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보육교사의 보상체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 효능감의 조절 효과 검증

        정윤경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보육교사의 보상체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대학원 복지서비스경영학과 정윤경 최근의 사회적인 많은 변화와 더불어 조기 퇴직자의 직업군 변경 대체로 보육교사에 도전하는 교사들의 양적팽창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영유아들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은 공적인 성격은 포함하여 많은 변화가 있었다. 에서 당면한 과제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직까지 보육교사의 보상체계는 다른 직업에 비해서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이러한 보육교사의 보상체계의 미흡으로 인하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매우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보육을 둘러싼 환경적 변화를 이해하고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보육교사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보상체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보상체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수도권 내 보육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2020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 까지 400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했다. 자료수집은 연구자 및 훈련된 조사자가 조사하고 분석에 적합한 설문지는 총 350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보상체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보육교사의 보상체계는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2. 보육교사의 보상체계는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전체적인 결과를 요약하면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보상체계 중 화폐적 보상체계와 비화폐적 보상체계는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보상체계와 행복감 간에는 서로 관계성이 있었고 그 중에서도 비화폐적 보상체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조절감과 도전감은 조절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Compensation System on Happiness: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effectiveness Graduate School of Hyosung University Department of Welfare Service Management Jung Yoon-Kyung In addition to many recent social changes,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childcare, including public character, due to the increasing quantitative expansion of teachers who generally challenge childcare teachers. It can also be said that it is a task at hand. And since the compensation system for child care teachers is still very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jobs, the teacher's effectiveness is greatly reduced due to the lack of such child care teachers' compens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se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childcare and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compensation system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facilities on happiness and aimed at verifying the effect of the adjustment of teacher efficacy in the effect of the compensation system of childcare teachers on happines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sit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400 students were selected from May 1 to June 30, 2020.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research and analysis by researchers and trained investigator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djustment of teacher efficacy in the effect of the teacher's compensation system on happines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reward system for child care teachers affect their happiness? Research Question 2. Does the teacher's compensation system have a controlling effect on the sense of happiness? To summarize the overall results,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and non-monetary compensation system among the compensation system of nursery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happiness of nursery teachers.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nsation system and the euphoria of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these daycare centers, and among them, self-control and challe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monetary compensation system and euphoria proved to be controlled.

      • 아동의 정서 이해의 발달 : TEC를 중심으로

        정윤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정서 이해의 수준을 TEC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선행 연구에 따른 정서 이해의 아홉 가지 요소를 측정하기 위해 Pons, Harris와 Ronsay(2004)의 아동 정서 이해 측정 도구인 TEC를 번안 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대상은 경기도 부천시와 울산시에 거주하는 3세부터 11세 사이의 아동 233명으로 각 아동들은 자신이 속한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실험에 참여하였다. 참가 아동들은 연령에 따라 검사자와 일대일 또는 소그룹으로 나뉘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이해의 아홉 가지 요소는 내적인 정서를 이해하는 요소1, 2와 의식적 정서 이해 요소 3, 4, 5, 반영적 정서를 이해하는 요소 6, 7, 8 ,9로 나뉠 수 있으며 이는 발달적 위계성을 지닌다. 둘째, 연령이 증가할수록 아동의 정서 이해에 대한 수준이 발달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아동의 연령별로 각 문항에 대한 반응 정서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TEC가 정서 이해의 각 요소를 측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ildren's emotion understanding through TEC. In this study, children were divided into 7 different age groups. They were tested components of emotion understanding by Test of Emotion Comprehension (TEC)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9 components of emotion understanding are made up of 3 levels : 2 of understanding key external aspects of emotions, 3 of understanding more psychological aspects of emotions and 4 of understanding the impact of reflection and rumination on emotions. And the levels exist developmental Hierarchy. Second, children display a clear improvement with age on each component.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EC can measure components of emotion understanding and analyze And the e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청소년 스포츠에서 훈련의 성취목표 분위기와 스포츠 재미간의 관계

        정윤경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 운동선수들이 느끼는 자신의 훈련 성취목표 분위기는 과제에 대한 재미 체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 스포츠 상황에서 개인이 지각하는 팀 훈련의 성취목표 분위기가 운동에 대한 재미와 어떻게 관련이 되는지를 규명하여 지도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대한체육회에 등록되어 있는 청소년 운동선수 377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들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훈련의 성취목표 분위기 지각 질문지와 스포츠 재미요인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목적별 분석하고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문항내적 일치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관련 변인에 따른 차이는 이원다변량분산분석과 일원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자료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의 성취목표 분위기는 성별에 따라 달랐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자신의 훈련분위기를 숙련분위기로 지각하였다. 둘째, 학교 급 (중·고등학교)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훈련의 성취목표 분위기에 따른 스포츠 재미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자의 경우 유능성, 팀 분위기, 상급학교의 진학의 재미요인에서 자신의 훈련 분위기를 숙련분위기로 지각하였고 여자의 경우에는 승리와 경쟁, 멋스러움의 재미요인에서 자신의 분위기를 숙련분위기로 지각하였다. This study w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enjoyment and achievement goal motivational climate of training session in youth sport. To achieve this goal, study was conducted using surveys, which had been proven credible from previous studies, to 377 school - based teen athletes. Gathered survey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for each purpose of study and were verified for consistency and credibility.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two-way MANOVA, one-way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Conclusions from analysis based on abovementioned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 a difference in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for each sex. Male athletes tend to show more sport enjoyment in training. Second, no significant were found on the basis of age variable. Third, male athletes tend to show high enjoyment in training when it is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team spirit or opportunity for higher education. Females tend to show higher enjoyment when associated with competition or winning.

      • 고차원 자료의 군집분석을 위한 절약 공통요인분석자 혼합모형

        정윤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Gaussian mixture model, which is most popular among mixture models, is highly parameterized when the dimension of the observation is large. Some parameterizations of the component-covariance matrix based on the spectral decomposition were introduc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ameters in the model. However, if the number of variables is large relative to the sample size, it may not be possible to get reliable parameter estimates of the model. Mixture of factor analyzers is a good model to reduce the number of parameters by allowing factor-analytic representation of the component-covariance matrices. In practice, there is often the need to reduce further the number of parameters in the specification of the component-covariance matrices. To this end, the mixture of factor analyzers with common component factor loadings was proposed, and it considerably reduces the number of parameters. It can also project the high-dimensional data on the low-dimensional factor space to show cluster structure in a straightforward way in contrast to the mixture of factor analyzers. The mixture of factor analyzers with common component factor loadings can be extended further to include more parsimonious models by constraining on the factor covariance matrix and/or the error covariance matrix. We propose a class of parsimonious mixture of factor analyzers with common component factor loadings to include various simple structures on the factor covariance matrix and/or the error covariance matrix. The proposed class contains eight mixture models. Parameter estimates for each member of the class of models are derived using EM algorithm. The best member of the family is then chosen using Bayesian information criteria, and the estimated posterior probabilities of component membership of the data using the associated parameter estimates are used for clustering. We demonstrate that the clustering performance of our method applied to three sets of real data is better than or at least as good as the conventional mixture models. But, the parsimonious MCFA is sensitive to both non-normality and outliers as MCFA, which are commonly observed in microarray data. This sensitivity of the PMCFA results from its being based on a mixture model in which the multivariate normal family of distributions is assumed for the component-error and factor distributions. An extension to mixtures of t-factor analyzers with common component-factor loadings was proposed, whereby the multivariate t-family is adopted for the component-error and factor distributions. The method can handle data with tails longer than that of the normal distribution, is robust against outliers, and allows the data to be displayed in low-dimensional plots. It is applied to some microarray gene-expression data for clustering and shows its better performance over several existing methods. We describes the extension of the mixtures of t-factor analyzers with common component-factor loadings model to include constraints on the degrees of freedom, the component-covariance matrices, and the error variance matrices. The result is a family of sixteen mixture models, including parsimonious models. Parameter estimates for this family of models are derived using an alternating expectation-conditional maximization algorithm. Model selection is carried out using the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BIC), the integrated completed likelihood (ICL) and Approximate Weight of Evidence (AWE). This novel family of mixture models is then applied to simulated and real data where clustering performance meets or exceeds that of established model-based clustering methods. Many statisticians have been using object-oriented languages such as S-PLUS, R, and MATLAB to make programs for new data analysis methods. S-PLUS and R are slower in computation as well as in processing large data sets than MATLAB. Recently MATLAB is often used for developing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 owing to its fast computing ability and abundant mathematical algorithm modules. Sometimes it is hard for non-statistician to understand MATLAB programs which are developed by statisticians. Therefore Graphical User Interface(GUI) is needed to facilitate the usage of MATLAB codes. Here, we introduce how to develop a GUI for MATLAB codes which is executable on Windows. And then PMCFA and PMCtFA are implemented to a GUI-based standalone application using MATLAB. 혼합 모형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가우스 혼합 모형은 관측값이 고차원인 경우 추정해야 할 모수가 매우 많다. 모수의 수를 줄이기 위해 고유값-고유벡터 분해를 통한 성분-공분산 행렬의 몇 가지 모수 절약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변수의 수가 표본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면, 모형의 신뢰성 높은 모수 추정치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Mixture of factor analyzers(MFA)는 성분-공분산 행렬에 대하여 요인분석적인 표현을 가정하여 모수의 수를 줄인 모형이다. 실제로, 성분-공분산 행렬에서 모수의 수를 더 줄여야 할 필요가 종종 있다. 이 때문에 공통요인분석자 혼합모형(MCFA: mixtures of common factor analyzers)이 제안되었고, 모수의 수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MCFA는 또한 MFA와 달리 고차원 자료를 간단한 방법으로 저차원 요인 공간에 사영하여 군집 구조를 보여줄 수도 있다. MCFA는 요인 공분산 행렬 및/또는 오차항 공분산 행렬에 제약 조건을 줌으로써 보다 (모수) 절약적인 모형들을 포함하도록 확장할 수 있다. 요인 공분산 행렬 및/또는 오차항 공분산 행렬을 다양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 절약 공통요인분석자 혼합모형(PMCFA: parsimonious MCFA)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모형 집합은 여덟 가지의 혼합 모형으로 구성된다. 모형 집합의 각 하부-모형에 대한 모수 추정은 EM(expectation- maximization)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진다. 모형 집합 중에 최고의 성능을 가진 하부-모형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BIC(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와 ICL(integrated completed likelihood) 그리고 AWE(Approximate Weight of Evidence)를 이용하며, 해당 모수 추정치를 통해 자료의 성분 소속에 대하여 추정한 사후 확률을 사용하여 군집화한다. 네 가지의 실제 자료에 적용해 본 결과, 제안 기법의 군집 성능은 기존의 혼합 모형보다 더 좋거나 최소한 비슷하다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PMCFA는 MCFA처럼 비정규성과 이상점에 민감하다. 이 두 가지 특징은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PMCFA의 민감성은 요인과 오차항에 대하여 다변량 정규 분포를 가정하는 혼합 모형에 기반함으로써 기인한다. 극단적인 자료에 민감하다는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통t-요인분석자 혼합모형(MCtFA: mixtures of common t-factor analyzers)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오차항과 요인에 대하여 다변량 t 분포를 가정한다. 정규 분포보다 더 긴 꼬리를 가지는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이 기법은 이상점에 대해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자료를 저차원 공간에 나타낼 수 있다. 이 또한 마이크로어레이 유전자 발현 자료를 군집화하여 기존의 몇몇 방법에 비해 우월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성분-공분산 행렬과 오차항 분산 행렬 그리고 자유도에 대하여 다양한 제약 조건을 주어 MCtFA를 확장하였다. 그 결과, 열 여섯 가지의 하부-모형을 갖는 절약 공통t-요인분석자 혼합모형(PMCtFA: parsimonious MCtFA)을 개발하였다. 각 하부-모형에 대한 모수 추정치는 AECM(alternating expectation- conditional maximiz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모형 선택은 BIC와 ICL 그리고 AWE를 통해 이루어진다. 새로이 제안하는 혼합 모형들을 실제 자료에 적용해 본 결과 기존의 모형-기반 군집 기법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성능을 나타냈다. 많은 통계학자들이 S-PLUS나 R 또는 MATLAB과 같은 객체-지향 언어를 사용하여 새로운 자료 분석 기법에 대한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S-PLUS와 R은 큰 규모의 자료를 처리하고 계산하는 데 있어서 MATLAB에 비해 다소 느린 편이다. 최근 들어 MATLAB은 빠른 계산 속도와 풍부한 수학적 알고리즘 모듈 덕분에 통계적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자주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통계 전문가가 만들어 놓은 MATLAB 프로그램을 통계 비전공자들이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그리하여 MATLAB 코드를 보다 쉽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Windows 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MATLAB 코드에 대한 GUI-기반 독립형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런 후에 MATLAB을 이용하여 작성한 PMCFA와 PMCtFA 프로그램 코드를 GUI-기반으로 제작한 독립형 응용프로그램을 소개한다.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의 블랑쉬 연구 :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정윤경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crutinize how the pattern of human consciousness about the past can interact with the present. As conflicts and confusions, which were derived from psychological traumas such as critical incidents or surroundings, are studied, these understanding and analysis can be the clue on mental status of Blanche. A Streetcar Named Desire appears to be one of the great plays in American literary history. It's greatness lies in Tennessee Williams' matching of form to content. In order to gain sympathy for a character who is in the process of an emotional breakdown, Williams depicts the character from without and within. Both the objectivity and the subjectivity of Blanche are present to the audience. In A Streetcar Named Desire Williams synthesizes depth characterization, typical of drama that strives to be an illusion of reality, with symbolic theatrics, which imply an acceptance of the stage as artifice. In this play, music plays an important role. There is subjective as well as objective music in the play. Only Blanche and the audience hear the Varsouviana polka, which was played as Blanch's husband shot himself. The music, through its association in her memory with impending death, becomes a symbol of imminent disaster. The music of Varsouviana weaves in and out of the ground. It is the contention of this study that the theme of time is pervasive in this work. Williams juxtaposes the present and the past, but there is no future. Blanche undergoes a clash between the two opposing societies. She doesn't want to face reality and instead chooses to live in a world of illusion, the past. She wants to remember it. For Blanche, reality-death of her husband, the loss of Bell Reve, and her life of promiscuity and alcoholism- is so bitter that she creates a fantasy world for herself. And after reality, in the person of Stanley Kowalski, tears Blanche out of this fantasy world one last time, she returns to it forever, hopelessly lost in her delusion. Tennessee Williams' plays present a double vision of time: it both passes in the present and remains frozen in the characters' memories. This double vision forms the basis for Blanche's struggles and conflicts, as she attempts to control the present by controlling the accepted version of the time. Blanche reflects our other selves in her refusal to adapt herself to reality because of the transition of the industrial society, the culture, traditions, her viewpoint toward the world, and, most of all, the pain and fear of death. It seems that through Blanche Williams tries to reflect his own conflicts and desire that make himself escape from reality because he failed to adapt himself to real world. Blanche is seized with an illusion of the past, and it contains various explanations. One of them is that she is tied up with the sense of guilt and fear from her deviation. Her recognition of reality is connected with the honor of Belle Reve in the past, her husband's suicide, the serial death of her family and her sexual dissoluteness which comes from fear. All of these memories could be crucial incident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sent. From this point of view which the present will be another future, William's insight into the influence of the past, which also can affect the future, is similar to the perspective of Freud. Blanche doesn't recognize time with an integrated viewpoint, and distorts time with her own way. This isolates her from the present. Conflict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cause her inner confusion and stand for anxiety and frustration of the moderners. Although the past and her illusions are the only energy that makes her put up with desperate and dreadful situations, life requires an attitude that is based on reality and appropriate self consciousness. 본 논문에서는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의 블랑쉬라는 인물을 통해 과거에 대한 인지방식이 어떠한 양상으로,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고서 현재와 작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환경이나 결정적 사건이라 할 수 있는 심리적 트라우마로 인해 빚어진 내면세계의 갈등과 혼란이 현실세계에 일으키는 부조화와 그 비극성을 살펴봄으로써, 과거에 대한 통찰을 통해 현재라는 시간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의지를 통해 삶을 고통스럽게 하는 과거의 기억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지만, 시간과 공간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는 인간의 유한성을 생각해보게 된다. 주인공이자, 일정부분 우리들 각자의 분신이라 할 수 있는 블랑쉬는 현대 산업사회의 과도기에서 정신문화와 전통, 자신의 가치관, 무엇보다 과거 남편과 가족의 잇따른 죽음의 고통과 두려움으로 인해 현실 세계에 적응하기를 두려워하고 거부한 인물이다. 이것은 작가, 윌리엄스가 작품을 통해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도피하고자 하는 자신의 갈등과 갈망을 블랑쉬를 통해 투영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작가자신이 현실도피와 예술을 위한 선택으로 술과 동성애적 취향을 버리지 못한 것은 현실 원칙 속에서는 용인되기 힘든 것이었던 것처럼 자신의 내면의 분신인 블랑쉬 또한 현실 속에서는 지지를 받을 수 없다. 이것은 섬세하고 예민한 성격의 자신과 세상에 대한 투쟁이자 도피자의 항변이라고 볼 수 있다. 블랑쉬는 과거라는 환상에 사로잡혀 있는데 이것은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자신의 과거행위로 인한 죄의식과 두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과거라는 시간의 문제는 자기 인식의 근원이 되어 끊임없이 그녀를 괴롭히게 된다. 시간의 흐름은 파괴를 가져오고 그 잔인성은 과거로부터 유전되거나 견디기 힘든 현실세계의 위협으로 그녀에게 가해진다. 블랑쉬의 현실인식은 과거 벨 리브의 영광, 자신의 비정한 태도로 인한 남편의 자살, 가족들의 연쇄적인 죽음, 그 두려움에서 비롯된 자신의 성적 일탈이라는 과거의 기억이 서로 맞물려 현재의 시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한 사건이 된다. 현재는 또 미래의 과거가 된다는 관점에서 보면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과거의 힘에 대한 윌리엄스의 통찰은 결정론자와 프로이드 시각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현재와 과거, 미래를 통합적 시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임의적으로 왜곡하는 병리적 인지로 인해 실재하는 시간 속에서 유리하게 되었다는 인과 관계적 관점에서 그 증상 및 방어기제들을 조명하는 것으로 블랑쉬를 연구하는데 프로이드의 관점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에 대해 이무석은 감정 에너지가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도저히 처리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의식에서 추방되어 간접적인 방법으로 표현된 양상들에 대해 연구하고 그것의 메커니즘과 치유방법들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실세계에 적응하지 못하고 부조화를 일으키는 비의식적 원인(pent-up unconscious forces)의 본체는 실제로 경험했던 손상경험(real traumatic experience)이 일으킨 감정이라고 설명한다(30). 마찬가지로 본 논문은 블랑쉬의 현실과 유리된 삶과 두려움의 원인을 그녀의 내면세계의 고통과 그것을 일으킨 과거의 결정적 손상경험에서 찾고 그것을 극복하지 못한 채 섬세하고 병적으로 예민한 그녀의 자아가 위협적인 상황들에 대처하는 방식들을 살펴보았다. 블랑쉬의 내적 혼란을 야기한 과거와 현실과의 갈등, 내면과 육체의 갈등, 욕망과 죽음 사이의 갈등은 현대 산업사회에서 갈등과 소외로 고통 받는 현대인들의 불안과 좌절의 상태를 대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과거의 환상만이 현실의 절망적이고 두려운 상황을 견디게 하는 힘의 원천으로 여겨지는 부조리한 세상일지라도 현실에 기반을 둔 올바른 내면의 자기 인식을 통한 외적 현실 수용의 자세가 요구되는 것이다. 인간은 현실과 과거의 사건 속의 기억의 부조화 및 갈등으로 인해 많은 갈등을 겪고 있으며 그것은 다양한 방법이나 기회를 통해 해결함으로써 보다 나은 삶을 향해 도약할 수 있다. 블랑쉬를 통해 투영되는 극의 야만적 현실세계와 주 인물들의 뒤틀린 내면세계는 우리들 각자의 이루어지 힘든 건전한 이상향에로의 열망을 내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 여고생 교복 스커트 패턴설계에 관한 연구

        정윤경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slacks targeted at women in their twenties that are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and to develop a slacks pattern that reflects the pattern technology of companies, has contemporary aesthetical expressions, and is fit for body movement. The method of study was to collect slacks patterns used in the industry and examine industrial slacks pattern making methods, make an experimental pair of slacks, carry out physical tests on them, correct and improve the pattern based on the results, present a new slacks pattern reflecting industrial pattern technology, create an experimental pair of slacks, and compare and analyze the slacks with industrial slacks patterns through physical tests. Through the analysis of pattern making of the industrial slacks pattern, it was found that the pattern had a low and round waistline and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ease existing in hipline between the bran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the back of waistline was different for each brand: one brand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while other brands had either larger front line or larger back line, and all brands had larger back for hipline. All the slacks had no dart in the front, and had 2 darts on the back, one on each side of the back. But the amount and length of darts on the back were different for each brand and the greater number of darts, the longer they were. The back darts were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W/2 for 2 brands, and at a point 0.5cm~0.8cm farther towards the back center line from the W/2 point for 4 brands. For the back center grade, the higher the back center rise, the greater the back center inclination and the lower the back upper and lower falls. By reducing the length between the waist and the hem lines on the front, the length between the waist and the hem lines on the back has gained the extra amount of length from the front resulting in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the back in waist-to-hem length. An experimental pair of slacks was created with the industrial basic slacks pattern and put through a physical test to compare the outer appearance and fit between industrial patterns. And the patterns were corrected and improved based on the pattern of company B, which received the highest rating in evaluation, to create a new study slacks pattern that reflects industrial pattern technology. The new study pattern was put through the same physical test and achieved high in evaluation of both outer appearance and body movement. Various studies based on existing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on slacks pattern design, but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s not active yet.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collected and analyzed industrial slacks patterns and expanded the range of study to the industrial field.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단계로 자아개념 확립과 또래집단에의 적응, 사회적 상호관계에 있어서 의복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청소년기에는 대부분의 일과 시간 동안 교복을 가장 많이 착용하지만 교복이 기성복화 되면서 일률적인 패턴과 획일화된 디자인으로 불편하고 유행에 맞지 않는다고 인식되었다. 따라서 교복 스커트 설계에 있어서 만족할만한 심미성은 단순히 디자인 개발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여고생들의 신체 특징을 파악하여 의복과의 조화를 통해 욕구를 충족해야 할 뿐 아니라 그 시대의 패션경향을 근거로 하여 학생들의 요구를 잘 파악함으로서 신체적 만족감을 주는 교복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연구를 통해 본 바로는 교복착용 실태, 디자인 개발, 교복변형 행동, 치수체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복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고생의 교복 스커트 패턴설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하여 체형의 변화가 많은 하반신의 특징을 알아보고, 여고생들의 미적 가치관에 부합함과 동시에 동작 기능성에도 만족 할 수 있는 교복스커트 패턴을 설계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패턴제도방법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은 서울시내 고등학교에서 채택하고 있는 여고생 교복 스커트를 알아보고, 선정된 디자인의 패턴을 대기업 교복업체 4곳에서 수집하여 패턴 제도방법에 대하여 고찰한 후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관능검사는 피험자 5명에게 4종의 교복 업체 스커트와 1종의 실험복을 착용하게 하여 10명의 평가단이 검사하였다. 교복업체 패턴의 관능검사 결과를 토대로 패턴을 수정, 보완하여 업체 패턴 기술이 반영된 연구 패턴을 제시한 후 실험복을 제작하여 관능검사를 통한 교복업체 패턴과 비교 분석하였다. 교복업체 패턴의 제작과 관련된 항목을 분석한 결과, 허리밴드 형태는 직선형과 라운드형 허리밴드이며,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앞,뒤 차이는 업체별로 앞면을 크게 한 경우, 뒷면을 크게 한 경우가 있었으며, 허리둘레의 여유분은 최대 4cm에서 최소 1.2cm를 주었고, 엉덩이 둘레의 여유분은 최대 2.8cm에서 최소 -1cm를 주었다. 다트의 경우 앞에는 한쪽면에 1개씩 2개의 다트가 있고, 뒤에는 한쪽면에 2개씩 4개의 다트가 있었다. 다트량과 다트길이, 앞 주름 넓이는 업체 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다트량이 많을수록 다트의 길이가 크게 나타났고, 앞 주름너비는 최대 5.3cm에서 최소 4cm를 주었다. 교복업체 패턴기술이 반영된 연구 스커트 패턴을 설계하기 위하여, 업체 패턴으로 실험복을 제작하여 관능검사를 통한 패턴간의 외관과 동작기능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엉덩이 여유분이 부족하여 엉덩이부위 군주름 항목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고, 스커트 길이 항목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전체 맞음새에서 낮은 평가를 받아 대체적으로 불만족스러운 평가를 받았다. 또한 동작적합성 평가에서는 대체로 허리와 배부위의 불편함을 느꼈고, 엉덩이부위와 스커트 밑단둘레에서 보통 이상의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각 항목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은 패턴을 토대로 허리둘레 앞 W/4+1cm, 뒤 W/4+0.5cm로 엉덩이둘레는 앞 H/4+1.5, 뒤 H/4+1로 패턴을 수정, 보완하여 업체 패턴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 모든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외관평가에서 엉덩이 둘레에 대한 평가가 향상되었고, 전체 맞음새 항목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업체패턴의 동작적합성 평가에서 낮게 평가된 허리부위와 엉덩이부위의 수정 결과 연구패턴에서는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복업체 스커트 패턴을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외관 및 동작기능성이 좋은 스커트 패턴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여고생의 인체 계측과 체형 분석을 통한 교복 스커트 패턴개발에 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활용도 높은 교복 패턴설계 방법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살인죄에서 영미법상 주관적 요소와 시사점 : 중살인죄의 도입 논의를 중심으로

        정윤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o Penalty without A Law’ is the principle that establishes the foundation of modern Criminal Act as the basic principle to declare the assuring function of the Criminal Act with respect to the fact that if the law does not define a crime, it is not an act of crime, unable to impose the Criminal Act. The latter part of Article 12 or the first part of Article 13 (1) of the Constitution, and Article 1 of the Criminal Act define the ‘No Penalty without A Law’ theory directly and indirectly. And, the ‘Principle of Clarity’ that stems from the ‘No Penalty without A Law’ theory implies that the provisions on the requirements of criminal elements and criminal sanctions has to be in details not permitting any discretion in interpretation or free discretionary decision of a judge. Attempt to resolve the application of unclear law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law by a court has to be considered as reverting the division of respective roles between legislator and judge. As shown above, determining what would be the punishable conduct by foreseeable form by the people is the basic principle of the Criminal Act of the law abiding state that intends to protect the legal stability of individual and guarantee the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from the voluntary exercise of the state punishment power by establishing the positive law and order under the written penal code laws and regulations. With respect to murder, the Great Britain, US, Germany, Austria, Switzerland and France classify the murder into mosal (murder) and gosal (manslaughter) but Korea, Japan and China do not classify as such. It is frequently translated as mosal and gosal, but murder is a serious crime with the intent to kill while manslaughter is ordinary killing of human that includes the involuntary manslaughter and accidental homicide that has different meaning from the gosal that may be found in the Korean classic vocabulary dictionary as having a different meaning that it is not an accurate translation. In the Korean classic vocabulary dictionary, gosal means intentional killing of a human, and killing of a human by mistake as in the case of accidental homicide is deemed as mistaken homicide or negligent homicide. The criminal code, the first modern Criminal Act of 1905, had distinguished mosal and gosal. However, it classified as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killing, but the statutory punishment had it for the death penalty by hanging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The initial draft of the penal code of Joseon in 1897 distinguished the mosal and gosal as well. However, the old Criminal Act (criminal law quoted from another state) of 1912 and the current Criminal Act of 1953, the mosal and gosal does not differentiate. The murder under Article 250 (1) of our current Criminal Act presents one legal provision and one statutory punishment. This implies the sentencing is determined following the discretion of the judge. If a broad range of discretion is given, the judge may be over-burdened in its sentencing even if a reasonable sentencing standard is applied and it may also place the defendant and family members of the victim at a difficult position to accept the outcome. Therefore, determining all murder cases, other than the types of murder presented in the Criminal Act of Korea and special laws, by applying only Article 250 (1) alone does not seem reasonable. The murder is typified in accordance with the gravity of respective crime type and present the corresponding statutory punishment would be conforming to the ‘No Penalty without A Law; theory as defined under laws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legal basis to punish the grave crimes, such as, homicide, in accordance with the gravity of criminal conduct by classifying the statutory punishment by rearranging the scattered provisions related to killing, not simply determining only by Article 250 (1) of the Criminal Act, and as for its method, it has considered introducing the concept of mosal or felony murder of the US.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felony murder is introduced to divide the murder under Article 250 of the current Criminal Act into the murder and felony murder to classify appropriate statutory punishment for punishment within the revision agenda that is to be presented herein. Under Chapter 2, the provisions of murder under the current Criminal Act and the history on the murder of Korea is contemplated. In Paragraph 1, in order to take a look at the history of murder under the Criminal Act of Korea that is handed down from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the provisions of murder under the Criminal Act of Germany and the Criminal Act of Japan have been contemplated. Germany classifies mosal and gosal while Japan defines only a general murder in its Article 199. When taking a look at the flow of murder from the earliest period of time in Korea, the concept of mosal and gosal was present from the time of Goryeo to the initial draft of the Criminal Act ii Joseon. The mosal means the homicide with plan and the gosal means a killing that is contingent but with intention that such implication is similar to the mosal and gosal of Germany. While doing so, due to the Joseon Criminal Affaird Decree of 1912, the Criminal Act quoted from another state was applied to have the presence of provisions on murder that does not distinguish the mosal and gosal like the present Criminal Act of Japan. While legislating the Criminal Act in 1953, it was influenced most significantly to the Criminal Act of Japan to define as in the present time. From the time to the present time, Article 250 of the Criminal Act is confirmed as no revision made other than adding the imprisonment of 7 years or longer to the crime of patricide under Paragraph 2. In Paragraph 2, the murder provision of the Criminal Act of Korea is reviewed. The elements of murder is divided into the objective elements and subjective elements to confirm. The murder in the Criminal Act of Korea has the intention of homicide to be constituted as an important subjective element that it requires only the recognition and intent to kill a human, and the dolus eventualis alone would be sufficient. Whether the action taker perceives the risk is determined by comprehensive objective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criminal conduct, such as, the process of defendant to actually commit the crime, motivation for criminal conduct, place of attack, repetition and so forth. And it confirms whether the provisions of murder that are scattered around the present Criminal Act and special Criminal Act of Korea are confirmed and see if it could be cleared up. As the murder is defined by the special Criminal Act, it is depicted to have difficulty of having the criticism of overlapping if the legislation is attempted. For the representative cases of retaliated murder under the Act on the Aggravated Crime, it is a provision for a typical crime of mosal even by overcoming the criticism as the repeated legislation that would be available for punishment with Article 250 of the Criminal Act alone. Under Chapter 3, the subjective elements of murder under the US law is reviewed. In Paragraph 1, the mosal and gosal are sought before handling the subjective elements. Since the American law is heavily influenced from the England law, the mosal and gosal classification in England is shown first and then understand the legislation method. The mosal and gosal are not classified from the beginning, and in the beginning, when anyone commits murder regardless of the seriousness of such action, the qualification to become a clergyman was taken away in a way of affirming the murder with the disqualification within the church regulation and amnesty of the king in a way of treating the crime. Under the US law, the provision of murder differs from the common law and Model Penal Code, and each state has certain difference that each provision has been confirmed. Under the common law, the murder is divided into the first-degree murder and second-degree murder while the crime of gosal is divided into the voluntary manslaughter and involuntary manslaughter. In particular, it is shown to have a specific type of felony murder. Under the Anglo-American law, it has a concept of felony murder within the murder, and under the common law that stemmed from Edward Coke who was a renowned justice and legal theorist of the Great Britain, the ‘principle of felony murder’ is the principle that if someone kills another, regardless of contingent action or not, during the execution of felony or attempted felony, he/she is guilty of the murder. Once the establishment of murder as a felony is acknowledged, the prosecution is exempted from the responsibility of proof regarding the malicious intents as the criminal intent of the defendant regarding the result of death, and the defendant has the possibility to punishment for the grave result of death even without the criminal intent (mens rea). In the meantime, the Model Penal Code divides the same into the murder, crime of gosal and negligent homicide. In Paragraph 2, the subjective elements under the US federal Criminal Act are considered. In order to establish a crime under the US Criminal Act, it requires the objective requirement (actus reus) and subjective requirement (mens rea). An act alone is insufficient to punish anyone that there has to be subjective requirements, and the subjective requirements would be an abstract one that there are 76 types of expression in the federal laws alone. Therefore, the history of subjective element is sought and first confirm the classification to divide the crime in relation to the subjective elements under the common law. The conventional common law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First, there are crimes that require only the general intent. Second, there are crimes that require only the special intent. Third, there are crimes that require only the negligence or lack of care without intent. And lastly, there is a crime of product liability. Henceforth, it is confirmed to have 6 types that are frequently expressed as the subjective elements including intention, knowledge, willfulness, negligence, recklessness, and malice. Lastly, the strict liability crime has been taken a look. The strict liability crime is a crime that does not require any criminal state of mind that the cases of recognizing the situation or result to be the criminal element or having no negligence on the matters not recognizing the foregoing would be the types of recognizing the criminal presence. Under Chapter 4, a contemplation has been made on whether to introduce the concept of mosal, particularly felony murder is feasible for the Criminal Act of Korea, and the agenda for revision of Article 250 of the current Criminal Act is suggested. In Paragraph 1, the written judgments pertinent to the murder under the Criminal Act of Korea have been sought. Prior to introduce a new concept of felony murder,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ent Criminal Act to handle the murder that sentences are divided into death, imprisonment for life and imprisonment for term to take a look. The cases where the sentence is imposed with the death sentence is learned for cases of the prisoners in death row in prison with the execution is yet to be administered, and the cases for imprisonment for life have seen the ones with socially significant issue but not imposed with the death sentence. In addition, the cases of committing a killing of another but sentenced for the imprisonment for term are shown and confirm the reason why there is any difference in sentencing. In order to confirm the foregoing, the sentencing guideline of the Sentencing Committee is confirmed and reviewed together. In Paragraph 2, the introduction of the felony murder concept has been sought. Article 250 of the current Criminal Act defines only one in general murder and the need to classify it with the murder and felony murder is checked. Punishing the ones that committed a grave crime of killing another human being by a single provision would clearly be insufficient. Because of this attribute, it is af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t provisions of the Criminal Act or special Criminal Act to define several types of murder. When the name under Chapter 24 has been defined as the crime of killing but if the murder is scattered in a number of places, it may violate the principle of clarity, lower the foresee-ability and interfere with the legal stability. Most of the regulated provisions with the exception of Article 250 require the clearance by defining the murder that is more serious than the general murder as there is a provision for aggravated punishment. However, in bringing the concept of the Anglo-American law, there is a limit from the translation, and the terminologies of mosal and gosal that have been used from the previous times under the Criminal Act of Korea are the same with the currently expressed Chinese writings that it may rather present a possibility to cause the confusion in its meaning. Therefore, it has been asserted as appropriate to introduce the concept of ‘felony murder’, not the mosal. In Paragraph 3, the revision scheme of murder is presented. The agenda to consider for revising Article 250 of the current Criminal Act is contemplated. Article 250 of the current Criminal Act has Paragraph 1 defining the general murder and Paragraph 2 defining the crime of patricide. The statutory punishment of the general murder under Paragraph 1 is set for death, imprisonment for life, or imprisonment of 5 years or longer, and the death penalty is excluded from the statutory punishment of the general murder. And, Paragraph 2 defines the present crime of patricide that has been revised as the felony murder. Any person plan for preliminary conspiracy to kill people is handled for the felony murder and the statutory punishment of the felony murder is defined to impose death, imprisonment for life or imprisonment of 7 years or longer. In addition, the crime to handle the felony murder with the aggravated punishment is presented with the respective section. It is proposed that the crime of patricide is included in the above to revise for Paragraph 3. Article 1 of the Criminal Act of Korea expressly defines the No Penalty without A Law. In order to establish the Criminal Act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principle of clarity, the provisions that have not been revised for the last 70 years are reviewed to see if there is any provision that necessitates the revision at the present time. Law reflects its society and culture. For a prolonged period of 70 years, Korea has significant changes. The it is imperative that the Criminal Act has to restore its efficacy as a general law, not to legislated the special Criminal Act in a way of supplementing the Criminal Act. ‘죄형법정주의’는 근대 형법의 근간을 이루는 원칙으로 법률에 범죄로 규정되어 있지 않으면 범죄행위가 아니며 그렇기 때문에 형벌도 부과할 수 없다는 형법의 보장적 기능을 선언하는 기본원칙이다. 헌법 제12조 제1항 후단이나 제13조 제1항 전단 및 형법 제1조는 모두 죄형법정주의를 직·간접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죄형법정주의에서 파생된 ‘명확성의 원칙’은 범죄구성요건과 형사제재에 관한 규정이 법관의 자의적인 해석이나 자유재량판단을 허용하지 않도록 구체적이어야 할 것을 의미한다. 불명확한 법률의 적용을 법원의 법 해석을 통하여 해결하려는 것은 입법자와 법관 사이의 역할분담이 전도된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이 무엇이 처벌되는 행위인가를 국민이 예측 가능한 형식으로 정하는 것은 개인의 법적 안정성을 보호하고 성문의 형벌법규에 의한 실정법질서를 확립하여 국가형벌권의 자의적 행사로부터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려는 법치국가 형법의 기본원칙인 것이다. 살인죄에 대하여 영국·미국·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프랑스는 살인죄를 모살(謀殺, murder)과 고살(故殺, manslaughter)로 구분하고 있지만 한국·일본·중국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모살과 고살이라고 번역을 하곤 하지만 murder는 살인의 의도가 있는 중한 살인이고 manslaugter는 우발적 살인과 과실치사를 포함하는 보통 살인으로 한국고전용어사전에서 찾을 수 있는 고살(故殺)과 그 의미가 달라 정확한 번역은 아니다. 한국고전용어사전에서 고살은 사람을 고의로 죽인 것을 의미하며, 과실치사와 같이 사람을 실수로 죽이는 것은 오살(誤殺)이나 과실살(過失殺)이라 하였다. 1905년 최초의 근대형법인 형법대전은 모살과 고살을 구별했었다. 다만 살해방법의 차이로써 구분하였을 뿐 법정형에서는 교수형으로 그 차이가 없었다. 1897년 조선형법초안에서도 모살과 고살을 구별했었다. 그러나 1912년 구형법(의용형법)과 1953년 현행 형법에서는 모살과 고살을 구별하지 아니한다. 현행 우리 형법 제250조 제1항의 살인죄는 1개의 법규정과 1개의 법정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법관의 재량판단에 따라 그 형을 결정하게 하는 것이다. 광범위한 재량의 범위를 주게 되면 합리적인 양형기준을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선고에 있어 법관에게는 지나친 부담을, 피고인과 피해자의 가족도 결과를 받아들이기 힘들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 형법과 특별법에 산재해 있는 살인죄의 유형 외에 모든 살인죄를 제250조 제1항 하나만으로 모두 판단하게 하는 것은 타당해 보이지 않는다. 살인죄를 각각의 범죄유형의 경중에 따라 유형화하고 상응하는 법정형을 제시하는 것이 우리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죄형법정주의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살인과 같이 중대한 범죄를 형법 제250조 제1항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산재해 있는 살인과 관련한 조항을 정비하고 경중에 따라 그에 맞는 법정형을 구분하여 처벌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방법으로 미국의 모살 혹은 중살인죄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중살인죄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현행 형법 제250조의 살인죄를 살인죄와 중살인죄로 나누어 그에 맞는 법정형을 구분하여 처벌할 수 있도록 개정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우리 형법상 살인죄에 관한 연혁 및 현행 형법의 살인죄 규정을 살펴보았다. 제1절에서는 대륙법계를 계수한 우리 형법상 살인죄의 연혁을 살피기 위하여 독일 형법과 일본 형법상 살인죄 규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독일에는 모살과 고살을 구분하고 있으며 일본은 제199조에 보통살인죄 하나만을 규정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살인죄가 있었던 가장 상고시대부터 그 흐름을 살펴보았을 때, 고려시대부터 조선형법초안까지는 모살과 고살의 개념이 존재하였다. 모살은 계획적인 살인을 의미하고 고살은 우발적이지만 고의가 있는 살인을 의미하여 그 의미가 독일의 모살·고살과 유사하다. 그러다 1912년 조선형사령으로 인하여 의용형법이 적용되면서 현재의 일본형법과 같이 모살과 고살을 구별하지 않는 살인죄 규정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 1953년 형법을 제정하면서도 일본형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아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규정되었다.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형법 제250조는 제2항 존속살해죄에 7년 이상의 유기징역형을 추가한 것 이외에는 개정된 것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2절에서는 우리 형법의 살인죄 규정을 검토하였다. 살인죄의 구성요건을 객관적 구성요건과 주관적 구성요건으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우리 형법에서 살인죄는 살인의 고의가 중요한 주관적 구성요건으로서 사람을 살해한다는 인식과 의사만 있으면 되며, 미필적 고의로도 충분하다. 행위자가 위험을 인식했는지 여부는 피고인이 범행에 이르게 된 경위, 범행의 동기, 공격의 부위와 반복성 등 범행 전후의 객관적인 사정을 종합해 판단한다. 그리고 현재 형법과 특별형법에 산재해 있는 살인죄 조항을 확인하여 정비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특별형법으로 살인죄를 규정하다보니 입법에 있어 중복입법의 비판을 면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으로 특정범죄가중법의 보복살인죄 같은 경우에는 형법 제250조만으로도 충분히 처벌이 가능한 중복입법이라고 비판을 받으면서도 전형적인 모살죄 규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미국법상 살인죄의 주관적 요소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1절에서는 주관적 요소를 다루기 전에 모살과 고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미국법은 영국법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때문에 먼저 영국에서의 모살·고살 구분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입법방식을 이해해보았다. 모살·고살은 처음부터 구분지어져 있었던 것이 아니며, 처음에는 경중의 구분없이 살인을 저지르면 성직자가 될 수 있는 자격을 박탈하는 등 교회법 안에서 자격정지와 국왕의 사면이라는 것으로 살인죄를 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국법에서는 살인죄를 보통법(common law)과 모범형법전(Model Penel Code)에서의 규정이 다르고 또한 주(state)마다 차이가 있기에 각 규정을 확인하였다. 보통법에서는 살인죄를 1급 모살죄(first-degree murder)와 2급 모살죄(second-degree murder), 고살죄는 고의고살죄(voluntary manslaughter)와 비의도적고살죄(involuntary manslaughter)로 나눈다. 특히 모살의 특정 유형인 중죄모살(felony murder)이란 유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미법에서는 모살 중에서 중살인죄(felony murder)라는 개념이 있다, 영국의 저명한 법관이자 법률가였던 에드워드 코크에서부터 유래된 보통법상 ‘중죄모살 원칙’이란 중죄나 중죄미수의 실행 동안, 우연이든 아니든 간에, 타인을 죽인다면 그자는 모살죄의 죄책을 진다는 원칙이다. 중범죄 살인죄의 성립이 인정되면 검찰은 사망의 결과에 대한 피고인의 범죄의사인 사전악의에 대한 입증책임이 면제되며, 피고인은 사망의 중한 결과에 대해서 범죄의사(mens rea) 없이도 처벌받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편 모범형법전에서는 모살죄와 고살죄 그리고 과실치사죄(negligent homicide)로 나누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2절에서는 미국 연방형법상 주관적 요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미국 형법상 범죄가 성립되기 위한 요건으로는 객관적 요건(actus reus)과 주관적 요건(mens rea)이 필요하다. 행위만으로는 처벌할 수 없기에 주관적 요건도 있어야 하는데, 주관적 요건은 추상적인 요소이기에 연방법에서만 그 표현이 76가지가 된다. 이에 주관적 요소의 연혁을 살펴보고 보통법상 주관적 요소와 관련하여 범죄를 나누는 분류를 먼저 확인하였다. 전통적인 보통법상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데 첫째, 일반고의(general intent)만을 요구하는 범죄, 둘째, 특별고의만을 요구하는 범죄, 셋째, 고의없이 부주의나 과실만을 구하는 범죄, 마지막으로 엄격책임범죄까지 포함하여 분류한다. 이후 주관적 요소로 많이 표현되는 6가지로 나누어 의도적 고의(intention), 지적고의(knowledge), 의도적으로(willfully), 과실(negligence), 무모함(recklessness), 악의(malice)에 관해 확인하였다. 끝으로 엄격책임범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엄격책임범죄는 아무런 범죄적 심리상태를 요구하지않는 범죄이기에 범죄의 요소가 되는 상황이나 결과를 인식하였거나 이것을 인식하지 못한 것에 대한 과실이 없는 경우도 범죄성립을 인정하는 유형이다. 제4장에서는 우리 형법에 모살, 특히 중살인죄 개념을 도입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고찰해보고 현행형법 제250조 개정시안을 제시하였다. 제1절에서는 현재 우리 형법상 살인죄와 관련한 판결문을 살펴보았다. 중살인죄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기에 앞서 현행 형법이 살인죄를 다루고 있는 현황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기에 선고형에 따라 사형, 무기징역, 유기징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선고형이 사형인 판례는 현재 사형집행이 되지 않고 수감 중인 사형수의 경우를 살펴보았고, 무기징역인 판례는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지만 사형 선고를 받지 않은 경우를 살펴보았다. 또한 살인을 저질렀지만 유기징역을 선고받은 판례를 살펴보고 선고형의 차이가 나는 이유를 확인해보았다. 이를 확인하기위해 양형위원회의 양형기준을 함께 확인하여 검토하였다. 제2절에서는 중살인죄 개념의 도입을 모색해보았다. 현행형법 제250조에는 보통살인죄 하나만 규정되어있는데 이를 살인죄와 중살인죄로 구분을 해야하는 필요성을 확인해보았다. 살인이라는 중대한 범죄를 하나의 규정으로 모두 처벌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분명히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형법의 다른 조항이나 특별형법에 여러 유형의 살인죄가 규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24장의 이름을 살인의 죄라고 명명해두고 살인죄가 여러 곳에 산재해 있으면 명확성의 원칙에 위배되며 예측가능성을 낮추고 법적안정성을 해치게 된다. 제250조를 제외하고 규정되어있는 대부분의 규정들이 가중처벌의 규정이기에 보통살인죄보다 더 중한 살인죄를 규정하여 정비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영미법의 개념을 끌어옴에 있어 번역의 한계가 있고, 우리 형법에서 이전부터 사용해온 모살과 고살의 용어와 현재 표현하는 한자어가 같음으로 인하여 오히려 의미의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모살이 아닌 ‘중살인죄’라는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보다 적절함을 주장하였다. 제3절에서는 살인죄의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현행형법 제250조를 개정하기위해 고려할 사안을 살펴보았다. 현행형법 제250조는 제1항이 보통살인죄, 제2항이 존속살해죄로 규정되어있다. 제1항의 보통살인죄의 법정형은 사형, 무기 또는 징역 5년 이상으로 규정되어있는데, 보통살인죄의 법정형에서 사형을 제외한다. 그리고 현재의 존속살해죄가 규정되어있는 제2항을 중살인죄로 개정한다. 계획적으로 예비, 음모하여 사람을 살해한 자를 중살인죄로 다루고, 중살인죄의 법정형을 사형, 무기 또는 7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또한 중살인죄로 가중처벌하여 다룰 범죄를 각 호로 제시하였다. 이 안에 존속살해죄를 포함하여 제3항으로 개정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우리형법 제1조에는 명시적으로 죄형법정주의가 규정되어있다. 명확성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형법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난 70년간 개정되지 않은 조항들을 검토하여 현재 시점에서 개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반드시 검토해야한다. 법은 그 사회와 문화를 반영한다. 70년이란 긴 세월 동안 대한민국도 많이 변화하였다. 특별형법을 입법하여 형법을 보완하는 것이 아닌, 형법이 일반법으로서의 그 실효성을 되찾아야 한다.

      • 생쥐 난소 및 난관에서 생식소자극호르몬에 의한 aquaporins와 밀착결합 유전자 발현 조절

        정윤경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포유류의 난소는 생식소자극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난자의 성숙과 난포발달과정이 동시에 진행된다. 난포의 성장과 배란 황체형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생식주기를 갖는다. 난포 크기의 변화는 세포간격이나 많은 물질 이동이 요구된다. 난관은 배우자의 이동과 성숙과 수정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난관은 난소 호르몬에 영향을 받는다. 난관의 누두부, 팽대부와 협부 세 부위는 기능적인 역할을 달리한다. Aquaporins (AQPs)는 세포막의 수분통로 역할을 하는 막관통단백질로 빠른 물의 흐름을 가능케 한다. 이런 AQPs은 세포막에서 체액의 분비 (secretion), 재흡수 (reabsorption) 그리고 항상성 (homeostasis)을 조절한다. 상피세포에 존재하는 밀착결합 (tight junction)은 세포사이를 봉쇄시키고 물이나 이온, 분자들의 선택적 투과를 조절하여 세포내 입자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는 장벽(barrier)과 펜스(fence) 역할을 한다. 밀착결합은 세포질 내부로 세포질골격 및 다양한 신호전달 분자와 복합체를 형성하며 다양한 세포 내외부의 신호를 조절한다. 본 연구는 생쥐 난소와 난관에서 생식소자극호르몬에 따른 AQPs와 밀착결합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미성숙 생쥐에 PMSG와 hCG를 복강주사 하여 각각의 시간별로 얻은 난소와 난관 조직을 대상으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RT-PCR)과 면역조직화학적반응(Immunohistochemistry) 방법을 이용하여 발현 양상을 알아보았다. 생쥐 난소에서 AQPs유전자의 발현양상은 AQP1, 3의 경우 PMSG와 hCG 주사 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인 반면, AQP4, 7, 9는 PMSG와 hCG 주사 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AQP5는 난자에 특이적인 AQP 유전자로 PMSG 46시간에서 가장 높은 발현을 보였다. 발현부위를 보면 협막세포에는 AQP5, 7이, 과립세포에는 AQP1, 3, 4, 8, 9가 발현되어 이들이 이곳에서 물의 이동에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난관에서 AQPs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보면 AQP5, 8은 PMSG 46시간에서 가장 높은 발현을 보였고 AQP7, 9는 PMSG와 hCG 주사 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발현부위를 보면 AQP1은 협부의 상피세포에서, AQP4는 누두부의 상피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였다. AQP5는 누두부, 팽대부, 협부의 상피세포 모두 발현하였는데 특히 팽대부에서 강하게 발현하였다. AQP3, 8, 9는 누두부, 팽대부, 협부의 상피세포에서 전체적으로 발현하였다. 생쥐 난소에서 밀착결합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알아보면 JAM2, claudin3는 PMSG와 hCG 주사 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 JAM1, 3, claudin5, 11, occludin는 PMSG 46시간과 hCG 12시간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다. claudin1는 대조군과 hCG 12시간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고, claudin2는 PMSG 12시간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다. 발현 부위를 보면 JAM1은 황체형성에 관여하고, JAM2, claudin11, occludin는 협막세포에서, JAM2, 3, claudin1 occludin는 과립세포에서 물질의 이동과 제한에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난관에서 밀착결합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해 보면 claudin2, 3은 hCG 주사 후 대조군보다 높은 상태를 보였고 JAM3, claudin1, 5, 11, occludin는 hCG 주사 이후에 대조군보다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발현부위를 보면 claudin1, occludin은 난관의 상피층과 근육층에서, JAM3는 협부의 상피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였고, JAM1, 2, claudin2는 난관상피에서 약하게 발현되었다. 생식소자극호르몬은 난소에서 난포 발달과 배란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난소에서는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이 분비되어 난관에 영향을 미친다. 생식소자극호르몬에 따른 난포발달과정에서 난포의 구조적 변화와 난관세포의 구조적 변화에는 수분과 물질의 이동 및 신호전달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 AQPs와 밀착결합 유전자는 난소 및 난관에서 각기 다른 세포에서 다양한 발현 양상을 보이며 난포발달과정 및 배란과 난관으로 난자의 이동 및 수정에 관련하여 수분과 물질의 이동과 제한에 관여하여 생리학적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