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BSTRACT A Study on the Therapy effect program by laughing. - The object for the aged - Chung Chong-Soon Advisor : Prof. Oh, Eul-Im, Ph.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nduate School of Policy, Chosun University We all are the senior citizens, or the aged of the future. To an aged person, psychological, physiological and immunological alterations could be occurred with the normal procession of senility, and although there might be a difference of progressional speed or time in individual character, those are the phenomena happening to all in common. Together with these symptoms of aging, not only dwindling general physical functions but also suffering from higher psychological stresses, like a health problem causing by the chronical disease, a feeling of incompetence led by the retirement or the economicaladversities, a sense of deprivation by bereavement of their kith and kin, spouse or intimate friends, and a recognition of solitude caused by the evolved nuclear family system and the contempt fashion to the aged, and the like, might be created. In addition, the most aged of our society are going through indigence, worry over the health, loneliness, role deprivation, and so on due to the lack of policies on the welfare service and system and the public attention to the aged, thus becoming a significant social issue. Furthermore our country is facing the rapid ageing society ever unprecented throughout the world. On above concepts, this research, through the study of therapy program by laughing, was commenced on the purpose of recognition that what effect of the method, which could be draw various shapes of living demands and increase satisfaction of life including participating in the society and also could be dwindle aging function of the individual health and social life. Which are causing by the enfeebled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role, and also triggering by the situation of the institutional economical and welfare, can be influenced to the senile living, and of gaining fundamental helpful sources for the their satisfying rate and welfare improvement in which they desire to maintain a decent living and to replenish various demands in the venue of actual livings in the future. The consequence of the therapy program by laughing performed as 60 min. every week for 5weeks was verified as follows, the decrement of ageing symptoms due to the increment of ordinary exercise capacity during diseases, the brightness of the face, the increment of vitality through the effect of congenial experience with neighbors and the effect of maintaining more adolescent and healthier. And also it brought about improv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causing by the procession of ageing. At the same time it showed the therapy program created satisfaction to the senile livingon the result of their aspiration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activities. As described above, the therapy program by laughing is the one which can be adopted easily, anywhere without complicated procedures economically and particular implements or aids from others, almost no expensive. However, in the view point of analyzed consequence which was conducted in the limitation of short term, the experimental circumstanced and confined objects, further desirable policies and institutional supports are required to supplement and to make this issue activate. In a word the bolstering schemes should be contrived in the pace of the aged welfare matching with the aging era for the future. It is saying, laughter is the medicine and so on one com repudiate that the laughing takes significant role in curing all diseases. The researcher of this dissertation want all to recognize the fact that the laughing most of all could be a help to the geriatric therapy, and also hope that the laughing therapy method as an approaching alternative medical therapy could be able to satisfy a variety of demands of the newly fashionable aged who want to possess joyful livings.
크리에이티브 컬러를 적용한 메트로섹슈얼 헤어 디자인 연구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신체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행위는 더 이상 여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남성들도 자신의 외모 가꾸기를 즐기는 것은 이제 보편적인 추세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얼마 전부터 패션계에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는 메트로섹슈얼이다. 남성미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패션과 헤어에서 여성스러운 스타일의 과감한 연출을 추구하는 이들을 메트로섹슈얼이라 한다. 유행에 미감한 남성들은 자신을 가꾸기 위해 화장품이나 의상 등에 소비를 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헤어디자인 부분에서도 관심도가 높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2012∼2018년의 국내외 미용대회 종목 중 여성 크리에티브 작품들에 나타난 헤어컬러와 헤어디자인을 남성헤어에 응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유행을 선도한 연예인들의 헤어스타일과 일반적인 남성들의 헤어스타일을 분석한 다음 살롱스타일에 맞는 헤어커트, 헤어컬러, 헤어스타일링 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논문 연구와 실증적 연구 방법을 병행하였다. 논문 연구에서는 “관련 서적 및 논문 자료, 인터넷 자료” 등을 활용하였고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예술적 감성을 표현하였다. 기존의 남성헤어스타일을 분석해 보면 획일적이고 남성적인 이미지로 국한되어 있다는 아쉬움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좀 더 케미셜한 헤어컬러와 과감한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크리에이티브 작품의 컬러는 대부분 화려하다. 끝부분이 점점 진해지는 스타일과, 또는 모근 부분이 점차 진해지는 기법으로 핑크, 오렌지, 등 여성스럽고 화려한 컬러로 새 형상이나 아름다운 꽃의 이미지를 표현했다. 또 한 미디움 헤어나 크게 부풀린 헤어에 사용하는 컬러 기법들을 남성헤어에 적용하였다. 첫째, 액스터시 스타일, 그린 컬러를 남성헤어에 적용하여 신비로운 이미지로 연출을 하였다. 둘째, 다이나믹 스타일, 화려한 컬러를 남성헤어에 적용 하여 역동적 느낌의 형태이다. 셋째, 드리미 스타일, 딥 레드, 블랙, 하이라이트의 컬러를 교대로 사용한 세련되고 멋진 디자인이다. 넷째, 터프가이 스타일, C컬의 흐름으로 시원한 블루 계열을 사용하여 파도가 넘실대는 느낌의 메쉬의 디자인이다. 다섯째, 액티브 스타일, 옐로우와 오렌지컬러가 에너지 충만하고 활동적인 형태이다. 여섯째, 유니크 스타일, 남성의 짧고 층이 있는 단발로 깔끔하며 화려한 느낌이 있는 작품이다. 일곱째, 챠밍 스타일, 퍼플 컬러의 우아함과 고귀한 색으로 심신이 끌리는 매력적인 디자인이다. 여덟째, 로맨틱 스타일, 남성 단발로 세련된 도회적인 느낌에 작품이다. 아홉째, 판타지 스타일, 차가운 느낌에 스카이블루와 따뜻한 느낌의 핑크가 서로 조화를 이루는 환상적인 디자인이다. 총 9개의 작품을 각각 1점씩 남성헤어디자인을 연구하고 제작하여 실용적인 헤어스타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남성스타일을 창조하고자 노력하였다. 크리에이티브의 풍부한 입체감, 화려한 컬러의 자유로운 표현이 실용화 되고 차별화된 살롱 스타일이 헤어디자인 분야에 학문적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 modern society, the pursuit of outer beauty is not just women’s privilege anymore. Today, it’s not hard to find men taking care of their look. A new keyword which recently emerged in the fashion industry is ‘Metrosexual’. It refers to a male who dares to have feminine style from his clothes to hair while keeping his masculinity. Men who are sensitive to trends aren’t afraid of buying cosmetics and fancy clothes to take care of their appearanc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y also show a high interest in hairstyl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m. For this, hairstyles were created by applying hair color and hair design in creative works for women among those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hairdressing competitions from 2012 to 2018 to men’s hair. After analyzing trend-setting celebrities’ hairstyles and ordinary men’s hairstyles, this study proposed haircuts, hair color and hairstyling for salon styles. In terms of study methods, thesis and empirical research were performed. Based on such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express artistic sensibility, using related books, academic papers and Internet data. According to analysis of conventional men’s hairstyles, uniform and standardized images are prevalent. To overcome this, this study examined fancy hair colors and bold hairstyles. Creative hairstyles are mostly very colorful. With the styles in which hair color becomes darker near the tip or hair root, this study created a bird or beautiful flower image with fancy feminine colors such as pink and orange. Furthermore, color techniques using medium or voluminous hair were also applied to men’s hair. First, mysterious images are created by applying ecstatic styles and green color to men’s hair. Second, dynamic images are obtained with dynamic styles and fancy color. Third, refined and stylish images are created by using dreamy styles and deep red, black and highlighted colors in turn. Fourth, cool mesh styles are formed with “macho” styles, C-curl and cool blue colors. Fifth, energetic and active images are obtained with active styles and yellow and orange colors. Sixth, neat and fancy images are created with unique styles and short and layered haircut. Seventh, charming and attractive design is formed with charming styles and purple color. Eighth, a refined and urban image is created with romantic styles and shortcut. Ninth, fantastic design is obtained with fantasy styles and a harmony of cold sky-blue and warm pink colors. Based on the said nine designs, men’s hairstyles were examined and created, to suggest practical styles in the end. With such efforts, this study attempted to create new men’s hairstyles. It is anticipated that they will be commercialized through abundant 3D images of creative styles and liberal expressions of fancy colors. It is also hoped that they would suggest differentiated salon styles and make an academic contribution to hairstyling.
여성노인의 한방기공운동 프로그램 참여만족과 성공적 노화 인식과의 관계
정종순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여성노인의 한방기공운동 프로그램 참여 만족과 성공적 노화 인식과의 관계 정 종 순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스포츠예술산업학과 지도교수 이 재 범 본 연구는 한방기공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의 프로그램 참여 만족과 성공적 노화인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의 개념은 서구에서 시작된 신 노년학(new gerontology)에서 비롯되었으며 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노인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노년을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 단어들(good, well)과 연결시키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성공적 노화의 개념으로 집약되었다. 질병이 없는 상태의 노화가 성공적 노화의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며, 사회적, 교육적, 생리적, 심리적, 휴식적, 환경적 등 여러 영역에 만족을 느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노인들에게 적용된 한방기공운동 프로그램의 배경변인에 따른 참여만족과 성공적 노화인식의 관계를 살펴보고 독립변수인 프로그램 참여만족이 종속변수인 성공적 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참여만족과 성공적 노화인식의 변인 간 차이의 다변인 분산분석(MANOVA)은 배경변인의 참가자 연령, 가족구성원, 학력, 운동경력, 수련 횟수, 경제적 상황 등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가자의 프로그램 참여만족과 전체 성공적 노화인식에 대한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에서는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기공운동의 특징은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작은 공간에서도 실시가 가능하며 우리의 전통의학인 한의학에 기초 이론을 두고 있어서 다른 서양 스포츠에 비해 친밀감과 건강에 대한 이해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오랜 세월동안 이어져온 기공운동은 동작이 느리고 간단하여 배우기 쉽고 건강증진의 효과가 탁월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노인운동에 대한 부정적 요인을 극복하고 안정성을 추구하며 노인의 건강중재를 위한 적합성을 검증하고 있는 새로운 슬로우 엑서사이즈(slow exercise) 운동요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노년기의 효과적인 여가활용 방안으로 한방기공운동의 적합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향후 노인여가복지정책으로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Relation between the Female Elderly's Satisfaction of Oriental Medicine Qigong Exercise program Participation and Successful Aging Perception Jeang Jong-soon Department of Sports Art Industr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Jae-bu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f the female elderly who participated into oriental medicine Qigong exercise program and their successful aging perception.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started from new gerontology in the west, and it meant that getting out of negative perspective about aging accepting diversity of the elderly, successful aging started from connecting the aged with words of positive meanings such as good and well to gathering intensively into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It is true that the important element of successful aging is a condition of aging without any diseases but it would not be sufficient for the term, but should find satisfaction in various areas such as social, educational, physiological, psychological, relaxant and environmental element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percep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oriental medicine Qigong exercise program applied for the female elderly and verified the effect of program participation satisfac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upo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s. First, from the MANOVA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perception, it i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for participants’ age, family members, academic record, exercise experience, number of training activities, the economic situation, etc. a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grasp the affecting relation of participants’ program participation satisfaction upon their successful aging perception, the regression mod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medicine Qigong exercise is that it can be performed in any small place and at any time and since its theoretical basis lied on oriental medicine of our traditional medicine, it can be said to have the affinity closer than any other western sports and a good understanding of health. Qigong exercise that has long been inherited has characteristics of slow and simple movement easy to learn and splendidly efficient in health promotion, and is to be applicable for a new slow exercise therapy to verify suitability for an exercise for health mediation of the elderly to overcome its negative factor for the elderly exercise and to pursue stability for the elderly exerc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ave a meaning in that they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oriental medicine Qigong exercise as an efficient leisure utilization strategy for the aging period, and provided basic materials for leisure and welfare policies of the elderly in future.
정종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궁중 정재 가운데 당악정재로 연희되던 포구락무가 조선 후기에 지방으로 전해지면서, 포구락무는 전국 각지에서 민속춤으로 변형되어 공연 예술화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포구락무는 국립국악원에서 궁중 정재의 형태로 전승하고 있고, 그것을 제외하면 진주지역에서 행해지는 진주포구락무가 유일하다. 진주포구락무는 진주지역으로 전승되어 민속화 하면서 무희의 차림새에서나 연희의 진행과정에서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왔고, 그것이 진주포구락무의 특징이 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진주포구락무는 그 자체로 한국의 전통춤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요소 외에도 역사성과 고유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점들이 진주포구락무의 보존과 보급에 힘써야 할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진주포구락무는 진주 교방춤을 대표하고 있는 진주검무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상을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으며, 그 보급에서도 역량이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국가 문화재로서의 진주검무와 경상남도 문화재로서의 진주포구락무가 가지는 사회적 가치가 다르다는 점, 그에 따라 대중의 관심도 또한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을 들 수가 있고, 다양한 도구를 이용한 군무라는 특징이 대중의 접근성을 약화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포구락무가 가지는 재미성과 유희성을 바탕으로 삼아, 노인층을 위해 더욱 쉽고 재미있게 변형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춤을 확산시킬 방안을 개발하고 진행하였다. 노년층이 그 대상인 만큼 동작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바꾸었을 뿐만 아니라 연희과정도 재미있게 변형시켰다. 이에 덧붙여 고령화 사회를 맞아 노년층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건강증진에 일조할 수 있다는 부가적 요소를 가미하여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즉 전통적으로 전승되고 있는 진주포구락무는 그 속에 포함된 여러 가지 다양한 장단과 동작을 익히는 과정이 쉽지 않기 때문에, 노년층에게는 있는 그대로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그래서 이 정통 진주포구락무를 노년층의 체력과 인지능력에 맞도록 장단과 동작을 대폭 고쳐보았다. 즉 장단은 비교적 몸에 익히기 쉬운 굿거리장단으로 정했으며, 음악도 이 장단에 맞고 친숙하게 여겨지는 사철가 민요를 택했다. 동작은 11개 기본동작으로 허리 감으며 굴신하기, 양팔 위로 올려 내리면서 걷기, 양손 수평 들어 좌우새하기, 마주보고 어르면서 굴신하기, 꽃봉오리 터뜨리면서 걷기, 태극사위로 메면서 걷기, 항아리 사위로 굴신하기, 그네타기 사위, 공 던지기 사위, 머리 위에서 접고 인사하기를 정했는데, 이 또한 따라 하기 쉬우면서 노년층에게는 운동 효과를 가미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이 11개의 기본동작을 이용하여 새로이 구성한 것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노년층 진주포구락무이다. 최종적으로는 이상의 모든 것을 종합하여 8차시의 교육을 통해 노년층 진주포구락무를 익혀서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육체적인 건강은 물론 노년층의 단체 활동을 통한 사회성 함양, 사회적 유대감, 성취감을 이룸으 로써 더욱 건강하고 밝은 노년기의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