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educed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may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정영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배경: 비알콜성 지방간에 대한 병태생리는 아직도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된 대사증후군은 비알콜성 지방간을 잘 일으키는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고, 지방산의 흡수, 분비, 산화의 불균형으로 인해 간세포 내에 지방의 축척이 이루어진다. Peroxisome은 지방산을 산화시켜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데, 그 중에 큰 역할을 하는 효소가 acyl-Co A oxidase (AOX)이고, 이 효소가 베타 산화연쇄반응을 일으킨다. 포유동물의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s (PPARs) 중에 하나인 PPAR-α가 지방산 베타 산화연쇄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의 전사를 조절한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쥐모델을 이용하여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을 유발하는데 있어서, PPAR-α와 AOX의 역할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12주, 28주, 40주마다 각각의 OLETF (N=12) 쥐와 대조군 쥐 (N=10)로부터 간조직을 채취하여, 조직변화를 조사하고, PPAR-α를 측정하기 위한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PPAR-α와 AOX의 mRNA를 Real time RT-PCR을 통해서 측정하였다. 결과: 40주된 OLETF 쥐의 간조직에서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에 합당한 지방간(∼66%)과 경미한 염증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12주, 28주 OLETF 쥐에서는 특별한 조직학적 변화는 찾을 수 없었지만, 12주에 OLETF 쥐에서 AOX mRNA양이 대조군의 63%로 감소하였다. PPAR-α mRNA 역시 대조군의 3%로 감소하였다. mRNA의 변화에 따라 PPAR-α protein도 대조군의 17%로 감소하였다. 28주, 40주 OLETF 쥐에서 PPAR-α protein은 점차 대조군의 75%와 78%로 증가하였다. PPAR-α mRNA 역시 대조군의 26%와 110%로 증가하였다. PPAR-α에 의해서 조절되는 AOX역시 149%와 120%로 증가하였다. 결론: PPAR-α와 AOX의 감소가 관찰되었고, 이는 지방간이 발현되기 전에도 관찰되었다. 아마도 peroxisome의 지방산 대사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lthough the pathogenesis of NAFLD remains poorly understood, metabolic syndrome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is the most reproducible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NAFLD. Fat accumulation in hepatocyte results from an imbalance in the input, output and oxidation of fatty acid. Peroxisomes contain a battery of fatty acid oxidizing enzymes, the first of which, acyl-Co A oxidase (AOX), initiates the β-oxidation spiral. One of the mammalian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s (PPARs), PPAR-α, regulatesthe transcriptional expression of the enzymes involved in fatty acid β-oxid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role of PPAR-α and AOX in the development of NAFLD using the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 model. Materials and Methods: Liver tissue from OLETF (n=12) and control (n=10) rats 12, 28, and 40 weeks old were processed for histopathological and western blot analysis for PPAR-α. The messenger RNAs of PPAR-α and AOX were quantified by Real Time RT-PCR. Results: At 40 weeks old, the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OLETF rat liver showed steatosis (∼66%) and mild inflammation, which were comparable to those in NAFLD. Histological changes were unremarkable in 12- and 28-week rats. In 12-week OLETF rats, the mRNA of AOX was 63% of the control. PPAR-α mRNA expression was also reduced to 3% of the control. Along with the changes of mRNA, the protein expression of PPAR-α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to 17% of control. In 28- and 40-week animals PPAR-α protein expression gradually increased to 75% and 78% of the control. PPAR-α mRNA expression was also increased by up to 26% and 110% of the control. AOX, regulated by PPAR-α, also increased to 149% and 120% of the control. Conclusion: Reduced expressions of PPAR-α and AOX were observed even before definite steatosis had developed. The alteration of peroxisomal fatty acid metabolism may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Role of Interleukin 28B-related gene polymorphisms in chronic hepatitis C and the response to antiviral therapy

        정영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Aim: Recently, genetic variations in interleukin 28B (IL28B) have been reported to be strongly associated with a sustained virological response (SVR) and the natural clearance of acute hepatitis C in European and African-American patients. However, it is not known whether these findings are associated with Korean patients. Thus, it was investigated that genetic variation of IL28B in healthy controls and chronic hepatitis C (CHC) patients, and the treatment response of the CHC patients according to IL28B polymorphism genotypes. Patients and methods: IL28B polymorphisms (rs12979860 and rs8099917) were studied in 200 healthy controls and 164 patients with CHC who were treated with peginterferon alfa and ribavirin. A Pyrosequencing assay was used for the IL28B genotyping. The SVR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tic variation in IL28B in 106 CHC patients who received peginterferon alfa and ribavirin combination therapy. Results: The prevalence of rs12979860 in healthy controls was as follows: the CC genotype was found in 177 (88.5%) cases, the CT genotype was found in 23 (11.5%) cases, and the TT genotype was not found. The prevalence of rs8099917 in healthy controls was as follows: the TT genotype was found in 179 (89.5%) cases, the TG genotype was found in 21 (10.5%) cases, and the GG genotype was not found. Of interest, the CC genotype of rs12979860 and the TT genotype of rs8099917 were found to be closely related (linkage disequilibrium; D` = 1.0, γ2 = 0.9082). In 164 CHC patients, the rs12979860 CC genotype was found in 147 (89.6%) cases, the CT genotype was found in 17 (10.4%) cases, and the TT genotype was not found. Furthermor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healthy controls and the CHC patients (p = 0.867). There were 106 CHC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peg-interferon alfa and ribavirin, and the SVR of these patients was 77.3%. According to HCV genotype, the SVR was 67.2% (n = 58) for 1b patients, 91.6% (n = 47) for 2a patients, and 100% (n = 1) for 4a patients. Regarding the rs12979860 polymorphism, the SVR in patients with the CC genotype was 81.9%, and the SVR in patients with the CT genotype was 41.7%. In CHC patients with genotype 1b, regarding the rs12979860 polymorphism, the SVR in patients with the CC genotype was 72.9%, and that in patients with the CT genotype was 40.0%. We also investigated predictive factors for SVR in the CHC patient group, and a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pre-treatment low HCV RNA levels (p=0.013; odds ratio [OR], 7.873; 95% confidential interval [CI], 1.008-22.813), HCV genotype non-1 (p=0.044; OR, 4.190; 95%CI, 1.428-12.291), early virological response (p=0.001; OR, 24.009; 95%CI, 3.865-149.140), and also the IL28B CC genotype for rs12979860 were positive indicators of a SVR (p=0.049; OR, 4.794, 95% CI: 1.008-22.813). Conclusions: In Korean, genetic variation of IL28B is different from Western countries in view of high prevalence of rs12979860 CC allele. The efficacy of CHC treatment depends on genetic variation of IL28B, and rs12979860 CC allele showed a high SVR, especially in genotype 1. And it seems likely that a high SVR in Korean patients with genotype 1 CHC patients is due to genetic polymorphism of IL28B. 배경 및 목적 : Interleukin 28B (IL28B) 연관 유전체 변이는 C형 간염의 자연 관해 혹은 만성 C형 간염의 항바이러스제재 치료경과에 영향을 미치고, 유전체 변이의 빈도도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인에서 IL28B 유전체 변이의 빈도나 만성 C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일반인과 만성 C형 간염 환자의 IL28B 연관 유전체의 단일염기다형성인자들을 비교분석하고, 만성 C형 간염 환자의 항바이러스제재 치료효과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건강인 200명과 만성 C형 간염 환자 164명에서 IL28B에 대표적인 단일염기다형성인 rs12979860 과 rs8099917 을 Pyrosequencing assays 를 이용해 측정하여 유전체 변이 빈도를 분석하였다. 만성 C형 간염환자 164명 중 페그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합요법 치료를 받고 치료효과 판정이 가능한 환자 106명의 임상자료를 이용하여, IL28B 연관 유전체 변이와 항바이러스제재 치료반응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 rs12979860 은 건강인에서 CC 유전자형은 88.5%, CT 유전자형은 11.5% 였고, 환자군에서는 CC 유전자형은 89.6%, CT 유전자형은 10.4% 로, 두 군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p=0.885). rs8099917 의 경우 건강인에서 TT 유전자형은 89.5%, TG 유전자형은 10.5% 였고, 환자군에서 TT 유전자형 90.8%, TG 유전자형 9.2%로, 역시 두 군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p=0.874). 특히 rs12979860 CC 유전자형은 rs8099917 의 TT 유전자형과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었다. (linkage disequilibrium; D`=1.0, γ2=0.9082). 만성 C형 간염 환자 106명의 각 바이러스 유전자형은, 1b가 58명, 2a가 47명, 4a가 1명이었다. 전체 지속적 바이러스반응은 77.3% 이고, 바이러스 유전자형에 따라 각각 1b 67.2%, 2a 91.6%, 그리고, 4a 100% 였다. 전체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rs12979860 에 따른 지속적 바이러스반응은 CC 유전자형은 81.9%, CT 유전자형은 41.7% 였고, C형 바이러스 유전자형 1b 환자 중 rs12979860 에 따른 바이러스지속반응은 CC 유전자형의 경우 72.9%, CT 유전자형은 40.0% 였다. 만성 C형 간염 치료효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다변량 분석에서, 치료효과와 관련된 인자들 중에서 치료 전 낮은 HCV RNA 농도 (800,000 IU/mL 이하) (p=0.013; odds ratio [OR], 7.873; 95% confidential interval [CI], 1.008-22.813), C형 간염 유전자형이 1형이 아닌 경우 (p=0.044; OR, 4.190; 95%CI, 1.428-12.291), 초기 바이러스반응 (early virological response) 이 있는 경우 (p=0.001; OR, 24.009; 95%CI, 3.865-149.140), 그리고, IL28B (rs12979860) CC 유전자형인 경우 (p=0.049, OR 4.794, 95%CI 1.008-22.813) 가 지속적 바이러스 반응과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한국인에서 IL28B 연관 유전체 변이는 다른 인종과 달리 만성 C형 간염에서 높은 치료효과와 관련된 rs12979860 CC 유전자형의 빈도가 높았다. 또한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이 1형일 경우, rs12979860 CC 유전자형을 보유한 환자의 경우 높은 지속적 바이러스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한국인에서 만성 C형 간염의 치료효과가 서구에 비해 높은 이유도 rs12979860 CC 유전자형과 연관된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