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표정과 몸의 움직임을 통한 감정표현

        정연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감정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라는 의문에서 시작하였다. 감정이란 어떤 현상이나 일을 접할 때 느끼게 되는 마음가짐이나 기분, 심리상태를 뜻한다. 사람들은 슬픔, 즐거움, 외로움 등의 다양한 감정을 가지고 살아간다. 감정은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 가능하며, 언제나 우리의 삶 속에 함께 자리한다. 그리고 그러한 감정들은 사람의 눈빛, 표정, 말, 몸짓을 통해 표현하고 전달된다. 본인은 감정이 표현되는 방법 중에서도 ‘얼굴 표정’과 ‘몸의 움직임’에 집중하여 관찰,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감정표현과 색채에 대한 연구이다. 인간은 자신의 감정 상태를 외부로 표현하며 살아간다. 얼굴의 미세한 근육 움직임과 피부 등은 표정을 더욱 섬세하고, 풍성하게 드러내준다. 또한 몸짓은 마음을 표현하는 신체언어로써 그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감정을 표현하는 얼굴과 몸의 움직임은 인간에 대한 연구라 여겨 우선 인간의 감정과 그 표현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감정과 정서의 심리상태가 표현되는 얼굴 표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신의 생각과 희망을 몸의 움직임을 통해 표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몸짓이 보여주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인의 작품에서 색은 표정과 몸짓에 힘을 실어주는 구성을 해준다. 색채와 감정의 연관성과 색채의 심리에 대해 탐색하였다. 조형적 방법연구에서는 우선 감정이 드러나는 얼굴 표정을 그렸다. 얼굴을 확대해서 그려 표정에 집중하였다. 다음으로 인간의 생각과 감정이 반영된 몸의 움직임을 표현하였다. 맑고 투명한 빛을 닮은 색들의 혼합으로 내면의 감정을 은은하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여백을 일반적으로 동양화에서 얘기하는 비워져있지만 가득 찬 공간이 아니라, 빈 것 자체로써 상실감과 공허함의 표현으로 그렸다. 본 연구를 통해 본인 작품에 대한 이론적 정리와 함께 앞으로의 발전적인 작업방향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started at the question for 'How can we express our feelings?'. Emotion means our attitude on mind, feelings and psychological state when we encounter certain conditions or situations. People live with a variety of emotions such as sadness, joy and loneliness. Feelings can occur in a variety of situations and always have a place in our lives together. And those feelings are expressed and passed on through the people's eyes, facial expressions, words and gestures. I have studied to focus on the 'facial expressions' and 'body movements' among the way of that emotions area expressed.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emotion and color. A human lives with external expressions of their emotional state. The fine muscle movements of the face and skin reveal the expressions more delicate and rich. And gestures take its role as the body language to express the mind. So I considered the movements of body and face to express emotions as research on the human, I first studied about human emotion and the way of its expression. I examined about the facial expressions being expressed the psychological state of feelings and emotions. I want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gesture to think their thoughts and hopes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body. Colors allow configuration to empower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to my works. The correlation between colors and emotions, about the psychology of colors were searched. The facial expressions of revealed emotions were painted first for the study of formative methods. It was concentrated on expressions to enlarge a face drawing. Then the movement of body was expressed with the reflections of human thoughts and feelings. The mix of colors like a crystal-clear light was used for showing delicate inner feelings. Finally, a blank space was painted empty space itself as an expression of loss and emptiness not a space full of something even emptied generally speaking the blank space in oriental paintings.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have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working direction along with theoretical definition for my works.

      • 중도입국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미술매체 탐색 및 미술수업 개발연구

        정연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our society enters a multi-cultural society, the number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s increasing every year. In this situation, diverse policies and budgets of government, enterprises, and civic groups are also increasing to support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Nonetheless, there are still group of people, who have been left out of the support. The midway immigrated adolescents are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who entered the country due to parental immigration or remarriage after birth in a foreign country (Kim, Myeongjung, 2011). Among the midway immigrated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hey are 14 to 17 years old and currently consisted of adolescents enrolled in multi-cultural foster care alternative schools. They usually reside in Korea due to their parents' remarriage, and their residence period is less than one year, while presenting various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problems due to their living in unfamiliar culture. Therefore, support for helping them adapt to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in Korean society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Therefore, the study defined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bility' as ‘ego resilience' and aimed to improve ego resilience of midway immigrated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hrough art class. To do this, the study analyzed five components of ego resilience: intimacy, emotional control, posi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autonomic behavior. Then, the study selected art media which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ccording to the analysis, activities such as shaving cream, pastels, salt, plaster bandages, and markers were selected as main media for art activities. In this study, both quantitative data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simultaneously by the method of integrated study according to the simultaneous triangulation strategy of Creswell & Plano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pplying this art class to midway immigrated adolescent, the study compared ego resilience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As a result, four sub domains of intimacy, emotional control, positive thinking and autonomous behavior, except problem solving factors showed improvement. Problem solving showed an increase while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rt class and ego resilience was confirmed. Second, the study conducted the evaluation of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10 individuals admitted to the adolescents and the evaluation of the teacher observation. As a result, the study could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the art media and observ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individual students in detail. Third, the researcher made a reflection log for each class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practical effects that can occur when applying the class.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art clas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self evaluation, and discussion contents. In this regard, the study confirms that art class has a positive effect on ego resilience of midway immigrated adolescents. Nonetheless, the study has limitation in that it conducted research with a small number of students in a particular alternative school, indicating that it is somewhat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Therefore, it would be more likely to demonstrate greater effectiveness if more research samples are given to specimens through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in the future. Howe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s aimed at midway immigrated adolescents who have not been the subject of previous study. I hope that this study will further promote research for adolescents entering the country in the future and hope that this would serve as a foundation for midway immigrated adolescents to adapt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in the Korean society.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결혼 이주여성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결혼 이주 여성과 그 자녀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기업·시민단체의 다양한 정책과 예산은 크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에서도 드러나지 않게 소외되고 차별받고 있는 이들이 있는데, 바로 중도입국 자녀들이다. 중도입국 자녀는 국제결혼가정 자녀 중 외국에서 출생한 이후 부모의 이주나 재혼으로 국내로 입국한 아동・청소년을 말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중도 입국 자녀들의 경우, 이들은 14~17세에 속하며, 현재 다문화 위탁형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대개 부모님의 재혼으로 인해 한국에 거주하게 된 상황이며, 거주 기간은 1년 미만으로 현재에는 낯선 문화에서의 생활로 인해 다양한 심리·사회 적응상의 문제점들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한국사회에서 심리·사회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지원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심리·사회적 적응력’을 ‘자아탄력성’이라는 개념으로 규정하고, 미술수업을 통해 본 연구에 참여한 중도입국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자아탄력성의 구성요인 5가지인 친밀행동, 감정조절, 긍정사고, 문제해결, 자율행동에 대해 분석한 뒤, 이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미술매체들을 선행연구의 비교·분석을 통해 선별해 내었다. 그 결과, 면도크림, 파스텔, 소금, 석고붕대, 마커 등이 미술활동들의 주 매체로 선정 되어 활동들이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reswell&Plano(2007)의 동시적 삼각화 전략에 따른 혼합연구의 방법을 통해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를 동시에 분석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미술수업을 중도입국청소년들에게 적용하여 실험처치 전과 실험처치 후의 자아탄력성을 비교해 본 결과, 문제해결 요인을 제외하고 4개의 하위영역인 친밀행동, 감정조절, 긍정사고, 자율행동이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문제해결 또한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미술 수업과 자아탄력성 간의 정(+)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자는 중도입국청소년들 10명의 개인별 실기 결과물 평가 및 교사 관찰평가를 매 차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술매체의 활용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생 개개인의 행동 변화 및 발전사항 또한 상세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자는 본 수업에 대한 매 차시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수업 현장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실제적 효과성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수업 만족도 검사, 자기평가, 면담내용의 분석을 통해 본 미술 수업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 미술수업이 중도입국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특정 대안학교의 소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기에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수정·보완을 거쳐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수업을 진행한다면 보다 큰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아직까지 연구대상으로서의 실적이 미비한 중도입국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계기로 앞으로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중도입국청소년들이 한국사회 안에서 심리·사회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 Anold Schoenberg 「Suite for Piano Op.25」 의 음렬구조와 진행에 관한 구조

        정연진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nold Schoenberg, a representative composer in the 20th century, pioneered the age of atonal music as destroying the composition and introducing frequent use of chromatic scale and alteration into composition. In addition, used by created 12-tone techniques for providing systematic order on it. Since then, he has been showing the way of new trial to many composers until now. 「Suite for Piano Op.25」 is applied by a work using 12-tone serial techniques that he designated in whole melody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analyzed how 12-tone serial techniques were newly pursued and developed how serial structure and progress made form. First, examined music life of Schoenberg and his music style by the time; 1st phase for compositive creation period, 2nd phase for atonal creation period releasing dissonance and demolishing composition, 3rd phase for 12-tone serial techniques creation period made to complement atonal music technically and 4th phase for America exile period showing recurrence to composition. Second, studied a concrete definition of 12-tone serial techniques that was theory and practice including a method making a work with it. Also, it looked over the characteristics of Schoenberg's piano works. The last, analyzed 12-tone serial structure and progress by choosing 「Suite for Piano Op.25」all which are initially composed with 12-tone series among his works. In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Schoenberg affect a lot of modern music by developing more systematic and structural music with 12-tone serial techniques. Not only he pursued the aspect departing from past music and seeking new, but his music also presented a foundation of recreated music with various ways by combining old and new. The 12-tone serial techniques that he created can be the excellent information for his followers and for us who are studying composition as well as for himself.

      • 담도 조영을 위한 기능화 된 CT 조영제 : Functionalized CT contrast agent for biliary tract imaging

        정연진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Biliary tract refers to the organs and ducts that produce and store bile and excrete it into duodenum. The biliary tract imaging is critical in medical to visualize its anatomy, lesions and assess the dynamics of biliary function and bile flow.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often conducted for biliary tract diagnosis. However, it is necessary for early diagnosis to develop new convenient, and non-invasive biliary tract imaging technique because ERCP is an invasive method which has some concern about several risk factors by post-ERCP. In this work, a new iodine-based functionalized small molecular CT contrast agent for biliary tract imaging was designed. The asialoglycoprotein receptor (ASGPR) specific affinity was confirmed by in vitro cellular uptake in HepG2 cells (ASGPR positive) and HCT 116 cells (ASGPR negative). Great in vivo contrast effect in biliary tract has been shown until 30 minutes after the injection of functionalized contrast agent and excellent excretion property without damage was verifi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functionalized CT contrast agent is promising safe and effective contrast agent for CT biliary tract imaging. 담도는 담즙을 생산하고 저장하며 소장으로 배출하는 조직과 관들을 총칭하는 말로, 이러한 담도의 조영술은 임상에서 담도의 구조, 병변을 시각화하고 담도의 기능 평가에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오고 있다. 담도의 진단으로는 특히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ERCP)이 주로 이행되고 있는 기술이며,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사법이다. 하지만 검사 이후에 발생하는 여러 위험요소 때문에 조기진단을 위해서는 새로운 간편한 담도 조영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도 조영을 위한 새로운 요오드 기반의 기능화 된 단분자 CT 조영제를 개발하였다. X선 감쇄평가를 통하여 조영제로서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간에 많이 발현되어 있다고 알려진 아시알로당단백질수용체에 대한 친밀감을 세포실험을 통해 확인 하였다. 앞서 확인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실제 체내에서 조영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진행한 결과, 간을 거쳐 담도로 배출된 조영제는 담도에서 높은 생체내 조영효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개발된 조영제가 데미지 없이 배출되는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능화 된 CT 조영제가 CT 담도 조영을 위한 촉망되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조영제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 고무바퀴 경전철의 로드히터장치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정연진 우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경전철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및 경전철 중에 고무차륜을 사용하는 모노레일과 AGT를 운영중인 국내외 운영사의 동절기 대비 안전설비 구성사례를 알아보았다. 또한 국내외 고무차륜 경전철을 운영하는 운영사들의 장애 및 사고사례를 분석하고, 안전설비인 로드히터장치 설계상의 문제점을 제안하여 국내의 환경에 맞는 설계기준을 제시하여 시설유지관리 및 운영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방향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건설되는 경전철은 기상변화에 대응하여 도시철도의 생명인 정시성 및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 증진으로 경전철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사목상담에 긍정심리치료를 적용하기 위한 통합 연구 : 용서, 감사, 낙관성, 대표강점 기법을 중심으로

        정연진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신학과 심리학으로부터 얻어진 통찰과 원리들을 활용하여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를 지향하는 상담을 일컫는 사목상담과 ‘긍정 심리학’의 창시자 셀리그만(Martin E.P. Seligman)이 고안한 심리치 료 기법을 통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목상담 안에 긍정심리치료 기법을 통합하는 이유는 인간이 지 닌 부정적인 증상에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강점을 계발할 때에 부정적인 증상의 제거는 물론 진정한 행복과 심지어 초월적인 체험 까지 나아갈 수 있다는 셀리그만의 입장이 그리스도교의 초월적 가 치와 맞물려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장을 바탕으로 본고는 사목상담을 청하는 신자들이 그 리스도와 올바른 관계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세운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두 개의 목표를 설정한 다. 첫째는 긍정심리치료와 사목상담의 이론적 통합이고, 둘째는 긍 정심리치료 중에서 효과성이 충분히 검증된 ‘용서’, ‘감사’, ‘낙관성’, ‘대표강점’기법을 사목상담 안에 통합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긍정심리치료가 추구하는 ‘진정한 행복’, ‘자아실현’, ‘삶 의 의미 추구’ 등의 초월적 가치가 그리스도교에서 지향하는 삶의 태도와 가치관에 부합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긍정심리 치료의 치료기법 네 가지를 사목상담 안에 통합하는 시도가 신자들 의 전인격적인 성장과 더불어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를 맺는 데에 유용하다는 결론을 이끌어냈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본고의 한계점과 추구 연구 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무용/동작치료가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 통제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 Marian Chace의 원형구조 기법을 중심으로

        정연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동기 발달장애 유형 중 하나인 정신지체 아동은 자기 통제력이 부족하여 짧은 주의집중과 충동적이고 산만한 행동으로 빈번하게 그룹에서의 이탈행동을 보인다. 또한 사회성 기술 능력의 결함으로 인하여 원만한 대인관계의 형성은 물론 사회 안에서 여러 가지 부적응 현상과 문제행동을 나타내는데, 이런 문제는 결국 정신지체 아동이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무시와 거부를 당하고 일반교육 현장에 통합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하는 이유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용/동작치료를 통하여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 통제력과 사회성 기술과 관련된 문제행동을 변화시켜 무용/동작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Marian Chace의 원형구조 기법을 적용한 무용/동작치료는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 통제력을 증진시킬 것인가? 연구문제 2. Marian Chace의 원형구조 기법을 적용한 무용/동작치료는 정신지체 아동의 사회성 기술에 어떠한 변화를 줄 것인가? 연구문제 3. Marian Chace의 원형구조 기법을 적용한 무용/동작치료는 정신지체 아동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줄 것인가? 위의 목적을 위하여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00장애인 종합 복지관에서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정신지체 아동으로 선발기준과 어머니의 동의를 얻은 16명을 선정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8명씩 나누어 구성하였다. 그리고 주 1회 2시간씩 3회의 진행자에 의한 사전관찰이 진행된 후 2005년 5월 6일부터 7월 29일까지 주 1회 60분씩 12회기의 무용/동작치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무용/동작치료는 마리안 체이스의 무용/동작치료 기법 중 원형구조 기법의 목표를 바탕으로 계획하여 진행하였다. 마리안 체이스는 대상자들을 원 대형으로 모아 서로에게 관심과 집중을 갖도록 하여 집단의 의미를 강조하였으며, 원형 안에서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움직임 활동과 접촉을 통해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발전시켜 나아갔다. 그리고 다양한 움직임의 경험은 성취감과 자신감은 물론 책임감의 향상을 기대하도록 해주었다. 이는 학교나 사회, 단체 생활에서 개인적인 이탈과 주의집중의 문제를 보이며, 사회성 기능의 부족으로 인하여 원만한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정신지체 아동에게 무용/동작치료가 문제행동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해력이 떨어지고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유아나 아동들에게 움직임을 수단으로 하는 무용/동작치료는 가장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치료적 접근이 될 수 있다. 정신지체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부모에 의해 SCRS 자기통제력 검사와 보조교사 4명이 평가한 SSRS - 사회 기술 평정 척도와 문제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정신지체 아동이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에 어떠한 변화를 나타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집단별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Marian Chace의 원형구조 기법을 적용한 무용/동작치료는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 통제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Marian Chace의 원형구조 기법을 적용한 무용/동작치료는 정신지체 아동의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Marian Chace의 원형구조 기법을 적용한 무용/동작치료는 정신지체 아동의 문제행동 점수가 감소되는 것으로 문제행동의 변화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마리안 체이스의 원형구조 기법을 중심으로 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정신지체 아동에게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약물치료의 제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행동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이어 표현예술치료의 한 방법으로 무용/동작치료가 치료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 type of childhood developmental impediment known as mental retardation shows symptoms such as lack of self-control, short attention span and impulsive distracted behaviors that often cause disintegration from group activities. Due to defect in social skills ability, a child with the disability has a difficulty in forming harmonious healthy personal relationship and displays various phenomena of social maladjustment and problematic behaviors. Such problems become the fundamental reason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to be marginalized and isolated from society, in which they are neglected and denied, and to suffer hardships as they try to integrate into the general disciplinary fields. Derived by thereupon, this research has an objectiv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ircle Structure Method, a form of dance and movement therapy created by Marian Chace, for improving self-control ability, social skills and the subsequent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ree specific questions examined in order to attain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1. Would a Dance /Movement therapy employing the Circle Structure Method improve the self-control ability of a mentally retarded child? 2. What are the sociological impacts on a child who has been subjected to the Circle Structure Method? 3. How would the Therapy influence the child's problematic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include sixteen mentally retarded children from the after-school program at a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e handicapped in Seoul. All subjects were given parental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nd met the selection criteria.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eigh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receded by three two-hours long weekly observational sessions, the dance and movemen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weekly for an hour for12 sessions from May @6^(th) through July @29^(th) in 2005. This research was constructed based specifically on the Circle Structure Method designed by Marian Chace. Chase gathered her subjects in a big circle, in which they were interested in each other and centralized amongst themselves, promoting the significance of their collective identity as a group. The subjects were encouraged to develop interaction with others in the circle while they engage in comfortable and natural movement and physical contact. Also, experiencing a variety of movements helped expect improvement in their sense of fulfillment, confidence and responsibility. This indicates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the Dance/Movement Therapy on a mentally retarded child whose interaction with social environment and the subsequent negative outcomes with regards to independence, relationships, societal contributions, participation in school and community and personal well-being. Furthermore, this method has the potential to be the most comfortable and natural therapeutic approach to toddlers or children who displays poor comprehensive and communicative skills. Self-Control Rating Scale (a.k.a. SCRS) performed by their parents and Social Skill Rating System (a.k.a. SSRS) by four teaching assistants were used as a means of evaluating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mentally challenged childr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lso, the data analysis of each group's test result was processed in order to compare the pre-experiment initial stage and the subsequent post-experiment resul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ree observations were made. First, DMT did show an improvement in self-control ability in the mentally challenged children. Secondly, this experiment confirmed that DMT improved the social skills of the mentally challenged children. Thirdly, the method indicated a positive change in behaviors of the children who went through DMT as they scored lower on the problematic behavio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assigns its significance in clinically demonstrating the positive effect of DMT centering around Marian Chace's Circle Structure Method o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dditionally, this experiment proposes a positive outlook on the Dance/Movement Therapy, succeeded by behavioral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s a new form of art therapy, that it too can be a therapeutic substitute for traditional psychiatric drug induced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