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긍정적 및 부정적 사전반추 그리고 주의분산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정인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사회 불안 경향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반추의 조작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사회 불안 경향이 있는 대학생 53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사전반추(n=17), 부정적 사전반추(n=17), 주의 분산 조건(n=19)에 무선 할당하여 상태불안과 가능성 및 대가 편향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주의분산 조건과 비교하여 긍정적 및 부정적 사전 반추 조건에서 조건 유도 후에 상태 불안이 증가하였으며, 모든 조건에서 조건 유도 후 가능성 편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가 편향과 관련하여 부정적 사전 반추 조건에서는 대가 편향이 증가하였으나 주의 분산 조건에서는 대가 편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사전 반추 조건에서 대가 편향의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사전반추 조건의 참가자들은 다른 조건과 비교하여 더욱 더 자신의 수행과 신체적 감각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을 낮게 예상하고 수행 후 자신의 수행을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문화내용 분석 :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정정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세계화 및 정보화 시대에 외국어 교육에서 계속 강조해오는 목표는 바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이다. 그러나 최근 이 의사소통능력이 보다 바르고 효과적이며 원활하기 위해서는 목표언어의 문화를 알아야만 한다는 목소리가 커져가고 있다. 이같이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기존의 어느 교육과정에서 보다 현행 제7차 교육과정은 언어재료에 '문화'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더욱 문화교육을 부각시켰다. 이에 본 논문은 5종의 교과서를 선정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해서 만들어진 각 영어 교과서가 문화교육을 하기 위해 어떻게 문화내용을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각 교과서마다 소재별, 문화 배경별, 그리고 본문 이외의 별도로 제시된 문화내용을 주된 대상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각 영어 교과서의 문화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재의 창의성, 자율성 등을 위해 제7차 교육과정이 제시한 소재는 포괄적으로 제시되었고 영어교과서가 자칫 보편적인 내용으로 흘러갈 수 있었다. 따라서 이같은 소재를 문화적인 관점으로 접근해서 다루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육부는 교과서에 담아야 할 필수적인 문화내용을 명확하게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문화배경에 있어서 여전히 보편적이고 타 교과서에서 배워도 될 내용들이 거의 절반 가량이었다. 문화교육을 강조한 교육과정임을 생각해 보면 이는 의외의 결과이다. 따라서 영미적 상황을 다룬 내용의 비율이 더 높아져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의 문화적 통찰력을 키워주고 자문화와 타문화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비율의 문화 대조적인 방법을 통해서 접근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제는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들이 많아졌으므로 기타 나라에 대한 문화교육도 병행함으로써 세계화에 걸맞는 넓은 시각을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각 교과서마다 본문 이외에도 별도로 문화내용을 다루어 문화교육을 위한 특별한 배려를 하고 있는데 다만 더욱 더 체계적인 구성 하에 규칙적·지속적으로 제시해 주는 것이 필요한 것 같다. 의사소통 능력 신장과 우리 문화 및 외국 문화 이해라는 분명한 영어학습 목표에 따라 체계적으로 교과서 내용을 구성함으로써 상대 문화의 올바른 이해에 입각한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진정한 영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 교과서 개편시 교과서가 어떠해야 되는지에 대해 시사점을 주며 앞으로의 학년 진급에 따라 어떤 식으로 문화 교육이 연계되는지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The goal being continuously emphasized in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However, there is a growing assertion recently that we must teach the culture of a language to actualize the goal of communicative competence more correctly and efficiently. In accordance with growing need of culture education in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7th curriculum, rather than any other curriculum, stresses culture education by putting 'culture' as an item on the list of language ingredients.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how to deal with cultural contents to teach culture in the English textbooks orientated to the 7th curriculum by studying 5 kinds of textbooks. I analyzed them mainly according to the subject materials, cultural backgrounds, and additional cultural contents that especially are exhibited beyond the main text. These a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ltural contents. First, for the purpose of originality and liberty, the subject materials are presented comprehensively by 7th curriculum, which consequently English textbooks have universal subjects. So, there is a need to approach these universal subjects from cultural point of view,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concretely present the essential cultural contents. Second, in the cultural backgrounds, there are still more than half of universal contents, which can be taught in order subjects. Considering the 7th curriculum focusing on culture education, this is a disappointing result. Therefore, we must weigh on English and American situations more than now. Also, we should approach culture education by using cultural contrast and comparison method more frequently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cultural insight and objective recongni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culture and foreign culture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a growing number of countries speaking English, we should offer students a broader point of view preparing for globalization by dealing with not only England and America but also other countries. Third , each textbook shows consideration dealing with additional cultural contents apart from the main text. But it is needed to present them regularly and continually under systemic organization. We must let students know that they should acquire from English textbooks both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plain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culture and foreign cul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uggestions to consider during the next re-editing of English textbooks.

      • 스텐트 삽입술 후 관상동맥질환자를 위한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정정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855

        우리나라의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2012년 인구 10만 명당 43.2명으로 암 또는 뇌혈관질환 사망률 다음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관상동맥질환자에서 재협착은 시술받은 환자의 약 30-50%에서 발생되고 있고, 첫 시술 후 6개월 이내에 심장질환 재발이 일어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Odell, Grip, & Hallberg, 2006). 사망률 뿐 아니라 재발율과 재협착율이 높은 허혈성 심장질환의 재발방지를 위하여 심장재활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수적이며, 이는 관상동맥질환자의 회복을 도와주고 위험요인을 교정함으로써 재협착 또는 심장마비의 위험을 낮출 뿐 아니라 사망률을 20-25%로 감소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Oldridge, Guyatt, Fischer, & Rimm, 1988; O’Connor et al., 1989; Taylor et al., 2004). 미국과 유렵의 심장재활 표준지침은 American Heart Association(AHA), American Association of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Rehabilitation (AACVPR), European Association for Cardiovascular Prevention & Rehabilitation(EACPR)에 의하면 3-4단계로 구성되며, 다학제간 전문가에 의한 위험요인 수정 및 생활습관 변화에 대한 교육과 상담, 운동에 대한 중재를 적어도 8주 이상 실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Balady et al., 2007; Perk et al., 2012; National Health Study, 1998). 우리나라에서는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건강교육, 영양상담, 운동처방이 통합된 형태로 주로 대형병원에서 제공하며 일부 환자에게만 접근이 가능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적절하게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만성질환으로 생활습관 변화를 위한 자가 간호가 필수적인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병원-가정 연계의 통합적인 자가 관리 중재 프로그램이 거의 없으며 기관마다 시행되는 프로그램 내용이 달라 시술 후 심장재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진영수, 2005; 손연정, 2008; 송영숙, 2009; 조원정, 최모나, 김소선과 조은희, 2010). 따라서 스텐트 삽입술 후 병원에서 제공되는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기초로 지역사회에서나 가정에서 대상자가 쉽게 이행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통합적 자가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홍경표와 성지동, 2006). 이에 본 연구의 설계는 국내외 심장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검색 및 고찰을 하고 표준지침에 근거하여 관상동맥질환으로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에게 간호사의 주도로 건강상태 평가, 교육, 운동, 개별 상담 및 목표 설정, 퇴원 후 전화 상담, 건강 상담 등이 포함된 다학제간 구조화된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와 그의 효과를 평가하는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심장내과에서 관상동맥 질환을 진단받고 중환자실에 입실하여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환자를 유한모집단으로 하여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환자에게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심장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후 참석하기로 동의한 대상자 20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참석하지 않기로 한 대상자 2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에게는 간호사, 영양사, 운동 치료사에 의해 현재 서울시내 일개 심장혈관병원에서 제공되고 있는 건강상태 평가, 교육, 운동으로 구성된 1단계 병원기반 프로그램에 간호사 주도로 개별 상담 및 목표 설정, 전화 상담, 외래 방문 시 건강 상담으로 이루어진 2-3단계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일반적인 퇴원교육을 제공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5년 7월 13일부터 12월 23일까지 약 5개월이 소요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진단명, 동반질환, 협착 혈관 수 및 부위, 혈압,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LDL, LVEF, Blood sugar, BMI, 가족력, 혈당 등은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작성되었으며 일반적 특성, 불안 및 우울, 신체기능 상태, 건강행위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개별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0.0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X²-test와 t-test를 이용하였으며,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프로그램 적용시기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불안 및 우울, 신체기능 상태, 건강행위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양상은 Repeated measures ANOVA를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두 군 간의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환경적 특성, 종속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불안이 감소하는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1은 기각되었다(F=2.721, p=.072).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우울이 감소하는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2는 지지되었다(F=5.873, p=.004).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신체기능 상태가 향상 되는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3은 기각되었다(F=.052, p=.949). 가설 4.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건강행위 이행이 증가 되는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4은 지지되었다(F=30.570, p<.001). 가설 5.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이 향상되는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5는 지지되었다(F=4.809, p=.011). 따라서 스텐트 삽입술 후 관상동맥질환자를 위하여 간호사 주도의 다학제간 병원기반에서 제공된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프로그램이 퇴원 후 가정에서도 자가 관리를 통해 건강행위를 이행하게 함으로써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자수가 적다는 것과 무작위 추출이 아닌 임의표출방법으로 시행되어 연구의 일반화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스텐트 삽입술 후 관상동맥질환자들에게 약 3개월간의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우울, 건강행위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임상에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환자 스스로 건강행위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자가 관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Patients with established coronary artery disease(CAD) are at high risk of recurrent coronary events, mortality and morbidity globally(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PCI) with intracoronary stent placement has emerg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the management of CAD. Despite the effectiveness of PCI, however, the presence of the underlying risk factors remains a significant problem. Cardiac rehabilitation is a tremendously important component of the care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AMI) after coronary revascularization. But to rectify barriers attributed to the underuse of cardiac rehabilitation,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HA) recommends home-based and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as alternative models to traditional interventions in clinic-based and hospital-based settings(Balady et al., 201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tegrated hospital-to-home self-management program for CAD patients who have undergone stent placement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in order to improve physical function capacity, health behavior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lessen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This rehabilitation program was devised by integrating existing hospital-based multidisciplinary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s plus home-based one personalized, nurse-coordinated, self-management strategies and set-up goals to alter behaviors and dispel inappropriate health beliefs according to case records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for stent patients. The study selected the experimental group from consenting patients experiencing intracoronary stent placement for ischemic heart disease, who received the newly developed integrated self-management program consisting of individualized cardiac rehabilitation training with booklets and presentation slides developed by professionals, and exercise training using a treadmill and a bike, telephone counseling, individualized face-to-face counseling for 140-160 minutes.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hospital-to-home self-management program was measured using self-reported assessment tools such as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MSPSS), physical functional capacity, health behaviors, and HRQoL.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se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40, consisting of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evaluations were conducted to measure main variabl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to December 2015 and analyzed using numbers, percentages, mean, t-test, X²-test,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SPSS 20.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on anxiety(F=2.721, p=.072);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on depression(F=5.873, p=.004);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on physical function capacity(F=.052, p=.949);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on health behaviors(F=30.570, p<.001); and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F=4.809, p=.01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health behavior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reduction in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measur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measur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level of anxiety and physical functional capacity. In conclusion, patient-centered, integrated hospital-to-home self-management program can be utilized effectively in the field of nursing for ischemic heart disease patients after stenting.

      • 수학익힘책 활용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실태와 그에 따른 활용방법 제안

        정정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ABSTRACT Perception with Regard to Utilization of Mathematics WorkBooks, Current Status of Their Utilization and Measures Proposed for Improvement Jeong, Jeong In Department of Mathematic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Ro, Young Soon The phased and level-oriented curriculum contained in the 7th course of study of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did not work out substantially as intended due to a set of problems. In an effort to addres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hased and level-oriented curriculum contained in the 7th course of study of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the math work book, a supplementary math textbook, was developed by virtue of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7. The math work book was made available to 1st grad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for the first time in 2009. As at 2011, all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re using the book. The author has, therefore, found it necessary to undertake a study with respect to perception about utilization of math work books, current status of their utilization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Accordingly, this study has referred to and analyzed a range of literature associated with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revised in 2007, the way math work books have been developed and theoretical background behind such development, perception about utilization of math work books, current status of their utilization and how they are utilized. Perception in respect of utilization of math work books, current status of their utilization and methods of utilization have been studied by means of a survey conducted against 3rd graders of high schools and their math teachers.

      • 비지니스 업무에서의 정보 구조모델링을 이용한 객체 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정정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In the object oriented development, the certain classification of object and concreate object extraction methodology are needed for analysis with correctability and reliability. But, because object extraction which is so ambiguous and includes human's recognition, many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have not proposed concreate guideline of the object extraction. So, until now, object extraction have been depended on the developer's sensibilities and experiences. This dissertation propose object extraction methodology using the Information structure modeling(ISM) in analysis phase to increace efficiency of analysis. The Information structure modeling is apt to understand for user bacause which is event/response driven methodology and modeling tools and description method is simple. Besides, it has various business view, so appropriate to the analysis of business work. The object is extracted by user's event and classified into interface object, entity object and control object. Each object is decribed using the Information structure diagram which explains object's information, and the Behavior structure diagram which explains object's behavior. Behavior is extracted by cusomer views, staff views and manager views. After object is extracted, object's quality is examined with inspection and repaired. In this dissertation, object is extracted about Sookmyung women's university's library work using this proposed methodology. Although in the existing methodology, object extraction is ambiguous, if using this dissertation's concreate method, you can easily extract object. The correct object extraction of analysis phase reduce the labor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phase. 객체 지향 개발에 있어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을 위해서 객체의 명확한 분 류 및 구체적인 객체추출 방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객체식별의 문제는 다소 모호 하며, 사람의 인식을 포함하기 때문에, 많은 개발 방법론에서 이러한 객체 추출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객체의 추출은 개발자의 감각과 경험에 대부분 의존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정보 구조 모델링을 이용한 분석 단 계에서의 객체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정보 구조 모델링은 이벤트/응답 중심 방식으 로 모델링 도구와 표기법이 간단하여 사용자가 이해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비즈니 스의 다양한 관점에 대한 표현을 가지고 있어, 비즈니스 업무의 분석에 적합하다. 객체는 사용자의 이벤트를 중심으로 추출하며, 인터페이스 객체, 엔터티 객체, 컨트 롤 객체로 분류한다. 각각의 객체는 객체의 정보를 설명하는 정보 구조도, 객체의 행위를 설명하는 행위 구조도를 이용하여 표현되며, 행위는 비즈니스의 세 가지 관 점인 고객, 직원, 경영자 관점으로 추출된다. 객체를 추출한 후에는 검토를 통하여 객체의 품질을 검사하여, 수정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업무를 대상으로 제안하고 있는 방법에 따 라 객체를 추출하였다. 기존의 방법론에서의 모호한 객체식별 방법과 달리, 구체적 으로 제시된 본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면, 쉽게 객체를 추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 단계에서의 정확한 객체의 추출은 설계 및 구현에서의 노력을 줄일 수 있다.

      •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조사

        정정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수학교육의 내용과 기대수준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3. 효과적인 유아수학 학습방법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에 소재한 8개의 사립유치원 4, 5세반 어머니 총 28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는 관련 문헌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부분, 유아수학교육의 실시 현황 부분, 유아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부분, 유아수학교육의 내용 부분,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수준 부분, 효과적인 수학 학습방법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4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가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토 받은 후 설문지를 배부 및 수거하였고, 자료는 빈도 분석과 각 영역의 질문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중에서도 '논리적 사고의 기초가 된다'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를 직접 다루는 수학적 계산 능력 보다는 '논리적 사고의 기초가 된다'와 함께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한다', '일상생활에서 수학적 경험을 즐기고 수학의 가치를 인식한다' 등 정의적인 측면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 실시하고 있는 유아수학교육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학원, 학습지, 방문교사(학습지)를 통한 수학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가정이 60.13%로 어머니들이 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서 응답한 것과 상이한 결과가 나왔다. 즉, 유아 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서는 수학이 논리적 사고력이나,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에 그 중요성을 둔다고 답하고, 유아들에게 주고 있는 수학교육의 실제는 수학적 계산 능력을 기르는 활동을 주로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수학교육의 내용 및 기대수준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들은 수학교육의 목적에서 응답한 내용과 실제 활동에서 인식하는 중요성과는 일관되지 않은 생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학교육의 내용에서 수세기와 수량인식 등 수학적 계산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분류하기와 순서 짓기, 기초적인 측정과 관련된 경험하기, 시간에 대한 기초개념 알기, 기초적인 통계와 관련된 경험하기에는 인식이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 수학교육 내용에 따른 기대수준은 어머니가 인식하는 수학교육의 내용에 한정되어 기대하며, 어머니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유아수학교육의 내용에 관해서는 유아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서는 단계까지 기대하고 있으며, 그 외의 내용에 대하여는 유치원 교육과정에 준한 수준까지를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기초적인 통계에 대한 개념은 초등학교 1학년에서 요구하는 수준이 유치원에서의 통계 내용보다 더 낮은 수준의 내용이어서 통계에 대한 단계적 개념 정립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셋째, 효과적인 유아 수학 학습방법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수학 학습을 도와줄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사람으로 1순위를 부모로 응답했다. 그러나 현재 실시하고 있는 유아수학교육현황에서는 교사에 의한 수학학습을 하는 비율이 60.78%로, 많은 어머니들이 교사에 의존해 수학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유아 수학교육시 가장 중요한 성인의 역할은 유아와 상호작용을 해주는 역할이라고 했으며, 유아 수학교육시 효과적인 교재 교구는 구체물이라고 70.33%의 어머니가 응답하였다. 수 계산시 권장하는 방법에서는 손가락으로 계산하기를 45.62%의 어머니가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많은 어머니가 유아에게 구체물을 사용하여 상호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머릿속으로 계산하기'도 38.69%가 응답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thers' ideas of and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questions to address in this thesis include: 1. What do mothers think of the necessity and goal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2. What are mothers' idea of the contents and expectation levels of math education for their young children? 3. What do mothers think of effective ways of children's learning mathematic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opinions of 285 mothers of eight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bout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ir young children.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by the researcher on the basis of established theories in early mathematics education. It consisted of six parts: 1)general backgrounds of the mothers, 2)the current practices of mathematics education, 3)the necessity and goal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4)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5)mothers' levels of expectation regarding 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a kindergarten, and 6)effective ways of learning mathematics. There were 44 questions for the mothers to answer.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reviewed by the experts in this field before distributing to the mothers. After collecting the answers, the data was analysed with regard to the frequency, average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questions in each part of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mothers have a strong belief in the necessity and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They think mathematics education for early children is important because it serves, more than anything else, as a foundation of logical thinking. The mothers also tend to think that it is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confidence in mathematics and allows their children to enjoy mathematical experiences in their everyday life and to appreciate the value of mathematics. In other words, the mothers put definitional aspects of mathematics over the computational abilities to deal with numbers. However, the survey of the current practices of mathematics education reveals that 60.78 percent of the families engage their children in learning mathematics by taking them to after-school lessons in private institutions, or by subscribing to study booklets and/or by having a math tutor visit their home. This is in sharp contrast with their responses to the necessity and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since they in reality prefer activities to nurture the computational abilities of their children, while saying that mathematics is important and valuable because it helps the children build the power of logical reasoning. Second, the mothers' answer to the contents and expectation level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indergartens turns out to be inconsistent not only with their answers to the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but also with what they say they consider important in the actual practices. For example, they think processes involving mathematical calculation such as counting and quantity recognition are of paramount importance, while they have less esteem in classification, ordering, experiencing basic measurements, acquiring a fundamental concept of time, and experiencing basic statistics. Moreover, the expectation level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is limited to 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that they can recognize. As for 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that they consider important, the mothers expect the levels of education far above the levels suggested by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ereas they expect the levels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for the rest of 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As Kim (2003) points out, the expectation level of Grade 1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 concepts of basic statistics is lower than that in kindergartens, and thus an orderly alignment of the concepts of statistics to be taught is required It is imperative that a change of idea has to be made so that mothers' insisting on their children's advanced learning as a result of misguided passion for them would not help. Third, the mothers put parents themselves top-ranked as the best person to help you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in an answer to the questions about their idea of effective method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However, the mothers actually depend heavily on the teachers, as 60.78 percent of the answers said that the children's mathematics education is carried out by the teachers. They also responded that the most important role played by the adults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to interact with the children and 70.33 percent considered concrete objects the effective materials for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s for the method that they would encourage for their children to use in counting numbers, many of them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in an appropriate manner as 45.62 percent of the parents answered 'counting with fingers', while 38.69 percent chose 'counting in mind'.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what the mothers assume to know in theory about children's mathematics education and what they interact in practice with their children.

      • 박물관의 한국 현대사 전시에 대한 해체적 읽기 방안 연구 :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정정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역사박물관은 과거에 대한 공적인 기억을 구성하여 표현하는 공간이다. 그 과정에는 전시를 직접적으로 담당하는 큐레이터뿐만 아니라 정치권, 학계, 시민사회 등 다양한 주체가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점에서 역사박물관의 전시는 다양한 맥락 위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 극단적인 이념 갈등의 과정을 밟아온 한국 현대사의 경우 그러한 경향이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 그 결과 박물관의 한국 현대사 전시는 ‘통설’을 가장 커다란 설명틀로 사용한다. 이는 전시를 정치적 논쟁으로부터 보호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만, 한편으로는 해석의 여지를 가리는 측면이 있다. 역사교육적 관점에서는 학습자의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학습자가 박물관의 전시를 해체적으로 읽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해체적 읽기 방안을 설계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우선 박물관의 한국 현대사 전시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고, 그 한계점으로 완결된 서사 구조로 제시되는 ‘닫힌 서사’에 주목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또한 양질의 프로그램을 많이 제공하고 있지만, 박물관 전시의 서사를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해석해볼 기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 방법으로는 학습자가 교과서 서사에 문제를 제기하고 사료를 통해 역사상을 재구성해보는 ‘해체적 읽기’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박물관의 한국 현대사 전시에 대한 시선을 주안점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해체적 읽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원칙과 학습 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도출한 박물관 전시에 대한 해체적 읽기 방안의 설계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전시가 보여주는 내러티브에 균열을 야기하고 논쟁적으로 볼 수 있는 주제와 중심 질문을 설정한다. 둘째, 학습자가 스스로 전시 내러티브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볼 수 있도록 적절한 자료를 제공한다. 셋째, 박물관 전시를 해체적으로 읽어가는 과정을 학습자가 경험하고, 이를 토대로 자신의 서사를 구성해 표현함으로써, 박물관이 과거의 기억을 재현하는 과정과 그 성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주제로는 해방 이후부터 6·25전쟁까지의 시기를 선정하였다. 국가 정체성과 직결되는 주제인 만큼 교과서 서사가 지배적이고 학계에서 줄곧 지적한 국가 중심의 서사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해체적 읽기 방안은 사전 활동-전시실 활동-사후 활동으로 설계하였다. 사전 활동에서는 6·25전쟁에 대한 두 가지 전시를 함께 비교·분석하여 박물관 전시의 성격을 이해하고, 사료를 통해 정전협정과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대해 학습자가 해석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객관적 진리로만 여겨지던 박물관의 전시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측면을 열어주기 위한 것이다. 전시실 활동은 모둠별로 가장 중요한 전시물과 질문이 드는 전시물을 선정하여 전시 서사를 비판적으로 파악해보도록 하였다. 사후 활동에서는 앞의 학습을 바탕으로 집단 토의를 통해 전시 관람 경험을 객관화하고, 전시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이해한 후에, 모둠별 전시 기획을 통해 학습자가 역사 내러티브를 구성하여 표현해보도록 하였다. 그 과정에서 역사가 구성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A history museum is a space where the public memories of the past rearrange and express themselves. This rearrangement process is affected not only by the curator directly in charge of the exhibition but also by different factors, including the political, academic, and civil communities. In this respect, every exhibition at the history museum stands in various contexts. Such a trend is conspicuous in an exhibition dealing with contemporary Korean history, which has gone through an extreme ideological conflict. As a result, a museum exhibition o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uses the ‘conventional wisdom’ as its largest frame for explanation. This frame helps to protect the exhibition from political controversy but obstructs the audience from making different interpretations.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education, this severely restricts the learner’s spectrum of stimulation and perception. In an attempt to tackle this problem, this paper sugges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learners to critically ‘read’ history exhibitions at museums. In order to design the critical reading method, this paper initial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Korean history exhibitions at museums. The case stud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as used, and this paper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limited ‘closed narrative’ presented at the end of the complete narrative structure. Although the education programs provided guarantee high quality, this paper suggested the need for learners to actively interpret the narrative of the museum exhibition. Critical reading, where learners raise problems with ‘textbook narratives’ and reconstruct history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was proposed as a method. Next, the museum’s perspective o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exhibitions was divid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and principles and learning objectives driven from the perspective was used to design the critical reading method.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critical reading methods for the museum exhibitions are as follows. Initially, set topics and key questions that enable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narrative shown by the exhibition. Additionally, provide appropriate materials to learners so they can come up with questions about the exhibition narrative independently. Last but not least, by critically reading the museum exhibitions and by constructing their narrative based on them let the learners understand how a museum reconstitutes the memories of the past. In this paper, the period from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was selected as the learning topic because of the dominant ‘textbook narrative’, and as frequently pointed out in academia, the state-centered narrative is evident when describing this period and the underlying national identity. The critical reading method was designed in the order of pre-activity, exhibition room activity, and post-activity. In pre-activity, two exhibitions on the Korean War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museum exhibition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interpret the Armistice agreement and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using historical materials. This enables a critical appraisal of museum exhibitions, which have been considered objective truth. In the exhibition room activity, the key exhibits and related questions exhibits were selected for each group to develop a critical exhibition narrative. In the post-activity based on previous learning, learners were able to objectify the experience of viewing exhibitions through group discussions. And by embracing various perspectives on the exhibition, learners organized and expressed the historical narratives through group planning. The whole process allows learners to experience how the history is writ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