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음파골밀도 정도관리 방안 제시를 위한 국내 정량적 초음파장치 사용 현황 조사

        정윤지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골밀도 검사는 정량적인 수치를 이용하는 검사이기 때문에 측정값에 대한 정확성과 재현성이 매우 중요하다. 정확성과 재현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정도관리가 수행되어야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초음파골밀도측정기의 정도관리 항목 및 규정이 명확하게 지정되어있지 않다. 정도관리 항목과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초음파 골밀도 사용현황과 사용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대상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초음파골밀도측정기를 신고한 전국 5266개의 의료기관 중 2342곳을 선별하였다. 2017년 7월 24일부터 8월 25일까지 수집된 총 344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항목은 사용자 인터뷰, 전문가 집단의 자문, 문헌고찰, 현장 관찰을 통해 작성하였다. 설문 내용과 분석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집단 간의 초음파 골밀도 사용 및 정도관리 현황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직종 간 초음파 인식도 차이는 ANOVA를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판단하였다. 이때 사후검정으로는 LSD를 이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초음파골밀도 검사자의 특정변수가 초음파골밀도 정도관리의 시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검사자의 일반적 특성 중 초음파골밀도측정기 보급량은 의원급에서 81.98%, 병원급에서 6.69%이었다. 검사자의 직종은 방사선사 31.39%, 의사 24.7%, 간호조무사 19.18%, 간호사 12.20%순이었다. 초음파골밀도 측정방식은 겔패드(벌룬)접촉방식이 56.68%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측정부위는 종골이 전체의 91.9%를 차지했다. 초음파골밀도 검사의 측정데이터는 68.02%가 신뢰한다고 답하였다. 신뢰하지 않는 이유로는 검사마다 다른 결과로 인해 신뢰하지 않는 경우가 44.91%였다. 초음파골밀도측정기 정도관리 주기는 67.37%가 장비에 이상 징후 발견 시였고, 정도관리를 매뉴얼대로 시행하고 있는 경우는 63.66%였다. 정도관리 기록은 41.0%가 보관하지 않았고, 초음파골밀도 측정기의 정도관리를 위한 팬텀에 대하여 잘 모르는 경우가 41.27%였으며 팬텀이 있는 경우에는 제조사 자체팬텀이 34.30%로 가장 많았다. 전체의 62.20%가 초음파골밀도측정기 정도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은적이 없었다. 특정변수(신뢰도, 직종, 성별, 교육유무, 팬텀유무, 초음파인식도)가 초음파골밀도 정도관리 자체시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검사자의 정도관리 교육 여부가 p=0.001, 정도관리 팬텀의 보유여부가 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종 간 초음파의 인식도를 ANOVA 분석한 결과, 편익성(p=0.656), 관리성(p=0.393)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위험성(p=0.023)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간호사 직종이 다른 직종에 비하여 높은 점수로 초음파의 위험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초음파골밀도측정기의 사용현황과 초음파 인식도를 조사한 연구로 향후 구체적인 정도관리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한국 표준 초음파골밀도측정기 정도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작할 때 본 연구 자료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Since the bone densitometry is an examination using quantitative numerical values, the accuracy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measured value are very important. Quality control had to be done in a way to improve the accuracy and the reproducibility. However, quantitative ultrasound quality control items and rule were not clearly specified in our country yet. In order to provide quality control items and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quantitative ultrasound usage and user perception. The questionnaire target selected 2,342 places among 5,266 medical institutions nationwide that declared quantitative ultrasound to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 total of 34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July 24th to August 25th 2017 and analyzed.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hrough user interviews, expert group advic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observation. The survey contents and analysis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status of quantitative ultrasound use and quality control between groups. ANOVA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judge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differences in ultrasound recognition among occupations. At this time, in post hoc tests, LSD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us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ertain variables of quantitative ultrasound user on implementation of quality control.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quantitative ultrasound holding amounted to 82.0% of clinic and 6.7% of hospitals. The practical nurse 19.2%, nurse 12.2%. As the measuring method, the contact method of the gel pad (balloon) was the most used at 56.7%, and the scan region was 92.0% of calcaneus. measurement data of the quantitative ultrasound test answered that 68.0% was reliable. As a reason for not trusting, it was 44.9% when it did not trust because of different results for each exam. The quantitative ultrasound quality control cycle was 67.4% when the abnormality was found in the equipment, and 63.66% when the accuracy control wa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manual. 41.0% do not keep record of quality control. 41.3% were not familiar with the phantoms for quality control of quantitative ultrasound, and 34.3 % were the manufacturer's own phantoms if they were present. 62.2% had never completed education for quality control of quantitative ultrasou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on the effect of a particular variable on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control, The quality control education status is p=0.001, phanto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p=0.001. According to the ANOVA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nefit (p=0.656), control (p=0.393)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isk (p=0.023). Especially nurses, the risk of ultrasou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is is the first study in Korea that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use and ultrasound recognition of quantitative ultrasound. This research material was expected to be useful when creating detailed quality control guidelines in the future, as well as guidelines for the quality control of Korea's standard quantitative ultrasound.

      • 정의와 성질의 지도를 위한 What-If-Not 전략의 활용 :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정윤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Definitions and properties are very fundamental and central in mathematics, but definitions and properties are given to students in the final form and they are often the object of memorization. Although research about defining has been consistently conducted to overcome this problem,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and it is not easy to design didactical situations involving defining processes. Thus, in this study, I devised ‘definition exploration activity’ using What-If-Not strategy(WIN strategy) of Brown & Walter(2005) which wa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osing and solving problems as a new strategy of teaching definitions and properties.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Chung Yoonji, Lee K.H.(2018) which propose ‘definition exploration activity’, I analyzed the learning path of students in detail by applying them to actual classes. In this paper, 5 class assignments focusing on the properties of the polygon in the geometry area of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as designed and taught. And I analyzed the students' learning path and the level of the reaching point, and also analyzed the attitude and practice competenc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reaching point, first-level students were the most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but in the course of pursuing the justification through the task and the group activities, there were many students whose level rose to 3 ~ 4-level. In the task, students had to think of more than three reasons and the very nature of the task gave them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various justification processes and principles. Also, the second class tasks that change the sentence using WIN strategy provided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explore for themselves the sum of the size of the interior angle and exterior angle. In addition, the teacher’s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terior angle and exterior angle in the quadrangle and the task transforming and exploring the definition of exterior angle gave students opportunities that exploration and expansion beyond the curriculum, and learning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definition. This can be seen as an example of cultivating the attitude and practice competenc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based on the WIN strategy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e definitions and properties, and apply it to actual class focusing on the geometry area of middle school first grade. The class applying the WIN strategy was less difficult for the students because students could explore given definition as a starting point of each their level, and it was easy to design the pedagogical situation because the procedure was clear.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in this class had the opportunity to increase their level through inquiry, to expand their thinking, and to motivate students and to recognize the value of mathematics in relation to their attitude and practice competency. I hope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applying the WIN strategy to the teaching definitions and properties will be done in the future. 수학에서 가장 기본이자 중심이 되는 것이 바로 정의이며 성질이지만 정의와 성질은 최종적인 형태로 학생들에게 곧바로 주어져 종종 암기의 대상이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의하기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지만, 학생들에게는 다소 어려운 활동이며 정의하기를 포함한 교수학적 상황을 설계하는 것 역시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의와 성질 지도의 교수학적 전략으로 문제제기와 문제해결 맥락에서 논의되어 오던 Brown&Walter(2005)의 What-If-Not 전략을 활용한 ‘정의 탐구 활동’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정의 탐구 활동’을 고안한 정윤지, 이경화(2018)의 후속 연구로 정의 탐구 활동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경로를 세밀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 다각형의 성질을 중심으로 5차시 과제를 설계하고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학습 경로 및 도달점 수준(1 ~ 4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태도 및 실천 역량을 중심으로도 분석하였다. 도달점 수준 분석 결과 수업의 초기에는 1 수준의 학생들이 가장 많았으나 과제와 조별 활동을 통해 정당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원리를 이해하며 3~4 수준으로 수준이 상승하는 사례가 많이 관찰되었다. 이유를 3가지씩 생각하게 하는 과제의 특성이 학생들에게 다양한 정당화 과정 및 원리를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여 수준 상승에 기여하였다. 또한 What-If-Not 전략을 적용한 2차시의 문장 바꾸기 과제는 학생들에게 내각, 외각의 크기의 합에 대해 스스로 탐구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1차시의 사각형에서의 내각, 외각의 관계에 대한 교사의 질문이나 5차시의 외각의 정의를 변형해보고 탐구하는 과제에서는 교육과정을 넘어서는 탐구와 확장의 기회, 정의가 갖고 있는 의미, 맥락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태도 및 실천 역량을 함양한 사례로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정의 지도와 성질 지도를 위해 What-If-Not 전략을 적용하는 방안을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고안하여 새로운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하였다는 데 있다. 또한 What-If-Not 전략을 적용한 수업은 학생 각자의 수준에 맞게 주어진 정의를 출발점으로서 정의를 탐구할 수 있어 난도가 낮은 편이며, 절차가 명확하여 교수학적 상황을 설계하기도 수월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탐구를 통해 수준을 상승시킬 기회, 사고를 확장할 기회를 얻었으며, 태도 및 실천 역량과 관련하여서도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고, 수학의 가치를 인식하게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정의와 성질의 지도에 What-If-Not 전략을 적용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뤄지길 기대한다.

      • 성격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정윤지 공주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resilience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research problems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influence does the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on the resilience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the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1-1> The sub-factors of the resilience, such as self-control, positivity, and sociality will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problems and hypothesis, the preliminary inspections of resilience was conducted by the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jong-si. The students who have the same level of resilience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10 sessions of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conducted and nothing for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advanced study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resilience and the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10 sessions were composed of 3 sessions for finding and applying the student's prominent-strength and 6 sessions for improving the student's resilience, and the last 1 session for the end of the program.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 post-inspection was conducted by the same measurement method as used in the preliminary inspect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SPSS STATISTICS 23.0 tool and the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was used for analyzing the testing result. The analyzed results for verifying the effect of progra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ili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Secon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self-control and positivity. The sociality, which is one of the resilience's sub-factors, showed a minimal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ity facto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rd, the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which is developed in this study, show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resilience in elementary students. Thes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resilience in elementary students. In addition, the result of study shows the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resilience's sub-factors, which are the self-control, the positivity, and the sociality. For the future study, the suggestions from the result and discussion of research are below. First, the research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strengths and the resilience in elementary students should be researched more actively for the clear correlation. Second, many group-counsell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clarify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strengths and the resilience in elementary students. Third, there should be group-counselling programs which can improve the sociality factor in resilience. Forth, a follow-up study should verify the durability of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본 연구는 성격강점을 기반으로 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 및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1> 성격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회복탄력성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1> 성격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이 각각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 문제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세종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회복탄력성 수준이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총 10회기의 성격강점기반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회기별 구성은 성격강점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표강점 확인 및 활용을 위한 3회기,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6회기, 프로그램 종결 1회기로 계획하였다.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처치가 모두 종료된 후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ANCOVA분석으로 회복탄력성 검사지 반응을 해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회복탄력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 통제성, 긍정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성 영역은 실험집단 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통제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재구성된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를 위하여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격강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생의 성격강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밝힐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성 요인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의 지속성을 입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부모의 공감과 중학생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정윤지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의 공감이 중학생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때 중학생의 또래관계가 매개하는지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 대상은 경기도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 36케이스를 제외한 334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에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상관분석과, Baron과 Kenny(1986) 방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공감과 또래관계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공감을 잘 해줄 때 또래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둘째, 또래관계는 자아존중감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또래관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의 공감과 자아존중감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공감이 높아질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공감 능력 중 공감적 정서반응, 관점수용, 정서지각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의 모든 하위요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에게 필요한 정서적 반응을 제때 보여주고, 자녀의 관점에서 받아들이며, 그들의 감정을 잘 헤아려줄 때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넷째, 부모의 공감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또래관계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공감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중학생 자녀의 또래관계를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분매개 한다. 본 연구는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에서 부모의 공감능력이 청소년 시기에 중요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상관관계를 통해 확인하였고 가족 요인인 부모의 공감이 중요하며 학교와 사회 환경의 요인으로 또래 관계 또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공감이 중학생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또래관계가 매개하는 유의미한 효과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 교육과 가족 상담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교육프로그램 개발에도 좋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간호의도 영향요인

        정윤지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COVID-19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횡단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권역 응급의료센터와 지역 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간호사 중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간호사 180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 및 대상 병원의 자료수집 허가를 받은 후, 총 85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8월 12일부터 2021년 9월 18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자료는 IBM SPSS 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와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을 위해서 Scheffe test를 사용하였다.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COVID-19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8.94±4.26세로, 성별은 여성이 90.6%(163명)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근무기관의 형태는 권역 응급의료센터가 43.3%, 지역 응급의료센터가 56.7%였으며, 동거가족 유무는 유가 60.6%, 무가 39.4%였다. 과거 신종 감염병 경험유무는 유가 53.2%, 무가 46.8%였다. 2. 대상자의 간호의도 평균 점수는 0점 만점(범위 –3~+3) 중 0.85±1.33점으로 측정되었다. 신념요인 중 행위신념 평균 점수는 0점 만점(범위 –3~+3) 중 0.74±0.70점, 규범신념은 0.22±0.97점, 통제신념은 –0.95±0.81점으로 나타났다. 핵심요인 중 행위에 대한 태도 평균 점수는 0점 만점(범위 –3~+3) 중 1.69±0.91점, 주관적 규범은 0.95±0.91점, 지각된 행위통제는 0.98±1.19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 중 평균 3.42±0.48점으로 측정되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COVID-19 간호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t=2.30, p=.023)과 동거가족 유무(t=-2.06, p=.041)에 따라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COVID-19 간호의도는 계획된 행위이론 구성 변수 중 신념요인의 항목에서 행위신념(r=.52, p<.001), 규범신념(r=.36, p<.001), 통제신념(r=.43, p<.001)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요인에서는 행위에 대한 태도(r=.50, p<.001), 주관적 규범(r=.39, p<.001), 지각된 행위통제(r=.49, p<.001)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VID-19 간호의도는 간호전문직관(r=.20, p=.006)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COVID-19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모형 1단계에서는 일반적 특성에서의 간호의도의 차이를 보인 성별과 동거가족 유무를 투입한 결과 성별(남성)(β=-.17, p=.023)과 동거가족 유무(무)(β=.15, p=.041)가 유의한 영향요인(R2=.05, F=4.79, p =.009)으로 나타났다. 신념요인에 해당하는 행위신념, 규범신념, 통제신념을 추가 투입한 모형 2단계에서는 행위신념(β=.36, p<.001)과 규범신념(β=.22, p<.001), 통제신념(β=.18, p=.013)이 유의한 영향요인(R2=.37, F=20.62, p<.001)으로 나타났으며, 35%의 설명력을 보였다. 3단계에서는 핵심요인인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와 간호전문직관을 투입하였고, 행위에 대한 태도(β=.28,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17, p=.009)가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회귀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R2=.52, F=20.37, p <.001), 49%의 설명력을 보였다. 주관적 규범과 간호전문직관은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COVID-19 간호의도는 행위에 대한 태도, 행위신념, 지각된 행위통제, 통제신념에 의해 결정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OVID-19 간호를 수행함에 있어 간호의도를 높이기 위해 이 요인들을 긍정적으로 높일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추후 이 중재프로그램을 업무에 적용한다면 현재와 같은 판데믹한 감염상황에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의도를 긍정적으로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유사한 의미의 영어 양상조동사 의미분석 및 지도방안

        정윤지 아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사한 의미의 양상조동사가 상호대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를 반박하는 내용을 조사한후 교과서에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그에 따른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 일필지 지적도 기반의 지적관리체계 도입에 관한연구

        정윤지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Developing a Cadastral Management System based on parcel-cadastral maps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cadastral management system based on parcel cadastral maps. This study examines the cadas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cadastral management law in foreign countries and investigates how to describe spatial extents and rights for land ownership. Accurate determination of spatial information and registration in the parcel cadastral map is imperative for protecting property rights and effectively managing a territory. The United States performs land cadaster and registration in parallel. Germany, on the contrary, has a dualized system having separate organizations for each. France also implements a dualized system through a unified processing method, after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This system could be appropriate in cases when an entirely unified process is challenging. Since South Korea prescribes an actual cadastral survey, the accuracy of boundary determination is high. However, there are cases in practice where the surveyor subjectively determines the boundary points, which may lead to inaccurate survey results.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adastral surveying inspection system. Cadastral survey documents, including survey dates, surveyor identification, survey standard method, and the decision process on boundary establishment, should be publicly-viewable and transparent in order to maintain boundary points and lines accurately. Moreover, landowners should manage ground boundary points for parcels, but a government-controlled system should manage government-owned land. Lastly, the use of spatial information regarding boundary points needs to be and legislated and executed. Furthermore, results show that a cadastral management system based on parcel cadastral maps enables land registration in a three-dimensional cadastral space. This proposed system is based on a new ground border that exactly matches the roadbed border and utilizes the cadastral spatial information that improves the cadastral administration service. Further, this system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of a cadastral management system infrastructu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eywords: roadbed border, ground border, cadas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oundary set-up, land cadaster and registration, parcel cadastral maps, continuous cadastral map, cadastral map, cadastral survey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외국의 지적관리체계의 기초가 되는 지적행정조직 및 지적관리체계법령을 살펴보고 일필지의 토지소유권에 대한 공간적 범위와 권리를 표현하는 방법을 비교분석하여, 일필지 지적도 기반의 지적관리체계를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공간정보학적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일필지 지적도에 등록함으로써 소유권범위를 명확하게 하여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등록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토지정책을 계획하고 수행하는데 필요한 토지정보가 신속·정확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지상경계 및 경계점의 위치 파악이 쉽고 도상경계와 지상경계가 일치되는 정확한 일필지 지적도 기반의 지적관리체계를 갖추도록 한다. 미국의 지적과 등기는 토지등록 및 등기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독일의 경우 공증인의 공증에 의한 등기동의서를 첨부하여 공신력 있는 등기업무를 갖추고 있어 지적업무와 이원화된 등기체계이다. 프랑스는 이원화 체계이지만 공증 절차에 의해 공정증서를 비치하도록 하여 공증인 분야, 지적 분야, 등기 분야별로 업무를 분담하여 같은 조직 부서에서 원스톱 방식으로 상호 보완과정을 거쳐 지적정리와 등기정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일원화에 가까운 형태이다. 이에 우리나라도 미국의 경우와 같은 일원화 체계가 어렵다면 프랑스의 공정증서 등에 의한 토지등록사항과 같이 실체적 권리관계를 일치시키는 방향으로 등기관에 대한 실질 심사 주의를 채택하여 지적 분야와 등기 분야별로 원스톱 방식의 상호 보완과정을 거쳐 처리하는 방법도 모색할 수 있다고 본다. 우리나라는 일필지 경계선 및 경계점은 실지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지적측량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어서 일관성 있는 성과로 경계결정의 정확도가 높았다. 법령 개정에 의해 측량수행자의 주관적 판단으로 현장에서 경계점의 위치를 찾는 지적측량방식으로 기초측량 방법 경계가 결정되고 있지만, 실제는 현형법의 방식에 의해 측량수행자가 경계결정권을 가지고 주관적 판단으로 경계가 결정되고 있으므로 정확한 측량성과에 의한 결과물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현형법은 법 규정에서 마땅히 배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측량성과 검사와 관련해서 등록 전환측량은 임야도 신도 작업시 작업자의 이격거리, 허용기준에 대한 규정 수립이 선행되어야 하고 경계복원측량시 경계선 및 경계점이 결정되는 권한에 대해서는 시·도지사, 시장, 또는 지적소관청이 이에 대한 측량성과 검사를 하고 국가가 최종적으로 경계결정권을 갖도록 지적측량검사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다. 경계선 및 경계점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지적측량 결과도 및 측량 관련 문서에 대하여 누구나 열람이 가능하도록 법제화하고 경계성과의 결정 과정, 측량시행 일자・측량자소속・성명・측량기준 방법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책임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공간정보 연계 및 활용 체계로 모든 정보를 국가가 직접적으로 유지 관리하여야 하고, 도상경계와 지상경계를 일치시켜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경계점표지를 현장에 보존하고 유지하는 것의 법제화가 조속히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필지에 대한 지상경계점 표지는 토지소유자가 관리하고, 도로 등 국공유지에 대한 경계점은 국가가 관리하는 체계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경계점 훼손에 따른 원상복구에 대해서는 토지소유자의 원인자부담금을 적용하는 방법과 법적 처벌 규정 등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도상경계와 지상경계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새로운 지상경계에 의한 일필지 지적도 지적관리체계가 구축 완료되면 토지이용의 입체화에 따른 3차원 지적공간 객체에 대한 필지 등록이 가능해질 것이다. 더불어 지적공간정보의 다양한 활용시스템으로 우리나라의 지적 행정서비스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이하는 4차 산업혁명에 부응하는 지적관리체계와 기반을 마련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주요어: 도상경계, 지상경계. 지적관리체계. 지적행정조직. 경계설정. 지적과등기. 일필지 지적도. 연속지적도. 지적도. 지적측량. 현형법

      • 무용 정보기술 경영을 위한 지역별 인명관리 프로그램 개발

        정윤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관련자, 무용전공자 그리고 무용 관련단체의 지도자의 현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해 전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이다. 21세기 현대사회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첨단 지식정보화 사회로 현대의 첨단 과학 기술의 발전은 세상을 바꾸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고 인간은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정보화 사회는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우리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정보가 폭발적으로 발생하고 대량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전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사회현상은 정치, 경제의 구조를 개편할 뿐만이 아니라 개인의 생활이나 가치관까지 바꾸어 놓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오늘날까지 여러 각도에서 무용테크놀로지가 연구가 되고 있으나 실용적이거나 경제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식정보화에 발맞추어 갈 수 있고 합리적인 경영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서의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지만 무용분야에서는 전혀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 디지털 정보화시대 속에서 무용 경영을 보다 효율적, 합리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방편으로 IT를 개발하여, 무용 경영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4세대 컴퓨터 언어인 비주얼 베이직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메인화면에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정보는 각 지방에 소속되어 있는 무용 관계자를 하나로 묶어주고, 또한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신속하게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게 개발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 개발은 지역별 전공자, 관련자의 파악이 쉽고, 무용 인구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지역별 편차를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무용경영에 있어 무용 전공자들의 지역별 인적관련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하며, 합리적인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다. 현재 개발된 시스템을 지역별로 통계처리가 가능한 수준까지 개발된다면, 보다 많은 정보의 생산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학문의 연관성을 가지고 시스템을 다양하게 구축한다면 현재 보다 효율성이 한 차원 높아질 것이다. The 21st century has produced swiftly-changing information-oriented societies. Because of recent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s, people need to manage information in more efficient and reasonable ways than they have in the past. Societies need to be innovative in order to adapt to the new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The simultaneous pursuit of effectiveness, efficiency,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is expediting the development of IT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s. The construction of IT systems affects all societies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and influences all aspects of society,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education, and culture. IT systems may be beneficial not only for efficiency but also for equality, democracy, and ethics. The use of IT in the artistic world began in the 1960s. Because communism has largely disappeared and capitalism now rules world structur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economy/management is essential in contemporary societies. In other words, artistic endeavors cannot be guaranteed unless they produce profit. However, artworks or performances, like public goods, cannot make enough profit for reinvestment. Moreover, the continual rise in production costs worsens the situation. Therefore, artists should reduce costs if they cannot make enough profits. For this, IT systems, especially the database of human capital, will be useful.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Korean artists who specialize in dance. The information compiled in the database will allow assessment of the present local dance situation, the rate of increasing/decreasing interest in dance, and the number of the students. Therefore, this database will provide both systematic and special management.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understand human capital by constructing the database. Second, to produce information for making policy by understanding human capital. Third, to increas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dance management. Fourth, to offer one-stop service for demanders through a real-time system.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specialist management program utilizes Visual Basic and SQL. I classified the dance specialists into groups by locality in order to make possible systematic management. The main input screen shows blanks requesting required information for building the database, such as name, gender, birth date, social security number, home/cell/work phone numbers, home/work addresses, home page, and e-mail. The program classifies the dance specialists into groups using this information; the specialists can then be sorted according to all the categories. In addition, the program lets us view multiple data entries simultaneously in the database screen. Because the data is constructed by access, we can use the data on one main computer and on multiple computers regardless of location. Finally, the construction of this database works within our information society by constructing a dance information network and producing balanced local specialists. In conclusion, we can compile information about the local dance population and use this information for scientific analysis and statistical data, resulting in the reproduction of information and providing real-time service or one-stop service for efficient dance management.

      • 비혼 남녀의 콘돔사용에 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부장성 연구

        정윤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비혼 남녀의 콘돔사용 의사결정과정에서 드러나는 가부장성을 밝히고 구체적으로 여성이 콘돔사용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지 못하는 이유를 알기 위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비혼 남녀의 콘돔사용은 어떠한가? 콘돔사용에 관한 의사결정 과정 중에서 어느 한 성이 주도적이거나, 혹은 어느 한 성이 억압을 받는가? 둘째, 비혼 남녀의 콘돔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가부장성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면접대상의 주관적 생각과 의견, 사건의 의미 등을 알기 위하여 여성 7명, 남성 5명을 심층면접 하였다. 더불어 콘돔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성담론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 영화에 나타나는 성관계와 콘돔사용을 분석하고, TV에 방영된 콘돔광고를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콘돔사용관련 협상과정은 남성주도적이었다. 콘돔사용에 부정적인 남성들은 자신의 성적 욕구의 만족을 위하여 여성들이 콘돔을 사용하지 않도록 여러 차원에 걸쳐 설득하였고, 그 상대가 여자친구인 경우 ‘지속적인 콘돔사용의 여부’를 기준으로 본다면 모두 설득되었다. 둘째, 여성들이 이렇게 설득되는 이유는 가부장적 담론인 ‘이중규정’과 ‘성기중심적 성문화’, 낭만적 연애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좋은 여성’의 가치를 내면화했기 때문이다. 일부 여성들은 경험이 많은 여성으로 비추어 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콘돔 사용을 강하게 주장하지 못하였다. 더불어 ‘좋은 여자친구’가 되는 것은 정체성에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좋은 여자친구’가 되기 위해 자신을 원치 않는 임신이나 성병의 위험에 노출시키기도 하였다. 콘돔에 부정적인 남성들은 자신의 성적 욕구의 만족을 위하여 콘돔사용을 원하지 않았고, 여성과 남성 모두 남성이 사정할 때까지 삽입 성교해야 한다는 ‘남성중심적·성기중심적’ 성문화를 내면화하고 있었다. 반면 여성의 성욕구는 중요하지 않게 여겨지며, 성 행위시 아픔이 느껴져도 남성을 위해 참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성 행위시 아픔을 느끼는 여성들은 콘돔에 부정적인 남성들에게 보다 쉽게 설득되었다. 연구를 통해 콘돔 사용율을 높이는 것은 단순한 성교육을 많이 하고, 성병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여성들 개개인에게 자기표현을 확실히 하라고 해서 이루어 질 일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가부장적인 성담론과 성문화가 먼저 바뀌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riarchal character in making decisions about using condoms among single men and women and find the reasons why women usually can not insist using condoms assertively. More specificall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esent state of condom use among single men and women? What is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on condom use? Second, what are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making of condom use? How does the patriarchal character influecne the process? In order to analyze the thoughts and opinions of single men and women, the author interviewed seven single women and five men. In addition to that, to discover the dominant sexual discourses in Korea which probably influence the use of condoms, the author examined selective Korean movies on sexuality made by male directors and the TV commercials of cond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of condom use, it turned out that the negotiation of using condoms is dominated by men. And men who are negative about using condoms usually try to persuade women not to use condoms in various ways for their sexual satisfaction. Men usually succeed in persuading women who are their girl friends not to use condoms. Second, as to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making of condom use, it turned out that the major reasons why women are persuaded not to use condoms easily are "double standard" such as patriarchal discourses, the "penis-centered idea of sex", "good girl friend" syndrome which is a part of romantic love theme. More specifically, some women have a fear that she might be seen unchaste. Thus they dare not insist to use condoms. Being a "good girl friend" is a matter of identity, so women take sexual risks which cause pregnancy or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to be a good girl friend. The reasons men do not want to use condoms turned out to be to satisfy their sexual desires, and it turned out that not only men but also women have internalized the penis-centered idea of sex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en's insertion and ejaculations. Contrary to this, the sexual desires of women are usually regarded as not important. It is usual to endure virginal pain for women when they have sexual intercourse. Virginal pain makes it easy for women to be persuaded not to use condoms. This study concludes that patriarchal character of sexual discourse should be changed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rate of condoms, and the other ways including increasing sexual education, urging women to be more assertive did not turn out to be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