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육시설아동의 인지·정서·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 KPI-C, 지능검사와 CCTT, STROOP, BGT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보름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CCTT, STROOP, BGT 검사가 양육시설아동의 인지·정서·행동 문제를 진단·판별해낼 수 있는 검사도구로써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KPI-C, 웩슬러 지능검사와 CCTT, STROOP, BGT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CCTT, STROOP, BGT와 KPI-C,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나타나는 양육시설아동의 인지·정서·행동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나타난 양육시설아동의 지능과 CCTT, STROOP, BGT와의 관련성은 어떠한가? 셋째, KPI-C를 통해 양육자가 보고한 아동의 특성과 CCTT, STROOP, BGT와의 관련성은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 소재 상담센터에서 진행된 양육시설아동들 총 36명의 KPI-C, 지능검사, CCTT, STROOP, BGT 검사 결과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s의 적률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질적 분석을 위해 당시 의뢰사유, 행동관찰, 검사 결과에 따른 대상 양육시설아동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 양육시설아동은 ‘경계선 지능’을 가지고 있으며, 언어발달에서 더 취약함을 보인다. 또한,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복합적으로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CTT에서의 오류 수 증가와 STROOP의 단어점수의 저하, 그리고 BGT 반응 특성을 통해 본 연구 대상 양육시설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BGT 발달지표 점수와 Recall 수를 통해 본 연구 대상 양육시설 아동의 전반적인 인지적 능력(전체지능, 언어이해, 지각추론, 직업기억)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상 인원이 36명으로 매우 적어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현재 아동의 인지·정서·행동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KPI-C와 웩슬러 지능검사의 경우, 양육시설의 재정 및 운영 현실과 시간·비용절감 측면에 비추어 볼 때 여러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인지·정서·행동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CCTT, STROOP, BGT를 활용하여 양육시설 아동의 인지·정서·행동 특성을 살펴보았다는 점, 일차적 변별 검사로서의 CCTT, STROOP, BGT 검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스마트워크 인식이 공공기관 조직원의 워라밸(WLB)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수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은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조직의 업무 방식에 큰 변화를 주고 있으며, IT 기술 진보와 함께 스마트폰 보급 확산으로 사람과 공간, 공간과 사물 간의 접근성이 유연해지면서 무선인터넷과 데이터 분석, 정보자료 공유, 문서결재·승인 등의 사무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사람들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이 다양해짐에 따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스마트한 생활이 점차적으로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스마트워크(smart work)는 일하는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업무방식으로 경쟁이 심화되는 격변의 시대에 혁신적인 성과를 위한 매력적인 대안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저출산·고령화와 근로기준법에 따른 주 52시간 근로제도, 특히 COVID-19로 인한 사회 현안문제의 해결방안과 일과 삶의 균형(WLB; Work Life Balance)과 관련하여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성과중심의 효율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똑똑하게 일하기’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주관한 2019년 스마트워크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오피스, 유연근무제, 모바일오피스, 재택근무, 스마트워크센터 순으로 스마트워크 이용률이 높았다. 이러한 스마트워크의 도입으로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이 증대되었고, 이는 직원의 관심이 일 중심에서 자신의 삶 쪽으로 옮겨가는 계기가 되었다. 직원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느낄 때 조직몰입, 만족감 등은 제고되고 조직을 이탈하려는 이직 의도는 하락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Guest, 200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를 효과적으로 도입·정착하여 조직이 추구하는 실질인 성과를 내기 위해 어떠한 요소를 지원하고 검토해야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스마트워크 인식이 조직원의 워라밸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이 그 영향을 강화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스마트워크를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워라밸(WLB)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스마트워크 인식이 조직원의 워라밸(WLB)에 정(+)의 영향을 미칠 때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이 그 관계를 강화 또는 약화시키는지 여부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스마트워크를 도입하여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국내 공공기관 직원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미응답자와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380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워크 인식은 워라밸의 하위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일-가족균형, 일-여가균형, 일-성장균형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은 일-가족균형, 일-여가균형, 일-성장균형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워크 인식이 조직원의 워라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때 조직지원인식은 조절효과가 없었으나, 상사지원인식은 이 둘의 관계를 강화하였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사지원인식은 조직원의 일-가족균형, 일-여가균형, 일-성장균형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는 조직원이 지각하는 스마트워크는 워라밸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상사지원인식을 통해 그 관계를 강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스마트워크에 대한 연구에서 많이 다루지 않았던 실증분석 방법을 통하여 스마트워크 제도 활용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증대 시킬 수 있는 변수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 비해 실제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스마트워크의 효과성 증대를 위해서는 관련 제도 제정 및 정비, 시스템 개발, 활용 및 기술 교육 등 지원도 중요하지만 특히 직원과 상사의 인식 차이를 개선할 수 있는 조직문화 조성과 소통을 통해 직원들을 이해할 수 있는 리더십을 발휘 하는 등의 상사의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 정복근 희곡 연구

        고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study is targeted on Jeong Bok-geun‘s drama text centered on narrative strategy, having its goal in in-depth examining and identifying the writer consciousness. Jeong Bok-geun has been an active playwright, however, due to the times when the work was absent, previous studies are lacking. Even the previous studies concentrated at the time of Jeong Bok-geun's most active writing period that clearly shows the writer's individuality, they are divided into feminist consciousness, social class studies, and etc., thus, a quest for identifying internal principles and research with holistic perspective more broadly crossing the works are needed. Thus, through exploring Jeong Bok-geun's world of art shown in the dramaturgy on the peak time period of 1985 to 1994, this paper aimed on tracing the world of Jeong bok-geun's world of art by revealing the narrative strategy in author's dimention. Jeong bok-geun doesn't 'directly present' the dialogue and behavior of the characters, but presents complex- and three-dimentsional perspectives using epic narrator, focusing on the inner side of a character, proceeding to critical reasoning and reflection on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 While Jeong bok-geun's playwrite range over women's issues and social realities of the time centered not on the event but on the figures developing the story by narrative strategy variously utilizing epic narrator in the case of historical plays, the characters in the play relevant to the body of epic narrator perform chrous role asserting the fundamental thematic consiousness and writer consiousness which motivates Jeong bok-geun's dramas. Through epic narrator, centered on character's inner side, Jeong bok-geun's dramaturgy aiming mediative communication structure and requiring not a superficial but an in-depth reflection is a dramatic strategy coming forth from the writer's critical awareness. In the communication art of play, this can be said as a meta-communication strategy to properly deliver the writer's implicit intention to the audience in the theater. Jeong bok-geun demands the audience who is buried in personal matters to broaden awareness and extend the scope of reasoning by arousing problems of contemporary society, women, and history. Chapter II deals with women's issues, Jeong bok-geun becomes epic narrator where characters in the play talk to the audience, and let the character confess own heart in the form of molologue. Jeong bok-geun appears to highlight the inner repression of women through the character's inner voice. Monologue of epic narrator reveals internalized norms and ideological consciousness in figures in the play and leads the audience to critical awareness and reflection by expanding women's issues to societal dimension. The 'talk time' of epic narrator is not an oppressed object but functions as an principal time building own narrative and experience of 'day-to-day, or specific repression' summoned by the story extends to reflecting on responsibility of collective and historical dimension. Chapter Ⅲ, noting on the point how jeongbokgeun approach the societal problem using the text where complex lay out of time and space becomes the majority like in the construction of movie scenes, the writer examines [the aspect of materializing figure's inner side through concealed epic narrator, which signifies stage lighting, music, and other theatrical devices. Jeong Bok-geun summons the past and unconscious mind of the characters on stage through intersection of time and space and juxtaposition by time Montage, which is revealed to be the aspect of pathos linked to the social structure and problems of the time that individuals go through. Jeongbokgeun becomes narrative self behind the concealed epic narrator, meta-incarnating character's inner surface, providing the vision to critically look at the societal reality of the time. Chapter Ⅳ, 'the keeper series' historical play, shows strengthened performance aspect. Historical play which leans heavily on dramatic interpretation premising performance, epic narrator of collective narrative self acting as chorus appears, and bluntly reveals the fundamental value of the writer. While the historical play of Jeong bok-geun has strong performance element through performances by the spectacle, the intended message to the audience by the author is clear. Jeong bok-geun explores the internal power of history and urge the audience to seek for invariable value, not a life pandering on variable reality. Jeong bok-geun's perspective broadly encompassing the history and the artist's value pondering on the image of whole human and pursuing the invariable morality and conscience is ever directly revealed through chorus group's dance and songs. Jeong bok-geun's playwrite focused on the mediating communication structure is strategically structured through using varying text strategies depending on the subject. As the characteristic of play genre absorbs and fuses different genres on performance ground, Jeong Bok-geun's playwrite is stretched out on dramatic spectrum ranging from play text strengthened in narrative aspect by lyrical monologue, montage text where complex layout of time and space is the main stream, and to post-dramatical text which intends to uplift and awaken the audience sense. This is not only Jeong bok-geun's artistic skill but a meaningful pioneering of open work, looking at the coordinate axis of era and women the writer was located in. 본 연구는 정복근의 극 텍스트의 서사화 전략을 중심으로 한 작품의 심층적 분석 및 작가 의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복근은 활발한 극작 활동을 해온 작가이지만 작품집이 부재하는 상황 등으로 인해 선행 연구의 실적이 부족한 상태다. 정복근이 작가적 개성을 뚜렷하게 드러내면서 왕성하게 극작 활동을 펼쳤던 시기에 편중되어 있는 기존의 논의들마저도 여성주의 의식, 사회 계층에 대한 탐구 등으로 나뉘어 있어서 정복근 극작을 보다 폭 넓게 아우르는 내적 원리에 대한 규명과 총체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고는 정복근 희곡에 대한 논의가 집중되어 있는 1985~1994년에 해당되는 시기의 작품 세계에서 보여지는 극작술을 통해 작가적 차원의 서사화 전략을 밝힘으로써 정복근 극작의 내적 원리와 작가 의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정복근은 인물의 대사와 행동에 대한 ‘직접 제시’가 아닌 서사적 자아의 활용을 통한 복합 관점과 입체적 제시를 통해 인물의 내면에 초점을 맞추면서 인물의 내부에 작동하고 있는 사회, 역사적 조건에 대한 비판적 사유 및 성찰로 나아간다. 여성 문제와 당대 사회의 현실 등을 다룬 정복근의 극작이 사건이 아닌 인물에 중심을 두면서 서사적 자아를 다양하게 활용한 서사화 전략을 통해 전개되었다면 역사극의 경우 집단의 서사적 자아에 해당하는 극중 인물들이 코러스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정복근 극작을 추동하는 근본의 주제 의식과 작가 의식이라는 바탕을 설파한다. 서사적 자아를 통해 인물의 내면에 중심을 두고 매개적 소통구조를 지향하면서 표층적 인식이 아닌 심층적 성찰을 요구하는 정복근의 극작술은 작가가 가진 문제 의식에서 나온 극적 전략이다. 이것은 연극이라는 의사소통의 예술에서 작가의 함축적 의도를 관객에게 제대로 전달하기 위한 메타 의사 소통적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정복근은 개인의 문제에 매몰되어 살아가는 관객에게 동시대의 사회, 여성, 역사의 문제를 환기하면서 인식의 폭을 넓히고 사유의 범위를 확장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Ⅱ장은 여성 문제를 다루는 극들로 정복근은 극중 인물들이 관객에게 말을 거는 서사적 자아가 되어 모놀로그의 형식으로 자신의 내면을 고백하게 한다. 정복근은 인물의 내면적 발화를 통해 여성이 겪는 내적인 억압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양상이 드러난다. 서사적 자아로서의 모놀로그는 극중 인물에 내면화된 규범 의식과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고 여성의 문제를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시켜 관객으로 하여금 비판적인 인식과 성찰을 유도한다. 서사적 자아의 ‘이야기의 시간’은 억압의 객체가 아닌 자신의 서사를 구축하는 주체의 시간으로 기능하고, 이야기에 의해 소환된 일상적, 혹은 특정한 억압의 체험은 집단적, 역사적 책임을 고민하는 차원으로 확장되어 가는 면모를 보인다. Ⅲ장은 정복근이 영화적 장면 구성처럼 시공의 복합적 제시가 주를 이루는 텍스트를 통해 사회 문제에 접근해가는 점에 주목하여 작가가 조명, 음악 등의 연극적 장치를 의미하는 ‘은폐된 서술적 화자’를 통해 인물의 내면을 구현하는 양상을 살펴본다. 정복근은 시간 몽타주를 통한 시공의 교차, 병치 등으로 인물의 과거, 무의식 을 무대 위에 소환하는데 그것은 사회 구조 및 시대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는 개인이 겪는 페이소스의 양상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정복근은 은폐된 서술적 화자를 통한 작가적 차원의 서사화를 통해 인물의 내면을 메타적으로 구현하면서 당대의 사회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고 하겠다. Ⅳ장의 ‘지킴이 시리즈’인 역사극은 공연성이 강화된 양상을 보인다. 공연을 전제로 한 무대 위의 구현이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 역사극에는 코러스적 역할을 하는 집단의 서사적 자아가 등장해서 작가가 추구하는 근본의 가치를 직설적으로 드러낸다. 정복근의 역사극은 퍼포먼스적 스펙터클을 통한 공연적 요소가 강하면서도 작가가 관객에게 의도한 메시지 역시 분명하다. 정복근은 역사의 내적 동력을 탐구하면서 관객으로 하여금 가변적 현실에 영합하는 삶이 아닌 불변하는 가치를 추구하는 자세를 촉구한다. 역사를 폭 넓게 아우르는 정복근의 시선과 온전한 인간의 모습을 고민하면서 불변의 도의와 양심을 추구하는 작가의 가치관은 코러스적 집단의 춤과 노래를 통해 직접적인 모습으로 드러난다. 매개적 소통구조를 중심으로 한 정복근의 극작술은 주제에 따라 상이한 작가만의 텍스트적 전략으로 구축된다. 공연을 전제로 하여 다른 장르들을 흡입, 융합하는 희곡의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정복근의 극작은 주제에 따라 서정적 모놀로그로 인해 서술성이 강화된 극 텍스트에서 시공의 복합적 제시가 주를 이루는 몽타주적 텍스트, 관객의 감각적 고양 및 각성을 의도한 포스트드라마적 텍스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펼쳐진다. 그것은 정복근의 작가적 역량임과 동시에 시대와 여성이라는 작가가 위치한 좌표에서 선구자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열린 작업의 의미를 갖는다.

      • 도남학파의 심성수양론 연구

        환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919

        기존 주학의 도통론에 입각하자면, 주희는 공맹의 도를 자득하고 이정의 가르침을 연구해서 자신의 사상체계를 정립한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주희는 초연하고 독립적인 사상가이며, 주희의 학문은 독창적 종합 이론이다. 본 연구자는 이정과 주희 사상을 역사적이고 맥락적이라고 전제하면서, 이정과 주희 간의 사승 관계를 중심으로 도학의 사상사적 전변과정을 검토하여 기존 입장과 다른 시각을 제공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도남학의 사상사적 배경을 논한다. 도교․불교에서 본성을 본체론적으로 이해하면서, 마음의 고요함을 찾는 수양론을 강조한다. 유가 심성론 역시 인간의 본성을 고요한 것이라 이해하고, 감정은 본성과 달리 부정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감정과 사려를 조절하는 공부법이 강조되고, 그 방법론은 바로 정좌이다. 그런데 당송 시기의 유가는 정적인 심성수양론을 수용하나, 그럼에도 외왕 공부 역시 강조한다. 정호와 정이는 도남학 심성수양론의 선구자들이다. 정호는 자연생명에 깃든 도덕성을 주목하면서, 심성과 외물을 합일적으로 이해할 것을 강조한다. 그는 마음에서 자기 본연성을 직관할 것을 강조하고, 이러한 공부를 바탕으로 다른 사물에 대한 확충 공부를 주장한다. 정이는 본성과 감정을 분석적으로 이해하면서, 도덕성의 판단․행위준거를 마음이 아닌 본성에 둔다. 본연적인 것은 본성이고, 현상적인 것은 마음이기 때문이다. 정이는 소계명, 여대림과의 중화논변에서도 정이는 중(中)이 본성의 작용에 불과하다면서, 심 본위의 철학을 비판한다. 정이는 평상시의 함양 공부를 통해 자기 본연성을 유지할 것을 주장하고 격물궁리 공부를 강조하면서 자기 독단성으로 나아갈 수 있는 직관적 공부를 경계한다. 양시, 나종언, 이통은 도남학을 대표하는 학자들이다. 먼저 양시 초기 사상사적 자료인 「荊州所聞」에서는 심을 도덕성의 원천이자 표준준거로 두고, 사려의 중요성을 제한적으로 본다. 정이 사사 이후의 어록자료에서는 심과 성을 분석하면서, 성을 마음보다 우선시하는 표현이 관찰된다. 또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대별하거나 기품에 대한 언급이 등장하는데, 이는 정이 사상과 부합하는 측면이 있다. 양시는 자기 본연성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미발 수행법, 즉 정좌를 강조하는데, 이는 도가나 불교의 그것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동시에 그는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독서․외물학습을 수용하면서, 역행(力行)․치도(治道)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나종언은 인간 본성의 현상성에 주목하면서, 습성(習性), 기성(氣性), 기질지성을 언급한다. 본성에 있어 기품의 특성을 강조하는 이러한 심성론은 정이의 사상사적 경향과 부합하는 측면이 있다. 그는 미발 공부를 강조하면서, 본래적 마음을 보존하고 발양하는 공부법을 강조하였다. 그의 수양론의 핵심은 바로 정치참여공부에 있는데, 그는 『春秋』 공부를 강조하면서, 민본 정치와 도덕정치의 필요성을 논한다. 즉 도덕공부에 있어 사회적 실천의 중요성을 피력한다. 이통은 인간 본성을 본원과 기질로 이원화하였고, 이 중 본원에서 천리가 현현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상적인 마음으로 쇄락지심(灑落之心)을 강조한다. 이통은 인을 체득하고 천덕에 도달함은 전일적 시공간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지 미발 혹은 이발이라는 구별에 제한되지 않는다고 주희를 타이른다. 이통은 정좌와 함양 공부를 강조하면서, 고요함 가운데서 미발의 기상을 볼 것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통은 리일이 아닌 분수가 어려운 것이라 강조하면서, 미발시 공부가 일상생활과 부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통은 양시와 나종언과 마찬가지로 미발 공부와 이발 공부를 공히 강조한다. 주희는 도남학의 심성수양론을 계승하였다. 주희는 본성을 분석하여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으로 이원화하고, 심 개념 역시 인심(人心), 도심(道心) 등으로 체계화하였다. 특히 그는 기축년 이후에 호상학적 관점의 사상을 반성하면서, 미발의 심리적 위상을 인정한다. 이에 따라 주희는 미발과 이발을 고루 강조한 도남학적 전통을 수용하면서, 정이의 경 관념을 중심으로 공부론을 체계적으로 다듬는다. 즉 미발시에는 함양 공부를 주로 강조하고, 이발시에는 격물과 쇄소응대(灑掃應對)와 같은 공부를 주로 강조한다. 이러한 도남학파의 심성수양론은 도덕교육에 있어 구성적, 통합적, 체화적 접근을 시사한다. 도남학적 관점에서 마음은 지각기능을 토대로 대상을 구성하고, 자신의 맥락 속에서 외부세계와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한다. 또한 도남학의 심 관념은 인지, 정의, 의지적 측면을 통합하는데, 이는 ‘인지나 정의’ 혹은 ‘덕과 원리’라는 이원적 도식을 반성하게 한다. 그리고 마음의 평안을 강조하는 도남학적 수양론은, 오늘날의 체화적 인지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하여 본 논문은 구체적으로 도남학의 수양론이 마음챙김이나 사회적 실천 공부 등에서 일련의 함의를 갖는다고 본다. 이정에서 양시, 나종언, 이통, 주희로 진전되는 사상적 경향은 학자마다 경중은 있겠으나 크게 4가지 지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성정(性靜), 심․성․정의 분석적 이해, 미발의 강조, 일용공부의 강조이다. 이는 도남학을 미발로만 규정짓고 이를 주희 사상에서 부분적인 요소로 이해한 그간의 연구사조가 평면적이면서 단절적인 연구임을 시사한다. 즉 미발과 이발을 공히 강조하는 주희의 공부론이 도남학의 유산에서 근거했음을 살펴볼 때, 우리는 주학을 북송시기에서부터 내려져오는 사상사적 연속추세에서 이해해야 함을 알 수 있다.

      • 좋은 축제 만들기 : 지역축제의 한계 및 대안

        환택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교차학협동과정 문화예술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Local festivals in Korea have been developed to build local identity and secure competitiveness of regions through cohesion of local residents. However, most local festivals have focused only on their appearances today, overlooking the essential function of a festival as a joyful event, resulting in uniformity of festivals without uniqueness and distinctiveness of each reg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local festivals in Korea and establish criteria for organizing a good festival that everyone can enjoy. Festivals originated from seeking God to relieve stress and suffering that human beings experience in life. Through the encounter with God, human beings realize that they are perfect beings which contradicts their preconception of human imperfection. Human beings develop empathy as they realize that God and they are same rather than different. The empathy leads to the communication with God, which leads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the place turns into an arena of festival. In this way, communication starts from the realization of perfect “I” and the empathy that God and I are one. Empathy develops with the realization of the perfect “I” and the mutual recognition of each other’s perfection. Such empathy leads to unboun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out empathy is no more than a compromise. This is also the biggest problem of local festivals in Korea. As festivals are held in compromises based on each other’s goals today, communication is gone, and the essential function of festival is left behind. Ensuring empathy instead of each other’s goals and communicating and collaborating are integral to enhancing the quality of festival and organizing a good festival. Human beings have always wanted to be liberated from work, and festivals have emerged as a way of liberation from everyday life. They wanted a deviation by creating changes in emotion through the festivals, which cannot be felt in daily lives. Such deviation required methods, which are a festival and a play. Deviations are seen as crazy. Human beings become crazy both when they are stressed out and when they are not. Becoming crazy due to stress is suffering; becoming crazy due to no stress is enjoyment. Simply deviating to satisfy one’s desire does not allow confirmation of mutual empathy, and deviation without empathy is not a festival. Therefore, deviations in festivals must be craziness to find pleasure through empathy and to confirm the perfect “I.” I think festivals are craziness. However, most festivals today cannot be considered good festivals because such craziness does not exist in them. Despite the fact that festivals have many problems today, there are many festivals in individual regions and many people are looking for festivals. This is because many people who are looking for festivals still have the positive spirit that festivals are fun.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criteria for organizing a good festival, which I set as “affectionate festival,” “communicative festival,” and “voluntary festival.” Affectionate festival is the festival in which I can find the perfect “I.” Finding the perfect “I” is to be honest with one’s feelings, know where I come from, know that my body is precious, and know the feeling of love. This is affection; therefore, affectionate festival is the happy festival in which I find the perfect “I” and that is loved by everyone. Communicative festival is the festival in which people recognize each other’s empathy, communicate, and enjoy. A festival without communication cannot be a good festival. Communication should be based on empathy with each other, and communication cannot exist without empathy. It must be a good festival if people have empathy with, communicate, and enjoy each other. Voluntary festival is the festival that is created by everyone together. In a good festival, “I” voluntarily take actions. Festivals with voluntary actions are always enjoyable. Good festivals have no goals and no pressure; they just have affection shared in enjoyment. As the criteria of a good festival suggests, w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festival is empathy and communication. A festival without empathy and communication cannot be a good festival. Empathy and communication are the spirit of festival that has never chang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such spirit make “I” “uniquely mine.” We Koreans have experienced how enjoyable good festivals are during our street cheering during 2002 World Cup and the candlelight rally in Gwanghwamun. Therefore, we should not forget empathy and communication as the spirit of festival when planning and organizing a festival, and make it a happy festival for all of us in which we empathiz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우리나라 지역축제는 지역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 주민들의 화합을 통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개발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대다수 지역축제가 축제는 즐거워야 한다는 축제의 본질적 기능은 외면한 채 외형적인 모습에만 집중하게 되면서 지역축제는 그 지역만의 고유성과 차별성은 사라지고 획일화된 축제만을 만들어 내는 결과를 낳았다. 그래서 이러한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누구나 행복하게 즐길 수 있는 좋은 축제를 만들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축제는 인간이 현실에서 가지는 스트레스나 고통을 해소하기 위해 신(神)을 찾음으로써 시작된다. 신(神)과의 만남을 통해 인간은 불완전하다고 생각한 내가 알고 보니 완전한 존재였음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인간은 신(神)과 내가 다름이 아닌 같음을 확인하며 공감(共感)을 이룬다. 이러한 공감(共感)은 신(神)과의 소통으로 연결되고 신(神)과의 소통은 사람과 사람 간의 소통으로 이어지면서 그곳은 축제의 장(場)으로 변하는 것이다. 이처럼 소통은 완전한 ‘나’를 확인하고 신(神)과 내가 하나였음을 공감(共感)하는데서 시작된다. 공감(共感)은 완전한 ‘나’를 확인하고 그것을 서로 확인하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감(共感)은 무한한 소통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공감(共感)이 없는 소통은 타협에 불과하다. 이러한 부분이 우리나라 지역축제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이기도 하다. 오늘날 축제가 서로 간의 목적에 의해 타협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소통은 사라지고 축제의 본질적 기능은 뒤로 밀리는 것이다. 서로의 목적보다는 모두가 즐거운 축제를 만들기 위한 공감(共感)을 확인하고 서로 소통하고 협력해야지만 축제의 질도 높이고 좋은 축제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은 항상 현실의 노동과 일 등으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했고 삶으로부터 해방을 위한 방법으로 축제가 생겨났다. 이러한 축제를 통해 인간은 일상의 삶에서 느낄 수 없는 감정의 변화를 만들어 내는 일탈을 원했다. 이런 일탈을 위해서는 방법이 필요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축제이며 놀이인 것이다. 일탈을 보는 사람들은 미친 짓으로 보인다. 인간은 스트레스를 받아도 미치고 안 받아도 미친다. 스트레스를 받아서 미치는 것은 고통이며 안 받아서 미치는 것은 즐거움이다. 단순히 욕망을 채우기 위한 일탈은 서로의 공감(共感)을 확인할 수가 없고 공감(共感)이 없는 일탈은 축제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축제에서의 일탈은 공감(共感)을 통해 즐거움을 찾고 완전한 ‘나’를 확인할 수 있는 미친 짓이어야 한다. 나는 축제를 미친 짓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축제에서 이런 미친 짓을 못하기 때문에 좋은 축제라 말할 수 없다. 오늘날 축제가 많은 문제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마다 수많은 축제가 열리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축제를 찾고 있다. 이는 축제를 찾는 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아직까지도 축제에 가면 ‘즐겁고 재미있다’라는 긍정적인 힘과 축제정신이 살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좋은 축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하며 나는 그 기준을 ‘정(情)다운 축제’, ‘소통하는 축제’, ‘자발적인 축제’로 정하였다. 정(情)다운 축제는 완전한 ‘나’를 확인할 수 있는 축제이다. 완전한 ‘나’를 확인한다는 것은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야 하며 내가 어디서 왔는지를 알고 내 몸은 소중한 몸이며 사랑의 감정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정(情)이며 따라서 정(情)다운 축제는 완전한 ‘나’의 존재를 확인하고 모두가 사랑하는 즐거운 축제이다. 소통하는 축제는 서로 공감(共感)을 확인하고 소통하며 즐기는 축제이다. 소통이 없는 축제는 좋은 축제라 말할 수 없다. 소통은 서로 간의 공감(共感)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공감(共感)이 없는 소통은 있을 수 없다. 서로 공감(共感)하고 소통하며 즐긴다면 그것이 바로 좋은 축제일 것이다. 자발적인 축제는 모두가 함께 만드는 축제이다. 좋은 축제는 ‘나’ 스스로가 움직인다. 스스로 움직인 축제는 언제나 즐겁다. 좋은 축제는 아무런 목적도 강요도 없으며 단지 즐거움이 공유하는 정(情)다운 만이 있을 뿐이다. 이처럼 좋은 축제의 기준에서 알 수 있듯 축제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대상은 공감(共感)과 소통이다. 공감(共感)과 소통이 없는 축제는 좋은 축제라 할 수 없다. 공감(共感)과 소통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변하지 않는 축제정신이며 이런 축제정신이 ‘나’를 ‘나답게’ 만드는 것이다. 우리는 2002 한일 월드컵 길거리 응원과 광화문 촛불집회를 겪으면서 좋은 축제가 얼마 즐거운가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축제를 기획하고 만드는 데 있어 공감(共感)과 소통이라는 축제정신은 잊지 말아야 하며 서로 공감(共感)하고 소통하는 누구의 것도 아닌 우리 모두의 즐거운 축제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기초한 군집유형별 차이연구

        솔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에 따라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따라 몇 개의 군집이 존재하는가? 둘째, 각 군집별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 및 충북, 대구·경북의 4년제 대학 5개교의 재학생 302명으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진로결정수준검사, 진로준비행동검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2단계 군집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 사후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따라 3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군집 1은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평균보다 낮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평균보다 높은 이상적 유형, 군집 2는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평균보다 높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평균보다 낮은 총체적 문제형, 군집 3은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이 모두 평균보다 높은 관계유능-진로문제형이다. 둘째, 각 군집별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은 이상적 유형이 총체적 문제형과 관계유능-진로문제형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진로준비행동은 이상적 유형과 관계유능-진로문제형이 총체적 문제형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진로상담의 연구와 실제에서 정서적, 성격적 특성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환기시켰으며, 진로발달과 관련있는 관계적 변인으로 대인관계 유능성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실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차별적 진단과 차별적 개입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대학생 또는 진로상담을 찾은 내담자를 대상으로 할 때에도 본 연구의 유형분류가 타당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군집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종속변인으로 진로성숙이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등의 변인을 추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이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919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최근 한국의 아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주관적 행복감, 삶의 만족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4년 한국 어린이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로 보고되었다. 보건복지부가 2013년 한국 아동종합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60.3점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로 나타났다. 2015년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에서 세이브더칠드런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의 아동의 행복감 국제 비교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국 어린이들의 주관적 행복감은 12개국의 전 연령대랑 비교했을 때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은 매우 낮은 상태임에도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서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총체적으로 탐색하고 확인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Veenhoven(1994)은 개인이 지각하는 행복이란 각자가 속한 집단과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행복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초등학생들이 속한 학교와 가정 등에서 일어나는 맥락적 변인 및 상황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초등학교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초등학생의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위의 연구목적에 입각하여 연구문제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개인, 가정, 학교 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차이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구인화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제작하여 2회에 걸친 델파이조사(내용타당도 검증 등)와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본조사를 위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본조사에서 서울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1,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이 이루어졌으며, 이중 1,115명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변인분석을 통해 변인구조를 타당화하고, 신뢰도 분석을 하여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차이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이 무엇인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 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행복감을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성별에 따라 인식하는 행복감에는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상(上)인 집단과 중(中)인 집단, 하(下)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정 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 삶의 만족, 긍정정서는 부모가 있는 가정의 아동이 한부모 가정의 아동보다 높고, 부정 정서는 부모가 있는 가정의 아동이 한부모 가정의 아동보다 낮았다.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 삶의 만족, 긍정 정서는 높아지고, 부정 정서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인 초등학생의 집단이 아버지 교육수준이 중고등학교 중퇴 및 졸업인 초등학생의 집단 보다 행복감, 삶의 만족, 긍정 정서가 높고, 부정 정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청소년단체활동 경험과 임원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이 청소년단체활동 경험과 임원경험이 없는 아동보다 인식하는 행복감과 삶의 만족, 긍정정서가 더 높고 부정 정서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학교 참여 프로그램수가 3개 이상인 초등학생 집단이 방과후학교 참여 프로그램 수가 2개인 초등학생 집단 간보다 인식하는 행복감과 삶의 만족이 더 높고,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초등학생보다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학교 참여 프로그램수가 3개 이상인 초등학생 집단이 방과후학교 참여 프로그램 수가 1개인 초등학생 집단 보다 부정 정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년이 높아질수록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과 긍정 정서가 낮아지고 부정 정서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성적인지가 높아질수록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들의 회귀모형 1은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변량을 51.1% 설명하고 있다. 모형 2는 모형 1에서 가정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1에 비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변량을 4.9% 더 설명하고 있다. 모형 3은 모형 2에서 학교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2에 비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변량을 3.1% 더 설명하고 있다.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대인관계성향(=.162)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자아존중감(=.152)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부모관계(=.127), 주관적 건강상태(=.126), 감사성향(=.111), 낙관성(=.082), 교과외활동(=.067), 교사의 방임적 훈육(=.153), 성별(=.063)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가족관련 스트레스(=-.122)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다음은 부모의 기대(=-.118)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학년(=-.089), 학업관련 스트레스(=-.086), 교사관련 스트레스(=-.077)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들의 회귀모형 1은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의 변량을 45.2% 설명하고 있다. 모형 2는 모형 1에서 가정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1에 비해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의 변량을 2.6% 더 설명하고 있다. 모형 3은 모형 2에서 학교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2에 비해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의 변량을 1.2% 더 설명하고 있다.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대인관계성향(=.188)이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주관적 건강상태(=.135)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자아존중감(=.128), 부모관계(=.123), 감사성향(=.113), 가족여가만족도(=.080), 성별(=.072), 주관적 성적인지(=.066)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학업적 성취동기(=-.092)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교사관련 스트레스(=-.076)가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며, 세 번째로 가족관련 스트레스(=-.065)가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들의 회귀모형 1은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의 변량을 42.4% 설명하고 있다. 모형 2는 모형 1에서 가정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1에 비해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의 변량을 4.5% 더 설명하고 있다. 모형 3는 모형 2에서 학교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2에 비해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의 변량을 1.4% 더 설명하고 있다.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부모관계(=.204)가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대인관계성향(=.168)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자아존중감(=.144), 감사성향(=.120), 여가만족도(=.093), 교과외활동(=.083)과 주관적 건강상태(=.083), 낙관성(=.078)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부모의 기대(=-.071)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가족관련 스트레스(=-.094)가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며, 세 번째로 과외관련 스트레스(=-.071)와 소외감관련 친구스트레스(=-.071)가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들의 회귀모형 1은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의 변량을 21.6% 설명하고 있다. 모형 2는 모형 1에서 가정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1에 비해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의 변량을 3.3% 더 설명하고 있다. 모형 3는 모형 2에서 학교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2에 비해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의 변량을 4.0% 더 설명하고 있다.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를 낮출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자아존중감(=-.107)이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주관적 건강상태(=-.090)가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낙관성(=-.085) 교사의 방임적 훈육(=-.079), 교사의 지원적 훈육(=-.068), 성별(=-.068)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를 높이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학년(=.131)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가족관련 스트레스(=.126)가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며, 세 번째로 학업관련 스트레스(=.091)가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 정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개인 변인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적, 행정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대인관계성향, 자아존중감 등과 같은 개인 심리적 변인을 강화시키기 위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가정과의 연계지도와 학부모교육을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높여야 한다. 자녀와 좋은 관계를 만드는 방법, 가족 내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등에 대한 학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교육 계획과 교육관련 행사 추진 시 초등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 관점이 필요하다. 넷째, 초등학생들이 친구관계에서 소외감과 위협의 상황에 놓이지 않도록 교육적으로 배려하고 예방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과외활동 즉, 방과후학교 교육활동, 스포츠 활동, 예술체험활동 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저소득층 아동의 행복감 향상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일곱째, 주관적 건강수준을 높이기 위한 지원을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높여야 한다. 여덟째,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행복감이 줄어들지 않도록 하는 학교 교육에서의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아홉째, 초등학생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사의 학급 운영방법과 훈육방식에 대한 교사 연수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대해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에 대해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한국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행복감이 다른 국가 아동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낮은 것으로 수년간 보고되고 있으며, 초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관한 연구 결과가 교육정책 수립 및 일반 학교에서의 교육 계획 수립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Recently,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However, in contrast to this popular opin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subjective happiness or well-being for Korean children is too low, comparing the children's of other countries. Out of all OECD countries, Korea has been rated one of the lowest in children.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eported tha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Survey on Korean Children in 2015, life satisfaction level is 60.3 points on a 100-point scale out of OECD count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ternational Survey of Children’s Well-Being in 2015 accomplished by Save the Children and Social Welfare Institut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subjective well-being is too low. In terms of subjective self-being, Korean children got an average of 8.5 points for 8 year-olds, 8.2 points for 10 year-olds, and 7.4 points for 12 year-olds. This average is the lowest, when compared to all ages across 12 countries(an average 8.9 points for 8 ages, 8.7 points for 10 ages, 8.2 points for 12 ages). As a criteria of 10 year-olds, which are 5th graders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 average of 9.3 points is for Rumania, an average of 9.3 points is for Turkey, an average of 9.2 points for Colombia. When put in order, Korean was the lowest out of all the countries. Nepal has an average of 8.6 points, Ethiopia an average of 8.6 points and South Africa has an average of 8.7 points, even though their economic developmental levels are lower than Korean's. Although subjective happiness for school children is too low like the above-mentioned, it was not until recently that the research for perceived happines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rted to be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most of the research on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s on the general variables that make up the well-being and happiness, rather than specific circumstances that belong to schools and home. Veenhoven (1994) postulated that the perceived happiness of individuals depends on the groups which he or she belongs to and the contextual situations. Consequently, in order to evaluate the perceived happiness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should observe and grasp the contextual variables and situations which occur simultaneously in their schools and families. What's more, the research which explores and confirm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is little. Overall, in this study, I tried exploring and confirm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much individu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school variables affects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analysed and verified what variables can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I extracte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and constructed the conceptual model through analyzing various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conceptual model, I formulated preliminary questions from the previous studies for the final survey through two Delphi surveys and consultations within the panel of professionals. In the final survey,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elected and a total of 1,155 students in 4th through 6th grades were selected to conduct this research. I verified the factor structure validity and measured the reliability. Finally, I made the questionnaires for the reseach in terms of variables influencing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surveys. I verified what person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are influencing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happiness through verification differenc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ake of analyzing the variables influencing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examined the different levels of perceived happiness of subjected students influenced by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individual variables, the result indicated that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male students is higher than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female students. Negative emotions of male students is lower than negative emotions of female student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had direct correlation with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at their conditions were, the higher their level of the perceived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s wer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at their conditions were, the lower their level of negative emotions were. However, grad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happiness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ir conditions were, the lower their level of perceived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s were. Subjective academic cognition had a direct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at their conditions were, the higher their levels of perceived happiness were. In terms of family variables, the result indicated that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living with their father and mother is higher than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of a single-parent family.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living with a father and mother is lower than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of a single-parent family. Subjective economic level had a direct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ir conditions were, the higher their level of the perceived happiness were, and the higher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were. Subjective economic level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ir conditions were, the lower their level of negative emotions were.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with fathers and mothers whose education level is more than graduating from university is higher than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with fathers and mothers whose highest education level is high school or high school dropout.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with fathers and mothers whose education level is higher than graduating from university are lower than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with fathers and mothers whose highest education level is high school or highschool dropout. In terms of fathers' occupations,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in the administrative position or more specialized position manifested higher level of perceived happiness than children whose fathers were office workers. In terms of school variable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various youth programs and take leadership role have higher tendency of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various youth programs and take leadership role have a lower tendency for negative emotion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actively in after-school programs have a higher tendency for perceived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level.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actively in after-school programs have lower tendencies for negative emotions. Secondly, I di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how individu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school variables affect the perceived happiness of these students.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overall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51.1%. The percentage of family variables in terms of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9%. The percentage of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3.1%.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re interpersonal tendencies(=.162)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Self-esteem(=.152)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Relationships with parents(=.127), subjective health status(=.126), thanks tendency(=.111), optimism(=.082), extra-curricular activities(=.067), neglect discipline of teachers(=.153) and gender(=.063) are following in that order. In terms of the relative nega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mily-related stress(=-.122)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Parents' expectations(=-.118)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and grade(=-.089), academic-related stress(=-.086) and teachers-related stress(=-.077) are following in that order.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5.2%. The percentage of family variable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2.6%. The percentage of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1.2%.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tendencies(=.188)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Subjective health status(=.135) ar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Self-esteem(=.128), relationships with parents (=.123), thanks tendency(=.123), family leisure satisfaction level(=.080), gender(=.072), subjective academic cognition(=.066) are following in that order. In terms of the relative nega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092)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eachers-related stress(=-.076)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with family-related stress(=-.065) being the third most influential factor.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positive e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2.4%. The percentage of family variables in terms of positive e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5%. The percentage of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positive e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1.4%.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lationships with parents(=.204)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terpersonal tendencies(=.168)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Self-esteem(=.144), thanks tendency(=.120), leisure satisfaction level(=.093), extra-curricular(=.083), subjective health status(=.066) and optimism(=.078) are following in that order. In terms of the relative nega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expectation(=-.071)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amily-related stress(=-.094)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Private education-related stress(=-.071) and alienation from friend-related stress are following in that order.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21.6%. The percentage of family variables in terms of negative e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 The percentage of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3.3%. The total percentage of explanation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0%.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lower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107)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Subjective health status(=-.090)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Optimism(=-.085), neglect discipline of teachers(=-.079), supportive discipline of teachers(=-.068) and gender(=-.068) are following in that order. In terms of the relative nega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131)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amily-related stress(=.126)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and academic-related stress(=.091) is the third most influential factor.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policies are proposed: 1. The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approach is needed for strengthening the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variety of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strengthen the individual variables like interpersonal tendencies, self-esteem, etc. 2.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ffective family bonding and appropriate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terms of how to make good relationships with one's children are needed, in addition to programs highlighting how to decrease family-related stress. 3. We need the approach and view points for decreasing study-related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educational events when making annual educational plans in schools. 4. We should run prevention programs for ha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t encountering alienation and threats from their friends. 5. Institution of extra-curriculum activities to increase the perceived happines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xample after-school programs, sports activities and arts activities, are necessary. 6. Active support policies to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low-income children are needed. 7.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pport for enhancing subjective health level is necessary. 8. The educational approach to prevent the happiness from decreasing depending on the grade is required. 9. In order to improve the happines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and teachers' disciplining ways are important. Overall, I explored and confirmed the person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school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Out of all OECD countries, Korea has been rated as one of the lowes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ubjectively rated happiness for past 6 years. What's more, the importance in terms of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highlighted. All in all,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erms of the variables affecting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be used in a variety of effective ways when we make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educational plan in schools.

      • 살풀이춤에 내재된 표현정서와 체험정서의 구조

        다운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살풀이춤에 내재된 정서의 구조를 탐색하고, 살풀이춤 정서를 표현하는 무용수와 이를 체험하는 관객의 집단 간 정서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에 453명의 연구대상자를 표집하여, 연구절차와 자료분석에 기초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살풀이 춤 정서는 호감, 애정, 매혹, 애절, 고통, 상실, 고독, 냉담, 전율의 27문항의 9개요인으로 개별정서 구조를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9개 요인은 호감≠냉담, 매혹≠상실, 애정≠고독은 대립적 개념으로 살풀이춤에서 정서적 양가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아울러 모형적합성 검증을 위한 확인적요인의 분석 결과 각각 3개의 사랑, 탄식, 성찰의 복합정서로 위계화 되었다. 또한, 살풀이춤이 갖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적 특성인 ‘한‘정서를 대표적으로 보유함에 있어 고차원적 차원으로 설명되었다. 무용수와 관객 두 집단의 정서구조 모형의 차이를 살펴보면, 두 집단이 보편적으로 느끼는 정서는 호감, 애정, 애절, 고통, 고독, 전율의 6가지 요인으로, 집단에 따라 차별적으로 느끼는 정서는 상실, 냉담, 매혹의 3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살풀이춤에 내재된 정서 구조의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무용수는 살풀이춤을 출 때 애정정서를 높은 강도로 표현하였으며, 관객은 살풀이춤을 보고 호감, 고통, 고독, 전율 정서를 높은 강도로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정서의 이론적 배경과 살풀이 춤 특성에 기준하여 논의하였다.

      • 공손룡의 정명론 : 제자백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단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919

        During the last century, research on the philosophy of Gongsun Long has centered mostly on whether his most famous sophistry, “White Horse is Not a Horse 白馬非馬”, is a proclamation of the Chinese version of a theory of universals.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Gongsun Long’s sophistries by analyzing all six chapters of his eponymous book, Gongsun Longzi, and comparing them to the terms and metaphors often used by Gongsun Long's contemporaries. There is no scholar of the Spring and Autumn or the Warring States era who has been known to write a purely academic or logical dissertation, with no interest in the human nature or the ideal state. Rectification of names, or the relation between names and realities in ancient Chinese philosophy always signify much more than philosophy of language. A theory of language is always an extension of their theories of how a person should behave or how a society should function. Should Gongsun Long be the only exception? Contemporaries of Gongsun Long, namely Xunzi, the latter Mohists and Zhuangzi, had an active discussion on how to change human behavior in order to make society a better place. This dissertation is an effort to prove that Gongsun Long, albeit through different vocabulary, shared this interest and expressed it through analogies. For example in the Zhiwulun 指物論, Gongsun Long claims that zhi 指 may signify two different things - zhi before and after its addition to external things. This dual-definition of key terms in human nature is found in both Xunzi and the later Mohists; a single character is used to signify human faculty before and after its contact with external stimulus. For example, the ability to see is called ‘to see’, and when the ability is actually focused on an external thing it is also called ‘to see.’ This pattern is repeated in the Baimalun -‘Horse’ may be used to refer to a horse of a certain color in some cases, while its essential meaning is horse in general with no decided color. The addition of external stimulus to human faculty of awareness and the addition of the color white to the form horse is both expressed with the term 與. In the chapters 通變論 and 堅白論 the pattern can also be seen to repeat itself. Finally it is recapped in the last chapter, 名實論, with a new theory of rectifying names - that a correct 位 is necessary in order to complete the correct name-reality relation. 位 is a term that may mean many different levels of significance in a vocabulary, which in this instance indicates the dual meaning of the thing itself, and its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stimulus. While Xunzi or the later Mohists stop at pointing out the dual meaning of the key terms, embracing its ambiguity and even incorporating it in their theories, Gongsun Long strongly argues against this ambiguity - therefore "white horse is not horse". His inclination to emphasize the non-identity of the thing itself and the combination of it with an outside influence/factor may provide a valuable clue to Gongsun Long's true agenda hidden behind his sophistries. By claiming that terms such as xing 性 or zhi 知 may be ambiguous, Xunzi or the later Mohists seem to have concluded that a person may dramatically change from being completely devoid of morals to becoming a perfect sage – as humankind itself and humankind in combination with education can both be called humankind. On the other hand, Gongsun Long, when insisting that the person before and after an outside stimulus are completely different beings and that one should stick to the self before the stimulus, may be implying that an incommunicative, unresponsive and enigmatic leader is the ‘leader itself’, or a correct, ideal leader. This theory is quite close to that of Hanfeizi, who was influenced by Laozi. Hanfeizi believed in a strong ruler who did not share power, show his feelings or compromise his orders, all three conditions befitting Gongsun Long’s description of the ‘leader itself’. Gongsun Long's justification of the enigmatic, uncompromising leader may have been the political theory all the new self-crowned kings of the late Warring States era might have been waiting for. His dogmas, although too cryptic to be deciphers by the laymen, were reflected in the doctrines of Hanfeizi, thus indirectly contributing to uniting all under Heaven. 본 논문은 궤변처럼 보이는 『공손룡자』의 주장 이면에 깔려있는 공손룡의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정명론을 탐구하려한다. 공손룡은 다른 제자백가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내면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인간은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었으며, 당대의 담론 위에 자신의 정명론을 발전시켰다. 『공손룡자』의 여러 편들은 白과 馬, 指와 物, 一과 一, 羊과 牛, 靑과 白 등이 서로 결합하여 함께하게 되면 변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마치 서로 관련 없는 내용들이 전개되는 듯 보이지만 각각 성질-사물, 인간-사물, 인간-인간이라는 세 가지 관계에서 서로 더해지고(與), 더해진 것과 더해지지 않은 것은 서로 다르며(非), 그중 분리된 그 자체(自)부터 그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또 분리되어 있는 상태만이 올바르다(正)는 네 가지 키워드가 반복되고 있다. 「백마론」을 예로 들었을 때, 馬라는 이름으로 부를 수 있는 것은 말이라는 종 전체일 수도, 白 등의 특징과 결합한 한정된 말일 수도 있지만, 비록 같은 명칭으로 불린다고 해도 특정 성질과 더해져서 한정된 것은 한정되기 이전의 분리된 것과 서로 다르며, 그중 馬 그 자체가 우선적이고 올바르다는 것이다. 공손룡은 이를 특유의 정명론으로 풀어내어 한정된 것과 한정되지 않은 것은 하나의 이름이 가진 두 개의 층위(位)로 보고, 그중 한정되지 않은 층위만이 정명을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인간과 인간의 관계인 수양론이나 처세술에 이러한 정명론을 적용하였을 경우, 인간은 특정한 역할이나 관계에 한정되지 않은 채 내면의 모습을 최대한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공손룡자』의 이러한 내용은 제자백가의 담론 내에서 형성된 것이다.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던 후기묵가, 순자와 장자 등은 모두 외부 사물에 반응하여 변화하는 인간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고, 知나 性 등 인간 내면에 연관된 용어들이 이질적인 무엇인가와 결합하기 이전과 이후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이 두 의미를 구분할 수 있었으나, 하나의 단어로 두 가지 의미를 표현하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여기지는 않았다. 공손룡은 이러한 점을 지적하고 비판하려고 한 듯하다. 공손룡과 마찬가지로 이질적인 외부 자극에 의한 내면의 변화를 부정적으로 보는 이로는 노자와 한비자를 꼽을 수 있다. 노자는 어디에나 통용될 수 있으려면 하나의 모습으로 고정되어서는 안 됨을 강조했다. 또한 한비자는 신하들과 견해를 나누거나 호오를 드러내지 않으며 하나의 역할에 고정되지 않는 군주야말로 자신의 지위를 최대한 누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정 성질에 한정되거나 외부 자극에 대한 호오를 드러내는 것은 모두 공손룡에서 이질적인 무엇인가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반응에 해당한다. 이러한 유사점을 토대로 판단하자면, 공손룡 또한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덕성이나 정통성보다는 권력의 독점이 더욱 중요하다는 처세술을 전달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비록 복잡한 문답의 형태로 적혀 있어서 그의 진의를 알아보는 이가 많지 않았던 것이 아쉽지만, 당대의 학자들은 그의 정명론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그와 비판을 주고받은 것으로 보인다. 공손룡은 당대의 담론 위에 자신의 주장을 쌓고, 또 이를 통해 제자백가의 학자들에게 영향을 준 인물이었던 것이다.

      •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선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919

        국내 인터넷 사용인구가 2003년 4월 현재 전체의 70.8%로 나타났다. 이를 인구수로 추산해 보면 2,473만 명 이상이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불과 몇 년 전에 비해 네티즌의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지금 살아가고 있는 정보화 사회는 그 어느 사회보다도 사용자 스스로 건전한 사이버 공간을 만들어 보겠다는 의지가 중요시 되는 사회이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우리에게 이익을 줄 수도 있고 피해를 줄 수도 있는 양날의 칼과 같다. 정보통신기술을 건전한 방향으로 사용한다면 우리는 정보화 사회의 장점인 편리함과 다양성, 자유로운 의사 표현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정보통신기술을 욕구의 해소를 위한 도구나 금전적인 이익만을 위한 도구가 되어 건전하지 못한 방향으로 사용된다면, 정보의 공유라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정보화 사회에서 건전한 사이버 공간의 형성과 다양한 정보의 활용을 위해서는 정보통신윤리의 확립이 중요할 것이다. 정보통신윤리는 사이버 공간에서 자신에게 유익한 정보를 검색·활용하고, 자신의 정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데 있어 지켜야 할 규범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윤리의식을 가진 네티즌에 의해 사이버 공간은 올바른 정보 공유의 장소와 새로운 가상 공동체의 형성의 장소로 지켜져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네티즌에게 정보통신윤리의식을 함양시키기 위해 학교나 인터넷 사이트 내에서는 많은 정보통신윤리교육 자료와 프로그램을 제작·배포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러한 자료들은 일회성의 교육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정보통신윤리교육과 관련이 깊은 도덕 교과나 컴퓨터 교과에서도 정보통신윤리교육에 관련된 내용은 매우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은 학생과 교사, 성인을 위한 정보화 교육의 일부분으로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요도 또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훨씬 적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에 꼭 필요한 규범으로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은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정보통신윤리는 도덕교과에서 전통윤리나 시민윤리와 함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컴퓨터교과에서도 컴퓨터 사용 방법보다 기초의 부분으로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주의 깊게 정의되고 교육되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도덕교과나 컴퓨터교과에서만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타 교과와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학교에서는 수행평가를 위해 많은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그러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타 교과에서도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지켜야 할 윤리, 즉 저작권의 침해라든가 올바른 언어 사용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교에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체계화 되어 있는 수업의 모습을 갖추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사의 신념과 열의가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학교만의 교육이 아닌 가정과 학교와의 연계를 통한 교육도 필요하게 될 것이다. 네티즌은 컴퓨터 사용의 대부분을 가정에서 하고 있기 때문에 부모와의 연계가 크게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의 올바른 정보통신윤리의식이 필요할 것이다. 사회에서도 계속적으로 일반 성인들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빠르게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법률의 개정 역시 중요할 것이다. 현대의 정보화 사회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사회이다. 그 혜택을 더 많이 누리느냐, 누리지 못하느냐는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는 네티즌의 문제일 것이다. 네티즌이 올바른 정보통신윤리의식을 가지고 있다면 사이버 공간은 우리에게 더 무한한 정보의 제공과 자유를 줄 수 있을 것이다. More than seventy percent of people in Korea are using the Interent as of April, 2003. That is, the users of the Internet are calculated at 25,000,000. And the number of netizens keep on growing rapidly, too.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which we live puts a higher value on the importance of the strong will that every user should have in order to make the wholesome cyberspace than any other society.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does us both good and harm. It depends on the way we use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f we use them wholesomely, we can take the benefits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uch as conveniences, diversities, and free expressions of ideas. On the other hand, if we use them unwholesomely, for example, as the means for satisfying our desires or just for financial advantages, many people can be hurt because the harmful information can be shared easily on the Internet. Therefore, in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t will be important that we should establish the ethic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o build the wholesome cyberspace and use the diverse information. The ethic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s the rule we have to keep when we look for the useful information and use it, and when we share our information with others. The cyberspace should be maintained as the space to share the information rightly and build the new imaginary community by the netizens who have the consciousness of the ethic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o cultivate the ethic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of the netizens, a lot of data and programs about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have been made and distributed in the schools and Internet sites. But, in fact, those data have mostly been used as the means for education once for all. Also, even in the course of ethics or computer which is related to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t has almost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which has been carried out in Korea has been just a part of the inform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teachers, and adults and it has been considered less important than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shouldn't be ignored because it's an essential rule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my opinion, in the moral education,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must take an important part with traditional ethics or citizen ethics and in the computer education, it needs to be defined and educated as a basic part more carefully than how to use the computer. Recently, students are given many assignments for evaluation and students have to use the computer frequently to do their assignments. Therefore, in other subjects, the education of the ethics they should observe-piracies, right uses of languages- to do student's assignments must be enforced, too. Because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n the schools hasn't been systematized well, teachers' confidence and enthusiasm are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lso, the education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homes will be needed. It will be more effective because most of the netizens use the computer at their homes. So it will be essential for parents to have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lso, it will be important to revise the law which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at is changing rapidly. The present information-oriented society has the limitless possibilities to give us many benefits. It depends on the netizens whether they will have more benefits or not. If netizens have the right consciousness of ethics fo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he cyberspace will give us infinite informationn and free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