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교과 교육실습으로 인한 직무소진이 교생들의 진로변경에 미치는 영향

        정영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four objectives. First, the study attempted to see if trainee teachers in PE experienced higher level of burnout as their experience as trainee teacher accumulated. Second, the current study explored whether female trainee teachers experienced higher level of burnout than their male counterpart. Third, the study examined whether self-efficacy of trainee teachers had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on the level of burnout. Forth, the study looked into the possible moderating effect of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intention to change their career path.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112 trainee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its vicin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trainee teachers’ level of burnout increased between 2nd week and 4th week and the increa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in the sub-dimension of depersonalization. Second, female traine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 of emotional exhaustion than their male counterpart. However, male traine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 of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 Depersonalization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mean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Among the four teacher self-efficacy sub-dimensions, only teaching compet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Lastly, trainee teachers’ level of motivation worked as a significant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intention to change their career path. 본 연구는 체육교과 교생들이 교육실습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경험하는 직무소진의 수준과 그 수준이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교생들이 보유한 교사에 대한 효능감이 직무소진에 부적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이들의 교직선택 동기수준이 직무소진으로 인한 진로변경 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체육교과 교생들이 교육자로서의 길을 걷기 전에 충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중요한 정보를 제공 할 것이며, 향후 국내 체육교육의 미래를 담당하는 체육교과 교생들의 인력손실을 줄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체육교과 교육실습 중에 있는 교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자료는 수도권의 중⋅고등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총 112부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회수된 모든 자료를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체육교과 교생이 경험하는 직무소진의 수준이 교육실습 초반보다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더 높아졌다. 성별에 따라서는 직무소진의 하위요인 ‘감정적 고갈’이 남자교생보다 여자교생이 더 높았으며, ‘자아성취감 저하’는 남자교생이 여자교생보다 높았다. ‘비인격화’ 요인은 성별의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 교사 효능감의 네 가지 하위요인 중 ‘수업지도 자신감’만이 직무소진의 하위요인 ‘감정적 고갈’에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성취감 저하’, ‘비인격화’ 요인에는 교사 효능감의 하위요인 모두 부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체육교과 교생의 교직선택 동기수준이 높을수록 부정적 정서의 경험으로 인한 진로변경 의지가 줄어들었다. 이처럼 체육교과 교생은 교육실습을 하면서 다양한 부정적 정서로 인한 직무소진을 경험하게 된다. 교생이 보유한 교사 효능감과 교직선택 동기수준을 높여 부정적 정서로 인한 진로변경 의지를 줄이는 데에 힘쓰고, 인력손실을 막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생의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도 더 많이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