기속도), 가로막 두께, 흉곽 용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집단 내 실험 전과 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 t-검정(paired t-test)으로, 세 집단 간 평균 차이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분석하였다. 사후검정은 Duncan을 이용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 α는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폐 기능에서는 중재 후 흡기근 훈련군의 1초간 노력성 호기량과 최대 호기속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흡기근 훈련군에서 중재 후 최대 흡기시 마비측의 가로막 두께와 수축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비 마비측에서도 가로막 두께와 수축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흉부가동성 호흡운동군에서는 최대 흡기시 마비측의 가로막 두께와 수축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비 마비측은 가로막의 수축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세 집단의 최대 흡기시 마비측과 비 마비측의 가로막 두께와 수축률의 전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흉곽 용적은 흡기근 훈련군에서는 중재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흉부가동성 호흡운동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세 집단의 흉곽 용적의 전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폐 기능, 가로막 두께, 흉곽 용적에서 전후의 유의한 변화를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흡기근 훈련과 흉부가동성 호흡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중에서도 흡기근 훈련군은 폐 기능과 가로막 두께의 개선에 큰 효과를 나타냈으며, 흉부가동성 호흡운동군은 가로막 두께와 흉곽 용적 개선에 큰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가로막의 운동성과 폐 기능이 떨어지는 환자에게는 흡기근 훈련을 적용하고, 흉부가동성의 문제로 환기장애를 가지는 환자에게는 흉부가동성 호흡운동을 선택하여 적절히 적용한다면,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향상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마이크로 연료전지 및 박막형 슈퍼캐패시터용 고체전해질에 관한 연구

        정주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금까지 박막 전지 및 박막 슈퍼캐패시터에 대한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보다 고성능의 박, 후막 전지와 박, 후막 슈퍼캐패시터의 개발은 물론 박막 전지와 박막 슈퍼캐패시터를 Si 및 화합물 반도체 기물 위에 동시에 혼성화한 Monolithic 고출력 하이브리드 전지를 위한 슈퍼캐패시터용 세라믹 고체 전해질 개발에 관한 것이다. 이는 monolithic한 전지를 개발하기 위한 고체전해질이 갖는 전기적인 특성을 규명하는데 사용되어진다. 이후에는 이렇게 만들어진 셀을 이용하여 박막의 전기적인 분석으로 임피던스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이를 monolithic 고출력 하이브리드 전지를 위한 고체전해질로 이용하게 된다. 수소를 함유한 지르코니아 전해질 박막을 Pt/Ti/SiO_(2)/Si substrate 위에서 4inch Zr (99.99% Nuricell. Com) targets을 사용하여 rf reactive sputtering system을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전해질 박막을 증착하기 전에 먼저 Ti를 올리고 dc magnetron sputtering system으로 Pt current collector 박막을 증착하였다. 이 Pt위에 다양한 수소함량을 조건으로 해서 rf power 300 W로 전해질을 증착하였다. 수소 함량에 따른 전해질 박막의 구조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100), atomic force microscope (AFM: PSIA), x-ray diffraction (XRD Rigaku, 20B diffractometer with CuK radiation), 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scopy (RBS, NEC 6SDH-2) , secondary ion-mass spectroscopy (SIMS, PHI 7200 TOF-SIMS/SALI) 의 특성장비를 이용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박막내에 수소가 어느 정도 함유 되어있고 어떠한 상태로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알아봤다. 이 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Pt/ZrO_(2)H_(x) /Pt/Ti/SiO_(2)/Si 구조로 된 셀을 impedance analysis (Zahner Elektrik)을 이용하여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Monolithic 고출력 하이브리드 전지를 위한 슈퍼캐패시터용 세라믹 고체 전해질로써의 ionic conductivity를 갖는 ZrO_(2)H_(x) 전해질의 조건을 찾아내었다. Solid electrolytes have several advantages over liquid electrolytes, such as no leakage problem, broad operating range, excellent charge-discharge cyclic properties due to a lack of side reactions occurring and only one type of carrier ion migration, and long life because of little self-discharge. Such solid electrolytes should have properties such as a very high ionic conductivity, negligible electronic conductivity, and very low activation energy. ZrO_(2)H_(x) electrolyte films were grown on Pt / Ti / SiO_(2) / Si substrate by means of a radio-frequency reactive sputtering system using 4 Zr (99.99% Nuricell. Com) targets, respectively. Prior to the deposition of the electrolyte films, the Ti adhesive layer and Pt current collector films were deposited by using dc magnetron sputtering system. Subsequently, ZrO_(2)H_(x) electrolyte films were deposited on Pt at a radio-frequency power of 200 W and 300 W. The characteristic of electrolyte was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100), atomic force microscope (AFM: PSIA), x-ray diffraction (XRD Rigaku, 20B diffractometer with CuK radiation), and 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scopy (RBS, NEC 6SDH-2) To measure the ionic conductivity in the ZrO_(2)H_(x) electrolyte films, impedance were measured by IM6 (Zahner Elektrik) with a structure of Pt/ZrO_(2)H_(x) electrolyte/Pt/Ti/SiO_(2)/Si.

      • 방향에 따른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하지 근 활성도와 보행에 미치는 영향

        정주현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readmill according to walking direction on the affected side lower limb muscle activity and walking characteristic in stroke patients. 30 patients who consents were randomized as two group. The Forward Walking group and Backward Walking group performed gait training using on treadmill an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To find out the effect, affected side lower limb muscle activity by BTS Free EMG 1000, walking characteristic by Gait Trainer 2 were three times repeatedly measured at baseline before and af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orward walking group improved more significantly 6 weeks after treatment quadriceps**, hamstring**,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in affected side sEMG(**p<.01, *P<.05). 2. Backward walking group improved more significantly 6 weeks treatment quadriceps, hamstring,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in affected side sEMG(p<.01). 3. After a 6 weeks treatmen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EMG. But quadriceps,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in the forward walking group showed a mean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effects higher than backward walking. 4. Forward walking group improved more significantly 6 weeks after treatment walking speed and walking cycle in gait charateristic(p<.01). 5. Backward walking group improved more significantly 6 weeks after treatment walking speed**, walking cycle** and affected side stance phase symmetry index* in gait charateristic(**p<.01, *P<.05). 6. After a 6 weeks treatmen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 gait characteristic but walking speed, walking cycle and step length symmetry index in the backward walking group showed a mean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effects higher than the forward walking group.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forward walking and backward walking contribute to improve affected side lower limb muscle activity, walking speed and walking cycle. And backward walking contribute to improve affected side stance phase symmetry index. Key word : Treadmill, Forward Walking, Backward Walking, sEMG, Gait Characteristic, Stroke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방향에 따른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하지 근 활성도와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남 순천시 소재 P 재활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 30명을 무작위로 전방 보행군 15명, 후방 보행군 15명을 분류하였고 6주간 실시하였다. 각 연구군은 일반적 운동치료를 30분간 주 5회 실시하였고 A군은 전방 보행을 B군은 후방 보행을 주 5회, 1회 20분씩 6주간 실시하였다. 보행 훈련 후 마비측 하지 근 활성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BTS Free EMG 1000(BTS SpA)을 사용하였고, 보행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Biodex Gait trainer 2를 사용하였다. 측정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방 보행군의 마비측 하지 근 활성도의 변화는 넙다리 네갈래근, 뒤 넙다리근, 앞 정강근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1), 장딴지근에서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둘째, 후방 보행군의 마비측 하지 근 활성도의 변화는 넙다리 네갈래근, 뒤 넙다리근, 앞 정강근, 장딴지근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1). 셋째, 두 그룹간의 마비측 하지 근 활성도의 변화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넙다리 네갈래근, 앞 정강근, 장딴지근의 평균차이에서 전방 보행군이 후방 보행군보다 높아 전방 보행군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넷째, 전방 보행군의 보행특성 변화는 보행속도와 보행주기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1). 다섯째, 후방 보행군의 보행특성 변화는 보행속도, 보행주기(p<0.01), 마비측 입각기 대칭 지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여섯째, 두 그룹간의 보행특성의 변화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보행속도, 보행주기, 보장 대칭 지수의 전, 후 차이에서 후방 보행군이 전방 보행군보다 높아 후방 보행군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방향에 따른 전․후방 보행 훈련은 마비측 하지 근 활성도, 보행 속도, 보행 주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마비측 입각기 대칭 지수는 후방 보행군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방 보행군은 마비측 하지 근 활성화를 더 촉진시키며, 후방 보행군은 보행특성 변화에 더욱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시각적 심리생리 피드백을 이용한 사용자 몰입 경험(UX) 평가

        정주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몰입수준이 다양한 게임을 수행할 때의 시각적 반응을 평가하고, 몰입의 수준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는 시각적 변수를 탐색하는 것이다. 몰입은 인터페이스 사용자가 가상환경에서의 행동을 현실 환경과 동일하게 느끼는 심리적 상태로 정의된다. 최근까지 사용자의 몰입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문지 형식의 몰입상태척도(FSS: Flow State Scale)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정성적인 평가로서 사용자의 몰입경험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데 한계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사용자의 몰입경험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시각적 변수들이 몰입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몰입 수준을 보다 민감하게 판단할 수 있을지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실험에는 10명이 참여하였으며 독립변수는 몰입수준이 다른 세 종류의 게임(퍼즐게임, 점 따라 그리기, 색칠하기)과 게임 진행 시점(초반, 후반), 종속변수는 동공크기, 눈 깜빡임 빈도, 눈 깜빡임 지속시간으로 선정하였으며, within- subject design으로 설계 하였다. 실험참가자는 몰입수준이 다르다고 판단되는 세 종류의 게임을 3회씩 10분 동안 수행하였고, 각 수행 간 시각 반응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몰입이 높게 판단될수록 동공크기(p<0.01)가 크게 나타났고 눈 깜빡임 지속시간(p<0.1)이 낮게 나타났고 이를 통해 게임 종류별 몰입 수준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었다. 게임에 더욱 몰입하게 되는 후반이 초반보다 동공크기(p<0.1)는 2.1%크게 나타났고 눈 깜빡임 빈도(p<0.01)는 12%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동공의 크기, 눈 깜빡임 빈도, 눈 깜빡임 지속시간은 사용자의 몰입 경험을 평가하는 심리생리학적 지표로서 사용자가 경험하는 몰입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몰입의 다양한 현상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심리생리적인 변수 또한 다양해지면 몰입을 측정할 정밀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몰입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건강한 게임의 개발과 이를 통한 사이버 여가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