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정성 설계방법을 이용한 자동흐름라인의 완충재고용량 할당

        정원기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647

        자동흐름라인은 대량생산시스템에 적합한 생산시스템으로 자동화된 기계들이 직렬형태로 구성되고 작업장과 작업장 사이의 작업물의 이송은 자동으로 전달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특히 작업장의 고장과 가공시간의 변동에 의해서 작업물의 흐름이 중단되고 이것으로 인하여 봉쇄(blocking) 및 부족(starving)현상에 발생되어 고장이 나지 않은 작업장까지도 강제 정지시킨다. 이런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은 해당 작업장 사이에 완충재고공간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한 작업장에서의 고장이 다른 작업장을 멈추게 하는 영향을 감소시키고 사이클 타임의 변동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완충재고공간의 설치비, 재고유지비 등을 고려하지 않으면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자동흐름라인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라인의 구조와 작업장의 신뢰도에 따른 효율분석 및 완충재고용량의 산정문제, 라인에서의 완충재고공간의 위치 및 용량과 생산률 등에 대한 관계 규명을 위해 노력해 왔지만, 실제 자동흐름라인의 설계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복잡한 분석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런 제반 설계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자동흐름라인의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완충재고용량의 할당방법을 찾는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수행하였다. 첫째 자동흐름라인을 작업장의 가공시간, 작업장의 고장과 수리현상에 의해 동기화된 라인. 비동기화된 라인 및 확률적인 라인으로 구분하여 품질공학에서 보급되고 있는 다구치의 파라미터 설계 개념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실험계획에 도입하여 작업장의 수, 고장간격시간 및 수리시간, 작업장의 정량적 특성 등의 제어 불가능한 요소에 둔감하면서 비교적 우수한 성능측도를 제공하는 간략한 규칙을 가진 완충재고용량의 할당방법을 추천하였다. 둘째 본 논문에서 실시한 수치실험 및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동기화된 확정적인 가공시간을 가지는 라인과 비동기화된 확정적인 가공시간을 가지는 라인은 생산률을 최대화하는 완충재고용량의 할당방법으로서 위로 볼록하게 할당하는 방법을, 확률적인 가공시간을 가지는 라인은 동일하게 할당하는 방법을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평균완충재고가 중요한 평가측도가 되는 경우의 할당방법은 라인의 모형특성에 관계없이 단조증가 형태의 할당방법을 추천할 수 있다. 셋째 자동흐름라인의 안정성 설계를 위한 수치실험에서 추천된 간략한 할당규칙과 완충재고공간의 투자비용을 고려하여 동기화된 라인, 비동기화된 라인 및 확률적인 라인에 각 완충재고의 용량을 할당하는 체계적인 절차를 제시하고 수치 예를 통하여 절차의 활용가능성을 제고하였다. 넷째 고장과 수리현상이 기하분포를 따를 때 다단계 자동흐름라인의 최적 완충재고용량을 결정하는 근사적 해법인 Jafari와 Shanthikumar의 동적계획법을 이용하여 동기화된 라인, 비동기화된 라인 및 확률적인 라인에 적용할 수 있는 Fortran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며, 수치 예를 중심으로 제시된 완충재고용량의 할당절차에 의한 생산률을 동적계획법에 의한 생산률과 비교하여 본 절차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완충재고용량 할당방법의 연구들 중 동적계획법 및 탐색방법들은 주어진 조건하에서 보다 정확한 해를 구할 수 있을지는 모르나 이것은 복잡하고 계산이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완충재고용량의 최적할당결과를 보증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간략한 완충재고용량의 할당규칙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라인의 설계에 활용할 수 있으며, 제시된 안정성 설계방법은 다양한 생산라인의 설계시에도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 automatic transfer line(ATL) consists of a number of stations in series integrated into one system by a common transfer mechanism and a common control system. Workpieces(parts) are transferred automatically from station to station. The stoppage of a single unreliable station can cause the stoppage of the other stations, i.e., blocking and starving, resulting in the loss of production. This problem, however, can partially be solved if storage buffers are provided between stations. Providing storage buffers may not be feasible due to lack of enough floor space and/or high cost of holding unfinished parts. In case where it is feasible to install buffers along the ATL, the location and capacity of buffers are important design issues. Several researchers have previously studied the problem of allocating buffer capacity to maximize the throughput rate and/or minimize the average buffer inventory of ATL for a given total buffer capacity. But, there seems to be very little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intuitively reasonal and optimal allocation of buffer capacity. In this researc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odels with deterministic and exponential distributed processing times are considered under memoryless(geometric or exponential) distributions of up and down times. This study proposed and illustrated a methodology to find the allocation method of buffer capacity for maximizing throughput rate of transfer line based on the robust design concept of Taguchi when the total storage capacity of buffers is given for three major classes of models. An important component of Taguchi's robust design framework is the categorization of factors in two major categories : noise factor(uncontrollable factor) and parameter (controllable factor). Two parameters in our experimental design are allocation method of buffer capacity and total buffer capacity(blocking factor) and noise factors are number of stations, average isolated throughput rate, pattern of failure probability or rate, range of average processing time and pattern of processing time. The numerical experiments using computer simulation to find best parameter settings are performed and their results are compared with ones of decomposition method for validity.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recommend the concave allocation of buffer capacity for maximizing throughput rate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lines with deterministic processing time and the uniform allocation for asynchronous line with exponential processing time, respectively. In addition, when average buffer inventory is being important measure of performance, we find that the best allocation method is monotonically increasing pattern for all cases. This thesis presents the systematic procedure for the allocation of buffer capacity considering above experimental results and investment cost of storage capacity of each buffer between stations and illustrate with numerical examples. And solution procedures based on dynamic programming(DP) by Jafari and Shanthikumar are developed and programmed. In numerical examples the resulting performance of two procedures are very similar. Thus, since DP by Jafari and Shanthikumar provides approximate solution and needs more sophisticated steps, the proposed procedure may be more easy-to-use and comparably efficient than DP or other search methods. As shown, this approach using Taguchi's robust design is relatively simple and may offer an important way to solve complex design problems and can also be used for design of any type of ATL. This robust design strategy may be applied for the design of more complex production system at future study.

      • 급성 허혈성 뇌경색 환자에서 증상 발생 6시간 이내에 시행한 응급 경동맥 스텐트 설치술의 임상 결과에 대한 연구

        정원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시행한 응급 경동맥 스텐트 설치술의 임상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급성 뇌경색으로 내원하여 응급 경동맥 스텐트 설치술을 시행 받은 28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임상결과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23명 (82.1%)의 환자들에서 두개내 중복 폐색 병변을 동반하였다. 결과: 경동맥 스텐트 설치술의 성공률은 100%였으며, 두개내 중재치료를 시행한 13명의 환자 중 재개통 성공률은 84.6% (11/13)였다. 57.1% (16/28)의 환자에서 3개월째 modified Rankin Scale (mRS) 0-2의 좋은 임상결과를 보였다. 성공적인 두개내/두개외 동반 재개통을 보인 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3개월째 mRS 0-2의 비율이 높았으며 (75% vs. 33.3%, p = 0.027), 두개내 중복 폐색성 병변이 없는 환자들이 중복 폐색을 동반한 경우에 비해 3개월째 좋은 임상결과의 비율이 높았다 (100% vs. 47.8%, p = 0.033). 1명 (3.6%)에서 증상악화를 동반한 뇌출혈이 발생하였다. 3개월째 사망률은 0%였다. 결론: 두개외 내경동맥의 동맥경화성 협착 또는 폐색성 병변에 의한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응급 경동맥 스텐트 설치술은 안전하고 우수한 임상결과를 보였다. 응급 경동맥 스텐트 설치술의 임상결과와 관련이 있는 인자들은 혈관 재개통의 성공 여부와 두개내 동맥의 중복 폐색의 동반 유무였다.

      • 2D 및 3D 입체영상 광고의 제품유형별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 프레즌스(Presence)와 실용적, 쾌락적 제품 개념을 중심으로

        정원기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3D 입체영상은 입체감을 통한 사실적인 시청환경을 제공하는 미디어적 특성으로 인해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도 긍정적인 역할이 기대되어 왔다. 기업은 광고를 통해 소비자에게 기업과 제품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시키고 궁극적으로 부정적인 태도의 변화까지 이루고자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3D 입체영상은 효과적인 광고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다. 초기 3D 입체영상 기술은 매장의 POP물에서부터 거리의 옥외 광고물까지 소비자의 주목을 높이기 위한 광고수단으로써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향후 입체영상 방송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3D 입체영상의 광고시장 역시 업계의 많은 주목과 관심을 받게 될 것은 너무나도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3D 입체영상에 대한 연구가 많은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광고효과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2D 영상과 3D 입체영상의 차별요인이 프레즌스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광고효과 측면에서 광고유형에 따른 수용자 태도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수용자의 반응을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로 설정하고 광고유형을 2D 영상 광고와 3D 입체영상 광고로 설정하였다. 광고유형은 세부적으로 각각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절변수로 프레즌스를 설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연구는 수용자의 몰입과 프레즌스 측정에 최적화된 장소가 극장일 것으로 판단하고 실험장소로 영화상영관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2D 영상 광고 보다 3D 입체영상 광고에서 광고태도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내용의 광고라도 입체감을 통한 소구방식이 긍정적인 광고태도 형성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광고유형별 제품유형에 따른 결과에서는 2D 영상 광고의 경우, 예상과 달리 쾌락적 제품에서 광고태도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3D 입체영상 광고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2D 영상 광고 및 3D 입체영상 광고의 광고태도에 감성적인 부분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3D 입체영상 광고의 경우 제품유형의 구분은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브랜드태도의 실험 전, 후 비교에서는 3D 입체영상 광고와 쾌락적 제품유형 광고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광고태도와의 유의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2D 영상 광고와 3D 입체영상 광고 비교에서 프레즌스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2D 영상 광고와 3D 입체영상 광고의 광고태도에 프레즌스가 정(+)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광고태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D 입체영상 광고에서 프레즌스는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편적인 결과이지만 이상을 종합해 보면 3D 입체영상 광고가 광고태도와 같은 수용자의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미디어의 활용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3D 입체영상 광고가 수용자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3D 입체영상이 일반화됨에 따라 광고효과와 프레즌스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무적인 접근에서도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3D 입체영상의 상용화가 본격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새로운 광고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입체영상 기술의 적용과 발전 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3D stereoscopic images are expected to bring a positive impact in communication processes due to their realistic and solid visual expressions. Companies aim to build positive customer attitudes with regards to the companies and their products through advertisements. They also hope to bring changes to negative customer attitudes with advertisements. In light of this, 3D stereoscopic images have gained attention as an effective tool for advertisements. In the early stage of 3D stereoscopic image technology, it was used in various advertisement channels such as in POP displays as well as in outdoor advertisements. Nowadays the advertisement market using 3D stereoscopic images is getting more attention since stereoscopic broadcasting will soon be introduced. Nevertheless many studies regarding 3D stereoscopic images have been conducted, there haven’t been many studies regarding its advertisement effe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presence which i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existing 2D images and 3D stereoscopic images.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and consumers’ attitudes on advertisement types. The researcher classified consumers’ reactions into the attitude toward the AD and the attitude toward the brand. The researcher also classified advertisement types into the 2D image advertisement and the 3D stereoscopic image advertisement. In specific, the advertisement types have been divided into two groups: utilitarian products and hedonic products. The presence was set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took place in a movie theater since it is an optimal place to concentrate customers and measure the presence.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attitude toward the AD is more favorable for the advertisement in 3D stereoscopic images than the one in the 2D images. This is because solid images have a positive impact in building the attitude toward the AD for the same contents. When it comes to product types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types, the 2D image advertisement brought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 for the hedonic products while the 3D image advertisement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interpretation of this is that emotional aspects influenced the attitude toward the AD and there is no significant meaning in product types in the 3D stereoscopic image advertisement. The attitude toward the brand increased in the 3D stereoscopic image advertisement and the hedonic products, and therefore shows possible relationship with the attitude toward the AD. When comparing the 2D image advertisement to the 3D stereoscopic image advertisemen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resence. In the attitude toward the AD however, the presence has positive impact on the 2D image and 3D stereoscopic image advertisements. Also, the presence in the 3D stereoscopic image advertisement has positive impact on the attitude toward the AD and the brand. Though the results are fragmentary, overall results imply that the 3D stereoscopic image advertisement has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s’ reactions such as the attitude toward the AD, and therefore it is an effective measure in media. This study analyzes the 3D stereoscopic image advertisements’ impact and effect on customers’communication processes. As the 3D stereoscopic image gains more popularity, there will be more practically valuable studies regarding its effectiveness in advertisements. These days, 3D stereoscopic images are actively commercialized and therefore the studies regarding them are also able to provide insights in the solid image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advertisement sector.

      • 카프로락탐 단위공정에서의 불순물의 제거 경향성 연구

        정원기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카프로락탐은 아크릴섬유, 폴리에스터섬유 제품과 더불어 3대 섬유제품의 하나인 나일론의 원료이며, 국내외적으로 약 600만톤/년 정도의 생산규모를 가지고 있다. 현재 섬유시장은 폴리에스터가 나일론의 영역을 많이 대체해 나가는 추세에 있으나 나일론 고유의 특성 때문에 아직도 전 세계적으로 꾸준한 사용량을 유지하고 있으며 용도개척 등으로 그 수요량은 당분간은 감소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BRICS 국가들의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하여 중국을 중심으로 신증설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생산규모가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카프로락탐 제조공정은 hydroxylamine sulfate oxime(HSO)법, hydroxylamine phosphate oxime(HPO)법, nitrogen oxide reduction (NOR)법, SNIA법, butadiene법 및 기상전위법 등 원료물질이나 제조 공법이 다른 많은 제조법이 있으며, 어느 공정이 특별히 낫다고 평가하기에는 많은 경제성 측면의 평가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현재에도 많은 제조공법들이 공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연구개발 추세는 부산물인 황산암모늄 비료를 생산하지 않는 bio base의 caprolactam 공법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ammoximation 공정과 기상전위를 합하여 부산물인 황산암모늄이 생성되지 않는 공법도 상업화 되어 가동 중에 있다. 본 논문은 벤젠의 수소화 반응에 의해 cyclohexane을 제조한 후 이것을 다시 공기 산화에 의해 KA-oil(cyclohexanol/cyclohexanone)을 거쳐 cyclohexanone을 제조하고, 암모니아의 공기산화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록실아민과의 반응에 의해서 아논-옥심을 얻고, 다시 황산 및 oleum 존재 하에서 베크만 전위공정으로 카프로락탐을 제조하는 HSO 공정시료를 가지고 실시하였다. 전위공정에서 얻어진 미정제 lactam은 몇 단계의 정제공정을 거치는데 우선 용매추출공정인 벤젠에 의해서 1차 추출되어 카프로락탐은 벤젠 층으로 이동되고, 물과 부산물인 황산암모늄 및 수용성 불순물들은 계 외로 제거된다. 벤젠-락탐층은 다시 물로 재추출하여 카프로락탐은 물층으로 이동하여 수용성락탐을 생성한다. 수용성락탐은 이온교환수지 공정을 거치면서 정제되는데 이온교환수지 공정에서는 수용성 락탐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무기, 유기불순물중 이온성을 띠는 불순물을 이온교환하여 흡착제거하게 된다. 본 공정은 음이온/양이온/음이온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2 세트를 교대로 사용과 재생을 반복하면서 운전되고 있으며, 중요한 공정변수는 수용성락탐의 농도, 온도 및 수지의 종류, 재생방법, 공급속도 등이 있으며, 특히 수지의 특성에 따라 불순물의 제거율이나 재생레벨 및 사용시간, 이온교환수지의 loss, 화학적 물리적 열화 등이 차이가 날수 있다. 이온교환수지 공정을 거친 수용성락탐은 수소화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여기서는 라니-니켈 촉매를 사용하여 불포화 화합물을 포화 시켜줌으로써 permanganate number(PM. No)를 향상 시키고, 증류공정에서 카프로락탐과 비점이 다른 불순물들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해준다. 실험은 전위공정으로부터 얻어진 crude-lactam에서 유기 불순물들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할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하고, 그 조건에 의해서 어떤 불순물들이 생성되는지를 먼저 확인하였고, 확인된 주요 불순물들이 카프로락탐의 규격지표인 PM. No 및 휘발성염기, 흡광도에 미치는 세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주요 불순물들이 용매추출공정, 이온교환수지 공정 및 수소화 공정을 거치면서 제거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용성락탐의 정제공정인 이온교환수지 공정에서는 음이온/양이온별 불순물들의 제거 특성을 확인하였고 또한 이온교환수지 제조회사에서 추천된 몇가지의 수지에 대해서 성능 비교실험을 장기간에 걸쳐 실시하여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수지보다 우수한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온교환수지는 미세한 3차원 구조의 고분자에 이온교환기를 결합시킨 것으로서 극성 또는 비극성 용액 중에 녹아 있는 이온성 불순물들을 교환, 정제해 주는 고분자 물질이다. 이온교환수지의 종류에는 교환기에 따라 양이온과 음이온 교환수지로 분류한다. 카프로락탐 정제공정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수지는 강산성 수지와 강염기성 수지이며, 강산성 수지는 고분자 모체에 관능기로 술폰산기 (-SO3H)를 교환기로 가지고 있고, 강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는 고분자수지 모체에 4급 암모늄 교환기를 가진 수지로 사용범위가 가장 넓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온교환수지는 일반적으로 styrene monomer와 divinylbenzene을 공중합 시켜서 제조한다. 카프로락탐의 품질은 여러 가지 항목에 의해서 평가를 하며, 대표적인 지 표는 다음과 같다 -. 순도(wt%) -. 수분 함량(wt%) -. Alkalinity/acidity(meq/kg) -. Permanganate number(sec) -. Extinction(UV-290nm) -. Color(UV-390nm, apha) -. 휘발성염기(volatile-base, meq/kg) -. Solid point(℃) -. Fe(ppm) 등이 있다. 이러한 분석지표는 최종적으로 나일론을 중합 할 때 물성 즉, 줄의 끊어 짐, 색깔 변화 및 점도 변화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논문에서 모든 분석값들은 상기 지표를 중심으로 표시하였다.

      • 디제시스 관점을 중심으로 한 뮤지컬 영화 사운드 내러티브 연구

        정원기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먼저,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영화의 예술성을 설명하기 위해 인간 행위를 모 방(praxis)하는 예술 작품의 속성, 작가가 인식한 현실을 예술적 목적에 의해 구현한 영화적 현실, 음악극의 역설적인 표현 등의 주제를 고찰한다. 여기서 확 인할 수 있는 뮤지컬 영화의 예술성을 시모어 채트먼이 연구한 영화 내러티브 구조 정의를 바탕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그 서술 기법에서 디제시스 관점이 얼 마나 다채롭게 구현되는지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뮤지컬 공연은 프로시니엄 아치와 관객 사이에 오케스트라가 있다. 관객은 배우가 오케스트라 연주에 맞춰 연기하는 행위를 하나의 양식으로 수용하지만, 뮤지컬 영화의 경우 배우와 관객 사이에 오케스트라가 없기에 뮤지컬 영화의 양식은 독특하게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특수성을 바탕으로 공연 예술의 장르인 뮤지컬이 영화로 만들어짐에 따라 그 내러티브 구조가 어떻게 공연 예 술의 속성으로 기호화되는지 일련의 사례를 통해 질문한다. 이에 뮤지컬 영화 내러티브 구조의 이야기(story)와 담론(discourse)의 서술 시점을 디제시스(diegesis)와 미메시스(mimesis), 다이제틱(diegetic)과 넌다이제 틱(non-diegetic)으로 구분하고 몇몇 사례를 들어 그 개념을 설명한다.

      • 한계촌락의 구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남 고흥군을 사례로

        정원기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이촌향도형 인구이동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농촌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되어 왔다. 이에 따라 농촌은 인구감소와 고령화 현상 등으로 인구뿐만 아니라 토지나 소득, 공동체 등이 침체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농촌의 사회경제적 문제는 읍‧면 그리고 촌락(마을) 단위일수록 더 심각하며, 촌락 기능의 한계화와 촌락의 소멸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에 대한 기존연구는 많지 않으며, 촌락 기능의 한계화와 촌락 소멸에 대한 뚜렷한 개념이 불분명하다. 일본의 경우 ‘한계촌락’이란 개념을 통해 사회‧경제적으로 기능의 유지가 어려운 촌락들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우리만의 문제와 특성에 맞는 한계촌락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계촌락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과소화와 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을 선정하여 그 지역 촌락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1960년대 이래 꾸준히 인구유출이 일어난 전라남도를 대상으로 행정리의 인구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심각한 전남 고흥군을 사례로 설문조사와 심층조사를 통해 한계촌락의 특성과 유형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마을의 인구, 소득원 및 토지이용, 공동체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촌락의 발전과 소멸에 관한 주민인식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의 인구는 주민등록상 총 인구보다 실제 거주하는 총 인구가 더 적었으며, 총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주민등록상 인구보다 실제 거주하는 인구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총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중은 대부분 마을에서 50% 이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군과 읍‧면단위에 비해 마을 단위에서 고령인구비가 훨씬 더 높았다. 이와 더불어 20~39세 여성인구는 희박하며, 인구의 유입도 활발하지 않아 고령화 문제를 상쇄시킬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주 소득원은 사례지역의 특산물인 쌀과 마늘에 맞게 1순위는 논농사, 2순위는 밭농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반면 3순위 소득원은 과소 고령 촌락에서는 자녀송금, 연금, 저축과 같은 비직업 소득의 비중이, 비과소 고령 촌락에서는 고소득 작물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농지이용은 주민의 고령화로 인해 휴경지의 증가보다는 농지를 임대하는 농가의 비율이 높았다. 농지를 임대하는 농가의 증가는 대부분의 과소 고령 촌락이 해당하며, 비과소 고령 촌락에서도 그러한 농가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셋째, 공동체 조직은 마을 내에 노인회, 부녀회가 주축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청년회는 점점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공동체 조직들의 실제 활동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과거에 비해 상당히 쇠퇴되었다. 주민 자치적인 공동 활동 역시 공동체 조직의 상황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쇠퇴되었으며, 계속 침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주민들은 마을이 지금보다 더 쇠퇴될 것이라고 전망하였으며, 현재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은 비과소 고령 촌락에서 일부 나타나고 있다. 마을의 소멸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으로는 소멸이란 단어에 대해 생소해 하였으며, 마을이 소멸될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하거나 40~50년 이후로 생각하고 있다. 향후 마을 소멸에 대한 대응으로서는 적극적인 대응을 원하고 있으며, 대응방법으로서는 정부의 지원 및 투자와 함께 주민들의 협력으로 마을의 소멸에 대응하고자하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또한, 주민들이 마을에 살아가면서 가장 필요로 하는 정책들로는 노인복지, 보건의료, 마을기반시설이었다. 유형별로는 과소 고령 촌락은 소프트웨어적인 정책을, 비과소 고령 촌락은 소프트웨어적인 정책과 함께 마을 기반시설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정책을 동시에 선호하였다. 이처럼 마을 대부분은 고령화가 상당한 수준으로 인구, 소득원 및 농지이용, 공동체 등 모든 사항에서 쇠퇴되고 있다. 특히 과소 고령 촌락의 마을들은 한계촌락의 특성을 띄고 있어 한계촌락으로 구분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실태조사 한 항목 중 여러 항목에서 과소 고령 촌락과 비과소 고령 촌락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점은, 다수의 비과소 고령 촌락의 마을에서 한계촌락의 특성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촌락의 특징은 인구규모에 따라 그 정도에 다소 차이가 있으며, 앞으로 인구 100명 이상의 마을에서도 뚜렷이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현재 70~80대의 고령층이 향후 사망하기 시작된다면, 과소 고령 촌락의 마을은 한계화를 넘어 마을 소멸과 같은 문제로 직결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촌락(마을)의 실태와 변화에 대한 기초 연구의 진행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지속적인 연구 진행을 통해 촌락의 한계와 소멸에 대한 기준 확립과 대응방안을 논의하여, 각 촌락(마을)의 특성에 맞는 대응방안을 전략적으로 도출해야 할 것이다.

      •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축제 활성화 연구

        정원기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1년 지방의회의 부활을 시작으로 지방화시대를 맞이하면서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의 문화를 알리면서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지역축제를 시도하게 되었다. 지방자치단체가 시도한 수많은 지역축제 중 고고학 발굴성과를 기반으로 한 축제들이 전국 곳곳에서 성공을 거둠으로서 고고학 관련 축제도 문화유산 활용방안 중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여기서는 고고학 자원을 활용하여 시도되는 고고학축제의 실패와 성공사례를 통해서 경쟁력 있는 고고학을 만들고,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와 학계 그리고 지역민의 관점에서 어떠한 정책적 기반이 요구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금번 연구배경이 있다. 이번 연구의 현지조사 대상은 전국 1,200여개의 지역축제 중에서 고고학 자료를 이용하여 시도하고 있는 12개 축제로 압축한 다음, 고고학전문가의 자문을 받았거나 직접 참여하고 있는 ‘전곡리 구석기축제’와 ‘화순 고인돌 축제’ 그리고 ‘강진 청자문화축제’ 등 3개소를 선정하여 현지방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현지 조사된 3개소는 잘된 사례와 잘못된 사례의 심층 분석을 통해 관주도 시각이 아닌 공동체적 시각으로 합리적이고 실행 가능한 정책적인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고고학 주간을 선포하여 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지역민에게 알리고 지역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둘째, 문화유산 교육정책을 체계화시켜 초등교육부터 차근차근 문화전문 인재를 육성하고 공교육의 확대와 함께 일반적인 대중교육을 병행하여야 한다. 셋째, 대규모 축제참가자를 체험을 통해 동시에 만족시켜줄 수 있고 고고학적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고고학 프로그램을 도입하여야 한다. 넷째,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치단체-학계-지역민의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완성시켜 상호 Win-Win-Win의 결과를 도출시켜야 한다. 다섯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전횡을 막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지방자치단체 조례를 지정하여 축제의 안정화를 기하여야 한다. 여섯째, 축제주관의 형태를 두 단계로 정하여 1단계는 관주도로 추진하여 기반시설 확보와 축제의 안정화를 기한다음 2단계 안정기에 접어들면 민간주도로 축제를 전환시켜 지역민이 중심이 되어 축제를 이끌어 가야한다. 일곱째, 고고학축제의 광역화를 추진하여 참가자에게 한반도의 고대문화를 이해하기 쉽도록 축제를 통합하여 기획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지향적인 축제가 되기 위해서는 고고학에 문화콘텐츠를 접목하고 관광상품을 개발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어야 하겠다. 이 논문에서 제안되는 문화유산 활용시스템 개선방안과 고고학 관련 지역축제의 활성화 방안들이 미력하나마 고고학의 보조적인 연구방법의 하나로서 기여되기를 바라며 국민을 고고학 속으로 초대하여 물질적 자료를 어떻게 보존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우리 모두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Since the re-introduction of local council in 1991, each local government has attempted to hold local festival to spread out local culture and to develop competitiveness of tourism industry. Many local festivals, archaeology festivals based on excavation results achieved success in many areas, and thus became one of favorites. Here, the study background is to examine through failures and successes to develop competitive archeology, and to explore any basis of policy to assist local economy, local government, academics and local residents. Among 1,200 local festivals, 12 festivals utilizing archaeology resources and finally 3 festivals including 'Yeoncheon Jeongok-ri Paleolithic Festival‘ , 'Hwasun Dolmen Festival' and 'Gangjin celadon Festival'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Upon investigating three festivals, in-depth analysis of good and bad cases is made to suggest applicable alternatives with communal views and government - led view. First, it is important to spread out local culture's merit to local residents by appointing an archaeology week. Second, it is important to nurture cultural asset specialized personnel from element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to expand public education. Third, experimental archaeological program shall be introduced to satisfy participants and to verify archaeological hypothesis. Fourth, Win-Win-Win should be induced by organically cooperating between local government - academics - local residents to utilize cultural heritage. Fifth, festival's stability shall be maintained by appointing ordinances of local government as a means to prevent abuse of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Sixth, two stages of festival organization should be promoted. The first stage The first stage should be initiated by local government to stabilize festivals and to secure infrastructure, and the second stage should be transferred to private initiatives. Seventh, festival should be integrated and planned to understand ancient culture of Korean peninsula to progress metropolitan of archaeology festivals. Finally, culture contents should be attached to archeology to develop future oriented festival, and it should be helpful to vitalize local economy by developing tourism products. It is hoped that the suggested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system and archeological festival should contribute to supplementary research method of archaeology and it is our task how to keep and utilize physical materials by inviting people into archaeology.

      • 교육목회적 관점에서 직분자의 신앙성숙과 전문성 함양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방법 연구

        정원기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the Spiritual Maturity and the Cultivation of Professionalism of the Church Officers from an Educational Ministry Perspective Jung, Won Ki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Kosin Universty Graduate School Jesus Christ, the Head of the Church, establishes officers through the Church and rules and reigns through the officers. The office is a valuable gift from God to the church, and the church should use the position of officers importantly for expanding the kingdom of God. Church are composed of the same organization as the world, each with its own roles and duties. But what makes the office of the church different from the world is that it is an equal, not divided into vertical structures and classes, and has a cooperativ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y are one body. The society is ranked according to class and there is command and obedience in the vertical structure. But church is not such a place. The church culture is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the paradox principle exists: whoever exalts himself will be humbled, and whoever humbles himself will be exalted. Therefore, it is the church that builds a healthy and beautiful church of Jesus Christ, the head of church, without misunderstanding about the office and conflict caused by the office. However, misunderstanding and wrong understanding of the office are causing serious conflicts and divisions in the church. Because of Confucian thought and honoring culture, the office is recognized as an individual's honor and a hierarchical culture within the church organization. Thus, the office which acted on the principle of building up the church, the body of Christ, start to have a class. As the faith grows year by year, the meaning of an important office has been changed into a meaning that means the high place in the secular worl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meaning of office through the Bible and the history of the church in order to end the wrong understanding of office in church. It is clearly presented in this paper that the office is not the criterion of dividing rank or grade, but it is set by God. Instead, it is God who has established the office in the church to efficiently carry out various tasks of the serving.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 the education and training methods for the maturity of the officers because the mature faith of the officer is an indicator of a healthy church. Among the many problems in the church, major cause of the problem is the problem between officers. That is why there are lots of words and troubles around the officers. For example, some of the saints change churches in disappointment that they had failed to win an election of officers. Another case is that some saints holds preliminary campaigns by giving away gifts and money to their church members before the election. That is not all. In some cases, some saints gather pastors and the session members to a dinner and demand outright solicitation. The greed for an office, which have gone wrong from the beginning, ends up causing problems of church division and conflict. There are often pitiful happenings in the church where an officer, who has to be the good model of the church and establish Christ’s body, becomes a slave to his own desire before he becomes a faithful worker of Christ. Therefore, establishing a correct understanding and concept of a position is the priority over anything else. Moreover, those who are in charge of the office need to become workers of Christ based on the mature spiritual personality and establish Biblical view of officers to be the model of the saints as stewards who serve for the church. To this end, the researcher proposes an education method of educational ministry that can promote the growth of the faith of the officers. In addition, the researcher searched for the educational ways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the office so that the officers would be competent workers in their duties and become people of praise and recognition for their beautiful spiritual personality and character. This paper seek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ology for teaching officers within the framework of educational ministry. In addition, through this, the researcher is attempting to help the church to effectively educate the officers, and to help the officers to have a correct concept of their positions and to carry out their duty professionall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the officers and expects the officers to be valuable officers who work together for good through the education. Finally,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presents the correct educational ministry method, hopes the church stands in peace through the efficient education, and looks forward to be a precious use for the work of the Lord’s salvation. Key Words: Church Officers, Spiritual Maturity, Professionalism, Educational Ministry 국문초록 교회의 머리가 되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교회를 통해 직분자들을 세우시고, 세우신 직분자들을 통하여 교회를 다스리고 통치하신다. 직분은 하나님께서 교회에 주신 귀중한 선물이요, 교회는 이 직분을 소중히 사용하여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는 일에 협력해야 한다. 교회도 세상과 같은 조직체로 구성되어 각각의 역할과 직무가 있다. 하지만 교회가 세상과 다른 것은 수직적 구조와 계급과 서열로 직분이 나눠지지 않는 동등하고, 상호보완적인 협력관계, 한 몸이라는 것이다. 사회에는 계급에 따라 서열이 매겨지고, 상하 수직적 구조 속에서 명령과 복종이 존재한다. 하지만 교회는 결코 그렇지 않다. 높아지려는 자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춰 겸손히 행하는 자는 높아지는 패러독스의 원리가 존재하는 조직문화가 바로 교회의 모습이다. 그렇기 때문에 직분에 대한 오해도, 직분으로 인한 갈등도 없이 머리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세워가는 곳이 교회이다. 하지만 직분에 대한 오해와 잘못된 이해가 교회의 심각한 갈등과 분열을 초래하고 있다. 유교적 사고와 체면문화로 인해 직분은 개인의 명예와 교회 조직 내 서열문화로 인식되었다. 그리하여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 세우는 원리로 작용하던 직분은 계급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신앙의 연차가 올라갈수록 무게감 있는 직분, 중요한 직분으로 중직(重職)이, 세상의 상스러운 높은 자리를 뜻하는 의미로 변질되어 버렸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해 직분에 대한 그릇된 오해를 종식시키 위하여 직분의 의미를 성경과 교회의 역사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직분이 계급이나 서열을 나누는 기준이 아니라, 봉사의 여러 일을 효율적으로 감당하기 위해 하나님께서 교회 가운데 세우신 것이라는 분명한 근거를 본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직분자의 성숙한 신앙이 건강한 교회의 지표임으로 직분자의 신앙성숙을 위한 교육과 훈련의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교회 안에의 많은 문제들의 요인 가운데는 직분과 직분자의 문제가 다수이다. 그만큼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것이 직분이다. 한 예로 성도들 중에는 직분자 선출에 낙선했다고 실망하여 교회를 옮기는 경우가 있었다. 또 어떤 성도는 직분자 선거 전에 교우들에게 댓가성 선물과 금품을 돌리며 사전 선거운동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뿐인가? 어떤 성도는 목회자와 당회원을 회식자리에 불러 노골적인 청탁성 직분 선출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었다. 시작부터 잘못된 직분에 대한 탐욕이 결국 교회의 분열과 갈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마는 것이다. 교회에 본이 되고, 그리스도의 몸을 세워야 할 직분자가, 그리스도의 신실한 일꾼이 되기 전에 자기 욕망의 노예가 되어버리는 안타까운 일들이 교회 안에 종종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직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개념을 세우는 일이 어느 것보다 우선이라 할 것이다. 또한 직분을 맡은 자들이 성숙한 신앙인격을 바탕으로 그리스도의 일꾼이 되고, 교회를 섬기는 청지기가 되어 성도들에게 본이 되는 성경적 직분관을 세워야 한다. 이것을 위해 연구자는 직분자의 신앙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목회적 교육방법을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직분자가 아름다운 신앙인격과 성품에 누가 되지 않도록, 자기 직무에 유능한 일꾼이 되어 칭찬과 인정받는 자가 될 수 있도록 직분의 전문성을 길러줄 수 있는 교육적 방안도 함께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교육목회라는 틀 안에서 직분자 교육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간구하였다. 이를 통해 교회는 직분자들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고, 직분자들은 자기 직분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가지고 자기 직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아무쪼록 연구자의 논문이 직분자를 교육함에 있어서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또한 이러한 교육을 통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는 귀한 직분자들이 될 것을 기대한다. 본 논문을 통해 직분자 교육의 올바른 교육목회적 방안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교육을 통해 교회가 평안하여 든든히 서가고 주님의 구원역사에 귀하게 쓰임받는 역사가 나타나길 기대해 본다. 주제어 : 직분자, 신앙성숙, 전문성, 교육목회

      • 한국어 '추측, 의지' 표현 연구 : 한국어 초급 교재를 중심으로

        정원기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many universities have the depart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any experts are being produced from those universities, and academic societies are conducting a lot of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though it has not been a long time since it was established as an academic field. In addition, various kinds of dictionaries and grammar boo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being published, which enhance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are to define the meaning of function of a grammatical factor with respect to 'supposition, will' among grammatical factors of the elementary level for Korean language grammar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to suggest effective methods and activities for communication that can be used in grammar classes. For this, the introduction examined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s of the study, and prior studies, and explained a survey and research method required for the study. Chapter 2 introduced a grammatical expression regarding 'supposition, will' in Korean language grammar education, explained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grammar education between Korean people and foreigners in <Table 1>, and analyzed grammars with respect to 'supposition, will'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various universit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systems of the grammatical factor regarding 'supposition, will' vary among scholars. In particular, it was observed that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 meaning of 'supposition, will' were not unified i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grammatical factor regarding 'supposition, will' should be taught separately in the elementary level, and then, the fact that one grammatical factor contains various meanings should be taught after the elementary level. Chapter 3 examined usage of the grammatical factor regarding 'supposition, will' among foreigner Korean learners by making a questionnaire shee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ir usage were described in <Table 9>.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used '- (eu)l geoyeyo' of 'supposition' the most among the grammatical factor regarding 'supposition, will', and they use grammatical factors with similar meaning or usage evenly. The study also analyzed actual errors focusing on the grammatical factor regarding 'supposition, will' with high frequency of use. The learners presented the most replacement errors in '- (eu)l geoyeyo' and '- (eu)l geot gatayo' among grammatical factors having meaning of 'supposition', and in '- (eu)ryeogo haeyo' and '- giro haeyo' among grammatical factors having meaning of 'will'. Also they presented the most replacement errors in '- get' and '- (eu)l geotida' among grammatical factors having both meanings of 'supposition, will'. The study examined how to reduce errors and restriction of meanings and usage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Lastly, the study suggested an efficient Korean language grammar teaching model and actual lesson models for the grammatical factor regarding 'supposition, will' at the elementary level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actual lesson models were suggested using the most frequency of use in the questionnaire such as '- (eu)l geoyeyo' for 'supposition', '- giro haeyo' for 'will' and '- get' grammatical factors having both meanings of 'supposition, will'. The study aimed to help foreigner Korean learners learn Korean grammar by suggesting effective learning methods because explanation about the grammatical factor regarding 'supposition, will' in the elementary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cause confusion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since they are different each other while being similar in meaning and function. However, the number of the subjects for the usage and error research was small and there were no various language backgrounds of the subject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get better findings if an in-depth study is conducted with more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