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장애인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은아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Major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Jung Eun-a Supervised by Kim Dong Joo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influencing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effect sociodemographic factor, disorder-related factor, vocational rehabilitation-related factor,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 has on the social integration and to seek for service and intervention plan to improve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to attain this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ocial integration level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 Third, what relation disorder-related factor, vocational rehabilitation-related factor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 of the mentally disabled has with social integration? Fourth, what effect disorder-related factor, vocational rehabilitation-related factor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 of the mentally disabled has on social integration? This study sampled the mentally disabled using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of Seoul, Gyeonggi, Gwangju and North Jeolla Regions, distributed 700 copie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344 copies were used for research analysis. T-test, F-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18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actors having difference according to social integration level of sociodemographic factors were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family. Disease duration of correlation between disorder-related factor and social integration was -.190(p<0.01), which indicated a negative correl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related factors, vocational rehabilitation desire was .122(p<0.05),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ttitude was .150(p<0.01), whic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ocial support of socioenvironmental factors was .354(p<0.01), which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social stigma was -.145(p<0.01), which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 factor meaningfully influencing social integration was socioenvironmental factor;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but social stigma had a negative influence. Through these results, I suggest as follows: First, programs for promotion of supportive environment are needed to improve social support for the mentally disabled. Also, we need to expand service in hospital,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rehabilitation center to raise the qualitative aspects such as informational support and functional support as well as social support. Second, positive intervention is needed to reduce social stigma of the mentally disabled. Programs to help have a proper understanding are necessary through understanding, prevention education, experience and campaign regarding mental handicap targeting the whole local community. 국 문 초 록 정신장애인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직업재활학전공 정은아 지도교수 : 김동주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관련 요인, 직업재활 관련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이 사회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서비스와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들의 사회통합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정신장애인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사회통합 수준에 차 이가 있는가? 셋째, 정신장애인들의 장애 관련 요인, 직업재활 관련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은 사회통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정신장애인의 장애 관련 요인, 직업재활 관련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은 사회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경기․광주․전북 지역의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임의표집하여 구조화된 설문지 700부를 배포하였고, 344부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라 수집된 자료는 SPSS 18을 이용하여, t-test, F-검증, 피어슨 상관계수 r,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사회통합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요인은 성별, 결혼여부, 학력, 종교, 가족의 월평균 소득으로 나타났다. 장애 관련 요인과 사회통합과의 상관관계는 유병기간이 -.190(p<0.01)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직업재활 관련 요인 중에는 직업재활욕구가 .122(p<0.05), 직업재활태도는 .150(p<0.01)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환경적 요인 중 사회적지지가 .354(p<0.01)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사회적 낙인은 -.145(p<0.01)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통합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낙인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정신장애인들의 사회적 지지 향상을 위해 지지적인 환경조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지지 뿐만 아니라 정보적 지지, 기능적 지지 등 질적인 측면을 향상시키기 위해 병원, 사회복지관, 재활기관 등에서 서비스를 확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신장애인 사회적 낙인 감소를 위해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전체 대상으로 정신장애 이해 및 예방교육, 정신장애체험, 캠페인 등을 통해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는 프로그램 필요하다.

      • 張愛玲과 최정희 소설의 비교연구 : 1930-40년대 소설의 여성형상을 중심으로

        정은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張愛玲과 최정희의 1930-40년대 소설 속 여성형상의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張愛玲과 최정희가 활동하던 20세기 초반의 중국과 한국은 서양에서 일어난 여성해방운동사조의 유입으로 이 시기 신교육을 받은 신여성들은 여성해방운동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1930-40년대 여성문학의 근대성과 여성의식을 살피고, 가부장제 사회와 남성중심사회의 여성인물들이 지녔던 타자로서의 존재적 위상이 어떤 양상으로 드러났는지 밝히고자 했다. 또한 여성작가들이 저항하고자 했던 실체로서의 理性, 그 근원에 도사리고 있는 “자기부정과 희생, 체념”의식이 속박의 도구, 동일화를 모색하는 지배의 정치성으로 어떻게 자리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 張愛玲과 최정희의 소설을 페미니즘 관점에서 보고자 한 의도는 인간으로서의 자아 찾기 즉 여성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여성이 한 ‘인간’의 이름을 갖게 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 디자인지향성이 브랜드자산 가치에 미치는 영향분석 : 이동통신 단말기 브랜드를 중심으로

        정은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design orientation', a new concept that how much interests the company or the brand invests in the design activiti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sign orientation on the value of the brand equity by measuring the consumer recognition about the design orientation and the value of the brand equity. * Organization of the Research Chapter 1. Meaning and Purpose of the Study, Method and Extent of the Study / Chapter 2. Concept and Organization of the Brand Equity, Concept and Organization of the Design Orientation, Importance of the Brand Equity and the Design Orientation / Chapter 3. Selection of the Research Questions, Objects & Brands, Research Tools and Method of Analysis,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Objects, Reliability of the Research Questionnaires, Criteria of Selection When Purchasing the Mobile Phones, Recognition on the Design Orientation of the Selected brand and the Value of the Brand Equity,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Orientation and the Value of the Brand Equity, Effects of the Design Orientation on the Value of the Brand Equity / Chapter 4. Conclus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of the Future Research * Method 3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which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calculat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 For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onsumers' mobile phone usage and the design orientation of the selected brand, chi-square tes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In additi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orientation and the value of the brand equity for the selected brand. *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mportance of the selection criteria when purchasing the mobile phone was in the order of design (4.29), price (4.08), quality of telecommunication (4.05), and the brand (3.56). / The design orientation of the selected brands was in the order of A brand of S company (3.67), Q brand of P company (3.42), and S brand of L company (3.34). / The value of the brand equity of the selected brands was in the order of A brand of S company (3.94), S brand of L company (3.29) and Q brand of P company (3.21).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design orientation and the value of the brand equity (p<.001).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four elements of the design orientation and the four elements of the value of the brand equity. / The transformation orientation (β=.353) among the elements of the design orientation had exerted the most influence on the value of the brand equity and the relation orientation (β=.323) was followed next. *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will be a discriminating and competitive element in the new industry environments to build the brand equity by uplifting the design orientation. Furthermore,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establish the long-term developmental strategy for the future of the company.

      • 중등학교 집합과 명제단원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정은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교육에서는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역점을 두고 있으며, 수학의 내용은 추상적 대상으로 직관적 인식에 기초하여 논리적 전개가 명제의 형태로 표현되며 명제의 참, 거짓을 밝히는 논리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명제영역에서 다른 모든 단원의 수학학습의 바탕이 되는 용어의 정의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중학교 8-나 단계와 고등학교 10-가 단계 교과서를 근거로 조사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명제단원은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그 내용은 적절한가를 살펴 보았다. 둘째, 현행 중 · 고등학교 수학에서 수학의 기본이 되는 정의와 용어와 기호를 수학교과서를 토대로 고찰해봄으로서 명제지도에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를 살펴 보았다. 본 연구는 명제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과는 다르게 중학교 교과서에서는 반례, 명제를 기호표시법으로 나타내게 하는 문제를 제시하고 있으며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조친, 조건의 부정, 반례, 명제의 참-거짓, 명제의 역-이-대우, 필요충분조건의 설명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에서 중ㆍ고등학교 명제지도 내용이 지나치게 축약되어 제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명제 'p이면 q이다'를 정의할 때 고등학교에서는 문자 p, q를 사용하고 있으나 중학교에서는 그림(●이면 ▲이다)과 문자기호(p, q를 혼용하여 정의하고 있다. 또한, 중 ·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두 조건을 p, q라 할때, '…,이면 …이다' 꼴로 표현되어 'p이면 q이다'와 같이 쓰여진 명제가 될때, p를 가정, q를 결론이 라 한다」는 명제가 구성되는 방법을 설명하지 않고 명제는 'p이면 q이다'로 주입식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가 대부분이었다. 마지막으로, 명제 'p이면 q이다'를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명제의 기호표시법(p→q)으로 표기하지 않고 고등학교에서는 명제의 기호표시법으로 표기한다. 그러나 중학교에서 명제를 기호표시법으로 정의한 교과서가 있다. 셋째, 정의의 명확성에 관한 문제로 명제 p→q의 참-거짓과 명제의 역-이-대우, 필요충분조건을 정의할 때 p, q를 명제인지 조건이지 제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명제의 부정은 정의하고 있으나 조건의 부정은 정의하지 않고 있으며, 합성명제의 부정을 정의하지 않은 교과서가 대부분이며, 한정명제의 부정, 조건문의 부정은 모든 교과서에서 정의하지 않고 있다. 더욱이 교육과정에서는 진리집합, 동치, 반례, 귀류법이란 용어는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교과서에 따라서는 정의하거나 사용하고 있다. 넷째, 교육과정에서 명제 p→q의 참-거짓과 명제의 역-이-대우, 필요충분조건을 조건문으로 정의함으로서 모든 교과서에서 조건문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설명을 덧붙여서 포함관계로 정의한 교과서도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명제 단원의 개선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제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구성원리에 따라 최소필요량으로서 교과서에 정의해야할 용어와 기호를 명확히 제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명제교육과정을 단계적 구성원리에 맞도록 계열화하여 구성하고 명제단원을 수학적 내용과 연결하여 다루도록 하고 명제내용의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서 논리적 추론을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명제 p→q를 정의할 때 중학교에서는 명제의 가정과 결론을 이해하기 쉬운 그림기호로 정의하고 고등학교에서는 문자기호를 사용하여 정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명제가 정의되는 방법을 이해하고 명제를 기호표시법으로 지도하여 수학적 개념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하며 사고를 형식화하도록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정의설명을 위해 사용하는 단어는 가장 정확한 것을 택하여 사용하고, 수학적인 기호나 용어 또한 정확히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생략된 정의는 연관된 다음 단계의 학습을 위해서 반드시 밝혀주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명제의 참-거짓과 명제의 역-이-대우, 필요충분조건을 지도할 때 두 개념사이의 유종관계를 밝히는 고전논리학의 함의명제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The education in the mathematics puts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an ability to think and manage logically. The content of the mathematics is the abstract subject; hence, on the basis of the intuitional perception, a logical expansion is described as a form of the proposition and is made up of the logic that discloses whether the proposition is true or false.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textbooks of both the 8-Na level of the middle school and the 10-Ga level of the high school, I examine how the definition of the terms in the field of the proposition, which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mathematics in all the other units, is expressed. The content of this thesis is following below. First, I observe the topics, which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proposition unit deal with, and their relevance. Second, I observed the problems that the guidance of the proposition occurs in the present mathematics education of both middle and high school when I consider the definitions and terms on the basis of the mathematics textbooks. The analysis of the proposition unit in the textbooks causes this study to get the results as following below. First, unlike the contents that the educational curriculum presents, the textbook of the middle school gives the question about appearing the proposition and the counter example as the symbol and that of the high school shows the differences of the explanations among the condition, the negation of the condition, the counter example, the true and false of the proposition, the converse, inverse, and contrapositive of the proposition, and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It explains that the content of the proposition guidance is represented as extremely reduced. Second, in case of the defining the proposition, 'If p then q' the textbook of the high school uses the letters, such as p and q, while that of the middle school mingles the picture with the letters. In addition, most textbook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cram students head with knowledge that the proposition*is 'If p then q' without giving details that illustrate that If both conditions are p and q, the proposition is portrayed as the form of 'If ..., then...' hence, when the proposition is 'If p then q', p is the assumption and q is the conclusion. At last, the textbook of the middle school does not notate the proposition, 'If p then q', as the method of the symbol expression, while that of the high school does so. However, there is the textbook where the proposition is defined as the method of the symbol expression in the middle school. Third, when the true and false of the proposition, the converse, inverse, and contrapositive of the proposition, and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are defined in regard to the clearness of the definition, they do not demonstrate which is the condition or the conclusion between p and q. Moreover, the negation of the proposition is defined, while the negation of the condition is not. Most textbooks do not characterize the negation of the compound statements and all the textbooks do not introduce the negation of the quantified statements and the negation of the condition. Furthermore, the educational curriculum does not refer the terminology, such as truth set, equivalent, counter example, and reduction, while the textbooks identify or use them. Fourth, the educational curriculum considers the true and false of the proposition, the converse, inverse, and contrapositive of the proposition, and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as the conditional statements; therefore, all the textbooks also do so but some textbooks define them as the subsump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my research, the suggested alternatives of the proposition unit follow below First, I insist that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proposition should give the definiteness to the terminology and symbol that the textbooks should define since it is the necessary minimum amount in terms of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I assert that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proposition should be systematized and arranged with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and the proposition unit should be controlled with connect to the mathematical subject and improved in order to conclude them logically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of the concepts in the topic of the proposition. Second, when the proposition is defined, the condition and conclusion of the proposition should be depicted as the picture symbol in order to grasp them easily in the middle school and as the notation, such as p and q, in the high school. At that time, how to define the proposition is recognized and the proposition is conducted as the method of the symbol expression; hence, the textbooks should state the notation clearly and easily and formalize the consideration. Third, the word that explains the definition should be the most accurate in the textbooks where it is chose and utilized. The mathematical symbol and terminology should also be. Besides, the textbooks should essentially clarify the omitted definition for the next level of study. Fourth, in case of the guidance to the true and false of the proposition, the converse, inverse, and contrapositive of the proposition and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the induction to the bearin proposition in the classical logic must be desirable in order to reveal th; genus-species relationship between both notations.

      • 퍼스의 기호학 이론을 활용한 브랜드 로고 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정은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he respective concepts of trinomial structure in Peirce's semiotics to help learners cultivate visual communicative ability through a brand logo appreciation education, thereby enjoying the symbolic interpretation of image and art in their lives. In the 2015 revised arts curriculum, the textbook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was divided, and the contents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were enlarged. Hence, the contents required more various and diversified materials for education as well as the suggestion for direction. For this, in this study, the purpose was to develop an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by applying the Peirce's semiotics so for learners to understand visual images in various and critical perspectives, in the trend of rapidly changing culture of visuality. For this, in Chapter 2, to develop the brand logo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the Peirce's semiotics, the meaning of Peirce's semiotics in the arts education and its necessity were suggested. Also, the current status of arts educa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textbooks and surveys. In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heories of brand logo appreciation lacked the plans for instruction in the textbook. The survey showed that various visual data were required, while considering the levels of learners by choosing the contents cautiously and based on the interest level on the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n Chapter 3, 3 types of brand logo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using the Peirce's semiotics based on the previous chapter. Their cases of application were also analyzed. The appreciation program in this study were designed, considering the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structure in Peirce's semiotic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s shown by the 3 elements of Peirce's semiotics were appreciated, and, through an interpretation process for investigating the meaning within, the intention of expression was comprehended via appreciation and was reorganized thereafter. In the respective programs, the learners went through the interpretation process comprising the three elements (representamen, interpretant, and object). For each stage of interpret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ppreciation program for logo’s formative characteristics as the representamen, the concepts of representamen and logo were understood. By utilizing the concept of representame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ogo were to be appreciated. In the program for the semantic analysis on logo as the interpretant, the concept of interpretant was utilized to analyze the image and icon of logo during the appreciation. In the program for the reorganization after the analysis on logo as the object, the concept of object was understood. By utilizing the understanding, the logo could be reorganized through critical thinking and dispersive thinking. Consequentially, the learners not only regarded the brand logos but also all the images visually recognized as various perspectives. The learners tried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in the images. In Chapter 4, the result of appreciation program and survey in this study were used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s and to derive plans to vitalize the program. The educational effect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symbolic meaning in brand logos was cultivated during the appreciation activity where the logo’s meaning was to be inferred. Second,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logo after its analysis, which is a linkage between appreciation and expression, the ability to express logo images was enhanc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of visual thinking was enhanced through the appreciation of logo in various perspectives. For the brand logo appreciation program using the Peirce's semiotics to be actively utilized in actual classrooms based on the above educational effect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vitalization were made. First, an appreciation lecture considering its link with our daily lives should be applied. Second, various data and tools for appreciation should be used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visuality. Third, the method for enlarging the lectures on various cases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is required for the interpretation of symbolic meaning. Since the brand logo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Peirce's semiotics is closely related to our daily lives, the learners are expected to cultivate aesthetic sensitivity by understanding arts in their lives. For the vitalization of such educational program,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tinued in depth. 본 논문은 퍼스의 기호학 이론 중 삼항구조의 각 개념을 활용하여 브랜드 로고 감상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시각적 소통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이미지의 상징성 해석 및 미술을 삶 속에서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미술 감상과 비평》의 교과서를 분리해 감상과 비평영역의 비중을 확대하였다. 때문에 그에 따른 다양하고 구체적인 감상과 비평 교육의 내용 및 방향 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술 교과의 핵심역량 중 변화하는 시각적 소통 능력을 주요 목표로 하여, 변화하는 시각 문화 속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시각 이미지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퍼스의 기호학을 적용하여 감상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퍼스의 기호학을 활용한 브랜드 로고 감상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퍼스 기호학의 미술 감상 교육적 의의와 브랜드 로고 감상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교과서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미술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 브랜드 로고 감상 이론의 지도방안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 설문을 통해 본 논문에서 개발한 감상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 및 수업 적용 방안에서 주의하여야 할 내용으로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다양한 시각자료를 활용할 것을 필요로 하였다. 제3장에서는 2장의 내용을 토대로 퍼스 기호학을 활용한 브랜드 로고 감상교육 프로그램 3가지를 개발하고 적용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감상 프로그램은 퍼스 기호학의 구조에 따라 고등학생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퍼스 기호학의 삼원적 요소들에 따라 보여 지는 대상의 조형적 특징을 감상하고, 대상에 담겨있는 의미를 알아보는 해석과정을 거쳐 대상의 표현 의도를 감상을 통해 파악한 후 재구성해 보는 프로그램의 세 가지로 구성하였다. 각 감상교육 프로그램은 퍼스의 기호학 삼원적 요소들에 따라 나누어지는 표상체, 해석체, 대상체로서 해석과정을 거치면서 각각의 해석 단계별로 차이를 두고 있다. 표상체로서 로고의 조형적 특징 감상 프로그램에서는 표상체와 로고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표상체의 개념을 활용하여 로고의 조형적 특징을 감상하도록 구성하였다. 해석체로서 로고의 의미해석 프로그램에서는 해석체의 개념을 활용하여 로고의 이미지 및 도상을 분석하며 감상하도록 구성하였다. 대상체로서 로고 분석 후 재구성 프로그램에서는 대상체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비판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를 통해 로고를 재구성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학습자들은 브랜드 로고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모든 이미지를 다양한 관점으로 생각하며, 그 이미지가 전달하는 함축적인 의미를 알아내고자 하는 태도를 보였다. 제4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개발한 감상 프로그램의 적용 후 학습 결과물과 설문 내용을 토대로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육적 효과는 첫째, 로고의 의미를 유추하는 감상 활동을 하며 브랜드 로고의 상징적 의미 해석 능력이 함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감상 활동과 표현활동이 연계된 로고 분석 후 재구성 활동을 통해 로고 이미지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다양한 관점에서 브랜드 로고를 감상하는 활동을 통해 시각적 사고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교육적 효과를 토대로 퍼스의 기호학을 활용한 브랜드 로고 감상교육 프로그램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실생활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감상 수업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시각 문화 이해를 위한 다양한 감상자료 및 도구를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상징적 의미 해석을 위한 다양한 감상 및 비평 수업의 확대 방법 모색을 제안하 고자 한다. 퍼스의 기호학을 활용한 브랜드 로고 감상교육 프로그램은 현실과 근접한 미술 수업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미술을 삶 속에서 이해하게 됨으로써 미적 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 전광용 소설의 인물 연구 :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정은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설에서 인물은 작가의 생각과 의지를 가장 잘 드러낸 요소이다. 따라서 소설 속에 나타난 인물에 대한 연구는 작품에 본질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작가 전광용이 만들어낸 소설의 인물을 통해 그의 세계관을 밝히고 상대적으로 미비한 전광용의 문학사적 위치를 밝히는데 있다. 전광용은 전후 시대에 등단한 작가로 <꺼삐딴 리>로 동인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으나 그의 나머지 작품과 그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도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만 치중한 면을 보인다. 본 연구는 이 같은 연구에서 벗어나 인물에 중점을 두었다. 먼저 전광용이 작품 활동을 하던 시기의 시대상황과 전광용의 소설 속 인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전광용은 시대상황을 충실히 반영한 인물들을 내세웠으며 그 인물들은 직업의 다양성을 가졌다. 이것은 시대상황을 반영한 보편성을 가진 인물들에 특징을 더함으로 인물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나타내는 것이다. 전광용의 소설 속 인물들은 공통된 모티프를 가지게 되는데 그것은 가족결손과 경쟁관계로 나타난다. 가족결손은 그의 대부분의 소설에 등장하며 갈등의 시초가 되거나 인물의 성격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경쟁관계는 작품을 전체적을 이끌어 나가는 역할을 하며 갈등을 심화시킨다. 이런 특징과 모티프를 가진 인물들은 그들이 가진 가치관과 현실과의 대응에서 여러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순수지향적 인물은 인물이 가진 처음의 가치관을 고수하는 유형으로 현실과의 갈등에서 자신의 신념을 우위에 둔다. 여기에 속하는 대표적인 인물로는 <흑산도>의 용바우와 북술이, <영 1 2 3 4>의 현철, <크라운 장>의 문호, <면허장>의 현숙, <남궁박사>의 남궁박사 등을 들 수 있다. 현실지향적 인물들에게도 자신들의 신념이 있다. 그러나 그 신념들은 때로 현실과의 대결에서 하위를 차지한다. 순수지향적 인물들이 자신들의 신념을 우위에 둔다면, 현실지향적 인물들은 신념을 변형하거나 꺾더라도 현실을 개척해 나가는 방향을 택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인물형은 전광용의 소설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동혈인간>의 성희, <진개권>의 쌍과부, <지층>의 영희, <해도초>의 준구, <G·M·C>의 경구, <바닷가에서>에서의 인물, <꺼삐딴 리>의 이인국 박사 등이 있다. 고뇌형 인물은 작품 전반에 걸쳐 자신과 세계, 혹은 자신과 타인과의 갈등으로 고뇌하는 모습을 보이는 인물들을 말한다. 이 인물들은 순수지향적 인물들이나 현실지향적 인물들처럼 적극적으로 행동하기 보다는 한 발 뒤로 물러나 방관하려 하고 맞서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인다. 이런 인물로는 <해도초>의 '나', <충매화>의 충, <초혼곡>의 '나', <세끼미>의 마리아가 있다. 이와 같이 전광용 소설의 인물들은 시대를 충실히 반영한 인물들이며 그것을 통해 우리에게 현실에 대한 자각과 반성의 기회를 제공한다. 인물들이 가진 끈질기고 적극적인 삶의 자세는 암울한 현실일지라도 결코 포기하지 않는 작가의 모습을 담고 있다 하겠다. 이것과 동시대의 소설들과 전광용의 소설을 구분해주는 중요한 점이다. 전광용은 소설 속 인물들이 고난이 연속된 삶을 살아가면서도 끝까지 자신의 삶에 애착을 보이는 것으로 표현함으로 밝은 미래를 제시하고 있다. 전광용은 현실의 삶이 고난과 동시에 희망을 품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소설 속 인물들을 통해 구현하고 있으며 1950년대와 1960년대의 소설들이 방향성을 상실하고 어두운 전망을 한 것과 다르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그의 인식과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world views of writer Jeon Gwang-yong through the characters in his narrative works and to determine his literary historical position still only insufficiently explored. This study is focused on characters in contrast with the existing studies emphasizing contents and forms. First, the correlations are examined between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in which Jeon worked as a writer and the characters in his stories. Jeon presents the characters reflecting the historical situations faithfully and having various jobs. This shows both the universality and specialty of the characters. They have common motifs, which appear in broken families and competitive relationships. The characters with these features and motifs are described in two ways in confrontation of their values with realities. The characters of pure innocent type, which adhere to their initial values, have a preference for their convictions in their conflicts with realities; those of agony type show how they suffer from the conflicts between world and themselves and between others and themselves. As in the above, Jeon's characters reflect their times faithfully, thus offering us the opportunities for awareness and reflection of the realties. Their persistent and active attitudes of life contain the writer's very image of never abandoning even in the worst realities. This is an important point distinguishing his stories from contemporary ones. Jeon's positive recognition and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can be confirmed in that he materializes through characters the fact that actual life contains both anguishes and hopes, and that his stories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1950s and 1960s showing the loss of direction and prospect.

      • 영유아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정은아 군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a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the empathetical research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program to prevent and reduce burnout. To do this, these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1. What is the difference in emotional labor, burnou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3. What is the mediate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a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220 teachers of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J-si, Jeollabuk-do were surveyed during April,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sub factors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parti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was showed that there was positive 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re was negativ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burnout.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mediated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소진을 예방, 감소시킬 수 있는 매개변수로써 정서지능의 영향을 밝히고, 영유아교사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서지능을 고양해야 한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영유아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소진, 정서 지능의 차이는 어떠한가? 2. 영유아교사의 감정노동, 정서지능, 소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영유아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 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2017년 4월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빈도 및 기술통계분석, t-검정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 후 Scheffe 사후검정,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test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정서지능, 소진을 살펴본 결과, 배경변인에 따라 감정노동의 하위요인 중 갈등극복 행동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타인정서인식, 정서활용, 정서조절에서도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소진의 하위요인 중 신체․정서적 고갈, 직업적 회의, 직무환경 불만족, 무능감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감정노동과 정서지능 및 소진 간에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정서지능과 소진은 부분적으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은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소진에 대한 감정노동의 영향력을 중재하는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영유아교사의 감정노동, 정서지능, 소진이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었고 더 나아가 영유아교사가 직무수행 중 느끼는 감정노동과 그들의 정서지능을 파악하여 이들이 소진에 미치는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것은 감정노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진의 영향을 낮출 수 있는 요인으로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성과로 제시할 수 있다.

      • 기업의 문화마케팅이 브랜드이미지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라이브러리, 별마당도서관, 현대카드 라이브러리를 중심으로

        정은아 숭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인터넷을 통해 다량의 정보와 제품이 유통되고 있으며, 고도화된 생산기술에 따른 과잉공급은 가격경쟁력이나 고품질의 제품만을 통한 기업의 차별화가 어려워지게 되었다. 소비자의 의사결정력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가 선호하는 문화나 감성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형성을 통한 차별화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기업에서는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다양한 문화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시장의 패러다임의 변화는 기업의 문화마케팅의 유형을 문화예술 분야의 지원이나 단체 후원 등의 간접적인 형태에서 기업운영 문화공간을 통한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형태로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복합문화공간이 제품(서비스)의 홍보나 전시, 판매 공간이 아닌 고객과의 소통을 위한 공간으로 그 의미가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문화마케팅 활동 중 하나인 복합문화공간을 이용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기업의 문화마케팅 활동이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문화공간을 통한 기업의 문화마케팅이 지역주민 및 잠재고객을 위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으로 인지되어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검정하였다. 조사 대상은 네이버라이브러리, 별마당도서관, 현대카드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여부를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2.0을 통해 표본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SmartPLS 2.0을 활용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문화마케팅 요인 중 문화지원, 문화판촉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기업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운영 공공도서관을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으로 인지하거나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운영 복합문화공간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문화마케팅의 요인별 브랜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충성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는 소비자가 인지하는 문화기업으로서의 브랜드이미지는 기업이 반드시 형성해야 할 브랜드 충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문화기업과 브랜드이미지 간에서 사회공헌활동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그 대상이 기업운영 공공도서관으로 한정되어 있어, 향후 연구에서 동일 기업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문화마케팅을 소비자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으로 인지하는 지에 대한 연구가 심도 깊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modern society, large quantities of information and goods are distributed via the internet, and an oversupply caused by sophisticated production technology makes it increasingly difficult for companies to achieve differentiation through price competitiveness or quality alone. As consumers become increasingly empowered in decision making, there is a rising need for a differentiation strategy which creates a brand image based on preferred culture or emotional inspiration, and accordingly, companies are utilizing various cultural marketing techniques to enhance brand image. This shift in consumer market paradigm has brought on changes in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from an indirect approach, such as supporting cultural and arts fields or sponsoring related organizations, to a more direct approach, such as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rough a company-operated cultural space. This shows that the role of a cultural complex is expanding beyond the promotion, exhibition or sale of a good or service to become a venue for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is study examines how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utilizing cultural space targeting consumers impact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and whether this cultural marketing technique is recognized as a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by local residents and potential customers to thereby influence brand image. The study subject includes consumers with experience using the Naver Library, Starfield Library, and Hyundai Card Library. A structured survey of more than 200 copies was distributed for data collection. SPSS 22.0 was used to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of the sample, while SmartPLS 2.0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Hypotheses test results show that among cultural marketing factors, cultural support and cultural promotion have little impact on brand image, whereas the fact a company was in the cultural business influenced brand image. Brand image had an impact on brand loyalty, but it was found that public libraries operated by companies were not recognized as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nor did they have 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company’s brand image. This paper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consumers using private cultural complexes, and verified the impact of various cultural marketing factors on brand imag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This was an empirical verification that the consumers’ image of a company as a “cultural” compan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rand loyalty, which is essential for companies. This study also confirms the coordinating effect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between a cultural company and its brand image, but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privately-owned public libraries, which leaves room for further in-depth research on whether consumers recognize a company’s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as part of its it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Keywords: brand image, brand loyalty, cultural marketing,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 한국무용에 나타난 성적 의미성에 관한 연구 : 탈춤을 중심으로

        정은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the masses in ancient times and in medieval times, who had lived with standing barefoot on the soil all day long, what life means is the flow that proceeds with running according to the reasonableness of nature, other than decorating forcibly. To these people who proceed with living while entrusting one body to the reasonableness of nature, what can be believed, would be the visible nature and own body, which can be said to be the extension of that nature. Even among the meetings through the body, the most specific and solid thing is a sex. One of typical characteristics in our folk drama, is a fact of being highlighted the contents about nakedly sexual expression and sexual behaviour between male and female characters. While the portions, which frankly dealt with a sex, appear diversely in several parts of a work, it is noted in a sense of being represented widely every work of all the folk dramas. This study is aimed to present the theoretical basis about sexual expression, with paying attention to the signification of sexual expression that was shown in Talchum (masque dance), as a path that allows Talchum to be newly known. And, it is aimed to follow in which metho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onsciousness in a sex were represented in Korean folk dance (Talchum), and further to think even about a meaning that embodied the sexual relation or the sexual behavior with a dance. This study selected the Hahoe Byeolsingut Talnori among Talchums in Seonangje, the Yangju Byeolsandae Nori among Talchums in Gyeonggi area, the Bongsan Talchum among Talchums in Haeseo area, and the Gasanogwangdae among Talchums in Yeongnam area, which are works that embodied a sex most multilaterally among three modes in folk drama such as Gutnori and Talchum, and Ggokddugaksi Noreum. As for a method of this study, it took the form of analysis that reads 'sexual signification' through the collection of materials centering on VTR, field survey, literature, internet, and interview. Given summarizing the results about the expression method and a meaning for a sex, which did set limits to Talnori among folk dramas, those are as follows. First, a symbol of linga, which is the symbol for sexual organs, was used knife, ax, and nose, and a symbol of yoni was used mouth, shoes, and ship. Second, as for the natural depiction in sexual organs and sexual intercourse, it was mainly used the figuratively and symbolically linguistic expression method as for a humorous case, and the indicatively and dually linguistic expression method as for a satirical case. Third, as for sexual function, in the ritual Talnori, it was performed the production function, Byeoksa function, and Haewon function, and in recreational Talnori, the production function and the Byeoksa function were changed and expanded to the affection function, and the Haewon function to the revenge function. Fourth, as for a sexual-intercourse method, it was experienced the instinct sex 'by recurring to Siwon' through the brutely sexual intercourse in the back, and was realized the rebellion against sexual culture centering on men, through the posture with a woman on the upper. Fifth, the reasons why the contents related to a sex were accepted much in Talnori, are attributable to being formed amid the relation with an abundance rite and with the sexual-organ worshipped faith, to being weaponed a sex in the resistance consciousness of the masses, and to be targeted the male audience by a male perfor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